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283A - 프로젝터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283A
KR20140054283A KR1020147007103A KR20147007103A KR20140054283A KR 20140054283 A KR20140054283 A KR 20140054283A KR 1020147007103 A KR1020147007103 A KR 1020147007103A KR 20147007103 A KR20147007103 A KR 20147007103A KR 20140054283 A KR20140054283 A KR 2014005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adjustment
image
guide
guid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8276B1 (ko
Inventor
미카 고야마
테츠 나카야마
신고 요시다
히로토 미야우치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5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8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sideward adjustment, i.e. left-right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가이드 화상(Pg)의 중심의 상부 영역에는, 프로젝터(1)와 프로젝터(1)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2)를 표시하는 사시도(D)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화상(Pg)의 우측 상부의 영역에는, 번호(1 내지 6)가 부여된 6개의 일러스트(G1 내지 G6)가 포함된다. 6개의 일러스트(G1 내지 G6)는 프로젝터(1)의 지지 상태와 관련된 6개의 조정 항목에 각각 대응한다. 일러스트(G1 내지 G6)는 조정 항목이 조정될 때 투사된 화상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나타낸다. 사시도(D)는 지지 장치(2)의 6개의 조정 항목을 조정하는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사시도(D)에는, 번호(1 내지 6)가 각 조정 조작부 근처의 풍선 내에 부여되어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 및 화상 표시 장치{PROJECTO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변조하여 그 광을 투사하는 프로젝터와 그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을 변조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를 지지하여, 그 프로젝터를 벽면, 천정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지지 장치(서스펜션(suspension)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 지지 장치는 프로젝터의 지지 상태(위치, 기울기 등)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를 포함한다. 유저는 그 조정기구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화상의 위치, 크기, 형태 등을 조정(보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1-2610호
그러나, 전술된 지지 장치에서는, 미경험자의 유저가 조정기구의 조작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그런 유저가 조정기구를 조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유저는 종종 매뉴얼(인쇄물)을 참조하면서 작업을 해야만한다. 결국, 유저는 조정 작업, 즉 프로젝터 설치 작업에 시간을 들이게 된다.
본 발명의 형태의 이점은 전술된 문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해소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될 수 있다.
적용예 1
본 발명의 적용예는, 프로젝터의 지지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정 조작부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에 의하여 지지되는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 이 프로젝터는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된 광을 투사하여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투사부와 복수의 조정 조작부에 의하여 조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 프로젝터에 의하면, 프로젝터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의 조정 조작부에 의하여 지지 상태의 조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유저는 그 표시된 가이드 화상을 보면서 지지 상태를 조정할 수 있고 조정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적용예 2
전술된 적용예의 프로젝터에 있어서, 가이드 화상은 복수의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설명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로젝터에 의하면, 가이드 화상은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설명도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저가 조작해야할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적용예 3
전술된 적용예의 프로젝터에 있어서, 가이드 화상은 복수의 조정 조작부와 그 프로젝터의 지지 상태에 관한 복수의 조정 항목 사이의 대응을 나타내는 복수의 일러스트(illustratio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로젝터에 의하면, 가이드 화상이 조정 조작부와 조정 항목 사이의 대응을 나타내는 복수의 일러스트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저는 어느 조작 항목을 조정하기 위하여 어느 조정 조작부를 조작해야하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적용예 4
전술된 적용예의 프로젝터에 있어서, 일러스트는 조정 항목이 조정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로젝터에 의하면, 조정 항목을 표시하는 일러스트는, 조정 항목이 조정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를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가 투사된 화상을 보면서 조정을 실행하는 경우, 유저는, 유저가 조정해야할 조정 항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적용예 5
전술된 적용예의 프로젝터에 있어서, 가이드 화상에서는, 지지 상태의 조정을 실행할 때의 순서를 표시하는 기호가, 설명도에 도시된 조정 조작부와 그 조정 조작부에 대응하는 일러스트 양자에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로젝터에 의하면, 지지 상태의 조정을 실행할 때의 순서를 표시하는 기호가 설명도 내의 조정 조작부와 그 조정 조작부에 대응하는 일러스트 양자에 부여되기 때문에, 유저는 조정 조작부와 일러스트 사이의 대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조정을 위한 조작 순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적용예 6
전술된 적용예의 프로젝터에 있어서, 가이드 화상은 프로젝터의 지지 상태를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한 테스트 패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프로젝터에 의하면, 프로젝터의 지지 상태를 인식하기 쉽게 하기 위한 테스트 패턴이 가이드 화상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지지 상태의 조정을 더 쉽게 실행할 수 있다.
적용예 7
전술의 적용예의 프로젝터에 있어서, 프로젝터는, 가이드 화상이 자동적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부와 기동시에 기억부로부터 그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프로젝터에 의하면, 기동시에 가이드 화상을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는 지지 장치에 대한 조정 작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적용예 8
본 발명의 이 적용예는 전술된 측면에 따르는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와 그 프로젝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화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프로젝터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a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b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지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우측의 경사된 상방으로부터 본 보유지지기구의 도면이다.
도 5b는 좌측의 경사된 상방으로부터 본 보유지지기구의 도면이다.
도 6은 프로젝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서 전원이 온(ON)인 경우에 실행되는 프로젝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가이드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서 전원이 온인 경우에 실행되는 프로젝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제1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전체구성
도 1a 및 도 1b는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는 정면도이며 도 1b는 측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장치(100)는 프로젝터(1)와 지지 장치(2)를 포함한다. 프로젝터(1)는 벽면(W) 상에 배치된 스크린(SC) 상에 광을 투사하여, 스크린(SC) 상에 화상을 표시한다. 지지 장치(2)는 스크린(SC) 위의 벽면(W)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장치(2)는 벽면(W)으로부터 떨어져서 프로젝터(1)를 지지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벽면(W)에 대한 법선 방향에 있어서, 프로젝터(1)측으로부터 벽면(W)으로의 방향을 전(front)방향(+Y방향)으로 표시하고 벽면(W)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후(rear)방향(-Y방향)으로 표시한다. 수직 방향에 있어서는, 중력 반대 방향을 상(up)방향(+Z방향)으로 표시하고 중력 방향을 하(down)방향(-Z방향)으로 표시한다. 벽면(W) 상에서, 우측 방향을 우방향(+X방향)으로 표시하고 좌측 방향을 좌방향(-X방향)으로 표시한다.
프로젝터(1)는 투사된 광의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오목 미러(15; 도 6 참조)를 포함하는 단촛점형(short focus type) 프로젝터이다. 프로젝터(1)는 근거리로부터 스크린(SC) 상에 광을 투사하여 넓은 스크린 상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의 상면(1A)은 지지 장치(2)에 의하여 지지된다. 프로젝터(1)는 하면(1B)에 형성된 투사창(1C)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아래측에 설치된 스크린(SC)으로 광을 투사한다.
지지 장치의 구성
도 2 및 도 3은 지지 장치(2)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프로젝터(1)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지지 장치(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2)는 베이스(base)부(5), 제1 아암(6), 제2 아암(7) 및 보유지지기구(8)를 포함한다.
베이스부(5)는 벽면(W)에 고정되어서 제1 아암(6)을 지지한다. 제1 아암(6)을 승강(lift and lower)시키기 위한 구동 샤프트(57)가 베이스부(5)에 부착된다. 베이스부(5)에 있어서, 시트금속으로 형성된 3개의 직사각형 부재가 나사(51)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부(5)는 중앙에 배치된 베이스부 본체(5a), 베이스부 본체(5a)의 좌측에 결합된 좌측 부재(5b) 및 베이스부 본체(5a)의 우측에 결합된 우측 부재(5c)를 포함한다. 베이스 본체(5a), 좌측 부재(5b) 및 우측 부재(5c)를 벽면(W)에 각각 고정하기 위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관통시키는 복수의 홀(hole; 52)이 베이스부 본체(5a), 좌측 부재(5b) 및 우측 부재(5c)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 본체(5a)는 벽면(W)을, 즉 XY평면을 따라서 배치된 평면부(53)를 포함한다. 평면부(53)의 상하단 및 좌우단은 -Y방향으로 굽어 있다. 평면부(53)의 하단의 굽혀진 하면부(54)에는, 구동 샤프트(57)가 부착되는 리세스(54a)가 형성된다. 평면부(53)의 상단의 굽혀진 상면부(55)에는, 구동 샤프트(57)의 말단이 삽입되는 관통홀(55a)이 형성된다.
구동 샤프트(57)는 길이가 긴 육각형 볼트이다. 샤프트의 외주에는 나사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구동 샤프트(57)는, 구동 샤프트(57)의 말단이 상면부(55)의 관통홀(55a)로부터 돌출되고 구동 샤프트(57)의 머리부(57a)가 하면부(54)의 리세스(54a)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베이스부 본체(5a)에 부착된다. 너트(이중 너트; 58)는 머리부(57a)로부터 떨어진 소정 거리에서 구동 샤프트(57)와 나사고정되어 있다. 구동 샤프트(57)는 머리부(57a)와 너트(58)가 그들 사이에 하면부(54)를 유지하도록 베이스부 본체(5a)에 부착된다.
평면부(53)의 좌우단 양자에서 굽혀진 좌우측부(56) 쌍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두 개의 긴 홀(56a 및 56b)이 형성된다. 긴 홀(56a 및 56b)은 상하 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나란히 형성된다. 긴 홀(56a)은 긴 홀(56b) 위에 배치된다.
제1 아암(6)은 베이스부(5)에 부착된 베이스(61)와 -Y방향으로 베이스(61)로부터 돌출하는 아암 지지부(66)를 포함한다. 베이스(61) 및 아암 지지부(66)는 시트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1 아암(6)은 구동 샤프트(57)의 회전에 따라서 베이스부(5)에 대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베이스(61)는 베이스부 본체(5a)의 평면부(53)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베이스 본체(62)와 베이스 본체(62)의 좌우단으로부터 +Y방향으로 굽혀진 측면부(63)(도 4 참조)를 포함한다. 아암 지지부(66)의 기단이 배치된 직사각형 개구부(62a)가 베이스 본체(62)의 상단 가까이에 형성된다.
좌우측부(63)는 베이스부 본체(5a)의 좌우측부(56)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좌우측부(63)에는, 베이스부 본체(5a)의 긴 홀(56a 및 56b)로부터 각각 노출되어 있는 두 개의 홀(63H)이 형성된다. 좌우측부(63)의 내측에는, 너트(63N)가 홀(63H)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61)는 베이스 본체(62)의 상단으로부터 +Y방향으로 굽혀진 상면부(64)와 베이스본체(62)의 하단으로부터 +Y방향으로 굽혀진 하면부(65)(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상면부(64)와 하면부(65)에는, 구동축(57)이 삽입관통되는 홀(64H 및 65H)(홀(65H)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홀(64H 및 65H)은 구동축(57)의 외주에 있는 나사와 걸어맞춤된다.
아암 지지부(66)는, 일단(기단)이 베이스(61)의 개구부(62a)로 삽입되고타단(말단)이 -Y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베이스(61)에 고정된다. 아암 지지부(66)는 XY평면을 따르는 저면부(67), 저면부(67)의 좌우단 양자로부터 상방향으로 세워진 기립부(standing section; 68), 및 저면부(67)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좌우 상면부(69)로서, 좌우 상면부(69)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좌우 기립부(68)의 상단으로부터 굽혀진 좌우 상면부(69)를 포함한다.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 홀(69H)이 좌우 상면부(69)에 형성된다.
제1 아암(6)은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1 아암(6)은, 상면부(64)와 하면부(65)의 홀(64H 및 65H)을 통하여 삽입되는 구동 샤프트(57)와 함께 베이스부 본체(5a)에 부착된다. 가이드 나사(30)와 고정 나사(41)가 베이스부 본체(5a)의 긴 홀(56a 및 56b)를 통하여 삽입되어서, 제1 아암(6)이 베이스부 본체(5a)에 고정된다. 가이드 나사(30)는 좌측(-X측)에서는 측부(56)의 긴 홀(56a 및 56b)을 통하여 삽입되고 우측(+X측)에서는 측부(56)의 하측의 긴 홀(56b)를 통하여 삽입된다. 고정 나사(41)는 우측(+X측)의 측부(56)의 상측에 있는 긴 홀(56a)을 통하여 삽입된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나사홈이 가이드 나사(30)의 말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은 원주 형상의 비나사(non-screw)부가 나사머리측의 기단부에 형성된다. 비나사부는 긴 홀(56a 및 56b)의 주연부와 당접하여 가이드 나사(30)가 제1 아암(6)을 가이드하게 한다.
고정 나사(41)를 풀고 구동 샤프트(57)를 렌치 등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제1 아암(6)은 회전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제1 아암(6)이 슬라이드하는 경우, 가이드 나사(30)의 비나사부가 긴 홀(56a 및 56b)의 주연부에 대하여 슬라이드하여서 제1 아암(6)을 매끄럽게 이동시킨다. 고정 나사(41)를 조이는 경우, 제1 아암(6)은 제1 아암(6)이 이동한 위치에 고정된다.
제2 아암(7)은 시트 금속으로 형성된 아암본체(71)와 합성수지로 형성된 말단커버(75)를 포함한다. 제2 아암(7)은 제1 아암(6)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아암(7)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제1 아암(6)에 대한 제2 아암(7)의 돌출량이 변화된다. 보유지지기구(8)는 제2 아암(7)에 부착된다.
아암본체(71)는 아암 지지부(66)의 저면부(67), 기립부(68) 및 좌우 상면부(69)의 내측에 각각 배치된 저면부(72), 기립부(73) 및 좌우 상면부(74)를 포함한다.
좌우 상면부(74)의 각각에는, 제1 아암(6)의 가이드홀(68H)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며 가이드 나사(31)와 고정 나사(42)(도 4 참조)가 나사고정되는 2개의 나사 구멍(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가이드 나사(31)는, 좌우 상면부(74)의 각각에 2개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 중에서 전측(+Y측)에 있는 나사구멍 내에 나사고정된다. 고정 나사(42)는 나사구멍 중 후측(-Y측)에 있는 나사구멍 내에 나사고정된다. 가이드 나사(31)에는, 가이드 나사(30)와 같이, 나사홈이 말단측에 형성되며 비나사부가 나사 머리측에 있는 기단부에 형성된다.
제2 아암(7)이 슬라이드할 때, 비나사부는 가이드홀(69H)의 주연부와 당접하여서 가이드 나사(31)가 제2 아암(7)을 매끄럽게 가이드한다. 고정 나사(42)는 소정의 위치로 슬라이드된 제2 아암(7)을 고정한다.
제2 아암(7)이 제1 아암(6)을 통하여 삽입된 후에, 가이드 나사(31)와 고정 나사(42)를 가이드홀(69H)로부터 관통하여 삽입하고 상면부(74)의 나사홀 내에서 나사고정된다. 도 4에 있어서는, 제2 아암(7)과 제1 아암(6)이 분해된 상태에서, 가이드 나사(31)와 고정 나사(42)가 상면부(74)의 나사구멍에서 나사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좌우 상면부(74)에는, 보유지지기구(8)을 부착하기 위한 3세트의 나사구멍(74a, 74b 및 74c)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74a, 74b 및 74c)은 전측(+Y측)에서 후측(-Y측)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나사구멍들(74a 및 74b) 사이의 거리 및 나사구멍들(74b 및 74c)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말단커버(75)는 지지 장치(2)의 미관과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한 커버부재이다. 말단커버(75)는 아암본체(71)의 -Y측 단부에 배치된다.
제2 아암(7)은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1 아암(6)을 통하여 삽입된 후에, 가이드 나사(31)와 고정 나사(42)가 제1 아암(6)의 가이드홀(69H)로부터 관통하여 삽입되어서, 제2 아암(7)이 제1 아암(6)에 고정된다. 고정 나사(42)를 풀면 제2 아암(7)이 슬라이드 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아암(7)이 슬라이드되면, 가이드 나사(31)의 비나사부가 가이드홀(69H)의 주연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여서, 제2 아암(7)이 매끄럽게 이동한다. 고정 나사(42)를 조이면, 제2 아암(7)은 제2 아암(7)이 이동된 위치에 고정된다.
보유지지기구의 구성
보유지지기구(8)는 제2 아암(7)에 고정되어서 프로젝터(1)를 지지한다. 보유지지 지구(8)는 프로젝터(1)의 상면(1A)에 고정된 고정부재(81)와 고정부재(81)와 제2 아암(7)을 결합하는 조정기구(9)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보유지지기구(8)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우측의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본 보유지지기구(8)의 도면이다. 도 5b는 좌측의 상부로부터 경사지게 본 보유지지기구(8)의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81)는 시트 금속으로 형성된다. 프로젝터(1)의 좌우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부재(81)는, 고정부재(81)가 프로젝터(1)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정기구(9)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부재(81)는 프로젝터(1)의 상면(1A)(도 2 참조)에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저면부(811), 저면부(811)의 전후 단부 양자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하고 있는 기립부(812) 및 저면부(811)에 대체적으로 평행한 전후 상면부(813)으로서, 전후의 기립부(812)의 상단으로부터 상면부(813)이 서로 가깝게 되도록 굽어진 전후 상면부(813)를 포함한다. 저면부(811)에는, 프로젝터(1)의 상면(1A)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홀(811H)이 형성된다. 좌우방향(+/-X방향)을 따르는 긴 홀(812H)이 전측(-Y측)의 기립부(812)에 형성된다.
고정 나사(44)(도 2 참조)가 저면부(811)의 관통홀(811H)를 통하여 삽입되어서, 고정부재(81)가 프로젝터(1)에 고정된다. 상면부(813)는 조정기구(9)(다음에서 설명된 제1 플레이트(91))에 계지(lock)되어서, 고정부재(81)가 조정기구(9)(제1 플레이트(91))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2개의 고정나사(43)가 긴 홀(812H)을 통하여 삽입되어서, 고정부재(81)가 조정기구(9)(제1 플레이트(91))에 고정된다.
조정기구(9)는 프로젝터(1)의 자세(경사)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조정기구(9)는 X축에 대한 회전방향으로의 미세조정(상하 경사 조정), Y축에 대한 회전방향으로의 미세조정(수평롤(roll)조정) 및 Z축에 대한 회전방향으로의 미세조정(수평회전조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정기구(9)는 제1 플레이트(91), 제2 플레이트(92), 제3 플레이트(93), 회전기구(94), 제1 샤프트(95), 제2 샤프트(96), 제3 샤프트(97) 및 3개의 코일스프링(98)을 포함한다. 다이얼(951), 다이얼(961) 및 다이얼(971)이 제1 샤프트(95), 제2 샤프트(96) 및 제3 샤프트(97)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제1 플레이트(91), 제2 플레이트(92) 및 제3 플레이트(93)는 시트 금속으로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플레이트(91)에는, 고정부재(81)가 X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플레이트(91)는 고정부재(81)의 상면부(813)가 계지되는 평편부(911) 및 평편부(911)의 -Y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굽어져 있고 고정부재(81)의 -Y측에 있는 기립부(812)의 내측에 배치되는 굴곡부(912)를 포함한다. 굴곡부(912)에는, 고정부재(81)의 긴 홀(812H)로부터 노출되는 2개의 나사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고정부재(81)가 고정나사(43)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2 플레이트(92)는 제1 플레이트(91)의 평편부(911)의 아래에 연결되어서 제1 플레이트(91)가 Z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제3 플레이트(93)는 조정기구(9)의 상측의 영역에 형성한다. 제3 플레이트(93)는 제2 아암(7)의 상면부(74)(도 2 참조)에 고정된다. 제3 플레이트(93)는 상면부(74)에 위치된 재치부(931)와, 재치부(931)의 전후 단부 양자로부터 상방으로 굽은 한 쌍의 상굴곡부(932)와, 재치부(931)의 좌우 단부 양자로부터 하방으로 굽어진 한 쌍의 하굴곡부(933)를 포함한다.
재치부(931)에는, 나사가 삽입되는 2 세트의 관통홀(93ab 및 93bc)이 형성된다. 관통홀(93ab 및 93bc)은 3 세트의 나사구멍(74a, 74b 및 74c)(도 4 참조) 중 서로 인접한 2 세트의 나사구멍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보유지지기구(8)는, 나사구멍(74a 및 74b)이 관통홀(93ab 및 93bc)로부터 노출되는 위치(제1 부착위치) 및 나사구멍(74b 및 74c)이 관통홀(93ab 및 93bc)로부터 노출되는 위치(제2 부착위치) 중 소정의 위치에서 제2 아암(7)에 부착될 수 있다.
회전기구(94)는 제3 플레이트(93)의 한 쌍의 하굴골부(933)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기구(94)는 제2 플레이트(92)와 제3 플레이트(93)와 결합하여 제2 플레이트(92)가 제3 플레이트(93)에 대하여 X축 및 Y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제1 샤프트(95)는, 제1 샤프트(95)의 중심축을 Y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면서, 제1 플레이트(91) 및 제2 플레이트(92)에 형성된 굴곡부를 가교시키고 코일스프링(98)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제2 샤프트(96)는, 제2 샤프트(96)의 중심축이 X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면서 제2 플레이트(92)와 회전 기구(94)에 설치된 굴곡부들을 가교시켜서 코일 스프링(98)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제3 샤프트(97)는, 제3 샤프트(97)의 중심축을 Y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면서 제3 플레이트(93)와 회전기구(94)에 설치된 굴곡부를 가교시켜서 코일 스프링(98)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도록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다이얼(951, 961 및 971)은 제1 샤프트(95), 제2 샤프트(96) 및 제3 샤프트(97)의 단부에 각각 부착된다. 유저는 다이얼(951, 961 및 971)을 각각 돌림으로써 제1 샤프트(95), 제2 샤프트(96) 및 제3 샤프트(97)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보유지지기구(8)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3 플레이트(93)가 제2 아암(7)의 상면부(74)의 제1 부착 위치 또는 제2 부착 위치에 배치된 후에, 보유지지기구(8)는, 관통홀(93ab 및 93bc)을 통하여 삽입된 고정 나사(45)(도 2 참조)에 의하여 제2 아암(7)의 상면부(74)에 고정된다.
지지 장치의 조정 방법
지지 장치(2)의 조정 조작은 도 2,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저는, 고정 나사(41)를 푼 후에, 구동 샤프트(57)를 회전함으로써 베이스부(5)에 대하여 상하 방향(+/-Z방향)으로 제1 아암(6)을 슬라이드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고정 나사(41)와 구동 샤프트(57)를 조작함으로써 +/-Z방향으로 프로젝터(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 조정에 의하여 투사된 화상, 즉 투사에 의해 표시된 화상을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유저는 고정 나사(42)를 풀어줌으로써 제1 아암(6)에 대하여 전후 방향(+/-Y방향)으로 제2 아암(7)을 슬라이드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고정 나사(42)를 조작함으로써 +/-Y방향으로 프로젝터(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 조정에 따라서 투사된 화상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프로젝터(1)가 전방(스크린(SC)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투사된 화상은 축소된다. 프로젝터(1)가 후방(스크린(S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투사된 화상은 확대된다.
유저는, 고정 나사(43)를 풀어줌으로써 조정기구(9)에 대하여 좌우방향(+/-X방향)으로 고정부재(81)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즉, 유저는, 고정 나사(43)를 조작함으로써 +/-X방향으로 프로젝터(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 조정에 의하여 좌우로 투사된 화상을 이동시킬 수 있다.
유저는 다이얼(951)을 돌림으로써 제2 플레이트(92)에 대하여 Z축을 중심으로 제1 플레이트(9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1)는 또한 제1 플레이트(91)에 고정된 고정부재(81)와 함께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프로젝터(1)의 수평 회전 조정이 실행된다. 즉, 유저는, 다이얼(951)을 조작함으로써 프로젝터(1)의 Z축 둘레의 각도(경사)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 조정에 따라서 투사된 화상의 좌우 방향으로 사다리꼴형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유저는, 다이얼(961)을 돌림으로써 회전기구(94)에 대하여 Y축을 중심으로 제1 플레이트(91)와 제2 플레이트(9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1)는 또한 제1 플레이트(91)에 고정된 고정부재(81)와 함께 Y축을 중심으로 또한 회전할 수 있어서, 프로젝터(1)의 수평롤조정이 실행된다. 즉, 유저는, 다이얼(961)를 조작함으로써 프로젝터(1)의 Y축 둘레의 각도(경사)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 조정에 따라서 스크린(SC)에 투사된 화상의 회전(경사)을 보정할 수 있다.
유저는, 다이얼(971)을 돌림으로써 회전기구(94)에 대하여 X축을 중심으로 제1 플레이트(91) 및 제2 플레이트(92)를 회전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1)는 제1 플레이트(91)에 고정된 고정부재(81)와 함께 X축에 대하여 회전하여서, 프로젝터(1)의 수직 경사 조정이 실행된다. 즉, 유저는 다이얼(971)을 조작함으로써 프로젝터(1)의 X축 둘레의 각도(경사)를 조정할 수 있으며, 그 조정에 따라서 투사된 화상의 상하 방향으로 사다리꼴형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지지 장치(2)는, 프로젝터(1)의 지지 상태에 관한 조정 항목으로서, 6개의 조정 항목, 즉 +/-X방향의 위치, +/-Y방향의 위치, +/-Z방향의 위치, X축 둘레의 각도, Y축 둘레의 각도 및 Z축 둘레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유저는 고정 나사(41, 42 및 43), 구동 샤프트(57) 및 다이얼(951, 961 및 971)을 조작함으로써 조정 항목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 나사(41, 42 및 43), 구동 샤프트(57) 및 다이얼(951, 961 및 971)은 프로젝터(1)의 위치 및 각도와 같은 지지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조작부에 상당한다. 상세하게는, 고정 나사(41) 및 구동 사프트(57)는 +/-Z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조작부에 상당하며, 고정 나사(42)는 +/-Y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조작부에 상당하며, 고정 나사(43)는 +/-X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조작부에 상당한다. 다이얼(951)은 Z축 둘레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조작부에 상당하며, 다이얼(961)은 Y축 둘레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조작부에 상당하며, 다이얼(971)은 X축 둘레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조작부에 상당한다.
프로젝터의 구성
프로젝터(1)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 6은 프로젝터(1)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1)는 투사부(10), 제어부(20), 입력 조작부(21), 화상-정보 입력부(22), 화상 처리부(23), 광원 제어부(24) 및 전원회로(25)를 포함한다.
투사부(10)는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광원장치(11), 광 변조장치로서 기능하는 3개의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 투사 광학 장치(13) 및 액정 구동부(16)를 포함한다. 투사부(10)는 광원장치(11)로부터 사출된 광을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에서 변조하고, 그 광을 투사광학장치(13)에서 투사하여 스크린(SC) 상에 화상을 표시한다.
광원장치(11)는 초고압수은램프 또는 금속헬륨램프를 포함하는 방전형 광원램프(11a)를 포함한다. 광원장치(11)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시되지 않은 인테그레이터(interator) 광학 시스템에 의하여 대체적으로 일정한 휘도분포를 갖는 광으로 변환되고, 도시되지 않은 색분리 광학 시스템에 의하여, 광의 3원색인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각 색광성분으로 분리된 후, 각각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로 입사된다.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는 한 쌍의 투명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투과형 액정패널을 포함한다.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는, 각각에 복수의 화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직사각형의 화소 영역(12a)을 포함한다.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는 각 화소에 대한 액정에 구동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액정 구동부(16)가 입력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구동 전압을 화소에 인가하면, 화소는 그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투과율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광원장치(11)로부터 사출된 광은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의 화소 영역을 통하여 투과되어서, 화상 정보에 따라서 각 색광에 대하여 변조된다. 변조된 색광은 도시되지 않은 색조합 광학 시스템에 의하여 합성된다.
투사 광학 장치(13)는 렌즈(14)와 반사부로서 기능하는 오목거울(15)을 포함한다. 투사 광학 장치(13)는, 오목거울(15)에서,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에 의하여 변조된 광의 각을 증가시켜서 스크린(SC) 상으로 광을 투사한다.
제어부(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20a), 그 안에 제어 프로그램, 설정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기억부로서 기능하는 비휘발성 ROM(Read Only Memory; 20b),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 20c)을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컴퓨터로서 기능한다. CPU(20a)는 ROM(20b)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RAM(20c)에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킴과 동시에 연산처리를 실행하여 프로젝터(1)의 조작을 제어한다. ROM(20b)에서는, 프로젝터(1)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가이드 화상(Pg)(도 8 참조)을 표시하는 화상 정보(가이드 화상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입력 조작부(21)는 유저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고 유저가 프로젝터(1)로 다양한 지시를 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키를 포함한다. 유저가 입력 조작부(21)의 조작키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경우, 입력 조작부(21)는 그 조작을 수신하고 그 조작된 조작키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제어신호가 입력 조작부(21)로부터 입력되면, 제어부(20)는 그 입력 제어 신호에 기초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프로젝터(1)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젝터(1)는 원격적으로 조작될 수 있는 원격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원격 제어기(1)는 또한 입력 조작부(21)에 상당한다. 원격 제어기가 유저의 입력 조작을 수신하고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적외선의 조작 신호를 프로젝터(1)의 본체로 전송하는 경우, 도시되지 않은 수신부가 조작 신호를 수신하고 그 조작 신호를 제어부(20)로 전송한다.
화상-정보 입력부(22)는 복수의 입력 단자를 포함한다. 다양한 형태의 화상 정보가, 비데오 재생장치 및 개인 컴퓨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외부 화상 공급 장치로부터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화상-정보 입력부(22)는 입력된 화상 정보를 화상 처리부(23)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23)는, 화상-정보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를,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의 화소의 계조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 즉 화소에 인가된 구동 전압을 명시하는 화상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화상 정보는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의 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소값을 포함한다. 그 화소값은 그 화소 값에 대응하는 화소의 광투과율을 설정한다. 그 화소로부터 사출된 광의 휘도는 화소값에 의하여 명시된다. 또한, 화상 처리부(23)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변환된 화상 정보에 대한 명도, 콘트라스트, 샤프니스 및 틴트(tint) 등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화질 조정처리를 행하고, 그 처리후의 화상 정보를 액정 구동부(16)로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23)는 그 화상 정보 대신에, ROM(20b)에 기억되어 있는 가이드 화상 정보를 액정 구동부(16)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0)가 화상 처리부(23)로 가이드 화상 정보를 출력하여 화상 처리부(23)가 가이드 화상(Pg)를 표시하도록 지시하면, 화상 처리부(23)는 그 입력된 가이드 화상 정보를 액정 구동부(16)로 출력하여 투사부(10)가 그 가이드 화상(Pg)에 대응하는 광을 투사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화상 처리부(23)는, 제어부(2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화상-정보 입력부(22)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상태와 가이드 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가이드 화상(Pg)을 표시하는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액정 구동부(16)가 화상 처리부(23)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따라서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를 구동하면, 광원장치(11)로부터 사출된 광은, 화상 정보에 따라서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에 의하여 변조되어 투사광학장치(13)로부터 투사된다.
광원 제어부(24)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광원장치(11)(광원램프(11a))의 점등(lighting)을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광원 제어부(24)는 소정의 전력을 광원램프(11a)로 공급함으로써 광원램프(11a)를 켤 수 있으며, 전력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광원램프(11a)를 끌 수 있다.
AC 100V 등의 상용전원(도시되지 않음)이 외부로부터 전원회로(25)로 공급된다. 전원회로(25)는 상용전원(교류 전원)을 소정의 전압을 갖는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전력을 프로젝터(1)의 각 부로 공급할 수 있다(각부로의 공급 경로는 도시되지 않음). 전원회로(25)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원회로(25)가 각 부로 광을 투사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동작전력)을 공급하는 상태(전원-온 상태)와, 전원회로(25)가 동작전력의 공급을 중단하고 전원을 온하기 위한 조작을 대기하는 상태(대기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프로젝터의 동작
상용전원이 프로젝터(1)에 공급되면, 전원회로(25)는 대기전력을 적어도 제어부(20)와 입력 조작부(21)로 공급한다. 제어부(20)는 그 전력공급을 받고 제어 프로그램에 따르는 동작을 시작한다. 상용전원이 공급된 직후에는, 프로젝터(1)는 대기상태("전원-오프(off) 상태"라고도 함)에 놓인다. 프로젝터(1)는, 광원램프(11a)를 끈 상태에서 전원공급을 온하기 위한 조작(온 조작)을 위해 대기한다.
도 7은 전원공급이 온인 경우에 실행되는 프로젝터(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유저가 대기상태에서 온 조작을 실행하면, 제어부(20)는 도 7에 도시된 플로우에 따라서 동작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1 단계에서, 제어부(20)는 전원회로(25)가 프로젝터(1)의 각 부로 동작전력의 공급을 시작하여 프로젝터(1)에 대한 전원을 온으로 하도록 지시한다.
S102 단계에서, 제어부(20)는 광원 제어부(24)가 광원장치(11)(광원램프(11a))를 켜도록 지시한다. S103 단계에서, 제어부(20)는 화상 처리부(23)가 화상-정보 입력부(22)로 입력된 화상 정보에 대한 화상 처리를 실행하고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을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결국,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은 투사부(10)로부터 투사되어 그 입력 화상이 스크린(SC)상에 표시된다.
S104 단계에서는, 제어부(20)는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조작(오프 조작)이 입력 조작부(21)에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오프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S105 단계로 이전한다. 오프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S109 단계로 이전한다.
오프 조작이 실행되지 않아서 제어부(20)가 S105로 이전하는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가이드 화상(Pg)를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 조작이 입력 조작부(21)에서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입력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S106 단계로 이전한다. 소정의 입력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S104 단계로 되돌아온다.
소정의 입력 조작이 실행되어서 제어부(20)가 S106으로 이전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가이드 화상 정보를 화상 처리부(23)로 출력하고 화상 처리부(23)가 가이드 화상(Pg)을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화상 처리부(23)는 제어부(20)의 지시에 따라서, 그 가이드 화상 정보를 액정 구동부(16)로 출력한다. 그런 후, 가이드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투사부(10)로부터 투사시켜 가이드 화상(Pg)을 스크린(SC)에 표시시킨다.
도 8은 가이드 화상(Pg)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화상(Pg)은 화상 화소 영역(12a)의 전체 영역에 형성된 직사각형 화상이다. 가이드 화상(Pg)은 외주연을 따라서 형성된 직사각형의 프레임(F), 종횡의 두 중심선(L1 및 L2), 지름이 다른 2개의 원(동심원)(C1 및 C2)을 포함한다. 두 개의 원(C1 및 C2)의 중심은 가이드 화상(Pg)의 중심, 즉 두 중심선(L1 및 L2)의 교차점과 일치한다. 더 큰 직경을 갖는 C1은 프레임(F)의 상선 및 하선과 접하고 있다. 가이드 화상(Pg)의 중심의 상부 영역에는, 프로젝터(1)와 프로젝터(1)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2)를 나타내는 사시도(D)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화상(Pg)의 우측 상부의 영역에는, 1부터 6까지의 번호(숫자)가 부여된 6개의 일러스트(G1 내지 G2)가 포함되어 있다.
프레임(F), 중심선(L1 및 L2), 및 원(C1 및 C2)은 프로젝터(1)의 지지 상태에 대응하는 투사된 하상의 경사 및 변형(왜곡)을 인식하기 쉽게하기 위한 도형(테스트 패턴)이다. 유저는 도형의 형상, 크기, 경사 등을 참조하여, 프로젝터(1)의 설정 상태와 지지 장치(2)의 지지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6개의 일러스트(G1 내지 G6)는 프로젝터(1)의 지지 상태와 관련된 6개의 조정 항목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의 조정 항목이 조정될 때 투사된 화상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나타낸다.
상세하게는, 제1 일러스트(G1)는, 프로젝터(1)가 Y축 둘레를 회전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경사의 변화)를 표시한다. 제2 일러스트(G2)는 프로젝터(1)가 Z축 둘레를 회전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형상의 변화)를 표시한다. 제3 일러스트(G3)는 프로젝터(1)가 X축 둘레를 회전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형상의 변화)를 표시한다. 제4 일러스트(G4)는 프로젝터(1)가 +/-X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위치의 변화)를 표시한다. 제5 일러스트(G5)는 프로젝터(1)가 +/-Y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크기의 변화)를 표시한다. 제6 일러스트(G6)는 프로젝터(1)가 +/-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위치의 변화)를 표시한다.
6개의 일러스트(G1 내지 G6)는 각각 다른 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일러스트(G1 내지 G6)는 프레임으로 각각 둘러싸여 있으며, 프레임의 내측 상의 일러스트(G1 내지 G6)의 배경은 각각 다른 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일러스트(G1 내지 G6)의 배경색은 일러스트(G1 내지 G6)를 최대한 특징화시킨 색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배경색이 "일러스트의 색"이라고도 표현된다.
사시도(D)는 지지 장치(2)의 6개의 조정 항목을 조정하는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며 조정 조작부와 조정 항목(일러스트(G1 내지 G6)) 사이의 대응을 표시하는 설명도이다. 사시도(D)에는, 번호 1 내지 6이 각 조정 조작부 근처의 풍선 내에 부여되어 있다. 그 번호는 일러스트(G1 내지 G6)에 부여되어 있는 번호에 대응한다. 즉, 조정 조작부의 조정 항목을 표시하는 일러스트(G1 내지 G6)의 번호와 동일한 번호가 사시도(D) 상의 조정 조작부에 각각 부여되어 있다. 조정 조작부와 조정 항목(일러스트 G1 내지 G2)) 사이의 대응은 번호에 의하여 표시된다. 상세하게는 Y축 둘레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 조작부를 나타내는 번호 1은 다이얼 961에 부여되어 있다. Z축 둘레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 조작부를 표시하는 번호 2는 다이얼 951에 부여되어 있다. X축 둘레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정 조작부를 표시하는 번호 3은 다이얼 971에 부여되어 있다. +/-X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조작부를 표시하는 번호 4는 고정 나사(43)에 부여되어 있다. +/-Y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조작부를 표시하는 번호 5는 고정 나사(42)에 부여되어 있다. +/-Z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조작부를 표시하는 번호 6은 구동 샤프트(57)에 부여되어 있다.
사시도(D) 상에서, 조정 조작부(다이얼(951, 961 및 971), 구동 샤프트(57) 및 고정 나사(42 및 43))는 각각 조정 조작부에 대응하는 일러스트(G1 내지 G6)의 색(배경색)과 동일한 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조정 조작부에 부여된 번호의 배경(풍선의 내부)도 또한 일러스트(G1 내지 G6)의 색(배경색)과 동일한 색으로 채색되어 있다. 그러므로, 유저는 번호(숫자) 뿐만 아니라 색으로도 조정 조작부와 조정 항목 사이의 대응을 인식할 수 있다.
가이드 화상(Pg)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번호와 색으로 조정 조작부와 일러스트(G1 내지 G2) 사이의 대응을 인식함으로써, 유저는 어느 조정 항목을 조정하기 위하여 어느 조정 조작부를 조작해야할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고정 나사(42 및 43)가 작고 눈에 잘 안띄기 때문에, 고정 나사(42 및 43) 주변의 영역(가이드홀(69H)과 긴 홀(812H) 내부의 영역)을 또한 고정 나사(42 및 43)와 동일한 색으로 채색하여 고정 나사(42 및 43)의 위치를 명확하게 보이게한다. 조작 방향과 이동 방향을 표시하는 화살표는 구동 샤프트(57)와 고정 나사(42 및 43) 근처에 부여된다. 화살표는 번호와 동일한 색으로 채색된다.
일러스트(G1 내지 G6)와 사시도(D) 내에 부여된 번호는 조정 조작을 실행할 때의 순서를 표시하며 조정 조작이 그 번호에 따르는 순서로 실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서, 프로젝터(1)의 각도를 조정하는 조작(1번째 내지 3번째)은 프로젝터(1)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4번째 내지 6번째)보다 먼저 실행된다. 이것은, 표시된 화상의 위치가 프로젝터(1)의 각도의 조정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위치의 조정을 먼저 실행한다고 할지라도, 그 위치는 각도의 조정 후에 다시 조정될 필요가 있으며 작업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지지 상태의 조정 작업은 한 조작자에 의하여 실행될 수도 있으며 또는 두 조작가 분담하여 행할 수도 있다. 조정 작업이 두 조작자에게 분담될 때, 한 조작자(제1 조작자)가 먼 위치에서 표시된 가이드 화상(Pg)의 상태(위치 및 결함)를 체크하고 다른 조작자(제2 조작자)가 프로젝터(1) 아래에서 사다리 등에 올라가서 제1 조작자의 지시에 따라서 조정 조작을 실행한다. 그러면, 조작자는 효율적으로 그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제1 조작자는 조정되어야할 조정 항목을, 번호 또는 색을 사용하여 제2 조작자에게 지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업성이 더 개선된다. 제2 조작자가 프로젝터(1) 및 지지 장치(2)의 바로 아래의 위치의 좌측으로 이전된 위치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 두 조작자는 우측에 배치된 6개의 일러스트(G1 내지 G6)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프로젝터(1)와 지지 장치(2)의 바로 아래의 우측으로 이전된 위치에서 조정 조작을 실행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면, 일러스트(G1 내지 G6)가 좌측에만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화상(Pg)을 준비하도록 해야 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S107 단계에서, 제어부(20)는 입력 조작부(21) 상에 입력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즉 입력 조작부(21)의 조작키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입력 조작이 실행된 경우, 조작부(20)는 S108 단계로 이전한다. 입력 조작이 실행되지 않았다면, 제어부(20)는 S107 단계를 반복한다.
임의의 입력 조작이 실행되고 제어부(20)가 S108 단계로 이전하면, 제어부(20)는 화상 처리부(23)가 가이드 화상(Pg)의 표시를 정지하고 입력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지시한다. 제어부(20)는 S104 단계로 되돌아온다.
오프 조작이 S104 단계에서 실행되고 제어부(20)가 S109 단계로 이전하면, 제어부(20)는 광원 제어부(24)가 광원장치(11)(광원램프(11a))를 끄도록 지시한다. S110 단계에서, 제어부(20)는 전원회로(25)가 각 부로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정지하고 프로젝터(1)를 위한 전원을 끄도록 지시한다. 즉, 제어부(20)는 프로젝터(1)를 대기 상태로 이전시키고 그 플로우를 종료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다음에 설명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1)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프로젝터(1)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2)가 지지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정 조작부(고정 나사(41, 42 및 43), 구동 샤프트(57) 및 다이얼(951, 961 및 971)을 포함하며, 프로젝터(1)는 조정 조작부에 의한 지지 상태의 조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화상(Pg)을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는 표시된 가이드 화상(Pg)을 보면서 지지 상태를 조정할 수 있고 프로젝터(1)의 설정 중에 조정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2)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가이드 화상(Pg)이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사시도(D)를 포함하기 때문에, 유저는, 작동해야할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3)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가이드 화상(Pg)이 사시도(D)와 일러스트(G1 내지 G6)를 사용하여 조정 조작부와 조정 항목 사이의 대응을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는 어떤 조정 항목을 조정하기 위하여 어떤 조정 조작부를 조작해야하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4)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가이드 화상(Pg)은 조정 항목을 표시하는 일러스트(G1 내지 G6)를 포함하고 조정 조작부와 일러스트(G1 내지 G6) 사이의 대응을 번호(숫자)와 색에 의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는 조정 조작부에 관련된 조정 항목을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5)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일러스트(G1 내지 G6)가 조정 항목이 조정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를 표시하기 때문에, 유저가 투사된 화상을 보면서 조정을 실행하면, 유저는 조정해야할 조정 항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6)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동일한 번호(숫자)가 사시도(D)에 있는 조정 조작부와 그 조정 조작부에 대응하는 일러스트(G1 내지 G6) 양자에 부여되기 때문에, 유저는 조정 조작부와 일러스트(G1 내지 G6) 사이의 대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7)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사시도(D) 내의 조정 조작부와 일러스트(G1 내지 G6)에 부여된 번호는 지지 상태의 조정을 실행할 때의 순서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조정을 위한 조작 순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8)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사시도(D)와 일러스트(G1 내지 G6)에 부여된 번호는 동일한 색으로 채색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조정 조작부와 일러스트(G1 내지 G6) 사이의 대응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9)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사시도(D)와 일러스트(G1 내지 G6)에 도시된 조정 조작부는 동일한 색으로 채색되기 때문에, 유저가 조정 조작부와 일러스트(G1 내지 G6) 사이의 대응을 좀 더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0)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프로젝터(1)의 지지 상태에 대응하는 투사된 화상의 경사와 변형(왜곡)의 인식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스트 패턴(프레임(F), 중심선(L1 및 L2), 및 원(C1 및 C2))이 가이드 화상(Pg)에 포함되기 때문에, 유저는 지지 상태를 좀 더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11)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에 의하면, 프로젝터(1)는, 입력 화상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입력 조작이 실행되면, 가이드 화상(Pg)이 표시되는 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유저는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시작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가이드 화상(Pg)을 표시할 때의 제어부(20)와 화상 표시부(23)는 가이드 표시부에 상당한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화상 표시 장치(100)는 프로젝터(1)의 동작을 제외하면 제1 실시형태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이드 화상(Pg)이 프로젝터(1)의 기동시 자동적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나탸내는 정보(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프로젝터(1)의 ROM(20b) 내에 저장된다. 프로젝터(1)는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온일 때 가이드 화상(Pg)을 표시하고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오프일 때 가이드 화상(Pg)을 표시하지 않는다.
도 9는 전원이 온이 경우에 실행되는 프로젝터(1)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대기 상태에서 유저에 의하여 온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부(20)는 도 9에 도시된 플로우에 따라서 작동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201 단계에서, 제어부(20)는 전원회로(25)가 프로젝터(1)의 각 부에 동작전력의 공급을 시작하고 프로젝터(1)를 위한 전원을 켜도록 지시한다.
S202 단계에서, 제어부(20)는 광원 제어부(24)가 광원장치(11)(광원램프(11a))를 켜도록 지시한다.
S203 단계에서, 제어부(20)는 ROM(20b)에 기억된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를 판독하고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온인지 혹은 오프인지, 즉 가이드 화상(Pg)이 자동적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온일 경우, 제어부(20)는 S205 단계로 이전한다.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오프인 경우에는 제어부(20)는 S204 단계로 이전한다.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오프이고 제어부가(20)가 S204 단계로 이전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화상 표시부(23)가 화상-정보 입력부(22)로 입력된 화상 정보를 위한 화상 처리를 실행하고 그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을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제어부(20)는 S208 단계로 이전한다. 결국,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은 투사부(10)로부터 투사된다. 입력 화상은 스크린(SC)상에 표시된다.
한편,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온이고 제어부(20)가 S205 단계로 이전하면, 제어부(20)는 화상 처리부(23)로 가이드 화상 정보를 출력하고 화상 처리부(23)가 가이드 화상(Pg)을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화상 처리부(23)가 제어부(20)의 지시에 따라서 액정 구동부(16)로 가이드 화상 정보를 출력하면, 가이드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투사부(10)로부터 투사되어서 가이드 화상(Pg)이 스크린(SC) 상에 표시된다.
S206 단계에서, 제어부(20)는 임의의 입력 조작이 입력 조작부(21)에 실행되었는지, 즉 입력 조작부(21)의 조작키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 조작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20)는 S207 단계로 이전한다. 입력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0)는 S206 단계를 반복한다.
임의의 입력 조작이 실행되고 제어부(20)가 S207 단계로 이전한 경우, 제어부(20)는 화상 처리부(23)가 가이드 화상(Pg)의 표시를 정지하고 입력 화상을 표시하는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지시한다. 제어부(20)는 S208 단계로 이전한다.
S208 단계에서, 제어부(20)는 전원을 끄기 위한 오프 조작이 입력 조작부(21)에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오프 조작이 실행되지 않았다면, 제어부(20)는 S209 단계로 이전한다. 오프 조작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0)는 S211 단계로 이전한다.
오프 조작이 실행되지 않고 제어부(20)가 S209 단계로 이전하면, 제어부(20)는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를 오프로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입력 조작이 실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의 입력 조작이 실행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S210 단계로 이전한다. 소정의 입력 조작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20)는 S208 단계로 복귀한다.
소정의 입력 조작이 실행되고 제어부(20)가 S210으로 이전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를 오프로 설정하고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를 ROM(20b)에 기억시킨다. 제어부(20)는 S208 단계로 복귀한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터(1)가 다음번에 시작될 때, 가이드 화상(Pg)는 자동적으로 표시되지 않는다.
오프 조작이 S208 단계에서 실행되고 제어부(20)가 S211 단계로 이전하면, 제어부(20)는 광원 제어부(24)가 광원장치(11)(광원램프(11a))를 끄도록 지시한다. S212 단계에서, 제어부(20)는 전원회로(25)가 각 부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프로젝터(1)를 위한 전원을 끄도록 지시한다. 즉, 제어부(20)는 프로젝터(1)를 대기 상태로 이전하고 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프로젝터(1)에 의하면, 다음에 설명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르는 프로젝터(1)에 의하면, ROM(20b)에 기억되어 있는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온인 경우, 가이드 화상(Pg)이 프로젝터(1)의 기동시(전원을 켠 경우)에 자동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지지 장치(2)를 위한 조정 작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를 소정의 입력 조작을 실행하여 오프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장치(2)의 조정이 완료되고 조정이 예정되어 있지 않다면, 가이드 화상(Pg)는 프로젝터(1)의 기동시에 자동적으로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터(1)의 선적시에 가이드 화상 표시 정보가 온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가이드 화상(Pg)은, 조작자가 처음 프로젝터(1)를 시작할 때 자동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것은 지지 장치(2)를 위한 조정 작업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의 실시형태는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변형될 수도 있다.
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번호(숫자)가 일러스트(G1 내지 G6)와 사시도(D)에 부여되어 있다. 그러나, 알파벳과 같은 다른 기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 화상(Pg)이 번호 1 내지 번호 6의 순서로 조정을 실행하도록 표시된다. 그러나, 가이드 화상(Pg)은 프로젝터(1)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번호 1 내지 번호 3)과 프로젝터(1)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번호 4 내지 번호 6)의 두 세트로서 표시될 수도 있다. 이것은, 프로젝터(1)의 각도의 조정이 프로젝터(1)의 위치의 조정보다 먼저 실행될 필요는 있으나, 각도와 위치 각각의 3개의 조정 순서는, 그 순서가 바뀐다고 할지라도 조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전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벽면(W)에 고정된 지지 장치(2)가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천정 또는 바닥에 고정된 지지 장치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를 포함하는 3CCD 프로젝터(1)가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하나의 액정 광밸브로 R광, G광 및 B광을 변조할 수 있는 1CCD 프로젝터에 또한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의 실시형태에서는, 투사형 액정 광밸브(12R, 12G 및 12B)가 광변조 장치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반사형 액정 광밸브와 같은 반사형 광변조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소로서 기능하는 마이크로 미러 각각에 대한 입사광의 사출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사출되는 광을 변조하는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장치(micro mirror array devic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형태에서, 광원장치(11)는 방전형의 광원램프(11a)를 포함한다. 그러나, LED(Light Emitting Diode)광원과 같은 고체 광원 또는 다른 광원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1 프로젝터
2 지지 장치
5 베이스부
6 제1 아암
7 제2 아암
8 보유지지기구
9 조정기구
10 투사부
20 제어부
21 입력 조작부
22 화상-정보 입력부
23 화상 처리부
24 광원 제어부
25 전원회로
41, 42, 43 고정 나사
57 구동 샤프트
951, 961, 971 다이얼
100 화상 표시 장치
Pg 가이드 화상
F 프레임
L1, L2 중심선
C1, C2 원
G1, G2, G3, G4, G5, G6 일러스트
D 사시도
SC 스크린

Claims (8)

  1. 프로젝터의 지지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복수의 조정 조작부를 구비하는 지지 장치에 의하여 지지되는 프로젝터로서,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된 광을 투사하여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투사부와,
    상기 복수의 조정 조작부에 의하여 조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표시부
    를 구비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상은 상기 복수의 조정 조작부의 위치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설명도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상은 상기 복수의 조정 조작부와 상기 프로젝터의 지지 상태와 관련된 복수의 조정 항목 사이의 대응을 나타내는 복수의 일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러스트는, 상기 조정 항목이 조정될 때 나타나는 투사된 화상의 변화를 표시하는 프로젝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상에 있어서, 상기 지지 상태의 조정을 실행할 때의 순서를 표시하는 기호가, 상기 설명도에 도시된 상기 조정 조작부와 상기 조정 조작부에 대응하는 상기 일러스트 양자에 부여되는 프로젝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상은 상기 프로젝터의 상기 지지 상태를 인식하기 쉽도록 하는 테스트 패턴을 포함하는 프로젝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화상이 자동적으로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부와,
    기동시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어부
    를 더 구비하는 프로젝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장치
    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20147007103A 2011-08-23 2012-08-02 프로젝터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608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1299A JP5987280B2 (ja) 2011-08-23 2011-08-23 プロジェクター及び画像表示装置
JPJP-P-2011-181299 2011-08-23
PCT/JP2012/004910 WO2013027339A2 (en) 2011-08-23 2012-08-02 Projecto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283A true KR20140054283A (ko) 2014-05-08
KR101608276B1 KR101608276B1 (ko) 2016-04-01

Family

ID=46851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103A KR101608276B1 (ko) 2011-08-23 2012-08-02 프로젝터 및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38415B2 (ko)
EP (1) EP2749031B1 (ko)
JP (1) JP5987280B2 (ko)
KR (1) KR101608276B1 (ko)
CN (1) CN102955337B (ko)
BR (1) BR112014004337A8 (ko)
RU (1) RU2014110972A (ko)
WO (1) WO20130273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5866B2 (ja) * 2013-04-02 2017-08-09 富士通株式会社 インタラクティブプロジェクタ
JP2015132747A (ja) 2014-01-15 2015-07-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DE102016105829B4 (de) 2015-12-28 2024-02-22 Lenovo (Beijing) Limited Elektronische Vorrichtung
JP6840940B2 (ja) 2016-05-26 2021-03-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表示ユニット、画像投影ユニット、及び画像投影装置
EP3786708A4 (en) * 2018-04-26 2021-04-07 Wonder Vision Techno Laboratory Co., Ltd. DOME SCREEN, DOME SCREEN PROJECTION DEVICE, AND ASSEMBLY METHOD
WO2020061238A1 (en) * 2018-09-18 2020-03-26 Skyphos Industries, Inc. A suspension system for adjusting projected light images
JP2022086225A (ja) * 2020-11-30 2022-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装置および投写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5926B2 (ja) * 1992-01-27 1998-04-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モニタ画面付きビデオプロジェクタ
JP3687833B2 (ja) * 1998-06-26 2005-08-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3646658B2 (ja) * 2001-03-01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歪みの補正
US7481410B2 (en) * 2002-06-24 2009-01-27 Business Machines Security, Inc. Equipment security apparatus
JP2005024668A (ja) * 2003-06-30 2005-01-27 Sharp Corp 投映型表示装置及び該投映型表示装置の設置調整方法
JP2005091642A (ja) * 2003-09-16 2005-04-07 Seiko Epson Corp 複数画面画像表示システム、複数画像表示装置の相対位置調整方法、複数画像表示装置の相対位置調整プログラムおよび複数画像表示装置の相対位置調整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741119B2 (ja) * 2003-11-18 2006-02-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投射型画像表示装置の設置調整システム
TWI234050B (en) * 2004-05-28 2005-06-11 Coretronic Corp Wall hanging apparatus for a projection apparatus
US20070052733A1 (en) 2005-09-07 2007-03-08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and projector
JP4725255B2 (ja) 2005-09-07 2011-07-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プロジェクタ、パラメータセット選択方法、及びパラメータセット記憶方法
JP4845483B2 (ja) * 2005-11-01 2011-12-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08242087A (ja) * 2007-03-27 2008-10-09 Hitachi Software Eng Co Ltd 前面投影型プロジェクタの設置位置調整システム
US7871167B2 (en) * 2007-08-07 2011-01-18 Sanyo Electric Co., Ltd. Projection image display apparatus
JP5239326B2 (ja) * 2007-12-19 2013-07-1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90163A (ko) * 2009-02-05 201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표시 방법
JP5394816B2 (ja) * 2009-05-08 2014-01-22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支持装置
JP5381375B2 (ja) 2009-06-18 2014-0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天吊り装置
US8610761B2 (en) 2009-11-09 2013-12-17 Prohection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ly projecting three-dimensional text, images and/or symbols onto three-dimensional objects
JP2011154072A (ja) * 2010-01-26 2011-08-11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103365059B (zh) * 2012-04-10 2015-08-26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投影系统、支撑件以及图像显示方法
JP6098045B2 (ja) * 2012-06-06 2017-03-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US9514716B2 (en) * 2012-10-19 2016-12-06 Casio Computer Co., Ltd. Projection apparatus, projection control apparatus,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state adjustmen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87280B2 (ja) 2016-09-07
EP2749031B1 (en) 2018-02-14
WO2013027339A3 (en) 2013-04-18
US9338415B2 (en) 2016-05-10
BR112014004337A8 (pt) 2017-06-20
BR112014004337A2 (pt) 2017-06-13
RU2014110972A (ru) 2015-09-27
KR101608276B1 (ko) 2016-04-01
EP2749031A2 (en) 2014-07-02
CN102955337A (zh) 2013-03-06
WO2013027339A2 (en) 2013-02-28
US20140192332A1 (en) 2014-07-10
CN102955337B (zh) 2016-07-06
JP2013044854A (ja)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276B1 (ko) 프로젝터 및 화상 표시 장치
CN103716504B (zh) 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装置的辉度不匀校正方法
EP2749942B1 (en)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JP4929957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同装置による画像の輝度調整方法
JP2004514925A (ja) 覗き込みと投射ディスプレイのデュアルモードシステム
US10495954B2 (en)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US20070132893A1 (en)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or
US20100165302A1 (en)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6313979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制御方法
CN103888701A (zh) 投影机及其控制方法
JP6225420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170097A (ja) プロジェクター
JP2022093047A (ja) 投影装置
KR20070110637A (ko) 프로젝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9168977A (ja) プロジェクタ
JP6369090B2 (ja) 搭載台
JP2013239835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6188904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5222344A (ja) プロジェクター
KR101017207B1 (ko) 휘도 보상 제어 방법, 장치 및 액정 프로젝터
JP6778819B2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KR100517307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상태 표시 및키스톤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09134219A (ja) プロジェクタ
JP6459547B2 (ja) プロジェクター
JP6707959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