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036B1 -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 Google Patents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036B1
KR100803036B1 KR1020060136060A KR20060136060A KR100803036B1 KR 100803036 B1 KR100803036 B1 KR 100803036B1 KR 1020060136060 A KR1020060136060 A KR 1020060136060A KR 20060136060 A KR20060136060 A KR 20060136060A KR 100803036 B1 KR100803036 B1 KR 100803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water
rod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경필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쿠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쿠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036B1/ko
Priority to PCT/KR2007/003427 priority patent/WO20080820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에 물 주입을 위한 개구를 가지는 물통;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캡; 상기 물통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유로에 상하로 구비되되, 상기 배수유로 상에 탄성수단으로 탄력지지되는 상부 및 하부 니들밸브; 및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 상기 상부 니들밸브를 상승시켜 상기 배수유로를 차단하면서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의 유출을 차단하고, 상기 개구를 폐쇄할 경우 상기 상부 니들밸브를 하강시켜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하면서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유출시키도록 상기 개구 상에 탄력 지지되는 로드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통을 본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물통 내에 물을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주입하는 개구의 캡이 완전하게 닫혀 지지않더라도 물통이 분리된 상태에서 캡 상의 실링구조에 의해 하부개구로 물의 주입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부급수, 가습기, 물통, 캡.

Description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Humidifier having function top water suppl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의 물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되, 물통의 캡을 폐쇄할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되, 물통의 캡을 개방할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의 다른 물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의 다른 물통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가습기 110,110': 물통
111: 개구 112: 하부 개구
113: 지지물 114: 통로
115: 걸림공 120: 캡
121: 실링부재 130: 상부 니들밸브
131: 코일스프링 140: 하부 니들밸브
141: 코일스프링 150: 하부캡 부
151: 지지물 152: 배수유로
153: 하부캡 154: 정수필터
160: 로드조립체 170: 로드
171: 걸림돌기 180: 로드캡
190: 코일 스프링 200: 로드커버
201: 후크 202: 물주입 소공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특히, 겨울철, 온도가 높고 건조한 실내 공기를 가습하여 실내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전 제품으로써, 가습하는 방식에 따라 가열식, 초음파식, 팬(fan)식 및 이들 각각의 장점을 취합한 복합식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히터나 전극봉으로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고, 초음파식 가습기는, 전기회로를 통하여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의해 물속에 위치한 진동자를 초음파 진동시켜 물을 무화(霧化)시키며, 팬식 가습기는, 수면 위에 설치된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해 물을 입자화하는 등 각 가습기는 각각의 특정한 방식으로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공기를 가습하는 각종 가습기들 중 각 가정 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초음파식 가습기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초음파식 가습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무장치(미도시)가 내장된 본체(11)와; 본체(11)의 상면 일측에 안착되는 물통(12)과; 무화된 수분이 분사되는 분사관(13)과; 물통(12)과 분사관(13)이 안착된 상태에서 본체(11) 상면 전체를 덮는 커버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분사관(13)은, 물통(1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커버가 없이 물통(12)의 외주면이 그대로 노출되면서 커버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12)은, 그 저면에 물을 채우기 위한 주입구(I)가 구비되고, 이 주입구(I)에는 뚜껑(C)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뚜껑(C)의 중앙부에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하는 니들 밸브(V)가 구비된 구조로서, 물의 공급과 무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체(11) 상면 일측의 물통 안착홈(G)에 물통(12)을 놓게 되면, 안착홈(G)중앙부의 돌기(E)가 물통(12)의 뚜껑(C) 중앙부에 구비된 니들 밸브(V)를 물통(12) 내부로 밀어 올림으로써, 니들 밸브(V)가 개방되면서 물통(12) 내의 물이 안착홈(G)으로 유입되고, 이 물은, 본체(11) 상면의 유로(F)를 통하여 안착홈(G)으로부터 진동자(11A)가 구비된 무화조(G')로 흘러 들어간 후 진동자(11A)에 의해 무화되고, 무화된 수분은 분사관(13)을 통하여 가습기 외부의 공기 중으로 분산된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 'S'는 수위 센서로서, 무화조(G')의 물이 없을 시 이를 감지하여 진동자(11A)로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통(12)의 저면에 주입구(I)가 구비되는, 하부 급수식인 바, 물통(12)에 물이 떨어진 경우, 반드시 물통(12)을 안착홈(G)에서 분리한 후 물통(12)을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주입구(I)를 열어야만 물통(12)에 물을 채워 넣을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즉, 상기 물통(12)을 들어올리게 되면 스프링에 의해 니들 밸브(V)가 닫히게 되고, 니들 밸브(V)가 닫힌 상태에서 물통(12)을 뒤집어 뚜껑(C)을 분리하여야만 주입구(I)로 물을 채울 수 있는바, 물통(12)을 본체(1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는 물을 보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통을 본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물통 내에 물을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주입하는 개구의 캡이 완전하게 닫혀 지지않더라도 물통이 분리된 상태에서 캡 상의 실링구조에 의해 하부개구로 물의 주입이 가능한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부에 물 주입을 위한 개구를 가지는 물통;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캡; 상기 물통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유로에 상하로 구비되되, 상기 배수유로 상에 탄성수단으로 탄력지지되는 상부 및 하부 니들밸브; 및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 상기 상부 니들밸브를 상승시켜 상기 배수유로를 차단하면서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의 유출을 차단하고, 상기 개구를 폐쇄할 경우 상기 상부 니들밸브를 하강시켜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하면서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유출시키도록 상기 개구 상에 탄력 지지되는 로드조립체를 포함하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로드조립체의 실시예는, 상기 개구 상의 지지물이 형성하는 통로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하부는 상기 상부 니들밸브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로드와,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에 상기 캡과 이격되고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폐쇄할 경우에 상기 캡과 접촉하도록 상기 로드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로드캡과, 상기 로드캡과 상기 지지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에 이완되고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폐쇄할 경우에 수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에는 상기 로드의 상승 동작을 제한하도록 상기 통로의 최하단과 대응하는 걸림돌기를 더 구비한다.
상기 지지물과 후크로 결합하되,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에 상기 로드가 상기 개구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드캡과 접촉하고 복수의 물주입 소공을 가지는 로드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통은 하부에 물 주입을 위한 하부 개구를 가지고, 상기 하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부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유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니들밸브는 상기 하부캡부 상에 구비되며, 상기 물통을 분리할 경우에 상기 하부캡부를 개방시켜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서도 물의 주입이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캡부는, 상기 하부 개구를 개폐하고 상기 하부 니들밸브가 구비되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흐르는 물을 정화시키고 상기 상부 니들밸브가 구비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하부캡과 상기 정수필터 내부에 구비된 지지물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에는 수밀용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 습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의 물통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되, 물통의 캡을 폐쇄할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되, 물통의 캡을 개방할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초음파식 가습기로서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분무장치가 내장된 본체와, 본체의 상면 일측에 안착되는 물통과, 무화된 수분이 분사되는 분사관과, 물통과 분사관이 안착된 상태에서 본체 상면 전체를 덮는 커버 등을 가진다.
하기한 설명에서는 가습기 전체에 대한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지는 않았으며, 본 발명에서 상부 급수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100)는, 물통(110), 캡(120), 상부 니들밸브(130), 하부 니들밸브(140), 로드조립체(160)를 포함한다.
먼저, 물통(110)은 상부에 물 주입을 위한 개구(111)를 가진다.
실시예에서, 물통(110)은 상부에 물 주입을 위한 개구(111)를 하나 가진다.
하지만, 상부에 형성된 개구(111)와 더불어 하부에도 물 주입을 위한 하부 개구(112)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개구(111) 상에는 지지물(113)이 형성되고, 이 지지물(113)에는 하기한 로드조립체(160)의 로드(170)가 이동하는 통로(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물(113)은 하기한 로드커버(200)의 후크(201)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공(115)을 가진다.
상기 캡(120)은 개구(111)를 개폐한다.
실시예에서, 캡(120)은 개구(111)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캡(120)의 외주면에는 수밀용 실링부재(121)가 더 구비된다.
이 실링부재(121)는 물통(110)을 분리하여 뒤집었을 때에도 물통(1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 실링부재(121)에 의해 물을 주입하는 개구(111)의 캡(120)이 완전하게 닫혀 지지않더라도, 하기한 하부 개구(112)로 물의 주입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니들밸브(130) 및 하부 니들밸브(140)는 물통(110)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유로(152)를 개폐하도록 배수유로(152)에 상하로 구비되되, 배수유로(152) 상에 탄성수단으로 탄력지지된다.
실시예에서, 상부 니들밸브(130) 및 하부 니들밸브(140)는 하부 개구(112)를 개폐하는 하부캡부(15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니들밸브(130) 및 하부 니들밸브(140)를 탄력지지하는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131,141)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캡부(150)는 배수유로(152), 상부 니들밸브(130) 및 하부 니들 밸브(140)를 구비하며, 물통(110)을 분리할 경우에 하부캡부(150)를 개방시켜 하부 개구(112)를 통해서도 물의 주입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캡부(150)는 하부 개구(112)를 개폐하고 하부 니들밸브(140)가 구비되는 하부캡(153)과, 이 하부캡(153)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배수유로(152)를 흐르는 물을 정화시키고 상부 니들밸브(130)가 구비되는 정수필터(154)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캡(150)은 하부 개구(112)와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배수유로(152)는 하부캡(153)과 정수필터(154) 내부에 구비된 지지물(151)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지물(151)은 상부 니들밸브(130) 및 하부 니들밸브(140)를 지지한다.
이러한, 하부캡부(150)의 기능(도1 참조)은 본체 상면 일측의 물통 안착홈에 물통을 놓게 되면, 안착홈 중앙부의 돌기가 물통(110)에서 하부캡부(150)의 하부캡(153) 중앙부에 구비된 하부 니들밸브(140)를 물통(110) 내부로 밀어 올림으로써, 하부 니들밸브(140)가 개방되면서 물통(110) 내의 물이 배수유로(152)를 따라 안착홈으로 유입되고, 이 물은 본체 상면의 유로를 통하여 안착홈으로부터 진동자가 구비된 무화조로 흘러들어간 후 진동자에 의해 무화되고, 무화된 수분은 분사관을 통하여 가습기 외부의 공기 중으로 분산된다.
본 발명은 상부에 구비된 캡(120)뿐만 아니라, 하부캡부(150)를 별도로 구비하므로 물통(110)을 분리할 경우에 하부캡부(150)를 개방시켜 하부 개구(112)를 통 해서도 물의 주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로드조립체(160)는 물통(110)의 상부에 위치한 캡(120)이 개구(111)를 개방할 경우에, 상부 니들밸브(130)를 상승시켜 배수유로(152)를 차단하면서 물통(110)에 수용된 물의 유출을 차단하고, 개구(111)를 폐쇄할 경우 상부 니들밸브(130)를 하강시켜 배수유로(152)를 개방하면서 물통(110)에 수용된 물을 유출시키도록 상부에 위치한 개구(111) 상에 탄력 지지된다.
실시예에서, 로드조립체(160)는 로드(170), 로드캡(180), 및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로드(170)는 개구(111) 상의 지지물(113)이 형성하는 통로(114)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하부는 상부 니들밸브(130)와 접촉하거나 이격되게 된다.
이 로드(170)는 상부에 하기한 로드캡(180)이 구비되고, 하부는 상부 니들밸브(130)와의 접촉력을 강화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로드(170)에는 걸림돌기(171)가 더 구비된다.
이 걸림돌기(171)는 통로(114) 최하단과 대응하는 것으로, 상기 로드(170)의 상승 동작을 제한하는 것이다.
로드캡(180)은 캡(120)이 개구(111)를 개방할 경우에 캡(120)과 이격되고 캡(120)이 개구(111)를 폐쇄할 경우에 캡(120)과 접촉하도록 로드(170)의 최상단에 구비된다.
탄성수단은 로드캡(180)과 개구(111) 상의 지지물(113) 사이에 구비되어 캡(120)이 개구(111)를 개방할 경우에 이완되고 캡(120)이 개구(111)를 폐쇄할 경 우에 수축된다. 이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1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로드조립체(160)는 지지물(113)의 걸림공(115)과 후크(201)로 결합하는 로드커버(200)를 더 포함한다.
이 로드커버(200)는 캡(120)이 개구(111)를 개방할 경우에 로드(170)가 개구(111)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드캡(180)과 접촉하고 개구(111)를 통해 주입된 물이 소통하도록 복수의 물주입 소공(202)을 가진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로드조립체(160)의 동작에 의한 상부 니들밸브(130)의 연동으로 물통(110)을 본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물통(110) 내에 물을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습기(100)가 가동중에 상부의 캡(120)을 개방하였다 할지라도 상부 니들밸브(130)가 배수유로(152)를 완전 차단하기 때문에, 물통(110)의 수두압에 의해 본체에서 누수가 발생될 염려가 없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가습기(100)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도 7 및 도 8과 같이 다른 형태를 가진 가습기(100') 및 물통(110')에도 적용이 충분히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100)에서 상부로 급수하기 위한 동작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부에 물통(110)을 안착시키고 가습기(100)는 가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먼저 도 4는 물통(110)의 캡(120)이 개구(111)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로드조립체(160)의 코일 스프링(190)이 캡(120)에 의해 수축되고, 이 코일 스프링(190)의 수축에 의해 로드(170)는 통로(114)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로드(170)의 이동에 의해 로드(170)의 하단과 상부 니들밸브(130)가 접촉하고, 이에 따라 상부 니들밸브(130)는 하강하면서 배수유로(152)를 개방시킨다.
한편, 도 5는 물통(110)의 캡(120)이 개구(111)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로드조립체(160)의 로드(170)가 캡(120)과 이격되면서 코일 스프링(190)이 이완되고, 이 코일 스프링(190)의 이완에 의해 로드(170)는 통로(114)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로드(170)의 이동에 의해 로드(170)의 하단과 상부 니들밸브(130)는 서로 이격되며, 이에 따라 상부 니들밸브(130)는 코일 스프링(131)에 의해 상승하면서 배수유로(152)를 폐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는, 상부에 물 주입을 위한 개구를 가지는 물통과, 개구를 개폐하는 캡과, 물통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유로를 개폐하도록 배수유로에 상하로 구비되되, 배수유로 상에 탄성수단으로 탄력지지되는 상부 및 하부 니들밸브과, 캡이 개구를 개방할 경우 상부 니들밸브를 상승시켜 배수유로를 차단하면서 물통에 수용된 물을 유출을 차단하고, 개구를 폐쇄할 경우 상부 니들밸브를 하강시켜 배수유로를 개방하면서 물통에 수용된 물을 유출시키도록 개구 상에 탄력 지지되는 로드조립체를 포함하므로, 물통을 본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도 물통 내에 물을 편리하게 주입할 수 있으며, 가습기가 가동중에 상부의 캡을 개방하였다할지라도 상부 니들밸브가 배수유로를 완전 차단하기 때문에, 물통의 수두압에 의해 본체에서 누수가 발생될 염려가 없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캡에는 수밀용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므로, 물을 주입하는 개구의 캡이 완전하게 닫혀 지지않더라도 물통이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개구로 물의 주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상부에 물 주입을 위한 개구를 가지는 물통;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캡;
    상기 물통의 하부에 구비된 배수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배수유로에 상하로 구비되되, 상기 배수유로 상에 탄성수단으로 탄력지지되는 상부 및 하부 니들밸브; 및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 상기 상부 니들밸브를 상승시켜 상기 배수유로를 차단하면서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의 유출을 차단하고, 상기 개구를 폐쇄할 경우 상기 상부 니들밸브를 하강시켜 상기 배수유로를 개방하면서 상기 물통에 수용된 물을 유출시키도록 상기 개구 상에 탄력 지지되는 로드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조립체는, 상기 개구 상의 지지물이 형성하는 통로를 따라 상하 이동하되 하부는 상기 상부 니들밸브와 접촉하거나 이격되는 로드와,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에 상기 캡과 이격되고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폐쇄할 경우에 상기 캡과 접촉하도록 상기 로드의 최상단에 구비되는 로드캡과, 상기 로드캡과 상기 지지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에 이완되고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폐쇄할 경우에 수축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에는 상기 로드의 상승 동작을 제한하도록 상기 통로의 최하단과 대응하는 걸림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과 후크로 결합하되, 상기 캡이 상기 개구를 개방할 경우에 상기 로드가 상기 개구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드캡과 접촉하고 복수의 물주입 소공을 가지는 로드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하부에 물 주입을 위한 하부 개구를 가지고, 상기 하부 개구를 개폐하는 하부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수유로, 상기 상부 및 하부 니들밸브는 상기 하부캡부 상에 구비되며, 상기 물통을 분리할 경우에 상기 하부캡부를 개방시켜 상기 하부 개구를 통해서도 물의 주입이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하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부는,
    상기 하부 개구를 개폐하고 상기 하부 니들밸브가 구비되는 하부캡과, 상기 하부캡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배수유로를 흐르는 물을 정화시키고 상기 상부 니들밸브가 구비되는 정수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하부캡과 상기 정수필터 내부에 구비된 지지물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수밀용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1020060136060A 2006-12-28 2006-12-28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100803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60A KR100803036B1 (ko) 2006-12-28 2006-12-28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PCT/KR2007/003427 WO2008082052A1 (en) 2006-12-28 2007-07-13 Top side water supply 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060A KR100803036B1 (ko) 2006-12-28 2006-12-28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036B1 true KR100803036B1 (ko) 2008-02-18

Family

ID=3938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060A KR100803036B1 (ko) 2006-12-28 2006-12-28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3036B1 (ko)
WO (1) WO20080820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139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WO2017074136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170051238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CN106801961A (zh) * 2015-10-30 2017-06-06 Lg电子株式会社 加湿净化装置
KR20220101421A (ko) * 2021-01-11 2022-07-19 (주)엘지에스코퍼레이션 공압식 가습기용 필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압식 가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2661B (zh) * 2011-05-10 2013-01-09 中山市连邦电气有限公司 一种连动防漏水式加湿器
CN106871303B (zh) * 2015-10-30 2019-11-26 Lg电子株式会社 加湿净化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751A (ja) * 1999-03-24 2000-10-06 Aiwa Co Ltd 液体用タンク及び、この液体用タンクを用いた加湿器
KR200359948Y1 (ko) 2004-05-13 2004-08-27 한일전기주식회사 가습기 물통의 물 보충 구조
KR200421945Y1 (ko) 2006-04-19 2006-07-20 쿠쿠전자주식회사 가습기
KR200429314Y1 (ko) 2006-08-04 2006-10-20 우리텍 주식회사 상부 급수식 가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4751A (ja) * 1999-03-24 2000-10-06 Aiwa Co Ltd 液体用タンク及び、この液体用タンクを用いた加湿器
KR200359948Y1 (ko) 2004-05-13 2004-08-27 한일전기주식회사 가습기 물통의 물 보충 구조
KR200421945Y1 (ko) 2006-04-19 2006-07-20 쿠쿠전자주식회사 가습기
KR200429314Y1 (ko) 2006-08-04 2006-10-20 우리텍 주식회사 상부 급수식 가습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139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WO2017074136A1 (ko) * 2015-10-30 2017-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170051238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CN106801961A (zh) * 2015-10-30 2017-06-06 Lg电子株式会社 加湿净化装置
US10094582B2 (en) 2015-10-30 2018-10-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247433B2 (en) 2015-10-30 2019-04-0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992180B1 (ko) * 2015-10-30 201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20220101421A (ko) * 2021-01-11 2022-07-19 (주)엘지에스코퍼레이션 공압식 가습기용 필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압식 가습기
KR102512476B1 (ko) * 2021-01-11 2023-03-22 (주)엘지에스코퍼레이션 공압식 가습기용 필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압식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2052A1 (en)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036B1 (ko)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CN100352412C (zh) 蒸汽发生器
KR102046476B1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가습 장치
JP2008039382A (ja) 上部給水式加湿器
KR102340052B1 (ko) 가습기
CN106322613A (zh) 一种具有水位控制装置的上加水式加湿器
KR101185937B1 (ko) 수위조절 구조를 갖는 가습기
KR101381948B1 (ko) 가습기
WO2013082414A1 (en) Console humidifier
CN204427767U (zh) 用于烹饪器具的盖体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KR100803037B1 (ko)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및 그의 상부 급수시제어방법
CN208042412U (zh) 一种上加水式加湿器
US6176474B1 (en) Humidifier bottle with side fill/side dispensing cap
KR200429314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CN206247540U (zh) 一种具有水位控制装置的上加水式加湿器
KR200440884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JP4655716B2 (ja) 加湿器
KR200421945Y1 (ko) 가습기
CN208404146U (zh) 一种液体加热器
KR200454078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US6796218B1 (en) Grill device provided with an adjustable seasoning supplying unit
CN2713347Y (zh) 一种加湿电暖器
CN208129923U (zh) 富氢饮水机
KR200314447Y1 (ko) 가습기의 노즐 장치
TWI324905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