KR101194350B1 -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350B1
KR101194350B1 KR1020100037603A KR20100037603A KR101194350B1 KR 101194350 B1 KR101194350 B1 KR 101194350B1 KR 1020100037603 A KR1020100037603 A KR 1020100037603A KR 20100037603 A KR20100037603 A KR 20100037603A KR 101194350 B1 KR101194350 B1 KR 10119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storage
storage objec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041A (ko
Inventor
조진수
문지애
Original Assignee
문지애
조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지애, 조진수 filed Critical 문지애
Priority to KR102010003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350B1/ko
Publication of KR2011011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combined with an open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44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having a dispensing opening formed in the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11/00Funnels, e.g. for liquids
    • B67C2011/20Funnels, e.g. for liquids comprising closures, e.g. stoppers, caps 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저장대상물이 유입되는 주입구와, 저장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주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와, 용기본체의 주입구로부터 용기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저장대상물의 주입시 하단이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어 저장대상물을 주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저장대상물을 용기본체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용기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어 용기본체로 저장대상물을 유입시킬 시 가이드부를 뒤집어 저장대상물이 용기본체로 가이드되어 용기본체로 저장대상물을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저장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저장대상물을 용기로 유입시킬 시 저장대상물이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용기는 생수, 음료수, 샴푸, 세제 등 액상 또는 가루형태의 내용물을 담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저장용기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을 다 사용하게 되면 용기를 버리거나 리필팩을 구입하여 내용물을 용기에 주입하여 재사용하고 있다.
용기를 버리는 것은 폐기물 공해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재사용하는 경우 리필팩에 담긴 내용물을 개구가 좁게 형성된 저장용기의 내부에 주입하는 것이 쉽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353830호에는 액체 흡입이 용이한 용기구조에 대한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용기구조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시키도록 하는 용기로서 내용물이 거의 소진되어 가는 상태일 때 내용물을 모두 토출시킬 수 있도록 용기 내부 바닥면에 반구형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389101호에는 샴푸용기에 대한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삼푸용기는 용기본체의 양측 외주면에 미끄럼방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중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용기들은 내용물을 다 사용한 후 용기를 재사용하기 위해 리필팩에 담긴 내용물을 용기 내부로 주입할 때 용기의 개구가 좁아 내용물이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어 내용물의 손실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대상물을 저장용기 내부로 유입시킬 때 저장대상물을 저장용기의 개구로 가이드하도록 가이드부를 갖는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저장용기는 저장대상물이 유입되는 주입구와, 저장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저장대상물의 주입시 하단이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어 저장대상물을 상기 주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단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뒤집었을시 깔때기 형상을 이루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은 상기 주입구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저장대상물을 상기 주입구를 통한 주입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이루는 고정캡과 결합되는 고정캡결합부가 상기 주입구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주입구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캡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캡결합부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주입구의 가장자리에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본체의 가장자리는 하단이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어 유도부가 형성될 때 저장대상물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는 저장대상물을 용기본체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용기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어 용기본체로 저장대상물을 유입시킬 시 가이드부를 뒤집어 저장대상물이 용기본체로 가이드되어 용기본체로 저장대상물을 용이하게 유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장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장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저장대상물을 용기로 유입시킬 시 저장대상물이 용기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제 1 실시 예를 도 1과 도 2에 나타내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저장용기(100)는 저장대상물(50)이 유입되는 주입구(30)와, 저장대상물(50)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주입구(30)를 개폐시키는 개폐부(40)와, 용기본체(10)의 주입구(30)로부터 용기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저장대상물(50)의 주입시 하단이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어 저장대상물(50)을 주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24)가 형성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20)를 구비한다.
용기본체(10)는 내부가 비어 저장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용기본체(10)의 상단은 주입구(3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저장대상물(50)을 주입구(30)를 통한 주입시 간섭되지 않도록 후술할 개폐부(40)의 고정캡(42)과 결합되는 고정캡결합부(72)가 주입구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캡결합부(72)의 내주면에는 고정캡(42)과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부(40)는 용기본체(10)의 주입구(30)와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주입구(30)에 마련된 고정캡결합부(72)와 결합되는 고정캡(42)과, 저장대상물이 이동되는 이동관(46)과, 이동관(46)으로부터 이동되는 저장대상물(5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수단(44)을 구비한다. 고정캡(42)은 고정캡결합부(72)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으며, 고정캡결합부(72)에 마련된 나사산과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43)이 마련되어 있다. 이동관(46)은 펌핑수단(44)과 연결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개폐부(40)의 펌핑수단(44)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개폐부는 용기본체의 주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가이드부재(20)는 용기본체(10)의 주입구(30)의 상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용기본체(10)와 밀착되어 있으며 상단은 주입구(30)의 상단에 접착되게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0)는 뒤집었을 시 깔때기 형상을 이루는 유도부(24)가 마련되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0)의 하단에는 용기본체(10)의 표면에서 이격되게 형성되어 가이드부재(20)를 뒤집을때 용기본체(10)에 밀착된 가이드부재(20)를 쉽게 뒤집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22)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재(20)는 합성고무 등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내보였다.
가이드부재(60)는 주입구(30)의 가장자리에 상단이 고정되며 용기본체(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61)를 구비한다. 가이드본체(61)는 하단이 상단보다 상방으로 위치되도록 뒤집어 저장대상물(50)을 주입구로 유도할 수 있도록 부채꼴 형상의 유도부(62)가 형성된다. 가이드본체(6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하단이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었을 때 유도부(62)를 따라 저장대상물(50) 주입시 주입구(30)로 유입되는 저장대상물(50)이 가이드본체(61)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장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내보였다.
용기본체(70)는 주입구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캡결합부(72)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캡결합부(72)는 개폐부(75)의 고정캡(77)과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74)이 마련되어 있다. 개폐부(75)는 고정캡결합부(72)와 결합되어 용기본체(70)의 내부공간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고정캡결합부(72)와 결합되는 고정캡(77)과, 저장대상물이 이동되는 이동관(78)과, 이동관(78)으로부터 이동되는 저장대상물(50)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수단(76)을 구비한다. 고정캡(77)은 고정캡결합부(72)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갖으며, 고정캡결합부(72)에 마련된 나사산(74)과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이동관(78)은 펌핑수단(76)과 연결되어 용기본체(70)의 내부공간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개폐부(75)의 펌핑수단(76)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자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개폐부는 용기본체의 주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가이드부재(80)는 고정캡결합부(7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74)과 결합되는 고정부(82)가 마련되며, 고정부(82)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용기본체(70)와 밀착되는 깔때기부(86)가 형성된다. 고정부(82)는 고정캡결합부(72)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갖고, 고정부(82)의 내주면에는 고정캡결합부(7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74)과 결합되는 나사산(84)이 형성되어 있다. 깔때기부(86)는 뒤집었을시 깔때기 형상을 이루는 유도부가 형성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저장용기(200)는 내부에 저장대상물(50)을 주입하기 위해 용기본체(70)에 설치된 가이드부재(80)를 뒤집어 깔때기부(86)에 의해 유도부를 만든 후 용기본체(70)의 고정캡결합부(72)와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82)를 돌려 고정부(82)가 고정캡결합부(72)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한 후 가이드부재(80)의 깔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도부에 저장대상물을 주입한다.
도 6과 도 7에는 저장용기의 가이드부재가 캔 또는 병의 라벨로써 사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보였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내보였다.
가이드부재(92)는 캔(90)의 상부 외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며 라벨로 사용되도록 외주면에 상표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부재(92)는 캔(90)의 내부공간으로 저장대상물을 주입해야할 때 가이드부재(92)를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기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내보였다.
가이드부재(98)는 병(96)의 상부 외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며 라벨로 사용되도록 외주면에 상표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부재(98)는 병(96)의 내부공간으로 저장대상물을 주입해야할 때 가이드부재(98)를 뒤집어 사용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용기(10)는 내부공간에 저장된 저장대상물을 사용한 후 용기본체(10) 내부로 저장대상물(50)을 주입하기 위해 개폐부(40)를 열고 가이드부재(20)의 하단이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되도록 뒤집는다. 뒤집어진 가이드부재(20)는 깔때기 형상을 하여 주입구(30)가 좁은 용기본체(10) 내부에 저장대상물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저장대상물(50)을 주입구(30)로 가이드한다. 저장대상물(50)의 주입이 끝나면 뒤집어진 가이드부재(20)를 용기본체(10)의 표면에 밀착시킨 후 개폐부(40)를 닫고 개패부(40)의 펌핑수단(44)을 눌러 저장대상물(50)을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한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저장용기 10, 70; 용기본체
20, 60, 80, 92, 98; 가이드부재 30; 주입구
40; 개폐부
50; 저장대상물

Claims (6)

  1. 저장대상물이 유입되는 주입구와, 저장대상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을 갖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와;
    상기 용기본체의 주입구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 및 뒤집을 수 있도록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저장대상물의 주입시 하단이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어 저장대상물을 상기 주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가 형성되며,상단이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에 접착고정되고, 뒤집었을 시 깔때기 형상을 이루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은 상기 주입구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저장대상물을 상기 주입구를 통한 주입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개폐부를 이루는 고정캡과 결합되는 고정캡결합부가 상기 주입구의 내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주입구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캡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고정캡결합부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주입구의 가장자리에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의 가장자리는 하단이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어 유도부가 형성될 때 저장대상물이 외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기.

KR1020100037603A 2010-04-22 2010-04-22 저장용기 KR10119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603A KR101194350B1 (ko) 2010-04-22 2010-04-22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603A KR101194350B1 (ko) 2010-04-22 2010-04-22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41A KR20110118041A (ko) 2011-10-28
KR101194350B1 true KR101194350B1 (ko) 2012-10-25

Family

ID=4503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603A KR101194350B1 (ko) 2010-04-22 2010-04-22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3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03Y1 (ko) * 2000-04-19 2000-09-15 주식회사엘지화학 다기능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303Y1 (ko) * 2000-04-19 2000-09-15 주식회사엘지화학 다기능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041A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2108419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зливания и дозирования напитков
EP2067464A4 (en) INFUSION CONTAINER OF BLAS-SHAPED PLASTIC
KR101723225B1 (ko) 하향식 액상물질 디스펜서
KR200471808Y1 (ko) 탄력적인 직립형 노즐이 형성된 누름버튼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194350B1 (ko) 저장용기
KR20100001554U (ko) 생수통 위생마개
KR101382196B1 (ko) 반복 개폐가 가능한 유리병용 뚜껑
KR20130141758A (ko) 액체 용기의 공기 접촉 차단 장치
KR101279013B1 (ko) 휴대용 향수용기
US20200087041A1 (en) Compressed gas supply device
KR200286406Y1 (ko) 액체보관용 재활 용기
KR101633094B1 (ko) 밀봉수단이 구비된 용기
KR20170127210A (ko) 조립 용기, 리필팩 및 펌프를 포함하는 용기 세트 및 이에 사용되는 스파우트
DE602004031677D1 (de) Lagerungsbehälter, externer behälter zum kneten und transportieren des behälters und knetvorrichtung
KR200338631Y1 (ko) 페트병에 채결하는 물조리개
KR20120006965U (ko) 액상물 저장통
KR101595738B1 (ko) 생맥주 주입방법
KR200413393Y1 (ko) 개폐 가능한 통기구멍이 구비된 용기
KR200450689Y1 (ko)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JP2014080219A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CN209177214U (zh) 一种可倒持挤压的定量配送流体装置
RU2466916C1 (ru) Бутыль для жидкости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CN202574824U (zh) 一种倾倒时可防止瓶内液体意外泄落的容器瓶
KR200429955Y1 (ko) 유체주입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