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675A -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675A
KR20110018675A KR1020090076261A KR20090076261A KR20110018675A KR 20110018675 A KR20110018675 A KR 20110018675A KR 1020090076261 A KR1020090076261 A KR 1020090076261A KR 20090076261 A KR20090076261 A KR 20090076261A KR 20110018675 A KR20110018675 A KR 20110018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ving bar
water purifier
installation hole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석
Original Assignee
김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석 filed Critical 김일석
Priority to KR102009007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675A/ko
Publication of KR20110018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 B65D47/28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linear movement between tubula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물통을 설치할 때 물튀김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사용한 물통을 재활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외관을 형성하며, 물통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외부를 향하는 외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움직이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이동바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설치홀의 내면 끝단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에 물통을 설치할 때 물이 튀기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물통의 뚜껑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비를 절감하고 업체에서 제공하는 물통이 아닌 자기 자신의 물통을 사용할 수 있다.
정수기, 물통, 뚜껑

Description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Water vessel cover for water purifier and the water vess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정수기에 물통을 설치할 때 물튀김이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사용한 물통을 재활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는 일반 수도물을 공급받아 각종 필터를 통해 정수하여 음용하는 방식이 있고 별도의 물통을 구비하여 각종 필터를 통해 정수한 다음 물탱크에 저장하여 음용하는 방식이 있다.
이 중 사용자가 원하는 물을 마시기 위해서는 별도의 물통을 구비하여 상기 정수기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도 1을 이용하여 이러한 정수기의 구조 및 물통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수기본체(30) 내부에는 물속의 침전물이나 색소, 냄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각종 필터(50)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물을 상기 필터(50)로 보내기 위한 펌프(60)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정수기본체(30) 내부에는 상기 필터(50)를 통과한 물이 저장되는 온수탱크(40) 및 냉수탱크(44)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탱크(40)에는 물을 데울 수 있는 히터(미도시)가 연결되며, 상기 냉수탱크(46)에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기(미도시)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온수탱크(40) 및 냉수탱크(44)에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콕(42,26)이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본체(30)에 물통(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통(10)을 거꾸로 하여 정수기본체(30)의 상부에 설치된 돌기(32)에 내려 놓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물통(10)의 뚜껑(12)은 얇은 합성수지로 되어 있으며 가운데는 잘 뜯어지게 하기 위해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통(10)을 상기 정수기본체(30)의 돌기(32) 위에 거꾸로 설치하면, 중력에 의해 상기 물통(10)의 뚜껑(12)이 상기 돌기(32)에 의해 눌리게 되고, 결국 상기 뚜껑(12)에 형성된 홈이 파열되어 상기 물통(10) 내부의 물이 정수기본체(30)로 이동된다.
하지만, 이러한 물통 설치방법은 뚜껑이 없는 것보다는 물이 덜 튀나 역시 상기 뚜껑이 파열될 때 물이 주위로 튀어 옷이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통 뚜껑의 홈이 잘못 형성되어 물통을 정수기본체에 올려놓아도 제대로 파열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물통의 뚜껑은 정수기본체에 설치될 때 파열되므로 다시 사용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통을 설치할 때 주위로 물이 튀는 것을 제대로 방지하고, 또한 뚜껑을 재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며, 물통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외부를 향하는 외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움직이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이동바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설치홀의 내면 끝단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바의 외주를 감싼 스프링이고, 상기 설치홀의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의 외면 끝단은 정수기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바의 내부는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의 측면 및 외면에 물이 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이동바의 내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용 물통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물통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외부를 향하는 외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움직이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이동바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설치홀의 내면 끝단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뚜껑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물통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기에 물통을 설치할 때 물이 튀기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물통 사용중 물통에 이물질이 있거나 물이 오래되어 물을 갈아줄 필요가 있을 경우, 정수기에서 물통을 분리할 때 종래의 물통과 같이 물이 새어 나오지 않고 본 발명에 의한 뚜껑에 의해 물의 유출이 방지되며, 물통으로부터 뚜껑을 분리하여 편리하게 물통의 물을 갈 수 있다.
그리고, 물통의 뚜껑을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비를 절감하고 업체에서 제공하는 물통이 아닌 자기 자신의 물통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 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용 물통 뚜껑은 본체(100), 설치홀(140), 이동바(200), 스프링(300), 걸림턱(130), 개폐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체적인 뚜껑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목재, 금속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는 원형으로 구비되며, 물통과의 결합을 위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하지만, 물통과의 결합은 반드시 이런 방식을 채택할 필요는 없고 후크결합 등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0)는 물통과 결합했을 때 물통의 내부로 향하게 되는 내면(110)과 물통의 외부로 향하게 되는 외면(120)을 가지며, 상기 내면(110)과 외면(120) 사이는 일정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중앙에는 상기 내면(110)과 외면(120) 사이를 관통하는 설치홀(14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홀(140)은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할 때 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본체(100)의 내면(110) 및 외면(120)을 관통하며 상기 내면(11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2)를 갖는다.
상기 설치홀(140)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정수기와의 설계조건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홀(140) 내부에는 이동바(200)가 삽입된다.
상기 이동바(200)는 외부로부터의 힘을 받아 상하로 이동하면서 뚜껑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바(200)는 정수기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2)에 의해 눌려져 이동하면서 개폐부(400)를 열고, 상기 돌기(32)로부터 떨어지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면서 개폐부(400)를 닫는다.
도 5는 뚜껑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돌기에 의해 뚜껑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상방향이 본체(100)의 내면 방향이며, 하방향이 본체(100)의 외면 방향이다.
상기 이동바(200)는 탄성부재인 스프링(300)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외부의 힘이 없는 경우 개폐부(400)를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설치홀(140) 내부의 일정 부분에는 상기 스프링(300)이 걸리는 걸림턱(1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30)은 상기 설치홀(140)의 단면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30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130)의 중간에는 상기 이동바(200)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바(200)는 상기 걸림턱(130)을 관통하여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상기 스프링(300)은 상기 걸림턱(130)에 걸려 움직임이 제한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동바(200)의 외면(도 5 및 도 6에서 하면)에는 정수기의 돌기(32) 형상과 대응하도록 결합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210)은 원추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이동바(200)의 상부에는 개폐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400)의 지름은 상기 설치홀(140)의 지름보다 더 크게 제작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400)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위쪽으로 경사진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설치홀(140)에 밀착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폐부(400)는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와 같은 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부(400)는 외부에서 이동바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 상기 설치홀(140)의 내부 끝단을 덮어 폐쇄한다. 이 때, 상기 스프링(300)에 의해 상기 이동바(200)가 외부(도 5 및 도 6에서 하방)로 힘을 받으므로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홀(140)의 내부 끝단에 밀착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6은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하기 전에는 물통 바깥에서 작용하는 힘이 없고 스프링(300)의 늘어나려는 탄성력에 의해 이동바(200)가 물통의 바깥쪽(도 5에서 하방)으로 힘을 받는다. 이때,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설치홀(140)에 형성된 돌출부(142)의 끝단에 밀착하여 상기 이동바(200)가 더 이상 움직임이 제한되며, 물통 내부에 있는 물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한 후에는 정수기에 형성된 돌기(32)에 의해 상기 이동바(200)는 물통 내부로 힘을 받게 되고 스프링(300)이 압축되어 이동바(200)가 물통 내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개폐부(400)가 돌출부(142)와 떨어지면서 상기 돌출부(142) 내부로 물이 이동하며, 설치홀(140)을 통해 정수기 내부로 들어간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체(100)의 내면에는 스프링지지대(150)가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지지대(150)는 세 개의 다리(154)와 지지판(156) 및 돌출봉(152)을 포함한다.
상기 다리(154)는 설계조건에 따라 세 개가 아니라 여러 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156)의 형상도 원형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돌출봉(152)은 상기 지지판(156)에서 하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봉(152)의 주위에는 스프링(3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스프링(300)의 일단은 상기 지지판(156)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타단은 이동바(200)에 접촉하여 탄성력을 작용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바(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할 때, 물이 매우 무거우므로 설치하는 사용자에 따라 위에서 똑바로 물통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옆에서 비스듬히 설치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정수기에 설치된 돌기(32)와 물통의 뚜껑과의 충돌로 상기 이동바(200)가 옆으로 꺽일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바(200)의 지름은 상기 설치홀(140)의 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헐거운 끼워맞춤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상기 이동바(200)가 옆으로 꺾일 염려가 없고 스프링 파손의 염려도 저감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바(200)에서 개폐부는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이동바(2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이동바(200)의 끝단에 상기 이동바(200)의 단면 지름보다 더 큰 디스크 형태의 덮개부(240)로 구비된다.
또한, 이동바(200)의 단면 지름을 설치홀(140)의 지름과 거의 동일하게 하면 물통에 있는 물이 정수기로 빠져 나가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이동바(200)의 내부는 속이 빈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200)의 내면쪽 측면에는 입수통공(220)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200)의 외면에는 배수통공(2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물통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상기 입수통공(220)을 통해 상기 이동바(200)의 내부로 들어간 후, 배수통공(230)을 통해 정수기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물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은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하기 전에는 물통 바깥에서 작용하는 힘이 없고 뚜껑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00)에 의해 이동바(200)가 물통의 바깥쪽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이때, 상기 덮개부(240)는 상기 설치홀(140)의 돌출부(142)의 끝단에 밀착하 여 상기 이동바(200)가 더 이상 움직임이 제한되며, 물통 내부에 있는 물은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물통을 정수기에 설치한 후에는 정수기에 형성된 돌기(32)에 의해 상기 이동바(200)는 물통 내부로 힘을 받게 되고 스프링(300)이 압축되어 이동바(200)가 물통 내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240)가 돌출부(142)와 떨어지면서 상기 이동바(200)에 형성된 입수통공(220)이 상기 돌출부(142) 밖으로 드러나게 되며, 상기 물통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입수통공(220)을 통하여 이동바(20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이동바(200) 내부로 들어간 물은 외면에 형성된 배수통공(230)을 통하여 정수기로 들어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물통 및 정수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물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외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정수기 설치 전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정수기 설치 후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내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이동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 정수기 설치 전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7에서 정수기 설치 후 정수기용 물통 뚜껑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 130 : 걸림턱
140 : 설치홀 142 : 돌출부
150 : 스프링지지대 200 : 이동바
210 : 결합홈 300 : 스프링
400 : 개폐부

Claims (6)

  1. 외관을 형성하며, 물통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외부를 향하는 외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움직이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이동바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설치홀의 내면 끝단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바의 외주를 감싼 스프링이고, 상기 설치홀의 내부에 구비된 걸림턱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의 외면 끝단은 정수기의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의 내부는 공동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의 측면 및 외면에 물이 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면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이동바의 내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물통 뚜껑.
  6. 정수기용 물통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물통의 내부를 향하는 내면과 외부를 향하는 외면을 가지는 본체;
    상기 내면과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설치홀;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어 움직이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이동바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이동바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바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설치홀의 내면 끝단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뚜껑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물통.
KR1020090076261A 2009-08-18 2009-08-18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KR20110018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261A KR20110018675A (ko) 2009-08-18 2009-08-18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261A KR20110018675A (ko) 2009-08-18 2009-08-18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675A true KR20110018675A (ko) 2011-02-24

Family

ID=4377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261A KR20110018675A (ko) 2009-08-18 2009-08-18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86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05B1 (ko) * 2011-11-25 2013-11-15 주식회사 리홈쿠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05B1 (ko) * 2011-11-25 2013-11-15 주식회사 리홈쿠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4105597A (ru) Клапан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ей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2009505920A (ja) 液漏れ防止閉蓋具
JP4761358B2 (ja) 計量カップと該計量カップ装着容器
KR101241107B1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20110018675A (ko) 정수기용 물통 뚜껑 및 그것을 이용한 정수기용 물통
KR20100001554U (ko) 생수통 위생마개
JP5890750B2 (ja) 排水栓装置
JP2009196655A (ja) ボトルの栓構造及び該栓構造を具えたボトル
JP4453381B2 (ja) 貯水装置
JP3105726U (ja) 蛇口取付用のキャップ付き石鹸ケース
JP4872055B2 (ja) 排水トラップ
CA2550911A1 (en) Distributor for domestic water filters
KR200356366Y1 (ko) 욕조용 배수 개폐구조
JP2010048030A (ja) 排水トラップ
KR200313341Y1 (ko) 자동유출 변기세정액 장치
JP2007519871A (ja) 流量制御装置
JP2891031B2 (ja) 電気貯湯容器
CN211006902U (zh) 带溢水孔的上拆洗水槽防臭下水器
JP4807396B2 (ja) 洗濯機
KR101507389B1 (ko) 조리용 가스 밸브
KR101304492B1 (ko) 흘림방지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뚜껑을 구비하는 유체보관용기
JP5636745B2 (ja) 衛生洗浄装置
JP4571096B2 (ja) 飲料抽出機用液体容器
JP2513117B2 (ja) 電気貯湯容器
KR101692013B1 (ko) 세면대의 배수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