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89Y1 -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89Y1
KR200450689Y1 KR2020100004254U KR20100004254U KR200450689Y1 KR 200450689 Y1 KR200450689 Y1 KR 200450689Y1 KR 2020100004254 U KR2020100004254 U KR 2020100004254U KR 20100004254 U KR20100004254 U KR 20100004254U KR 200450689 Y1 KR200450689 Y1 KR 200450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bottle
inlet
water bottle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진
Original Assignee
한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만진 filed Critical 한만진
Priority to KR2020100004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92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formed by several elements connected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0Caps or cap-like covers with membranes, e.g. arranged to be pierc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생수가 담겨져있는 생수통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이동중이나 운반중 또는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장착하기 위해 생수통을 거꾸로 뒤집을 때 등과 같이 생수통이 흔들려서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생수통의 주입구로부터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장착되는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의 주입구와 견고하게 밀착되지 않아서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일측에는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에 끼워지는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생수통의 주입구(110)를 막아주는 덮개부(220)가 형성되며, 내면 상단에는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을 고정시켜주는 단턱부(230)가 구비된 몸체부(200);로 형성되어 생수통(100)의 주입구(110)를 막아주는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에 있어서, 몸체부(200)의 내면 최상단에서 몸체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단부(310)가 단턱부(230)를 향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주입구(110)가 진입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하단부(310) 끝단이 몸체부(200) 내면을 향해 외측으로 휘어져서 주입구(110) 둘레에 밀착되는 압박플랜지(300);로 이루어지며, 압박플랜지(300)의 일측에는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의 블로우사출 퍼팅부(parting,접합부)를 압박하는 보조플랜지(350)를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견고하게 생수통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Cap closure for hot/cold bottled water supply device}
본 고안은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구비되는 냉온수기에 생수를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이동중이나 운송중 또는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설치하기 위해 거꾸로 뒤집었을 때 등과 같이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생수통과 생수통 마개 사이의 공간으로 누출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생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생수통의 주입구에 끼워지는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 내면 최상단에서 몸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단부가 단턱부를 향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생수통의 주입구가 진입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하단부 끝단이 몸체부 내면을 향해 외측으로 휘어져서 주입구 둘레에 밀착되는 압박플랜지를 형성하여, 생수통의 주입구와 생수통 마개를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생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70% 정도가 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10% 정도만 잃게 되어도 생명이 위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하루 중 여러 차례 물을 마셔 인체 내의 수분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러므로 가정이나 직장 등 사람들이 생활하는 공간에는 사람들이 음용하는 식수가 구비되며, 특히 최근에는 지속적으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인 정수기 및 냉온수기 또는 이온수기 등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 중 설치 및 이동이 간편하고 생수의 공급과 냉온수의 이용이 자유로운 냉온수기가 많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온수기에는 냉온수기 본체 외에 냉온수기에 생수를 공급해주는 생수통이 설치되며, 상기 생수통은 생수통 내부의 생수를 냉온수기에 모두 공급한 후 다시 새로운 생수통으로 교체되는 것이다.
냉온수기에 생수를 모두 공급한 빈 생수통은 수거되어 다시 깨끗한 생수가 채워진 다음 냉온수기에 결합되어 생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생수통의 주입구에는 생수통 마개가 설치되어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이동 중이나 운반 중 또는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설치하기 위해 거꾸로 뒤집었을 때 생수통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 은 종래의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와 생수통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 는 종래의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과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생수통(10)에 생수통 마개를 결합시키면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 내부로 생수통(10)의 주입구(11)가 유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로 유입된 주입구(11)는 주입구(11) 상부에 형성되는 목부분(12)이 생수통 몸체부(20)의 내면 상단에 형성되는 단턱부(23)를 지나 목부분(12)이 단턱부(23)에 밀착되면서 생수통(10)의 주입구(11)와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가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 내면 최상단에 형성되는 플랜지(30)가 생수통(10)의 목부분(12)과 밀착되면서 생수통(10) 내부의 생수가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생수통 내면 최상단에 구비되는 플랜지의 형태가 너무 짧게 형성되어 있어서 생수통의 주입구가 생수통 마개와 결합되었을 때, 생수통의 주입구와 생수통 마개의 플랜지가 충분하게 밀착되지 않게 되므로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생수통의 주입구와 생수통 마개 사이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생수통의 반복적인 사용과 이동 등의 충격에 의해 생수통의 주입구가 훼손되어 생수통의 주입구의 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나 생수통 주입구의 목부분의 블로우 사출퍼팅(parting)부가 가공이 제대로 않되어 있는 경우에 생수통의 주입구가 생수통 마개와 결합되었을 경우, 생수통의 주입구의 모든 부위를 생수통 마개의 플랜지가 밀착시켜주지 못해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수통의 주입구와 생수통 마개가 결합하였을 때 생수통의 주입구를 생수통 마개 내면 최상단에 구비되는 압박플랜지가 압박하여 밀착시켜줌으로써, 생수통의 주입구와 생수통 마개의 플랜지가 충분하게 밀착되지 않아서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생수통의 주입구와 생수통 마개 사이로 누수되며, 반복적인 사용과 이동 등의 충격에 의해 생수통의 주입구가 훼손되어 생수통의 주입구의 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 생수통의 주입구가 생수통 마개와 결합되었을 경우, 생수통의 주입구의 모든 부위를 생수통 마개의 플랜지가 밀착시켜주지 못해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외부로 누수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압박플랜지의 일측에 생수통의 주입구 목부분의 블로우사출 퍼팅부(parting,접합부)를 압박하는 보조플랜지를 압박플랜지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생수통 주입구의 목부분의 블로우 퍼팅부(parting, 접합부)를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일측에는 생수통의 주입구에 끼워지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생수통의 주입구를 막아주는 덮개부가 형성되며, 내면 상단에는 주입구의 목부분을 고정시켜주는 단턱부가 구비된 몸체부;로 형성되어 생수통의 주입구를 막아주는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에 있어서, 몸체부의 내면 최상단에서 몸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단부가 단턱부를 향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주입구가 진입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하단부 끝단이 몸체부 내면을 향해 외측으로 휘어져서 주입구 둘레에 밀착되는 압박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압박플랜지의 일측에는 생수통 주입구 목부분의 블로우사출 퍼팅부(parting,접합부)를 밀착시키는 보조플랜지를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견고하게 생수통을 밀봉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생수통의 주입구에 끼워지는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 내면 최상단에서 몸체부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단부가 단턱부를 향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생수통의 주입구가 진입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하단부 끝단이 몸체부 내면을 향해 외측으로 휘어져서 주입구 둘레에 밀착되는 압박플랜지를 형성하여, 생수통의 주입구와 생수통 마개를 견고하게 밀착시킴으로써,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이동중이나 운송중 또는 생수통을 냉온수기에 설치하기 위해 거꾸로 뒤집었을 때 등과 같이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생수통과 생수통 마개 사이의 공간으로 누수될 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 생수의 누수를 방지하며, 특히 반복적인 사용과 이동 등의 충격에 의해 생수통의 주입구가 훼손되어 생수통의 주입구의 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생수통의 주입구를 생수통 마개의 압박플랜지가 견고하게 밀착시켜서 생수통 내부의 생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압박플랜지의 일측에 보조플랜지를 내측으로 돌출시켜 형성하여 생수통 주입구의 목부분의 블로우사출 퍼팅부(parting,접합부)를 견고하게 압박하여 생수통의 주입구와 생수통 마개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와 생수통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 는 종래의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과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과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과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과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가 생수통과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일측에는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에 끼워지는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생수통의 주입구(110)를 막아주는 덮개부(220)가 형성되며, 내면 상단에는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을 고정시켜주는 단턱부(230)가 구비된 몸체부(200);로 형성되어 생수통(100)의 주입구(110)를 막아주는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몸체부(200)의 내면 최상단에서 몸체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단부(310)가 단턱부(230)를 향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주입구(110)가 진입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하단부(310) 끝단이 몸체부(200) 내면을 향해 외측으로 휘어져서 주입구(110)의 목부분(120) 둘레에 밀착되는 압박플랜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압박플랜지(300)의 일측에는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의 블로우사출 퍼팅부(parting,접합부)를 압박하는 보조플랜지(350)를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견고하게 생수통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생수통 마개 몸체부(200)의 일측에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에 끼워지는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생수통(100)의 주입구(110)를 막아주는 덮개부(220)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생수통 마개 몸체부(200)의 내면 상단에 생수통(100)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을 고정시켜주는 단턱부(230)를 형성하는 것이다.
특히,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0) 내면 최상단에서 몸체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단부(310)가 단턱부(230)를 향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주입구(110)가 진입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하단부(310) 끝단이 몸체부(200) 내면을 향해 외측으로 휘어져서 주입구(110)의 둘레에 밀착되는 압박플랜지(300)를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0) 내면에 구비하여 생수통(100)과 생수통 마개 몸체부(2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생수통(100)에 생수를 담은 후 생수통 마개를 생수통(100)과 결합시키기 위해서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에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생수통(100)의 주입구(110)가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0)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210)를 통해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0) 타측에 형성되는 덮개부(220)까지 끼워지는 것이다.
이때, 생수통(100)의 주입구(110) 에 형성되는 목부분(120)이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0) 내면 상단에 형성되는 단턱부(23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생수통(100)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이 생수통 마개 몸체부(200)의 단턱부(230)를 지나면 생수통 마개 몸체부(200)의 내면 최상단에 구비되는 압박플랜지(300)가 주입구(110)와 밀착되면서 생수통(100) 내부의 생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특히, 압박플랜지(300)의 하단부(310) 끝단이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0) 내면을 향해 외측으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생수통(100)의 주입구(110)가 압박플랜지(300)의 하단부(310)를 지나 압박플랜지(300)와 밀착될 때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압박플랜지(300)는 생수통 마개 몸체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탄발력을 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와 압박플랜지(300)가 탄력적으로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장기간 사용이나 운반 중이나 또는 운송 중에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생수통(100)의 주입구(110)가 깨지거나 훼손되어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와 압력플랜지(300)가 균일하게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압박플랜지(300)의 일측에는 생수통(100)의 주입구(110) 목부분(120)의 블로우사출 퍼팅부(parting,접합부)를 압박하는 보조플랜지(350)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의 블로우사출 퍼팅부(parting,접합부)를 압박하여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와 생수통 마개의 몸체부(200)를 더욱 견고하게 말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생수통 110 : 주입구
120 : 목부분 200 : 몸체부
210 : 개구부 220 : 덮개구
300 : 압박플랜지 310 : 하단부
350 : 보조플랜지

Claims (2)

  1. 삭제
  2. 일측에는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에 끼워지는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생수통의 주입구(110)를 막아주는 덮개부(220)가 형성되며, 내면 상단에는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을 고정시켜주는 단턱부(230)가 구비된 몸체부(200)와;
    몸체부(200)의 내면 최상단에서 몸체부(20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단부(310)가 단턱부(230)를 향해 하향으로 돌출되며, 주입구(110)가 진입될 때 간섭받지 않도록 하단부(310) 끝단이 몸체부(200) 내면을 향해 외측으로 휘어져서 주입구(110)의 둘레에 밀착되는 압박플랜지(300);
    로 생수통(100)의 주입구(110)를 막아주는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압박플랜지(300)의 내면 일측에 생수통(100)의 주입구(110)의 목부분(120)의 블로우사출 퍼팅부(parting,접합부)를 압박하는 보조플랜지(350)를 내측으로 돌출시켜서,
    견고하게 생수통을 밀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용 생수통 마개.
KR2020100004254U 2010-04-22 2010-04-22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KR200450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54U KR200450689Y1 (ko) 2010-04-22 2010-04-22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54U KR200450689Y1 (ko) 2010-04-22 2010-04-22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689Y1 true KR200450689Y1 (ko) 2010-10-25

Family

ID=4447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54U KR200450689Y1 (ko) 2010-04-22 2010-04-22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9683A (zh) * 2017-09-12 2017-12-22 李瑞婵 一种饮用水桶及其一次性密封桶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07A (ja) * 2001-03-21 2002-10-03 Japan Crown Cork Co Ltd 打栓式キャップ
KR200354351Y1 (ko) * 2004-03-29 2004-06-29 신성기업 주식회사 생수통 봉인마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07A (ja) * 2001-03-21 2002-10-03 Japan Crown Cork Co Ltd 打栓式キャップ
KR200354351Y1 (ko) * 2004-03-29 2004-06-29 신성기업 주식회사 생수통 봉인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9683A (zh) * 2017-09-12 2017-12-22 李瑞婵 一种饮用水桶及其一次性密封桶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1236A1 (en) Liquid sealing arrangements for replaceable liquid reservoirs
JP2012503575A (ja) ボトルキャップ
KR200479685Y1 (ko) 플립형 스포츠 병뚜껑 및 해당 병뚜껑을 포함하는 물저장 용기
MX2010004121A (es) Recipiente de material plastico.
MX2007009741A (es) Cierre de plastico para recipientes.
GB0609802D0 (en) Closure
RU2011143963A (ru)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сцепления на крышки пэт
TW200606072A (en) Container with seal cap
BRPI0923364A2 (pt) Barril de gargalo largo de matéria sintética termoplástica
MX2016015125A (es) Tapa de botella universal.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KR200450689Y1 (ko) 냉온수기용 생수통의 마개
US20080223817A1 (en) Cup assembly with Integrated Bottle Cap
KR20100001554U (ko) 생수통 위생마개
WO2013075271A1 (zh) 一种密封良好的药用玻璃瓶
CN205098667U (zh) 一种易于成型的气密盖结构
CN104724380A (zh) 一种具有两层密封盖的容器口封装结构
JP3031206U (ja) 新型プラスチック飲料水罐蓋
KR20130058495A (ko)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CN204184763U (zh) 一种饮水瓶
CN205131975U (zh) 一种新型胶水瓶
CN203819692U (zh) 一种耐磨损卡扣
CN205221435U (zh) 一种具有防尘防盗功能的容器
CN104340505A (zh) 一种具有防漏功能的瓶子
CN207482583U (zh) 一种具有多用功能的酒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