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879A - 보호필름 박리장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호필름 박리장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879A
KR20130060879A KR1020110127171A KR20110127171A KR20130060879A KR 20130060879 A KR20130060879 A KR 20130060879A KR 1020110127171 A KR1020110127171 A KR 1020110127171A KR 20110127171 A KR20110127171 A KR 20110127171A KR 20130060879 A KR20130060879 A KR 20130060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protective film
unit
moving
pee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473B1 (ko
Inventor
서상호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73B1/ko
Priority to CN201210495345.XA priority patent/CN103129095B/zh
Priority to US13/690,669 priority patent/US9289970B2/en
Publication of KR20130060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1Methods of delaminating, per se; i.e., separating at bonding face
    • Y10T156/1168Gripping and pulling work apart during delaminating
    • Y10T156/1174Using roller for delamination [e.g., roller pairs operating at differing speeds or directions,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5Delaminating roller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9Delaminating means
    • Y10T156/1978Delaminating bend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는 박리유닛이 박리과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박리하도록 박리유닛을 이동시켜 보호필림이 박리된 필름부재의 기포불량을 제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보호필름 박리장치는 전면(前面)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필름부재를 외주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시키는 원통형 플레이트;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상기 필름부재로부터 박리하는 박리롤러; 및 상기 박리된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홀딩하는 클램프;로 구성되는 박리유닛; 및 상기 박리유닛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전면을 박리하는 제 1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리유닛은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이동하여 박리과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필름 박리장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protection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Stereoscopic video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보호필름 박리장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시간을 단축하고 편광판의 보호필름 박리공정 시에 불량을 줄이기 위한 보호필름 박리장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Display)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소자 중에서도,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브라운관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최근에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배열된 하부기판과, 컬러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판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합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표면에는 각각 편광판이 형성되어, 빛의 투과 방향의 따라 빛의 차단 또는 투과를 조절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하부기판 형성공정, 상부기판 형성공정, 액정을 봉입하는 셀(cell) 공정, 편광판, 구동회로부, 백라이트 유닛 등을 부착, 조립하는 모듈 공정을 포함한다. 이 중 편광판은 편광판의 양면 혹은 편면에 접착막을 매개로 하여 보호필름이 점착된 채로 모듈공정에 진입된다. 접착막은 편광판을 표시패널에 부착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편광판이 표시패널에 부착되기 전까지 접착막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편광판이 표시패널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하, 종래기술에 따르는 보호필름의 박리 과정 및 박리장치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보호필름(F) 박리장치는 편광판(P)이 배치되는 평면 플레이트(20), 상기 평면 플레이트(20) 전면에 형성되는 진공 흡입구(H), 상기 평면 플레이트(20)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y방향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수직이동부(34), 상기 수직이동부(34)를 따라 움직이는 수평이동부(33), 상기 수평이동부(33)에 장착되어 x방향으로 움직이며 박리하는 박리유닛(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보호필름(F) 박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평면 플레이트(20) 상부에 전면에 보호필름(F)이 부착된 편광판(P)이 진입한다. 상기 편광판(P)은 진공 흡입구(H)에 의해 상기 평면 플레이트(20)에 진공 흡착된다. 이때, 흡착력을 높이고 균일하게 하기 위해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의 진공 흡입구(H)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이동부(33) 상의 박리유닛(30)이 보호필름(F)의 일면을 박리하기 시작한다. 상기 박리유닛(30)은 클램프(75)와 박리롤러(7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리롤러(71)는 롤러의 외주면에 점착성분이 도포되어 있거나 점착테이프가 감겨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클램프(75)는 박리롤러(71)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박리롤러(71)가 보호필름(F)의 일면과 접촉하여 보호필름(F)을 점착시킨 경우, 박리롤러(71)가 회전하여 보호필름(F)의 일면을 감는다. 그에 따라 보호필름(F) 일면이 편광판(P)으로부터 박리되며, 감겨진 보호필름(F)의 일면은 클램프(75)에 의해 홀딩된다.
그 이후, 상기 수평이동부(33)가 수직이동부(34)에 의해 x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보호필름(F)을 편광판(P)으로부터 완전히 박리한다. 다만 이때, 상기 박리유닛(30)이 수평이동부(33) 상에서 y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보호필름(F)은 화살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박리된다.
한편, 박리된 상기 편광판(P)은 표시패널에 부착되기 위해 다음 스테이지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것은 도 2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 및 편광판 부착 공정의 공정 블록도이다.
상기 스테이지들은 모두 평면 플레이트 상에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편광판 공급부(1)는 보호필름이 붙여진 많은 편광판을 적재하는 스테이지이다. 여기서 제 1 로봇암(11)에 의해 편광판 공급부(1)에서 한 개의 편광판이 보호필름 박리부(2)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보호필름 박리부(2)에서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박리공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제 2 로봇암(12) 또는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편광판 부착부(4)로 보호필름이 박리된 편광판이 이송된다. 이때, 상기 편광판 부착부(4)에는 표시패널 공급부(3)로부터 한 개의 표시패널이 제 3 로봇암(13) 또는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송된다. 상기 편광판 부착부(4)는 표시패널이 운반된 후 정해진 위치로 얼라인되면 하부에서 상기 편광판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편광판의 보호필름이 박리된 면이 표시패널에 부착된다. 이어서, 상기 편광판이 부착된 표시패널은 백라이트 유닛 및 구동회로 조립부(5)로 이동되며,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이 표시패널의 하부로 조립되고, 구동회로가 연성필름 등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호필름을 박리하고 상기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은 복수의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를 연결하는 로봇암 및 이동수단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아야 하므로 시간적인 순서를 두고 순차로 작동된다. 그리고, 각 공정들이 평면 플레이트 상에서 진행되므로 각 스테이지들이 오버랩될 수 없어 장비 배열 면적이 커지며, 각 스테이지를 연결하기 위한 복잡한 구동장치를 포함하게 되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편광판과 같은 필름부재의 박리 및 부착을 평면 스테이지를 이용하지 않고 원통형 플레이트를 이용함으로써 공정을 단순화하고 공정시간을 단축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원통형 플레이트 표면에 도포되는 점착패드에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해 박리유닛이 박리하는 위치를 매 박리과정마다 변경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는 전면(前面)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필름부재를 외주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시키는 원통형 플레이트;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상기 필름부재로부터 박리하는 박리롤러; 및 상기 박리된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홀딩하는 클램프;로 구성되는 박리유닛; 및 상기 박리유닛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전면을 박리하는 제 1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리유닛은 상기 박리롤러가 박리과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도록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방법은 전면(前面)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필름부재를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하는 단계; 박리유닛의 박리롤러를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접착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박리하는 단계; 상기 박리된 보호필름의 일면을 상기 박리유닛의 클램프에 홀딩하는 단계; 상기 박리유닛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전면을 박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박리롤러가 박리공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도록 상기 박리유닛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원통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접착막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전면(前面)에 부착된 패턴 리타더(Patterned Retarder)의 배면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를 회전하여 상기 패턴 리타더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박리유닛의 박리롤러를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접착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박리하는 단계; 상기 박리된 보호필름의 일면을 상기 박리유닛의 클램프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박리유닛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전면을 박리하는 단계; 상기 박리롤러가 박리과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도록 상기 박리유닛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이 박리된 패턴 리타더를 회전시키고, 상기 원통평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입체영상 표시패널의 전면에 상기 패턴 리타더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보호필름 박리장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보호필름의 박리 및 필름부재 부착 공정을 단순화시켜 공정시간을 축소할 수 있다. 공정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단위시간당 더 많은 물량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박리유닛을 이동시킴으로써 박리롤러가 원통형 플레이트의 점착패드와 접촉하는 영역을 매 박리공정마다 다르게 하여, 점착패드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보호필름이 박리된 필름부재의 일부분이 점착패드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정의 불량률을 줄이고 불량이 없는 표시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 및 편광판 부착 공정의 공정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박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a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박리유닛의 박리동작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9a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동작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을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는 대상은 필름부재가 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필름부재로부터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부재는 광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편광판 등이 될 수 있으며 이하, 편광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편광판 공급부(101), 편광판 고정부(101a), 보호필름 박리부(102), 표시패널 공급부(103), 편광판 부착부(104), 모듈 조립부(105)를 통하여 표시장치를 제조한다.
먼저 도 3a를 보면, 편광판 공급부(101)는 작업테이블(105)의 상부에 다수의 편광판(P)을 적재한다. 상기 다수의 편광판(P)은 각각 양면에 보호필름(F)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전면에 부착된 보호필름(F)은 상기 편광판(P)이 표시패널(D)에 부착되기 위해 도포된 접착막(미도시)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배면에 부착된 보호필름(F)은 편광판(P)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물질 삽입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전면의 보호필름(F)은 이형필름이라고도 한다. 상기 도면에서는 접착막(미도시)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F)만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부의 이송로봇(111)에 의하여 편광판(P)이 하나씩 리프트되고 운반되어 편광판 고정부(101a)로 이송된다.
도 3b에서, 상기 편광판 고정부(101a)는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상부에서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외주면에 편광판(P)을 부착시키고 고정한다.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는 회전축(125)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편광판(P)을 외주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외주면에는 점착패드(미도시)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점착패드(미도시)은 마이크로 패드(micro pa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편광판(P)을 부착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어느 것이든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로봇(111)은 상기 편광판(P)의 배면이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외주면의 상부지점과 접하도록 상기 편광판(P)을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일 영역이 외주면에 접하게 된 편광판(P)은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광판(P)의 배면 전체 영역이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이후,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편광판(P)이 이동되어 보호필름 박리부(102)에 인접하게 된다.
도 3c를 보면, 상기 보호필름 박리부(102)는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측부에 배치되며, 박리유닛(130)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박리유닛(130)은 롤러(미도시) 및 클램프(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보호필름(F)의 가장자리면을 박리하고 고정하며, 상기 박리유닛(130)이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보호필름(F)을 잡아당기게되어 상기 보호필름(F)을 완전 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광판(P)은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회전에 따라 편광판 부착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편광판 부착부는 표시패널 공급부(103)로부터 운반된 표시패널(D)의 전면에 상기 편광판(P)을 부착한다.
도 3d를 보면, 상기 표시패널 공급부(103)는 보호필름 박리부(102)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작업기판(150)의 상부에 하나의 표시패널(D)을 적재하여 이송로봇(미도시)이나 롤러(미도시) 등에 의하여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하부로 상기 하나의 표시패널(D)을 공급한다. 이때, 운반되는 표시패널(D)은 셀(cell) 공정, 즉, 하부 기판 형성 공정, 상부기판 형성공정, 상부 및 하부 기판 봉입 공정을 모두 거친 표시패널(D)이다. 예를 들어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필터기판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액정이 봉입된 표시패널(D)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e를 보면, 상기 작업기판(150)은 상기 표시패널(D)의 전면과 상기 편광판(P)의 전면(보호필름(F)이 박리된 면)이 접하게함과 동시에 편광판(P)의 모서리와 표시패널(D)의 모서리가 맞물리도록 상기 표시패널(D)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P)의 전면은 접착막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표시패널(D)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D)은 계속 이동하여 도 3f에 도시된 모듈 조립부(105)로 인입하며, 소정의 스테이지 상에서 백라이트 유닛(B)이 표시패널(D)의 하부에서 조립되고, 구동회로부가 표시패널(D)의 일면에 연결되며 탑 커버(C1)와 바텀 커버(C2)가 체결되어 하나의 표시장치가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는 원통형 플레이트(120)를 중심으로 상부, 측부, 하부에서 공정이 진행되어 각 공정단계 진행 위치가 오버랩될 수 있어 협소한 공간에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 장비를 단순화시키고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편광판 부착부(104)에서, 종래기술의 경우 편광판(P)을 진공 흡착 방식으로 고정하다가 편광판(P)이 표시패널(D)에 부착되기 바로 전에 진공 흡착을 해제하게 되는데 이때, 진공 흡착 해제 순간 편광판(P)이 유동하여 미스 얼라인먼트(miss alignment)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편광판(P)이 표시패널(D)에 완전히 부착될 때까지 원통형 플레이트(120) 표면의 점착 패드로 편광판(P)을 접착할 수 있게 되어 편광판(P)을 정밀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것은 3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이 패턴 리타더의 정밀한 부착을 요구하는 장치의 제조에 있어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리공정은 원통형 플레이트(120)에 부착된 편광판(P)에 대하여 진행되므로, 박리공정에서 편광판(P)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스테이지가 불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편광판(P)의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박리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6a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박리유닛의 박리동작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F) 박리장치는 크게 원통형 플레이트(120), 박리유닛(130), 박리유닛 고정부(133), 박리유닛 이동부(1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는 원통형 드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전축(125)에 의하여 회전 구동된다. 상기 회전축(125)은 회전축 지지대(미도시)에 의하여 지지되며, 서보 모터(Servo Motor)(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외주면에는 편광판(P)을 부착하기 위해 얇은 점착패드(126)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박리유닛(130)은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편광판(P)의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상기 박리유닛(130)은 제 1 박리유닛(131) 및 제 2 박리유닛(13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131, 132)은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외주면과 이격한 간격이 서로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박리유닛(130)이 복수 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 보호필름(F)을 박리할 때 보호필름(F)의 가장자리 영역에 균일한 힘을 가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박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박리된 보호필름(F)이 아래로 쳐지게 되어 원통형 플레이트의 점착패드(126)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우려도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박리유닛(130)은 2개 뿐만 아니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131, 132)은 상기 보호필름(F)이 박리될 수 있는 영역으로 회전되었을 때 도 4와 같이 보호필름(F)의 가장자리면을 박리하고 홀딩(holding)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리유닛 고정부(133)는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131, 13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리유닛 고정부(133)는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131, 132)이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하도록 상기 회전축(125)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박리유닛 이동부(134)는 상기 박리유닛 고정부(133)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리유닛 이동부(134)는 상기 박리유닛 고정부(13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34a)과 상기 가이드레일(134a)을 지지하는 지지부(134b) 및 박리된 보호필름(F)을 보호필름 회수부(미도시)로 이동시키는 보호필름 이동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박리유닛 이동부(134)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박리유닛(130)이 보호필름(F)의 가장자리면을 박리하고 홀딩하였을 때 상기 박리유닛 이동부(134)가 상기 박리유닛(130)을 원통형 플레이트(120)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보호필름(F)이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보호필름(F)이 상기 편광판(P)으로부터 완전 박리된다. 그리고 상기 박리유닛(130)은 상기 박리된 보호필름(F)의 홀딩을 해제한 뒤 상기 박리유닛 이동부(134)는 상기 박리유닛(130)을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다음 편광판(P)의 박리를 준비도록 한다. 도면에서 화살표 방향이 박리유닛 이동부(134)의 이동방향이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박리유닛(130)은 크게 상기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한 박리롤러(171), 보호필름(F)을 홀딩하기 위한 상부 및 하부 클램프(175, 176), 상기 박리롤러(171)와 상부 및 하부 클램프(175, 176)가 고정된 본체(179)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박리롤러(171)는 외주면에 점착테이프가 감겨있거나 점착물질이 도포되어 보호필름(F)을 접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체(179)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회전에 의해 보호필름(F)에 접착된 박리롤러(171)가 롤러 회전축(17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보호필름(F)을 박리롤러(171)의 외주면에 감음으로써 보호필름(F)을 박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리롤러(171) 및 롤러 회전축(172)은 나사와 같은 고정부재(174)에 의하여 본체(179)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클램프(175, 176)는 보호필름(F)을 홀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 클램프(175)는 제 1 실린더(177)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179)에 고정되며, 하부 클램프(176)는 제 1 실린더(177)와 제 1 이동축(177a)으로 연결되어 상부 및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1 실린더(177)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내부의 피스톤(미도시)을 움직여 상기 제 1 이동축(177a)을 상부 및 하부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이동축(177a)에 연결된 하부 클램프(176)가 상부 및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보호필름(F)이 박리롤러(171)에 의해 박리되고 상부 클램프(175)와 하부 클램프(176) 사이로 삽입이 되면 상부로 이동하여 보호필름(F)이 홀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79)의 하부에 제 2 실린더(178)가 배치되는데, 상기 제 2 실린더(178)는 박리유닛 고정부(133)의 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보호필름(F)이 박리유닛(130)과 인접하게 위치하는 경우 제 2 이동축(178a)을 통해 본체(179)를 전진시켜 박리롤러(171)를 보호필름(F)과 접촉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a내지 도 6d를 통하여 박리유닛(13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서 상기 박리유닛(130)은 원통형 플레이트(120)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하여 박리과정을 진행할 준비를 한다. 상기 박리유닛(130)은 박리유닛 고정부(133)에 탑재되어 있으며, 보호필름(F)의 일면이 박리롤러(171)의 부근으로 회전될 때가지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12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간격을 유지한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상기 보호필름(F)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제 2 실린더(178)에 의해 제 2 이동축(178a)이 이동하여 상기 박리유닛(130)의 본체(179)가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다. 상기 전진으로 인해 박리롤러(171)의 일면이 상기 보호필름(F)의 가장자리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박리롤러(171)는 상기 보호필름(F)의 가장자리면을 박리롤러(171)의 일면에 접착할 수 있다.
그 후, 도 6c에 따라 원통형 플레이트(120)의 회전에 의해 롤러 회전축(172)을 중심으로 박리롤러(171)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박리롤러(171)의 회전으로 보호필름(F)의 가장자리면이 상기 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감겨진다. 그리고 감겨진 보호필름(F)은 상부 클램프(175)와 하부 클램프(176) 사이로 말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박리롤러(171)에 감겨진 보호필름(F)의 가장자리면은 편광판(P)으로부터 박리된다.
이어서, 도 6d에 따라, 제 1 실린더(177)의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 클램프(176)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클램프들(175, 176)은 상부 클램프(175)와 하부 클램프(176) 사이로 인입한 보호필름(F)을 홀딩한다.
한편, 상기 도 6b를 참조하면, 박리과정시에 상기 박리롤러(171)는 보호필름(F)의 일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도면에서는 보호필름(F)과 편광판(P)을 두껍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 보호필름(F)과 편광판(P)은 그 두께를 유관으로 판단하기 어려울 정도로 얇은 필름이다. 따라서, 상기 박리롤러(171)가 보호필름(F)에 접촉할 때 소정의 압력에 의해 보호필름(F)이 눌려지게 되는데, 편광판(P) 배면의 점착패드(126)도 함께 눌려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점착패드(126)은 연성 재질로서 외부의 압력 및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을 입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박리유닛(130)의 박리롤러(171)가 매 박리공정마다 동일한 위치에서 점착패드(126)과 접촉하게 되므로 박리공정이 오래 진행된 후에는 점착패드(126)의 흡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점착패드(126)의 흡착력이 저하될 경우 박리과정에서 편광판(P)의 일면이 점착패드(126)으로부터 탈착되어 편광판(P) 부착 공정시에 편광판(P)과 표시패널 사이에 기포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상기 박리유닛(130)이 한 자리에서 머물지 않고 다른 위치에서 박리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F) 박리장치는 크게 원통형 플레이트(220), 박리유닛(230), 제 1 이동부(234), 제 2 이동부(23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 박리유닛(230), 제 1 이동부(234)는 제 1 실시예의 원통형 플레이트, 박리유닛, 박리유닛 이동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는 중심에 형성된 회전축(225)에 의하여 제자리 회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의 외주면에는 편광판(P)을 부착하기 위한 점착패드(226)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박리유닛(230)은 제 1 박리유닛(231) 및 제 2 박리유닛(23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박리롤러(271), 상부 클램프(275), 하부 클램프(미도시) 제 1 실린더(미도시), 제 2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박리롤러(271)는 보호필름(F)에 점착되어 회전함으로써 보호필름(F)의 일면을 박리하며, 상기 상부 클램프(275), 하부 클램프(미도시)는 박리된 보호필름(F)을 홀딩하고, 상기 제 1 실린더(미도시)는 상기 하부 클램프(미도시)를 상, 하 이동시켜 홀딩을 보조하며, 상기 제 2 실린더(미도시)는 상기 박리롤러(271) 및 클램프(미도시)들을 전진 및 후진시켜 보호필름(F)과 접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동부(234)는 지지부(234b)와 제 1 가이드레일(234a)로 구성되는 것으로 박리유닛(230)이 보호필름(F)의 일면을 홀딩한 경우에, 박리유닛(230)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켜 보호필름(F)을 완전 박리한다. 그리고 상기 박리유닛(230)을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박리유닛(230)을 원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부(236)는 제 1 실시예에 없는 구성으로서 볼 스크류(236a), 서보 모터(236d), 제 2 가이드레일(236c), 스크류회전 고정대(23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동부(236)는 고정대(233) 상부에서 제 1 박리유닛(231)과 제 2 박리유닛(232)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을 이동시키는데 상기 이동방향은 좌, 우방향이 될 수 있다. 이때, 좌, 우방향이라 함은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의 회전축(225)과 평행한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박리유닛(230)이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의 외주면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하며 이동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이동부(236)는 박리과정이 끝날때마다 박리유닛(230)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 다음 박리과정을 진행케하여, 상기 박리유닛(230)이 보호필름(F)을 박리하는 위치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박리유닛(230)의 박리롤러(271)가 박리과정마다 동일한 위치의 보호필름(F)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박리롤러(271)가 박리과정마다 다른 위치의 점착패드(226)에 접촉하게되므로, 한 지점에만 지속적으로 접촉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점착패드(226)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점착패드(226)의 점착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편광판(P)이 표시패널에 부착될 때 발생될 수 있는 기포불량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100만대의 제품을 생산했을 때 편광판(P)의 기포불량율에 대해 종래기술과 제 2 실시예를 비교해보면, 종래기술의 경우 164개의 불량제품이 생산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21개의 불량제품이 생산되어 종래기술 대비 87%정도 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이동부(236)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제 2 이동부(236)는 볼 스크류(236a), 스크류회전 고정대(236b), 제 2 가이드레일(236c), 서보 모터(236d) 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 스크류(236a)는 박리유닛(230)의 하면과 접촉하여 배치되며 바(bar)의 외면에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 스크류(236a)의 나선홈의 배열 방향은 사선방향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보 모터(236d)는 상기 볼 스크류(236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볼 스크류(236a)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레일(236c)은 상기 볼 스크류(236a)의 양 측에 배치되어 박리유닛(230)이 움직일 수 있는 레일이 형성되어 있어 박리유닛(2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회전 고정대(236b)는 상기 볼 스크류(236a)가 서보 모터(236d)에 의해 회전하면서 볼 스크류(236a)의 회전축(225)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 제 2 이동부(236)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보 모터(236d)는 상기 볼 스크류(236a)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스크류(236a)는 나선홈 형상에 의해 회전 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볼 스크류(236a)는 제자리에서 회전하지만 상기 볼 스크류(236a)와 접촉해 있는 박리유닛(230)은 상기 볼 스크류(236a)의 회전에 의해 일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에서 볼 스크류(236a)가 ⓐ방향으로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박리유닛(230)은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 스크류(236a)가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즉,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박리유닛(230)은 ⓑ방향와 반대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 스크류(236a)는 회전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박리유닛(230)을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을 다른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a내지 도 9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F) 박리장치 동작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F) 박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보호필름(F)이 전면에 부착된 편광판(P)이 원통형 플레이트(220)로 이송된다.(S1) 이때, 상기 편광판(P)은 편광판 적재부로부터 로봇암에 의하여 하나씩 이송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이송되는 편광판(P)이 원통형 플레이트(220)의 상부에서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의 외주면에 부착된다.(S2)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의 외주면에는 점착패드가 도포되어 있어 상기 편광판(P)의 배면을 점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a와 같이, 원통형 플레이트(220)가 편광판(P)을 회전하여 박리유닛(230)이 보호필름(F)을 박리할 수 있는 위치에 편광판(P)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는 회전축(225)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과 같이 회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은 제 2 이동부(236)의 상부에 고정된채로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의 측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이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220)의 외주면과 이격하는 간격은 서로 동일하다. 그리고 도면상으로는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의 최초위치가 각각 보호필름(F)의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와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최초 위치는 상기 박리롤러(271)가 보호필름(F)과 접촉할 수 있는 영역이면 어느 영역이든 가능하다.
이어서, 도 9b와 같이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은 상기 보호필름(F)의 일면을 박리한다.(S3)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이 상기 보호필름(F)의 일면을 박리하는 과정은 도 6a내지 도 6c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박리롤러(271)가 보호필름(F)의 일면 또는 가장자리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호필름(F)을 감아서 박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박리롤러(미도시)와 나란히 배치되는 상부 클램프(미도시) 및 하부 클램프(미도시)에 의해 보호필름(F)의 박리된 면이 홀딩될 수 있다.(S4) 이때, 도 6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클램프(미도시)가 제 1 실린더(미도시)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상부 클램프(미도시)와 하부 클램프(미도시) 사이에 보호필름(F)을 끼움으로써 홀딩할 수 있다.
그 후, 도 9c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이 후방으로 으로 이동할 수 있다.(S5) 이때, 제 1 이동부(234)가 제 2 이동부(236)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데 제 2 이동부(236)는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을 탑재하고 있으므로, 박리유닛(23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 이동부(236)는 양 측 하부에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이 설치되어 있어 제 1 이동부(234)의 가이드레일(234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의 이동에 의해 상기 보호필름(F)이 잡아당겨지므로, 상기 박리유닛(230)이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한 경우 상기 보호필름(F)을 편광판(P)으로부터 완전 박리할 수 있다.(S6) 따라서 원통형 플레이트(220)에는 편광판(P)만이 부착되어 있게 된다.
이어서, 도 9d와 같이, 제 1 이동부(234)의 중앙에 배치된 보호필름 이동부(미도시)의 움직임에 따라 박리된 보호필름(F)은 후방으로반송된다. 상기 박리된 보호필름(F)은 보호필름 회수부(미도시)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박리유닛(230)이 제 2 이동부(236) 상에서 소정 간격만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씩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1mm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점선은 이동하기 전 박리유닛(230)의 위치이며, 화살표 방향이 박리유닛(230)의 이동방향이다. (S7)
그 후, 도 9e와 같이, 상기 제 2 이동부(236)는 제 1 이동부(234)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할 수 있다.(S9) 이어서 원통형 플레이트(220)에 부착되어 회전되는 그 다음 편광판(P)에 대하여 동일한 박리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도 9f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이 1mm씩 이동하다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한계지점에 다다른 경우 다시 최초의 위치로 원위치할 수 있다.(S8) 이때, 상기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한계지점은 최초 위치로부터 200mm떨어진 지점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박리유닛(230)이 최초의 위치로부터 200mm 진행한 경우 다시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상기 박리유닛(230)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한계지점이며,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이 원위치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 외에도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이 200mm만큼 진행한 뒤에 바로 원위치하지 않고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다시 1mm씩 이동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검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231, 232)이 제 2 이동부(236) 상에서 왕복이동하면서, 박리롤러(271)가 박리과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점착패드(226)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앞에서 설명한 1mm와 200mm는 박리장치의 설계 및 사이즈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으로서 다른 값을 가지는 경우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박리유닛(230)은 보호필름(F)을 박리하기 위한 유동거리내에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이동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유용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모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 2 이동부(236)는 상기 박리유닛(230)을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제 2 이동부(236)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다른 도면을 통하여 검토해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이동부는 실린더가 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는 실린더 하우징(375), 피스톤(374), 이동축(373), 박리유닛 고정부(371), 연결부(3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하우징(375)은 높은 강도를 갖는 스틸(steel)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스톤(374)이 삽입된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피스톤(374)을 기준으로 실린더 하우징(375)의 내부공간은 제 1 챔버(376)와 제 2 챔버(377)로 나뉘어진다.
상기 피스톤(374)은 상기 실린더보다 무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실린더 하우징(375)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축(373)은 피스톤(374)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피스톤(374)의 운동에 의해 신장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기계적인 일을 할 수 있다. 상기 이동축(373)은 무게 저감을 위해 중공(中空)의 파이프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축(373)의 일 영역에 배치된 박리유닛 고정부(371)와 연결부(372)는 박리유닛(330)을 이동축(373)에 고정하여 상기 이동축(373)의 움직임에 따라 박리유닛(330)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도록한다. 상기 도면에서 점선 부분은 박리유닛(330)이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제 2 이동부는 복수의 회전봉(482)이 될 수 있다.
상기 회전봉(482)은 제 2 실시예인 볼 스크류의 길이방향과 수직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회전봉(482)이 박리유닛(430)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박리유닛(4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회전봉(482)에는 볼 스크류와 달리 나선홈이 없으며 매끈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482)은 회전봉(482)을 회전축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대(481)를 양 측면에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대(481)의 내부에는 복수의 회전봉(482)을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전봉(482)과 실린더 외에 리니어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니어모터 역시 이동축과 이동자를 포함하여, 상기 박리유닛(430)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리니어모터의 경우 볼 스크류, 실린더 보다 더욱 정밀한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제 2 이동부의 실시예들은 몇가지 예시들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박리유닛을 이동하는 수단으로서 유용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발명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한다.
그리고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은 패턴 리타더(Patterned Retarder)에 부착된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것으로 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은 입체영상표시장치 제조방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을 도 3으로 설명된 표시장치 제조방법에 도입하되, 상기 편광판 대신 패턴 리타더(Patterned Retarder)를 원통형 플레이트에 회전시키고, 표시패널을 입체영상 표시패널로 대체하는 경우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3D 디스플레이의 관심과 개발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 3D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술은 날이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3D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은 패턴 리타더가 정밀하게 제공되고 부착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은 정밀한 공정으로 3D 장치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 3D 시장 경쟁력에 큰 힘을 불어넣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20, 220 : 원통형 플레이트 126, 226 : 점착패드
130, 230 : 박리유닛 131, 231 : 제 1 박리유닛
132, 232 : 제 2 박리유닛 133 : 박리유닛 고정부
134 : 박리유닛 이동부 234 : 제 1 이동부
236 : 제 2 이동부

Claims (27)

  1. 전면(前面)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필름부재를 외주면에 부착시키고,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시키는 원통형 플레이트;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상기 필름부재로부터 박리하는 박리롤러; 및 상기 박리된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홀딩하는 클램프;로 구성되는 박리유닛; 및
    상기 박리유닛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전면을 박리하는 제 1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리유닛은 상기 박리롤러가 박리과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도록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되, 상기 박리유닛이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 2 이동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는 상기 박리유닛을 균일한 간격씩 이동시키되, 상기 박리유닛이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유동거리 내에서 왕복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는 볼 스크류, 실린더, 리니어모터, 복수의 회전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는 상기 박리유닛의 하부와 접촉하며, 상기 박리유닛의 이동방향으로 배치된 볼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볼 스크류의 양 측부에서 상기 박리유닛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 및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서보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은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 측부의 동일선상에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반송유닛, 제 2 반송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는 상기 제 1 반송유닛 및 제 2 반송유닛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mm씩 이동시키되, 상기 각 박리유닛이 최초 위치에서 200mm이동한 경우 상기 각 반송유닛을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부는 상기 제 1 반송유닛 및 제 2 반송유닛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mm씩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각 박리유닛이 최초위치에서 200mm이동한 경우 상기 각 반송유닛이 이동하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각 반송유닛을 1mm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는 상기 외주면에 도포된 점착패드를 통하여 상기 필름부재를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는 패턴 리타더(Patterned Retarder)를 부착시키고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은 상기 필름부재의 접착막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장치.
  12. 전면(前面)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필름부재를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필름부재를 회전하는 단계;
    박리유닛의 박리롤러를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접착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박리하는 단계;
    상기 박리된 보호필름의 일면을 상기 박리유닛의 클램프에 홀딩하는 단계;
    상기 박리유닛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전면을 박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박리롤러가 박리공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도록 상기 박리유닛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박리과정마다 균일한 간격씩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되, 상기 박리유닛이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유동거리 내에서 왕복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은 동일선상에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박리유닛 및 제 2 박리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박리유닛 및 제 2 박리유닛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mm씩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각 박리유닛이 최초 위치에서 200mm이동한 경우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mm씩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각 박리유닛이 최초 위치에서 200mm이동한 경우 상기 각 박리유닛이 이동하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1mm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박리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 실린더, 리니어모터, 복수의 회전봉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박리유닛의 하부에 상기 볼 스크류가 설치되며, 서보 모터가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박리유닛이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 후 또는 상기 보호필름의 전면을 박리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박리유닛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점착패드를 도포하여 상기 필름부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재는 패턴 리타더(Patterned Reta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필름부재의 접착막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필름 박리방법.
  23. 원통형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접착막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필름이 전면(前面)에 부착된 패턴 리타더(Patterned Retarder)의 배면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를 회전하여 상기 패턴 리타더를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에서 박리유닛의 박리롤러를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에 접착시키고 회전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을 박리하는 단계;
    상기 박리된 보호필름의 일면을 상기 박리유닛의 클램프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박리유닛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보호필름의 전면을 박리하는 단계;
    상기 박리롤러가 박리과정마다 다른 위치에서 보호필름을 박리하도록 상기 박리유닛을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외주면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보호필름이 박리된 패턴 리타더를 회전시키고, 상기 원통평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입체영상 표시패널의 전면에 상기 패턴 리타더를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박리유닛을 균일한 간격씩 이동시키되, 상기 박리유닛이 상기 보호필름을 박리하기 위한 유동거리 내에서 왕복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은 상기 원통형 플레이트의 측부의 동일선상에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 1 박리유닛 및 제 2 박리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박리유닛 및 제 2 박리유닛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제조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mm씩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각 박리유닛이 최초 위치에서 200mm이동한 경우 원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제조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유닛을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및 제 2 박리유닛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1mm씩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각 박리유닛이 최초 위치에서 200mm이동한 경우 상기 각 박리유닛이 이동하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1mm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패널 제조방법.
KR1020110127171A 2011-11-30 2011-11-30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KR10181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171A KR101818473B1 (ko) 2011-11-30 2011-11-30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CN201210495345.XA CN103129095B (zh) 2011-11-30 2012-11-28 剥离保护膜的装置和方法及制造立体图像显示装置的方法
US13/690,669 US9289970B2 (en) 2011-11-30 2012-11-30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171A KR101818473B1 (ko) 2011-11-30 2011-11-30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879A true KR20130060879A (ko) 2013-06-10
KR101818473B1 KR101818473B1 (ko) 2018-01-16

Family

ID=4846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171A KR101818473B1 (ko) 2011-11-30 2011-11-30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박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89970B2 (ko)
KR (1) KR101818473B1 (ko)
CN (1) CN10312909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739A (ko) * 2015-03-06 2016-09-20 (주)이노시엠 세라믹 시트 박리 장치
KR20190079024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20200082589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
KR20210037766A (ko) * 2019-09-27 2021-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시트 및 이형 필름의 박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4282B2 (en) 2008-06-24 2015-06-02 Extremity Medical Llc Intraosseous intramedullary fixation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202062786U (zh) * 2011-06-02 2011-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离型膜回收检测装置及离型膜回收设备
DE102014214570A1 (de) * 2014-07-24 2016-01-28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chadstellenausbesserung an Faserverbundbauteilen
CN105799303A (zh) * 2014-12-29 2016-07-2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自动撕膜机
CN104647876A (zh) * 2015-01-29 2015-05-27 苏州光宝康电子有限公司 一种无胶带快速撕膜机构
CN104924733B (zh) 2015-05-15 2017-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膜层剥离装置和膜层剥离方法
CN105204194B (zh) * 2015-08-28 2018-02-02 东莞市联洲知识产权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辊式偏光片剥离装置的转动辊装置
JP6665021B2 (ja) * 2016-05-10 2020-03-1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メカニクス フィルム剥離装置
KR102532626B1 (ko) * 2016-06-02 2023-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박리 장치 및 방법
CN108279344A (zh) * 2018-01-30 2018-07-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显示模组的静电测试装置
KR20200110488A (ko) * 2019-03-13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시트 및 보호필름 박리방법
WO2021107214A1 (ko) * 2019-11-29 2021-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US11130329B2 (en) * 2020-02-07 2021-09-28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a liner away from a substrate
CN111524860A (zh) * 2020-05-26 2020-08-11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柔性基板的机械剥离方法及装置
CN111613625A (zh) * 2020-05-26 2020-09-01 信利半导体有限公司 柔性基板及其机械剥离方法
KR102359154B1 (ko) * 2020-06-24 2022-02-08 한국전력공사 전력설비 자율진단 로봇
KR20220112592A (ko) 2021-02-04 2022-08-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그 보호필름의 박리방법
JP2022124709A (ja) * 2021-02-16 2022-08-26 株式会社ディスコ 剥離装置
KR20220121031A (ko) 2021-02-24 2022-08-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보호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그 보호필름의 박리방법
KR102555923B1 (ko) 2021-09-10 2023-07-18 임흥규 원통형 코어에 점착된 보호필름의 박리를 위한 보호필름 박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박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8503A3 (nl) * 1994-07-18 1996-05-07 Agfa Gevaert Nv Initiatie van de delaminatie van een droog verwerkbaar beeld.
US8142610B2 (en) * 2004-01-21 2012-03-27 Panasonic Corporation Film peeling method and film peeling device for display panel
JP4054359B2 (ja) * 2004-07-02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ィルム剥離方法と装置
JP2007094044A (ja) * 2005-09-29 2007-04-12 Yodogawa Medekku Kk 偏光板の離型膜剥離装置
KR20080072183A (ko) * 2007-02-01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박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89730A (ko) * 2007-04-02 200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판의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JP2010089905A (ja) * 2008-10-08 2010-04-22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保護膜剥離装置及び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4889057B2 (ja) * 2009-09-25 2012-02-29 株式会社Fuk フィルム貼付装置
KR101254749B1 (ko) * 2010-10-12 2013-04-15 (주)와이티에스 입체영상표시패널의 제조장치
KR20120137868A (ko) * 2011-06-13 2012-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패널용 보호 필름 제거 장치 및 보호 필름 제거 방법
KR101857288B1 (ko) * 2011-08-26 2018-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기판으로부터 도너 필름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8756783B2 (en) * 2011-11-29 2014-06-24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of fully, automatically removing a polarizer of an LCD panel
ES2530369T3 (es) * 2012-03-20 2015-03-02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Aparato y procedimiento de supresión del revestimiento de un peso de compensación autoadhesivo
KR101929527B1 (ko) * 2012-09-17 2018-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필름 박리 장치
KR102069851B1 (ko) * 2013-03-26 2020-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라미네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라인 열전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739A (ko) * 2015-03-06 2016-09-20 (주)이노시엠 세라믹 시트 박리 장치
KR20190079024A (ko) * 2017-12-27 2019-07-0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20200082589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
KR20210037766A (ko) * 2019-09-27 2021-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패널 하부 시트 및 이형 필름의 박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29095A (zh) 2013-06-05
CN103129095B (zh) 2015-05-27
US9289970B2 (en) 2016-03-22
US20130133839A1 (en) 2013-05-30
KR101818473B1 (ko)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0879A (ko) 보호필름 박리장치,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 제조방법
EP2743760B1 (en) Apparatus for side surface sealing of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5134523B2 (ja)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およ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831430B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KR102172312B1 (ko) 접합 장치, 접합 방법,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시스템 및 광학 표시 디바이스의 생산 방법
KR10234473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분리장치
KR101835511B1 (ko) 광학판 부착장치
KR100796371B1 (ko)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KR101265277B1 (ko) 패널 부착장치
KR20190078799A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0901498B1 (ko) 기판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US9687951B2 (en) Grin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129032B1 (ko) 점착척 클리닝장치 및 방법
KR20190097763A (ko) 보호필름 박리방법 및 박리장치
JP2003233079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0371807C (zh) 制造lcd的方法
US8961728B2 (en) Film attaching apparatus and film attac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57627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접착장치
JP2005249886A (ja) 電気光学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0417802Y1 (ko) 편광판 보호필름 제거장치
KR101663049B1 (ko) 자동 얼라인이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 조립장치
KR101045623B1 (ko) 기판 합착기
JP2007210265A (ja)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WO2015030113A1 (ja) フィルム貼合装置、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及び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方法
KR102009487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합착 장치 및 합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