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776B1 - 펌핑식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펌핑식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776B1
KR100923776B1 KR1020090019932A KR20090019932A KR100923776B1 KR 100923776 B1 KR100923776 B1 KR 100923776B1 KR 1020090019932 A KR1020090019932 A KR 1020090019932A KR 20090019932 A KR20090019932 A KR 20090019932A KR 100923776 B1 KR100923776 B1 KR 10092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tube
tube body
pumping memb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090019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776B1/ko
Priority to PCT/KR2010/000977 priority patent/WO201010427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5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6Membrane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핑식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튜브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튜브네크와,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는 펌핑식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부를 둘러싸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펌핑부재를 감싸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내측벽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에 의하면, 펌핑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돌기를 형성하여 펌핑부재의 조립시에 펌핑부재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이드부, 돌기

Description

펌핑식 튜브용기{Tube vessel of pumping type}
본 발명은 펌핑식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펌핑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돌기를 형성하여 펌핑부재의 조립시에 펌핑부재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펌핑식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핑식 튜브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의 상단부에 펌핑부재가 위치하여 펌핑부재의 가압시에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펌핑식 튜브용기는 튜브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튜브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튜브네크와, 상기 튜브네크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하는 펌핑부재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를 참조하여 종래의 펌핑식 튜브용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의 펌핑식 튜브용기는 펌핑부재(300)의 하부 가 배출부(240)와 이격되어 설치되어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조립시에 제품의 파손 및 탈리현상이 발생되어 조립이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핑부재(300)의 하부가 배출부(240)와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튜브몸체 및 튜브네크의 상부에 많은 양의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핑부재(300)의 하부가 배출부(240)의 하단보다 길게 돌출되어 튜브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내용물의 사용에 따른 튜브몸체(100)의 흡착변형시, 튜브몸체(100)의 상부에서 펌핑부재(300)로 인한 흡착 간섭이 발생하여 튜브몸체(100)의 상단까지 완전하게 흡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튜브몸체(100)의 상부에 많은 양의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핑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돌기를 형성하여 펌핑부재의 조립시에 펌핑부재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펌핑식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펌핑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돌기를 형성하여 조립시 제품의 파손 및 탈리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시간 단축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펌핑식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펌핑부재의 하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튜브네크의 상부에 내용물이 잔류하는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펌핑식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의 하단이 가이드부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튜브몸체의 상단까지 완전하게 흡착이 이루어지므로, 튜브몸체의 상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펌핑식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튜브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튜브네크와,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는 펌핑식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부를 둘러싸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펌핑부재를 감싸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내측벽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하단은 가이드부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부재는 하단부가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펌핑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돌기를 형성하여 펌핑부재의 조립시에 펌핑부재의 하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펌핑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및 돌기를 형성하여 조립시 제품의 파손 및 탈리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조시간 단축 및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펌핑부재의 하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형성하여 튜브네크의 상부에 내용물이 잔류하는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결합부의 하단이 가이드부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튜브몸체의 상단까지 완전하게 흡착이 이루어지므로, 튜브몸체의 상부에 잔류하는 내용물의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펌핑부재 및 배출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튜브네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튜브네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내용물 배출이 완료된 튜브몸체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는 튜브몸체(100), 튜브네크(200), 펌핑부재(300)가 포함된다.
상기 튜브몸체(100)는 튜브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화장품 또는 약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부는 후술할 튜브네크(200)에 결합되며, 하부는 하단이 좁아지도록 실링처리되어 내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튜브네크(200)는 상기 튜브몸체(10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튜브몸체(100) 및 후술할 지지캡(40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튜브몸체(100)가 결합되는 원형상의 튜브몸체결합부(210)와, 상기 튜브몸체결합부(210)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단층을 형성하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지지캡(400)의 내측 하단부가 안착되는 지지캡안착부(220)와, 상기 지지캡안착부(220)로부터 내측방향으로 단층을 형성하며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지지캡(400)이 결합되는 지지캡결합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몸체결합부(210)와 지지캡안착부(220)가 형성하는 단층에는 상기 튜브몸체(100)가 결합되어 튜브몸체(100)의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캡결합부(230)의 중앙부에는 지지캡(400)의 결합시에 지지캡(40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턱(23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튜브네크(200)에는 상기 튜브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중앙에 배출부(240)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40)에는 후술할 펌핑부재(30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41) 및 돌기(242)가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가이드부(241)는 상기 배출부(240)의 하단에서 상기 배출부(240)를 둘러싸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펌핑부재(300)를 감싸며 형성되어, 배출부(240)에 펌핑부재(300)가 결합시 발생하는 공간을 차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가이드부(241)는 배출부(240)에 펌핑부재(300)가 결합시 발생하는 튜브네크(200) 상부의 공간을 차단함으로써, 펌핑부재(300)의 펌핑작용을 통해 내용물이 상부로 이동시에 튜브네크(200)의 상부에 많은 양의 내용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41)는 상기 배출부(240)에 펌핑부재(300)가 결합시에 펌핑부재(300)를 둘러싸며 지지함으로써, 펌핑부재(300)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돌기(242)는 상기 가이드부(241)의 상부에서 상기 배출부(240)의 내측벽면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펌핑부재(300)의 결합시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단부가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242)는 펌핑부재(300)를 배출부(24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조립시에 좌,우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하도록 안내함으로써, 조립시 펌핑부재(300)의 유동으로 인한 파손 및 탈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핑부재(300)는 상기 튜브네크(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가압에 따른 펌핑작용을 통하여 상기 튜브몸체(1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부(240)에 결합되는 결합부(310)와 상기 결합부(310)의 하단 중앙부에 위치하여 튜브몸체(100)의 내용물을 흡입하는 내용물 흡입부(320)로 구성되는대, 펌핑작용시 튜브몸체(10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진공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핑부재(300)는 상기 튜브네크(200)의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결합시에 상기 가이드부(241) 및 돌기(242)의 안내에 따라 상기 튜브네크(20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부(310)의 하단부가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핑부재(300)는 상부는 지지캡(400)의 고정돌기(420)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가이드부(241) 및 돌기(242)에 지지됨으로써, 이중고정구조를 통한 견고 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재(300)는 결합부(310)의 하단이 가이드부(241)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튜브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대부분 배출되었을 경우, 튜브몸체(100)의 흡착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결합부(310)의 하단이 가이드부(241)의 하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튜브몸체(100)의 흡착시 상기 펌핑부재(300)의 돌출로 인한 흡착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튜브몸체(100)의 상단까지 흡착이 이루어지며, 튜브몸체(100)의 상부에 잔류하는 잔류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펌핑부재(300)의 기타 구성요소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락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캡(400)은 상기 튜브네크(200)에 결합되어 펌핑부재(3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캡(400)에는 상기 걸림턱(231)과 맞닿는 부분에 상기 걸림턱(231)에 고정되는 고정돌기(410)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캡(40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캡(400)에는 상기 펌핑부재(300)와 맞닿는 부분에도 고정돌기(420)를 형성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캡(400)에는 상기 펌핑부재(600)의 보호를 위하여 오버 캡(500)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펌핑식 튜브용기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 2는 종래기술의 펌핑식 튜브용기의 펌핑부재 및 배출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의 펌핑식 튜브용기의 내용물 배출이 완료된 튜브몸체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펌핑부재 및 배출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튜브네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튜브네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핑식 튜브용기의 내용물 배출이 완료된 튜브몸체의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튜브몸체 200: 튜브네크
210: 튜브몸체결합부 220: 지지캡안착부
230: 지지캡결합부 231: 걸림턱
240: 배출부 241: 가이드부
242: 돌기 300: 펌핑부재
310: 결합부 320: 내용물 흡입부
400: 지지캡 410,420: 고정돌기
500: 오버캡

Claims (3)

  1.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는 튜브몸체와, 상기 튜브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튜브몸체를 지지하며 상기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튜브네크와,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펌핑작용을 하는 펌핑부재를 포함하는 펌핑식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부를 둘러싸며 내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펌핑부재를 감싸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내측벽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배출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의 하단이 배출부의 가이드부 하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되,
    상기 돌기는 상단이 내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기의 상단과 대응되도록 하단부가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식 튜브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090019932A 2009-03-09 2009-03-09 펌핑식 튜브용기 KR100923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932A KR100923776B1 (ko) 2009-03-09 2009-03-09 펌핑식 튜브용기
PCT/KR2010/000977 WO2010104270A2 (ko) 2009-03-09 2010-02-17 펌핑식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932A KR100923776B1 (ko) 2009-03-09 2009-03-09 펌핑식 튜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776B1 true KR100923776B1 (ko) 2009-10-27

Family

ID=4156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932A KR100923776B1 (ko) 2009-03-09 2009-03-09 펌핑식 튜브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23776B1 (ko)
WO (1) WO2010104270A2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180U (ja) * 1992-05-27 1993-12-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クリーム状物吐出容器
KR19990077595A (ko) * 1998-03-27 1999-10-25 조지안느 플로 액체생성물의포장및분배용집합체
KR20000008175U (ko) * 1998-10-16 2000-05-15 강성일 겔 상태의 내용물 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4260A (ja) * 1999-06-08 2000-12-12 Valois Sa 流体分与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180U (ja) * 1992-05-27 1993-12-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クリーム状物吐出容器
KR19990077595A (ko) * 1998-03-27 1999-10-25 조지안느 플로 액체생성물의포장및분배용집합체
KR20000008175U (ko) * 1998-10-16 2000-05-15 강성일 겔 상태의 내용물 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4270A2 (ko) 2010-09-16
WO2010104270A3 (ko)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4771B2 (ja) 二重容器
US9516988B2 (en) Water spraying apparatus of dishwasher and dishwasher comprising the same
KR200396402Y1 (ko) 펌프식 용기의 잔량 방지용 딥튜브 구조
KR10143098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64321Y1 (ko) 캡 일체형 용기
KR100923776B1 (ko) 펌핑식 튜브용기
JP5780541B2 (ja) 液体噴出器
CN110786739B (zh) 下置式饮水机及配设有收缩包装水桶的下置式饮水机及其使用方法
KR101329605B1 (ko)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KR20190121352A (ko) 컴팩트형 저부 충전 스프레이병
KR101366377B1 (ko) 진공 통로 확보 구조를 가지는 호스 성형용 맨드렐 캡
KR20110032887A (ko) 밸브부재가 구비된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55576Y1 (ko) 튜브그립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JP5363956B2 (ja) ディスペンサ付き合成樹脂製薄肉容器
JP6488092B2 (ja) 吐出容器
JP5450320B2 (ja) 付け替え容器
ES2956268T3 (es) Dispensador de una máquina para cocer una porción de pasta
JP5447976B2 (ja) レフィル容器
JP5940267B2 (ja) 中栓付き容器
JP6267998B2 (ja) 泡吐出器
KR200262426Y1 (ko) 공기차단관과 다중 피스톤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JP6051106B2 (ja)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KR200448231Y1 (ko) 절약형 유체 디스펜서
KR100724161B1 (ko) 물통 장착 공급기의 제작 방법
KR20120001354U (ko) 치약튜브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