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196Y1 - 액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액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196Y1
KR200423196Y1 KR2020060013552U KR20060013552U KR200423196Y1 KR 200423196 Y1 KR200423196 Y1 KR 200423196Y1 KR 2020060013552 U KR2020060013552 U KR 2020060013552U KR 20060013552 U KR20060013552 U KR 20060013552U KR 200423196 Y1 KR200423196 Y1 KR 200423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iston
cylinder
opening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복
Original Assignee
(주)펠코리아티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펠코리아티엘씨 filed Critical (주)펠코리아티엘씨
Priority to KR2020060013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1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1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Abstract

본 고안은, 액제용기에 수용된 액제를 호스를 통해 공급받아 액제용기 외부로 토출시키는 액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액제용기 내부에서 상기 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호스의 액제를 유입시키는 실린더액제유입구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액제유입구를 개폐하는 볼밸브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제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에서 상기 실린더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피스톤액제유입구를 갖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액제유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피스톤액제유입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오랜 시간 반복적인 펌핑 작동에도, 액제의 흡입 및 토출과정에서 오작동이 없고, 정량의 흡입 및 토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액제 디스펜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제 디스펜서 {Liquid dispens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제 디스펜서가 액제용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제 디스펜서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제 디스펜서의 분해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제 디스펜서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제 디스펜서 10 : 노즐캡
20 : 결합캡 30 : 피스톤
40 : 개폐부재 50 : 커버캡
60 : 스프링부재 70 : 실린더
80 : 볼밸브 90 : 실링부재
본 고안은, 액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랜 시간 반복적인 펌핑 작동에도, 액제의 흡입 및 토출과정에서 오작동이 없고, 정량의 흡입 및 토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액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제 디스펜서라 함은 액상이나 젤 상태의 화장품을 충진하는 화장품 용기, 샴프나 세안액과 같은 목욕용품의 내용물을 충진하는 목욕용품 용기 및 기타 내용물을 충진하는 용기의 상부측에 결합되어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의미한다.
전술한 디스펜서의 한 예로, 딥튜브에 의해 내용물을 흡입하여 토출하고 용기 내에는 그만큼의 공기가 유입되는 딥튜브 방식의 경우, 내용물을 토출한 후,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게 되면, 내용물을 다시 토출시킬 때 펌핑압력이 떨어져 일정량의 내용물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없어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함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하여 내용물을 밀어올리는 에어리스 방식의 경우, 피스톤과 연결된 캡을 한번 눌렀다 놓으면 1회의 펌핑작동이 이루어지는바, 캡이 눌려질 때는 내용물(전번 사용으로 이미 흡상되어 있던 잔류분량)이 토출되고, 눌려진 캡이 상승 복귀 할 때는 흡입력에 의해서 내용물을 다시 흡상시킨 상태로 작동이 완료된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한번 사용 후 장시간이 경과되면 흡상된 내용물이 토출구에 고여지는 상태로 잔류하여 외부로 흘러나오는 등의 외관상 흉하고 불결하게 보이는 단점이 있고, 특히 잔류 내용물이 외부에 노출됨에 의해서 먼지 및 이물질이 토출구로 유입되므로 다음 사람이 사용 시 이물질과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물품의 특성 상 반복적으로 캡을 누르는 펌핑 작동을 하게 되므로, 오 작동에 의해 원활하게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거나 정량의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랜 시간 반복적인 펌핑 작동에도, 액제의 흡입 및 토출과정에서 오작동이 없고, 정량의 흡입 및 토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액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액제용기에 수용된 액제를 호스를 통해 공급받아 액제용기 외부로 토출시키는 액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액제용기 내부에서 상기 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호스의 액제를 유입시키는 실린더액제유입구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액제유입구를 개폐하는 볼밸브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제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에서 상기 실린더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피스톤액제유입구를 갖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액제유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피스톤액제유입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제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액제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캡과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제용기 상부영역에 결합되는 커버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제 디스펜서(1)는, 액제가 수용되는 액제용기(200)의 상측에 결합되며, 액제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되는 호스(100)에 연결되어 호스(100)로 유입된 액제를 공기의 압력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킨다.
액제 디스펜서(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제용기(200)의 외측 상단부영역에 결합되는 커버캡(50)과; 액제용기(200)의 내부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실린더(70)와; 실린더(70)의 내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30)과; 피스톤(30)으로부터의 액제를 토출하는 노즐캡(10)과; 노즐캡(10)과 커버캡(50) 사이에 위치하는 결합캡(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액제 디스펜서(1)는 실린더(70) 내부에 설치되어, 피스톤(30)으로의 액제유입을 단속하는 개폐부재(40)와; 실린더(70) 내부에 설치되어, 피스톤(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60)와; 실린더(70) 내부에 설치되어, 실린더(70) 내부로의 액제유입을 단속하는 볼밸브(8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캡(10)은 하부영역이 개구된 내부공간(14)을 갖는 노즐캡본체(11)와; 노즐캡본체(11)의 일측에 마련되며, 노즐캡본체(11)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여 액제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노즐부(12)를 포함한다.
노즐캡본체(11)의 하부영역에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전, 즉 포장상태를 해제하기 전에, 결합캡(20)의 결합부(22)가 절취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캡(20)은 결합캡본체(21)를 포함하며, 결합캡본체(21)의 상측에는 포장상태를 해제하기 전에 결합홈(13)에 절취가능하게 결합된 결합부(22)가 마련되어 있으며, 결합캡본체(21)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캡본체(21)의 내부면에는 후술할 피스톤(30)의 가이드돌기(33,34)를 안내하는 안내홈(23)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30)은 내부공간(32)을 갖는 피스톤본체(31)와; 피스톤본체(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돌기(33,34)를 포함한다.
피스톤본체(31)은 상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영역에는 스프링부재(60)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39)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39)의 상측에는 스프링부재(60)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38)이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턱(38)의 상측에는 액제를 피스톤본체(31)의 내부공간(32)로 유입시키는 유입구(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입구(37)의 상측에는 상호 단차지게 제1단차부(36)와 제2단차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단차부(36)는 개폐부재(40)가 유입구(37)를 개방하는 위치(도 4b 참조)와 폐쇄하는 위치(도 4a참조)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36)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부재(40)는 상부 및 하부개구를 갖는 통형상으로서,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벽(42)과, 외벽(42) 내부에 형성된 내벽(41)을 포함한다.
외벽(42)은 상부면(42a)과 하부면(42b)으로 구성되며, 외벽(42)의 상부면(42a)은 내벽(41)과 이격공간(43)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내벽(41)은 외벽(42)의 내측에 위치하여 내부공간(45)을 형성하며, 내벽(41)의 내측면에는 도 4b에 도시된 유입구 개방위치에서 제1단차부(36)가 물리게 되는 물림턱(4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벽(41)의 상단부(41a)는 도 4b에 도시된 유입구 개방위치에서 제2단차부(35)에 물리게 되고, 내벽(41)의 하단부(41b)는 피스톤본체(31)의 걸림턱(38)과 접촉 및 이격되면서, 피스톤본체(31)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커버캡(50)은 액제용기(200)의 상부영역에 형성된 액제배출구에 대응하도록 액제용기(200)에 결합된다.
커버캡(50)은 액제용기(200)의 액제배출구에 대응하여 상부 및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상태에서 결합캡(20)의 플랜지부(24)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52)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70)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제1 내지 제3본체(71a,~71b)로 구성된 본체부(71)와, 본체부(71)의 상단부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확장형성된 날개부(73)를 포함한다. 여기서, 날개부(73)의 하부면에는 결합상태에서 실링부재(90)가 배치된다.
제1본체(71a) 및 제2본체(71b)의 내부공간(72a,72b)에는 스프링부재(60)와, 볼밸브(80)가 설치된다.
제3본체(71c)의 외주면에는 액제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하며, 액제용기(200)의 액제를 흡입하는 호스(100)가 결합된다.
제3본체(71c)의 내부공간(72c)에는 실린더 내부로 액제를 유입시키는 실린더액제유입구(74)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유입구(74)의 외주면에는 스프링부재(60)의 타측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실린더액제유입구(74)는 볼밸브(80)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제3본체(71c)에 결합된 호스(100)로부터의 액제가 실린더(70) 내부로 유입 또는 차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제 디스펜서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노즐캡본체(11)가 눌리게 되면, 피스톤(30)과 개폐부재(40)가 함께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피스톤(30)의 제1단차부(36)와 개폐부재(40)의 물림턱(44)의 이격간격이 도 4a에 도시된 만큼 벌어지도록 피스톤(30)의 가압부(39)가 스프링부재(60)를 가압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피스톤(30)의 유입구(37)는 개방되며, 볼밸브(80)은 실린더액제유입구(74)를 폐쇄한 상태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캡(10)의 누름동작에 의해 피스톤(30)과 개폐부재(40)가 하향으로 가압되면, 실린더(70) 내부에 큰 압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70) 내부의 액제는 피스톤(30)의 유입구(37)를 통해 피스톤(30)의 내부공간(32)를 경유하여 노즐부(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노즐캡(10)의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30)이 상향 이동되고, 이때 실린더(70) 내부에는 진공압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액제용기(200)의 액제가 실린더액제유입구(74)로 유입된다. 이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제의 흡입되는 힘에 의해 볼밸브(80)는 떠오르게 되고, 진공압이 제거되면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다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액제유입구(74)를 폐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오랜 시간 반복적인 펌핑 작동에도, 액제의 흡입 및 토출과정에서 오작동이 없고, 정량의 흡입 및 토출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액제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Claims (4)

  1. 액제용기에 수용된 액제를 호스를 통해 공급받아 액제용기 외부로 토출시키는 액제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액제용기 내부에서 상기 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호스의 액제를 유입시키는 실린더액제유입구가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액제유입구를 개폐하는 볼밸브와;
    상기 실린더 내에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액제의 이동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에서 상기 실린더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피스톤액제유입구를 갖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액제유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피스톤액제유입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간을 이동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제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상부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는 액제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제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캡과 상기 개폐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피스톤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제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제용기 상부영역에 결합되는 커버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제 디스펜서.
KR2020060013552U 2006-05-19 2006-05-19 액제 디스펜서 KR200423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52U KR200423196Y1 (ko) 2006-05-19 2006-05-19 액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52U KR200423196Y1 (ko) 2006-05-19 2006-05-19 액제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196Y1 true KR200423196Y1 (ko) 2006-08-03

Family

ID=41771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552U KR200423196Y1 (ko) 2006-05-19 2006-05-19 액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1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81B1 (ko) * 2010-04-23 2011-03-04 이계안 유약 도포 장치
KR200458220Y1 (ko) 2011-01-31 2012-01-31 (주)아모레퍼시픽 디스펜서
KR101788937B1 (ko) * 2015-12-09 2017-10-23 변재동 액제 용기용 정량토출장치
KR200488702Y1 (ko) 2018-01-05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제용 계량캡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81B1 (ko) * 2010-04-23 2011-03-04 이계안 유약 도포 장치
KR200458220Y1 (ko) 2011-01-31 2012-01-31 (주)아모레퍼시픽 디스펜서
KR101788937B1 (ko) * 2015-12-09 2017-10-23 변재동 액제 용기용 정량토출장치
KR200488702Y1 (ko) 2018-01-05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세제용 계량캡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펜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101390993B1 (ko) 내용물 배출펌프
JP6145854B2 (ja) クリームタイプ化粧品容器
JP3916998B2 (ja) トリガー式流体吐出器
KR20150010306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6449546B2 (ja) 取り出される製品が保持される容器を画定する可撓性の外被を有する袋
MX2013002267A (es) Contenedor compacto para liquido.
KR200439351Y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423196Y1 (ko) 액제 디스펜서
KR101854327B1 (ko) 염색약 용기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EP3723910B1 (en) Trigger dispensing head with locking device
KR100889050B1 (ko) 디스펜서 펌프
JP2019510546A (ja) サイドボタンを具備した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KR101038011B1 (ko) 액체 저장용기의 펌프
KR100819764B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90003811U (ko) 액상화장품용기
JP5384127B2 (ja) 液体噴出器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20200118548A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KR102295553B1 (ko) 유체 디스펜서
KR101082427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101539632B1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