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692A -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692A
KR20140042692A KR1020130113845A KR20130113845A KR20140042692A KR 20140042692 A KR20140042692 A KR 20140042692A KR 1020130113845 A KR1020130113845 A KR 1020130113845A KR 20130113845 A KR20130113845 A KR 20130113845A KR 20140042692 A KR20140042692 A KR 20140042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layer
solvent
photosensitive member
imag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0376B1 (ko
Inventor
야스후미 미즈타
사카에 사이토
가즈나리 하마사키
게이조 기모토
쇼우지 이츠미
히로시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도큐멘트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43Photoconductive layers characterised by having two or more layers or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e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5Organic bonding materials; Methods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photoconductive layer; Inert supplements for use in photoconductive layers
    • G03G5/0525Coating metho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02Charge-receiving layers
    • G03G5/04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 G03G5/06Photoconductive layers; Charge-generation layers or charge-transporting layers; Additives therefor; Binde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hotoconductive material being organic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5/00Recording members for original recording by exposure, e.g. to light, to heat, to electrons; Manufacture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G03G5/10Bases for charge-receiving or other lay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1/00Photosensitive materials
    • G03C1/74Applying photosensitive compositions to the base; Drying process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결착 수지에 대한 양용매 및 적어도 1종 이상의 비점이 70℃ 이상인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감광층용 도포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층용 도포액을 두께가 0.7mm 이하인 감광층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이다.

Description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및 화상 형성 장치{METHOD OF MANUFACTURING POSITIVE-CHARGED SINGLE LAYER TYPE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POSITIVE-CHARGED SINGLE LAYER TYPE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당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및 당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상 담지체로서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정전 사진 장치에 있어서의 감광체로서 유기 감광체(OPC)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유기 감광체에는, 크게 나누어, 전하 발생 재료(CGM) 및 전하 수송 재료(CTM)를 결착제 수지 중에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단일층을 알루미늄 등의 소관 상에 형성시킨 단층형인 것과, CGM을 포함하는 층과 CTM을 포함하는 층이 소관 상에 적층되어 있는 것이 있다.
유기 감광체 중에서도, 단층형의 유기 감광체는, 층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다. 그리고, 이 단층형의 유기 감광체와 접촉 대전 방식의 대전부와 조합하여 정대전형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오피스 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오존 등의 산화성 가스를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이점으로부터,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이용이 진행되고 있다.
전자 사진 감광체는, 감광체의 지지체의 둘레면에 감광체 재료를 도포하여 제조된다.
그리고, 그 도포 방법으로는, 통상, 감광체 재료의 도포액을 수용한 용기(도공조)와 지지체를 상대 이동시켜 지지체를 도포액 중에 침지시킨 후 소정의 속도로 끌어 올린다. 이어서, 끌어올린 감광 지지체를 정지시켜 자연 건조하고, 그 후 오븐 등에서 완전히 건조시키는 방법이 채용된다. 그리고, 감광 도막의 두께가 균일한 전자 사진 감광체를 단시간에 제조하기 위해서, 도포액의 용매로는, 통상, 속건성의 용매가 이용된다.
속건성의 용매를 이용한 경우, 도포액의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시간에 고화를 행할 수 있는 한편, 침지 후, 끌어올림으로부터 건조될때까지, 용매의 증발에 따라 기화열에 의해 도막 및 지지체로부터 열이 빼앗기기 때문에, 급격하게 온도 강하가 발생하여 도막의 온도가 노점 이하로 된다. 도막의 온도가 노점 이하로 되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결로하여 도막 중에 수분을 공급하므로 표면이 백화되어 버린다(브러싱 현상). 이와 같이, 도막의 표면이 백화하는 것은,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을뿐만 아니라, 전자 사진 감광체의 대전 특성, 감광 특성이나 내마모성에 크게 영향을 주어, 치명적인 결함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적층형의 유기 감광체의 경우에 있어서도, 브러싱에 의해 특성상 영향을 받지만, 단층형의 유기 감광체에서는, 전하 발생 재료가 감광체 표면에 존재하므로, 영향이 더욱 크다. 그 결과, 그 감광체의 모든 특성, 예를 들면 연속 사용에 있어서의 반복 특성이나, 내오존성, 내마모성 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현저해진다.
상기와 같은 사정으로부터,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에 대해서, 제조시의 브러싱 발생의 억제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브러싱의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도공 시에 사용하는 유지 부재를 지지체 내면과 접촉시켜, 유지 부재의 길이나 재질을 조정하여 지지체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취해졌는데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또한, 도막 건조 시의 지지체의 가열, 도공액의 온도 관리, 도공 분위기와 도포액의 온도차의 관리나, 도공 분위기의 습도의 제어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들 적용에는 설비 투자를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하여, 특별한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브러싱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사용하는 용매, 지지체 재질의 밀도, 비열 및 두께, 형성하는 감광체층의 두께를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최근, 전자 사진 감광체에는, 전자 사진 장치의 소형화, 저비용, 저소비 전력화 등의 관점에서 소경화, 경량화가 요망되고 있고, 감광층 지지체에 대해서도 한층 더 경량화에 의한 재료비의 저감이나 구동 전력화의 절감이 요구되고 있다. 지지체를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를 얇게 하면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지지체 자체의 열용량이 저하되므로, 감광층 도공 시의 용매의 증발에 따른 기화열에 의해 지지체가 용이하게 노점 이하까지 냉각되기 쉬워져, 한층 더 브러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얇은 지지체를 사용한 경우, 전술과 같이 사용하는 용매, 지지체 재질의 밀도, 비열 및 두께, 형성하는 감광체층의 두께를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서는, 브러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얇은 지지체 상에서도, 감광층 도공시에 발생하는 브러싱을, 특별한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방지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의 제조 방법에 의해, 브러싱이 없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의 브러싱이 없는 정대전 단층형 감광체를 상 담지체로서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관련된 정대전 단층 감광체의 제조 방법은, 결착 수지에 대한 양용매 및 적어도 1종 이상의 비점이 70℃ 이상인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감광층용 도포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층용 도포액을 두께가 0.7mm 이하인 감광층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상기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련된 정대전 단층 감광체는,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관련된 상기 일국면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부와, 대전된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을 노광하여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와, 상기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하기 위한 현상부와, 상기 토너상을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피전사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 담지체가, 상기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박막의 지지체 상에서도 브러싱이 없는 감광층을 가지는 정대전 단층 감광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브러싱이 없는 정대전형 단층 감광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불량이 없는 장기에 걸쳐 안정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층형 감광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원하는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이 중복되는 개소에 대해서는, 적절히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는데, 발명의 요지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정대전 단층 감광체의 제조 방법, 정대전 단층 감광체 및 이 정대전 단층 감광체를 상 담지체로서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에 관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20)는, 감광층 지지체(11)와, 감광층 지지체(11) 상에 특정한 용제를 함유하는 감광층 도포액을 이용하여 형성된, 적어도 전하 발생 재료, 전하 수송 재료, 및 결착 수지를 함유하는 단층의 감광층(21)이 구비된 것이다.
여기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20)는, 감광층 지지체(11)와 감광층(21)을 구비하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감광층 지지체(11) 상에 감광층(21)을 직접 구비해도 되고,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광층 지지체(11)와 감광층(21)의 사이에 중간층(14)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감광층(21)이 최외층으로 되어 노출되어 있어도 되고, 감광층(21) 상에 도시하지 않은 보호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 감광층 지지체, 및 감광층에 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감광층 지지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감광층 지지체(이하, 소관이라고도 기재한다)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 지지체로서 통상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적어도 표면부가 구성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플라스틱 재료 등의 표면을,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피복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철, 구리, 주석, 백금, 은, 바나듐, 몰리브덴, 크롬, 카드늄, 티탄, 니켈, 팔라듐, 인듐, 스테인리스강, 놋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를 1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예를 들면, 합금 등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상기 중에서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감광층으로부터 감광층 지지체로의 전하의 이동이 양호한 것에 의한다고 생각된다.
본 실시 형태의 감광층 지지체의 두께는, 0.7mm 이하로 하는 것을 필요로 하고, 감광체 드럼의 경량화 관점에서, 0.6m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박육화됨에 의한 열용량의 감소에 따른 용제의 기화에 따라 감광층 지지체가 냉각되기 쉬워지므로, 브러싱 방지의 관점 및,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0.4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감광층 지지체의 직경은 특별히 한정없이 넓은 범위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데, 감광체 드럼의 소형화, 경량화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직경 20mm 이상 4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광층〕
본 실시 형태의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가 구비하는 감광층으로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70℃ 이상의 비점을 가지는 유기 용제를 적어도 1종 이상, 감광층 도포 용제로서 함유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정은 되지 않지만, 적어도 전하 발생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 및 결착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의 감광층이며, 그 형성시에, 상기 각 성분을 용해 내지 분산시킬 수 있는 감광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광층은, 전하 수송 재료를 전하 발생 재료와 함께 동일한 감광층 중에 분산시킨 단층형 감광층이다.
단층형의 감광층은, 전하 발생 재료, 전하 수송 재료 및 결착 수지를 적절한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도공액을, 감광층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단층형의 감광층은, 층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뛰어나고, 감광층의 피막 결함을 억제할 수 있으며, 층간의 계면이 적으므로 광학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전자 수송 재료와 함께 전자 수용체를 함유시키므로, 전자 수송 성능이 향상되어 보다 고감도의 감광체를 얻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을 가진다. 상기 감광층은, 상기의 각 성분을 용해 혹은 분산한 감광층 형성용 도포액을, 원하는 층 구성에 따른 순번으로 감광층 지지체 상에 공지의 방법으로 도포·건조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사용되는 감광층 형성용 도포액에, 결착 수지에 대한 양용매(제1의 용제) 및 적어도 1종의 비점 70℃ 이상의 유기 용제(제2의 용제)를 함유시키는 것을 요한다.
(도포액용 유기 용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용할 수 있는 70℃ 이상의 비점을 가지는 유기 용제(제2 용제)로는, 비점이 70℃ 이상인 유기 용제이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2 용제의 비점은 70℃ 이상이면 특별히 상한은 없지만, 열처리후의 감광층에 용제가 잔존하여 악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는,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1, 3-디옥소란(비점: 76℃), 아세트산에틸(비점: 77.1℃), 에탄올(비점:78.4℃), 메틸에틸케톤(MEK)(비점:79.6℃), 아세트니트릴(비점:82℃), 이소프로필알코올(IPA)(비점:82.5℃),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비점:85℃), n-프로필알코올(비점:97℃),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비점:97℃), 1, 4-디옥산(비점:101℃), 이소부틸알코올(비점:107℃), 톨루엔(비점:110.6℃), n-부틸알코올(비점:117.7℃), 아세트산(비점:118℃),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120℃),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124℃), p-크실렌(비점:138.4℃), o-크실렌(비점:144℃),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비점:145℃), 에틸락테이트(비점:155℃),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비점:162℃),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비점:171℃), 디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비점:176℃),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188℃),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비점:189℃),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비점:194℃)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비점이 70℃ 이상의 유기 용제와 함께 감광층용의 도포액에 함유되는 용제(제1의 용제)로는, 감광층을 구성하는 결착 수지에 대하여 양용매이며, 그 외,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그 비점이, 70℃ 미만의 것을 사용하면, 감광층 도공후의 건조가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등의 알코올류; n-헥산, 옥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계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비프로톤성 극성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광층에 이용되는 결착 수지로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때, 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용해하는 양용매로는,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클로로포름이 적용된다.
감광층용의 도포액에 사용되는 유기 용제 중, 비점이 70℃ 이상인 유기 용제(제2의 용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브러싱의 발생 방지의 관점에서, 2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고비점용제의 비율이 증가하면 건조성에 문제가 생기므로, 5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의 용제에 대한 상기 제2의 용제의 첨가량은, 3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제에, 후기하는 결착 수지와, 전하 발생 재료와, 전하 수송 재료를 첨가하고, 예를 들면, 롤 밀, 볼 밀, 아트라이터, 페인트 쉐이커, 초음파 분산기 등을 이용하여 분산 혼합하여, 도포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고형분 농도로서, 10∼30질량%의 도포액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착 수지)
결착 수지로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에 포함되는 결착 수지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결착 수지로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수지의 구체적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스티렌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스티렌-말레산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염소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아이오노머,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술폰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케톤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그 외 가교성의 열 경화성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공중합 수지 등의 광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수지 중에서는, 가공성, 기계적 특성, 광학적 특성, 내마모성의 밸런스가 뛰어난 감광층이 얻어지므로,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 ZC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 C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비스페놀 A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들을 골격에 가지는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하 발생 재료)
전하 발생 재료(CGM)로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전하 발생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 식(1)로 표시되는 X형 무금속 프탈로시아닌(x-H2Pc), Y형 옥소티타닐프탈로시아닌(Y-TiOPc), 페릴렌 안료, 비스아조 안료, 디티오케토피롤로피롤 안료, 무금속 나프탈로시아닌 안료, 금속 나프탈로시아닌 안료, 스쿠아레인 안료, 트리스아조 안료, 인디고 안료, 아줄레늄 안료, 시아닌 안료, 셀레늄, 셀레늄-텔루륨, 셀레늄-비소, 황화카드뮴, 아몰퍼스실리콘 등의 무기 광 도전 재료의 분말, 피릴륨염, 안트안트론계 안료, 트리페닐메탄계 안료, 스렌계 안료, 톨루이딘계 안료, 피라졸린계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또한, 전하 발생 재료는, 원하는 영역에 흡수 파장을 가지도록,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전술의 각 전하 발생 재료 중, 특히 반도체 레이저 등의 광원을 사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나 팩시밀리 등의 디지털 광학계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700nm 이상의 파장 영역에 감도를 가지는 감광체가 필요해지므로, 예를 들면, 무금속 프탈로시아닌이나 옥소티타닐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안료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기 프탈로시아닌계 안료의 결정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것이 사용된다. 또한, 할로겐 램프 등의 백색 광원을 사용한 정전식 복사기 등의 아날로그 광학계의 화상 형성 장치에는, 가시 영역에 감도를 가지는 감광체가 필요해지므로, 예를 들면, 페릴렌 안료나 비스아조 안료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정공 수송 재료)
정공 수송 재료(HTM)로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에 포함되는 정공 수송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정공 수송 재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벤지딘 유도체, 2, 5-디(4-메틸아미노페닐)-1, 3, 4-옥사디아졸 등의 옥사디아졸계 화합물, 9-(4-디에틸아미노스티릴)안트라센 등의 스티릴계 화합물, 폴리비닐카르바졸 등의 카르바졸계 화합물, 유기 폴리실란 화합물, 1-페닐-3-(p-디메틸아미노페닐)피라졸린 등의 피라졸린계 화합물, 하이드라존계 화합물, 트리페닐아민계 화합물, 인돌계 화합물, 옥사졸계 화합물, 이소옥사졸계 화합물, 티아졸계 화합물, 트리아졸계 화합물 등의 함질소 환식 화합물, 축합 다환식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정공 수송 재료 중에서는, 분자 중에 1 또는 복수의 트리페닐아민 골격을 가지는 트리페닐아민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정공 수송 재료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전자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ETM)로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에 포함되는 전자 수송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나프토퀴논 유도체, 디페노퀴논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아조퀴논 유도체, 니토로안트라퀴논 유도체, 디니트로안트라퀴논 유도체 등의 퀴논 유도체, 마로노니트릴 유도체, 티오피란 유도체, 트리니트로티옥산톤 유도체, 3, 4, 5, 7-테트라니트로-9-플루오레논 유도체, 디니트로안트라센 유도체, 디니트로아크리딘 유도체, 데트라시아노에틸렌, 2, 4, 8-트리니트로티옥산톤, 디니트로벤젠, 디니트로안트라센, 디니트로아크리딘, 무수 호박산, 무수 말레산, 디브로모 무수 말레산 등을 들 수 있다. 전자 수송 재료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첨가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은, 전자 사진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전하 발생 재료(CGM),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 및 결착 수지 외에,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감광층에 배합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래디컬 포착제, 일중항 ?차, 자외선 흡수제 등의 열화 방지제, 연화제, 가소제, 다환 방향족 화합물, 표면 개질제, 증량제, 증점제, 분산 안정제, 왁스, 오일, 억셉터, 도너, 계면 활성제, 및 레벨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중간층〕
또한, 본 발명의 필수 구성은 아니지만,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광층 지지체(11)와 감광층(21)의 사이에 중간층(14)을 구비하는 경우, 그 중간층은, 예를 들면, 도전성 기체(11)측의 전하의 감광층으로의 주입을 방지함과 더불어, 감광층의 도전성 기체(11) 상에 대한 결착을 강고하게 하여, 도전성 기체(11)의 표면 상의 결함을 피복하여 평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의 적합한 예로는, 감광층용의 도포액을 감광층 지지체 상에 도포하여 감광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하 발생 재료, 전하 수송 재료, 결착 수지, 및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등을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도포액을 감광층 지지체 상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핀 코우터, 애플리케이터, 스프레이 코우터, 바 코우터, 딥 코우터, 닥터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도포 방법 중에서는, 연속 생산이 가능하여 경제성이 뛰어나므로, 딥 코우터를 이용하는 침지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광층 지지체 상에 형성된 도막의 건조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80∼150℃에서 15∼120분간의 조건으로 열풍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감광층용의 도포액에 함유되는 용제로는, 감광층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n-헥산, 옥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계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 수소;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메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메틸포름알데히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비(非)프로톤성 극성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의 두께는, 감광층으로서 충분히 작용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는, 상 담지체와, 상 담지체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접촉 대전 방식의 대전부와, 대전된 상 담지체의 표면을 노광하여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와,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하기 위한 현상부와, 토너상을 상 담지체로부터 피전사체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부를 구비하고, 상 담지체로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로는, 주지의 것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채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복수색의 토너를 이용하는 텐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가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복수색의 토너를 이용하는 텐덤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는, 각 표면상에 각각 상이한 각 색의 토너에 의한 토너상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소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상 담지체와, 각 상 담지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표면에 토너를 담지하여 반송하고, 반송된 토너를, 각 상 담지체의 표면에 각각 공급하는, 현상 롤러를 구비한 복수의 현상부를 구비하고, 각 상 담지체로서, 각각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이용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여기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컬러 프린터(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컬러 프린터(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자형의 기기 본체(1a)를 가지고 있다. 이 기기 본체(1a) 내에는, 용지(P)를 급지하는 급지부(2)와, 이 급지부(2)로부터 급지된 용지(P)를 반송하면서 당해 용지(P)에 화상 데이터 등에 의거하는 토너상을 전사하는 화상 형성부(3)와, 이 화상 형성부(3)에서 용지(P) 상에 전사된 미정착 토너상을 용지(P)에 정착하는 정착 처리를 실시하는 정착부(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기 본체(1a)의 상면에는, 정착부(4)에서 정착 처리가 실시된 용지(P)가 배지되는 배지부(5)가 설치되어 있다.
급지부(2)는, 급지 카셋(121), 픽업 롤러(122), 급지 롤러(123, 124, 125), 및 레지스트 롤러(126)를 구비하고 있다. 급지 카셋(121)은, 기기 본체(1a)로부터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사이즈의 용지(P)를 저류한다. 픽업 롤러(122)는, 급지 카셋(121)의 도 2에 도시하는 좌측 상방 위치에 설치되고, 급지 카셋(121)에 저류되어 있는 용지(P)를 1매씩 취출한다. 급지 롤러(123, 124, 125)는, 픽업 롤러(122)에 의해 취출된 용지(P)를 용지 반송로에 송출한다. 레지스트 롤러(126)는, 급지 롤러(123, 124, 125)에 의해 용지 반송로에 송출된 용지(P)를 일시 대기시킨 후, 소정의 타이밍에서 화상 형성부(3)에 공급한다.
또한, 급지부(2)는, 기기 본체(1a)의 도 2에 도시하는 좌측면에 부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수동 트레이와 픽업 롤러(127)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픽업 롤러(127)는, 수동 트레이에 재치된 용지(P)를 취출한다. 픽업 롤러(127)에 의해 취출된 용지(P)는, 급지 롤러(123, 125)에 의해 용지 반송로에 송출되어, 레지스트 롤러(126)에 의해, 소정 타이밍에서 화상 형성부(3)에 공급된다.
화상 형성부(3)는, 화상 형성 유닛(7)과, 이 화상 형성 유닛(7)에 의해 그 표면(접촉면)에 컴퓨터 등으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토너상이 1차 전사되는 중간 전사 벨트(31)와, 이 중간 전사 벨트(31) 상의 토너상을 급지 카셋(121)으로부터 보내진 용지(P)에 2차 전사시키기 위한 2차 전사 롤러(3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형성 유닛(7)은, 상류측(도 2에서는 우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설치된 블랙용 유닛(7K)과, 옐로우용 유닛(7Y)과, 시안용 유닛(7C)과, 마젠터용 유닛(7M)을 구비하고 있다. 각 유닛(7K, 7Y, 7C 및 7M)은, 각각의 중앙 위치에 상 담지체로서의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37)(이하, 감광체(37))가 화살표(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감광체(37)의 주위에는, 대전부(39), 노광부(38), 현상부(71), 도시하지 않은 클리닝부 및 제전부로서의 제전기 등이,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37)로는,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이용한다.
대전부(39)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전자 사진 감광체(37)의 둘레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대전부(39)는, 전자 사진 감광체(37)의 둘레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비접촉 방식이거나 접촉 방식이어도 된다. 대전부(39)의 구체적 예로는, 코로나 대전 장치,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을 들 수 있고, 대전 롤러, 대전 브러쉬 등의 접촉 방식의 대전 장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촉 방식의 대전부(39)를 사용함으로써, 대전부(39)로부터 발생하는 오존이나 질소 산화물 등의 활성 가스의 배출을 억제하고, 활성 가스에 의한 전자 사진 감광체의 감광층의 열화를 방지함과 더불어, 오피스 환경 등을 배려한 설계를 할 수 있다.
접촉 방식의 대전 롤러를 구비한 대전부(39)는, 대전 롤러가 감광체(37)와 접촉한 채, 감광체(37)의 둘레면(표면)을 대전시킨다. 이러한 대전 롤러로는, 예를 들면, 감광체(37)와 접촉한 채, 감광체(37)의 회전에 종속하여 회전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대전 롤러로는, 예를 들면, 적어도 표면부가 수지로 구성된 롤러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회전가능하게 축 지지된 심봉과, 심봉 상에 형성된 수지층과, 심봉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를 구비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대전 롤러를 구비한 대전부(39)는, 전압 인가부에 의해, 심봉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수지층을 통하여 접촉하는 감광체(37)의 표면을 대전시킬 수 있다.
전압 인가부에 의해 대전 롤러에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 전압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롤러에 의해 전자 사진 감광체에 인가하는 직류 전압은, 1000∼2000V가 바람직하고, 1200∼1800V가 보다 바람직하고, 1400∼1600V가 특히 바람직하다. 교류 전압이나 직류 전압에 교류 전압을 중첩한 중첩 전압을 대전 롤러에 인가하는 경우보다, 대전 롤러에 직류 전압만을 인가하는 경우의 쪽이, 감광층의 마모량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대전 롤러의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감광체(37)의 둘레면을 양호하게 대전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층에 이용하는 수지의 구체적 예로는,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층에는, 무기 충전재를 함유시켜도 된다.
노광부(38)는, 소위 레이저 주사 유닛이며, 대전부(39)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37)의 둘레면에, 상위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PC)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감광체(37) 상에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부(71)는, 정전 잠상이 형성된 감광체(37)의 둘레면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는 토너상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이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31)에 1차 전사된다. 클리닝부는, 중간 전사 벨트(31)로의 토너상의 1차 전사가 종료한 후, 감광체(37)의 둘레면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를 청소한다. 제전기는, 1차 전사가 종료한 후, 감광체(37)의 둘레면을 제전한다. 클리닝부 및 제전기에 의해 청정화 처리된 감광체(37)의 둘레면은, 새로운 대전 처리를 위해서 대전부(39)를 향하여, 새로운 대전 처리가 행해진다.
중간 전사 벨트(31)는, 무단상의 벨트형상 회전체이며, 표면(접촉면)측이 각 감광체(37)의 둘레면에 각각 맞닿도록 구동 롤러(33), 종동 롤러(34), 백업 롤러(35), 및 1차 전사 롤러(36) 등의 복수의 롤러에 걸쳐진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31)는, 각 감광체(37)와 대향 배치된 1차 전사 롤러(36)에 의해 감광체(37)에 가압된 상태에서, 복수의 롤러에 의해 무단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롤러(33)는, 스테핑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하고, 중간 전사 벨트(31)를 무단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한다. 종동 롤러(34), 백업 롤러(35), 및 1차 전사 롤러(36)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 롤러(33)에 의한 중간 전사 벨트(31)의 무단 회전에 따라 종동 회전한다. 이들 롤러(34, 35, 36)는, 구동 롤러(33)의 주동 회전에 따라서 중간 전사 벨트(31)를 통하여 종동 회전함과 더불어, 중간 전사 벨트(31)를 지지한다.
1차 전사 롤러(36)는, 1차 전사 바이어스(토너의 대전 극성과는 역극성)를 중간 전사 벨트(31)에 인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각 감광체(37)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각 감광체(37)와 1차 전사 롤러(36)의 사이에서, 구동 롤러(33)의 구동에 의해 화살표(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주회하는 중간 전사 벨트(31)에 겹쳐칠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전사(1차 전사)된다. 2차 전사 롤러(32)는, 토너상과 역극성의 2차 전사 바이어스를 용지(P)에 인가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31) 상에 1차 전사된 토너상은, 2차 전사 롤러(32)와 백업 롤러(35)의 사이에서 용지(P)에 전사되고, 이에 따라, 용지(P)에 컬러의 전사 화상(미정착 토너상)이 전사된다.
정착부(4)는, 화상 형성부(3)에서 용지(P)에 전사된 전사 화상에 정착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며, 통전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 롤러(41)와, 이 가열 롤러(41)에 대향 배치되어, 둘레면이 가열 롤러(41)의 둘레면에 가압되어 맞닿는 가압 롤러(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부(3)에서 2차 전사 롤러(32)에 의해 용지(P)에 전사된 전사 화상은, 당해 용지(P)가 가열 롤러(41)와 가압 롤러(42)의 사이를 통과할 때의 가열에 의한 정착 처리로 용지(P)에 정착된다. 그리고, 정착 처리가 실시된 용지(P)는, 배지부(5)에 배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컬러 프린터(1)에서는, 정착부(4)와 배지부(5)의 사이의 적당한 장소에 반송 롤러(6)가 설치되어 있다.
배지부(5)는, 컬러 프린터(1)의 기기 본체(1a)의 꼭대기부가 오목하게 들어감으로써 형성되고, 이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의 저부에 배지된 용지(P)를 받는 배지 트레이(51)가 형성되어 있다.
컬러 프린터(1)는, 이상과 같은 화상 형성 동작에 의해, 용지(P) 상에 화상 형성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텐덤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 담지체로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대전 방식으로서 대전 효율이 반드시 양호하지 않은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접촉 대전 방식을 이용하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표면의 대전 전위를 안정화하기 어려운 조건이라도,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사용 초기에 있어서의 급격한 대전 전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적합한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얻어진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광층 도포액의 조제)
결착 수지로서 비스페놀 Z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질량부와, 전하 발생 재료로서 무금속 프탈로시아닌 3중량부와, 정공 수송 재료로서 N, N-디페닐아미노벤즈알데히드디페닐하이드라존 70질량부와, 전자 수송 재료로서 하기에 나타내는 4, 4’-tert-아밀-1, 1’-비스나프틸-4, 4’-퀴논 40질량부와, 레벨링제(신코화학사 제, 「KF-96-50CS」) 0.1질량부를, 유기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클로로포름 420질량부에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용액을 디스퍼밀 분산기로 20분간 분산시켜 감광층용 도포액을 조제했다.
(실시예 1∼59)
계속하여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70℃ 이상의 비점을 가지는 유기 용제(제2 용제)를, 소정량, 상기 조합액에 소정량을 적하하고, 10분간의 분산을 실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 도포액으로 했다. 또한, 표 1 및 표 2에 나타내는 제2 용제의 사용량은, 제1 용제의 질량에 대한 제2 용제의 질량의 비율(질량%)이다.
표면을 세정한 Φ30mm로 L=250㎜, 두께 0.70㎜의 원통형 알루미늄 튜브에, 건조후 감광층 막 두께가 35㎛이 되도록 침지법에 의해 도포액을 도포했다. 도포는, 23도/60% RH의 환경에서 행했다. 감광층 형성 후, 도포액이 도포된 알루미늄 튜브를, 실온에서 5분간 방치 후, 100℃에서 30분간의 조건으로 열처리를 실시하여,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얻었다.
(비교예 1∼20)
상기 감광층용 도포액에, 제2 용제로서, 70℃ 이상의 비점을 가지는 유기 용제를 대신하여, 표 3에 표시하는 유기 용제를 첨가한 이외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비교 도포액을 작성했다. 또한, 표 3에 표시하는 첨가 용제의 사용량은, 제1 용제의 질량에 대한 첨가 용제의 질량의 비율(질량%)이다. 얻어진 비교 도포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1∼59와 동일하게 하여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를 얻었다.
(브러싱 평가)
실시예 1∼59 및 비교예 1∼20에서 얻어진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에 대하여, 눈으로 감광층에 발생한 백화 현상(브러싱)을 하기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표 1 및 표 2에 실시 도포액을 이용한 결과를 나타내고, 표 3에 비교 도포액을 이용한 결과를 나타낸다.
○ 백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 부분적으로 백화한 영역이 발생한다.
× 광범위한 범위에서 백화가 발생한다.
<표 1>
Figure pat00002
<표 2>
Figure pat00003
<표 3>
<사용 유기 용제 및 약호>
THF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MEK : 메틸에틸케톤
IPA: 이소프로필알코올
감광층 도포액에, 제2 용제로서, 70℃ 이상의 비점을 가지는 유기 용제를 첨가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광층을 형성한 경우에 브러싱은 볼 수 없었던 반면, 70℃ 미만의 비점을 가지는 유기 용제를 첨가한 비교예에서는 감광층에 브러싱이 발생했다.

Claims (7)

  1. 감광층 지지체 상에, 적어도 감광층을 구비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결착 수지에 대한 양용매인 제1의 용제와, 적어도 1종 이상의 비점이 70℃ 이상의 유기 용제인 제2의 용제를 함유하는 감광층용 도포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감광층용 도포액을 두께가 0.7㎜ 이하인 감광층 지지체 상에 도포한 후 건조시켜, 상기 감광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용 도포액이 적어도 전하 발생 재료,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 및 결착 수지를 포함하는 단층형 감광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용제의 첨가량이 상기 제1의 용제에 대하여 3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인,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용제의 비점이 150℃ 이하인,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용 도포액의 상기 감광층 지지체 상으로의 도포가, 상기 감광층용 도포액 중에 상기 감광층 지지체를 침지하고, 감광층이 도포된 감광층 지지체를 끌어올린 후 건조시켜 도막 형성을 행하는 침지법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7. 상 담지체와,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을 대전하기 위한 대전부와,
    대전된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을 노광하여 상기 상 담지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와,
    상기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서 현상하기 위한 현상부와,
    상기 토너상을 상기 상 담지체로부터 피전사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 담지체가, 청구항 6에 기재된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113845A 2012-09-28 2013-09-25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790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8011 2012-09-28
JP2012218011A JP5663545B2 (ja) 2012-09-28 2012-09-28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692A true KR20140042692A (ko) 2014-04-07
KR101790376B1 KR101790376B1 (ko) 2017-10-25

Family

ID=5038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845A KR101790376B1 (ko) 2012-09-28 2013-09-25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298112B2 (ko)
JP (1) JP5663545B2 (ko)
KR (1) KR101790376B1 (ko)
CN (1) CN1037134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4160S1 (en) 2016-12-06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0191B2 (ja) * 2015-02-19 2019-05-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17062401A (ja) * 2015-09-25 2017-03-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用円筒状部材、電子写真感光体、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感光体用円筒状部材の製造方法
JP6794665B2 (ja) * 2016-06-02 2020-12-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7193191A (zh) * 2017-06-21 2017-09-22 苏州恒久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正电性彩色有机光导体涂布方法及其制得的有机光导体
JP6891857B2 (ja) * 2018-05-15 2021-06-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6891856B2 (ja) * 2018-05-15 2021-06-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CN115380254A (zh) * 2020-03-30 2022-11-22 三菱化学株式会社 电子照相感光体、电子照相感光体盒和图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4544A (fr) * 1969-08-07 1971-01-18 Fuji Photo Film Co Ltd Procede electrophotographique
JPS61110147A (ja) * 1984-11-05 1986-05-28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
JPS6377060A (ja) 1986-09-19 1988-04-07 Fujitsu Ltd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H0572761A (ja) * 1991-09-13 1993-03-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用感光体の製造方法
JP3020371B2 (ja) 1993-01-28 2000-03-15 三田工業株式会社 ブラッシングが防止された有機感光体の製造方法
JPH06295084A (ja) 1993-04-09 1994-10-21 Dainippon Ink & Chem Inc 電子写真用感光体の製造方法
JPH0784378A (ja) * 1993-09-14 1995-03-31 Mitsubishi Gas Chem Co Inc 電子写真感光体
JP3247779B2 (ja) 1993-12-01 2002-01-21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塗料の塗装方法
JP3259546B2 (ja) * 1994-09-22 2002-02-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JPH0895265A (ja) 1994-09-28 1996-04-12 Hitachi Chem Co Ltd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法
JPH08297372A (ja) * 1995-04-26 1996-11-12 Minolta Co Ltd 有機感光体
JP2001033992A (ja) * 1999-07-26 2001-02-09 Hitachi Chem Co Ltd 電荷発生層用塗液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2001175008A (ja) 1999-12-20 2001-06-29 Nec Niigata Ltd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40693A (ja) * 2000-07-19 2002-02-06 Konica Corp 電子写真感光体、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電荷発生層の分散塗布液の製造方法、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2040682A (ja) * 2000-07-31 2002-02-06 Minolta Co Ltd 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US6673499B2 (en) * 2000-10-26 2004-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ophotoreceptor having an improved ground stripe
US7267914B2 (en) * 2001-12-06 2007-09-11 Ricoh Company, Ltd. Electrophotographic photoconductor,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4275967A (ja) * 2003-03-18 2004-10-07 Fuji Xerox Co Ltd 被膜形成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2004341019A (ja) * 2003-05-13 2004-12-02 Mitsubishi Chemicals Corp 電子写真感光体
JP2005181468A (ja) * 2003-12-17 2005-07-07 Fuji Denki Gazo Device Kk 電子写真感光体
JP2006047716A (ja) * 2004-08-05 2006-02-16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468231B2 (en) * 2005-02-09 2008-12-23 Xerox Corporation Imaging members
US20100209136A1 (en) * 2007-02-07 2010-08-19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ating fluid f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and electrophotographic- photoreceptor cartridge
JP2009186496A (ja) * 2008-02-01 2009-08-20 Sharp Corp 電荷発生層用塗布液及び電子写真感光体の製造方法
JP2010230360A (ja) * 2009-03-26 2010-10-14 Seiko Epson Corp 薬液容器
US8142968B2 (en) * 2009-06-17 2012-03-27 Xerox Corporation Photoreceptor with release layer
JP5608410B2 (ja) * 2010-04-23 2014-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方法
JP5954040B2 (ja) * 2012-08-10 2016-07-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64160S1 (en) 2016-12-06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63545B2 (ja) 2015-02-04
US20150160571A1 (en) 2015-06-11
US20140093816A1 (en) 2014-04-03
JP2014071335A (ja) 2014-04-21
KR101790376B1 (ko) 2017-10-25
CN103713480A (zh) 2014-04-09
US9298112B2 (en) 201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6948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14222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790376B1 (ko)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의 제조 방법,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및 화상 형성 장치
JP5787914B2 (ja) 正帯電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991931B2 (ja) 正帯電積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686648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92582A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6090610A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622635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194057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06365A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622681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6146993B2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885446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575050B2 (ja) 正帯電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567139B1 (ko) 정대전 단층형 전자 사진 감광체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3029777A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5779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892957B2 (ja) 正帯電積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234000A (ja) 正帯電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8323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5622690B2 (ja) 正帯電単層型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06363A (ja) 電子写真感光体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1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019

Effective date: 2017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