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808A - 내오염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오염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808A
KR20130080808A KR1020130000696A KR20130000696A KR20130080808A KR 20130080808 A KR20130080808 A KR 20130080808A KR 1020130000696 A KR1020130000696 A KR 1020130000696A KR 20130000696 A KR20130000696 A KR 20130000696A KR 20130080808 A KR20130080808 A KR 20130080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ethylammonio
dimethyl
ammonium hydroxide
propyl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0971B1 (ko
Inventor
정승표
신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3733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EP2801401B1/en
Priority to JP2013552482A priority patent/JP5863127B2/ja
Priority to ES13733795T priority patent/ES2715317T3/es
Priority to PCT/KR2013/000048 priority patent/WO2013103257A1/ko
Priority to CN201380000815.3A priority patent/CN103402616B/zh
Publication of KR2013008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808A/ko
Priority to US13/951,239 priority patent/US86466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01D71/82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introduc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01D69/1251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by interfacial polyme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B01D71/401Polymers based on the polymerisation of acrylic acid, e.g. poly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6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4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in-situ membrane 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18Membrane materials having mixed charged functiona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40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salts, amides, imides, nitriles, anhydrides, 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anotechn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지지체;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폴리아미드 활성층; 및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 활성층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오염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REVERSE OSMOSIS MEMBRANE HAVING A EXCELLENT ANTIFOULING PROPERT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역삼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표면에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내오염 성능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투과성막으로 격리된 두 용액 사이에서 용매가 용질의 농도가 낮은 용액에서 높은 용액 쪽으로 분리막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현상을 삼투 현상이라 하며, 이때 용매의 이동으로 용질의 농도가 높은 용액 측에 작용하는 압력을 삼투압이라고 한다. 그런데 삼투압보다 높은 외부 압력을 걸어주면 용매는 용질의 농도가 낮은 용액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현상을 역삼투라고 한다. 역삼투 원리를 이용하여 압력 구배를 구동력으로 해서 반투과성 막을 통해 각종 염이나 유기 물질을 분리해낼 수 있다. 이러한 역삼투 현상을 이용한 역삼투 분리막은 분자 수준의 물질을 분리하고, 염수 또는 해수에서 염을 제거하여 가정용 및 건축용, 산업용 용수를 공급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역삼투 분리막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을 들 수 있으며,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은 미세 다공층 지지체 상에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위에 폴리설폰층을 형성하여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형성하고, 이 미세 다공성 지지체를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mPD) 수용액에 침지시켜 mPD층을 형성하고, 이를 다시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유기 용매에 침지시켜 mPD층을 TMC와 접촉시켜 계면 중합시킴으로써 폴리아미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역삼투막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폴리아미드층 상에 내구성이나 내오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아미드 활성층 표면에 비닐 모노머를 그라프트 공중합하거나(미국공개특허 20090308804), 폴리아미드 활성층에 TiO2 와 같은 무기입자를 도입하는 방법(미국등록특허 6551536)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의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여러층의 코팅층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역삼투막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그로 인해 정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염제거율, 투과 유량과 같은 정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내오염성을 가지며,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역삼투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다공성 지지체;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폴리아미드 활성층; 및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 활성층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1 ~ 10알킬기, 바람직하게는 H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O, NH, S, 또는 PH,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5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C1 ~ 3알킬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며,
n1은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이고,
n2는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이다.
한편, 상기 코팅층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형성된 다공성 지지체를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수용액은 공중합체를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처리는 침지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삼투막은 종래의 역삼투막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정수 기능을 가지며, 우수한 내오염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층은 역삼투막 표면의 폴리아미드막과 화학적 결합을 갖기 때문에, 쉽게 박리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정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내오염성, 내구성이 우수한 역삼투막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폴리아미드 활성층 상에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역삼투막은 (1) 다공성 지지체 (2)폴리아미드 활성층 및 (3)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1) 다공성 지지체로는, 부직포 상에 고분자 재료의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메틸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리젠플루오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폴리설폰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2) 폴리아미드 활성층은 아민 화합물과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의 계면 중합체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아민 화합물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m-페닐렌디아민, p-페닐렌디아민, 1,3,6-벤젠트리아민, 4-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6-클로로-1,3-페닐렌디아민, 3-클로로-1,4-페닐렌 디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실 할라이드 화합물은, 이로써 제한 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 이소프탈로일클로라이드, 테레프탈로일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3) 코팅층은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전기적으로는 중성이지만, 분자 내에 양이온 전하기와 음이온 전하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역삼투막 표면의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역삼투막 표면의 코팅층에 양쪽성 이온 화합물이 포함될 경우, 양쪽성 이온 화합물 분자 내에 존재하는 전하기에 의해 역삼투막의 표면 에너지가 증가되어 친수성이 향상되게 된다. 양쪽성 이온 화합물의 도입으로 증가된 친수성 성질은 폴리아미드 활성층 자체의 친수성에 비해 월등하게 높기 때문에, 역삼투막의 수투과도를 향상시키고, 더불어, 역삼투막 표면에 오염물질, 특히 유기 생체 물질의 흡착을 방지하여 내오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자 내에 양이온 전하기와 음이온 전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이온 전하기로는 암모늄기, 포스포늄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음이온 전하기로는 술폰산기, 포스페이트기, 아세테이트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1 ~ 10알킬기, 바람직하게는 H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O, NH, S, 또는 PH이고,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5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C1 ~ 3알킬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며,
n1은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이고,
n2는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및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폴리아미드 활성층과 코팅층을 화학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일 수 있으며,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공중합체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공중합체는 양쪽성 이온 화합물 단량체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개시제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0.01 ~ 7 : 0.05 ~ 3의 당량비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 당량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폴리아미드 활성층과의 결합력, 초친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중합체에는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의 체인 수가 3~200으로 이루어진 폴리 (에틸렌글리콜) 메틸 이써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과 폴리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 (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첨가될 경우, 내오염성 성질이 극대화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코팅층은 양쪽성 이온 화합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중합체는 양쪽성 이온 화합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0.1 ~ 7.5 : 0.01 ~ 5 : 0.1 ~ 5 : 0.01 ~ 1의 당량비로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성분의 반응 당량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폴리아미드 활성층과의 결합력, 초친수성 및 내오염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폴리아미드 활성층 상에 형성되면, 상기 코팅층의 친수 성질에 의해 오염물질이 역삼투막 표면에 흡착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 결과 우수한 내오염성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역삼투막은 유기 물질에 의한 바이오 파울링(bio-fouling)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포함된 코팅층이 형성된 본 발명의 역삼투막의 경우, 초기 염제거율이 97% 이상, 초기 유량이 25 gallon/ft2·day 이상으로 종래 역삼투막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오염 물질인 카제인을 투입하고 2시간 경과 후에도 염제거율이 97 % 이상, 유량이 23 내지 35 gallon/ft2·day 정도로 정수 기능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발명의 역삼투막은 종래의 역삼투막에 비해 내오염성이 매우 우수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역삼투막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역삼투막은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형성된 다공성 지지체를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함유된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역삼투막 제조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공성 지지체를 m-페닐렌 디아민(m-Phenylene Diamine, mPD) 수용액에 침지하여 mPD층을 형성하고, 이를 다시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TriMesoyl Chloride, TMC) 유기 용매에 침지하여 mPD층을 TMC와 접촉시켜 계면 중합시킴으로써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침지법 대신 스프레이 또는 코팅 등의 방법을 통해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형성된 다공성 지지체를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함유된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상기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형성된 다공성 지지체를 상기 공중합체가 함유된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액은 공중합체를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내오염성 및 정수 성능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침지 시간은 1분 내지 5시간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3시간 정도인 것이 좋다. 침지시간이 1분 미만일 경우, 코팅층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으며, 침지시간이 5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코팅층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역삼투막의 투과유량이 감소되는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
상기 침지 처리를 통해 폴리아미드 활성층 상에 코팅층이 형성되면, 코팅층과 폴리아미드 활성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 25 내지 65 ℃에서 약 1 내지 30 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1 ~ 10알킬기, 바람직하게는 H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O, NH, S, 또는 PH,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5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C1 ~ 3알킬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며,
n1은 1 내지 8,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이고,
n2는 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이다.
양쪽성 이온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및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 는 양쪽성 이온 화합물 단량체와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개시제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공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0.01 ~ 7 : 0.05 ~ 3의 당량비로 반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중합체는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와 함께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 (에틸렌글리콜) 메틸 이써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첨가될 경우, 내오염성 성질이 극대화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역삼투막 제조 방법은, 양쪽성 이온 화합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당량비 0.1 ~ 7.5 : 0.01 ~ 5 : 0.1 ~ 5 : 0.01 ~ 1으로 혼합한 후, 중합 반응시켜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합 반응은 40 ~ 80℃에서 0.1 ~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합 반응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라디칼 중합일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 결과 형성되는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이며, 제조 후 상기 공중합체는 0℃ 이하의 온도에서 보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시에는 상온에서 해동한 후 즉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공중합체에 포함되는 글리시딜 작용기의 반응성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중합체를 상온에서 보관할 경우 글리시딜 반응기가 수분에 의해 가수화되기 쉽고, 이 경우 폴리아미드 활성층과의 화학적 결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제조예 1 -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형성된 다공성 지지체 제조
DMF(N,N-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에 18중량%의 폴리술폰 고형분을 넣고 80℃에서 12시간 이상 녹여 균일한 액상이 얻었다. 이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95 ~ 100㎛ 두께의 부직포 위에 45 ~ 50㎛ 두께로 캐스팅하여 다공성 폴리술폰 지지체를 형성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폴리술폰 지지체를 2중량%의 메타페닐렌디아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2분 동안 담갔다 꺼낸 후, 지지체 상의 과잉의 수용액을 25psi 롤러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상온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체를 ISOL-C(SK Chem)용매를 사용한 0.1중량%의 트리메조일클로라이드 유기 용액에 1분간 담갔다가 꺼내고, 6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그런 다음, 0.2중량% 탄산나트륨 수용액에서 상온에서 2시간 이상 수세한 후, 증류수로 수세하여 200nm 두께의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양쪽성 이온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A) 제조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히드록사이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한 후, 개시제인 V-50 (Wako Pure Chemicals Ind.)을 이용하여 라디칼 중합법으로 6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곧바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2차로 투입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재 반응시켜, PGMA-PMPDSAH-PEGMA-PEGDMA로 이루어진 4원 랜덤 공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서, PGMA는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PMPDSAH는 폴리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설포프로필)-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PEGMA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를, PEGDMA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하며, 상기 공중합체는 PMPDSAH : PGMA : PEGMA : PEGDMA를 5:2:3.9:0.1의 당량비로 반응시켜 제조되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0.05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수용액에 1분간 침지시킨 후, 6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0.5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3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1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4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3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비교를 위해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어떠한 표면처리도 하지 않은 상태로 그대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3 - 양쪽성 이온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B) 제조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혼합한 후, 개시제인 V-50 (Wako Pure Chemicals Ind.)을 이용하여 라디칼 중합법으로 6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곧바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2차로 투입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재 반응시켜, PGMA-PMPDSAH 로 이루어진 2원 랜덤 공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서, PGMA는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PMPDSAH는 폴리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설포프로필)-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의미하며, 상기 공중합체는 PMPDSAH : PGMA 를 7 : 2 의 당량비로 반응시켜 제조되었다.
실시예 5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0.05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수용액에 1분간 침지시킨 후, 6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6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0.5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7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1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8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3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제조예 4 - 양쪽성 이온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C) 제조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Methacryloyloxy)propyl 3-(trimethylammonio)propyl phosph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혼합한 후, 개시제인 V-50 (Wako Pure Chemicals Ind.)을 이용하여 라디칼 중합법으로 6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곧바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2차로 투입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재 반응시켜, PGMA-PMPTPP-PEGMA-PEGDMA로 이루어진 4원 랜덤 공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서, PGMA는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PMPTPP는 폴리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를, PEGMA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를, PEGDMA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하며, 상기 공중합체는 PMPTPP : PGMA : PEGMA : PEGDMA를 5:2:3.9:0.1의 당량비로 반응시켜 제조되었다.
실시예 9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제조예 4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0.05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수용액에 1분간 침지시킨 후, 6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0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0.5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1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1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2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3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제조예 5 - 양쪽성 이온 화합물을 포함하는 공중합체(D) 제조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Methacryloyloxy)propyl 3-(trimethylammonio)propyl phosphate)를 혼합한 후, 개시제인 V-50 (Wako Pure Chemicals Ind.)을 이용하여 라디칼 중합법으로 6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곧바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2차로 투입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재 반응시켜, PGMA-PMPTPP 로 이루어진 2원 랜덤 공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서, PGMA는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를, PMPTPP는 폴리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를 의미하며, 상기 공중합체는 PMPTPP : PGMA를 7:2 의 당량비로 반응시켜 제조되었다.
실시예 13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다공성 지지체를 증류수로 세척한 후, 제조예 5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0.05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수용액에 1분간 침지시킨 후, 60℃ 오븐에서 10분간 건조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4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0.5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13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5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1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13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16
수용액 내의 공중합체의 함량을 3 중량%로 한 점 외에는 실시예 13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 정수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역삼투막의 초기 염 배제율 및 초기 투과 유량을 측정하였다. 초기 염배제율과 초기 투과 유량은 25℃에서 32,000pp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1400mL/min의 유량으로 공급하면서 측정하였다. 막 평가에 사용한 역삼투막 셀 장치는 평판형 투과셀과 고압펌프, 저장조 및 냉각 장치를 구비하였으며, 평판형 투과 셀의 구조는 크로스-플로우(cross-flow) 방식으로 유효 투과면적은 140cm2이다. 세척한 역삼투막을 투과셀에 설치한 다음, 평가 장비의 안정화를 위하여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1시간 정도 충분히 예비 운전을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32,000ppm의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교체하여 압력과 투과 유량이 정상 상태에 이를 때까지 1시간 정도 장비 운전을 실시한 후, 10분간 투과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고, 전도도 미터(Conductivity Meter)를 사용하여 투과 전후 염 농도를 분석하여 염배제율을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초기 염배제율(%) 초기 투과유량(gallon/ft2·day)
실시예 1 97.94 27.94
실시예 2 98.78 29.97
실시예 3 98.54 29.63
실시예 4 98.23 29.31
실시예 5 97.84 27.99
실시예 6 98.59 29.72
실시예 7 98.43 29.21
실시예 8 98.31 29.09
실시예 9 97.75 27.98
실시예 10 98.17 29.46
실시예 11 98.23 29.32
실시예 12 98.31 29.25
실시예 13 97.91 27.99
실시예 14 98.23 29.48
실시예 15 98.28 29.17
실시예 16 98.32 28.87
비교예 97.79 27.96
실험예 2 - 내오염성 평가
실시예 1 ~ 16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역삼투막의 내오염성을 평가하였다. 내오염성 평가는 32,000ppm의 NaCl 수용액과 100ppm의 카제인 혼합 수용액을 사용하여 800psi의 압력으로 측정하였다. 초기 염 배제율 및 유량을 평가한 후, 100ppm의 카제인 수용액을 평가기 탱크에 투입하고, 즉시 염배제율과 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2시간 후에 염배제율과 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카제인은 pH 11 이상의 수용액에 녹여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카제인 투입 직후 초기유량 카제인 투입 2시간 후 초기 유량 카제인 투입 직후 염 제거율 카제인 투입 2시간 후 염 제거율
실시예 1 27.24 23.42 97.81 98.21
실시예 2 30.08 29.88 98.54 99.34
실시예 3 28.94 27.74 98.43 99.09
실시예 4 28.14 26.97 98.64 98.89
실시예 5 27.13 23.54 97.77 98.13
실시예 6 29.32 29.00 98.64 99.19
실시예 7 28.75 27.98 98.51 99.01
실시예 8 28.34 26.99 98.72 98.85
실시예 9 27.38 23.37 97.82 98.19
실시예 10 29.45 29.89 98.58 99.05
실시예 11 28.30 27.70 98.60 99.02
실시예 12 28.08 26.89 98.57 98.91
실시예 13 27.09 23.31 97.88 98.05
실시예 14 29.88 29.34 98.44 99.14
실시예 15 28.68 27.44 98.47 99.04
실시예 16 28.11 26.86 98.60 98.91
비교예 26.98 22.93 97.41 98.18
실험예 3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역삼투막의 내오염성을 32,000ppm의 NaCl 수용액과 300ppm의 카제인 혼합 수용액을 사용하여 800psi의 압력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카제인 투입 직후 초기유량 카제인 투입 2시간 후 초기 유량 카제인 투입 직후 염 제거율 카제인 투입 2시간 후 염 제거율
실시예 2 31.12 29.12 98.44 99.28
비교예 26.28 22.03 97.32 98.07

Claims (16)

  1. 다공성 지지체;
    상기 다공성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폴리아미드 활성층; 및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아미드 활성층과 화학적으로 결합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역삼투막.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 있어서,
    R1은 H 또는 C1 ~ 10알킬기,
    R2는 O, NH, S, 또는 PH,
    R3, R4, R5,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 5알킬기,
    n1은 1 내지 8,
    n2는 1 내지 4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은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옥시)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아크릴로일아미노)에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2-술포에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3-술포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4-술포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5-술포펜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4-(아크릴로일아미노)부틸]-디메틸-(6-술포헥실)-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2-(트리메틸암모니오)에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옥시)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옥시)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옥시)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옥시)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옥시)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2-(메타크릴로일아미노)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메타크릴로일아미노)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메타크릴로일아미노)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메타크릴로일아미노)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메타크릴로일아미노)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8-(메타크릴로일아미노)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4-(아크릴로일옥시)부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5-(아크릴로일옥시)펜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6-(아크릴로일옥시)헥실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7-(아크릴로일옥시)헵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 및 8-(아크릴로일옥시)옥틸 4-(트리메틸암모니오)부틸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양쪽성 이온 화합물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0.01 ~ 7 : 0.05 ~ 3 의 당량비로 반응시켜 제조된 것인 역삼투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역삼투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 (에틸렌글리콜) 메틸 이써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역삼투막.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양쪽성 이온 화합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양쪽성 이온 화합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0.1~7.5 : 0.01~5 : 0.1~5 : 0.01~1의 당량비로 반응시켜 제조된 것인 역삼투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막은 카제인 투입 2시간 경과 후의 염제거율이 97% 이상이고, 투과 유량이 23 내지 35gallon/ft2·day 인 역삼투막.
  10. 폴리아미드 활성층이 형성된 다공성 지지체를 양쪽성 이온 화합물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삼투막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상기 공중합체를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역삼투막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침지법에 의해 수행되는 역삼투막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는 1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되는 역삼투막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역삼투막 제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이온 화합물,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아크릴레이트를 0.1~7.5 : 0.01~ 5 : 0.1~5 : 0.01~1의 당량비로 혼합한 후 중합시켜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역삼투막 제조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25 내지 65℃에서 1 내지 30 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역삼투막 제조 방법.
KR1020130000696A 2012-01-05 2013-01-03 내오염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40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733795.2A EP2801401B1 (en) 2012-01-05 2013-01-04 Outstandingly contamination resistant reverse osmosis membran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3552482A JP5863127B2 (ja) 2012-01-05 2013-01-04 耐汚染性に優れた逆浸透膜及びその製造方法
ES13733795T ES2715317T3 (es) 2012-01-05 2013-01-04 Membrana de osmosis inversa excepcionalmente resistente a la contaminación y método para su producción
PCT/KR2013/000048 WO2013103257A1 (ko) 2012-01-05 2013-01-04 내오염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CN201380000815.3A CN103402616B (zh) 2012-01-05 2013-01-04 具有良好防污性的反渗透膜及其制造方法
US13/951,239 US8646617B2 (en) 2012-01-05 2013-07-25 Reverse osmosis membrane having good antifouling properti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513 2012-01-05
KR20120001513 2012-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808A true KR20130080808A (ko) 2013-07-15
KR101440971B1 KR101440971B1 (ko) 2014-09-17

Family

ID=4899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696A KR101440971B1 (ko) 2012-01-05 2013-01-03 내오염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46617B2 (ko)
EP (1) EP2801401B1 (ko)
JP (1) JP5863127B2 (ko)
KR (1) KR101440971B1 (ko)
CN (1) CN103402616B (ko)
ES (1) ES2715317T3 (ko)
WO (1) WO201310325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466A (ko) * 2016-06-15 2017-12-26 한국과학기술원 이온가교된 고분자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WO2018117287A1 (ko) * 2016-12-19 2018-06-28 예일 유니버시티 자가 복원이 가능한 하이드로겔 충진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KR20190083118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KR20190096347A (ko) * 2016-12-26 2019-08-1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4390944A (zh) * 2019-09-19 2022-04-22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可光固化(甲基)丙烯酸酯组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7088B1 (en) * 2012-05-24 2020-02-26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verse osmosis membrane
JP6303837B2 (ja) * 2014-06-06 2018-04-04 栗田工業株式会社 逆浸透膜の耐汚染化処理方法
DE102014224473A1 (de) * 2014-11-29 2016-06-02 Leibniz-Institut Für Polymerforschung Dresden E.V. Umkehrosmose- oder Nanofiltrations-Membran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781682B1 (ko) 2015-03-25 2017-09-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내오염성이 현저하게 향상된 수처리용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US11198100B2 (en) 2016-06-29 2021-12-14 Toray Industries, Inc.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semipermeable membrane
KR102002367B1 (ko) * 2016-10-20 2019-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역삼투막 보호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역삼투막 제조방법, 역삼투막 및 수처리 모듈
CN112867555A (zh) * 2018-10-11 2021-05-28 新加坡国立大学 用于反渗透的防污聚合物和包含其的膜
US20220146502A1 (en) * 2019-02-01 2022-05-12 Sentilus Holdco, Llc High-sensitivity assay
CN111848880A (zh) * 2019-04-28 2020-10-30 中科广化(重庆)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抗泥型两性聚羧酸减水剂及其制备方法
CN110204462A (zh) * 2019-04-28 2019-09-06 中科广化(重庆)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两性单体和两性型聚羧酸减水剂
CN111848881A (zh) * 2019-04-28 2020-10-30 中科广化(重庆)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一种交联型两性聚羧酸减水剂及制备方法与应用
CN112047427B (zh) * 2019-06-05 2022-10-14 苏州二元世纪纳米技术有限公司 具有离子响应性的油水分离膜、其制备方法及应用
JP2021090953A (ja) * 2019-12-11 2021-06-17 日東電工株式会社 複合半透膜
CN115569536B (zh) * 2022-09-28 2023-04-28 浙江大学 一种抗污染超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8533A (en) * 1984-11-30 1986-10-21 Millipore Corporation Porous membrane having hydrophilic surface and process
US4839203A (en) * 1985-04-03 1989-06-13 The Dow Chemical Company Semi-permeable membranes prepared via reaction of cationic groups with nucleophilic groups
US4704324A (en) * 1985-04-03 1987-11-03 The Dow Chemical Company Semi-permeable membranes prepared via reaction of cationic groups with nucleophilic groups
US5039421A (en) * 1989-10-02 1991-08-13 Aligena Ag Solvent stable membranes
KR100409017B1 (ko) * 2000-06-23 2003-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성분계 복합 분리막 및 그의 제조방법
EP1283068A1 (en) 2001-07-30 2003-02-12 Saehan Industries, Inc. Reverse osmosis membrane having excellent anti-fouling proper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234046C (zh) * 2001-12-26 2005-12-28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微珠型背投屏幕及其制造方法
US7198880B2 (en) * 2002-04-26 2007-04-03 Fujifilm Corporation Positive resist composition
KR100474169B1 (ko) 2002-05-20 2005-03-08 주식회사 새 한 내오염성이 우수한 선택적 분리막 제조방법
DE10228148B4 (de) * 2002-06-24 2006-08-24 Saehan Industries Inc. Selektive Membran mit hoher Fouling-Beständigkeit
US8142844B2 (en) * 2003-09-17 2012-03-27 Gambro Lundia Ab Separating material
JP2006239636A (ja) * 2005-03-04 2006-09-14 Kazuhiko Ishihara ファウリング防止材及び該ファウリング防止材で表面処理された分離膜
US20070251883A1 (en) * 2006-04-28 2007-11-01 Niu Q Jason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Branched Poly(Alkylene Oxide) Modified Antifouling Surface
KR100781625B1 (ko) 2006-12-11 2007-12-05 주식회사 새 한 내오염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 역삼투분리막의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역삼투분리막
AU2007200609B2 (en) * 2007-02-13 2008-11-20 Saehan Industries Incorporation Selective membrane having a high fouling resistance
WO2009044816A1 (ja) * 2007-10-03 2009-04-09 Japan Medical Materials Corporation 生体適合性および低摩耗性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人工関節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8445076B2 (en) 2008-06-11 2013-05-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ouling and scaling resistant nano-structured reverse osmosis membranes
KR20100003799A (ko) * 2008-07-02 2010-01-12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높은 안티파울링성을 가지는 선택적 분리막 및 그의제조방법
KR101115145B1 (ko) * 2008-09-19 2012-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소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ES2877072T3 (es) * 2009-01-13 2021-11-16 Ams Tech Int 2012 Ltd Membranas estables en disolventes y en ácidos y métodos de fabricación de las mismas
WO2010082710A1 (en) * 2009-01-14 2010-07-22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Method for preparing a highly durable reverse osmosis membrane
EP2382032A1 (en) * 2009-01-29 2011-11-02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Research And Development Authority A method for modifying composite membranes for liquid separations
KR101105201B1 (ko) * 2009-07-29 2012-01-13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고유량의 내염소성 폴리아미드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CN102294178B (zh) * 2011-08-17 2013-06-26 浙江大学 一种含有两性离子的聚酰胺纳滤膜及其制备方法
CN102294176B (zh) * 2011-08-17 2013-06-26 浙江大学 一种含两性离子的高渗透性纳滤膜及其制备方法
MX2015007841A (es) * 2012-12-17 2016-03-04 Basf Se Sistemas de filtración y membranas con flujo intensificado y método para su preparació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466A (ko) * 2016-06-15 2017-12-26 한국과학기술원 이온가교된 고분자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WO2018117287A1 (ko) * 2016-12-19 2018-06-28 예일 유니버시티 자가 복원이 가능한 하이드로겔 충진 수처리용 분리막의 제조방법
KR20190096347A (ko) * 2016-12-26 2019-08-19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복합 반투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83118A (ko) * 2018-01-03 2019-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처리 분리막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수처리 분리막
CN114390944A (zh) * 2019-09-19 2022-04-22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可光固化(甲基)丙烯酸酯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10621A (ja) 2014-05-01
EP2801401B1 (en) 2018-12-12
CN103402616B (zh) 2016-05-04
ES2715317T3 (es) 2019-06-03
EP2801401A4 (en) 2015-08-26
KR101440971B1 (ko) 2014-09-17
EP2801401A1 (en) 2014-11-12
US20130306550A1 (en) 2013-11-21
CN103402616A (zh) 2013-11-20
JP5863127B2 (ja) 2016-02-16
WO2013103257A1 (ko) 2013-07-11
US8646617B2 (en)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971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JP6420339B2 (ja) 耐久性に優れたポリアミド系水処理分離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36438B2 (ja) 乾燥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KR101517686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KR101546244B1 (ko) 내염소성 고투과 수처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CN103328080B (zh) 包括超亲水钝化层的反渗透膜以及制造该反渗透膜的方法
CN103648625B (zh) 包含碳二亚胺化合物的高渗透通量的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KR101477851B1 (ko) 양쪽성 이온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31259A (ko) 초기 투과 유량이 우수한 폴리아미드계 역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6683A (ko)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역삼투 분리막
JP2018520847A (ja) 水処理分離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77848B1 (ko) 초친수층을 포함하는 역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487764B1 (ko) 폴리아미드 나노복합막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나노복합막
EP336947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 treatment separator, water treatment separator manufactured using same, and water treatment module comprising water treatment separator
JP4793978B2 (ja) 乾燥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CN103143270A (zh) 亲水性反渗透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1569964B1 (ko) 역삼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27748A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1474062B1 (ko) 역삼투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034569A1 (en) Reverse osmosis membrane having high initial permeate flux
KR101520150B1 (ko) 고유량 역삼투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