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553B1 -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 Google Patents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553B1
KR101849553B1 KR1020160067186A KR20160067186A KR101849553B1 KR 101849553 B1 KR101849553 B1 KR 101849553B1 KR 1020160067186 A KR1020160067186 A KR 1020160067186A KR 20160067186 A KR20160067186 A KR 20160067186A KR 101849553 B1 KR101849553 B1 KR 101849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nozzle
pumping means
container
dischar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099A (ko
Inventor
유창규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6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5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6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A47K5/1204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by means of a rigid dispensing chamber and pistons
    • A47K5/1205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with a vertical pis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펌핑수단 상부에 노즐을 구비한 버튼이 결합되는 펌프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피스톤 내부에 내용물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유로에 배출밸브볼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과 결합된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용물은 피스톤의 내용물유로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피스톤 상단에 내용물유로를 막고 있는 배출밸브볼을 밀어내어 내용물이 배출되고, 가압한 버튼을 놓게 되면 상승되었던 배출밸브볼이 하강하면서 이동하는 부피만큼 노즐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함으로써, 노즐 내에 내용물이 굳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며, 내부에 내용물유로(341)가 형성된 펌핑수단(30)과, 상기 펌핑수단(30)에 결합되어 수직 이동되며, 일측에 노즐(61)이 형성된 버튼(60)으로 구성되되, 상기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에는 배출밸브볼(36)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출밸브볼(36)은 내용물유로(341)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키거나, 폐쇄하면서 버튼(60)의 노즐(61)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한다.

Description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Pump container that inhale to preventing dry a remaining contents in nozzle}
본 발명은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펌핑수단 상부에 노즐을 구비한 버튼이 결합되는 펌프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피스톤 내부에 내용물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유로에 배출밸브볼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과 결합된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용물은 피스톤의 내용물유로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피스톤 상단에 내용물유로를 막고 있는 배출밸브볼을 밀어내어 내용물이 배출되고, 가압한 버튼을 놓게 되면 상승되었던 배출밸브볼이 하강하면서 이동하는 부피만큼 노즐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함으로써, 노즐 내에 내용물이 굳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핑운동에 의해 배출대롱을 따라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펌프용기는 화장품용기, 세제용기, 샴푸용기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펌프용기는 액체의 내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또한 액체의 과다한 배출을 억제하여 내용물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여러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펌프용기의 일반적인 원리는 손가락으로 상기 펌프용기의 누름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용기 내부의 액체의 내용물이 펌핑되어 누름버튼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외부로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누름버튼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토출한 후에는 노즐 내부에 내용물이 가득차 있게 되는데, 이로 인해 노즐 내에 존재하는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굳거나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본특개평 9-173920호가 개시되었는데, 피스톤(1) 외측에 링밸브(2)가 결합되어 버튼(3)을 가압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킨 후 버튼(3)으로부터 가압했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4)에 의해 버튼(3)이 상승하면서 링밸브(2)가 피스톤(1)의 유출구(5)를 막기 때문에 노즐(6)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이 흡입되지 않아 노즐(6) 내의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굳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링밸브(2)에 더하여 배출볼밸브(7)를 갖추고 있어서 이중밸브로 인해 배출된 내용물이 다시 전혀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 노즐(6) 내의 내용물이 굳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펌핑수단 상부에 노즐을 구비한 버튼이 결합되는 펌프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피스톤 내부에 내용물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내용물유로에 배출밸브볼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과 결합된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용물은 피스톤의 내용물유로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피스톤 상단에 내용물유로를 막고 있는 배출밸브볼을 밀어내어 내용물이 배출되고, 가압한 버튼을 놓게 되면 상승되었던 배출밸브볼이 하강하면서 이동하는 부피만큼 노즐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함으로써, 노즐 내에 내용물이 굳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펌핑수단의 피스톤 상단에 분리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내용물유로에 배출밸브볼을 강제로 결합함으로써, 버튼을 분리하더라도 배출밸브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며, 내부에 내용물유로(341)가 형성된 펌핑수단(30)과;
상기 펌핑수단(30)에 결합되어 수직 이동되며, 일측에 노즐(61)이 형성된 버튼(60);으로 구성되되,
상기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에는 배출밸브볼(36)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출밸브볼(36)은 내용물유로(341)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키거나, 폐쇄하면서 버튼(60)의 노즐(61)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펌핑수단(30) 내측에는 밀폐부재(33)가 장착되며, 상기 밀폐부재(33)는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에는 배출밸브볼(36)이 아래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턱(3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 상단에는 배출밸브볼(36)이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돌기(3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는 펌핑수단(30)을 용기본체(10)에 고정시키는 용기캡(4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캡(40) 상부에는 펌핑수단(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펌핑수단(30)을 밀폐시키는 마감캡(5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50)에는 펌핑수단(30)의 실린더(31)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폐돌륜(51)과 마감캡(50)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결합돌륜(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캡(50)의 결합돌륜(52) 외측에는 용기캡(40)과 마감캡(50) 사이의 틈새를 막는 유입방지날개(5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내용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펌핑수단 상부에 노즐을 구비한 버튼이 결합되는 펌프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피스톤 내부에 내용물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내용물유로에 배출밸브볼을 구비함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 버튼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과 결합된 피스톤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용물은 피스톤의 내용물유로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피스톤 상단에 내용물유로를 막고 있는 배출밸브볼을 밀어 내어 내용물이 배출되고, 가압한 버튼을 놓게 되면 상승되었던 배출밸브볼이 하강하면서 이동하는 부피만큼 노즐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함으로써, 노즐 내에 내용물이 굳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펌핑수단의 피스톤 상단에 분리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의 내용물유로에 배출밸브볼을 강제로 결합함으로써, 버튼을 분리하더라도 배출밸브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펌프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버튼을 가압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버튼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버튼과 마감캡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버튼을 가압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버튼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버튼과 마감캡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며, 내부에 내용물유로(341)가 형성된 펌핑수단(30)과, 상기 펌핑수단(30)에 결합되어 수직 이동되며, 일측에 노즐(61)이 형성된 버튼(60)으로 구성되되, 상기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에는 배출밸브볼(36)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출밸브볼(36)은 내용물유로(341)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배출시키거나, 폐쇄하면서 버튼(60)의 노즐(61)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상부에는 내용물의 주입이 가능한 개구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개구부(11)의 상단에는 패킹(20)이 위치한다.
상기 패킹(20)은 용기본체(10)의 밀폐력을 높여 주는 역할을 하며, 재질은 NBR 이나 발포PE로 형성된다.
상기 패킹(20)의 상단에는 펌핑수단(30)이 장착된다.
상기 펌핑수단(30)은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에 삽입되는 피스톤(34)과, 상기 피스톤(34)의 외주면과 실린더(31)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피스톤링(35)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부에 결합되는 체크밸브(32)와, 상기 피스톤(34)에 형성된 내용물유로(341)에 결합되는 배출밸브볼(36) 및 상기 실린더(31)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37)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31)는 용기본체(10)의 개구부(11)에 위치하는 패킹(20)의 상단에 안착되며, 피스톤링(35)이 끼워진 피스톤(34)이 삽입되어 승하강하고, 하부에는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내용물유입구(311)가 형성되며, 측면에 공기흡입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31)의 내용물유입구(311)에는 체크밸브(32)가 설치되어 일단 실린더(31)로 유입된 내용물이 용기본체(10)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크밸브(32)는 막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본 발명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용물유입구(311)의 내측으로 딥튜브(313)가 결합되며, 상기 딥튜브(313)는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실린더(31)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흡입홀(312)은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빠져나갈 때 내측에 발생한 음압을 없애기 위해 공기흡입홀(31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용기본체(10)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피스톤(34)은 내부에 내용물유로(341)가 형성되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안착턱(342)과 분리방지돌기(343)가 형성된다.
상기 내용물유로(341)는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이 버튼(60)의 노즐(61)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안착턱(342)은 내용물유로(341)에 결합된 배출밸브볼(36)이 아래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배출밸브볼(36)이 안착턱(342)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내용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방지돌기(343)는 배출밸브볼(36)이 위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출밸브볼(36)은 분리방지돌기(343)를 지나서 피스톤(34)의 내용물유로(341)에 강제로 삽입 결합됨으로써, 버튼(60)을 분리하더라도 배출밸브볼(36)이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볼(36)은 안착턱(342)과 분리방지돌기(343) 사이에서 상하 이동을 한다.
상기 배출밸브볼(36)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이 버튼(60)의 노즐(61)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때는 분리방지돌기(343)쪽으로 이동하였다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60)의 가압을 해제하면 안착턱(342)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밸브볼(36)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부피만큼 노즐(61)에 잔존하는 내용물 또한 노즐(61) 안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노즐(61)에서 내용물이 굳거나 변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4)의 상부에는 내용물유로(341)와 버튼(60)이 결합된다.
상기 피스톤(34)의 외주면에는 피스톤링(35)이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링(35)은 실린더(31)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어 실린더(31)로 유입된 내용물이 실린더(31) 내벽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링(35)은 피스톤(34)에 별도로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34)이 하강함에 따라 피스톤링(35)이 실린더(31)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함께 하강하면서 실리더(31)의 내부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 유입된 내용물이 피스톤(34)의 내용물유로(341)를 통해서 버튼(60)의 노즐(61)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는 밀폐부재(33)가 장착되며, 상기 밀폐부재(33)는 일측에 관통공(331)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33)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60)을 마감캡(50)에 결합하여 본 발명의 펌프용기를 이동하거나 운반할 때, 피스톤(34)의 내용물유로(341) 하단을 밀폐시켜 실린더(31)에 유입된 내용물이 버튼(60)의 노즐(61)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폐부재(33)의 관통공(331)은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크밸브(32)를 지난 내용물이 실린더(31)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7)가 장착되어 피스톤(34)을 탄발지지하여 버튼(60)의 가압을 해제했을 때, 상기 피스톤(34)을 위쪽으로 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부에는 용기캡(40)이 결합된다.
상기 용기캡(40)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이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은 용기본체(10) 개구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어 펌핑수단(30)을 상기 용기본체(10)에 고정시킨다.
상기 용기캡(40)의 상부에는 마감캡(50)이 결합된다.
상기 마감캡(50)의 가운데는 펌핑수단(30)의 피스톤(34)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캡(50)은 내측에 밀폐돌륜(51)과 결합돌륜(52)이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밀폐돌륜(51)은 펌핑수단(30)의 피스톤(34) 외주면과 실린더(31) 상부 내벽 사이에 끼워져 상기 실린더(31)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돌륜(52)은 용기캡(40)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며, 외측으로 유입방지날개(53)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유입방지날개(53)는 용기캡(40)과 마감캡(50) 사이의 틈새를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펌핑수단(30)의 피스톤(34)에는 버튼(60)이 결합된다.
상기 버튼(60)은 일측에 노즐(61)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61)을 통과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를 조립하기 위해서 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10) 상단에 패킹(20)을 장착한 후, 펌핑수단(30)를 장착한다.
이때, 상기 펌핑수단(30)의 피스톤(34)에 형성된 내용물유로(341)에는 배출밸브볼(36)이 장착된다.
상기 용기본체(10) 상단에 펌핑수단(30)을 장착한 다음, 용기캡(40)을 이용하여 상기 펌핑수단(30)을 용기본체(10)에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용기캡(40)에 마감캡(50)을 안착시키되, 상기 마감캡(50)의 내측에 형성된 밀폐돌륜(51)이 펌핑수단(30)의 피스톤(34) 외주면과 실린더(31) 상부 내벽 사이에 끼워져 상기 실린더(31)를 밀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펌핑수단(30)의 피스톤(34)에 버튼(60)을 결합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펌프용기의 버튼(60)을 가압하여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버튼(60)을 가압하면 버튼(60)과 결합된 펌핑수단(30)의 피스톤(34)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내용물은 피스톤(34)의 내용물유로(341)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피스톤(34)의 내용물유로(341)를 막고 있는 배출밸브볼(36)을 밀어 내어 내용물이 배출된다.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60)의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부재(37)에 의해 피스톤(34)과 버튼(60)이 상승하여 실린더(31)의 체적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체크밸브(32)를 밀어 올리면서 실린더(31)로 유입되는 동시에 버튼(60)의 노즐(61) 내에 있던 내용물이 실린더(31) 내로 유비도게 된다. 이때, 상승되었던 배출밸브볼(36)이 하강하면서 이동하는 부피만큼 버튼(60)의 노즐(61)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함으로써, 상기 노즐(61) 내에 내용물이 굳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서 설명한 것은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용기본체 11:개구부
20:패킹 30:펌핑수단
31:실린더 311:내용물유입구
312:공기흡입홀 313:딥튜브
32:체크밸브 33:밀폐부재
331:관통공 34:피스톤
341:내용물유로 342:안착턱
343:분리방지돌기 35:피스톤링
36:배출밸브볼 37:탄성부재
40:용기캡 50:마감캡
51:밀폐돌륜 52:결합돌륜
53:유입방지날개 60:버튼
61:노즐

Claims (8)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내용물을 펌핑하며, 내부에 내용물유로(341)가 형성된 펌핑수단(30)과;
    상기 펌핑수단(30)에 결합되어 수직 이동되며, 일측에 노즐(61)이 형성된 버튼(60);으로 구성되되,
    상기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에 배출밸브볼(36)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배출밸브볼(36)이 내용물유로(341)를 개방하면서 내용물을 배출시키거나, 폐쇄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한 부피만큼 노즐(61) 내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상기 노즐(61) 안쪽으로 흡입하고,
    상기 펌핑수단(30) 내측에 밀폐부재(33)가 장착되어 상기 밀폐부재(33)가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에는 배출밸브볼(36)이 아래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턱(3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30)의 내용물유로(341) 상단에는 배출밸브볼(36)이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돌기(3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 상부에는 펌핑수단(30)을 용기본체(10)에 고정시키는 용기캡(4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캡(40) 상부에는 펌핑수단(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펌핑수단(30)을 밀폐시키는 마감캡(50)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50)에는 펌핑수단(30)의 실린더(31) 내주면에 밀착되는 밀폐돌륜(51)과 마감캡(50)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는 결합돌륜(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캡(50)의 결합돌륜(52) 외측에는 용기캡(40)과 마감캡(50) 사이의 틈새를 막는 유입방지날개(5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KR1020160067186A 2016-05-31 2016-05-31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KR101849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186A KR101849553B1 (ko) 2016-05-31 2016-05-31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186A KR101849553B1 (ko) 2016-05-31 2016-05-31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099A KR20170136099A (ko) 2017-12-11
KR101849553B1 true KR101849553B1 (ko) 2018-04-18

Family

ID=60943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186A KR101849553B1 (ko) 2016-05-31 2016-05-31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5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433A (ko) 2021-12-01 2023-06-08 온준호 사용에 따라 펌프캡 노즐의 각도가 변하는 펌프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953B1 (ko) * 2018-01-22 2019-09-30 신안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분해조립이 가능한 액체저장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152B2 (ja) * 1990-02-06 2000-03-2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4152B2 (ja) * 1990-02-06 2000-03-2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433A (ko) 2021-12-01 2023-06-08 온준호 사용에 따라 펌프캡 노즐의 각도가 변하는 펌프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099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626B2 (en) Airless dispensing pump container with an airtight push down type nozzle head
US8672191B2 (en) Manual spray pump
KR100766816B1 (ko) 내용물 정량 토출과 누액방지 및 변질방지 기능을 갖는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US10493475B1 (en) Pump type liquid airtight container
AU2020297401B2 (en) Pump assembly and container having content discharge function
JP2023510405A (ja) ポンプ容器
GB2506182A (en) Lotion Spray head assembly
KR20120032135A (ko) 내용물이 정량 토출되는 노즐헤드 하강형 진공밀폐 펌프디스펜서 용기
JP2008535651A (ja) 流体を容器から計量配分するための投与ヘッド
KR101849553B1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굳지 않도록 흡입하는 펌프용기
KR101987601B1 (ko) 펌프식 액체 밀폐용기
JP2018016349A (ja) 吐出キャップ
KR100889050B1 (ko) 디스펜서 펌프
KR20090000905A (ko) 소형 수동식 펌프
KR10224338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2018154356A (ja) 吐出キャップ
KR20200118548A (ko)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백플로우 펌핑장치
KR20200052204A (ko) 방수 기능을 가진 액체용기용 펌핑장치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KR101012546B1 (ko) 진공펌핑 용기
KR101140380B1 (ko)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20160005393A (ko)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되는 펌프 용기
KR101320556B1 (ko) 화장품 용기
KR20080001894A (ko) 디스펜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