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027A -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 Google Patents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027A
KR20130063027A KR1020137011152A KR20137011152A KR20130063027A KR 20130063027 A KR20130063027 A KR 20130063027A KR 1020137011152 A KR1020137011152 A KR 1020137011152A KR 20137011152 A KR20137011152 A KR 20137011152A KR 20130063027 A KR20130063027 A KR 20130063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emiconductor
package
semiconductor element
resin
lea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6066B1 (ko
Inventor
나오유키 우라사키
카나코 유아사
Original Assignee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6Materials, e.g. epoxy or silicone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01L2224/4513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a temperature of greater than or equal to 950°C and less than 1550°C
    • H01L2224/45144Gold (Au) as principal constitu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63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 H01L2224/48465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not on the bonding area being a wedge bond, i.e. ball-to-wedge, regular st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10, H01L24/18, H01L24/26, H01L24/34, H01L24/42, H01L24/50, H01L24/63, H01L24/7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01L2924/1815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Structures Or Materials For Encapsulating Or Coating Semiconductor Device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과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신뢰성이 뛰어난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광반도체소자 탑재영역이 오목부를 갖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오목부 측면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성형체와, 상기 오목부 저면(底面)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대향(對向)하여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정(正) 및 부(負)의 리드전극을 일체화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성형체와 상기 리드전극의 접합면에 간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MOUNTING PACKAGE,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반도체소자와 형광체 등의 파장(波長)변환 수단을 조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광반도체장치의 소형·박형화를 목적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표면실장(SMD(Surfacemounted device))타입의 광반도체장치(발광장치)가 리드타입의 광반도체장치를 대신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표면실장타입의 광반도체장치는, 통상,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영역이 되는 오목부(凹部)를 갖는 수지성형체(403)와 정부(正負)의 리드전극(404)이 일체화한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의 오목부 저면(底面)에, 다이오드재(材)(406)를 통해서 광반도체소자(LED등)(400)를 탑재하여, 해당 광반도체소자(400)와 리드전극(404)을 본딩와이어(401)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후, 오목부에 형광체(405)를 포함하는 투명봉지(封止)수지(402)를 충전(充塡)하고, 광반도체소자(400)를 봉지(封止)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또, 상기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는, 통상, 리드전극을 성형금형에 의해 끼워 넣고, 닫혀진 금형내에 용해한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주입한 후, 실온으로 되돌려서 해당 수지조성물을 경화시켜, 이들을 일체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일본특개 2002-280616호 공보, 일본특개 2004-055632호 공보 및 일본특개 2004-342782호 공보에는, 오목부를 갖는 수지성형체와 정부의 리드전극이 일체화한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를 이용하여 된 SMD타입의 LED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근래, 광반도체장치는, 그 이용분야의 확장과 함께 엄격한 사용조건하에서 사용되는 것이 많아지고 있고, 지금까지 이상으로 높은 신뢰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수지성형체의 제작에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그 선팽창률(20~120ppm/℃)이, 리드전극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리의 선팽창률(약 17ppm/℃)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이들을 일체화할시에 큰 응력이 발생하고, 그 결과,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이들 사이에 수십μm의 오더 간격이 생겨 버린다. 또,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의 접착성이 낮으면, 리드전극의 아우터리드(outer leads)를 절곡(折曲)하는 공정에 있어서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서도 이들의 사이에 간격이 생겨, 광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또, 금형에 수지조성물을 주입하여 수지성형체를 제작할시에 사출(射出)성형을 적용하면, 수지의 사출압력에 의해서 금형이 약간 변형하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금형의 이음매를 따라 간격이 생기고,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측면에 수지 바리(parting line)가 생겨 버린다. 이 수지 바리(burr or flash:간격등에 수지가 흘러들어가 필요이상의 막이 생기는 현상)는, 포밍(forming)공정에 있어서 장해가 되고, 광반도체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 아우터리드를 수지성형체의 외측면을 따라 정밀도 좋게 가공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또, 이 때에 리드전극과 수지성형체와의 계면(界面)에 세로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지고, 가로방향으로 늘어선 바리의 선단(先端)부분으로부터 상기 계면에 간격이 생겨 버린다. 또한, 수지 바리가 벗겨질 염려도 있어, 해당 수지 바리의 벗겨짐은, 패키지(package)의 크랙(crack) 요인이 되고, 해당 크랙으로부터 수분이나 불순물이 침입하여, 광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이 심하게 저하된다. 또, 깊게 바리가 벗겨진 경우에는 공벽(空壁)이 생겨 외관(外觀) 불량이 된다.
또, 근래에는, 자외(紫外)영역 등에 발광피크파장을 갖는 광반도체소자가 개발되어, 이 소자에 대해서도 SMD타입의 LED로의 적용이 기대되고 있지만, 자외영역 부근의 광(光)은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수지성형체의 오목부 내주면(반사면(reflector))이 열화하기 쉽고, 또한, 해당 내주면(內周面)의 열화가 진행되면 가시광의 반사율도 저하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상기를 고려하여, 본 발명은,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과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신뢰성이 뛰어난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화후의, 가시광으로부터 근자외광(近紫外光)의 반사율이 높고, 내광(耐光)·내열열화성(耐熱劣化性)이 뛰어난 오목부(반사면)를 갖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12)의 사항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1) 광반도체소자 탑재영역이 되는 오목부를 갖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오목부 측면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성형체와, 상기 오목부 저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정 및 부의 리드전극을 일체화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성형체와 상기 리드전극의 접합면에 간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2) 상기 수지성형체와 상기 적어도 한쌍의 정 및 부의 리드전극과의 일체화가 트랜스퍼성형(transfer molding)에 의해 행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3)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이, 필러(filler:충전제(充塡劑))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4)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은, (A)에폭시수지 (B)경화제 (C)경화촉진제 (D)무기충전제(無機充塡劑) (E)백색안료(白色顔料) (F)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열경화후의 파장 350nm~800nm에 있어서의 광반사율이 80%이상이고, 그리고 상온(0~35℃)에서 가압성형이 가능한 수지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5) 상기 (D)무기충전제가,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군(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種)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6) 상기 (E)백색안료가 무기(無機) 중공(中空:속이 빔)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7) 상기 (E)백색안료의 평균 입경(粒徑)이, 0.1~50μ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8) 상기 (D)무기충전제와 상기 (E)백색안료의 합계량이,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 70체적%~85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 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9)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의 스파이럴플로우(spiral flow)가, 50cm이상 300c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10)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의 원판플로우(disk flow)가, 50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11)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의 선팽창계수가, 10~3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12) 상기 (1) 또는 (2)에 기재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와, 상기 패키지에 있어서의 오목부 저면에 탑재된 광반도체소자와, 상기 오목부 내의 광반도체소자를 덮는 투명봉지수지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도체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과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신뢰성이 뛰어난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경화후의 가시광으로부터 근자외광의 반사율이 높아, 내광·내열열화성이 뛰어난 오목부를 갖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의 접합면에「간격이 없다」란,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이 접하는 계면을 SEM이나 금속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배율 200배로 관찰했을 때, 해당 계면에 간격이 관찰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 본 출원은, 동출원인에 의해 이미 등록된 일본특허출원 제2006-154652호(출원일 2006년 6월 2일)에 근거하는 우선권주장을 수반하는 것으로, 이들의 명세서는 참조를 위해 여기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과의 접착성이 양호하고, 신뢰성이 뛰어난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경화후의 가시광으로부터 근자외광의 반사율이 높아, 내광·내열열화성이 뛰어난 오목부를 갖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반도체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SMD타입의 LED(광반도체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의 리드전극 단부(端部)의 바람직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영역이 되는 오목부를 갖는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로서, 적어도 상기 오목부 측면을 형성하는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수지성형체와, 상기 오목부 저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적어도 한쌍의 정 및 부의 리드전극을 일체화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성형체와 상기 리드전극의 접합면에 간격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또한, 정(正)의 리드전극의 일단(一端)과 부(負)의 리드전극의 일단은, 각각의 표면(주면)을 노출하여 오목부의 저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하여 배치하고, 그 사이는 성형수지에 의해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의 리드전극 타단(他端)과 부의 리드전극 타단은, 수지성형체와의 일체화 직후에는, 수지성형체 측면으로부터 튀어나오도록 설치되고, 그 튀어나온 아우터리드부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키지 성형체의 접합면의 내측에 절곡되고, J-밴드(Bend)형의 정부(正負)의 접속단자부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속단자부의 구조는, J-밴드(Bend)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윙타입(gullwing type)형 등의 다른 구조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의 각 구성, 제조방법 및 해당 패키지를 이용한 광반도체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리드전극)
리드전극은, 예를 들면, 철을 넣은 구리(銅) 등의 고열전도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15mm두께의 구리합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장척금속판을 프레스에 의해 관통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리드전극의 산화방지 등을 위해서, 리드전극의 표면에 은, 알루미늄, 금, 팔라듐 혹은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도금을 입혀도 좋다. 또, 발광소자로부터의 광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리드전극의 표면을 평활(平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리드전극의 면적은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해 방열성을 높이고, 배치되는 발광소자의 온도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발광소자에 비교적 많은 전력을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광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적어도 한쌍의 리드전극은, 패키지의 오목부 저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지만, 해당 대향하는 리드전극 단부에 있어서의 배면(背面)과 측면과의 교차하는 각은 곡선을 띠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R1 참조. 또한, 리드전극의 배면이란, 패키지의 오목부 저면에서 노출하는 면(주면)의 이면이다). 이와 같이, 성형수지가 주입되는 방향에 맞추어 리드전극 단부에 둥글게 설치하면, 성형수지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리드전극간에 성형수지가 간격없이 충전(充塡)되기 쉬워져 리드전극간을 확실히 분리할 수 있고, 또, 리드전극과 성형수지체와의 밀착성이 강화된다. 또한, 수지성형체와 리드전극과의 접합라인이 곡선을 띠므로, 접합라인에서의 응력집중이 회피되고, 패키지·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대향하는 리드전극 단부에 있어서의 주면과 측면과의 교차하는 각은 예각(銳角)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의 R2 참조). 이것에 의해, 성형수지가 리드전극간으로부터 리드전극 주면상으로 유출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발광소자의 다이본딩(die bonding) 불량이나 와이어본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리드전극과 성형수지와의 밀착성이 향상하여 이들의 계면에서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수지성형체)
본 발명의 패키지에 있어서의 수지성형체는,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을 성형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에는 필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은 (A)에폭시수지 (B)경화제 (C)경화촉진제 (D)무기충전제(無機充塡劑) (E)백색안료(白色顔料) (F)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에폭시수지는, 일반적으로 전자부품 봉지용 에폭시수지 성형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이것을 예시하면 페놀노보락(phenol novolac)형 에폭시수지, 올소크레졸노보락(orthocresol novolac)형 에폭시수지와 같은 페놀류와 알데히드(aldehyde)류의 노보락수지를 에폭시수지화한 것과, 비스페놀(bisphe nol)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알킬치환비페놀(alkyl置換biphenol) 등의 디글리시딜디에테르(diglycidyldiether), 디아미노디페닐메탄(diaminodiphenylmethane), 이소시아눌산(isocyanuricacid) 등의 폴리아민(polyamine)과 에피크롤로히드린(epi chlorohydrin)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글리시딜아민(glycidylamine)형 에폭시수지, 올레핀(olefin) 결합을 과초산 등의 과산으로 산화하여 얻어지는 선(線)형상 지방족(脂肪族) 에폭시수지 및 지환족(脂環族) 에폭시수지 등이 있고, 이들을 적절히 몇 종류라도 병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중 비교적 착색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수지,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triglycidyl isocyanurate)를 들 수 있다.
상기 (B)경화제로서는, 에폭시수지와 반응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비교적 착색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산무수물(酸無水物, acid anhydride)계 경화제, 페놀계 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산무수물계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프탈산(無水phthalic酸), 무수말레산(無水maleic酸), 무수트리멜리트산(無水Trimellitic酸), 무수피로메리트산(無水pyromellitic酸),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hexahydrophthalic無水phthalic酸),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t etrahydrophthalic無水phthalic酸), 무수메틸나딕산(無水methyl-nadic酸), 무수나딕산(無水nadic酸), 무수글루탈산(無水glutaric酸),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me thylhexahydrophthalic無水phthalic酸), 메틸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methyltetra hydrophthalic無水phthalic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무수물계 경화제 중에서는, 무수프탈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무수물계 경화제는, 그 분자량이, 140~200정도의 것이 바람직하고, 또, 무색 내지 담황색(淡黃色)의 산무수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경화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종 이상 병용해도 좋다. 에폭시수지와, 경화제와의 배합비율은, 에폭시수지 중의 에폭시기 1당량에 대해서, 경화제에서의 에폭시기와 반응가능한 활성기(산무수기 또는 수산기(水酸基))가 0.5~1.5당량, 또한, 0.7~1.2당량이 되는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기가 0.5당량 미만인 경우에는,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경화속도가 늦어짐과 동시에, 얻어지는 경화체(硬化體)의 글래스전이온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있고, 한편, 1.5당량을 넘는 경우에는, 내습성(耐濕性)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C)경화촉진제(경화촉매)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1, 8-diazabicyclo(5, 4, 0)undecene-7, 트리에틸렌디아민(triethylenediamin e), tri-2, 4, 6-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dimethylaminomethylphenol) 등의 3급 아민류, 2-ethyl-4-methylimidazole, 2-메틸이미다졸(methylimidazole) 등의 이미다졸류,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테트라페닐붕산염 (tetraphenylphosphonium tetraphenylborate), tetra-n-부틸포스포늄(butylphospho nium)-o, o-디에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diethylphosphorodithioate) 등의 인(phos phorus)화합물, 4급 암모늄염, 유기금속염류(類)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혹은 병용해도 좋다. 이들 경화촉진제(경화촉매) 중에서는, 3급 아민류, 이미다졸류, 인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촉진제의 함유율은, 에폭시수지 100중량부에 대해서 0.01~8.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0중량부이다. 경화촉진제(경화촉매)의 함유율이, 0.01중량부 미만에서는, 충분한 경화촉진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또, 8.0중량부를 넘으면, 얻어지는 경화체에 변색이 보여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D)무기충전제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군(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지만, 열전도성, 광반사특성, 성형성, 난연성(難燃性)의 점에서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안티몬, 수산화알루미늄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충전제의 평균 입경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백색안료와의 패킹(packing)이 효율 좋게 되도록 0.1~100μ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백색안료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무기 중공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규산소다(sodium silicate)글래스, 알루미늄규산글래스, 붕규산(硼珪酸)소다글래스, 알루미나, 시라스(shirasu:일본의 화산재) 등을 들 수 있다. 백색안료의 입경은, 평균 입경이 0.1~50μm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이 0.1μm미만이면 입자가 응집하기 쉬워 분산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50μm를 넘으면 반사특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된다.
상기 (E)백색안료와 (D)무기충전제의 합계충전량(필러의 충전량)은,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 전체에 대해서 70체적%~85체적%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필러의 충전량이 70체적% 미만이면 광반사 특성이 충분하지 않고, 85체적%를 넘으면 성형성(成型性)이 나빠져 기판의 제작이 곤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F)커플링제로서는 실란(silane)계 커플링제나 티타네이트(titanate)계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고, 실란커플링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에폭시실란계, 아미노실란계, 카티오닉(cationic)실란계, 비닐실란계, 아크릴실란계, 메르캅토(mercap to)실란계 및 이들의 복합계 등이 임의의 부착량으로 많이 이용된다. 커플링제의 종류나 처리조건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커플링제의 배합량은,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 중, 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 이형제(離型劑), 이온보족제(ion補足劑) 등을 첨가해도 좋다.
이상과 같은 성분을 함유하는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은, 열경화전의 실온(0~35℃)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가압성형이 가능하고, 열경화후의 파장 350nm~800nm에서의 광반사율이 8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성형은, 예를 들면, 실온에 있어서 0.5~2 MPa, 1~5초 정도의 조건하에서 행할 수 있으면 좋다. 또, 상기 광반사율이 80%미만이면, 광반도체장치의 휘도향상에 충분히 기여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광반사율이 90%이상이다.
또,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의 스파이럴플로우는, 50cm이상 300c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cm이상 200cm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cm이상 150cm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스파이럴플로우가 50cm미만이면, 재료의 충전성이 악화되고, 제품에 미충전부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한편, 스파이럴플로우가 300cm를 넘으면, 보이드(void)가 발생하기 쉬워져, 굴곡강도가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 원판플로우는, 50mm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mm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판플로우가 50mm미만이면, 리드 프레임간의 미충전이나 보이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스파이럴플로우는, 소용돌이(나선)형상의 홈이 있는 금형(금형온도 180℃)으로 수지조성물을 주입하고(주입압력 6.9 MPa), 해당 수지조성물이 경화하기까지 충전된 소용돌이(나선)의 길이를 측정한 값이며, 원판플로우는, 평판 2매의 금형(금형온도 180℃, 금형중량 8kg)의 사이에 수지조성물을 5g배치하여, 금형의 자중(自重)으로 수지조성물이 젖어 번지는 원의 직경을 측정한 값이다.
더욱이, 상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의 선팽창계수는, 10~3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선팽창계수는,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의 경화물 혹은 성형체로서 구할 수 있다.
또, 수지성형체의 형상은, 전술한대로, 광반도체소자 탑재영역이 되는 오목부를 갖고 있으면 좋고,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오목부 측벽(반사면)은, 광반도체소자로부터의 광을 윗쪽으로 반사시키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는, 수지성형체(103), 리드전극(105), 광반도체소자 탑재영역이 되는 오목부(200), Ni/Ag도금(104)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110)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패키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의 제조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과 리드전극을 트랜스퍼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하고,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스퍼성형에 의해 성형하는 것으로, 리드전극과 수지성형체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리드전극을 소정 형상의 금형으로 배치하고, 금형의 수지 주입구로부터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을 주입하고, 이것을 바람직하게는 금형온도 170~190℃, 성형압력 2~8 MPa로 60~120초의 조건으로 경화시켜 금형으로부터 떼어낸 후, 후경화 온도 120℃~180℃로 1~3시간의 조건에서 열경화시키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광반도체장치)
본 발명의 광반도체장치는, 본 발명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와,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의 오목부 저면에 탑재되는 광반도체소자와, 광반도체소자를 덮도록 오목부 내에 형성되는 투명봉지수지 층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상기 광반도체소자(발광소자)는, 예를 들면, 패키지의 오목부내 저면에 노출된 부(負)의 리드전극 또는 정(正)의 리드전극상에 배치되고, 그 n전극과 부의 리드전극이 와이어본딩에 의해 접속되고, 같은 형태로 p전극과 정의 리드전극이 와이어본딩에 의해 접속된다. 또, n전극이 발광소자의 상부에 형성되고, p전극이 발광소자의 하부에 형성된 소자형태에 있어서는, p전극이 정의 리드전극상에 은페이스트 등의 다이본드재에 의해 접착되고, n전극과 부의 리드전극이 와이어본딩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리드전극상에 발광소자를 배치시키면 발광소자의 방열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예를 들면, 청색의 발광이 가능한 질화갈륨계 화합물 반도체소자이며, 각 소자는, 예를 들어 사파이어상에 n형층, 활동층 및 p형층을 포함하는 질화물 반도체층이 형성되고, 활성층 및 p형층의 일부를 제거하여 노출시킨 n형층의 위에 n전극이 형성되고, p형층의 위에 p전극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봉지수지층은, 발광소자를 외력(外力), 수분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의 전극과 리드전극과의 사이를 와이어로 접속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와이어를 보호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 투명봉지수지층에는,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을 효율 좋게 외부로 투과시키기 위해 높은 광의 투과성이 요구된다. 투명봉지수지층에 이용하는 투명봉지수지의 구체적재료로서는,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아크릴수지 등이 적합하고, 또한, 발광소자로부터의 광에 대해서 특정의 필터효과 등을 갖게 하므로 착색염료나 착색안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110)의 광반도체소자 탑재 영역(오목부)(200)의 저부(底部) 소정위치에 광반도체소자(100)가 탑재되고, 해당 광반도체소자(100)와 리드전극(105)이 본딩와이어(102)나 솔더범프(107)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해당 광반도체소자(100)가 공지의 형광체(106)를 포함하는 투명봉지수지(101)에 의해 덮여져 있는, 본 발명의 광반도체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리드프레임)
두께 0.15mm의 구리프레임에, 일반적인 포토에칭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리드전극을 포함하는 회로를 형성한 후, 해당 회로에 전해 Ag도금을 행하여, 리드프레임으로 하였다.
[표 1]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의 조성)
에폭시수지:트리그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폭시당량100)
경화제: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140중량부
경화촉진제:tetra-n-butylphosphonium-o, o-diethylphosphorodithioate
2.4중량부
무기충전제:용융실리카(평균입경 2Qμm) 600중량부
알루미나(평균입경 1μm) 890중량부
백색안료:붕규산소다글래스벌룬(평균입경 27μm) 185중량부
커플링제: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9중량부
산화방지제:9, 10-dihydro-9-oxa-10-phosphaphenanthrene-10-oxide
1중량부
상기 조성의 재료를, 혼련(混練)온도 30~40℃, 혼련시간 10분의 조건으로 롤(roll)혼련을 행하여,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수지조성물의 스파이럴플로우는 140cm(경화시간 90초)로, 원판플로우는 85mm(경화시간 90초)였다. 또, 얻어진 수지조성물의 경화물의 광반사율은 90%이상이었다. 또한, 이 광반사율은, 상기 수지조성물을, 성형형(成形型)온도 180℃, 성형압력 6.9 MPa, 경화시간 90초의 조건으로 트랜스퍼성형한 후, 150℃로 2시간 후경화하는 것에 의해, 두께 2.Omm의 테스트피스(test piece)로 하고, 이것에 대해 적분구형 분광광도계 V-750형(일본분광주식회사제)을 이용하고, 파장 350~850nm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이다.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의 성형)
상기에서 얻은 리드프레임을 금형에 위치조절하여 장치하고, 상기에서 얻은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을 금형으로 주입하여, 금형온도 180℃, 90초간, 6.9 MPa로 트랜스퍼성형하고, 소자탑재영역에 오목부를 가지며, 그리고 해당 오목부 저면에서 정부의 리드전극이 노출된 광반도체 탑재용 패키지를 제작하였다.
(광반도체장치의 제조)
상기에서 얻은 광반도체 탑재용 패키지의 오목부 저면의 리드전극에 LED소자를 다이본드재로 고정하고, 150℃에서 1시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LED소자를 단자(端子)상에 고착하였다. 그 후, 금선으로 LED소자와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였다.
그 다음에, LED소자를 덮도록 상기 오목부에 이하의 조성의 투명봉지수지를 포팅(potting)에 의해 부어 넣고 150℃로 2시간 가열하여 경화시켜, 광반도체장치(SMD형 LED)를 제작하였다.
[표 2]
(투명봉지수지의 조성)
·수소첨가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상품명 데나콜(Denacol)-EX252, Nagase Chemtex사제) 90중량부
·지환식 에폭시수지(상품명 CEL-2021P, Daicel화학사제) 10중량부
·4-메틸헥사히드로프탈산무수물(상품명 HN-5500E, Hitachi Chemical사제) 90중량부
·2, 6-de-tert-butyl-4-methylphenol BHT 0.4중량부
·2-ethyl-4-methylimidazole 0.9중량부
[실시예 2]
[표 3]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의 조성)
에폭시수지:트리그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100중량부(에폭시당량100)
경화제: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125중량부
경화촉진제:tetra-n-butylphosphonium-o, o-diethylphosphorodithioate 2.4중량부
무기충전제:용융실리카(평균입경 20μm) 720중량부
알루미나(평균입경 1μm) 640중량부
백색안료:실리카벌룬(평균입경 3μm) 435중량부
커플링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9중량부
산화방지제:9, 10-dihydro-9-oxa-10-phosphaphenanthrene-10-oxide
1중량부
상기 조성의 재료를, 혼련온도 30~40℃, 혼련시간 10분의 조건에서 롤혼련을 행하여,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수지조성물의 스파이럴플로우는 100cm(경화시간 90초)로, 원판플로우는 55mm(경화시간 90초)였다. 또, 얻어진 수지조성물의 경화물의 광반사율은 90%이상(350~850nm)이었다.
또한, 상기에서 얻은 열경화성 광반사용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형태로 하여 광반도체 탑재용 패키지 및 광반도체장치를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된 각 실시예의 광반도체장치는, 리드와 패키지의 계면의 접착력이 양호하고, 해당 계면에 있어서 간격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 85℃, 85% RH 중, 24시간 방치후에 수지성형체와 투명봉지수지 혹은 리드전극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의 유무를 확인했지만, 박리는 확인되지 않고, 수분의 혼입도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각 실시예의 광반도체장치는, 내리플로우성(耐reflow性)이나 내마이그레이션성(耐migration性) 등의 신뢰성이 뛰어난 광반도체장치라고 말할 수 있다.
100: 광반도체소자
101: 투명봉지수지
102: 본딩와이어
103: 수지성형체
104: Ni/Ag도금
105: 리드전극
106: 형광체
107: 솔더범프
110: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200: 오목부
400: 광반도체소자
401: 본딩와이어
402: 투명봉지수지
403: 수지성형체
404: 리드전극
405: 형광체
406: 다이오드재

Claims (4)

  1. 스파이럴플로우(spiral flow)가 50cm 이상 300cm 이하이거나, 또는 원판플로우(disk flow)가 50mm 이상이며, 평균 입경(粒徑)이 0.1 ~ 50μm의 범위에 있는 (E)무기 중공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 (E)무기 중공 입자가, 규산글래스소다, 알루미늄규산글래스, 붕규산(硼珪酸)소다글래스 및 실리카로 이루어지는 군(群)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의 광반사하는 성형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D)무기충전제로서,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탄산마그네슘 및 탄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군(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種) 이상을 함유하는 성형재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무기충전제와 상기 (E)무기 중공 입자의 합계량이, 상기 성형재료 전체에 대해서 70체적% ~ 85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재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재료의 선팽창계수가, 10~3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재료.
KR1020137011152A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KR1014960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54652 2006-06-02
JPJP-P-2006-154652 2006-06-02
PCT/JP2007/060385 WO2007142018A1 (ja) 2006-06-02 2007-05-21 光半導体素子搭載用パッケー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半導体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259A Division KR20110113786A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269A Division KR20140146210A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027A true KR20130063027A (ko) 2013-06-13
KR101496066B1 KR101496066B1 (ko) 2015-03-02

Family

ID=3880128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1152A KR101496066B1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KR1020117023259A KR20110113786A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KR1020087030031A KR20090013230A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KR1020107029636A KR101155231B1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KR1020147032269A KR20140146210A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3259A KR20110113786A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KR1020087030031A KR20090013230A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KR1020107029636A KR101155231B1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KR1020147032269A KR20140146210A (ko) 2006-06-02 2007-05-21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2) US9673362B2 (ko)
EP (1) EP2034526B1 (ko)
JP (2) JP4968258B2 (ko)
KR (5) KR101496066B1 (ko)
CN (3) CN101461070B (ko)
MY (1) MY152165A (ko)
TW (4) TWI464918B (ko)
WO (1) WO20071420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066B1 (ko) 2006-06-02 2015-03-02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JP2008258530A (ja) * 2007-04-09 2008-10-23 Rohm Co Ltd 半導体発光装置
KR101365621B1 (ko) 2007-09-04 2014-02-2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열 방출 슬러그들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US8785525B2 (en) 2007-09-25 2014-07-2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Thermosetting light-reflecting resin composition,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mounting board produced therewith,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JP5540487B2 (ja) * 2007-09-25 2014-07-02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光反射用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光半導体素子搭載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半導体装置
JP5572936B2 (ja) * 2007-11-26 2014-08-20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光反射用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光半導体素子搭載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半導体装置
JP4586925B2 (ja) * 2008-01-09 2010-11-24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エポキシ樹脂成形材料、光半導体素子搭載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半導体装置
US8637593B2 (en) 2008-01-09 2014-01-28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epoxy resin molding material, and polyvalent carboxylic acid condensate
KR101895831B1 (ko) 2008-01-09 2018-09-07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에폭시 수지 성형 재료 및 다가 카르복시산 축합체
JP5401905B2 (ja) * 2008-04-25 2014-01-29 日立化成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5217800B2 (ja) 2008-09-03 2013-06-1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樹脂パッケージ、樹脂成形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US8378369B2 (en) 2008-09-09 2013-02-19 Showa Denko K.K. Light emitt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JP5220522B2 (ja) * 2008-09-09 2013-06-26 昭和電工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モジュール
JP5440010B2 (ja) * 2008-09-09 2014-03-1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光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0526B2 (ja) * 2008-09-11 2013-06-26 昭和電工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モジュール、表示装置
JP5220527B2 (ja) * 2008-09-11 2013-06-26 昭和電工株式会社 発光装置、発光モジュール
JP6007891B2 (ja) * 2008-09-09 2016-10-1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光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MY155462A (en) * 2008-09-30 2015-10-15 Hitachi Chemical Co Ltd Coating agent, substrate for mounting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using same,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JP2010199166A (ja) * 2009-02-24 2010-09-09 Panasonic Corp 光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および光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8884422B2 (en) * 2009-12-31 2014-11-11 Stmicroelectronics Pte Ltd. Flip-chip fan-out wafer level package for package-on-package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110156240A1 (en) * 2009-12-31 2011-06-30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Reliable large die fan-out wafer level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30036737A (ko) * 2010-01-25 2013-04-12 비쉐이 스프라그, 인코포레이티드 금속계 전자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US9178120B2 (en) 2010-04-02 2015-11-03 Kaneka Corpor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tablet, molded body, semiconductor package, semiconductor component and light emitting diode
KR20110114494A (ko) * 2010-04-13 2011-10-19 박재순 발광 모듈 및 발광 모듈의 제조 방법
KR20110115846A (ko) * 2010-04-16 2011-10-2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12028744A (ja) * 2010-06-22 2012-02-09 Panasonic Corp 半導体装置用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半導体装置
JP2012079723A (ja) 2010-09-30 2012-04-19 Toyoda Gosei Co Ltd 発光装置
JP2012077235A (ja) * 2010-10-05 2012-04-19 Nitto Denko Corp 光半導体装置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光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ならびに光半導体装置
JP5602578B2 (ja) * 2010-10-19 2014-10-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Led用リードフレーム
CN103249559B (zh) * 2010-11-18 2015-08-05 日立化成株式会社 半导体密封填充用膜状树脂组合物、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和半导体装置
JP5885922B2 (ja) * 2010-12-28 2016-03-1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CN103562290A (zh) * 2011-05-18 2014-02-05 纳沛斯新素材 热固型光反射用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利用其制备的光半导体元件搭载用反射板以及包括其的光半导体装置
CN102971874A (zh) * 2011-06-07 2013-03-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半导体封装体及其制造方法
US9013037B2 (en) * 2011-09-14 2015-04-21 Stmicroelectronics Pte Ltd. Semiconductor package with improved pillar bump process and structure
US8916481B2 (en) 2011-11-02 2014-12-23 Stmicroelectronics Pte Ltd. Embedded wafer level package for 3D and package-on-package applica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034175B2 (ja) * 2012-01-10 2016-11-30 ローム株式会社 Ledモジュール
WO2013108814A1 (ja) * 2012-01-17 2013-07-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線硬化性樹脂組成物、リフレクター用樹脂フレーム、リフレクター、半導体発光装置、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3239540A (ja) * 2012-05-14 2013-11-28 Shin Etsu Chem Co Ltd 光半導体装置用基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光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6303344B2 (ja) 2013-09-05 2018-04-0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CN103641998B (zh) * 2013-12-24 2016-05-04 江苏华海诚科新材料股份有限公司 Led反射杯用的白色环氧树脂组合物
EP3092668B1 (en) * 2014-01-08 2021-03-31 Lumileds LLC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260593B2 (ja) * 2015-08-07 2018-01-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ードフレーム、パッケージ及び発光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TWI618615B (zh) * 2015-08-12 2018-03-21 Zhao Chang Wen Method for forming thermosetting resin package sheet
JP6237826B2 (ja) * 2015-09-30 2017-11-29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パッケージ及び発光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7046014A (ja) * 2016-12-01 2017-03-0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光半導体装置
CN107623063B (zh) * 2017-09-29 2020-05-05 开发晶照明(厦门)有限公司 封装支架和封装支架制备方法
CN109712967B (zh) 2017-10-25 2020-09-29 隆达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装置及其制造方法
US11396986B2 (en) 2019-05-23 2022-07-26 Valeo North Americ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sking residual visible light from an infrared emission source
CN114843253A (zh) * 2021-02-02 2022-08-02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8294Y1 (ko) 1967-09-28 1971-03-24
US4132563A (en) * 1976-08-06 1979-01-02 Marion Darrah Intraleucospheruloid/organic color pigment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JPS60123047A (ja) 1983-12-07 1985-07-0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708191B2 (ja) * 1988-09-20 1998-02-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装置
JPH02129953A (ja) 1988-11-09 1990-05-18 Seiko Epson Corp 半導体材料
JPH0425059A (ja) 1990-05-16 1992-01-28 Nec Kyushu Ltd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EP0468379B1 (en) * 1990-07-21 1999-11-17 Mitsui Chemicals,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package
JPH0889789A (ja) * 1994-09-21 1996-04-09 Dainippon Ink & Chem Inc 中空粒子の製造方法
JPH0963329A (ja) 1995-08-30 1997-03-07 Minnesota Mining & Mfg Co <3M> 液晶バックライト用反射シート
US6274890B1 (en) * 1997-01-15 2001-08-14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E19829197C2 (de) * 1998-06-30 2002-06-20 Siemens Ag Strahlungsaussendendes und/oder -empfangendes Bauelement
US6794334B2 (en) 2000-06-13 2004-09-21 Ricoh Company, Ltd. Thermo reversible recording medium, member having information memorizing part, thermo reversible recording label, method of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MY145695A (en) * 2001-01-24 2012-03-30 Nichia Corp Light emitting diode,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epoxy resin composition suited for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223001A (ja) 2001-01-26 2002-08-09 Nichia Chem Ind Ltd 光電装置
JP3636079B2 (ja) 2001-01-26 2005-04-0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パッケージ成形体と発光装置
JP4066608B2 (ja) 2001-03-16 2008-03-2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パッケージ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616491B2 (ja) 2001-03-21 2011-01-19 星和電機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US6670648B2 (en) * 2001-07-19 2003-12-30 Rohm Co., Ltd.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having a reflective case
US6531328B1 (en) * 2001-10-11 2003-03-11 Solidlite Corporation Packaging of light-emitting diode
JPWO2003034508A1 (ja) * 2001-10-12 2005-02-0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670646B2 (en) 2002-02-11 2003-12-30 Infineon Technologies Ag Mask and method for patterning a semiconductor wafer
KR100637305B1 (ko) * 2002-02-27 2006-10-23 히다치 가세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봉지용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전자 부품 장치
WO2003072628A1 (en) 2002-02-27 2003-09-04 Hitachi Chemical Co., Ltd. Encapsulating epoxy resin composition, and electronic parts device using the same
JP2003327667A (ja) 2002-03-07 2003-11-19 Hitachi Chem Co Ltd 封止用エポキシ樹脂成形材料及び半導体装置
CN101429323B (zh) * 2002-02-27 2011-07-20 日立化成工业株式会社 封装用环氧树脂组合物及使用该组合物的电子组件
CN100338786C (zh) * 2002-06-19 2007-09-19 三垦电气株式会社 半导体发光装置及其制法和半导体发光装置用反射器
JP3655267B2 (ja) 2002-07-17 2005-06-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発光装置
JP3991961B2 (ja) 2002-09-05 2007-10-17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側面発光型発光装置
TWI292961B (en) * 2002-09-05 2008-01-21 Nichia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an optical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device
US20040061810A1 (en) * 2002-09-27 2004-04-01 Lumileds Lighting, U.S., Llc Backlight for a color LCD using wavelength-converted light emitting devices
JP3910171B2 (ja) 2003-02-18 2007-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撮像装置
JP2004266189A (ja) 2003-03-04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用パッケージ
JP2004266186A (ja) 2003-03-04 2004-09-24 Hitachi Chem Co Ltd 研磨用パッド及び研磨物の製造法
US7923918B2 (en) 2003-03-13 2011-04-12 Nichia Corporation Light emitting film, luminescent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uminescent device
ITFI20030064A1 (it) 2003-03-13 2004-09-14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svolgitore automatico e continuo per erogare
KR20040092512A (ko) * 2003-04-24 2004-11-04 (주)그래픽테크노재팬 방열 기능을 갖는 반사판이 구비된 반도체 발광장치
US20040265596A1 (en) * 2003-04-28 2004-12-30 Sumitomo Bakelite Co., Ltd. Epoxy resin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sealing and semiconductor device
JP4874510B2 (ja) 2003-05-14 2012-02-1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791811B (zh) * 2003-05-21 2011-11-30 优泊公司 光反射体及面光源装置
JP4113045B2 (ja) * 2003-05-26 2008-07-02 日鉄鉱業株式会社 白色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12965A (ja) 2003-10-07 2005-04-28 Kyocera Chemical Corp 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部品装置
JP4493013B2 (ja) * 2003-10-08 2010-06-3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792726B2 (ja) * 2003-10-30 2011-10-1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素子用支持体の製造方法
JP5021151B2 (ja) * 2003-11-19 2012-09-05 株式会社カネカ 半導体のパッケージ用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半導体
DE10357881A1 (de) 2003-12-11 2005-07-1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Dichtung zwischen einander gegenüberliegenden Dichtflächen
JP4654670B2 (ja) * 2003-12-16 2011-03-23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91420A (ja) * 2003-12-26 2005-07-14 Stanley Electric Co Ltd 波長変換層を有する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59972A (ja) * 2004-03-11 2005-09-22 Stanley Electric Co Ltd 表面実装型led
CN1922267B (zh) 2004-03-22 2012-03-28 捷时雅股份有限公司 液状固化性树脂组合物及使用了它的叠层体的制造方法
JP4198091B2 (ja) * 2004-06-02 2008-12-17 旭化成株式会社 発光素子封止用樹脂組成物
WO2006033693A2 (en) 2004-06-30 2006-03-30 Deangelis Paul L Methods of selectively treating diseases with specific glycosaminoglycan polymers
SG119379A1 (en) 2004-08-06 2006-02-28 Nippon Catalytic Chem Ind Resin composition method of its composition and cured formulation
JP5081370B2 (ja) * 2004-08-31 2012-11-28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0587020B1 (ko) * 2004-09-01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용 패키지
JP4747726B2 (ja) * 2004-09-09 2011-08-17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装置
US7842526B2 (en) 2004-09-09 2010-11-30 Toyoda Gosei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2006086178A (ja) 2004-09-14 2006-03-30 Toshiba Corp 樹脂封止型光半導体装置
KR100867970B1 (ko) 2004-10-04 2008-11-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발광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조명 기구 또는 액정표시장치
JP5060707B2 (ja) * 2004-11-10 2012-10-31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光反射用熱硬化性樹脂組成物
TW200617093A (en) 2004-11-15 2006-06-01 Jsr Corp Curable liquid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body using same
JP4608294B2 (ja) 2004-11-30 2011-01-12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樹脂成形体及び表面実装型発光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4359229B2 (ja) 2004-12-01 2009-11-04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カシメパイプ挿入装置
KR101250033B1 (ko) * 2005-01-20 2013-04-02 스미토모 베이클리트 컴퍼니 리미티드 에폭시 수지 조성물, 그 잠복화 방법 및 반도체 장치
US7710016B2 (en) * 2005-02-18 2010-05-04 Nichi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provided with len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TW200632445A (en) 2005-03-09 2006-09-16 Exploit Technology Co Ltd Light reflection-diffus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100593945B1 (ko) * 2005-05-30 2006-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출력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TW200721526A (en) * 2005-11-16 2007-06-01 Iled Photoelectronics Inc LED structure with three wavelength
US9502624B2 (en) * 2006-05-18 2016-11-22 Nichia Corporation Resin molding, surface mounted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96066B1 (ko) * 2006-06-02 2015-03-02 히타치가세이가부시끼가이샤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WO2008059856A1 (en) * 2006-11-15 2008-05-22 Hitachi Chemical Co., Ltd. Heat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light reflection, process for producing the resin composition, and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mounting substrate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resin composition
US8785525B2 (en) * 2007-09-25 2014-07-2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Thermosetting light-reflecting resin composition,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mounting board produced therewith,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TWI458139B (zh) * 2012-11-23 2014-10-21 Unity Opto Technology Co Ltd White light emitting diod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23528A (en) 2011-07-01
US9660156B2 (en) 2017-05-23
EP2034526B1 (en) 2019-12-25
CN101461070B (zh) 2013-07-24
CN101461070A (zh) 2009-06-17
KR20090013230A (ko) 2009-02-04
TW201735402A (zh) 2017-10-01
US20170263832A1 (en) 2017-09-14
TWI648877B (zh) 2019-01-21
CN102290517A (zh) 2011-12-21
US9673362B2 (en) 2017-06-06
TW201511355A (zh) 2015-03-16
US20190252582A1 (en) 2019-08-15
TWI595684B (zh) 2017-08-11
EP2034526A4 (en) 2014-05-14
TWI339448B (en) 2011-03-21
US20160035951A1 (en) 2016-02-04
US20180130931A1 (en) 2018-05-10
US10326063B2 (en) 2019-06-18
JPWO2007142018A1 (ja) 2009-10-22
US20210296545A1 (en) 2021-09-23
JP2011155277A (ja) 2011-08-11
US11810778B2 (en) 2023-11-07
KR101496066B1 (ko) 2015-03-02
US10950767B2 (en) 2021-03-16
US20110241055A1 (en) 2011-10-06
US20220123186A1 (en) 2022-04-21
CN102983248A (zh) 2013-03-20
KR101155231B1 (ko) 2012-06-13
US9608184B2 (en) 2017-03-28
EP2034526A1 (en) 2009-03-11
CN102983248B (zh) 2017-11-14
JP4968258B2 (ja) 2012-07-04
KR20110003601A (ko) 2011-01-12
MY152165A (en) 2014-08-15
WO2007142018A1 (ja) 2007-12-13
US20220123187A1 (en) 2022-04-21
US10205072B2 (en) 2019-02-12
US20140319569A1 (en) 2014-10-30
US20090315049A1 (en) 2009-12-24
KR20140146210A (ko) 2014-12-24
TWI464918B (zh) 2014-12-11
KR20110113786A (ko) 2011-10-18
US11984545B2 (en) 2024-05-14
US9076932B2 (en) 2015-07-07
US20210159374A1 (en) 2021-05-27
TW200807763A (en) 2008-02-01
US20210296546A1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231B1 (ko) 광반도체소자 탑재용 패키지 및 이것을 이용한 광반도체장치
JP5397195B2 (ja) 光半導体素子搭載用基板の製造方法、及び、光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029894B2 (en) Lead frame for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and optical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JP6209928B2 (ja) 光半導体装置、光半導体素子搭載用基板及び光反射用熱硬化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