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5630A - 차량용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5630A
KR20140015630A KR1020147001335A KR20147001335A KR20140015630A KR 20140015630 A KR20140015630 A KR 20140015630A KR 1020147001335 A KR1020147001335 A KR 1020147001335A KR 20147001335 A KR20147001335 A KR 20147001335A KR 20140015630 A KR20140015630 A KR 20140015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wall
door struc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0192B1 (ko
Inventor
도요카 이데
마사유키 오카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01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5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5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on or reduction of noise, e.g. of rattling or vibration of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60J10/74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 B60J10/75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for sliding window panes, e.g. sash guides for sealing the lower part of the p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차 밖으로부터 차실 내로 침입하는 소리의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를 얻는다. 차량용 도어 구조(28)가 적용된 프론트 사이드 도어(10)는, 도어 유리(18)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도어 본체(12)에, 도어 유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38)가 형성된 벽(34A)과, 벽(34A)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배치된 시일 립(36)을 구비한 웨더 스트립(30)을 가지고 있다. 또, 벽(34A)의 도어 유리의 반대 측에는, 개구(38)와 연통하는 폐공간(S)을 벽(34A)과 함께 형성하는 벽체(34)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구조{DOOR STRUC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사이드 도어의 내부에 있어서의 도어 유리의 차량 내측에, 도어 유리의 내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2매의 시일 립(sealing lip)을 구비한 인너 웨더 스트립(inner weatherstrip)이 배치하여 설치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4957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의한 경우, 도어 유리의 슬라이딩 저항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시일 립의 도어 유리에 대한 가압력을 낮게 할 필요가 있고, 시일 립의 도어 유리에 대한 가압력을 낮게 설정하면, 차 밖으로부터 차실 내로 침입하는 소리를 차음하는 차음 효과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는, 도어 유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유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벽과,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시일 립을 구비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도어 본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의 상기 도어 유리와 반대 측에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폐공간을 상기 벽과 함께 형성하는 벽체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2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는, 제1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차량 상하에 병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2매의 상기 시일 립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이웃하는 상기 시일 립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3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는, 제1 태양 또는 제2 태양 에 기재된 차량용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도어 본체의 차량내측 부재를 구성하는 도어 인너 패널의 상단부에 감합(fit-together)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이며, 상기 벽체는, 상기 인너 웨더 스트립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는, 제1 태양에서부터 제3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차량용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차량 상하 방향의 상부에 상기 도어 유리 측으로 돌출되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5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는, 제1 태양에서부터 제4 태양 중 어느 하나의 태양에 기재된 차량용 도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상기 폐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1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에 다른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1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의하면, 도어 본체에 설치된 시일 부재에는, 도어 유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벽과, 벽으로부터 돌출된 시일 립이 설치되어 있고, 시일 립이 도어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어 있다. 시일 부재의 벽의 도어 유리와 반대 측에는, 도어 본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시일 부재의 개구와 연통하는 폐공간을 시일 부재의 벽과 함께 형성하는 벽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 부분의 공기가 매스(mass)이고, 개구의 배후의 폐공간이 스프링이 된 스프링 매스계가 되어, 특정한 주파수의 소리가 닿으면 개구의 부분의 공기가 현저하게 진동한다. 이것에 의해, 소리의 에너지가 진동 에너지로 변화되고, 나아가 진동 에너지가 공기의 점성 저항과 마찰에 의해 열 에너지로 변함으로써, 소리가 저감된다. 이 때문에,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저감시킬 수 있어,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2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의하면, 시일 부재는, 차량 상하에 병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2매의 시일 립을 구비하고 있고, 이웃하는 시일 립의 사이의 벽에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매의 시일 립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 매스계에, 개구와 그 배후의 벽체의 폐공간에 의한 스프링 매스계가 추가된다. 이것에 의해, 소리가 저감되는 주파수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차음 효과를 더 확실히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3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의하면, 시일 부재는, 도어 본체의 차량 내측 부재를 구성하는 도어 인너 패널의 상단부에 감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이며, 폐공간을 형성하는 벽체가 인너 웨더 스트립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구와 연통하는 폐공간을 구비한 벽체를 인너 웨더 스트립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4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의하면, 시일 부재의 벽에 있어서의 개구의 차량 상하 방향의 상부에 도어 유리 측으로 돌출되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 유리의 내면에 결로(結露) 등에 의해 물방울이 발생했을 때, 차량 상방으로부터 시일 부재의 벽을 타고 온 물이 덮개로 차단된다. 이 때문에, 물이 개구로부터 벽체의 내부의 폐공간으로 흘러드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제5 태양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의하면, 벽체에는, 폐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1개의 격벽이 설치되어 있고, 격벽에 다른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벽에 형성된 개구와 그 배후의 공간에 의한 스프링 매스계에, 격벽의 다른 개구와 그 배후의 공간에 의한 스프링 매스계가 추가된다. 이것에 의해, 소리가 저감되는 주파수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차음 효과를 더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에 의하면,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차량 내측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중의 2-2선을 따른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인너 웨더 스트립이 클립으로 인너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인너 웨더 스트립에 클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인너 웨더 스트립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된 벽과, 관통 구멍과 연통하는 폐공간을 형성하는 벽체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관통 구멍과 그 배후의 폐공간에 의한 스프링 매스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주파수와 소리의 저감 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다.
도 10은 제2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변형예 또는 제2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와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있어서의 주파수와 소리의 저감 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와 제1 변형예 또는 제2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와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있어서의 주파수와 소리의 저감 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a는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과 도어 유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b는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의 2매의 시일 립을 모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의 2매의 시일 립에 의한 스프링 매스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과 도어 유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4b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의 2매의 시일 립과 관통 구멍과 폐공간을 모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의 2매의 시일 립과 관통 구멍과 폐공간에 의한 스프링 매스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와 제1 변형예(제2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와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에 있어서의 주파수와 음압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차량용 도어 구조에 있어서의 스프링 매스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제7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제8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의 관통 구멍의 상방의 덮개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나타내는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의 상방으로부터 벽으로 물이 타고 흘러 왔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비교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7은 비교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에 사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의 시일 립을 도어 유리에 밀착시킨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 1∼도 8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 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방 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OUT은 차량 폭 방향 외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사이드 도어가 차량 내측으로부터 본 상태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2에는, 도 1 중의 2-2선에 있어서의 프론트 사이드 도어의 종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측부(도시 생략)에는 차량용 도어로서의 프론트 사이드 도어(10)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도어(10)는, 차량의 측부에 설치된 프론트 도어 개구부(도시 생략)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도어(10)는,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도어 아우터 패널(14)과, 차량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도어 인너 패널(16)을 포함하여 구성된 도어 본체(12)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부(14A)를 제외하는 가장자리부는,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를 제외하는 가장자리부(16B)와 헤밍 가공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도어 아우터 패널(14)과 도어 인너 패널(16)이 폐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도어(10)에는,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28)가 적용되어 있다.
또, 프론트 사이드 도어(10)는,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부(14A)와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의 대향부의 간극으로부터 도어 본체(12)의 내부[도어 아우터 패널(14)과 도어 인너 패널(16)의 사이]에 삽입되어 차량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배치된 도어 유리(사이드 도어 유리)(18)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본체(12)의 차량 상부 측에는, 도어 유리(18)를 승강 시에 안내하기 위한 도어 프레임(20)이 차량 측면에서 보아 문 형태로 장착되어 있다. 즉, 도어 본체(12)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도어 프레임(20)의 내측에 배치된 도어 유리(18)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부의 차량 폭 방향 내측에는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가 배치되어 있고,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상단에 형성된 세로벽부(24A)가 접촉된 상태로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차량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만곡면 형상의 돌출부(24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28)에서는,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에, 시일 부재의 일례로서의 인너 웨더 스트립(30)이 복수의 클립(4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또, 도어 본체(12)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차실(26) 측]에는, 도어 인너 패널(16)과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와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상단부로부터 도어 인너 패널(16)과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차량 내측면을 덮도록 도어 트림(46)이 장착되어 있다.
클립(40)은, 금속제이며, 차량 하방 측으로 개구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의 협지부(40A)를 구비하고 있다. 클립(40)의 협지부(40A)는,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의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 협지부(40A)가 끼워 넣어진다. 또, 클립(40)의 협지부(40A)의 차량 내측의 벽부에는, 그 차량 내측의 벽부와 연속하여 차량 상방 측으로 개구하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인 굴곡부(40B)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40B)에는, 후술하는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장착부(32)의 차량 내측의 세로벽(32B)이 삽입되어 있다. 그때,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세로벽(32B)이, 협지부(40A)의 차량 내측의 벽부를 세로벽부(24A)의 돌출부(24B)와 맞닿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립(40)의 협지부(40A)가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 클립(40)의 굴곡부(40B)의 차량 내측의 상단부에는, 차량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된 굴곡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부(40C)의 선단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도어 트림(46)에 형성된 개구부(도시 생략)가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너 웨더 스트립(30)은,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부에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장척(長尺) 형상의 부재이다. 인너 웨더 스트립(30)은, 차량 하방 측에 개구가 형성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인 장착부(32)와, 장착부(32)의 차량 외측의 세로벽(32A)과 함께 대략 직사각 형상의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34)와, 벽체(34)의 차량 외측의 벽을 형성하는 세로벽(벽)(34A)으로부터 도어 유리(18) 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2매의 시일 립(36)과, 2매의 시일 립(36) 사이의 세로벽(34A)에 형성된 개구의 일례로서의 관통 구멍(38)을 구비하고 있다.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장착부(32)는, 클립(40)의 협지부(40A)에 외삽된 상태로, 클립(40)에 의해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에 장착되어 있다.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장착부(32)가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에 장착된 상태로, 벽체(34)의 세로벽(벽)(34A)은,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매의 시일 립(36)은, 세로벽(34A)의 차량 상하에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벽(34A) 및 2매의 시일 립(36)은, 도어 본체(12)의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2매의 시일 립(36)은, 도어 유리(18)가 승강하는 궤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세로벽(34A)의 벽면에 대하여 2매의 시일 립(36)의 선단이 차량 대각선 상방 측을 향하고 있다. 2매의 시일 립(36)은, 선단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립(36)의 선단이 도어 유리(18)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도어 유리(18)와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관통 구멍(개구)(38)은, 세로벽(34A)의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위치로서, 시일 립(36)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관통 구멍(38)은, 차량 하방 측의 시일 립(36)의 선단부와 포개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관통 구멍(38)은, 2매의 시일 립(36)의 사이에 세로벽(34A)의 길이 방향(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관통 구멍(38)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세로벽(34A)의 도어 유리(18)와 반대 측에, 관통 구멍(38)과 연통하여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34)가 설치되어 있고, 세로벽(34A)은 벽체(3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도어 유리(18)에 대하여 세로벽(34A)의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34)가 배치되어 있다.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34)는, 도어 본체(12)의 내부에 있어서의 도어 인너 패널(1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차량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장착부(32)와 벽체(34)와 2매의 시일 립(36)은, 고무나 수지 등의 탄성 부재(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무)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너 웨더 스트립(30)은,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38)과 연통하는 폐공간 S를 구비한 벽체(34)를 인너 웨더 스트립(30)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벽체(34)의 상부에는, 도어 트림(46)에 맞닿는 2매의 돌출편(30A, 30B)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32)의 세로벽(32A)의 차량 내측에는, 클립(40) 및 도어 인너 패널(16)에 맞닿는 2매의 돌출편(30C)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 트림(46)의 기재(基材)(47)의 상단부(47A)는,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어 트림(46)에는, 기재(47)의 상면 및 차량 폭 방향의 외측의 측면부를 덮도록 표피(48)가 설치되어 있다.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돌출편(30A, 30B)이 도어 트림(46)의 이면 측에 맞닿음으로써, 인너 웨더 스트립(30)과 도어 트림(46)의 시일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돌출편(30C)이 도어 인너 패널(16) 및 클립(40)에 맞닿음으로써, 인너 웨더 스트립(30)과 도어 인너 패널(16)의 시일성이 확보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부(14A)에는, 도어 본체(12)의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무 또는 수지제의 벨트 몰딩(50)이 장착되어 있다. 벨트 몰딩(50)은, 차량 하방 측에 개구하여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부(14A)에 끼워 넣어지는 장착부(52)와, 장착부(52)를 구성하는 차량 내측의 세로벽(52A)으로부터 도어 유리(18) 측으로 돌출되는 2매의 시일 립(54)을 구비하고 있다. 2매의 시일 립(54)은, 차량 상하에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2매의 시일 립(54)은, 도어 유리(18)가 승강하는 궤도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시일 립(54)의 선단이 도어 유리(18)에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도어 유리(18)와의 시일성이 확보된다.
벨트 몰딩(50)에는, 장착부(52)의 세로벽(52A)의 차량 외측에, 도어 아우터 패널(14)에 맞닿는 2매의 돌출편(50A)이 형성되어 있고, 돌출편(50A)이 도어 아우터 패널(14)에 맞닿음으로써, 벨트 몰딩(50)과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시일성이 확보되어 있다.
도 6에는,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벽체(34)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횡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34)에 있어서의 도어 유리(18)(도 2 참조)와 대향하는 세로벽(34A)에는,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벽(34A)의 도어 유리(18)와 반대 측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38)과 연통하는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34)가 설치되어 있다. 벽체(34)의 내부에는, 이웃하는 관통 구멍(38) 사이에, 세로벽(34A)과 직교하여 벽체(34) 내를 분할하는 가상의 벽(34B)이 배치된다. 이들 가상의 벽(34B)에 의해, 세로벽(34A)의 배후[도어 유리(18)과 반대측]에, 각 관통 구멍(38)과 각각 연통하는 공간 S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인너 웨더 스트립(30)에서는,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가 매스(62)이고, 세로벽(34A)의 배후의 벽체(34)와 가상의 벽(34B)에 의한 공간 S1이 스프링(64)이 된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60)가 구성된다. 이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60)에서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의 매스(62)에 닿으면, 매스(62)가 스프링(64)의 신축 방향[화살표로 나타내는 벽체(34)의 세로벽(32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격렬하게 진동한다. 이것에 의해, 소리의 에너지가 진동 에너지로 변화하고, 나아가 진동 에너지가 공기의 점성 저항과 마찰에 의해 열 에너지로 변화함으로써,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현저하게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관통 구멍(38)의 길이를 l, 관통 구멍(38)의 면적을 S,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공간 S1의 체적을 V, 음속을 c라고 하면, 소리의 저감 주파수 f는, 하기의 식으로 나타내어진다.
Figure pct00001
이 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리의 저감 효과가 발생하는 주파수는, 관통 구멍(38)의 크기와,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공간 S1의 체적(용적)으로 결정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60)이므로, 공진한 경우에(특정 주파수에서) 현저하게 소리가 저감된다. 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구멍(38)의 크기와,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공간 S1의 체적(용적)을 변경함으로써, 소리의 저감 효과가 발생하는 주파수(66A, 66B, 66C)가 변화된다.
도 9에는, 제1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70)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70)가 적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72)에는,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세로벽(74A)의 배면 측에, 제1 실시 형태의 벽체(34)(도 2 참조)보다 큰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74)가 세로벽(74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너 웨더 스트립(72)에는, 2매의 시일 립(36)이 설치되어 있고, 하측의 시일 립(36)의 하방 측 근방의 세로벽(74A)에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는, 제2 변형예와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80)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80)가 적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82)에는,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세로벽(74A)의 배면 측에, 제1 실시 형태의 벽체(34)(도 2 참조)보다 큰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74)가 세로벽(74A)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너 웨더 스트립(82)에서는, 2매의 시일 립(36)이 설치되어 있고, 상측의 시일 립(36)의 상방 측 근방의 세로벽(74A)에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관통 구멍(38)은 상측의 시일 립(36)과 포개어지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6에는, 비교예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900)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차량용 도어 구조(900)가 적용된 프론트 사이드 도어(910)에는, 차량 하방 측에 개구가 형성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의 장착부(904)를 구비한 인너 웨더 스트립(902)이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904)는,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에 복수의 클립(도 27 참조)으로 장착되어 있다. 장착부(904)의 차량 외측의 세로벽(904A)에는, 도어 유리(18) 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2매의 시일 립(36)이 차량 상하에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시일 립(36)의 선단은 도어 유리(18)에 슬라이딩 접촉되어 있다. 또한, 인너 웨더 스트립(902)에는,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세로벽(904A)에 관통 구멍과 그 배후의 폐공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차량용 도어 구조(900)에서는, 시일 립(36)의 선단이 도어 유리(18)의 내벽면에 맞닿아 있지만, 시일 립(36)의 선단을 도어 유리(18)에 강하게 밀어 누를 수 없어, 시일 립(36)과 도어 유리(18)의 접점의 차음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화살표(9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 도어(910)의 외부의 소리(차 밖의 소음 등)가 시일 립(36)의 선단과 도어 유리(18)의 틈으로부터 차실 내로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 립(36)의 선단을 도어 유리(18)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어 눌러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면, 프론트 사이드 도어(910)의 외부의 소리의 차음 효과는 향상되지만, 시일 립(36)의 선단과 도어 유리(18)의 접촉부의 마찰력이 증가한다. 이것에 의해, 도어 유리(18)의 승강 시의 슬라이딩 저항이 증가하여, 인너 웨더 스트립(902)의 승강 내구성이 저하하거나, 도어 유리(18)의 강하 시에 시일 립(36)이 차량 하방 측으로 말릴 가능성이 있다. 또, 도어 유리(18)가 손가락이 끼였다고 오검지하거나, 도어 유리(18)의 승강 토크 증가에 따른 기구의 대형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시일 립(36)의 선단을 필요 이상으로 도어 유리(18)에 강하게 밀어 누를 수는 없다.
이에 대하여, 도 9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70)가 적용된 인너 웨더 스트립(72)에서는, 2매의 시일 립(36)에 대하여 하방 측의 세로벽(74A)에 관통 구멍(38)을 설치함과 함께,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74)를 설치함으로써,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60)(도 7 참조)가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10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80)가 적용된 인너 웨더 스트립(82)에서는, 2매의 시일 립(36)에 대하여 상방 측의 세로벽(74A)에 관통 구멍(38)을 설치함과 함께,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74)를 설치함으로써,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60)(도 7 참조)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의 매스(62)에 닿으면, 매스(62)가 스프링(64)의 신축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것에 의해, 소리의 에너지가 진동 에너지로 변화하고, 나아가 진동 에너지가 공기의 점성 저항과 마찰에 의해 열 에너지로 변화함으로써,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현저하게 저감된다.
도 11은, 주파수와 소리의 저감 효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에서는,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900)(도 26 참조)의 경우가 선(86)으로 나타내어져 있고,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70, 80)(도 9, 도 10 참조)의 경우가 선(84)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70, 80)에서는,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900)와 비교하여, 특정 주파수에서 소리의 저감 효과가 커진다.
또한, 도 12에는,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28)(도 2 등 참조)의 경우의 주파수와 소리의 저감 효과의 관계가 선(88)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28)(도 2 등 참조)에서는, 인너 웨더 스트립(30)의 차량 상하의 2매의 시일 립(36)의 사이의 세로벽(34A)에 관통 구멍(38)을 형성함으로써,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도 9, 도 10 참조)와 비교하여, 소리가 저감되는 주파수 영역이 넓어진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28)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900)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900)에서는, 인너 웨더 스트립(902)의 차량 상하의 2매의 시일 립(36)의 선단이 도어 유리(18)에 맞닿아 있다. 이 구조를 단순화하면,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920) 내의 상방 측의 시일 립(36)과 하방 측의 시일 립(36)이, 중앙부의 연결 점(922)으로 연결된 상하의 2개의 스프링(924)으로 연결된 구조가 된다. 이 구조에서는,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 측의 시일 립(36)과의 간극으로부터 벽체(920) 내에 입사음이 들어오고,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측의 시일 립(36)과의 간극으로부터 벽체(920)의 외부로 투과음이 나온다.
도 13b에 나타내는 구조를 모델화하면,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 측의 시일 립(36), 하방 측의 시일 립(36)과 벽체(920)의 간극이 매스(926)이고, 2매의 시일 립(36) 사이의 폐공간이 2개의 스프링(924, 924)이 된 2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930)가 된다. 따라서,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매스(926)에 닿으면, 매스(926)가 스프링(924, 924)의 신축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진동하고, 소리의 에너지가 진동 에너지로 변화한다. 이 스프링 매스계(930)는, 상하 대칭이므로,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와 동등해져, 1 피크의 공진이 된다.
이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28)에서는,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유리(18)에 맞닿는 2매의 시일 립(36)의 사이의 세로벽(34A)에 형성된 관통 구멍(38)과,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34)를 구비한 인너 웨더 스트립(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조를 단순화하면,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900)에 의해 형성된 벽체(920)에 차량용 도어 구조(28)에 의해 형성된 벽체(34)가 연결된 구조가 된다. 즉, 벽체(920)에 세로벽(34A)의 관통 구멍(38)을 통하여 벽체(3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세로벽(34A)에 형성된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가 매스(62)가 되고, 이 매스(62)에, 벽체(34)의 폐공간 S의 스프링(64)과, 벽체(920)의 폐공간의 스프링(90)의 일단이 연결됨과 함께, 스프링(90)의 타단이 연결점(922)에 연결된 구조가 된다.
도 14b에 나타내는 구조를 모델화하면, 도 1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의 2매의 시일 립(36)으로 구성된 2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930)에, 관통 구멍(38)과 폐공간 S를 형성하는 벽체(34)에 의해 구성된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60)를 추가하여 연결 형성된 3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92)가 된다. 즉, 스프링 매스계(930)에 추가된 스프링 매스계(60)에서는,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의 매스(62)에 닿으면, 매스(62)가 스프링(64)의 신축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격렬히 진동한다. 이것에 의해, 소리의 에너지가 진동 에너지로 변화하고, 나아가 진동 에너지가 공기의 점성 저항과 마찰에 의해 열 에너지로 변화함으로써,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현저하게 저감된다. 그때, 스프링 매스계(930)는 상하 대칭이므로,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와 동등해지기 때문에, 스프링 매스계(92)는 2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와 동등해진다. 이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리의 저감 효과의 선(88)은 2 피크의 공진이 되어, 폭넓은 주파수에서 소리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에는, 본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28), 제1 변형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70),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900)에 대하여, 주파수에 대한 도어 내측의 음압 레벨을 측정한 결과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그래프에서는, 차량용 도어 구조(28)에 의한 음압 레벨을 실선(94A)으로 나타내고, 차량용 도어 구조(70)에 의한 음압 레벨을 점선(94B)으로 나타내며, 차량용 도어 구조(900)에 의한 음압 레벨을 2점 쇄선(94C)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차량용 도어 구조(28)에서는 가장 음압 레벨이 낮고, 차량용 도어 구조(70)에서는 그 다음으로 음압 레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제2 변형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80)는, 음압 레벨은 점선(94B)과 대략 동일하였다. 따라서, 도어 유리(18)에 맞닿는 2매의 시일 립(36) 사이의 세로벽(34A)에 관통 구멍(38)을 형성한 차량용 도어 구조(28)로 함으로써, 폭넓은 주파수에서 소리의 저감 효과가 나타난다. 이 때문에, 차 밖으로부터 차실(26) 안으로 침입하는 소리의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100)가 적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102)에는,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세로벽(34A)에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38)의 배후[도어 유리(18)와 반대 측]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벽체(34)가 설치되어 있다. 벽체(34)의 내부에는, 차량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함께 폐공간을 분할하는 격벽(104)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104)의 중앙부에는, 다른 개구의 일례로서의 관통 구멍(106)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벽(34A)에 형성된 관통 구멍(38)의 배후[도어 유리(18)와 반대 측]에 벽체(34)와 격벽(104)에 의해 공간 S2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격벽(104)에 형성된 관통 구멍(106)의 안쪽[폐공간 S2와 반대 측]에 벽체(34)와 격벽(104)에 의해 다른 폐공간 S3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인너 웨더 스트립(102)의 벽체(34)는, 관통 구멍(106)을 구비한 격벽(104)을 개재하여 2중 구조로 되어 있고, 관통 구멍(38) 및 공간 S2와 관통 구멍(106) 및 폐공간 S3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106)은, 관통 구멍(38)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인너 웨더 스트립(102)은, 고무 또는 수지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벽(34A)과 격벽(104)을 구비한 벽체(34)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100)를 모델화하면, 격벽(104) 부근에서는, 격벽(104)에 형성된 관통 구멍(106)의 부분의 공기가 매스(114)이고, 관통 구멍(106)의 안쪽의 폐공간 S3이 스프링(116)이 된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122)가 구성되어 있다. 즉, 상하의 2매의 시일 립(36)으로 구성된 스프링 매스계(930)에,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가 매스(62)이고,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공간 S2가 스프링(64)이 된 1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60)와, 매스(114)와 스프링(116)에 의한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122)를 직렬로 연결시킨 스프링 매스계(110)가 된다. 이것에 의해, 도 12에 나타내는 소리의 저감 효과의 선(88)의 2개의 피크간의 골짜기가 더 완만해져, 2개의 피크간의 소리의 저감 효과가 약해지는 부분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더 확실하게 소리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100)에서는, 벽체(34)의 내부에 차량 폭 방향(가로 방향)으로 격벽(104)을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벽체(34)의 내부에 세로 방향으로 격벽을 설치하고, 이 격벽에 관통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즉, 세로벽(34A)에 형성된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공간 S2를 형성하고, 공간 S2에 접하는 격벽의 관통 구멍(106)의 안쪽에 다른 폐공간 S3을 설치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 제2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100)에서는, 벽체(34)의 내부에 하나의 격벽(104)을 설치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격벽을 설치하여, 각각의 격벽에 관통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즉, 격벽과 관통 구멍의 수는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더 확실하게 소리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130)가 적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132)에는,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세로벽(34A)에 있어서의 2매의 시일 립(36) 사이에 2개의 관통 구멍(개구)(134, 136)이 상하 방향으로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134, 136)의 배후[도어 유리(18)와 반대 측]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벽체(34)가 설치되어 있다. 세로벽(34A)에 2개의 관통 구멍(134, 136)을 설치함으로써, 벽체(34) 안에는, 관통 구멍(134, 136)의 사이에 차량 폭 방향을 따라 가상의 벽(138)이 배치된다. 즉, 가상의 벽(138)에 의해, 벽체(34) 내의 폐공간이 분할되어, 관통 구멍(134)의 배후에 공간 S4가 형성되고, 관통 구멍(134)의 배후에 공간 S5가 형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도어 구조(130)에서는, 상하의 2매의 시일 립(36)에 의해 구성된 스프링 매스계(930)(도 17참조)에, 관통 구멍(134)과 공간 S4로 구성된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와, 관통 구멍(136)과 공간 S5로 구성된 1 자유도의 스프링 매스계가 병렬로 배치된 구성이 된다. 이것에 의해,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더 확실하게 소리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130)에서는, 세로벽(34A)에 있어서의 2매의 시일 립(36)의 사이에 상하 방향에 2개의 관통 구멍(134, 136)을 설치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에 3개 이상의 관통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또, 차량 측면에서 보아 관통 구멍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한 구성이어도 된다. 즉, 관통 구멍의 수는 많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넓은 주파수 영역에서 더 확실하게 소리의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제3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150)가 적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152)에는, 차량 하방 측에 개구가 형성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의 장착부(154)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부(154)가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에 끼워 넣어져 복수의 클립(도시 생략)으로 고정되어 있다. 장착부(154)의 차량 외측의 세로벽(154A)은,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세로벽(154A)의 차량 폭 방향의 외측면에 2매의 시일 립(36)이 설치되어 있다. 세로벽(154A)의 2매의 시일 립(36)의 사이에는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 있고, 세로벽(154A)의 차량 폭 방향의 내측면에는, 관통 구멍(38)의 상방 측과 하방 측[2매의 시일 립(36)의 반대 측]에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에 맞닿는 립부(152A, 152B)가 형성되어 있다. 립부(152A, 152B)는, 관통 구멍(38)의 배후[도어 유리(18)와 반대 측]의 공간을 닫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차량용 도어 구조(150)에서는, 세로벽(154A)의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세로벽(154A)과 상하의 립부(152A, 152B)와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로 구성되는 벽체에 의해 폐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가 매스이고,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폐공간 S가 스프링이 된 스프링 매스계가 형성된다. 이 차량용 도어 구조(150)에서는, 인너 웨더 스트립(152)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작기 때문에,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900)에 대하여 도어 인너 패널(16)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폐공간 S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타부품에 의한 스페이스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소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차 밖으로부터 차실 내로 침입하는 소리의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1∼제4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160)에서는, 인너 웨더 스트립(162)에 장착부(154)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부(154)의 차량 외측의 세로벽(154A)에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 인너 패널(164)은, 상측 가장자리부(16A)의 하부 측에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굴곡된 가로벽부(164A)와, 가로벽부(164A)의 차량 폭 방향 외측 단부로부터 차량 하방 측으로 굴곡된 세로벽부(164B)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166)는, 상단의 세로벽부(24A)의 하부 측에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굴곡된 가로벽부(166A)와, 가로벽부(166A)의 차량 폭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차량 하방 측으로 굴곡된 만곡 형상의 세로벽부(166B)를 구비하고 있다.
인너 웨더 스트립(162)의 장착부(154)는, 도어 인너 패널(164)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166)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에 끼워 넣어져 고정된 상태로, 차량 외측의 세로벽(154A)의 하단부가 도어 인너 패널(164)의 가로벽부(164A)에 접촉되고, 차량 내측의 세로벽(154B)의 하단부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166)의 가로벽부(166A)에 접촉되어 있다. 즉, 도어 인너 패널(164)의 가로벽부(164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166)의 가로벽부(166A)는,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공간을 닫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로벽(154A)의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장착부(154)와 도어 인너 패널(164)이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166)로 구성되는 벽체에 의해 폐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가 매스이고,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폐공간 S가 스프링이 된 스프링 매스계가 구성된다.
이 차량용 도어 구조(160)에서는, 인너 웨더 스트립(162)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가 작기 때문에, 타부품에 의한 스페이스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소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차 밖으로부터 차실 내로 침입하는 소리의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제5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170)에서는, 인너 웨더 스트립(172)에 대략 U자 형상의 장착부(174)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부(174)가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와 도어 인너 리인포스먼트(24)의 세로벽부(24A)의 접합부에 끼워 넣어져 복수의 클립(도시 생략)으로 고정되어 있다. 장착부(174)의 차량 외측의 세로벽(174A)은,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세로벽(174A)의 차량 폭 방향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3개의 시일 립(36)이 설치되어 있다. 세로벽(174A)의 3개의 시일 립(36)의 사이에 각각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벽(174A)의 차량 폭 방향의 내측면에는, 2개의 관통 구멍(38)에 대하여 상방 측과 하방 측에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에 맞닿는 립부(172A, 172B)가 형성되어 있다. 립부(172A, 172B)는, 2개의 관통 구멍(38)의 배후[도어 유리(18)와 반대 측]의 공간을 닫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차량용 도어 구조(170)에서는, 세로벽(174A)에 설치된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세로벽(174A)과 상하의 립부(172A, 172B)와 도어 인너 패널(16)의 상측 가장자리부(16A)로 구성되는 벽체에 의해 폐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일 립(36)의 매수를 증가시켜 그 시일 립(36) 사이에 관통 구멍(38)을 뚫을 수 있어, 각각의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공간에 의해 소리를 더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차 밖으로부터 차실 내로 침입하는 소리의 차음 효과를 더 확실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의 차량용 도어 구조(170)에서는, 시일 립(36)은 3매이지만, 시일 립(36)을 더 증가시켜, 각각의 시일 립(36)의 사이에 관통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시일 립(36)의 매수와 관통 구멍의 수를 많게 함으로써, 차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2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제6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190)에서는,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부(14A)에 시일 부재의 일례로서의 벨트 몰딩(192)이 복수의 클립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벨트 몰딩(192)은, 차량 하방 측에 개구하여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부(14A)에 끼워 넣어지는 장착부(194)와, 장착부(194)를 구성하는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세로벽(194A)으로부터 도어 유리(18) 측으로 돌출되는 2매의 시일 립(54)을 구비하고 있다. 2매의 시일 립(54)은, 세로벽(194A)의 벽면에 대하여 선단부가 차량 대각선 상방 측을 향하고 있다. 2매의 시일 립(54)의 사이의 세로벽(194A)에는, 관통 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측면에서 보아 관통 구멍(38)은, 2매의 시일 립(54)의 근방으로서, 하측의 시일 립(54)의 선단부와 포개어지는 위치에 관통 구멍(38)이 설치되어 있다. 벨트 몰딩(192)에는, 세로벽(194A)의 차량 외측면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38)의 상방 측과 하방 측에 도어 아우터 패널(14)에 맞닿는 2매의 돌출편(50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38)의 배후[도어 유리(18)와 반대 측]에 폐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너 웨더 스트립(902)은, 비교예의 차량용 도어 구조(900)와 동일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차량용 도어 구조(190)에서는, 세로벽(194A)의 관통 구멍(38)의 배후에, 세로벽(194A)과 상하의 돌출편(50A)과 도어 아우터 패널(14)의 상측 가장자리부(14A)로 구성되는 벽체에 의해 폐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38)의 부분의 공기가 매스이고, 관통 구멍(38)의 배후의 폐공간 S가 스프링이 된 스프링 매스계가 구성되어, 특정 주파수의 소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차 밖으로부터 차실 내로 침입하는 소리의 차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3∼도 25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도어 구조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제7 실시 형태와 동일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구조(200)가 적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202)에는,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세로벽(34A)에 있어서의 2매의 시일 립(36)의 사이에 형성된 관통 구멍(38)과, 관통 구멍(38)의 상방 측에 세로벽(34A)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덮개(20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04)는, 세로벽(34A)의 외벽면에 대하여 차량 하방 측으로 약간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 유리(18)를 화살표 방향으로 강하시켰을 때, 도어 유리(18)의 차실 측의 벽면에 결로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206)이, 상방 측의 시일 립(36)과 도어 유리(18) 사이로부터 들어가, 상방 측의 시일 립(36)의 하면을 미끄러져 갈 가능성이 있다. 그때,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38)의 상방 측에 덮개(204)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일 립(36)의 하면을 흐른 물방울(206)은 덮개(204)의 상면을 흐르고, 나아가 물방울(206)은 덮개(204)의 선단으로부터 하방 측의 시일 립(36)으로 낙하하여 당해 시일 립(36)과 세로벽(34A) 사이에 고인다. 이 때문에, 물방울(206)이 세로벽(34A)으로부터 관통 구멍(38) 안으로 흘러들어와, 벽체(34)의 내부의 폐공간 S에 고이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제8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세로벽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구멍(38)은, 대략 동일한 크기의 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도 3 참조), 복수의 관통 구멍(개구)을 다른 크기로 해도 된다. 소리의 저감 효과가 발생하는 주파수는, 관통 구멍의 크기와 폐공간의 체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의 소리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관통 구멍의 크기를 몇 단계(예를 들면, 대, 중, 소의 3단계)로 변화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관통 구멍(개구)은, 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관통 구멍의 형상은 상관 없으나, 제조상으로는 트림에 관통 구멍을 뚫기 위하여, 원형이 바람직하다.
또, 소리의 저감 효과가 발생하는 주파수는, 관통 구멍(개구)의 크기와 폐공간의 체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관통 구멍의 배후에 폐공간을 형성하는 벽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형(球刑)이나 다면체 등이어도 된다. 차량용 도어 본체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어 유리(18)와 대향하는 세로벽의 관통 구멍으로부터 덕트를 연결시켜 폐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제8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도어 구조를 프론트 사이드 도어에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어 사이드 도어 등 다른 차량용 도어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도어 유리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 유리와 대향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벽과, 상기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 변형 가능한 시일 립을 구비하는 시일 부재와,
    상기 도어 본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벽의 상기 도어 유리와 반대 측에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폐공간을 상기 벽과 함께 형성하는 벽체를 가지는 차량용 도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차량 상하에 병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2매의 상기 시일 립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는, 이웃하는 상기 시일 립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는, 상기 도어 본체의 차량 내측 부재를 구성하는 도어 인너 패널의 상단부에 감합되는 인너 웨더 스트립이며,
    상기 벽체는, 상기 인너 웨더 스트립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의 차량 상하 방향의 상부에 상기 도어 유리 측으로 돌출되는 덮개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는, 상기 폐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격벽에 다른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차량용 도어 구조.
KR1020147001335A 2011-06-23 2011-06-23 차량용 도어 구조 KR101420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4483 WO2012176324A1 (ja) 2011-06-23 2011-06-23 車両用ドア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5630A true KR20140015630A (ko) 2014-02-06
KR101420192B1 KR101420192B1 (ko) 2014-07-17

Family

ID=4742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335A KR101420192B1 (ko) 2011-06-23 2011-06-23 차량용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27982B2 (ko)
EP (1) EP2724882B1 (ko)
JP (1) JP5556964B2 (ko)
KR (1) KR101420192B1 (ko)
CN (1) CN103635338A (ko)
WO (1) WO20121763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8313B2 (ja) * 2013-11-28 2016-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遮音部材及び車両用ドア構造
JP6198063B2 (ja) * 2014-07-03 2017-09-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ドアトリム取付構造
JP6303189B2 (ja) * 2014-11-05 2018-04-0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のフロントガラス周縁構造
KR101619413B1 (ko) * 2014-11-25 2016-05-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CN205299189U (zh) * 2015-11-30 2016-06-08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照明装置
US10286768B2 (en) * 2016-02-17 2019-05-14 Tokai Kogyo Co., Ltd. Inner weather strip and seal structure of vehicle door
US10272756B2 (en) * 2016-03-10 2019-04-30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assembly,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US9937778B2 (en) * 2016-03-15 2018-04-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ow seal assembly for limiting air leaks from a vehicle frame into a passenger cabin of a vehicle
JP6782912B2 (ja) * 2016-05-23 2020-11-11 清水建設株式会社 ドアシステム
JP6803698B2 (ja) * 2016-08-10 2020-12-23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グラスラン
DE102016118452A1 (de) * 2016-09-29 2018-03-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tür mit Türverkleidung
US20190061503A1 (en) * 2017-08-28 2019-02-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uter belt molding design for hidden flange door
FR3070936B1 (fr) * 2017-09-11 2021-05-14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de garnissage comprenant une surface externe deformable
JP7049626B2 (ja) * 2017-11-28 2022-04-0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US10625582B2 (en) * 2018-05-03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trim panel interlock for limiting trim panel separation during an impact condition
US10710439B1 (en) * 2019-02-11 2020-07-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Glass run channel with integral leap seal portion for engaging window molding
JP7363720B2 (ja) * 2020-08-27 2023-10-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
JP7314890B2 (ja) * 2020-09-11 2023-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ベルトラインウェザストリップ
CN113002279B (zh) * 2021-03-05 2021-12-28 江苏奔宇车身制造有限公司 一种工程机械驾驶室异型管车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28061B2 (de) 1972-06-09 1977-09-08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Elastische dichtungsleiste fuer einen fensterschacht, insbesondere an einem kraftfahrzeug
DE4321551C2 (de) * 1993-06-29 1996-11-21 Freudenberg Carl Fa Verkleidungselement zur Isolierung akustisch störender Schwingungen
JP3147696B2 (ja) * 1995-01-26 2001-03-19 豊田合成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ガラス車内側のシール構造
US6123385A (en) 1997-12-18 2000-09-26 Ford Motor Company Trim panel mounting assembly
DE19812489C1 (de) 1998-03-21 1999-04-22 Daimler Chrysler Ag Be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 Seitenscheibe eines Kraftfahrzeuges
US6409251B1 (en) * 1999-05-27 2002-06-25 Schlegel Corporation Glass run surround cap
FR2806973B1 (fr) * 2000-03-31 2002-06-07 Btr Sealing Systems France Nouveau joint d'etancheite pour encadrement d'ouverture d'une carrosserie de vehicule automobile
JP3897275B2 (ja) 2000-04-26 2007-03-22 株式会社林技術研究所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GB2362415B (en) * 2000-05-15 2004-08-25 Draftex Ind Ltd Sealing,trimming and finishing strips and vehicle doors incorporating such strips
JP2002283851A (ja) * 2001-03-27 2002-10-03 Toyoda Gosei Co Ltd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4522028B2 (ja) * 2001-09-03 2010-08-11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ウェザーストリップ
JP4054892B2 (ja) * 2002-08-09 2008-03-05 東海興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の車内側ウエザーストリップ
DE10242641B4 (de) * 2002-09-13 2008-11-13 Metzeler Automotive Profile Systems Gmbh Belüftungsmodul für Fensterscheiben, insbesodere eines Kraftfahrzeugs
JP4201190B2 (ja) * 2003-10-30 2008-12-24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のシール構造
WO2005084978A1 (ja) 2004-03-05 2005-09-15 Hayashi Engineering Inc. 自動車用サンバイザおよび路上走行自動車の吸音構造
JP2006142885A (ja) 2004-11-16 2006-06-08 Hayashi Engineering Inc 路上走行自動車の吸音構造
JP2008213607A (ja) * 2007-03-01 2008-09-18 Toyota Motor Corp ベルトライン構造
EP2170639A4 (en) * 2007-06-29 2013-06-05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MODULAR SYSTEM FOR AN INSIDE ASSEMBLY ARRANGEMENT
JP2010025285A (ja) * 2008-07-23 2010-02-04 Honda Motor Co Ltd シール装置
JP2010149579A (ja) 2008-12-24 2010-07-08 Toyota Motor Corp ドアトリム取付構造
JP5269686B2 (ja) 2009-04-23 2013-08-21 東海興業株式会社 車両用ベルトモールディング
KR101338437B1 (ko) * 2011-12-14 2013-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실링 부재 유닛
JP5994398B2 (ja) * 2012-06-01 2016-09-21 スズキ株式会社 ドアトリム上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4882B1 (en) 2016-11-23
US20140117704A1 (en) 2014-05-01
WO2012176324A1 (ja) 2012-12-27
JPWO2012176324A1 (ja) 2015-02-23
JP5556964B2 (ja) 2014-07-23
KR101420192B1 (ko) 2014-07-17
CN103635338A (zh) 2014-03-12
US9027982B2 (en) 2015-05-12
EP2724882A1 (en) 2014-04-30
EP2724882A4 (en)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192B1 (ko) 차량용 도어 구조
JP2012240454A (ja) 車両用カウルルーバの固定用モール及び車両用カウルルーバの固定構造
CN108688731B (zh) 车辆前部结构
JP7166286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及びその組付け構造
KR100844812B1 (ko) 파팅 시일
US10035410B2 (en) Parting seal and sealing structure of parting portion
US10457238B2 (en) Impact absorber
JP4720422B2 (ja) 自動車の遮音構造
JP4320728B2 (ja) 車両パネルアッセンブリのシール構造及びシーリングストリップ
JP4967649B2 (ja) シーリングスクリーン、ドア及びシーリングスクリーンの取付方法
JP2001146177A (ja) カウルルーバーの組付構造
JP5760977B2 (ja) 車両用ドア構造
EP1740403B1 (en) Sealing strip and vehicle frame assembly
JP7023728B2 (ja) 自動車用ドアのシール構造
JP2000289465A (ja) ドア周りシール構造
JP3967342B2 (ja) 窓組立体
JP6661484B2 (ja) カウルルーバ
JP4642564B2 (ja) グロメット止水構造
JP5476936B2 (ja) ウェザストリップ
JP6652819B2 (ja) グラスラン
JP6936065B2 (ja) グラスラン
JP5618950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4572768B2 (ja) ガラスラン及びその取付構造
JP2009154772A (ja) ガラスラン
JP3627262B2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