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4165A -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 Google Patents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4165A
KR20080014165A KR1020060075446A KR20060075446A KR20080014165A KR 20080014165 A KR20080014165 A KR 20080014165A KR 1020060075446 A KR1020060075446 A KR 1020060075446A KR 20060075446 A KR20060075446 A KR 20060075446A KR 20080014165 A KR20080014165 A KR 2008001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fier
bucket
air inlet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5312B1 (ko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531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5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5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의 보충수 물통으로부터 보충수 유출 과정시 발생되는 공기방울 소리를 억제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습기 및 이 가습기에 적용되는 보충수 물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Humidifier and supplement water bucket for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보충수 물통 102 : (물통) 몸체
103. 인입구 104 : 돌출부
112 : 물 유출구 120 : 플로트
130,162 : 슬립링 140 : 체크밸브
141 : 상부결합체 142 : 공기 유입구
144 : 오링 150 : 하부결합체
160 : 플러그 200 : 본체
210 : 베이스 220 : 가이드
본 발명은 가습기의 보충수 물통으로부터 보충수 유출 과정시 발생되는 공기방울 소리를 억제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습기 및 이 가습기에 적용되는 보충수 물통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습기는 물을 안개와 같이 뿜어 건조한 실내의 습도를 알맞게 유지시키는 것으로, 상기 물이 보충되는 가습기 물통은 개구부 즉, 물 주입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개구부가 물통의 하단면에 하나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통에 물을 보충시킨 상태에서 가습기의 수실에 뒤집어 놓아야 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유출되는 물통(10)의 출구(11) 내에는 상단에 고무마개(14)가 결합된 연결막대(13)가 스프링(15)을 통해 탄성 지지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물통(10)은 상기 출구(11) 부분을 제외하고는 전 둘레부가 밀폐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보충수 물통은 물을 주입한 후 출구(11) 부분을 아래로 향하게 되어도 고무마개(14)의 기밀에 의해 내부의 보충수가 유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이후 물통(10)이 가습기 본체(2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연결막대(13)의 하단부가 본체(20)의 바닥에 돌출된 부분에 의해 상부로 눌려짐에 따라 고무마개(14)가 상부로 들어 올려져서 출구(11)가 개방되어 공기가 내부로 흡입되면서 흡입된 부피만큼 내부의 물이 밖으로 유출된다.
이때, 실제품에서 물통(1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연결막대(13)가 눌려져 출 구(11)가 항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물의 유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구조에서 본체(20) 내에 담수된 물의 수위 조절은 물 수위가 물통(10)의 출구면 아래로 떨어질 경우 외부공기가 물통(10) 내부로 유입되어 물통(10) 내의 보충수가 본체(20) 내부로 유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종래의 보충수 물통 구조는 물통(10)의 출구(11) 개방에 따른 외기의 유입 및 보충수 유출의 과정에서 대기압의 내부 유입에 의해 공기방울 소리가 크게 울리는 노이즈가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충수 물통의 공기 유입구를 물 유출구로부터 분리 형성함으로써 보충수 유출 과정시 발생되는 공기방울 소리를 억제하여 제품의 상품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은, 물통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물 유출구;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물 유출구로부터 분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물 유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미세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 내부의 물 보충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체크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습기는, 가습기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는 보충수 물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충수 물통은, 물통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물 유출구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물 유출구로부터 분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물 유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미세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에는 상기 몸체 내부의 물 보충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체크밸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담수된 물의 수위 상승시 상기 물 유출구를 폐쇄하는 플로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 특히 가습기 본체 내에 장착되는 보충수 물통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크게 가습기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 내에 장착되는 보충수 물통(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충수 물통(100)은 보충수가 채워지는 물통 몸체(102)와, 상기 몸체(102)에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물 유출구(112)와, 상기 몸체(102)에 형성되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2)의 일측에는 주입구(도시안됨)가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를 통해 물통 내에 보충수를 주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통(100)의 공기 유입구(142)는 물 유출구(112)로부터 분리 형성되는바, 상기 공기 유입구(142)는 몸체(102)의 상단 중앙에 배치하고, 상기 물 유출구(112)는 상기 공기 유입구(142)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몸체(102)의 하단 중앙에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물통 몸체(102)의 하단 중앙에는 본체(200)의 베이스(210) 상면부 일측에 함몰된 부분인 요입부(212) 내에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10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04)의 중앙에는 가느다란 미세관 형태의 물 유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200)의 베이스(210) 내에는 담수된 물의 수위 상승시 보충수 물통(100)의 물 유출구(112)를 폐쇄하도록 하는 플로트(float;120)가 설치되어 있다.
물 유출구(112)의 직 하방에 위치한 요입부(212) 하부측에는 플로트(120)가 수용된 상태에서 가이드되는 가이드(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220)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내,외측으로 물이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플로트(120)는 상단부가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바, 상기 가이드(22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립(slip)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플로트(120)의 하단 외주면에는 슬립링(130)이 구비되어 상기 플로트(120)의 승강 운동시 가이드(220)의 내벽면과의 마찰을 줄여 부드러운 승강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상기 플로트(120)는 본체(200)의 베이스(210) 내에 담수된 물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유지되는바, 물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함께 상승하여 상측에 위치한 물 유출구(112)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물통 몸체(102)의 상단부 중앙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2)에는 내부의 물 보충시 공기 유입구(142)를 폐쇄할 수 있는 체크밸브(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140)는 상부결합체(141)와, 상부결합체(141)의 하부에 결합되 는 하부결합체(150)와, 상부결합체(141)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러그(plug;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몸체(102)의 상단부 중앙에는 일정 직경을 가지며 하부로 돌출된 인입구(10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결합체(141)는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를 통해 인입구(103) 내측면에 안착 결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부결합체(141)와 인입구(103) 사이에는 수밀을 위하여 오링(144)이 설치된 구조를 이룬다.
상부결합체(141)는 원통형 몸체를 이루며 중앙에는 횡방향의 격벽이 형성되고, 이 격벽의 중앙부에 미세관 형태의 공기 유입구(142)가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부결합체(150)는 원통형 몸체를 이루며 상기 공기 유입구(142)와 연통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상기 상부결합체(141) 내에 수용된 플러그(16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160)는 전술된 플로트(120)의 형태와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되는바, 상부결합체(141) 내의 격벽 하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160)의 외주면에는 슬립링(162)이 구비되어 승강 운동시 부드러운 승강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플러그(160)의 내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공기홀이 형성되 어 상기 공기홀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유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보충수 물통(100)에 물을 보충하고자 할 경우, 물통(100)을 뒤집어서 공기 유입구(142)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 다음 물통 일측에 설치된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수작업으로 물을 보충하게 된다. 이때, 체크밸브(140) 내의 플러그(160)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원뿔 모양의 상단부가 공기 유입구(142)를 막게 되므로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충수 물통(100) 내에 물 보충이 완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보충수 물통(100)을 물 유출구(112)가 아래로 향하도록 다시 뒤집어서 본체(200)의 베이스(210)에 장착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물통(100) 상단의 플러그(160)가 자중에 의해 다시 아래로 하강되면서 공기 유입구(142)가 개방되어 공기 유입구(142)를 통해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상기 물통(100) 하단의 물 유출구(112)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물 유출구(112)를 통해 본체(200)의 하부로 물이 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 유입구(142)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 공기 유입량에 상당하는 보충수의 유출이 물 유출구(112)를 통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물 유출구(112)를 통해 유출된 물은 본체(200)의 베이스(210)에 담수되는데, 물의 수위가 상승하여 일정 높이 만큼 되면 플로트(120)가 상측에 위치한 물 유출구(112)를 폐쇄하기 때문에 상기 물 유출구(112)를 통한 보충수의 유출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베이스 수조 내 담수량은 만수를 유지하게 되 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물 유출구(112)와 공기 유입구(142)를 모두 미세관 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물 유출구(112)와 공기 유입구(142)중 어느 한쪽만을 미세관 형태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습기의 보충수 물통 구조를 외기 흡입에 의한 자유낙하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물 유출구를 통한 보충수 유출 과정시 발생되는 공기방울 소리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상품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충수 물통의 공기 유입구와 물 유출구를 물통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물통을 뒤집어서 보충수를 채워 넣을 경우에나 또는 물통을 가습기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공기 유입구 및 물 유출구를 통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충수의 자유낙하에 따른 제품의 효율 및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물통의 물 유출구와 공기 유입구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미세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미세공기 유입량에 상당하는 보충수의 유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통의 내부에 물 보충시 공기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체크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물통을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외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물통에 보충수를 주입하기 위해 뒤집을 경우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공기 유입구가 막히게 되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습기 본체에 담수된 물의 수위 상승시 물 유출구를 폐쇄하도록 하는 플로트가 설치함으로써, 본체에 담수된 물이 항상 만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보충수 물통 내부의 물이 외부로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을 막아 가습기 내부의 누수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물통 몸체;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물 유출구;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물 유출구로부터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물 유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미세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의 물 보충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6. 가습기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는 보충수 물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충수 물통은,
    물통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물이 유출되는 물 유출구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물 유출구로부터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물 유출구는 상기 몸체의 상,하단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입구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미세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의 물 보충시 상기 공기 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체크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담수된 물의 수위 상승시 상기 물 유출구를 폐쇄하는 플로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060075446A 2006-08-10 2006-08-10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KR100835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446A KR100835312B1 (ko) 2006-08-10 2006-08-10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5446A KR100835312B1 (ko) 2006-08-10 2006-08-10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165A true KR20080014165A (ko) 2008-02-14
KR100835312B1 KR100835312B1 (ko) 2008-06-04

Family

ID=3934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5446A KR100835312B1 (ko) 2006-08-10 2006-08-10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53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65A1 (en) * 2015-04-16 2016-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midifier and home appliance
CN109974181A (zh) * 2019-04-26 2019-07-05 深圳市维特世嘉科技有限公司 一种雾化器上加水结构
KR20200009260A (ko) * 2018-07-18 2020-01-30 제로웰 주식회사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KR20200009259A (ko) * 2018-07-18 2020-01-30 제로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방식의 가습기
KR20200014400A (ko) * 2015-04-16 202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기 및 가전기기
CN113915856A (zh) * 2021-01-25 2022-01-1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4303A (en) 1995-01-17 1996-05-07 Duracraft Corporation Humidifier with removable suction tube
KR19990009092U (ko) * 1997-08-14 1999-03-05 강상근 가습기용 물뚜껑의 공기분산구조
JP2001065931A (ja) 1999-08-27 2001-03-16 Aiwa Co Ltd 消音用給水キャップ、給水タンク及び加湿器
KR200310335Y1 (ko) * 2003-01-29 2003-04-21 황진이 물 보충이 용이한 가습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65A1 (en) * 2015-04-16 2016-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midifier and home appliance
KR20160123624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기 및 가전기기
CN107810370A (zh) * 2015-04-16 2018-03-16 三星电子株式会社 加湿器和家用电器
US10436466B2 (en) 2015-04-16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midifier and home appliance
KR20200014400A (ko) * 2015-04-16 202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기 및 가전기기
CN111238020A (zh) * 2015-04-16 2020-06-05 三星电子株式会社 加湿器
EP3081872B1 (en) * 2015-04-16 2020-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US10808952B2 (en) 2015-04-16 2020-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umidifier and home appliance
KR20200009260A (ko) * 2018-07-18 2020-01-30 제로웰 주식회사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KR20200009259A (ko) * 2018-07-18 2020-01-30 제로웰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방식의 가습기
CN109974181A (zh) * 2019-04-26 2019-07-05 深圳市维特世嘉科技有限公司 一种雾化器上加水结构
CN113915856A (zh) * 2021-01-25 2022-01-1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5312B1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312B1 (ko) 가습기 및 가습기용 보충수 물통
JP6603744B2 (ja) 自動制御排水装置及びその加湿器
KR20080015392A (ko)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도우징 헤드
JP5868191B2 (ja) 便器洗浄装置及び水洗式便器
CN110106948B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KR20160031492A (ko) 플로팅 구조체
JP5478002B2 (ja) 通液構造及び該通液構造を備えた薬液供給装置
CN110528654A (zh) 一种简易马桶清洁液加注器
KR101380688B1 (ko) 플로우팅 밸브
JP2005537003A (ja) 植物給水装置
CN110117978B (zh) 一种马桶水箱进水阀
CN210890326U (zh) 内置式液位控制器及其液位控制系统
KR200301081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JP2012072579A (ja) 洗浄タンク装置及び水洗式便器
CN215858047U (zh) 一种马桶水箱节水阀
JP2021049216A (ja) 空気浄化装置
CN111888612A (zh) 自动注水加湿室结构改良
CN217078990U (zh) 一种水箱及马桶
CN210721152U (zh) 液位控制器
KR20080004003U (ko) 가습기
CN219196176U (zh) 一种水箱的排水装置及具有其的马桶
CN217471884U (zh) 一种清洁装置用的水箱
JP6057458B2 (ja) 便器洗浄装置
CN212561783U (zh) 一种马桶补水装置及虹吸马桶
JP3152201U (ja) プランターの水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