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531Y1 -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 Google Patents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531Y1
KR200450531Y1 KR2020080010255U KR20080010255U KR200450531Y1 KR 200450531 Y1 KR200450531 Y1 KR 200450531Y1 KR 2020080010255 U KR2020080010255 U KR 2020080010255U KR 20080010255 U KR20080010255 U KR 20080010255U KR 200450531 Y1 KR200450531 Y1 KR 200450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pring
water
water tank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476U (ko
Inventor
이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비타
Priority to KR2020080010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53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5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는, 가습기 본체에 안착 되며 상부에는 물 보충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부로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 되어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서 승·하강 되어 상기 보충구 및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의 상부와 상기 보충구의 하부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개폐수단을 승강 또는 하강 된 상태로 변경시켜 보충구 및 주입구의 개폐를 동시에 이루는 래치수단;을 포함한다.
가습기, 물탱크, 래치, 패킹부재, 스프링, 마개, 로드, 가이드부재, 레버

Description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Humidifier having function top water supply, and method controlling thereof}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름 동작으로 물탱크의 보충구와 주입구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하여 물탱크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습기에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물탱크는 물주입구가 물탱크 하단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사용중 물탱크의 물이 없어지게 되면 물탱크를 들어내고 이를 뒤집어 마개를 열고 물탱크에 물을 주입한 후, 다시 뒤집어 사용하여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습기는, 물탱크에 직접 밸브 체가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바닥에 놓고 주입하게 되면 주입되는 물이 밸브 체를 통하여 바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물주입구를 밸브 체와 동일방향에 설치하여야 하는 설계상에 결함이 있어 사용중에 물 주입이 불가능한 결점이 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기술로는, 특허 등록번호 10-0803036호에 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에 물 주입을 위한 개구(111)를 가지는 물통(110); 상기 개구(111)를 개폐하는 캡(120); 상기 물통(110)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유로(152)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유로(152)에 상하로 구비되되, 상기 배수유로(152) 상에 탄성수단으로 탄력지지 되는 상부 및 하부 니들밸브(130, 140); 및 상기 캡(120)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 상기 상부 니들밸브(130)를 상승시켜 상기 배수유로(152)를 차단하면서 상기 물통(110)에 수용된 물의 유출을 차단하고, 상기 개구(111)를 폐쇄할 경우 상기 상부 니들밸브(130)를 하강시켜 상기 배수유로(152)를 개방하면서 상기 물통(110)에 수용된 물을 유출시키도록 상기 개구(111) 상에 탄력 지지가 되는 로드조립체(160)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조립체(160)는, 상기 개구(111) 상의 지지물(113)이 형성하는 통로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하부는 상기 상부 니들밸브(130)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로드(170)와, 상기 캡(120)이 상기 개구(111)를 개방할 경우에 상기 캡(120)과 이격되고 상기 캡(120)이 상기 개구(111)를 폐쇄할 경우에 상기 캡(120)과 접촉하도록 상기 로드(170)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로드캡(180)과, 상기 로드캡(180)과 상기 지지물(15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캡(120)이 상기 개구(111)를 개방할 경우에 이완되고 상기 캡(120)이 상기 개구를 폐쇄할 경우에 수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물통을 본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물통 내에 물을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주입하는 개구의 캡이 완전하게 닫혀 지지않더라도 물통이 분리된 상태에서 캡 상의 실링 구조에 의해 하부개구로 물의 주입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 니들밸브와 로드가 승강하여 물통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구조로써, 하부 니들밸브는 항상 잠겨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부 니들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물통을 가습기 본체에 안착시켰을 때에만 하부 니들밸브가 개방되어 분무장치의 무하조로 물이 공급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물 보충시 나사결합 방식의 캡을 결합 및 분리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물공급이 번거롭고 캡을 분실할 염려가 있었다. 그리고 상부 니들밸브 및 하부 니들밸브로 나누어진 구조로 인해 제작 단가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불량 발생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캡의 착· 탈에 의해 동작되는 상부 니들밸브와 달리 하부 니들밸브는 항상 폐쇄된 상태이므로, 무하조로 연결된 배수유로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을 보충한 후 물통을 본체에 올려놓아야만 한다. 이에 따라 물통을 본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무하조로 연결된 배수유로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물통을 반드시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탱크 외부에서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물탱크를 분리하지 않아도 물탱크 상부로 물을 손쉽게 보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탱크의 보충구와 분무장치로의 주입구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어 편리한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습기 본체에 안착 되며 상부에는 물 보충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부로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 되어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서 승·하강 되어 상기 보충구 및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의 상부와 상기 보충구의 하부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개폐수단을 승강 또는 하강 된 상태로 변경시켜 보충구 및 주입구의 개폐를 동시에 이루는 래치수단;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물탱크와 분무장치로 통하는 보충구 및 주입구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어 물탱크 상부로 편리하게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를 분리 또는 안착 상태에 관계없이 분무장치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용이하게 개방 및 차단할 수 있어 효과 적이다.
또한, 분리형 캡을 사용하지 않아 캡을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물 보충구의 하측 단부의 날과 패킹부재와 긴밀히 밀착될 수 있어 물통을 뒤집었을 때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물탱크의 보충구가 폐쇄되고 주입구가 개방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물탱크의 보충구가 개방되고 주입구가 폐쇄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여준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 본체(10)에 안착 되며 상부에는 물 보충구(10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10)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0b)가 형성된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에 지지수단(100)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100)에 의해 탄성 지지 되어 물탱크(20) 내부로 연장 형성된 개폐수단(2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200)을 작동시켜 보충구(20a) 및 주입구(20b)의 개폐를 동시에 이루는 래치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0)의 일측에 초음파식 분무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분무장치가 설치된 물탱크(20) 부위에는 무화된 수분이 분사되는 분사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기는 무화된 가습입자를 분무관으로 보내기 위한 별도의 송풍유닛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20)는 상부로부터 물을 보충하기 위한 보충구(20a)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0)의 하부에는 가습기 본체(10) 내부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20b)가 형성된다.
상기 보충구(20a)의 단부는 물탱크(20)의 내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연장된 보충구(20a)의 단부가 후술 될 패킹부재(230)의 승·하강에 의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보충구(20a)의 연장된 단부는 하부로 뾰족한 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상기 패킹부재(230)의 상부 면과의 밀착력을 높여 물탱크(20)를 뒤집더라도 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물탱크(20)의 하부에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 되는 하부캡(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물탱크(20)의 바닥을 이루는 하부캡(21)에 주입구(20b)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100)은 상기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된 받침부재케이 스(110)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부재케이스(110) 내에는 제1스프링(1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120)에 의해 탄력 지지 되는 받침부재(130)가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받침부재케이스(110)는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로부터 상부로는 통과공(110a)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스프링(120)과 받침부재(130)가 공간부 내에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통과공(110a)은 후술 될 로드(210)의 하단이 상기 받침부재케이스(110)의 내부 공간부로 출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로드(210)는 통과공(110a)을 통해 받침부재케이스(110)의 공간부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하고, 전술된 받침부재(130)는 상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프링(120)은 상기 받침부재케이스(110)의 공간부 바닥에 설치되어 받침부재(130)의 하부를 탄력 지지한다. 여기서 제1스프링(120)은 상기 받침부재(130)가 받침부재케이스(110)의 통과공(110a)에 접하는 높이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상기 받침부재(130)는, 제1스프링(120)의 압축 및 이완에 의해 승·하강 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130)는 후술 될 로드(2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재(130)는 양단이 하부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제1스프 링(120)의 상단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스프링(120)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받침부재(13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지지수단(100)의 받침부재(130)에 의해 지지 되고, 물탱크(20)의 주입구(20b)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출몰되는 로드(210)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210)에 설치되어 주입구(20b)를 상부에서 개폐하는 마개(2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드(210)의 상부에는 상기 물탱크(20)의 보충구(20a) 하부를 개폐하는 패킹부재(230)가 구비된다.
상기 로드(210)는 받침부재(130)의 상부에 지지 된 상태로 물탱크(20) 보충구(20a)의 하부까지 연장 형성된 것으로, 수직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로드(210)의 하부는 후술 될 제2스프링(320)의 하부가 걸릴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안착단(210a)이 형성될 수 있다.
마개(220)는 상기 로드(210)의 연장된 부위에 해당하는 주입구(20b)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마개(220)의 재질은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기 주입구의 하부로 하단부가 삽입되면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부재(230)는 상기 로드(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로드(210)와 일체로 승·하강 되어 보충구(20a)를 하부에서 개폐한다. 이와 같은 상기 패킹부재(230)의 형상은 주입구의 지름보다 넓은 원형 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 직하나 다른 형상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230)의 재질은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200)은 상기 로드(210)의 승강시 하부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완충해주기 위한 완충수단(30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수단(300)은 상기 주입구(20b)의 내부 벽면에 차단돌기(310)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차단돌기(310)와 로드(210)의 하부 사이에 고정되어 상기 로드(210)를 하부로 가압하기 위한 제2스프링(320)이 구비된다.
상기 차단돌기(310)는 주입구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제2스프링(320)의 상부가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된 상기 제2스프링(320)은, 주입구(20b)의 내부에 고정된 상기 차단돌기(310)의 하단에 그 상단이 걸리고, 제2스프링(320)의 하단이 로드(210)의 안착단(210a) 상부에 걸린 상태로 고정된다. 즉, 제2스프링(320)의 상단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로드(210)를 하부로 가압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프링(320)은 제1스프링(120)의 탄성력보다 작기 때문에 후술 될 래치수단(400)의 가압에 의해 제2스프링(320)이 이완되면서 제1스프링(120)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술된 로드(210)의 하단이 받침부재케이스(110)의 공간부 내로 진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 래치수단(400)은 상기 로드(210)의 상부에 설치된 제3스프링(410)이 구 비되고, 일단이 상기 로드(210)의 상부 중앙에 결합 되며, 상기 로드(210)의 중앙에서 상부로 이어진 타단에 걸림부(420a)가 형성된 레버(4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스프링(410)에 의해 하부가 탄력 지지 되는 수평 판 형상의 누름판(43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누름판(430)의 하부로 연장된 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누름판(43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3스프링(410)의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부재(4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3스프링(410)은 로드(210)의 상부에 형성된 요홈에 하부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3스프링(410)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부재(440)의 외부 테두리를 지지한 상태로 고정된다.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420)는 제3스프링(4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레버(420)의 하단은 상기 로드(2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레버(420)의 상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그 끝단에 일측으로 절곡된 걸림부(410a)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420a)가 가이드부재(440)의 가이드 홀(441) 내에 안착 된다.
상기 누름판(430)은 제3스프링(410)에 의해 탄력 지지 된 상태로 승·하강 되는 것으로, 그 상측 테두리는 보충구(20a)의 단부 하측에 걸려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누름판(430)의 형상은, 원형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보충구(20a)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440)의 하부 일면에는 상기 레버(420)의 걸림부(420a)를 안내하는 가이드 홀(4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441) 내에는 상기 레버(420)의 걸림부(420a)가 체결 안착 되는 하부 걸림홀(442)과 그 상부에 상부 걸림홀(4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441)은 제1 경로(P1)를 따르는 제1 홀(441a) 및 제2 경로(P2)를 따르는 제2 홀(441b)이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 홀(441a) 및 상기 제2 홀(441b)의 양 끝단은 상부에서 서로 접촉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홀(441a) 및 상기 제2 홀(441b)의 하부 접촉영역에 하부 걸림홀(442)이 형성되고, 상부 접촉영역에 상부 걸림홀(443)이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제3스프링(410), 제1스프링(120), 제2스프링(320) 순으로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상기 구성들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의 작동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탱크(20)의 상부 보충구(20a)를 통해 물을 보충하기 위해 누름판(430)을 눌렀다가 놓으면,
레버(420)의 걸림부(420a)가 상부 걸림홀(443)을 이탈하여 제2 홀(441b)의 제2 경로(P2)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여 걸림부(420a)가 상기 하부 걸림홀(442) 내에 안착 된다.
즉, 하부 걸림홀(442)에 걸림부(420a)가 걸리기 때문에 로드(210)가 승강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3스프링(410)은 인장 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3스프링(410)은 이완되면서 로드(210) 및 패킹부재(230)를 하부로 하강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은 제3스프링(410)이 하부의 제1스프링(120)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로드(210)의 하강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패킹부재(230)의 하강에 의해 보충구(20a)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역으로 마개(220)는 하강하여 주입구(20b)를 폐쇄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충구(20a)를 통해 물탱크(20)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게 되고, 주입구(20b)를 차단함으로써 물탱크(20)의 하부 본체(1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물탱크 내에 보충된 물을 본체의 내부로 주입하기 위해 누름판(430)을 다시 눌렀다가 놓으면,
레버(420)의 걸림부(420a)가 가이드 홀(441)의 하부 걸림홀(442)을 이탈하여 가이드 홀(441) 내의 제1 경로(P1)를 따라 제3스프링(410)의 인장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 걸림홀(443) 내에 안착 된다.
즉, 상부 걸림홀(443)에 레버(420)의 걸림부(420a)가 걸리기 때문에 로드(210)가 하강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3스프링(410)은 이완될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스프링(410)은 압축되면서 로드(210) 및 패킹부재(230)를 상부로 승강시킨다. 즉 제1스프링(120)이 제2스프링(320)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탄성 력을 갖기 때문에 로드(210)의 승강이 가능하다.
또한, 패킹부재(230)의 승강에 의해 보충구(20a)가 폐쇄된 상태가 되고, 역으로 마개(220)는 승강하여 주입구를 개방한다.
따라서, 주입구(20b)를 통해 본체(10)로 물을 주입할 수 있고, 보충구(20a)를 차단함으로써 물탱크(20)의 주입구가 폐쇄되어 외부에서 물을 주입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전술된 제2스프링(320)은 제1스프링(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제1스프링(120)이 상부로 이완될 때 제2스프링(320)이 하부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어 개폐수단(200)의 로드(210)가 순간적으로 빠르게 상승 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완충수단(300)의 제2스프링(320)은 제3스프링(410)의 보조 탄성력을 제공하여 래치수단(400)의 누름판(430)을 눌렀다가 놓았을 때, 상기 누름판(430)이 순간적으로 빠르게 승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킹부재(230)가 보충구(20a)의 하부와 빠르게 밀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는, 물탱크(20) 상부에 노출된 누름판(430)을 누르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물탱크(20)의 보충구(20a) 및 주입구(20b)의 개폐를 상태를 한 번의 누름 조작으로 달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한 번의 누름 동작으로 물탱크와 분무장치로 통하는 보충구 및 주입구를 동시에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어 물탱크 상부로 편리하게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를 분리 또는 안착 상태에 관계없이 분무장치로 이동하는 물의 유로를 용이하게 개방 및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분리형 캡을 사용하지 않아 캡을 분실할 염려가 없으며, 물 보충구의 하측 단부의 날과 패킹부재와 긴밀히 밀착될 수 있어 물통을 뒤집었을 때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물탱크의 보충구가 폐쇄되고 주입구가 개방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물탱크의 보충구가 개방되고 주입구가 폐쇄된 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확대도.
도 6은 도 1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동작 상태를 보여준 측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진 가습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물탱크
20a: 보충구 20b: 주입구
100: 지지수단 110: 받침부재케이스
120: 제1스프링 130: 받침부재
200: 개폐수단 210: 로드
210a: 안착단 220: 마개
230: 패킹부재 300: 완충수단
310: 차단돌기 320: 제2스프링
400: 래치수단 410: 제3스프링
420: 레버 430: 누름판
440: 가이드부재 441: 가이드 홀
441a: 제1 홀 441b: 제2 홀
442: 하부 걸림홀 443: 상부 걸림홀
P1: 제1 경로 P2: 제2 경로

Claims (9)

  1. 가습기 본체에 안착 되며 상부에는 물 보충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본체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부로 탄성력을 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탄성 지지 되어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서 승·하강 되어 상기 보충구 및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의 상부와 상기 보충구의 하부 사이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개폐수단을 승강 또는 하강 된 상태로 변경시켜 보충구 및 주입구의 개폐를 동시에 이루는 래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통과공이 형성된 받침부재케이스,
    상기 받침부재케이스 내에 구비된 제1스프링, 및
    상기 제1스프링에 의해 탄력 지지 되어 상기 개폐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받침부재에 지지 되면서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받침부재케이스의 통과공으로 출몰되는 로드,
    상기 로드에 설치되어 주입구를 상부에서 개폐하는 마개, 및
    상기 물탱크의 보충구 하부 개폐용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주입구의 하부로 하단부가 삽입되면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로드의 승강시 하부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완충해주기 위한 완충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주입구의 내부 벽면에 고정 설치된 차단돌기, 및
    상기 차단돌기와 상기 로드의 하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를 하부로 가압하기 위한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수단은 상기 개폐수단의 상부에 설치된 제3스프링,
    일단이 상기 개폐수단의 상부 중앙에 결합 되고 상기 개폐수단의 중앙에서 상부로 이어진 타단에 걸림부가 형성된 레버,
    상기 제3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탄력 지지 되는 수평 판 형상의 누름판, 및
    상기 누름판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3스프링의 내부에 형성되되, 일면에는 상기 레버의 걸림부를 안내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홀 내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걸림부가 체결 안착 되는 하부 걸림홀과 그 상부에 상부 걸림홀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 제2스프링, 제3스프링의 탄성력 크기는, 상기 제3스프링, 제1스프링, 제2스프링 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보충구는 물탱크의 내부로 연장되며, 이 연장된 단부는 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KR2020080010255U 2008-07-31 2008-07-31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KR200450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55U KR200450531Y1 (ko) 2008-07-31 2008-07-31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55U KR200450531Y1 (ko) 2008-07-31 2008-07-31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76U KR20100001476U (ko) 2010-02-10
KR200450531Y1 true KR200450531Y1 (ko) 2010-10-08

Family

ID=4419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255U KR200450531Y1 (ko) 2008-07-31 2008-07-31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53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605B1 (ko) * 2011-11-25 2013-11-15 주식회사 리홈쿠첸 가전기기용 물탱크 연결장치
CN109405138A (zh) * 2018-09-29 2019-03-0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空调加湿器及其空调
CN111156631A (zh) * 2020-01-20 2020-05-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冷风扇的自动封水装置以及冷风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751A (ja) 1999-03-24 2000-10-06 Aiwa Co Ltd 液体用タンク及び、この液体用タンクを用いた加湿器
JP2000283510A (ja) 1999-03-30 2000-10-13 Aiwa Co Ltd タンク及び加湿器
JP2000283507A (ja) 1999-03-30 2000-10-13 Aiwa Co Ltd タンク及び加湿器
KR20040006137A (ko) * 2002-07-09 2004-0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200406137Y1 (ko) 2005-08-08 2006-01-20 이근원 편리한 가습기의 물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751A (ja) 1999-03-24 2000-10-06 Aiwa Co Ltd 液体用タンク及び、この液体用タンクを用いた加湿器
JP2000283510A (ja) 1999-03-30 2000-10-13 Aiwa Co Ltd タンク及び加湿器
JP2000283507A (ja) 1999-03-30 2000-10-13 Aiwa Co Ltd タンク及び加湿器
KR20040006137A (ko) * 2002-07-09 2004-01-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200406137Y1 (ko) 2005-08-08 2006-01-20 이근원 편리한 가습기의 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76U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640Y1 (ko) 가습기
KR200450531Y1 (ko) 상부 급수가 가능한 가습기
CN209975657U (zh) 一种一体式无水箱智能坐便器带真空破坏器电磁阀冲水装置
BRPI1008714B1 (pt) Dispensador
KR100803036B1 (ko)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WO2018130090A1 (zh) 一种洗涤剂投放盒及洗衣机
KR200441703Y1 (ko)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KR20080014165A (ko)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JP4390635B2 (ja) 給水装置の負圧破壊装置
US10920406B2 (en) Leak-proof device for water inlet valve
US9574675B2 (en) Vent valve
KR100960029B1 (ko) 분무기
KR101185245B1 (ko) 연료공급장치의 보조펌프모듈
CN218647351U (zh) 一种水箱水槽出水控制机构
KR100515934B1 (ko) 오버플로우 방지장치
KR0124173Y1 (ko) 가습기
JP2007170367A (ja) サイホン式ポンプ自動停止装置
KR20160063528A (ko) 가습기
KR20110114022A (ko) 상부급수식 가습기
KR101499984B1 (ko) 에어 브리더를 구비한 연료 주입구 캡
KR102391868B1 (ko) 지수성능이 개선된 양변기 저수조용 필밸브
WO2019100569A1 (zh) 聪明座和具有其的饮水机
JP2009007878A (ja) 便器用のタンク構造
JP3233753U (ja) 補水制御機構及び当該補水制御機構を用いる加湿器
KR200453506Y1 (ko)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