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050B1 - 디스펜서 펌프 - Google Patents

디스펜서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050B1
KR100889050B1 KR1020070094295A KR20070094295A KR100889050B1 KR 100889050 B1 KR100889050 B1 KR 100889050B1 KR 1020070094295 A KR1020070094295 A KR 1020070094295A KR 20070094295 A KR20070094295 A KR 20070094295A KR 100889050 B1 KR100889050 B1 KR 100889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operation unit
inlet
dispense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린
Priority to KR102007009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디스펜서 펌프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용기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와 연통된 분출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조작부; 용기와 조작부 사이에 구비되며,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챠플릿; 하우징 및 챠플릿 내부에 구비되어 조작부와 결합되며, 분출공과 연통되는 유로 및 이 유로와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샤프트;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샤프트 외측에 구비되는 피스톤; 조작부가 눌려지면 유입구를 폐쇄하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유입구를 개방하고 분출공 내부에 잔류한 내용물을 하우징 내부로 흡입시키는 밸브; 및 챠플릿 내부에 구비되어 누름 조작된 조작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펌프, 디스펜서, 밸브

Description

디스펜서 펌프{DISPENSER PUMP}
본 발명은 디스펜서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세제나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펌핑 작용에 의하여 소정량씩 토출시키도록 이용되는 디스펜서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펜서(Dispenser)라 함은 밀폐용기 내부에 충진된 기체나 액체 또는 기타 내용물을 가압에 의해 일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화장품이나 향수 또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저장하는 각종 밀폐용기에 적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디스펜서 펌프(10)는, 용기(미도시)의 상단에 장착되는 것으로, 크게 펌핑부(12)와, 버튼부(14) 및 노즐(16)로 이루어진다. 펌핑부(12)는 캡(21)에 장착된 하우징(22)과, 이 하우징(22)의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24)과, 이 스프링(24)의 상단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일측에 통공(26)이 형성된 샤프 트(25)와, 이 샤프트(2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하우징(22)의 상단을 폐쇄하는 하우징 캡(27)과, 버튼부(14)의 노즐(16)과 샤프트(25)를 연결하는 연결관(28)과, 하우징(22)의 하단의 걸림턱(29)에 놓이는 볼(3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버튼부(14)를 누르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반하여 샤프트(25)가 하강하여, 하우징(22) 속에 채워진 내용물이 통공(26)과 샤프트(25)의 중공부 및 연결관(28)을 통해 노즐(16)로 토출된다. 이때, 볼(30)은 하우징(22) 내부 유체의 하강압력에 의해 하우징(22) 하단의 걸림턱(29)에 맞닿도록 구비된다. 다음에, 버튼부(14)를 놓으면,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25)가 상승하면서 통공(26)이 폐쇄되어 내용물의 토출이 차단되고, 하우징(22)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므로, 용기에 담긴 내용물이 볼(30)을 상승시키면서 밸브를 개방하여 하우징(22) 속에 채워지게 된다. 버튼부(14)를 반복하여 누르면,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내용물이 토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디스펜서에 따르면, 볼이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단가가 높고, 볼을 포함한 밸브 구조가 설치됨에 있어서 추가적인 후가공 과정이 요구되므로, 제조과정이 까다롭고,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디스펜서에 따르면, 노즐에 내용물이 남지 않도록 하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이 노즐 내에 잔류한 내용물이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응고됨으로써, 내용물이 변질되고 노즐이 막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면서도, 펌프 작동시의 압력유실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내용물이 노즐 내에 잔류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한 디스펜서 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는: 용기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와 연통된 분출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조작부; 상기 용기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챠플릿;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챠플릿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며, 상기 분출공과 연통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샤프트 외측에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조작부가 눌려지면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분출공 내부에 잔류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시키는 밸브; 및 상기 챠플릿 내부에 구비되어 누름 조작된 상기 조작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밸브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샤프트 하부를 통해 상기 유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유로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 하부에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에 걸림 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구 주변부에 기밀강화홈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에는 상기 기밀강화홈과 끼움결합하는 기밀강화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샤프트와의 접촉면에 기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챠플릿에는, 내주면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 기 걸림부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부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홈이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용기와 나사 결합하는 캡부와 상기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 펌프에 따르면, 종래 발명과 달리, 조작부가 눌려졌을 때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분출공에 잔류한 내용물이,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우징부 내부로 흡입되도록 유로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밸브를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이 분출공 내부에 잔류하여 변질되거나, 이 잔류된 내용물에 의해 분출공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작부가 눌려진 상태뿐 아니라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도 각각 그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상태 그대로 잠겨질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어린이들의 장난이나 오조작 등에 의한 내용물의 낭비를 편리하고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밸브가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사출 성형되므로 제조단가가 낮아 종래 밸브 구조에 비해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높은 기밀 성능을 가지므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더욱 향상된 펌핑 성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이 캡부 및 하우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캡부와 하우징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종래 디스펜서 펌프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 과정이 좀 더 용이해지고, 원가가 절감될 뿐 아니라, 제조과정에서의 불량 발생률이 감소 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분해 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100)는, 조작부(110)와, 하우징(120)과, 챠플릿(130)과, 샤프트(140)와, 피스 톤(150)과, 밸브(160) 및 탄성부재(170)를 포함한다.
조작부(110)는, 용기(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 조작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기 위한 누름면(112)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외부와 연통된 분출공(1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작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면 용기(40)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후술할 샤프트(140) 및 피스톤(150)을 용기(40)를 향해, 즉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기(4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분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120)은, 용기(40)와 조작부(110)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캡부(122) 및 하우징부(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캡부(122)는, 용기(40)와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용기(40)와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124)는, 용기(40)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공간부(124a)가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공간부(124a)와 용기(40)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구(124b)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부(124)는, 용기(40) 내부에서 분출된 내용물을 일시적으로 체류시키는 부분으로서, 용기(40) 내부에서 유입구(124b)를 통해 분출된 내용물은, 외부로 분출되기 전, 이 하우징부(124)의 내부, 즉 공간부(124a)에 일시적으로 체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캡부(122) 및 하우징부(124)를 포함하는 하우징(120)은, 바람직하게는, 캡부(122) 및 하우징부(124)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처럼 하우징(120)이 캡부(122) 및 하우징부(124)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100)는, 캡부와 하우징부가 별도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종래 디스펜서 펌프에 비해 부품수가 감소됨으로써, 제조 과정이 좀 더 용이해지고, 원가가 절감될 뿐 아니라, 제조과정에서의 불량 발생률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챠플릿(130)은, 조작부(110)와 하우징(120) 사이에 구비된다. 이 챠플릿(130)은, 하우징(120)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하우징(120) 내부의 공간부(124a)와 연통되는 중공(부호생략)이 형성된다.
이러한 챠플릿(130)의 내주면에는 걸림부(13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132)는, 조작부(110)의 위치를 고정, 즉 조작부(110)의 눌림 또는 원위치 복귀상태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걸림부(132)의 내부에는, 고정기밀부(1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고정기밀부(134)는, 조작부(110)의 하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누름 조작된 조작부(110) 하부와 억지 끼움 결합한다. 이러한 고정기밀부(134)와 조작부(110)의 결합은, 조작부(110)가 눌림 상태에서 고정되었을 때, 조작부(110)와 챠플릿(130) 사이의 기밀을 강화하고, 조작부(110)의 고정 상태를 더욱 굳건히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챠플릿(130)의 하부 외주면에는 제1갈퀴부(136)가 형성되며, 이와 대응하여, 하우징(120)의 캡부(122) 내주면에는 제2갈퀴부(123)가 형성된다.
이 제1갈퀴부(136) 및 제2갈퀴부(123)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챠플릿(130) 이 일측, 예를 들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고 걸림 되도록 함과 동시에, 챠플릿(130)이 일정한 범위로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1갈퀴부(136) 및 제2갈퀴부(123)가 형성된 디스펜서 펌프(100)는, 용기(40)와의 조립공정에서, 조작부(110)를 일정 방향으로 위치시키고자 할 때, 예를 들어, 조작부(110)의 돌출된 부분을 상품명 등이 인쇄되어 있는 라벨이 부착된 부분의 좌측 방향으로 위치시키고자 할 때,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샤프트(140)는, 하우징(120) 및 챠플릿(130) 내부에 구비된다. 이 샤프트(140)는, 그 일단이 조작부(110)와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조작부(110) 내부의 분출공(114)과 연통되는 유로(141)가 형성된다. 또한, 이 샤프트(140)의 측부에는, 하우징(120) 내부와 유로(141), 즉 하우징부(124) 내부의 공간부(124a)와 유로(141)를 연통시키는 유입공(14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샤프트(14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홈(143)이 형성된다. 이 가이드홈(143)은, 샤프트(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걸림부(132)와 맞물려 샤프트(14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홈(143)의 상하 양측에는 가이드홈(143)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수직 방향으로 꺾여 연장된 고정홈(144)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144)은, 챠플릿(130)의 걸림부(132)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챠플릿(130)이 하우징(120) 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작부(110)가 회전하면, 가이드홈(143)에 맞물려 있던 걸림부(132)와 맞물려 샤프트(140)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고, 나아가 조작부(110)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샤프트(140)는, 조작부(110)와 결합하여 조작부(110)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 또는 좌우 회전하는바, 조작부(110)의 좌우 회전시, 챠플릿(130)의 걸림부(132)가 가이드홈(143)의 수직 방향으로 꺾여 연장된 고정홈(144)에 맞물리게 되면, 샤프트(140)는, 걸림부(132)와 고정홈(144)의 맞물림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작부(110)도 눌려지거나 또는 눌려진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고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피스톤(150)은, 샤프트(140) 외측에 구비된다. 피스톤(150)은, 조작부(110)의 이동에 따라 유입공(14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24)와 샤프트(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피스톤(150)은, 샤프트(140) 하부에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145)와 결합하여 유입공(142)을 폐쇄하고 있다가, 조작부(110)가 눌려지면 샤프트(140) 상을 슬라이드 이동하여 플랜지부(145)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유입공(142)을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피스톤(150)은, 내주면에 끼움돌기(152)가 형성되어, 이 끼움돌기(152)가 유입공(142) 상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샤프트(140) 상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140) 외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란, 피스톤(150)이 유입공(142)을 폐쇄한 상태에서, 용기(40) 내부에서 분출되어 하우징부(40) 내부에 체류해 있는 내용물이 유입공(142) 내부로 유입될 수 있을 정도로 피스톤(150)이 유입공(142)을 개방하기 위해 필요한 피스톤(150)의 이동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피스톤(150)은, 하우징부(124)의 내측면과 맞닿는 외측면이, 하우징부(124) 내측면과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소정의 마찰력이란, 피스톤(150)의 내측면과 샤프트(140)의 외측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보다 큰 마찰력이지만, 샤프트(140)와 피스톤(150) 간의 걸림력에 의해, 피스톤(150)이 샤프트(14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마찰력을 의미한다.
아울러, 피스톤(150)에는 샤프트(140)와의 접촉면에 기밀돌기(154)가 형성될 수 있다. 기밀돌기(154)는, 조작부(110)가 눌려짐에 따라 유입공(142)이 개방되었을 때, 유입공(142)을 통해 유로(141) 내부로 유입되어야할 내용물이 샤프트(140)와 피스톤(150) 사이를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샤프트(140)와 피스톤(150) 사이의 기밀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밸브(160)는, 하우징(120) 내부에 구비된다. 이 밸브(160)는, 조작부(110)가 눌려지면 하우징부(124)의 유입구(124b)를 폐쇄하며, 조작부(11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유입구(124b)를 개방하고 분출공(114) 내부에 잔류한 내용물을 하우징(120) 내부, 즉 하우징부(124) 내부의 공간부(124a)로 흡입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밸브(160)는, 개폐부(162) 및 흡입부(16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개폐부(162)는 하우징부(124)의 유입구(124b) 상에 배치되어 유입구(124b)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 개폐부(162)의 하부에는 걸림돌기(16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걸림돌기(162a)는, 조작부(110)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우징부(124)의 유입구(124b) 주변부에 걸림 됨으로써, 조작부(110)를 따라 이동하여 유입구(124b)를 개방하는 개폐부(162)가, 유입구(124b)를 개방할 수 있을 정도만 이동하고 유입구(124b)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흡입부(164)는 개폐부(162)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흡입부(164)는, 샤프트(140) 하부의 플랜지부(145)를 통해 유로(141) 내부에 삽입되며, 조작부(110)가 눌려지면 유로(141) 내부에 깊숙이 삽입되었다가, 조작부(11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유로(141) 내부에서 점점 이탈되면서, 유로(141)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진공압이 유로(141) 내부에 발생되기 위해서는 샤프트(140) 하부와 흡입부(164) 사이가 완전히 차폐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샤프트(140) 하부의 플랜지부(145)에는, 유로(141) 내부에 삽입된 흡입부(164)와 밀착되도록 마찰부(146)가 형성된다. 이 마찰부(146)는, 흡입부(164)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샤프트(140)의 플랜지부(145)와 흡입부(164)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흡입부(164)가 유로(141)에서 이동하는 동안에도, 샤프트(140) 하부와 흡입부(164) 사이가 완전히 차폐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개폐부(162) 및 흡입부(164)를 포함하는 밸브(160)는, 개폐부(162) 및 흡입부(164)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엘엘피이(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PE) 등과 같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밸브(160)의 개폐부(162)에는, 하우징(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부(124)의 유입구(124b) 주변부와 맞닿는 하부면에 기밀강화돌기(16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기밀강화돌기(162b)는, 하우징부(124)의 유입구(124b) 주변부에 형성된 기밀강화홈(124c)에 끼움 결합하여, 밸브(160)가 유입구(124b)를 폐쇄할 때, 유입구(124b)와 밸브(160) 사이의 기밀을 강화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밸브(160)에 따르면, 조작부(110)가 눌려졌을 때,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분출공(114)에 잔류한 내용물이, 조작부(110)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하우징부(124) 내부로 흡입되도록 유로(141)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내용물이 분출공(114) 내부에 잔류하여 변질되거나, 이 잔류된 내용물에 의해 분출공(114)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사출 성형되므로 제조단가가 낮아 종래 밸브 구조에 비해 그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높은 기밀 성능을 갖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100)는, 누름 조작된 조작부(1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조작부(110)와 챠플릿(130) 사이에 탄성부재(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70)는, 누름 조작된 조작부(1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챠플릿(130) 내부에 구비되어, 일단이 조작부(110) 내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챠플릿(130)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한편, 미설명된 부호 180 및 190은, 하우징(120)의 캡부(122)와 용기(40)의 결합 부분의 기밀 강화를 위해 구비되는 개스킷 및 하우징(120)의 하우징부(124) 하부에 결합되어 용기(40) 내부의 내용물의 분출을 용이하게 하는 튜브를 각각 가리킨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가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의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100)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10)의 누름면(112)을 눌러 가압하면, 조작부(110)와 함께 샤프트(140)가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140)가 이동할 때, 피스톤(150)도 함께 이동하는데, 피스톤(150)은 하우징(120)의 하우징부(124) 내부면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일정 부분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어 있던 샤프트(140)의 유입공(142)을 개방한다.
이때, 유입구(124b)에 배치된 밸브(160)의 개폐부(162)는, 누름 조작된 조작부(110)에 의해 가해진 압력으로 유입구(124b)를 폐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밸브(160)의 흡입부(164)는, 샤프트(140)가 하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유로(141) 내부 깊숙이 삽입된다.
한편, 조작부(110)가 완전히 눌려지면, 샤프트(140)가 하부를 향해 더욱 이동하여, 밸브(160)를 눌러 가압하면서, 유입구(124b)와 밸브(160) 사이에 대한 기밀력이 더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용기(40) 내부로부터 분출되어 하우징부(124)의 공간부(124a)에 체류해 있던 내용물은 유입공(142)을 통해 샤프트(140) 내부에 형성된 유로(141) 내로 유입되며, 이렇게 유로(141)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은 분출공(114)을 통해 외부로 분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누름면(112)으로부터 손을 떼어 조작부(110)에 대한 누름 조작을 해제하게 되면, 탄성부재(170)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10)와 함께 샤프트(140)가 원상태, 즉 누름 조작 전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140)가 이동할 때, 피스톤(150)도 함께 이동하는데, 피스톤(150)은 하우징(120)의 하우징부(124) 내부면과의 마찰력으로 인해, 일정 부분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개방되어 있던 유입공(142)을 폐쇄한다.
이때, 밸브(160)의 개폐부(16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공(142)이 개방되었을 때 내용물이 하우징부(124)의 공간부(124a)로부터 분출됨에 따라 생성된 진공압에 의해 유입구(124b)를 개방하게 되며, 이에 따라 용기(4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개방된 유입구(124b)를 통해 하우징부(124)의 공간부(124a)로 분출된다.
이와 동시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40)가 원위치로 복귀, 즉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샤프트(140) 내부의 유로(141) 깊숙이 삽입되어 있 던 밸브(160)의 흡입부(164)가, 유로(141)로부터 서서히 이탈되면서, 유로(141)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유로(141)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됨에 따라, 조작부(110)가 눌려졌을 때,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분출공(114)에 잔류한 내용물은, 이 진공압에 의해, 하우징부(124)의 공간부(124a)로 흡입된다.
도 10 및 도 11은 조작부의 잠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및 도 13은 누름 조작된 조작부의 잠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0 내지 도 1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조작부와 챠플릿 및 샤프트를 제외한 다른 구성 요소를 생략하여 나타낸 도면임을 밝혀둔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100)의 잠금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40)가 조작부(110)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걸림부(132)가 가이드홈(143)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샤프트(140)도 함께 회전하면서, 가이드홈(143)에 맞물려 있던 걸림부(132)는, 가이드홈(143) 상측에 형성된 고정홈(144)에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40)의 상하 이동이 억제되면서, 동시에 샤프트(140)에 결합된 조작부(110) 또한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더라도 눌려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10)가 눌려진 상태이고, 샤프트(140)가 조작부(110)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걸림부(132) 가 가이드홈(143)에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앞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조작부(11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40)도 함께 회전하면서, 가이드홈(143)에 맞물려 있던 걸림부(132)는, 가이드홈(143) 하측에 형성된 고정홈(144)에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40)의 상하 이동이 억제되면서, 동시에 샤프트(140)에 결합된 조작부(110)는, 탄성부재(170; 도 2 참조)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눌려진 채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작부(110)가 눌려진 상태뿐 아니라 눌려지지 않은 상태에도 각각 그 상태가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상태 그대로 잠겨질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어린이들의 장난이나 오조작 등에 의한 내용물의 낭비를 편리하고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디스펜서 펌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장치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분해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가 누름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원위치로 복귀하는 상태의 디스펜서 펌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디스펜서 펌프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조작부의 잠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누름 조작된 조작부의 잠금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스펜서 펌프 110 : 조작부
114 : 분출공 120 : 하우징
122 : 캡부 124 : 하우징부
130 : 챠플릿 132 : 걸림부
134 : 고정기밀부 140 : 샤프트
141 : 유로 142 : 유입공
143 : 가이드홈 144 : 고정홈
145 : 플랜지부 146 : 마찰부
150 : 피스톤 152 : 끼움돌기
154 : 기밀돌기 160 : 밸브
162 : 개폐부 164 : 흡입부
170 : 탄성부재

Claims (8)

  1. 용기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와 연통된 분출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조작부;
    상기 용기와 상기 조작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 내부와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챠플릿;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챠플릿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며, 상기 분출공과 연통되는 유로 및 상기 유로와 상기 하우징 내부를 연통시키는 유입공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조작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입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샤프트 외측에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조작부가 눌려지면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며,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고 상기 분출공 내부에 잔류한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시키는 밸브; 및
    상기 챠플릿 내부에 구비되어 누름 조작된 상기 조작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챠플릿의 외주면에는 제1갈퀴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1갈퀴부와 맞물려 상기 챠플릿이 일측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로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제2갈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샤프트 하부를 통해 상기 유로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유로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하부에는, 상기 샤프트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조작부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유입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에 걸림 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유입구 주변부에 기밀강화홈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에는 상기 기밀강화홈과 끼움결합하는 기밀강화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디스펜서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샤프트와의 접촉면에 기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챠플릿에는, 내주면에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걸림부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부와 맞물려 상기 샤프트의 상하 이동을 억제하는 고정홈이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용기와 나사 결합하는 캡부와 상기 용기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 펌프.
KR1020070094295A 2007-09-17 2007-09-17 디스펜서 펌프 KR10088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95A KR100889050B1 (ko) 2007-09-17 2007-09-17 디스펜서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95A KR100889050B1 (ko) 2007-09-17 2007-09-17 디스펜서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050B1 true KR100889050B1 (ko) 2009-03-20

Family

ID=4069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295A KR100889050B1 (ko) 2007-09-17 2007-09-17 디스펜서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5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283B1 (ko) 2011-10-20 2013-06-17 구재승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성수용기
KR101550698B1 (ko) 2013-03-18 2015-09-08 에프. 홀저 게엠베하 약제 디스펜서
EP2992967A1 (en) 2014-09-02 2016-03-09 F. Holzer GmbH Medicament dispenser
KR20180129026A (ko) * 2017-05-24 2018-12-05 주식회사 다린 스프레이형 펌프 디스펜서
KR20210043540A (ko) * 2018-06-04 2021-04-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US11103044B2 (en) 2017-12-13 2021-08-3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588A (ja) * 1997-05-23 1998-12-08 Yoshino Kogyosho Co Ltd 縦形ポンプ式の液体噴出器
JP2001322662A (ja) * 2000-05-17 2001-11-20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KR200318834Y1 (ko) * 2003-04-01 2003-07-04 (주)연우 디스펜서
KR200401893Y1 (ko) * 2005-09-01 2005-11-22 주식회사 태성산업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3588A (ja) * 1997-05-23 1998-12-08 Yoshino Kogyosho Co Ltd 縦形ポンプ式の液体噴出器
JP2001322662A (ja) * 2000-05-17 2001-11-20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KR200318834Y1 (ko) * 2003-04-01 2003-07-04 (주)연우 디스펜서
KR200401893Y1 (ko) * 2005-09-01 2005-11-22 주식회사 태성산업 액체용기용 압출펌프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283B1 (ko) 2011-10-20 2013-06-17 구재승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성수용기
KR101550698B1 (ko) 2013-03-18 2015-09-08 에프. 홀저 게엠베하 약제 디스펜서
EP2992967A1 (en) 2014-09-02 2016-03-09 F. Holzer GmbH Medicament dispenser
KR20180129026A (ko) * 2017-05-24 2018-12-05 주식회사 다린 스프레이형 펌프 디스펜서
KR101950809B1 (ko) * 2017-05-24 2019-02-22 주식회사 다린 스프레이형 펌프 디스펜서
US11103044B2 (en) 2017-12-13 2021-08-31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1497291B2 (en) 2017-12-13 2022-11-15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US11844412B2 (en) 2017-12-13 2023-12-19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ntainer
KR20210043540A (ko) * 2018-06-04 2021-04-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KR102297218B1 (ko) 2018-06-04 2021-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0831B2 (ja) 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KR100889050B1 (ko) 디스펜서 펌프
JP6112313B2 (ja) 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US9004319B2 (en) Foaming pump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1278779B1 (ko) 휴대용 액체 분배기
JP3916998B2 (ja) トリガー式流体吐出器
JP7390060B2 (ja) ポンプアセンブリおよび内容物排出機能を有する容器
WO2019033514A1 (zh) 一种具有回吸功能的乳液泵
KR20080015392A (ko)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도우징 헤드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150111213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0418954Y1 (ko) 화장품배출펌프의 노즐 구조
KR20110068196A (ko) 펌프 디스펜서
KR20090007715U (ko) 튜브 내장형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450883Y1 (ko) 펌프 디스펜서
KR102477141B1 (ko) 지렛대 구조의 노즐 레버형 펌프 용기
KR200423196Y1 (ko) 액제 디스펜서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20200118548A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KR101849553B1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753843B1 (ko) 탄성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용기
JP2005103360A (ja) 噴出ポンプ装置、および噴出器
KR20090127979A (ko)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