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8495A -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8495A
KR20130058495A KR1020110124525A KR20110124525A KR20130058495A KR 20130058495 A KR20130058495 A KR 20130058495A KR 1020110124525 A KR1020110124525 A KR 1020110124525A KR 20110124525 A KR20110124525 A KR 20110124525A KR 20130058495 A KR20130058495 A KR 20130058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packing
inner memb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605B1 (ko
Inventor
이의환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홈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홈쿠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홈쿠첸
Priority to KR1020110124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6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청소기와 같은 물탱크를 구비한 가전기기에 있어서 물탱크의 탈부착시 잔수(캡에 고인 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본체의 입구에 캡부재를 구비하여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가전기기의 연결부에 상기 물통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로서, 상기 연결부의 입구에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는 내측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측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재에는 유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내측부재의 상면에 수직하게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 패킹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부재의 입구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내주연으로는 패킹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의 돌출단이 상기 내측부재의 입구에 삽입되면 상기 패킹부재를 통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Connector of water tank for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 청소기와 같이 물탱크를 구비한 가전기기에 있어서 물탱크의 탈부착시 잔수(캡에 고인 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에는 물탱크가 구비된 것들이 있다. 도 1은 물탱크가 장착된 스팀청소기의 개략도로서, 도 1과 같이, 스팀청소기(30)는 탈부착이 가능한 물탱크(10)를 구비하고 물탱크(10)에서 배출된 물을 스팀발생부(34)로 이동시켜 스팀을 발생시킨다. 물탱크(10)에서 물의 배출이 막힘없이 원활하게 배출되어 스팀발생부(34)에 공급되기 때문에 물이 불충분하게 또는 공급되지 않아서 스팀발생부(34)의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팀청소기에 장착된 물탱크는 전자제품에 설치시에 실링(특히 상부 캡 부분)이 제대로 되지 않아 이탈시 물(잔수)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종래의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와 같이 물통본체(40)의 입구측(41)에 캡부재(60)가 나사결합된다. 이때 밀폐를 위해 패킹(61)이 장착된다. 또한 캡부재(60)에는 스프링(S1)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로드(50)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가전기기 본체의 연결부(70)에 형성된 돌출단(74)이 결합시 캡부재(60)의 로드(50)를 밀어 올려 공간부(U1)로 물이 유입되어 출구측(72)으로 유입됨으로써 물의 공급이 가능하다. 이때 각 연결부에는 다수의 패킹(61,62,71)이 장착될 수 있어 기밀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물탱크 연결장치의 연결구조는 로드(50)가 캡부재(60) 상에서 상하로 길게 이동되는 구성으로 물탱크의 이탈시 로드(50)의 이동에 따른 누수가 발생 될 우려가 크다. 즉 물탱크를 본체에서 이탈시키는 경우 로드(5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공간부(U1)상에 잔존하는 물(이하 '잔수'라 한다)이 바닥에 떨어져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스팀 청소기와 같은 물탱크를 구비한 가전기기에 있어서 물탱크의 탈부착시 잔수(캡에 고인 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물이 저장되는 물통본체의 입구에 캡부재를 구비하여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가전기기의 연결부에 상기 물통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로서, 상기 연결부의 입구에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는 내측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측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재에는 유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내측부재의 상면에 수직하게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 패킹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부재의 입구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내주연으로는 패킹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의 돌출단이 상기 내측부재의 입구에 삽입되면 상기 패킹부재를 통해 밀폐가 이루어지는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패킹로드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로드의 저면은 상기 연결부의 돌출단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평탄면을 갖는 것으로 상기 물통본체의 이탈시 상기 평탄면이 상기 돌출단의 상부면을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로드의 가장자리로는 하방으로 돌출된 연장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패킹로드의 상기 돌출단이 안착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물통 연결구조에서 로드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불필요한 공간을 배제할 수 있도록, 캠부재 내에 평탄면을 갖는 패킹로드와 이탈시 상기 패킹로드의 평탄면과 맞닿은 상태로 밀폐를 이루기 위한 밀폐부재가 제공됨으로써 캡부재 내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밀폐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어 물통 분리시 캡부재의 내외에 잔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탱크가 장착된 스팀청소기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물통본체가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물통본체가 연결부에서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구성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물통본체가 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물통본체가 연결부에서 이탈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 연결장치는 물통본체(40)의 입구(42)에 캡부재(60)가 장착된다. 이때 캡부재(60)와 물통본체(40)의 입구(42) 측 사이에는 패킹(P1)이 개재될 수 있어 기밀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물이 저장되는 물통본체(40)의 입구(42)에 캡부재(60)를 구비하여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가전기기의 연결부(70)에 상기 물통본체(40)를 연결하기 위한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전기기 본체에 장착된 연결부(70)의 입구에는 돌출단(73)이 형성되는데, 이 돌출단(73)은 도 3a과 같이 하부로 출구측(72)이 연장되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단(73)의 상단에는 유입공(73)이 형성되어 삽입시 패킹로드(L)를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물이 돌출단(73) 내부로 유입되어 출구측(72)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물통본체(40)의 입구(42)에는 캡부재(60)가 장착되는데, 이 캡부재(60)는 내측부재(66)와 외측부재(67)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캡부재(60)의 외측부재(67)는 물통본체(40)의 입구(42)와 나사결합되는 면이다. 반면 내측부재(66)는 결합시 몰통본체(40)의 입구(42)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와 구획된 공간부(U1)를 형성한다.
또한, 캡부재(60)의 내측부재(66)의 공간부(U1)에는 스프링(S1)을 통해 탄성지지된 패킹로드(L)가 구비된다. 이 패킹로드(L)는 하부면에 평탄면(55)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로는 연장단(56)이 형성되며,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측부재(66)의 상부면에는 유출공(91)이 형성되어 물통본체(40)에 저수된 물이 공급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내측부재(66)의 하부측(결합시 돌출단(73)의 출입구측)에는 단턱(63)이 형성되고, 이 단턱(63) 주위로는 밀폐부재(90)가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이 밀폐부재(90)는 원형 링(ring)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입구측에는 돌출단(73)의 삽입시 인입이 용이하도록 오목한 형태(오목부; 92)를 가지며, 밀폐부재(90)의 외주연으로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내측부재(66)에 형성된 단턱(63)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90)는 물통의 이탈시 상부에 패킹로드(L)를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부(95)가 형성된다. 즉, 도 3b와 같이 물통본체(40)를 이탈시키는 경우 연결부(70)의 돌출단(73)이 밀폐부재(90)에서 빠져나가고, 이때 탄성지지된 패킹로드(L)가 하강되어 밀폐부재(90)의 오목부(95)에 안착되는 것으로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캡부재(60)의 내측부재(66)에서 패킹로드(L)의 이동에 소요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연결부(70)의 돌출단(73)에서 캡부재(60)가 이탈되면 그 즉시 패킹로드(L)가 밀폐부재(90)와 밀착됨으로써 캡 주변에 잔수나 유출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내측부재(66)의 유출공(91)은 연장부(77)가 형성된 구조로 제공할 수 있어 물통본체(40)의 내부에서의 유출수가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즉,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40: 물통본체 42: 입구
60: 캡부재 63: 단턱
66: 내측부재 67: 외측부재
70: 연결부 77: 연장부
90: 밀폐부재 91: 유출공

Claims (4)

  1. 물이 저장되는 물통본체의 입구에 캡부재를 구비하여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가전기기의 연결부에 상기 물통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로서,
    상기 연결부의 입구에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재는 내측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내측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재에는 유출공이 관통형성되며,
    상기 내측부재의 상면에 수직하게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된 패킹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내측부재의 입구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내주연으로는 패킹부재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의 돌출단이 상기 내측부재의 입구에 삽입되면 상기 패킹부재를 통해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로드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로드의 저면은 상기 연결부의 돌출단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평탄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로드의 가장자리로는 하방으로 돌출된 연장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패킹로드의 상기 연장단이 안착되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KR1020110124525A 2011-11-25 2011-11-25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KR101329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25A KR101329605B1 (ko) 2011-11-25 2011-11-25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525A KR101329605B1 (ko) 2011-11-25 2011-11-25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95A true KR20130058495A (ko) 2013-06-04
KR101329605B1 KR101329605B1 (ko) 2013-11-15

Family

ID=4885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525A KR101329605B1 (ko) 2011-11-25 2011-11-25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6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9215A (zh) * 2019-07-31 2022-04-01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清洁器
US11412908B2 (en) 2019-07-3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RU2793117C1 (ru) * 2019-07-31 2023-03-29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Робот-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US11700990B2 (en) 2019-07-31 2023-07-18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965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물통 연결장치
KR100947512B1 (ko) * 2008-01-11 2010-03-12 주식회사 세일사 가습기
KR200450531Y1 (ko) * 2008-07-31 2010-10-08 주식회사 노비타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KR20110018675A (ko) * 2009-08-18 2011-02-24 김일석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9215A (zh) * 2019-07-31 2022-04-01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清洁器
US11412908B2 (en) 2019-07-3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RU2793117C1 (ru) * 2019-07-31 2023-03-29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Робот-пылесос (варианты)
US11700990B2 (en) 2019-07-31 2023-07-18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712146B2 (en) * 2019-07-31 2023-08-01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11998149B2 (en) * 2019-07-31 2024-06-04 Lg Electronics Inc.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605B1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45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2209126B1 (ko) 분사통
RU2007129250A (ru) Герметичный стакан для подачи краски, включающий вкладыш и нижний воздушный впускной клапан
KR101329605B1 (ko)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KR101460080B1 (ko) 충진 노즐
JP2020522299A (ja) 洗濯添加剤ケース及び洗濯機
CN104172910A (zh) 包括密封控制模块的烧水壶
CN105829213A (zh) 真空瓶密封装置
TW200715403A (en) Plasma processing apparatus
JP5578545B2 (ja) ポンプ用交換容器
KR101881003B1 (ko) 충진 노즐
WO2023082826A1 (zh) 供给装置、清洁设备及电解机构
CN103213767B (zh) 可拆卸可充式喷液瓶
KR20080022965A (ko) 물통 연결장치
JP2008282982A (ja) 基板収納容器の防水プラグ、基板収納容器、及び基板収納容器の洗浄方法
KR20130008728A (ko)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
CN204038135U (zh) 一种带有内塞的旋式容器盖
KR102071316B1 (ko) 공기 이동구조를 구비한 충진노즐
CN209808268U (zh) 一种全自动奶瓶清洗机
JP6341589B2 (ja) 液体注出容器
CN103174842A (zh) 灌装阀的防滴漏结构
CN210392072U (zh) 一种防止漏液的容器以及设置有该容器的设备
KR101250484B1 (ko) 냉온수기
CN207242436U (zh) 一种抽水瓶盖
KR100923776B1 (ko) 펌핑식 튜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