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728A -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728A
KR20130008728A KR1020110069244A KR20110069244A KR20130008728A KR 20130008728 A KR20130008728 A KR 20130008728A KR 1020110069244 A KR1020110069244 A KR 1020110069244A KR 20110069244 A KR20110069244 A KR 20110069244A KR 20130008728 A KR20130008728 A KR 20130008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tainer
bottle
dust
nozz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강진
Original Assignee
(주)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팩 filed Critical (주)엔팩
Priority to KR1020110069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8728A/ko
Publication of KR2013000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08B9/34Arrangements of conduits o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밀폐형 용기 밀폐 세척 장치에 있어서, 용기 내부에서 분사하고, 분사시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는 공기분사구; 이를 포함하는 공기분사 노즐본체; 이를 상하이동 시키는 수직이동본체; 상기 분사 노즐본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 및 오염물 분진을 흡입하여 분진 흡입 배출부로 배출시킬 분진흡입부; 공기분사시 용기를 고정하고, 공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시킬 수 있는 용기밀폐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용기 밀폐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기분사 노즐은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어 병속에서 공기의 흐름을 활발하고, 다각적으로 할 수 있어 병에 붙은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고, 외부 충격으로 세척할 병의 일부분이 변형된 모양을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A wash machine using air}
공기를 분사하여 병을 세척할 수 있는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트(PET)병과 같이 음료수를 담고 있는 용기는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탄력이 있어 압입에 찌그러졌다가 펴지기도 하며, 유동성 물질을 보관하는 동시에 쉽게 음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오염에서 차단될 수 있도록 상부가 좁고, 개봉시 용기가 쓰러지지 않도록 하부가 넓은 구조이다.
이와 같이 세척할 용기의 모양이 상부의 입구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상하부가 동일하지 않고, 오염물 또한 고체와 액체가 공존하고, 하부인 바닥부로 갈수록 두껍게 쌓이는 경향이 있어 오염물 제거시 상기 조건을 모두 고려하여야 깨끗한 세척이 가능하다.
종래에 세척장치는 주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시키는 장치가 다수를 이루었으나, 잔수의 존재로 인해 세척 후 용기를 재사용시 수용될 유동성 물질의 맛이 변질 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하여 잔수를 제거하기 위해 건조장치를 설치해야 함으로 부대비용이 소비하게 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세척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의 일본공개특허 2004-353261호에 따른 유체 분사 노즐 및 그것을 이용한 세척 장치는 내부에서 노즐이 좌우로 움직이며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도 하고 노즐에 호스부를 설치하여 구부리는 것을 용이하게 고안하였으나, 이로 인해 노즐의 노화가 가속되어 잔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또한, 종래의 한국옥개특허 2010-0124395호에 따른 용기세척장치는 공기를 분사하여 병을 세척하도록 고안하였으나, 공기분사 후 흡입 과정 또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오염물의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공기분사구를 막을 위험성이 높았다.
본 발명은 더욱 위생적으로 세척이 가능한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더욱 원활한 세척이 가능한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 내부에서 공기를 분사하고, 분사시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는 공기분사구; 이를 포함하는 공기분사 노즐본체; 이를 상하이동 시키는 수직이동본체; 상기 분사 노즐본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 및 오염물 분진을 흡입하여 분진 흡입 배출부로 배출시킬 분진흡입부; 공기분사시 용기를 고정하고, 공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시킬 수 있는 용기밀폐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분사구는 공기 공급부와 연결된 노즐본체에 포함되어 있고,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어 별도의 노즐 움직임 없이도 병 속에서 공기의 흐름이 활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사구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흐름은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경사진 대각선 또는 회오리식 나선형으로 분사 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본체는 노즐본체를 구비하고, 일측에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는 캠이 구비되어 있어 노즐본체의 수직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용기 밀폐부는 노즐본체와 인접하여 용기 병구를 통해 내부로 노즐이 투입되면 용기의 병구에 맞물리는 구조가 됨으로써 공기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와 병내 오염물 분진이 유출되지 않게 하고 외부공기의 투입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스프링의 움직임에따라 개폐되는 분진 흡입 밸브 개폐부에서 용기내로 분사된 오염물 분진을 흡입하여 분진흡입 배출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 장치는 공기 분사부분을 4방향으로 하여 병속에서 공기의 흐름을 활발하며 다각적으로 공기가 분사되어 병에 붙은 이물질을 쉽게 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페트병 세척시 병구를 밀폐시키고, 공기를 분사하여 병속의 이물질만 흡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물과 접촉이 없으며, 기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방식보다 원액을 보족하며, 깨끗한 세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사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용기 세척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사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용기 세척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 노즐본체에 대한 일실시예의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공기분사 노즐에서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면서 분진을 흡입하는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공기분사 노즐에서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면서 분진을 흡입하는 확대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화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 장치에 대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분사 노즐을 구비하고 있는 용기 세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 이다.
도 1과 도 2에서 같이 오염된 용기(100)가 스프링(12)의 힘을 이용하는 안내레일(10)이 구비되어 있어 노즐본체(1)의 수직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수직이동본체(11)에 하나 이상의 집게로 고정하여 이동할 수 있는 집게부(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집게부(6)는 용기(100)의 병구를 쥘 수 있는 형태로, 용기(100)의 병구에 설치되어 노즐본체(1)로 이송할 수도 있고, 용기(100)의 밀폐시 고정시키는 역할을 맡아 밀폐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상기 노즐본체(1)에는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기공급부(7)외 분진흡입 배출부(5)가 포함되어 있어, 노즐본체(1)에서 분사할 공기의 원활한 공급과 용기(100)의 오염물 분진과 공기의 배출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와 분진흡입 배출부는 용기(100)에 분사되었다가 분진과 함께 흡입될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로 공기와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공기의 분사력와 흡입력을 견뎌낼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이때, 용기(100)가 뒤집힌 상태에서 세척이 될 경우, 공기의 분사와 흡입이 보다 용이하고, 용기(100)내 오염물질 분진이 용기(100) 내 벽면에서 탈락될 시 자연스럽게 하단으로 떨어져 흡입이 보다 용이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 노즐본체에 대한 일실시예의 확대단면도 이며, 우선 용기(100)가 노즐본체(1)로 이송되어져 공기분사구(3)과 공기분사 노즐(2)이 용기(100) 입구를 통해 용기(100)내로 삽입되어 밀폐용 패킹(4)이 용기(100)의 병구와 맞물려 고정되면, 공기흡입 고정 플레이트(41)와 O-ring(42)이 구비되어 용기(100) 내 공기 유출과 외구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준다.
상기 노즐(2)은 용기(100) 전체 길이의 1/2 이상 삽입될 정도로 길고, 깊게 삽입되어 오염물이 가장 잘 쌓이고, 두껍게 쌓이는 용기(100)내 바닥까지 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노즐(2)의 상단에 연결된 공기분사구(3)는 각기 다른 방향으로 향하는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사된 공기는 노즐본체(1)에는 분진흡입 개폐부(51)와 상기 개폐부 전용 스프링(52), 이들을 고정하는 SNAP 링(53), 고정브라캣(54), 고정볼트(55)도 포함되어 있어, 공기분사구(3)에서 분사된 공기와 이로 인해 탈착된 오염물분진이 분진 흡입 배출구(5)에 흡입 될 때, 용기(100) 내 공기 유출과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용기(100) 내에 오염물 분진이 잔류되지 않도록 흡입력을 유지시켜 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에서 밀폐된 용기(100)에 공기공급부(7)에서 공급된 공기가 공기분사 노즐(2)를 따라 유입되어 공기분사 노즐(2)의 말미에 구성된 공기분사구(3)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4방향으로 분사된 후, 오염물 분진과 분사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을 도시화 한 것이다.
상기 공기분사구(3)는, 각기 다른 4방향 즉, 경사진 대각선에 해당하는 4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4개로 구비된다. 상기 4개의 공기분사구(3)는 방사상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4개의 공기분사구(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방사상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분사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는 용기(100)를 노즐본체(1)로 이송시켜 노즐(2)에 결합시켜 고정한 뒤, 오염물과 공기를 흡입하여 제거하고, 용기(100)의 고정을 해제한 세척이 완료 용기(100)를 배출할 수 있는 이송부(미도시)와 배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와 배출부는 세척할 또는 세척된 용기(100)에 흠을 내지 않는 구조라면 어떤 장치라도 무관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송부에는 이송고정부(미도시)로 세척할 용기(100)가 고정되어 이송레일(미도시)을 통해 이송되는 오염된 용기(100)를 공기분사 노즐(2)을 구비한 노즐본체(1)로 이송시킬 수도 있고, 집게부(6)를 이용하여 이송레일을 통해 이송되어진 용기(100)를 이송레일에서 분리하여 노즐본체(1)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세척을 완료한 용기(100)를 노즐본체(1)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분리시킨 뒤, 다음 공정이 있는 곳으로 이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는 공기분사 노즐(2)의 공기분사구(3)에서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어 용기(100) 벽면 또는 바닥부에 있는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병속의 이물질만 흡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물과 접촉이 없으며, 기존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방식보다 원액을 보존하며, 깨끗한 세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 장치는 공기분사 노즐(2)에 밀폐부가 구비되어 있어 용기(100)내 공기를 포화시킬 수 있어 외부 압력으로 변형된 용기(100)의 외부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사 노즐에서 각기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모습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공기분사 노즐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방향이 다르다는 점에서, 상술한 일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술한 일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공기분사 노즐에서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면서 분진을 흡입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분사 노즐(2)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회오리 나선형에 해당하는 각기 다른 4방향으로 분사된다.
즉, 상기 공기분사 노즐(2)의 공기분사구(9)는, 상기 공기분사 노즐(2)의 단부에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분사구(9)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용기(100)의 내면을 따라 회오리치는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분사구(9)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용기(100)의 내면에 더욱 인접하게 긴 궤적을 그리며 유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용기(100)의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덧붙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1 : 노즐본체 2 : 공기분사 노즐
3 : 공기분사구 4 : 밀폐용패킹
5 : 분진흡입 배출부 6 : 집게부
7 : 공기공급부 10 : 수직이동본체
11 : 캠 12 : 스프링
41 : 고정 플레이트 42 : 공기 차단 O-링
51 : 분진 흡입 밸브개폐부 52 : 개폐부 스프링
53 : SNAP RING 54 : 고정 블라캣
55 : 고정 볼트 100 오염물질을 포함한 병

Claims (5)

  1. 용기 내부에서 분사하고, 분사시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는 공기분사구를 포함하는 공기분사 노즐본체;
    상기 노즐본체를 상하이동 시키는 수직이동본체;
    상기 분사 노즐본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공기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 및 오염물 분진을 흡입하여 분진 흡입 배출부로 배출시킬 분진흡입부; 및
    공기분사시 용기를 고정하고, 공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시킬 수 있는 용기밀폐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용기 밀폐 세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구는 별도의 노즐 움직임 없이도 병 속에서 공기의 흐름이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고,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어 있고 노즐본체 상단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용기 밀폐 세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공기분사구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각기 다른 4방향으로 경사진 대각선 또는 회오리식 나선형으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용기 밀폐 세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공기분사구에서 분사된 공기와 병내 오염물 분진이 유출되지 않게 하고 외부공기의 투입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용기 밀폐부는 노즐본체와 인접하여 용기 병구를 통해 내부로 노즐이 투입되면 용기의 병구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용기 밀폐 세척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개폐부 스프링의 움직임에 따라 개폐되는 분진 흡입 밸브 개폐부에서 용기내로 분사된 오염물 분진을 흡입하고, 연결되어 있는 분진흡입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를 이용한 용기 밀폐 세척 장치.
KR1020110069244A 2011-07-13 2011-07-13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 KR20130008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244A KR20130008728A (ko) 2011-07-13 2011-07-13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244A KR20130008728A (ko) 2011-07-13 2011-07-13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728A true KR20130008728A (ko) 2013-01-23

Family

ID=4783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244A KR20130008728A (ko) 2011-07-13 2011-07-13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872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6845A (zh) * 2015-04-15 2015-08-12 江苏金荣机械有限公司 冲瓶机进水装置
KR20170039393A (ko) 2015-10-01 2017-04-11 아성기계공업(주) 용기 클리닝 장치
CN108263685A (zh) * 2018-01-20 2018-07-10 佛山市广迅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方法及装置
KR20210053560A (ko) 2019-11-04 2021-05-12 윤정원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
KR102456465B1 (ko) 2021-11-24 2022-10-19 주식회사 에이엔티시스템 페트병 세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6845A (zh) * 2015-04-15 2015-08-12 江苏金荣机械有限公司 冲瓶机进水装置
KR20170039393A (ko) 2015-10-01 2017-04-11 아성기계공업(주) 용기 클리닝 장치
CN108263685A (zh) * 2018-01-20 2018-07-10 佛山市广迅科技有限公司 一种吸尘方法及装置
KR20210053560A (ko) 2019-11-04 2021-05-12 윤정원 역립식 용기 클리닝 장치
KR102456465B1 (ko) 2021-11-24 2022-10-19 주식회사 에이엔티시스템 페트병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8728A (ko) 공기를 이용한 밀폐 세척장치
JP6041620B2 (ja) 容器処理装置
JP6061709B2 (ja) 容器洗浄装置
KR100913953B1 (ko) 전자부품 실장용 흡착노즐 클리닝 장치
CN103949427A (zh) 一种用于光阻喷嘴的清洗槽体结构及其应用
JP5881298B2 (ja) 異物除去装置
CN205380095U (zh) 一种减振器阀片清洗装置
CN104174227B (zh) 滤筒清洗机
KR101499681B1 (ko) 기판 세정 장치의 챔버 배열 구조
KR200477979Y1 (ko) 유류저장탱크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791684B1 (ko) 고무마개의 세정수송방법 및 고무마개의 세정수송장치
KR101182363B1 (ko) 상수관용 점검구의 피그 배출 가이드장치
KR101102453B1 (ko) 필터백 청소용 노즐
KR20130058495A (ko)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KR102071316B1 (ko) 공기 이동구조를 구비한 충진노즐
CN207154345U (zh) 大容量注射剂生产用清洗装置
JP2016131970A (ja) ノズル部品、及び、容器洗浄装置
KR19990033395U (ko) 생수용기 자동세척 및 생수주입장치
KR20210002933U (ko) 용기 세척구조체
KR20200041990A (ko) 기판 처리 방법 및 기판 처리 장치
KR102334829B1 (ko) 드럼세정용 세정건
KR101473913B1 (ko) 염료 자동 조액장치에 설치되는 염료 이송장치의 세척방법 및 그 장치
CN203395263U (zh) 一种水、气自动切换清洗装置
JP4771493B2 (ja) ビールサーバヘッドの洗浄システム及びビールサーバヘッドの洗浄方法
KR20170056956A (ko) 세정액 제거부 및 이를 구비하는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