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029B1 - 분무기 - Google Patents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029B1
KR100960029B1 KR1020080053935A KR20080053935A KR100960029B1 KR 100960029 B1 KR100960029 B1 KR 100960029B1 KR 1020080053935 A KR1020080053935 A KR 1020080053935A KR 20080053935 A KR20080053935 A KR 20080053935A KR 100960029 B1 KR100960029 B1 KR 10096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container
injection pipe
stock solu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979A (ko
Inventor
조남월
Original Assignee
조남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월 filed Critical 조남월
Priority to KR102008005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02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2Membranes or pistons acting on the contents inside the container, e.g. follower pistons
    • B05B11/028Pistons separating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ntainer from the atmospheric air to compensate under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담긴 원액을 분사하는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액이 충진되는 일반형 분무기 및 압축공기와 원액이 함께 충진되는 고압축형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서 사용하여도 원활하게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액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몸체(100)의 노즐(101)이 상 또는 하 방향에서 레버(102)의 동작에 의해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빨려 올라가 몸체(100)의 노즐(101)을 통해 분무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110) 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용기(110)에 담긴 원액을 몸체(100)로 안내하는 제1분사관(120)과;
상기 제1분사관(12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며 용기(110)의 내부 하단 근접 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1볼(123)이 구비되며, 상기 제1볼(123)이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1볼(123)이 안착되는 제1볼안착부(122)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분사관(120)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제1볼(123)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제1분사관(120)의 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흡입공(125)이 형성된 제1커버(124)를 구비한 제1밸브(121)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110) 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용기(110)에 담긴 원액을 몸체(100)로 안내하는 제2분사관(130)과;
상기 제2분사관(130)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며 용기(110)의 내부 상단 근접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2볼(133)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볼(133)이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2볼(133)이 안착되는 제2볼안착부(132)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2분사관(130)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제2볼(133)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제2분사관(120)의 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흡입공(135)이 형성된 제2커버(134)를 구비한 제2밸브(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커버(124)(134) 각각의 내측둘레에는 결합돌기(126)(136)가 돌설되어 제1·제2밸브(121)(131)의 상부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분무기를 똑바로 세웠을 때에는 제2밸브가 밀폐되며 제1밸브를 통해 제1분사관으로 원액이 유입되어 노즐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고, 분무기를 거꾸로 세웠을 때에는 제1밸브가 밀폐되며 제2밸브를 통해 제2분사관으로 원액이 유입되어 노즐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므로, 분무기를 똑바로 세워 사용하거나 거꾸로 세워 사용하여도 분무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분무기, 압축공기, 원액, 분사관, 밸브, 볼, 안착부, 커버, 흡입공

Description

분무기{A SPRAY}
본 발명은 용기에 담긴 원액을 분사하는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액이 충진되는 일반형 분무기 및 압축공기와 원액이 함께 충진되는 고압축형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서 사용하여도 원활하게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액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무기는 일상생활에서 물, 모기약, 윤활제, 기타 액상의 세정제 및 액상 화장품 등을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출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분무기는 그 내부에 충진되는 종류에 따라 크게 고압축형 분무기와 일반형 분무기로 구분할 수 있는바, 상기 고압축형 분무기는 용기 내부에 원액과 함께 압축공기가 충진되어 있어 관로의 개방에 의해 원액이 분무되는 것이고, 일반형 분무기는 용기 내부에 원액만을 충진하여 펌프나 기타 흡입력을 발생하는 장치를 구비하여 흡입력으로 원액을 흡입하여 분무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압축공기와 원액을 충진하는 고압축형 분무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케이스(1)와 상부뚜껑(3)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 내에는 압축공기와 원액이 충진된 용기(2)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2)의 상부에는 흡입관(4a)이 하부에 구비된 분사제어부(4)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분사제어부(4)의 상부에는 분사제어부(4)를 구동하는 작동캡(5)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캡(5)의 전방에는 통공(8)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통공(8)과 분사제어부(4)를 연결하는 분사공(7)이 구비되고, 상기 분사제어부(4)와 분사공(7)의 결합부위에는 노즐(6)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분무기는, 작동캡(5)을 하부로 가압함에 따라 분사제어부(4)가 동작하며 용기(2) 내의 원액이 흡입관(4a)과 노즐(6) 및 분사공(7)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분무기를 도면과 같이 똑바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에는 용기(2)의 하부측에 원액이 위치하고 상부측에 압축공기가 위치하여 작동캡(5)을 누르면 원액이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공(7)을 통해 원활하게 분무되지만, 상기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에는 압축공기가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작동캡(5)을 누르면 흡입관(4a)의 입구 위치에는 압축공기가 위치되어 원액이 분무되지 않고 압축공기가 분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따라, 거꾸로 세워서도 사용할 수 있는 분무기가 제시되어 왔으며, 이는 일반형 분무기에서 찾을 수 있는바,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 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 원액만을 충진하는 분무기의 작동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2a는 분무기를 똑바로 세워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과 같이, 용기에 담긴 원액을 레버(12)의 동작에 따라 흡출하는 흡출관(20)은 상부튜브(21)와 하부튜브(22) 및 이들을 연결하는 중간튜브(30)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튜브(30)에는 흡입력차단판(32)을 갖춘 주흡출라인(31)과 볼(35)을 갖춘 보조흡출라인(33)이 각각 형성되어, 각 흡출라인(31)(33)을 통해 선택적으로 원액을 흡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력차단판(32)은 중간튜브(30)의 내벽을 따라 밀착되는 링 형상의 지지체(32a)와, 상기 지지체(32a)로부터 하향 연장되면서 보조흡출라인(33)측을 가려주는 차단막(32b)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보조흡출라인(33)의 하단에는 볼안착면(34b)과 입구(34a)를 갖는 볼안착기구(34)가 장착되고, 상단에는 볼(35)의 움직임을 잡아줄 수 있는 볼스톱퍼(36)가 형성되어, 상기 볼(35)은 하단의 입구(34a) 주위의 볼안착면(34b)과 상단 출구(37) 일측의 볼스톱퍼(36)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면서 입구(34a)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분무기는, 도 2a와 같이 똑바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에는 주흡출라인(31)을 통해 원액이 빨려 올라가게 되고, 도 2b와 같이 거꾸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흡출라인(33)을 통해 원액이 빨려 올라가게 된다.
즉, 도 2a와 같이 상기 분무기가 똑바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차단막(32b)이 보조흡출라인(33)의 출구(37)를 가려주고 볼(35)이 보조흡출라인(33)의 입구(34a)를 막게 되어, 흡입력이 보조흡출라인(33)에는 작용하지 않고 주흡출라인(31)에만 작용되어 주흡출라인(31)을 통해 원액이 빨려 올라가서 노즐(11)을 통해 분무가 되는 것이다.
또한 도 2b와 같이 상기 분무기가 거꾸로 세워진 상태에서는, 원액이 몸체(10) 방향으로 몰림과 동시에 볼(35)이 볼스톱퍼(36)에 접하며 보조흡출라인(33)의 입구(34a)를 개방하게 되므로, 주흡출라인(31)에서는 원액이 흡입되지 않고 보조흡출라인(33)의 입구(34a)를 통해 유입되어 출구(37)를 지나 빨려 올라가서 분무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서 사용할 때에는, 입구(34a)로 흡입되는 원액보다 주흡출라인(31)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많아 원활한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입구(34a)와 용기 상단까지의 간격이 길어서 그 간격 이상으로 원액이 남아있을 때에만 원활한 분무가 이루어지고, 그 간격 이하로 원액이 남아있게 되면 원액이 입구(34a)로 흡입되지 못하므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로 인해 분무기에 담겨진 원액을 다 쓰지 못하고 버리게 되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중간밸브(30)의 구성이 복잡하고 흡입력차단판(32)을 설치하는데도 어려움이 발생하여 이를 실시하기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무기를 본 발명이 요구하는 고압축형 분무기에 적용하게 되면, 똑바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거꾸로 세워서 사용하게 되면, 내장된 압축공기의 강한 압에 의해 흡출관(20)에 있던 압축공기가 보조흡출라인(33) 방향에도 작용하여 볼(35)이 볼스토퍼(36)에 접해 있지 않고 입구(34a)를 막는 현상이 발행하므로 압축공기가 내장된 고압축형 분무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일반형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구성도 있는바, 첨부된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도 3a는 종래 원액만을 충진하는 다른 분무기의 똑바로 세운 상태의 작동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거꾸로 세운 상태의 작동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원액이 저장되는 저장용기(40)의 상부에는 동작레버(42)가 구비된 배출장치(41)가 결합되고, 상기 배출장치(41)의 하부에는 저장용기(40)의 하단까지 연결하는 제1튜브(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튜브(50)의 하단에는 제1단턱(51)에 의해 결합되며 제1흡입구(53)가 구비된 제1밸브(52)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튜브(50)의 저장용기(40) 상부측에는 상측으로 입구가 형성된 제2튜브(60)가 연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튜브(60)의 상단에는 제2단턱(61)에 의해 결합되며 제2흡입구(63)가 구비된 제2밸브(62)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분무기를 도 3a와 같이 똑바로 세우게 되면, 제1밸브(52)는 상단이 제1단턱(51)에 걸리며 하강되어 제1흡입구(53)와 제1튜브(50)의 입구를 연통한 상태가 되고, 제2밸브(62)는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제2튜브(60)의 입구를 폐쇄 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동작레버(42)를 작동하면 동작레버(42)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제1흡입구(53)와 제1밸브(52)를 통해 제1튜브(50)로 원액이 공급되어 배출장치(41)를 통해 분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거꾸로 세우게 되면, 제1밸브(52)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제1튜브(50)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가 되고, 제2밸브(62)는 상단이 제2단턱(61)에 걸리며 하강되어 제2흡입구(63)와 제2튜브(60)의 입구를 연통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동작레버(42)를 작동하면 제2흡입구(63)와 제2밸브(62)를 통해 제2튜브(60)로 원액이 공급되어 분무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 3a와 같이 똑바로 세웠을 때, 제2튜브(60)의 제2단턱(61) 상면과 제2밸브(62) 내면 상부가 완전히 밀폐될 수 없고, 도 3b와 같이 거꾸로 세웠을 때, 제1튜브(50)의 제1단턱(51) 상면과 제1밸브(52) 내면 상부가 완전히 밀폐될 수 없으므로, 공기가 흡입되어 원활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제1·제2단턱(51)(61) 상면과 제1·제2밸브(52)(62)의 내면 상부를 정밀가공하여야만 완전히 밀폐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분무기는 합성수지를 사출성형 또는 압출 등의 제작방법으로 제작하므로 정밀가공을 할 수 없어 완전한 밀폐성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분무기는 제1튜브(50)의 입구와 저장용기(40)의 최하단 사이에 제1밸브(52)가 유동하는 간격이 필요하여 그 간격 이하로 원액이 남아있으 면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거꾸로 세웠을 경우에도 제2밸브(62)가 유동하는 간격이 필요하여 그 간격 이하로 원액이 남아있으면 분무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원액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분무기를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원액이 충진되는 일반형 분무기 및 압축공기와 원액이 함께 충진되는 고압축형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서 사용하여도 원할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액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분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의 노즐이 상 또는 하 방향에서 레버의 동작에 의해 용기에 담긴 원액이 빨려 올라가 몸체의 노즐을 통해 분무되는 종래의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 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용기에 담긴 원액을 몸체로 안내하는 제1분사관과; 상기 제1분사관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며 용기의 내부 하단 근접 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1볼이 구비되며, 상기 제1볼이 제1분사관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1볼이 안착되는 제1볼안착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분사관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제1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에 담긴 원액이 제1분사관의 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흡입공이 형성된 제1커버를 구비한 제1밸브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 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용기에 담긴 원액을 몸체로 안내하는 제2분사관과; 상기 제2분사관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며 용기의 내부 상단 근접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2볼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볼이 제2분사관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2볼이 안착되는 제2볼안착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2분사관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제2볼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에 담긴 원액이 제2분사관의 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흡입공이 형성된 제2커버를 구비한 제2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제2볼안착부는 제1·제2볼과 대응하는 반원형의 요입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제2커버는 제1·제2밸브의 내부를 각각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분무기를 똑바로 세웠을 때에는 제2밸브가 밀폐되며 제1밸브를 통해 제1분사관으로 원액이 유입되어 노즐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고, 분무기를 거꾸로 세웠을 때에는 제1밸브가 밀폐되며 제2밸브를 통해 제2분사관으로 원액이 유입되어 노즐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므로, 분무기를 똑바로 세워 사용하거나 거꾸로 세워 사용하여도 분무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분무기를 똑바로 세워 제1분사관을 통해 원액이 흡입될 때에는 제2밸브의 제2볼이 압축공기에 의해 제2분사관의 입구를 완벽하게 폐쇄한 상태가 되고,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 제2분사관을 통해 원액이 흡입될 때에는 제1밸브의 제1볼이 압축공기에 의해 제1분사관의 입구를 완벽하게 폐쇄한 상태가 되므로, 확실 한 분사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원액이 조금 남아있다 하여도, 제1밸브의 제1흡입공과 용기의 하단이 근접되어 있고 제2밸브의 제2흡입공과 용기의 상단이 근접되어 있어, 원액이 제1밸브 또는 제2밸브로 쉽게 흡입되어 용기 내에 담겨진 원액을 거의 다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밸브와 제2밸브의 구성이 간단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가 매우 쉬운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분무기는, 본 발명이 요구하는 고압축형 분무기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액만을 충진하는 일반형 분무기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범위가 실로 광대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와 원액을 충진하는 분무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4a는 분무기를 똑바로 세워서 사용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분무기를 거꾸로 세워서 사용하는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몸체(100)의 노즐(101)이 상 또는 하 방향에서 레버(102)의 동작에 의해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빨려 올라가 몸체(100)의 노즐(101)을 통해 분무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110) 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용기(110)에 담긴 원액을 몸체(100)로 안내하는 제1분사관(120)과;
상기 제1분사관(12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며 용기(110)의 내부 하단 근접 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1볼(123)이 구비되며, 상기 제1볼(123)이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1볼(123)이 안착되는 제1볼안착부(122)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분사관(120)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제1볼(123)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제1분사관(120)의 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흡입공(125)이 형성된 제1커버(124)를 구비한 제1밸브(121)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110) 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용기(110)에 담긴 원액을 몸체(100)로 안내하는 제2분사관(130)과;
상기 제2분사관(130)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며 용기(110)의 내부 상단 근접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2볼(133)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볼(133)이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2볼(133)이 안착되는 제2볼안착부(132)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2분사관(130)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제2볼(133)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제2분사관(120)의 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흡입공(135)이 형성된 제2커버(134)를 구비한 제2밸브(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커버(124)(134) 각각의 내측둘레에는 결합돌기(126)(136)가 돌설되어 제1·제2밸브(121)(131)의 상부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과 같이, 원액이 담기는 용기(110)의 상부에는 레버(102)와 노즐(101)이 구비된 몸체(10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는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레버(102)의 동작에 의해 빨려 올라와 노즐(101)을 통해 분무가 이루어지도록 원액을 안내하는 제1분사관(120) 및 제2분사관(13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분사관(120)은 도면과 같이 수직관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몸체(100)와 연결되고 하부는 용기(11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분사관(120)의 하부에는 제1볼(123)이 구비된 제1밸브(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제1흡입공(125)이 수직상 관통되어 형성된 제1커버(124)가 제1밸브(121)의 하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구비된 제1볼(123)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분무기를 거꾸로 세웠을 때 제1볼(123)이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1볼(123)이 안착되는 제1볼안착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커버(124)는 용기(110)의 내부 최하단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용기(110)에 담겨진 원액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분사관(130)은 도면과 같이 "U"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몸체(100)와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11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2분사관(130)의 타측 끝단에는 제2볼(133)이 구비된 제2밸브(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제2흡입공(135)이 수직상 관통되어 형성된 제2커버(134)가 제2밸브(131)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구비된 제2볼(133)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분무기를 똑바로 세웠을 때 제2볼(133)이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2볼(133)이 안착되는 제2볼안착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커버(134)는 용기(110)의 내부 최상단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용기(110)에 담겨진 원액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제2볼안착부(122)(132)는 제1·제2볼(123)(133)과 대응하는 반원형의 요입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제2흡입공(125)(135)은 다수개의 원형구 멍으로 형성하거나, 직사각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원액이 제1·제2밸브(121)(13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그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분무기를 도 4a와 같이 똑바로 세우게 되면, 용기(110)의 상부에는 압축공기가 위치하고 하부에는 원액이 위치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제1밸브(121)의 제1볼(123)이 제1커버(124)에 접하며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제2밸브(130)의 제2볼(133)은 제2볼안착부(132)에 안착되어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2볼(133)은 압축공기에 의해 제2볼안착부(132)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가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레버(102)를 누르게 되면, 용기(110) 하부에 위치한 원액이 제1흡입공(125)과 제1밸브(121) 및 제1분사관(120)을 따라 흡입되어 몸체(100)의 노즐(101)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밸브(131)의 제2볼(133)이 제2볼안착부(132)에 밀착되어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확실하게 막고 있으므로, 레버(102)의 동작에 따라 용기(110)의 하부에 위치한 원액이 제1밸브(121)를 통해 제1분사관(120)으로만 유입되어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4b와 같이 본 발명 분무기를 거꾸로 세우게 되면, 거꾸로 세워진 용기(110)의 상부에는 압축공기가 위치하고 하부에는 원액이 위치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하게 되고, 제2밸브(130)의 제2볼(133)은 제2커버(134)에 접하며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개방하게 되고, 제1밸브(121)의 제1볼(123)은 제1볼안착부(122) 에 안착되어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볼(123)은 압축공기에 의해 제1볼안착부(122)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102)를 누르게 되면, 용기(110) 하부에 위치한 원액이 제2흡입공(135)과 제2밸브(131) 및 제2분사관(130)을 따라 흡입되어 몸체(100)의 노즐(101)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밸브(121)의 제1볼(123)이 제1볼안착부(122)에 밀착되어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확실하게 막고 있으므로, 레버(102)의 동작에 따라 용기(110)의 하부에 위치한 원액이 제2밸브(131)를 통해 제2분사관(130)으로만 유입되어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제2볼(123)(133)은 금속이나 유리 등 비중이 물보다 무거운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1·제2볼(123)(133)이 자중에 의해 제1·제2커버(124)(134)나 제1·제2안착부(122)(132)에 자연스럽게 위치되어 원활한 분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제2커버(124)(134) 각각의 내측 둘레에는 제1·제2밸브(121)(131)의 상부 내면에 결합되는 결합돌기(126)(136)가 돌설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제2커버(124)(134)는 각각의 결합돌기(126)(136)에 의하여 제1·제2밸브(121)(131)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제1·제2흡입공(125)(135) 또는 제1·제2분사관(120)(130)의 입구 등이 막히거나 제1·제2볼(123)(133) 또는 제1·제2밸브(121)(131)의 내부가 더러워졌을 경우에는, 제1·제2커버(124)(134)를 분리한 후 이들을 청소하고, 다시 제1·제2커버(124)(134)를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제2밸브(121)(131)에 있어, 제1·제2볼(123)(133)이 이동하며 제1·제2분사관(120)(130)의 입구를 각각 폐쇄할 수 있으므로 제1·제2볼안착부(122)(132)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제1·제2볼(123)(133)이 안정되게 위치되어야 확실한 폐쇄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1·제2볼(123)(133)과 대응하는 반원형의 요홈으로 이루어진 제1·제2볼안착부(122)(132)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무기의 용기(110) 내부 상·하부를 제1·제2밸브(121)(131)의 제1·제2흡입공(125)(135) 방향으로 각각 완만하게 경사진 홈 형상으로 형성하여, 용기(110)에 담겨진 원액을 제1·제2흡입공(125)(135) 방향으로 안내하여 모두 다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110) 내부에 원액만을 충진한 일반형 분무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바, 상기 분무기를 똑바로 세웠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제2볼(133)이 제2볼안착부(132)에 안착되며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막고 제1볼(123)은 제1커버(124)에 접하며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개방한 상태가 되어 레버(102)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원액은 제1밸브(121)를 통해 제1분사관(120)으로 공급되어 노즐(101)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버(102)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면 제2볼(133)은 제2볼안착부(132)에 더욱 밀착하게 되므로, 제1분사관(120)으로 레버(102)에 의해 발생한 모든 흡입력이 적용되어 원액이 제1밸브(121)를 통해 제1분사관(120)으로만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무기를 거꾸로 세웠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제1볼(123)이 제1볼안착부(122)에 안착되며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막고 제2볼(133)은 제2커버(134)에 접하며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개방한 상태가 되어 레버(102)에 의해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원액은 제2밸브(131)를 통해 제2분사관(130)으로 공급되어 노즐(101)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버(102)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하면 제1볼(123)은 제1볼안착부(122)에 더욱 밀착하게 되므로, 제2분사관(130)으로 레버(102)에 의해 발생한 모든 흡입력이 적용되어 원액이 제2밸브(131)를 통해 제2분사관(130)으로만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분무기는, 원액과 함께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고압축형 분무기에도 적용할 수 있고, 원액만이 충진되는 일반형 분무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제2밸브(121)(131)는 그 구성이 동일하지만 그 설치되는 위치와 방향이 각각 다르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1·제2밸브(121)(131)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밸브를 두 개 형성하여 각각의 위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분무기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압축공기와 원액을 충진하는 분무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 원액만을 충진하는 분무기의 작동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종래 원액만을 충진하는 다른 분무기의 작동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와 원액을 충진하는 분무기의 작동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01 - 노즐
102 - 레버 110 - 용기
120 - 제1분사관 121 - 제1밸브
122 - 제1볼안착부 123 - 제1볼
124 - 제1커버 125 - 제1흡입공
130 - 제2분사관 131 - 제2밸브
132 - 제2볼안착부 133 - 제2볼
134 - 제2커버 135 - 제2흡입공

Claims (3)

  1. 몸체(100)의 노즐(101)이 상 또는 하 방향에서 레버(102)의 동작에 의해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빨려 올라가 몸체(100)의 노즐(101)을 통해 분무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110) 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용기(110)에 담긴 원액을 몸체(100)로 안내하는 제1분사관(120)과;
    상기 제1분사관(120)의 하부 끝단에 연결되며 용기(110)의 내부 하단 근접 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1볼(123)이 구비되며, 상기 제1볼(123)이 제1분사관(12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1볼(123)이 안착되는 제1볼안착부(122)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1분사관(120)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제1볼(123)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제1분사관(120)의 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1흡입공(125)이 형성된 제1커버(124)를 구비한 제1밸브(121)와;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용기(110) 내부의 상단에 위치하여 용기(110)에 담긴 원액을 몸체(100)로 안내하는 제2분사관(130)과;
    상기 제2분사관(130)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며 용기(110)의 내부 상단 근접위치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제2볼(133)이 구비되며, 상기 제2볼(133)이 제2분사관(130)의 입구를 폐쇄하도록 제2볼(133)이 안착되는 제2볼안착부(132)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제2분사관(130)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어 제2볼(133)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110)에 담긴 원액이 제2분사관(120)의 입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흡입공(135)이 형성된 제2커버(134)를 구비한 제2밸브(1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커버(124)(134) 각각의 내측둘레에는 결합돌기(126)(136)가 돌설되어 제1·제2밸브(121)(131)의 상부 내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무기.
  2. 삭제
  3. 삭제
KR1020080053935A 2008-06-10 2008-06-10 분무기 KR10096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935A KR100960029B1 (ko) 2008-06-10 2008-06-10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935A KR100960029B1 (ko) 2008-06-10 2008-06-10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979A KR20090127979A (ko) 2009-12-15
KR100960029B1 true KR100960029B1 (ko) 2010-05-28

Family

ID=4168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935A KR100960029B1 (ko) 2008-06-10 2008-06-10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77B1 (ko) * 2015-05-04 2016-0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로졸 스프레이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5997B1 (ko) * 2020-08-11 2021-11-15 주식회사 자람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FR3133545A1 (fr) * 2022-03-17 2023-09-22 Aptar France Sas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300A (ja) 1998-07-15 2000-02-02 Lion Corp 噴射容器用チューブ
KR200424514Y1 (ko) 2006-05-25 2006-08-28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0438751Y1 (ko) 2007-02-14 2008-03-0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300A (ja) 1998-07-15 2000-02-02 Lion Corp 噴射容器用チューブ
KR200424514Y1 (ko) 2006-05-25 2006-08-28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KR200438751Y1 (ko) 2007-02-14 2008-03-06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도립의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한 트리거식 분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77B1 (ko) * 2015-05-04 2016-0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로졸 스프레이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979A (ko) 200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816B1 (ko) 내용물 정량 토출과 누액방지 및 변질방지 기능을 갖는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TWI548569B (zh) 擠壓容器
US8561852B2 (en) Dosing head for dispensing a fluid from a container
CN107472683B (zh) 一种具有回吸功能的乳液泵
KR20090077997A (ko) 수동식 분사펌프
KR100960029B1 (ko) 분무기
KR200467835Y1 (ko) 거품 발생 펌프
US7694355B2 (en) Pressure vessel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KR102146624B1 (ko) 버큠 로리의 메인 맨홀
KR101578115B1 (ko) 세안장치
KR200383098Y1 (ko) 화장품 용기의 노즐 개폐장치
KR20200118548A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KR101012546B1 (ko) 진공펌핑 용기
KR102295465B1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CN109661276B (zh) 防水型泵分配器
KR20150120041A (ko) 거품펌프
KR102125725B1 (ko) 펌프 디스펜서
KR200406686Y1 (ko) 액체용기용 펌프 어셈블리
KR102629163B1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KR102517636B1 (ko)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도 내용물만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압축공기 가압식 스프레이 용기
KR102668396B1 (ko) 유체 펌프디스펜서
KR101681838B1 (ko) 거품 생성 펌프 용기
CN218432683U (zh) 一种液体分配器的蓄压喷射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