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220Y1 -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220Y1
KR200458220Y1 KR2020110002384U KR20110002384U KR200458220Y1 KR 200458220 Y1 KR200458220 Y1 KR 200458220Y1 KR 2020110002384 U KR2020110002384 U KR 2020110002384U KR 20110002384 U KR20110002384 U KR 20110002384U KR 200458220 Y1 KR200458220 Y1 KR 200458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cap
dispenser
chalets
pump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순재
박경미
이성현
황현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10002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2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05B11/1046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 B05B11/1047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the pump chamber being arranged substantially coaxially to the neck of the container the pump being preassembled as an independent unit before being mounted o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05B11/106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in a retracted position, e.g. in an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용물을 저장한 밀폐용기(20)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30)와, 밀폐용기(20) 상단 구부에 결합되는 펌프캡(40)과, 상기 실린더(30)와 결합된 차플렛(50)을 포함하는 디스펜서(10)에 있어서,
상기 펌프캡(40)과 차플렛(50) 상단에 완만한 하향 경사면(41)(51)이 형성되고, 상기 차플렛(50) 테두리에는 밀폐단턱(52)을 돌출시켜 펌프캡(40)의 경사면(41) 끝단이 밀착되되 차플렛(50) 외측면(53)과 펌프캡(40)의 내측면(42) 또한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DISPENSER}
본 고안은 용기 내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는 화장품이나 세정제 등의 내용물을 저장한 밀폐용기의 구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단의 버튼을 눌러 그 내부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분출시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디스펜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밀폐용기(101)의 구부 상단에 안착되는 실린더(102); 상기 밀폐용기의 구부에 체결되는 펌프 캡(103); 상기 실린더 하부의 입구에 설치되는 체크밸브(104); 상기 실린더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05); 상기 스프링 상단에 올려지는 피스톤(106); 상기 피스톤의 상측에 결합되는 펌프스템(107); 상기 펌프스템과 피스톤 사이에 결합되는 실링(108); 상기 펌프스템의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109); 및 상기 실린더 상단에 결합되는 챠플렛(11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펜서(100)를 사용하기 위하여는 버튼(109)이 차플렛(11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버튼이 작용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플렛(110)과 나사결합된 버튼(109)을 해제시키면 스프링(105) 탄성에 의해 버튼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펌프캡(103)은 밀폐용기의 구부에 체결되어 있으면서 실린더(102)를 밀폐용기(101) 내에 고정된 상태이고, 차플렛(110)은 실린더(102) 상단과 인서트 되어있어 버튼(109)만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109)을 누르면 그 하측에 결합된 펌프스템(107) 및 피스톤(106)이 하강하는 펌프작동에 의해 실린더(102)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이 가압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의 통로를 막고 있던 실링(108)이 열리면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다. 이번에는 버튼(109)을 놓으면 압착된 스프링(105)에 의해 피스톤(106)이 상승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 체크 밸브(104)가 열리면서 밀폐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다시 실린더(102) 내부에 채워지는 것이다.
그러나, 첨부도면 도 3의 도시된 바와 같이 차플렛(110)이 펌프캡(103)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면서 그 사이에 큰 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틈을 통해 펌프 내부로 이물질과 함께 화장품이나 거품 등의 내용물이 쉽게 침투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펌프 캡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어 그 위에 떨어진 이물질이나 내용물이 상기 틈으로 쉽게 흘러들어가는 것을 더욱 부채질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밖에 차플렛(110)과 펌프 캡(103) 사이에 높은 단차가 형성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투박해 보이는 미적 단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것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플렛과 펌프 캡 위로 떨어지는 이물질이나 내용물이 잘 흘러내리면서 차플렛과 펌프 캡 사이의 틈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차플렛과 펌프 캡 사이에 높은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기존의 디스펜서로부터 차별화된 외관을 구현하도록 한 디스펜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디스펜서(10)는 밀폐용기(20)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30)와 펌프캡(40) 및 차플렛(50)으로 형성되되, 상기 실린더(30)는 실린더 하부의 입구에 설치되는 체크밸브(31)와, 실린더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2)과, 스프링 상단에 올려지는 피스톤(33)과 피스톤 상측에 결합되는 펌프스템(34)과, 피스톤(33)과 펌프스템(34)과 사이에 결합된 실링(35)과 펌프스템(34)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36)을 포함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펌프캡(40)과 차플렛(50) 상단에 완만한 하향 경사면(41)(51)이 형성되고, 상기 차플렛(50) 테두리에는 밀폐단턱(52)을 돌출시켜 펌프캡(40)의 경사면(41) 끝단이 결합하되 차플렛(50) 외측면(53)과 펌프캡(40)내측면(42)이 밀착되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디스펜서에 의하면 차플렛과 펌프캡 위로 떨어지는 이물질이나 내용물이 쉽게 흘러내리도록 하고, 상기 차플렛과 상기 펌프 캡 사이로 이물질이나 내용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플렛과 펌프 캡 사이에 높은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별화된 외관을 통해 미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디스펜서의 버튼이 잠금상태와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플렛과 펌프캡의 확대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된 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6a 내지 6b는 본 고안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7a 내지 7b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8a 내지 8b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 측면도.
상기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디스펜서는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펜서(10)는 밀폐용기(20)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30)와 펌프캡(40) 및 차플렛(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30)는 실린더 하부의 입구에 설치되는 체크밸브(31)와, 실린더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32)과, 스프링 상단에 올려지는 피스톤(33)과 피스톤 상측에 결합되는 펌프스템(34)과, 피스톤(33)과 펌프스템(34)과 사이에 결합된 실링(35)과 펌프스템(34) 상단에 결합되는 버튼(3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 6a 내지 6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펌프캡(40)과 차플렛(50) 상단에 완만한 하향 경사면(41)(51)이 형성되고, 상기 차플렛(50) 테두리에는 밀폐단턱(52)을 돌출시켜 펌프캡(40)의 경사면(41) 끝단이 밀착되되 차플렛(50) 외측면(53)과 펌프캡(40)의 내측면(42) 또한 밀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41)은 스커트(43)가 연장되면서 펌프캡(40)의 외면을 감싸면서 하측으로 늘어져 이중 벽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7a내지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캡(40) 상단 모서리는 각형(44)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형(44)은 90°이상 180°이하인 둔각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캡(40)의 모서리의 각형(44)에 대응하여 차플렛(50)의 가장자리는 곡선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8b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캡(40) 상단에는 환형턱(4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캡(40)의 환형턱(45)에 대응하여 차플렛(50)은 가장자리 하단은 환형리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차플렛(50)과 나사결합된 버튼(36)을 해제시키면 스프링(32) 탄성에 의해 버튼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펌프캡(40)은 밀폐용기(20)의 구부에 체결되어 있으면서 실린더(30)를 밀폐용기(20) 내에 고정된 상태이고, 차플렛(50)은 실린더(30) 상단과 인서트 되어있어 버튼(36)만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버튼(36)을 누르면 그 하측에 결합된 펌프스템(34) 및 피스톤(33)이 하강하는 펌프작동에 의해 실린더(30)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이 가압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의 통로를 막고 있던 실링(35)이 열리면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이다. 이번에는 버튼(36)을 놓으면 압착된 스프링(32)에 의해 피스톤(33)이 상승하고, 상기 피스톤의 상승에 의해 체크 밸브(31)가 열리면서 밀폐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이 다시 실린더(30) 내부에 채워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이 버튼(36)의 토출구에서는 잔여 내용물은 차플렛(50)으로 낙하되어 경사면(51)을 흐르게 되고, 이어서 펌프캡(40)의 경사면(41)으로 유도되어 밀폐용기(20) 바닥으로 흐르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플렛(50)의 상단으로부터 펌프캡(40) 상단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하향 경사면(41)(51)을 형성함으로써, 차플렛(50)과 펌프캡(40) 위로 떨어지는 이물질이나 내용물이 쉽게 흘러내리도록 하고, 특히 차플렛(50) 테두리에 밀폐단턱(52)을 형성하면서 펌프캡(40) 상단이 밀폐단턱(52) 하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차플렛(50)과 펌프캡(40) 사이로 이물질이나 내용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기재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디스펜서 20: 밀폐용기
30: 실린더 31: 체크밸브
32: 스프링 33: 피스톤
34: 펌프스템 35: 실링
36: 버튼 40: 펌프캡
41: 경사면 42: 내측면
43: 스커트 44: 각형
45: 환형턱 50: 차플렛
51: 경사면 52: 밀폐단턱
53: 외측면 54: 곡선부
55: 환형리부

Claims (5)

  1. 내용물을 저장한 밀폐용기(20)와 그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30)와, 밀폐용기(20) 상단 구부에 결합되는 펌프캡(40)과, 상기 실린더(30)와 결합된 차플렛(50)을 포함하는 디스펜서(10)에 있어서,
    상기 펌프캡(40)과 차플렛(50) 상단에 완만한 하향 경사면(41)(51)이 형성되고, 상기 차플렛(50) 테두리에는 밀폐단턱(52)을 돌출시켜 펌프캡(40)의 경사면(41) 끝단이 밀착되되 차플렛(50) 외측면(53)과 펌프캡(40)의 내측면(42) 또한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캡(40)의 경사면(41)은 스커트(43)가 연장되면서 펌프캡(40)의 외면을 감싸면서 하측으로 늘어져 이중 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캡(40) 상단 모서리는 각형(44)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형(44)에 대응하여 차플렛(50)의 가장자리는 곡선부(5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형(44)은 90°이상 180°이하인 둔각이 형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디스펜서.
  5. 청구항1에 있어서,
    펌프캡(40) 상단에는 환형턱(45)으로 형성되며, 상기 환형턱(45)에 대응하여 차플렛(50)은 가장자리 하단은 환형리부(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KR2020110002384U 2011-01-31 2011-03-22 디스펜서 KR200458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384U KR200458220Y1 (ko) 2011-01-31 2011-03-22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928 2011-01-31
KR2020110002384U KR200458220Y1 (ko) 2011-01-31 2011-03-22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220Y1 true KR200458220Y1 (ko) 2012-01-31

Family

ID=45842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384U KR200458220Y1 (ko) 2011-01-31 2011-03-22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2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079B1 (ko) 2012-03-27 2012-09-20 김용준 각종용기의 펌프 안전장치
KR200472161Y1 (ko) 2012-11-30 2014-04-09 (주)아모레퍼시픽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보호캡이 구비된 화장용 용기
KR200487439Y1 (ko) * 2017-05-11 2018-09-18 코코스팩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펌프 결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259A (ja) * 1994-03-02 1995-09-19 Yoshino Kogyosho Co Ltd 手動ポンプ式の液体噴出器
JPH07251856A (ja) * 1994-03-09 1995-10-03 Yoshino Kogyosho Co Ltd 手動ポンプ式の液体噴出器
JP2001247146A (ja) 2000-03-08 2001-09-11 Toyo Seikan Kaisha Ltd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KR20040023196A (ko) * 2002-09-11 2004-03-18 백일성 진피, 적복령, 당귀, 조구등, 석창포, 창출, 백지,산조인, 숙지황, 산수유 및 원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치매치료의 의약 조성물
KR200423196Y1 (ko) 2006-05-19 2006-08-03 (주)펠코리아티엘씨 액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2259A (ja) * 1994-03-02 1995-09-19 Yoshino Kogyosho Co Ltd 手動ポンプ式の液体噴出器
JPH07251856A (ja) * 1994-03-09 1995-10-03 Yoshino Kogyosho Co Ltd 手動ポンプ式の液体噴出器
JP2001247146A (ja) 2000-03-08 2001-09-11 Toyo Seikan Kaisha Ltd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KR20040023196A (ko) * 2002-09-11 2004-03-18 백일성 진피, 적복령, 당귀, 조구등, 석창포, 창출, 백지,산조인, 숙지황, 산수유 및 원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치매치료의 의약 조성물
KR200423196Y1 (ko) 2006-05-19 2006-08-03 (주)펠코리아티엘씨 액제 디스펜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079B1 (ko) 2012-03-27 2012-09-20 김용준 각종용기의 펌프 안전장치
US9237830B2 (en) 2012-03-27 2016-01-19 Yong Jun Kim Pump safety device for various containers
KR200472161Y1 (ko) 2012-11-30 2014-04-09 (주)아모레퍼시픽 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보호캡이 구비된 화장용 용기
KR200487439Y1 (ko) * 2017-05-11 2018-09-18 코코스팩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펌프 결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6899B2 (ja) ノズルヘッド下降型真空密閉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容器
KR101267966B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에어리스 펌프 화장품용기
CN105829213B (zh) 真空瓶密封装置
KR20100108901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353114Y1 (ko) 밀폐기능이 향상된 토출수단을 갖는 디스펜서
US20160227903A1 (en) Foundation container having discharging pump having short stroke distance and content diffusion member
KR200458220Y1 (ko) 디스펜서
KR102017318B1 (ko) 디스펜서 펌프
KR101337069B1 (ko) 화장품 용기의 에어리스 펌프
CN211845601U (zh) 一种全塑变量泵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65589Y1 (ko) 자동 개폐가능한 디스펜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100784B1 (ko) 폴리케톤 재질의 부품을 갖는 펌프가 장착된 화장품 용기
KR200466447Y1 (ko) 화장품용기
CN109480570A (zh) 一种防开盖喷水的吸管杯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KR102125611B1 (ko) 펌프 용기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JP2016055925A (ja) 残量防止構造を有するポンプ型歯磨剤容器
CN203020698U (zh) 新型球压式储液瓶
CN209547697U (zh) 一种防开盖喷水的吸管杯
KR200456826Y1 (ko) 내용물 정량 배출이 가능한 펌프 용기
CN111819006B (zh) 孔口及包括其的喷雾容器
KR200480440Y1 (ko) 배출링을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