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997B1 -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 Google Patents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997B1
KR102325997B1 KR1020200100500A KR20200100500A KR102325997B1 KR 102325997 B1 KR102325997 B1 KR 102325997B1 KR 1020200100500 A KR1020200100500 A KR 1020200100500A KR 20200100500 A KR20200100500 A KR 20200100500A KR 102325997 B1 KR102325997 B1 KR 10232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tainer
liquid
unit
pump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람
Priority to KR1020200100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997B1/ko
Priority to PCT/KR2021/010635 priority patent/WO202203520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05B11/3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1074Springs located outside pump chambe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용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제1챔버와 제2챔버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용기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분리하는 격벽;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제1베어링;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피스톤;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제2챔버로 액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흡입부; 상기 제2챔버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부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Reversible pump for using residual liquid}
본 발명은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가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샴푸, 린스, 바디워시, 주방세제, 화장품 등 어느 정도 점성을 가지고 있는 유체는 액체 용기에 담아져 사용자에게 유통된다. 액체 용기는 뚜껑이 구비되면서 뚜껑을 열고 닫아서 사용하는 액체 용기가 있으며, 나사형 펌핑기를 사용하여 나사형 펌핑기를 통해 액체 용기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체 용기가 있다.
나사형 펌핑기를 사용하는 액체 용기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점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액상물을 용기에서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각각의 다른 토출압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1회 토출량도 제품마다 차이가 있다. 또한, 액체 용기의 높이나 용량도 제품마다 차이가 있어, 펌핑기를 대부분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펌핑기를 사용하는 액체 용기는 높이에 따라 흡입호스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액체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최대한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액체 용기 바닥에 완전히 밀착시키지 않고 약간의 간격을 두면서, 흡입호스 말단을 사선으로 재단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펌핑기를 사용하는 액체 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호스는 액체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액체 용기 바닥에 밀착되지 않으면서 용기 바닥과 이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펌핑기를 통해서는 액체 용기 내 액체를 끝까지 토출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에서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의 잔량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액체 잔량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는 것은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체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되면, 액체 잔량에 의해 환경 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서, 액체 용기를 거꾸로 놓았다가 뚜껑을 열어 사용할 수는 있으나, 액체가 뚜껑 오픈부 부분에 몰려있어 필요한 양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액체가 한 번에 쏟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액체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 액체 용기 내부에 물을 보충하여 흔들어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 액체 용기 내부에서 단시간에 세균 번식 및 세균 감염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가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용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제1챔버와 제2챔버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용기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분리하는 격벽;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제1베어링;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피스톤;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제2챔버로 액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흡입부; 상기 제2챔버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부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 상면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격벽 상부에서 돌출 연장되는 스프링 돌기와, 상기 스프링 돌기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펌프부의 상기 머리부 하부와 상기 격벽 상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펌프부의 상기 머리부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배치되는 삽입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 사이 공간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토출부;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2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는 상기 제1챔버의 유체가 상기 제1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는 상기 제2챔버의 유체가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제1이동 유로와,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2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제2이동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제1챔버 상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제1공기 배출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 상부에는,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제2공기 배출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용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챔버가 구비된 실린더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실린더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챔버와 연통된 연결공; 상기 연결공과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연결공과 상기 흡입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제1베어링; 상기 연결공으로 액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흡입부; 상기 연결공과 상기 흡입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부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는, 회전을 통해 상기 흡입관과 상기 흡입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연결공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 상면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펌프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실린더에 결합되며, 상기 실린더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이얼이 구비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챔버 상부에는, 상기 챔버와 연통되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 배출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부와,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챔버와 상기 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이동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가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펌핑기를 사용함에 따라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액체의 잔량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부의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펌프부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평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저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4(c)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펌프부가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할 때 제2챔버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펌프부가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2챔버의 액체가 제2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펌프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챔버 하부에 구비된 연결공과 흡입관이 연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챔버 하부에 구비된 연결공과 흡입부가 연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고, 펌프부를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 챔버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고, 펌프부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에 따라 챔버의 액체가 토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가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용기(110,3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도 1 및 도 7과 같이 상기 용기(110,310)를 세워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며, 상기 용기(110,3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된다는 것은, 도 6, 도 7, 도 13, 도 14와 같이 상기 용기(110,310)를 뒤집어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용기(110), 본체부(120), 격벽(123), 흡입관(131), 제1베어링(132), 펌프부(200), 제1피스톤(221), 제2피스톤(231), 흡입부(141), 제2베어링(142)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110)는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111)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공간(111)과 연통되는 결합공(11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112)은 외부로 열려 있는 구멍일 수 있으며, 상기 결합공(112)에 후술할 상기 본체부(120)가 결합된다.
상기 용기(11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로, 상기 용기(11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질, 경질, 유리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용기(110)에 저장되는 액체는 샴푸, 린스, 바디워시, 주방세제, 화장품 등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용기(110)에 저장되면서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액체라면 상기 액체는 다양한 액체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20)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결합공(112)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 액체가 유입되는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 액체가 유입되는 상기 제2챔버(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상기 격벽(123)을 통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상기 용기(110)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격벽(123)은 상기 본체부(120)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용기(110)의 횡방향이라 함은, 도 1의 가로 방향(상기 용기(110)의 폭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10)의 종방향이라 함은, 도 1의 세로 방향(상기 용기(110)의 높이 방향)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상기 용기(110)의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격벽(123)은 상기 용기(1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구획,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격벽(123)은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기 제2챔버(140)로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구획,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0)는 상기 용기(1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20)의 중간부와 하부가 상기 용기(11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본체부(120)의 상부가 상기 결합공(112)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120)를 상기 결합공(112)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20) 상부에는 뚜껑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0)의 중간부와 하부가 상기 결합공(112)을 통과하여 상기 용기(11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뚜껑부(121)를 상기 결합공(112)의 외측에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부(120)가 상기 용기(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21)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110)의 상기 결합공(112)의 외측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21)와 상기 결합공(112)의 외측이 나사 조립되면서 상기 본체부(120)가 상기 용기(1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120)와 상기 용기(110)의 결합은 나사 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120)의 상부를 상기 용기(110)의 상기 결합공(112)에 결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뚜껑부(121)의 상부에는 마개부(1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부(122)는 후술할 상기 펌프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펌프부(200)는 상기 본체부(120) 내부를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마개부(122)는 상기 펌프부(200)가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펌프부(20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관(131)은 상기 제1챔버(130)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120)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관(131)은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131)은 상기 본체부(120)에서 상기 용기(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흡입관(131)을 통해 상기 제1챔버(130)로 상기 용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가 이동된다.
상기 제1베어링(132)은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흡입관(131)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131)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베어링(132)은 구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입관(131)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챔버(130)의 압력에 따라 상기 흡입관(131)을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부(200)는 상기 본체부(1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20)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2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210)는 상기 펌프부(2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제공되는 지점으로, 사용자는 상기 머리부(210)를 누름으로써 상기 펌프부(200)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펌프부(200)에는,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20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챔버(13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피스톤(221)과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20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챔버(1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피스톤(2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피스톤(221)은 상기 제1피스톤(221)의 하부 단면적이 상기 제1챔버(130)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1챔버(13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1피스톤(221)이 상기 제1챔버(130)에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챔버(130) 내부 공간을 이완시키거나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피스톤(221)의 하부에는 제1피스톤 스토퍼(2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피스톤 스토퍼(223)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챔버(130)의 내부 공간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제2피스톤(231)은 상기 제2피스톤(231)의 하부 단면적이 상기 제2챔버(140)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2챔버(14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2피스톤(231)이 상기 제2챔버(140)에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챔버(140) 내부 공간을 이완시키거나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피스톤(231)의 하부에는 제2피스톤 스토퍼(23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2피스톤 스토퍼(233)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챔버(140)의 내부 공간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펌프부(200)는 상기 제1피스톤(221)이 결합되는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피스톤(231)이 결합되는 제2펌프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펌프부(230)는 상기 용기(110)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기 머리부(210)에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펌프부(220)의 상기 제1피스톤(221)과 상기 제2펌프부(230)의 상기 제2피스톤(231)은 상기 용기(110)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는 상기 용기(110)의 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에 각각 삽입되는 상기 제1피스톤(221)과 상기 제2피스톤(231)도 상기 용기(110)의 횡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즉, 상기 머리부(210)에는 상기 제1피스톤(221)을 포함하는 상기 제1펌프부(220)와 상기 제2피스톤(231)을 포함하는 상기 제2펌프부(230)가 상기 용기(110)의 횡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서로 분리되어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펌프부(200)의 상기 머리부(210)에는, 상기 제1챔버(13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토출부(211)와 상기 제2챔버(14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토출부(2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1토출부(211)와 상기 제2토출부(212)는 상기 머리부(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제1토출부(211)와 상기 제2토출부(212)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통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토출부(211)와 상기 제2토출부(212)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부(200) 내부에는,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1토출부(211)를 연결시키는 제1이동 유로(222)와 상기 제2챔버(140)와 상기 제2토출부(212)를 연결시키는 제2이동 유로(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동 유로(222)는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1토출부(211) 사이에 연결된 유체 통로이며, 상기 제2이동 유로(232)는 상기 제2챔버(140)와 상기 제2토출부(212) 사이에 연결된 유체 통로이다. 상기 제1이동 유로(222)는 상기 제1펌프부(2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이동 유로(232)는 상기 제2펌프부(230)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20)와 상기 펌프부(200) 사이에는 스프링(15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52)은 상기 펌프부(20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펌프부(200)의 상기 머리부(210)가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상기 스프링(152)이 압축되면서 상기 머리부(21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머리부(21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1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머리부(210)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20)의 상기 격벽(123)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152)이 끼워지기 위한 스프링 돌기(1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돌기(151)는 상기 격벽(123) 상부에서 돌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15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152)은 상기 펌프부(200)의 상기 머리부(210) 하부와 상기 격벽(123)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프링(152)의 일단은 상기 격벽(123) 상부에 의해 지지된다.
도 2, 도 3(a),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펌프부(200)의 상기 머리부(210)의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152)이 배치되는 삽입공간(2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213)은 상기 제1피스톤(221)과 상기 제2피스톤(231) 사이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공간(213)에 상기 스프링 돌기(151)와 상기 스프링(15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부(200)의 상기 머리부(210)가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일단이 상기 격벽(123) 상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스프링(152)이 압축되면서 상기 머리부(21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머리부(21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스프링(1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머리부(210)는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도 4(a), 도 4(b), 도 4(c),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20)에는 상기 제2챔버(140)로 액체를 유입시키는 흡입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1)는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과 연통된 것으로,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는 상기 흡입부(141)를 통해 상기 제2챔버(14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1)는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부(141)는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 상기 용기(110)의 액체(액체 잔량)는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110)의 상부라 함은,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의 윗부분을 말한다.)
상기 흡입부(141)는 액체 잔량을 소비하기 위해 상기 제2챔버(140)로 액체 잔량을 이동시키는 입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흡입부(141)는 상기 용기(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 상면에는 상기 흡입부(141)와 상기 내부 공간(111)을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11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 상면이라 함은,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의 상기 내부 공간(111)의 윗면을 말한다.)
상기 연결 유로(113)는 상기 흡입부(141)와 상기 내부 공간(111)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내부 공간(111)의 액체는 상기 연결 유로(113)를 통해 상기 흡입부(141)로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제1챔버(130)의 유체가 상기 제1토출부(211)로 배출되며,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제2챔버(140)의 유체가 상기 제2토출부(212)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저장된 액체는, 상기 흡입관(131)-상기 제1챔버(130)-상기 제1이동 유로(222)-상기 제1토출부(211)의 순서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는,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저장된 액체는 중력에 의해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이게 되며,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인 액체는, 상기 용기(110)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연결 유로(113)-상기 흡입부(141)-상기 제2챔버(140)-상기 제2이동 유로(232)-상기 제2토출부(212)의 순서로 이동되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41)와 상기 제2챔버(140) 사이에는, 상기 제2챔버(140)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1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제2챔버(140)와 상기 흡입부(141)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챔버(140)는 상기 흡입부(141)와 상기 용기(110)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연결 유로(113)를 통해서만 상기 용기(110)의 상기 내부 공간(111)과 연통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베어링(142)을 통해 상기 제2챔버(140)와 상기 흡입부(141) 사이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베어링(132)과 상기 제2베어링(142)은 구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흡입관(131) 사이 또는 상기 제2챔버(140)와 상기 흡입부(141) 사이를 개폐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를 상기 흡입관(131)-상기 제1챔버(130)-상기 제1이동 유로(222)-상기 제1토출부(211)의 순서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것이며,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를 상기 연결 유로(113)-상기 흡입부(141)-상기 제2챔버(140)-상기 제2이동 유로(232)-상기 제2토출부(212)의 순서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작동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1토출부(211)를 통해 상기 용기(110)의 액체가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200)가 눌려지게 된다.
상기 펌프부(200)가 눌림에 따라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피스톤(221)이 상기 제1챔버(130)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132)은 상기 제1챔버(130) 공간이 압축되면서 발생한 압축력에 의해 외부로 밀리면서 상기 흡입관(131)의 입구를 막게 된다. (상기 제1베어링(132)은 상기 흡입관(131)의 입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구슬 형태로 상기 흡입관(131)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흡입관(131)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펌프부(200)의 상기 머리부(210)와 상기 격벽(123)의 상부 사이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1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펌프부(200)는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피스톤(221)도 함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제1피스톤(221)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의 공간이 이완되면서 상기 제1베어링(132)이 들리게 되고, 상기 흡입관(131)을 통해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구비된 액체가 상기 제1챔버(130)로 유입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에 다시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200)가 눌려지면서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피스톤(221)이 상기 제1챔버(130)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가 압축된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132)은 상기 흡입관(131)을 다시 막게 된다.)
상기 제1챔버(130)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에 유입된 액체도 압축력을 받아 상기 제1이동 유로(222)로 이동되고, 상기 제1이동 유로(222)로 이동된 액체는 상기 제1토출부(21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로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가 유입된다.
상기 용기(1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제2토출부(212)를 통해 상기 용기(110)의 액체가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는,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사용하다가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가 배출되지 않을 만큼의 액체 잔량이 남았을 경우이다.
사용자는 상기 흡입관(131)-상기 제1챔버(130)-상기 제1이동 유로(222)-상기 제1토출부(211)의 순서로 액체를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남아있는 액체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 상기 용기(110)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사용자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한 이후에, 상기 머리부(21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200)가 눌려지게 된다. 상기 펌프부(200)가 눌림에 따라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피스톤(231)이 상기 제2챔버(140)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를 압축하게 된다. (상부는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윗 방향을 말하며, 하부는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아랫 방향을 말한다.)
이때,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제2챔버(140) 공간이 압축되면서 발생한 압축력에 의해 외부로 밀리면서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를 막게 된다.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 직경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구슬 형태로 상기 흡입부(141)로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제2챔버(140)를 막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펌프부(200)의 상기 머리부(210) 하부와 상기 본체부(120)의 상기 격벽(123) 상부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1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펌프부(200)는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피스톤(231)도 함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제2피스톤(231)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의 공간이 이완되면서 상기 제2베어링(142)이 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가 열리게 된다.
상기 용기(110)의 내부 공간(111)에 구비된 액체는, 상기 제2챔버(140)의 공간이 이완되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110)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연결 유로(113)를 거쳐 상기 흡입부(141)를 통해 상기 제2챔버(140)로 유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에 다시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200)가 눌려지면서 상기 펌프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피스톤(231)이 상기 제2챔버(140)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가 압축된다. (이때, 상기 제2베어링(142)은 상기 제2챔버(140)의 입구를 다시 막게 된다.)
상기 제2챔버(140)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에 유입된 액체도 압축력을 받아 상기 제2이동 유로(232)로 이동되고, 상기 제2이동 유로(232)로 이동된 액체는 상기 제2토출부(212)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2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로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가 유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술한 작동방법을 통해, 상기 용기(110)가 정방향으로 세워졌을 때와 역방향으로 세워졌을 때 모두 상기 용기(110) 내부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용기(110)를 정방향으로 사용하다가 더 이상 액체가 배출되지 않을 때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게 되며, 이를 통해 액체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제1챔버(130) 상부에는 제1공기 배출 구멍(13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챔버(140) 상부에는 제2공기 배출 구멍(1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에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제1피스톤(221)과 상기 제2피스톤(231)이 이완될 때,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피스톤(221)과 상기 제2피스톤(231)이 용이하게 이완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상기 제1공기 배출 구멍(133)과 상기 제2공기 배출 구멍(143)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1공기 배출 구멍(133)은 상기 제1챔버(13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챔버(13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2공기 배출 구멍(143)은 상기 제2챔버(14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2챔버(14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공기 배출 구멍(133)과 상기 제2공기 배출 구멍(143)을 통해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의 압력을 낮추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제1챔버(130)와 상기 제2챔버(14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피스톤(221)과 상기 제2피스톤(231)이 용이하게 이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하나의 챔버를 사용하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를 통해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액체를 용기 밖으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용기(310), 본체부(320), 챔버(322)가 구비된 실린더(321), 연결공(323), 흡입관(331), 제1베어링(332), 흡입부(341), 제2베어링(342), 펌프부(200), 피스톤(421)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31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용기로, 상기 용기(310)는 액체를 저장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질, 경질, 유리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용기(310)에 저장되는 액체는 샴푸, 린스, 바디워시, 주방세제, 화장품 등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용기(310)에 저장되면서 양방향 펌핑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액체라면 상기 액체는 다양한 액체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320)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챔버(322)가 구비된 상기 실린더(321)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320)는 상기 결합공(312)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시 실린더(321)는 상기 본체부(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321)의 하부에는 상기 챔버(322)와 연통되는 연결공(32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공(323)은 상기 챔버(322)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챔버(322)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공(323)이 형성된 이외의 부분은 막혀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공(323)은 상기 실린더(321)의 회전을 통해 후술할 상기 흡입관(331) 또는 상기 흡입부(341)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공(323)은 상기 흡입관(331)과는 연통되면서 상기 흡입부(341)와는 연통되지 않을 수 있으며(상기 흡입부(341)는 막혀있는 상태), 상기 실린더(3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관(331)과는 연통되지 않으면서(상기 흡입관(331)은 막혀있는 상태), 상기 흡입부(34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하우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320)의 중간부와 하부가 상기 용기(310)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본체부(320)의 상부가 상기 결합공(312)에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320)를 상기 결합공(312)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320) 상부에는 뚜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320)의 중간부와 하부가 상기 결합공(312)을 통과하여 상기 용기(310) 내부 공간(311)으로 삽입된 이후에, 상기 뚜껑부를 상기 결합공(312)의 외측에 결합시키면, 상기 본체부(320)가 상기 용기(3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310)의 상기 결합공(312)의 외측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와 상기 결합공(312)의 외측이 나사 조립되면서 상기 본체부(320)가 상기 용기(31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본체부(320)와 상기 용기(310)의 결합은 나사 결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본체부(320)의 상부를 상기 용기(310)의 상기 결합공(312)에 결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뚜껑부의 상부에는 마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마개부는 후술할 상기 펌프부(4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펌프부(400)는 상기 본체부(320) 내부를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것인데, 상기 마개부는 상기 펌프부(400)가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할 때 흔들리지 않도록 상기 펌프부(40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펌프부(400)는 상기 본체부(3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320)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41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머리부(410)는 상기 펌프부(4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힘을 제공하는 지점으로, 사용자는 상기 머리부(410)를 누름으로써 상기 펌프부(400)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350)은 상기 펌프부(400)와 상기 본체부(3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펌프부(40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350)은 상기 본체부(320)의 상부와 상기 머리부(410)의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를 눌러 상기 펌프부(400)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스프링(350)은 압축되면서 상기 펌프부(40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게 되고, 사용자의 힘이 제거되면, 상기 펌프부(400)는 상기 스프링(35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펌프부(400)에는, 상기 펌프부(400)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40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챔버(322)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피스톤(4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421)은 상기 피스톤(421)의 하부 단면적이 상기 챔버(322)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상기 챔버(322)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으로, 상기 피스톤(421)이 상기 챔버(322)에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챔버(322) 내부 공간을 이완시키거나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스톤(421)의 하부에는 피스톤 스토퍼(4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스토퍼(423)가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챔버(322)의 내부 공간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펌프부(400)의 상기 머리부(410)에는, 상기 챔버(322)와 연통되면서 상기 챔버(322)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411)는 상기 머리부(4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상기 펌프부(400) 내부에는, 상기 챔버(322)와 상기 토출부(411)를 연결시키는 이동 유로(4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유로(422)는 상기 챔버(322)와 상기 토출부(411) 사이에 연결된 유체 통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관(331)은 상기 챔버(322)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320)의 외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관(331)은 상기 용기(3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관(331)은 상기 본체부(320)에서 상기 용기(11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3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흡입관(331)을 통해 상기 챔버(322)로 상기 용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가 이동된다.
상기 제1베어링(332)은 상기 챔버(322)와 상기 흡입관(331)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331)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베어링(332)은 구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흡입관(331)의 입구에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챔버(322)의 압력에 따라 상기 흡입관(331)을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체부(320)에는 상기 챔버(322)로 액체를 유입시키는 상기 흡입부(3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341)는 상기 용기(310)의 내부 공간(311)과 연통된 것으로, 상기 용기(310)의 내부 공간(311)에 저장되어 있는 액체는 상기 흡입부(341)를 통해 상기 챔버(322)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341)는 상기 용기(3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부(341)는 상기 용기(3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3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 상기 용기(310)의 액체(액체 잔량)는 상기 용기(310)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310)의 상부라 함은, 상기 용기(3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의 윗부분을 말한다.)
상기 흡입부(341)는 액체 잔량을 소비하기 위해 상기 챔버(322)로 액체 잔량을 이동시키는 입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흡입부(341)는 상기 용기(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 도 12(b),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310)의 내부 공간(311) 상면에는 상기 흡입부(341)와 상기 내부 공간(311)을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313)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310)의 내부 공간(311) 상면이라 함은, 상기 용기(3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의 상기 내부 공간(111)의 윗면을 말한다.)
상기 연결 유로(313)는 상기 흡입부(341)와 상기 내부 공간(311)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내부 공간(311)의 액체는 상기 연결 유로(313)를 통해 상기 흡입부(341)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부(341)와 상기 챔버(322) 사이에는, 상기 챔버(322)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3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342)은 상기 챔버(322)와 상기 흡입부(341)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챔버(322)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베어링(342)은 구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챔버(322)와 상기 흡입부(3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베어링(342)은 상기 챔버(322)의 압력에 따라 상기 제2챔버(140)를 열리고 닫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용기(310)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흡입관(331)-상기 제1베어링(332)-상기 연결공(323)-상기 챔버(322)의 경로를 따라서 상기 챔버(322)의 유체를 상기 토출부(411)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용기(3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310)의 내부 공간(311)에 저장된 액체는 중력에 의해 상기 용기(310)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상기 용기(310)의 상부로 모인 액체는, 상기 용기(310)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연결 유로(313)-상기 흡입부(341)-상기 제2베어링(342)-상기 연결공(323)-상기 챔버(322)의 경로를 따라서 상기 챔버(322)의 유체가 상기 토출부(411)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3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흡입관(331)-상기 제1베어링(332)-상기 연결공(323)-상기 챔버(322)가 연통되도록 도 12(a)와 같이 상기 실린더(321)를 회전시킨다. 이후, 상기 용기(3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는 상기 흡입부(341)-상기 제2베어링(342)-상기 연결공(323)-상기 챔버(322)가 연통되도록 도 12(b)와 같이 상기 실린더(3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 도 11, 도 12(a),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실린더(321)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이얼(325)이 구비된 연결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325)은 상기 본체부(32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325)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이얼(325)은 상기 연결부(324)를 통해 상기 실린더(32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24)는 상기 실린더(321)와 상기 다이얼(325)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324)는 상기 실린더(32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24)를 통해 상기 다이얼(325)과 상기 실린더(321)를 결합시키면, 상기 다이얼(325)-상기 연결부(324)-상기 실린더(321)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325)을 회전시키면, 상기 다이얼(325)-상기 연결부(324)-상기 실린더(32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321)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321)의 상기 챔버(322) 하부에 구비된 상기 연결공(323)도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흡입관(331) 및 상기 챔버(322) 또는 상기 흡입부(341) 및 상기 챔버(322)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기 용기(3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310) 내부의 액체를 상기 흡입관(331)-상기 제1베어링(332)-상기 연결공(323)-상기 챔버(322)-상기 이동 유로(422)-상기 토출부(411)의 순서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것이며, 상기 용기(3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310) 내부의 액체를 상기 연결 유로(313)-상기 흡입부(341)-상기 제2베어링(342)-상기 연결공(323)-상기 챔버(322)-상기 이동 유로(422)-상기 토출부(411)의 순서로 이동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작동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용기(3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토출부(411)를 통해 상기 용기(310)의 액체가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325)을 회전시켜, 도 12(a)와 같이 상기 실린더(321)의 상기 챔버(322) 하부에 구비된 상기 연결공(323)이 상기 흡입관(331)과 연통되도록 한다.(이때, 상기 챔버(322)와 상기 흡입부(341) 사이는 상기 챔버(322)의 하부벽에 의해 막혀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400)가 눌려지게 된다. 상기 펌프부(400)가 눌림에 따라 상기 펌프부(4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421)이 상기 챔버(322)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챔버(322)를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332)은 상기 챔버(322) 공간이 압축되면서 발생한 압축력에 의해 외부로 밀리면서 상기 흡입관(331)의 입구를 막게 된다. (상기 제1베어링(332)은 상기 흡입관(331)의 입구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구슬 형태로 상기 흡입관(331)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흡입관(331)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펌프부(400)와 상기 본체부(32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3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펌프부(400)는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펌프부(4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421)도 함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421)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챔버(322)의 공간이 이완되면서 상기 제1베어링(332)이 들리게 되고, 상기 흡입관(331)을 통해 상기 용기(310)의 내부 공간(311)에 구비된 액체가 상기 연결공(323)을 거쳐 상기 챔버(322)로 유입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에 다시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400)가 눌려지면서 상기 펌프부(4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421)이 상기 챔버(322)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챔버(322)가 압축된다. (이때, 상기 제1베어링(332)은 상기 흡입관(331)을 다시 막게 된다.)
상기 챔버(322)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챔버(322)에 유입된 액체도 압축력을 받아 상기 이동 유로(422)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 유로(422)로 이동된 액체는 상기 토출부(41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챔버(322)로 상기 용기(310) 내부의 액체가 유입된다.
상기 용기(3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상기 토출부(411)를 통해 상기 용기(310)의 액체가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3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는, 상기 용기(310)를 정방향으로 사용하다가 상기 용기(310) 내부의 액체가 배출되지 않을 만큼의 액체 잔량이 남았을 경우이다.
사용자는 남아있는 액체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3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한다. 상기 용기(310)가 역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액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325)을 회전시켜 도 12(b)와 같이 상기 실린더(321)의 상기 챔버(322) 하부에 구비된 상기 연결공(323)이 상기 흡입부(341)와 연통되도록 한다.(이때, 상기 챔버(322)와 상기 흡입관(331) 사이는 상기 챔버(322)의 하부벽에 의해 막혀있게 된다.) 상기 용기(1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 상기 용기(110)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 상기 용기(110)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사용자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용기(3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한 이후에, 상기 머리부(410)에 힘을 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400)가 눌려지게 된다. 상기 펌프부(400)가 눌림에 따라 상기 펌프부(4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421)이 상기 챔버(322)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챔버(322)를 압축하게 된다. (상부는 상기 용기(3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윗 방향을 말하며, 하부는 상기 용기(310)가 정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아랫 방향을 말한다.)
이때, 상기 제2베어링(342)은 상기 챔버(322) 공간이 압축되면서 발생한 압축력에 의해 외부로 밀리면서 상기 챔버(322)와 상기 흡입부(341) 사이의 공간을 막게 된다. (상기 제2베어링(342)은 상기 흡입부(341)의 직경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구슬 형태로 상기 흡입부(341)로 삽입되지 않으면서 상기 챔버(322)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펌프부(400)와 상기 본체부(32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스프링(3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펌프부(400)는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펌프부(4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421)도 함께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421)이 상부로 슬라이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챔버(322)의 공간이 이완되면서 상기 제2베어링(342)이 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챔버(322)의 입구가 열리게 된다.
상기 용기(310)의 내부 공간(311)에 구비된 액체는, 상기 챔버(322)의 공간이 이완되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310)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연결 유로(313)와 상기 흡입부(341)를 거쳐 상기 연결공(323)을 통해 상기 챔버(322)로 유입된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에 다시 힘을 가하면, 상기 펌프부(400)가 눌려지면서 상기 펌프부(40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피스톤(421)이 상기 챔버(322)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챔버(322)가 압축된다. (이때, 상기 제2베어링(342)은 상기 챔버(322)의 입구를 다시 막게 된다.)
상기 챔버(322)가 압축됨에 따라 상기 챔버(322)에 유입된 액체도 압축력을 받아 상기 이동 유로(422)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 유로(422)로 이동된 액체는 상기 토출부(411)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사용자가 상기 머리부(4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상술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챔버(322)로 상기 용기(310) 내부의 액체가 유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상술한 작동방법을 통해, 상기 용기(310)가 정방향으로 세워졌을 때와 역방향으로 세워졌을 때 모두 상기 용기(310) 내부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용기(310)를 정방향으로 사용하다가 더 이상 액체가 배출되지 않을 때 상기 용기(310)를 역방향으로 배치하면서 상기 다이얼(325)을 돌려 상기 실린더(321)의 상기 챔버(322) 하부에 구비된 상기 연결공(323)과 상기 흡입부(341)를 연통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액체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의 상기 챔버(322) 상부에는 공기 배출 구멍(3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322)에서 상, 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상기 피스톤(421)이 이완될 때, 상기 챔버(322)의 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421)이 용이하게 이완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상기 공기 배출 구멍(333)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 배출 구멍(333)은 상기 챔버(322)와 연통되면서 상기 챔버(322)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기 배출 구멍(333)을 통해 상기 챔버(322)의 압력을 낮추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챔버(322)의 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421)이 용이하게 이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의 펌핑기의 흡입호스는, 액체 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액체 용기 바닥에 밀착시키지 않고 용기 바닥과 이격됨에 따라 액체 용기 내 액체를 끝까지 토출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에서 바닥에 남아있는 액체의 잔량은 상당히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이 액체 잔량을 사용하지 않고 버리는 것은 비경제적이며, 액체 잔량에 의해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액체 용기 내부에 남아있는 액체 잔량을 사용하기 위해서, 액체 용기를 거꾸로 놓았다가 뚜껑을 열어 사용할 수는 있으나, 액체가 뚜껑 오픈부 부분에 몰려있어 필요한 양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의 액체가 한 번에 쏟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와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에 모두 액체를 용기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음에 따라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 펌프부-제2피스톤-제2베어링를 이용하여 흡입부-제2챔버-제2이동 유로-제2토출부로 액체를 배출시킴에 따라 액체 잔량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를 저장하는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경우에 다이얼을 통해 챔버가 구비된 실린더를 회전시켜 용기의 내부 공간-흡입부-제2베어링-챔버-이동 유로-토출부를 연통시키면서 액체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흡입관-제1베어링-챔버는 연통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액체 잔량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는 액체의 잔량을 마지막까지 소비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액체의 잔량이 버려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용기 111...내부 공간
112...결합공 113...연결 유로
120...본체부 121...뚜껑부
122...마개부 123...격벽
130...제1챔버 131...흡입관
132...제1베어링 133...제1공기 배출 구멍
140...제2챔버 141...흡입부
142...제2베어링 143...제2공기 배출 구멍
151...스프링 돌기 152...스프링
200...펌프부 210...머리부
211...제1토출부 212...제2토출부
213...삽입공간 220...제1펌프부
221...제1피스톤 222...제1이동 유로
223...제1피스톤 스토퍼 230...제2펌프부
231...제2피스톤 232...제2이동 유로
233...제2피스톤 스토퍼
310...용기 311...내부 공간
312...결합공 313...연결 유로
320...본체부 321...실린더
322...챔버 323...연결공
324...연결부 325...다이얼
331...흡입관 332...제1베어링
333...공기 배출 구멍 341...흡입부
342...제2베어링 350...스프링
400...펌프부 410...머리부
411...토출부 421...피스톤
422...이동 유로 423...피스톤 스토퍼

Claims (13)

  1.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펌핑기에 있어서,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공이 구비된 용기;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며, 내부에 액체가 저장될 수 있는 제1챔버와 제2챔버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용기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분리하는 격벽;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흡입관; 상기 제1챔버와 상기 흡입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관을 개폐시키는 제1베어링;
    상기 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는 머리부를 포함하는 펌프부;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피스톤; 상기 펌프부에 결합되어 상기 펌프부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챔버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피스톤;
    상기 제2챔버로 액체를 유입시킬 수 있는 흡입부;
    상기 제2챔버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흡입부를 개폐시키는 제2베어링;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토출부; 상기 펌프부의 머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2챔버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토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기를 정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는 상기 제1챔버의 유체가 상기 제1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용기를 역방향으로 배치하였을 때는 상기 제2챔버의 유체가 상기 제2토출부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 상면에서부터 연장되며, 상기 흡입부와 상기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기 격벽 상부에서 돌출 연장되는 스프링 돌기;
    상기 스프링 돌기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펌프부의 상기 머리부 하부와 상기 격벽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의 상기 머리부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배치되는 삽입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공간은 상기 제1피스톤과 상기 제2피스톤 사이 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1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제1이동 유로;
    상기 펌프부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2토출부를 연결시키는 제2이동 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상부에는,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제1공기 배출 구멍이 구비되며,
    상기 제2챔버 상부에는, 상기 제2챔버와 연통되면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제2공기 배출 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100500A 2020-08-11 2020-08-11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KR10232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00A KR102325997B1 (ko) 2020-08-11 2020-08-11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PCT/KR2021/010635 WO2022035209A1 (ko) 2020-08-11 2021-08-11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00A KR102325997B1 (ko) 2020-08-11 2020-08-11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997B1 true KR102325997B1 (ko) 2021-11-15

Family

ID=78502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500A KR102325997B1 (ko) 2020-08-11 2020-08-11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5997B1 (ko)
WO (1) WO202203520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9727A1 (en) * 2003-01-08 2004-07-08 Foster Donald D. Dual chamber lotion pump
KR20090021326A (ko) * 2008-12-16 2009-03-03 오세업 분무기
KR20090127979A (ko) * 2008-06-10 2009-12-15 조남월 분무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6113A (en) * 1998-12-04 2000-03-14 D'angelo; Vincent J. Dual head spray applicator
JP2002347866A (ja) * 2001-05-23 2002-12-04 Mitani Valve Co Ltd 噴出器およびそのポン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9727A1 (en) * 2003-01-08 2004-07-08 Foster Donald D. Dual chamber lotion pump
KR20090127979A (ko) * 2008-06-10 2009-12-15 조남월 분무기
KR20090021326A (ko) * 2008-12-16 2009-03-03 오세업 분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35209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157875U (zh) 一种具有回吸功能的乳液泵
KR102325997B1 (ko)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US7325579B2 (en) Watering can augmented by pump and snorkel device
KR20090007715U (ko) 튜브 내장형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102197038B1 (ko)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KR200423196Y1 (ko) 액제 디스펜서
KR200393943Y1 (ko) 다용도 용기
KR200376734Y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200239132Y1 (ko) 화장품 샘플 용기
CN109205103B (zh) 一种便于出料的分装瓶容器
KR200362339Y1 (ko) 화장품 용기
KR200186695Y1 (ko) 여과펌프가 구비된 물통
CN205499740U (zh) 洗涤液瓶
KR102388372B1 (ko) 화장품 용기
CN101677676A (zh) 流体分配装置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180057106A (ko) 액상 세제 용기
CN102772189A (zh) 便携式擦鞋器
KR100986666B1 (ko) 펌핑용기
KR100659786B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KR102527875B1 (ko) 화장품용 디스펜서
CN220765240U (zh) 卸妆水瓶的按压泵头
KR102174778B1 (ko) 화장품 용기
CN208979536U (zh) 一种分装瓶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