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955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955A
KR20130057955A KR1020120133693A KR20120133693A KR20130057955A KR 20130057955 A KR20130057955 A KR 20130057955A KR 1020120133693 A KR1020120133693 A KR 1020120133693A KR 20120133693 A KR20120133693 A KR 20120133693A KR 20130057955 A KR20130057955 A KR 2013005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branch
travel
branch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806B1 (ko
Inventor
다이스케 오가와
스구루 시바타
아쓰시 오타니
도모타카 기누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3005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5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물품 반송차(搬送車)의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가이드 부재가, 천정측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 가이드 부재는, 물품 반송차가 같은 방향을 향해 주행하는 복수의 주행 경로(4A, 4B)를,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주행 경로(4A, 4B)에서의 인접하는 한쌍의 주행 경로(4A, 4B) 중 한쪽인 제1 주행 경로(4A)와 다른 쪽인 제2 주행 경로(4B)를 접속하는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를 형성한다. 제1 분기 경로(5A)와 제2 분기 경로(5B)가, 평면에서 볼 때 주행 경로(4A, 4B)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 반송차(搬送車)의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가이드 부재가, 천정측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물품 반송차가 같은 방향을 향해 주행하는 복수의 상기 주행 경로가,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고, 또한 복수의 상기 주행 경로에서의 인접하는 한쌍의 주행 경로 중 한쪽인 제1 주행 경로와 다른 쪽인 제2 주행 경로를 접속하는 제1 분기(分岐)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가 형성된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는, 예를 들면, 청정실(淸淨室) 내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실리콘 기판 등의 기판을 수납하는 수납 용기를 물품으로서 반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예를 들면, 복수의 주행 경로 중 하나가, 기판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搬出入部)를 경유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물품 반송차가 물품을 복수의 기판 처리 장치에 대하여 반송한다. 그리고, 하나의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에 대응하는 개소(箇所)에 정지하고 있어도, 후속의 물품 반송차는, 다른 주행 경로를 주행함으로써,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차를 추월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후속의 물품 반송차는, 복수의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를 경유하는 1개의 주행 경로에 상기 다른 주행 경로로부터 분기하여 주행함으로써, 물품의 반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는, 승강 가능한 물품 파지부(把持部)를 구비하여,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에 대하여 물품을 이송탑재할 때는,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에 대응하는 개소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물품 파지부를 승강시킨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282303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이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가, 평면에서 볼 때, 인접하는 한쌍의 주행 경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한쌍의 주행 경로 중, 한쪽의 주행 경로가 2개의 기판 처리 장치의 반출입부를 경유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이 한쪽의 주행 경로를 제1 주행 경로라고 하면, 특허 문헌 1에는, 이 제1 주행 경로로부터 다른 쪽의 제2 주행 경로로 물품 반송차를 분기 주행시키는 제1 분기 경로를, 인접하는 기판 처리 장치의 사이에 상당하는 개소에 설치하고, 제2 주행 경로로부터 제1 주행 경로로 물품 반송차를 분기 주행시키는 제2 분기 경로를, 2개의 기판 처리 장치 중 반송 상류측의 기판 처리 장치보다 반송 상류측에 상당하는 개소에 설치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는,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가, 평면에서 볼 때, 인접하는 한쌍의 주행 경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개소에 설치되므로,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설치하는 개소를 정하면서 설비를 책정하는 설비 책정 작업이 번거로운 작업으로 되는 문제나, 물품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즉,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와의 설치 개소는, 물품의 반송원(搬送元)으로부터 물품의 반송선(搬送先)에 이르는 각종 주행 예정 루트를 상정(想定)하면서, 물품의 반송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주행 예정 루트를 확보할 수 있는 개소로 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각종 주행 예정 루트를 상정하면서,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와의 설치 개소를 정하는 작업은, 한쌍의 주행 경로의 각각의 곳에 대하여, 제1 분기 경로를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한 경우와 제2 분기 경로를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한 경우를 비교 검토하면서 행하게 되므로, 수고를 요하는 번거로운 작업으로 되어, 설비 책정 작업이 번거로운 작업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쌍의 주행 경로의 특정 구간에 있어서는, 제1 주행 경로로부터 제2 주행 경로로의 분기 주행과 제2 주행 경로로부터 제1 주행 경로로의 분기 주행의, 모두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이, 반송 거리가 짧아져, 물품의 반송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특정 구간이 짧으면,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 중 한쪽 밖에 설치할 수 없으므로, 물품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상기한 특정 구간이,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배열하여 설치하는 정도의 길이인 경우에는, 1개의 특정 구간에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분기 개소 및 합류 개소에서는, 안전성의 확보 등의 이유에 의해, 물품 반송차의 주행 속도를 저하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와의 설치 개소가 증가하면, 물품 반송차를 저속으로 주행시키는 구간이 증가한다. 그 결과, 1개의 특정 구간에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설치하는 것 경우에도, 물품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282303호 공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비를 책정하는 설비 책정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의 실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는,
천정측에 설치되고, 물품 반송차의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주행 가이드 부재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같은 방향을 향해 주행하는 복수의 상기 주행 경로를,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상기 주행 경로에서의 인접하는 한쌍의 주행 경로 중 한쪽인 제1 주행 경로와 다른 쪽인 제2 주행 경로를 접속하는 제1 분기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분기 경로는, 상기 제1 주행 경로로부터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상기 물품 반송차가 분기 주행하는 분기 경로이며, 상기 제2 분기 경로는, 상기 제2 주행 경로로부터 상기 제1 주행 경로에 상기 물품 반송차가 분기 주행하는 분기 경로이며,
상기 제1 분기 경로와 상기 제2 분기 경로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주행 경로 및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가,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므로,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한쌍의 주행 경로에 대하여, 같은 개소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의 반송원으로부터 물품의 반송선에 이르는 각종 주행 예정 루트를 상정하면서,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와의 설치 개소를, 물품의 반송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주행 예정 루트를 확보할 수 있는 개소로 정할 때, 한쌍의 주행 경로의 각각의 개소에, 제1 분기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를 동시에 설치한 경우를 가정하면서, 물품의 반송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주행 예정 루트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가 필요한 개소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각종 주행 예정 루트를 상정하면서,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와의 설치 개소를 정하는 작업이 간단한 작업으로 되어, 설비 책정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한쌍의 주행 경로에 대하여, 주행 방향에서 같은 개소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반송 거리의 단축화를 위해, 제1 주행 경로로부터 제2 주행 경로로의 분기 주행과 제2 주행 경로로부터 제1 주행 경로로의 분기 주행의, 모두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이 바람직한 개소에 있어서는,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병설(倂設)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송 거리의 단축화에 의해, 물품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는, 한쌍의 주행 경로에 대하여, 같은 개소에 설치되므로, 같은 수의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한쌍의 주행 경로의 길이 방향의 상이한 개소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분기 및 합류를 위해 저속으로 주행시키는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분기 개소 및 합류 개소에 있어서, 안전성의 확보 등의 이유에 의해, 물품 반송차의 주행 속도를 저하시키는 경우라도, 물품의 반송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설비를 책정하는 설비 책정 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물품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주행 경로가, 평면에서 볼 때 복수 겹의 환형(環形)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수의 주행 경로에서의, 내외에 인접하는 환형의 한쌍의 주행 경로의 사이에,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가,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한쌍의 주행 경로 중 한쪽의 주행 경로(예를 들면, 제2 주행 경로)를, 물품 반송차를 연속적으로 주행시키는 연속 주행용의 주행 경로로서 사용하고, 다른 쪽의 주행 경로(예를 들면, 제1 주행 경로)를, 물품의 이송탑재(transfer)를 위해 물품 반송차를 물품 이송탑재 개소에서 정지시키는 물품 이송탑재용의 주행 경로로서 사용함으로써, 연속 주행용의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를, 물품의 이송탑재를 위해, 물품 이송탑재용의 주행 경로로 분기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물품의 이송탑재가 종료된 물품 반송차를, 연속 주행용의 주행 경로로 분기 주행시켜 주행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로써, 복수의 물품 반송차를 양호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은, 물품 이송탑재용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복수의 물품 이송탑재 개소가 설치되므로, 그에 맞추어,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를 복수 개소에 설치함으로써, 물품 이송탑재용의 주행 경로에, 물품 이송탑재를 위해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차가 존재해도, 연속 주행용의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를 목적으로 하는 물품 이송탑재 개소로 분기 주행시키는 것을, 물품 이송탑재를 위해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차를 추월하여 주행시키는 형태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의 이송탑재가 종료된 물품 반송차를 연속 주행용의 주행 경로에 분기 주행시키는 것을, 물품 이송탑재를 위해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차를 추월하여 주행시키는 형태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물품 반송차를 양호하게 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행부와, 그 주행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 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주행부에, 좌우의 주행륜, 및 상하 축심(軸心) 주위에서 회전하는 좌우의 안내륜이 구비된 물품 반송차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주행 경로 및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각각에 대응하여,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는, 상기 주행륜이 주행하는 주행면 및 상기 안내륜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상기 제1 분기 경로 및 상기 제2 분기 경로가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는 분기측 레일부가,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입구부와 상기 제2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1 분기 경로의 출구부와의 사이의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 및 출구측 부분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분기 경로와 상기 제2 분기 경로와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 분단된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주행 경로 또는 상기 제2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로 분기 주행시키는 분기 주행 상태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非)분기 주행 상태로,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상태를 전환하는 주행 방향 전환 기구와,
상기 제1 주행 경로 또는 상기 제2 주행 경로에서의 상기 분기 경로 형성 영역을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분기측 레일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물품 반송차를 안내하는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와,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에서의 상기 분기측 레일부의 비(非)존재 영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catch)하여 지지하는 보조 캐치 기구와,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의 좌우 방향에서의 경사를 억제하도록, 상기 물품 반송차를 안내하는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품 반송차의 주행부가, 주행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주행하는 구성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이, 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는 상태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구비한다. 그러므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의 사이의 공간을,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懸垂)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揷通)되는 공간으로서 이용되면서, 물품 반송차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주행부에 장비한 좌우의 주행륜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의 주행면을 주행하고, 또한 주행부에 장비한 좌우의 안내륜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의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것에 의해, 주행부의 가이드 레일에 대한 위치가 적절 위치에 규제된 상태로 되어, 물품 반송차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적절히 주행시킬 수 있다.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제1 분기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가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는 분기측 레일부가,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의 입구부와 제2 분기 경로 또는 제1 분기 경로의 출구부와의 사이의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는,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 및 출구측 부분을 따르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킬 때,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분기측 레일부의 주행면을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분기측 레일부가,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와의 교차 영역에 의해 분단된 상태로 되므로, 그 분단된 공간을, 주행부에 대하여 물품 유지부를 현수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 또는 물품 유지부의 상측 부분이 삽통되는 공간으로서 이용하여,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향해 분기시키는 분기 주행 상태와, 물품 반송차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非)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는 주행 방향 전환 기구(機構)가 장비되어 있으므로,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를, 계속,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를 주행시키는 비분기 주행 상태와,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향해 분기시켜 주행시키는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에서의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로부터 이격(離隔)되는 쪽에 위치하는 레일부는 존재하지만, 분기측 레일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의 안내 작용에 의해,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분기측 레일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킬 때, 분기측 레일부가 존재하는 영역에 있어서는,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분기측 레일부의 주행면을 주행시킬 수 있을 뿐, 분기측 레일부의 비(非)존재 영역에 있어서는,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을 캐치하여 지지할 수 없다. 이 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보조 캐치 기구에 의해, 물품 반송차를 캐치하여 지지할 수 있다.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킬 때는,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분기측 레일부의 주행면을 주행시킬 수 있을 뿐, 좌우의 주행륜 중, 분기측 레일부를 주행하지 않는 측의 주행륜이 부상(浮上) 상태로 된다. 이 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의 안내 작용에 의해,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가, 부상 상태의 주행륜이 존재하는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에서의 경사가 억제된 상태로,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주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분기측 레일부가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 및 출구측 부분을 따르도록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주행 방향 전환 기구,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 보조 캐치 기구, 및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를 분기시키지 않고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를 따라 직진 주행시키는 것이나,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결과, 물품 반송차를 분기시키지 않고 제1 주행 경로나 제2 주행 경로를 따라 직진 주행시키는 비분기 주행 형태,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키는 제1 분기 주행 형태, 및 물품 반송차를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키는 제2 분기 주행 형태로 전환하는 것을, 간소한 구성에 의해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예를 들면, 비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와, 제1 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와, 제2 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와의 각각을, 물품 반송차를 안내하기 위해 주행 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안내 작용 위치와 주행 경로로부터 퇴피(退避)시킨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 조작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비분기 주행 형태, 제1 분기 주행 형태, 및 제2 분기 주행 형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비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는, 비분기 주행 형태에 있어서,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레일부이며, 제1 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는, 제1 분기 주행 형태에 있어서,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레일부이며, 제2 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는, 제2 분기 주행 형태에 있어서,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레일부이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에는, 비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 제1 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 및 제2 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가, 대형의 프레임체로 되는 것에도 관계없이, 그와 같은 대형의 프레임체의 각각을, 위치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그 지지 구성이, 대규모이며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전체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구성의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의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설치 상태로 유지하면서, 비분기 주행 형태, 제1 분기 주행 형태, 및 제2 분기 주행 형태로 전환하는 구성이므로, 대형의 프레임체를 위치 변경 조작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비분기 주행 형태, 제1 분기 주행 형태, 및 제2 분기 주행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 즉 물품 반송차를 분기시키지 않고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를 따라 직진 주행시키는 것이나,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물품 반송차를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키는 것을 행하기 위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를 분기시키지 않고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를 따라 직진 주행시키는 것이나,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키는 것을 행하기 위한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상기 제1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상기 제1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출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및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상기 제1 분기 경로의 출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응시켜, 제1 가동 레일 및 제2 가동 레일의 한쌍의 가동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이, 상기 제1 가동 레일을 상기 제1 입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상기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제2 가동 레일을 상기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상기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와, 상기 제1 가동 레일 및 상기 제2 가동 레일의 한쪽을 상기 제2 입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상기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제1 가동 레일 및 상기 제2 가동 레일의 다른 쪽을 상기 제1 출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상기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배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캐치 기구가,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에 의해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제1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제1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제2 분기 경로의 출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제2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제2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및 제2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제1 분기 경로의 출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응시켜, 한쌍의 가동 레일이 설치되고, 이 한쌍의 가동 레일이, 제I 분기 경로 형성 상태 및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전환된다.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는, 제1 가동 레일이, 제1 입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제2 가동 레일이,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입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가동 레일과,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가동 레일을, 서로 대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의 한쪽 주행륜이,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및 가동 레일을 순차적으로 주행하고, 다른 쪽 주행륜이, 가동 레일 및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을 순차적으로 주행한다. 그러므로, 제1 분기 경로에서의 분기측 레일부의 비존재 영역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를 캐치하여 지지할 수 있고, 또한 대향하는 한쌍의 가동 레일에 의해 좌우의 주행륜을 동시에 캐치하는 구간이 존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는, 제1 가동 레일 및 제2 가동 레일의 한쪽이, 제2 입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제1 가동 레일 및 제2 가동 레일의 다른 쪽이, 제1 출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2 입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가동 레일과, 제1 출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제2 경로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가동 레일을, 서로 대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의 한쪽의 주행륜이,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및 가동 레일을 순차적으로 주행하고, 다른 쪽의 주행륜이, 가동 레일 및 제1 출구측 레일 부분을 순차적으로 주행한다. 그러므로, 제2 분기 경로에서의 분기측 레일부의 비존재 영역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를 캐치하여 지지할 수 있고, 또한 대향하는 한쌍의 가동 레일에 의해 좌우의 주행륜을 동시에 캐치하는 구간이 존재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캐치 기구가, 한쌍의 가동 레일에 의해 물품 반송차를 캐치함으로써,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에서의 분기측 레일부의 비존재 영역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를 캐치하여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제1 분기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 모두, 가동 레일에 탑재 지지되는 구간이 존재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분기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가동 레일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좌우의 주행륜에 더하여, 분기측 레일부를 주행하는 보조 차륜을 설치함으로써, 보조 캐치 기구를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동 레일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조 차륜을 설치하도록 해도, 주행부는, 좌우 방향의 한쪽만이 분기측 레일부에 의해 탑재되는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에 의해 물품 반송차를 안내할 수 있지만,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한쌍의 가동 레일을 설치하여, 제1 분기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주행부 좌우의 주행륜이 모두, 가동 레일에 탑재 지지되는 구간이 존재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분기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의 자세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기 주행륜보다 위쪽에, 경로 전환용의 피(被)안내체를 구비하고,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은, 상기 분기 주행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분기용 안내면, 및 상기 비분기 주행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비분기용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방향 전환 기구가, 상기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와,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상태를 상기 분기 주행 상태와 상기 비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가, 상기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분기측 레일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행부의 주행륜보다 위쪽에 장비한 경로 전환용의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에, 제1 주행 경로 또는 제2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의 주행 방향을 제1 분기 경로 또는 제2 분기 경로를 향해 분기시키는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분기용 안내면, 및 비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비분기용 안내면이 구비된다.
그리고, 주행 방향 전환 기구가,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피안내체가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와, 피안내체가 비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분기 주행 상태와 비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비분기용 안내면이, 물품 반송차가 분기측 레일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가, 비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것에 의해, 물품 반송차가 분기측 레일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한다.
즉, 피안내체 및 상부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여 주행 방향 전환 기구를 구성하는 것에 더하여, 피안내체 및 상부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여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피안내체 및 상부 가이드 레일을 유효하게 이용한 간소한 구성에 의해, 주행 방향 전환 기구 및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행 방향 전환 기구 및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분기용 안내면으로서,
상기 제1 입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상기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상기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상기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상기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상기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상기 제2 입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상기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상기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상기 제1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상기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상기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가,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분기 경로를 주행할 때는, 상기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상기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고, 또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할 때는, 상기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상기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상기 물품 반송차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가이드 레일에 구비하게 하는 분기용 안내면으로서,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가, 물품 반송차가 제1 분기 경로를 주행할 때는,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피안내체를 캐치하고, 또한 물품 반송차가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할 때는,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물품 반송차를 안내한다.
즉, 물품 반송차가 제1 분기 경로를 주행할 때는,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피안내체를 캐치함으로써, 제1 입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고, 및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피안내체를 캐치함으로써,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가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할 때는,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피안내체를 캐치함으로써, 제2 입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고, 및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피안내체를 캐치함으로써, 제1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주행 방향 전환 기구 및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를 구성하기 위해 장비되어 있는 피안내체 및 상부 가이드 레일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에서의 상기 분기용 안내면을 형성하는 부분 중 일부의 자세 변경부가, 상기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과 상기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을 상기 제1 분기 경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과 상기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을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는 제2 상태로, 배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킬 때는, 자세 변경부를 제1 상태로 전환하고, 물품 반송차를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킬 때는, 자세 변경부를 제2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피안내체를 상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정확하게 캐치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 분기 경로와 제2 분기 경로는,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므로, 자세 변경부를 장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과 제2 일구측 분기용 안내면과의 사이에, 물품 반송차가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피안내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과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과의 사이에, 물품 반송차가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피안내체를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세 변경부를 장비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가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캐치되어 있는 피안내체가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캐치되는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 적절하게 행해지지 않는 우려나, 물품 반송차가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주행할 때,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캐치되어 있는 피안내체가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캐치되는 상태로 변화되는 것이 적절하게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킬 때는, 자세 변경부를 제1 상태로 전환하여,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과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을 제1 분기 경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도록 하여,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캐치되어 있는 피안내체가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캐치되는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를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킬 때는, 자세 변경부를 제2 상태로 전환하여,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과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을 제2 분기 경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도록 하여,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캐치되어 있는 피안내체가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캐치되는 상태로 변화되는 것을, 적절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요컨대,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물품 반송차를 제1 분기 경로나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분기 주행시킬 때, 피안내체를 상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정확하게 캐치 안내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 설비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상기 자세 변경부에 연계된 1개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을 상기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자세 변경부를 상기 제1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상태와,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을 상기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자세 변경부를 상기 제2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개의 구동 장치가,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자세 변경부에 연계되어, 그 1개의 구동 장치에 의해, 한쌍의 가동 레일을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자세 변경부를 제1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상태와, 한쌍의 가동 레일을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자세 변경부를 제2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구동 장치에 의해,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자세 변경부를 조작하여, 제1 분기 상태와 제2 분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자세 변경부를, 제1 분기 상태와 제2 분기 상태로 정확하게 전환할 수 있으면서도,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자세 변경부에 대한 조작 구성(구동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한쌍의 가동 레일의 각각에 대응하여 조작용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자세 변경부에 대응하여 조작용의 구동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자세 변경부를, 제1 분기 상태와 제2 분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에는, 3개의 구동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으므로,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자세 변경부에 대한 조작 구성이 복잡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자세 변경부에 대한 조작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물품 반송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물품 반송차의 일부 절결(切缺) 정면도이다.
도 4는 물품 반송차의 분기 개소에서의 주행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X자형 분기 개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개소의 상부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개소의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개소의 제2 분기 주행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상기 개소의 비분기 주행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개소의 제1 분기 주행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가동 레일의 구동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13은 자세 변경부의 구동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의 가동 레일의 구동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예의 X자형 분기 개소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개소의 기체(基體) 프레임의 장착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개소의 상부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개소의 가이드 레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2 분기 주행 상태의 자세 변경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2 분기 주행 상태의 가동 레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1 분기 주행 상태의 자세 변경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1 분기 주행 상태의 가동 레일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4는 자세 변경부의 구동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도 26은 가동 레일의 구동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결 측면도이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천정 설치형의 물품 반송 설비의 제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을 구비한 주행 가이드 부재 L이, 천정측(본 예에서는 청정실의 천정측)에 설치되고, 주행 가이드 부재 L을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는, 반도체 기판을 수납한 용기를 물품 B로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가이드 부재 L은, 물품 반송차(2)의 주행 경로(4)를 복수 형성하고, 또한 상이한 주행 경로(4)끼리를 접속하는 분기 경로(5A, 5B)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 가이드 부재 L은, 또한 복수의 물품 처리부 P를 경유하는 복수의 환형의 서브 주행 경로(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 가이드 부재 L은, 2개의 환형의 주행 경로(4)를 형성하고 있다.
2개의 환형의 주행 경로(4)는,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주행 경로(4)는, 복수 겹(본 예에서는 2겹)의 환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주행 경로(4)는,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는, 이들 2개의 주행 경로(4)를 같은 방향을 향해 주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의 주행 방향을,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또한, 2개의 환형의 주행 경로(4)의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4개의 코너부를 원호형으로 한 장방형상(長方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2겹의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주행 경로(4) 중 내측의 주행 경로(4)를, 제1 주행 경로(4A)라고 하고, 외측의 주행 경로(4)를 제2 주행 경로(4B)라고 한다.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단지, 주행 경로(4)라고 기재한다.
2겹의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주행 경로(4)의 사이에는, 제1 주행 경로(4A)로부터 제2 주행 경로(4B)로 물품 반송차(2)가 분기 주행하는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주행 경로(4B)로부터 제1 주행 경로(4A)로 물품 반송차(2)가 분기 주행하는 제2 분기 경로(5B)가, 주행 가이드 부재 L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의 각각은, 제1 주행 경로(4A)와 제2 주행 경로(4B)를 접속하는 분기 경로이다.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는, 평면에서 볼 때 주행 경로(4)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분기 경로(5A)와 제2 분기 경로 B는,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에 의해, X자형 분기 개소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그 X자형 분기 개소가, 주행 경로(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의 구체적 구성, 즉 X자형 분기 개소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1 주행 경로(4A)에서의 좌우 한쌍의 장변(長邊) 상당 부분의 사이에는, 이들 장변 상당 부분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해 물품 반송차(2)를 단락(短絡) 주행시키는 단락 경로(6)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락 경로(6)는, 제1 주행 경로(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환형의 서브 주행 경로(3)는, 서로 평행한 한쌍의 직선 상당 부분의 양단끼리를 원호형 부분에 의해 접속한 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브 주행 경로(3)는, 평면에서 볼 때, 2개의 환형의 주행 경로(4)의 양측 옆에, 그 길이 방향을 주행 경로(4)의 길이 방향과 직교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 서브 주행 경로(3)는, 주행 경로(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된 상태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주행 경로(4) 중 제2 주행 경로(4B)로부터 서브 주행 경로(3)를 향해 물품 반송차(2)를 분기 주행시키는 분기 접속 경로(7A), 및 서브 주행 경로(3)로부터 제2 주행 경로(4B)를 향해 물품 반송차(2)를 합류 주행시키는 합류 접속 경로(7B)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대의 물품 반송차(2)가 장비되어 있고, 각 물품 반송차(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을 수납한 용기를 물품 B로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주행 경로(4A)의 내측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물품 B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복수의 보관부 R이, 제1 주행 경로(4A)의 길이 방향으로 및/또한 좌우로 배열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물품 처리부 P로서는, 반도체 기판에 대하여 상이한 처리를 행하는 복수 종류가 존재한다.
따라서, 각 물품 반송차(2)는, 물품 처리부 P로부터 수취한 물품 B를, 보관부 R이나 다른 처리를 행하는 물품 처리부 P로 반송하는 작업, 및 보관부 R로부터 수취한 물품 B를, 물품 처리부 P로 반송하는 작업을 행한다.
즉, 한쌍의 주행 경로(4) 중 제2 주행 경로(4B)를, 물품 반송차(2)를 연속적으로 주행시키는 연속 주행용의 주행 경로로서 사용하고, 제1 주행 경로(4A)를, 보관부 R과의 사이에서 물품 B를 이송탑재하기 위해 물품 반송차(2)를 물품 이송탑재 개소에서 정지시키는 물품 이송탑재용 주행 경로로서 사용한다.
그리고, 제2 주행 경로(4B)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보관부 R과의 사이에서 물품 B를 이송탑재할 때는, X자형 분기 개소에서, 제1 주행 경로(4A)로 분기 주행시킨다. 또한, 보관부 R 사이에서의 물품 B의 이송탑재가 종료된 물품 반송차(2)를, X자형 분기 개소에서, 제2 주행 경로(4B)로 분기 주행시킨다. 이와 같은 형태로, 복수의 물품 반송차(2)를 양호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주행 경로(4B)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물품 처리부 P와의 사이에서 물품 B를 이송탑재할 때는, 분기 접속 경로(7A)를 주행시켜 서브 주행 경로(3)로 분기시킨다. 또한, 물품 처리부 P 사이에서의 물품 B의 이송탑재가 종료된 물품 반송차(2)를, 합류 접속 경로(7B)를 주행시켜 제2 주행 경로(4B)에 합류 주행시킨다.
또한, 제1 주행 경로(4A)에는 복수의 물품 이송탑재 개소가 존재하고, X자형 분기 개소가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물품을 이송탑재하기 위해 제1 주행 경로(4A)에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차(2)가 존재해도, 제2 주행 경로(4B)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목적으로 하는 물품 이송탑재 개소로 주행시키기 위해 제1 주행 경로(4A)로 분기 주행시키는 것을, 물품 이송탑재를 위해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차(2)를 추월하여 주행시키는 형태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물품 B의 이송탑재가 종료된 물품 반송차(2)를 제1 주행 경로(4A)로부터 제2 주행 경로(4B)로 분기 주행시키는 것을, 물품 이송탑재를 위해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차(2)를 추월하여 주행시키는 형태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행 경로(4A)에는, 복수의 단락 경로(6)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이들 단락 경로(6)를 통해 물품 반송차(2)를 주행시킴으로써, 반송원으로부터 반송선까지의 반송 거리를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주행 가이드 부재 L은, 주행 경로(4)나 서브 주행 경로(3)를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1)을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은, 주행 레일용 지지체(8)에 의해 천정부에 현수 상태로 설치된다. 주, 가이드 레일(1)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가로 폭 방향(즉,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는 상태로 좌우 한쌍의 레일부(1a)를 구비한다. 주행 가이드 부재 L은, 제1 주행 경로(4A) 및 제2 주행 경로(4B)의 각각에 대응하여, 좌우 한쌍의 레일부(1a)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주행 경로(4A) 및 제2 주행 경로(4B)를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에 대해서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중,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가 존재하는 측에 배치되는 레일부(1a)를, 분기측 레일부(1A)라고 기재하고,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로부터 이격되는 쪽에 배치되는 레일부(1a)를, 이격측 레일부(1B)라고 기재한다.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는, 단지, 레일부(1a)라고 기재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을, 차체 가로 폭 방향이라고 하고,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을, 차체 전후 방향이라고 하고, 물품 반송차(2)의 상하 방향을, 차체 상하 방향이라고 한다.
물품 반송차(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가이드 부재 L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차체 본체부(9)와, 주행 가이드 부재 L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 본체부(9)에는, 물품 B를 현수한 상태로 파지하는 파지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부(10)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전방 주행부(10F)와 후방 주행부( 10R)를 구비하고, 이들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을 따르는 연결축(12)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의 사이를 통해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본체부(9)가,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 대하여, 연결축(12)의 축심 주위에서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축(12)에 의해 현수 지지되어 있다.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는, 전동식의 구동 모터(13)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좌우의 주행륜(14)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b)의 각각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주행면을 주행하는 형태로 장비되어 있다. 또한,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는, 차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상하 축심 주위)에서 자유 회전하는 좌우의 안내륜(15)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에서의 내측의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면과 맞닿은 상태로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륜(15)은,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 대하여, 대차(臺車; carriage)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2개씩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물품 반송차(2)는,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안내륜(15)이 한쌍의 레일부(1a, 1a)에 의해 안내되는 것에 의해,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가 규제되면서,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주행륜(14)이 회전 구동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1)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2)는,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가 연결축(12)의 축심 주위(차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 굴곡되는 것에 의해, 주행 경로(4)의 원호형 부분이나 서브 주행 경로(3)의 원호형 부분 등의 원호형 경로 부분에 있어서도 양호하게 주행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차체 본체부(9)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전후 방향의 전단측 부분과 후단측 부분이 하방측으로 연결되고, 또한 하방측이 개방된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전단측 부분과 후단측 부분과의 사이에 파지부(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본체부(9)에는, 파지부(11)를 승강시키기 위한 전동식의 승강용 모터(16), 파지부(11)를 상하 축심 주위에서 선회(旋回)시키기 위한 전동식의 선회용 모터(17)가 구비되어 있다.
즉, 승강용 모터(16)는, 로프형체로서의 벨트(18)가 권취된 회전 드럼(19)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여, 벨트(18)를 권취 또는 내보냄으로써, 파지부(11)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승 위치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11)를 차체 본체부(9)의 내측의 상부에 수납한 위치이며, 하강 위치란, 도시는 생략하지만, 파지부(11)를 물품 처리부 P나 보관부 R의 이송탑재용 스테이션에 근접시킨 위치이다.
파지부(11)는, 차체 본체부(9)의 상단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선회축 (20)(도 2 참조)에 의해, 차체 본체부(9)에 대하여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용 모터(17)가, 회전 구동력 전달부(21)를 통하여 선회축(20)을 상하 축심 주위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파지부(11)를 상하 축심 주위에서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지부(11)는, 물품 B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구(22)를 구비하여, 그 파지구(22)를, 물품 B를 파지하는 파지 자세와 그 파지를 해제하는 파지 해제 자세로 전동식의 파지용 모터(23)에 의해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파지구(22)를 파지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물품 반송차(2)에는,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주행 작동, 파지부(11)의 승강 작동, 및 파지구(22)의 자세 전환 작동 등을 제어하여, 물품 반송차(2)의 운전을 제어하는 대차측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대차측 제어부는, 복수의 물품 반송차(2)의 운행을 관리하는 설비 관리용 컴퓨터로부터, 무선 통신 등에 의해, 반송원의 스테이션 및 반송선의 스테이션을 지정하는 반송 지령을 받으면, 그 반송 지령에 의해 지정된 반송원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반송선의 스테이션에 물품 B를 반송하는 반송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물품 반송차(2)에는, 각각의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목표 정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나 기준점으로부터의 물품 반송차(2)의 주행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의 각종 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대차측 제어부는, 이들 각종 센서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된 반송원의 스테이션에 주행하는 것이나, 지정된 반송선의 스테이션에 반송원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주행하는 것을 행하기 위해,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주행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차측 제어부는, 반송원의 스테이션에 있어서는, 반송원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물품 B를 수취하기 위해, 파지부(11)의 승강 작동이나 파지구(22)의 자세 전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반송선의 스테이션에 있어서는, 반송선의 스테이션에 물품 B를 내리기 위해, 파지부(11)의 승강 작동이나 파지구(22)의 자세 전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가이드 부재 L에는, 물품 반송차(2)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급전선(24)이,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와 마찬가지로, 주행 경로(4)나 서브 주행 경로(3) 등을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1a, 1a)의 각각의 하단부에, 차체 가로 폭 방향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유지부(24A)가 설치되고, 좌우 한쌍의 급전선(24)이, 상기 유지부(24A)의 선단부에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2)의 차체 본체부(9)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급전선(24)으로부터 무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급전되는 단일의 수전부(受電部)(수전 코일)(25)가, 전후 한쌍의 연결축(12)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급전선(24)에 교류 전류를 통전함으로써 자계를 발생시켜, 이 자계에 의해 수전부(25)에 구동용 전력을 발생시켜, 무접촉 상태로 물품 반송차(2)에 급전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서의 주행륜(14)보다 상부에는, 경로 전환용의 피안내체로서, 상하 축심(차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가이드륜(26)[본 예에서는 전후 한쌍의 가이드륜(26)]이 장비되어 있다. 주행 가이드 부재 L에서의 분기 개소나 합류 개소에,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륜(26)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27)이 설치되고, 마찬가지로, X자형 분기 개소에,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륜(26)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28)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U자형의 프레임체(8A)가, 가이드 레일(1)에 연결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당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고, 상부 가이드 레일(27, 28)은, 상기 역U자형의 프레임체(8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 4는 제2 주행 경로(4B)에 분기 접속 경로(7A)가 접속된 분기 개소의 상부 가이드 레일(27)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분기 개소로서는, 제2 주행 경로(4B)에 분기 접속 경로(7A)가 접속된 분기 개소 외에, 제1 주행 경로(4A)에 단락 경로(6)가 접속된 분기 개소가 있다. 또한, 합류 개소로서는, 제2 주행 경로(4B)에 합류 접속 경로(7B)가 접속된 합류 개소나, 제1 주행 경로(4A)에 단락 경로(6)가 접속된 합류 개소가 있다.
먼저, 합류 개소나 분기 개소의 상부 가이드 레일(27)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가이드 레일(27)은, 분기 개소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의 분기 주행 방향을 정하기 위해, 가이드륜(26)을 안내한다. 또한, 상부 가이드 레일(27)은, 분기 개소 및 합류 개소에 있어서, 대차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만 가이드 레일(1)이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도, 물품 반송차(2)의 자세를 적절 자세로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륜(26)을 안내한다.
설명을 추가하면, 분기 개소 및 합류 개소에는, 연결축(12)을 통과시키기 위해,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의 한쪽에만 가이드 레일(1)의 레일부(1a)가 배치되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영역에 있어서, 가이드륜(26)을 상부 가이드 레일(27)에 의해 안내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의 자세를 적절 자세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 개소에 있어서는, 물품 반송차(2)를 직진 주행시키는 상태와, 분기 주행시키는 상태로 전환할 필요가 있으므로, 가이드륜(26)을 상부 가이드 레일(27)에 의해 안내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의 분기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레일(27)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형상이 양다리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레일(27)은, 가이드륜(26)을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 직진 주행시키기 위한 제1 안내면(27a)과, 분기 주행이나 합류 주행시키기 위한 제2 안내면(27b)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륜(26)은, 물품 반송차(2)의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의 각각에는, 가이드륜(26)의 상부 가이드 레일(27)에 대한 대차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를 변경하여, 가이드륜(26)이 안내되는 상태를, 가이드륜(26)이 제1 안내면(27a)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와, 가이드륜(26)이 제2 안내면(27b)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안내면 전환 기구(29)가 구비되어 있다.
안내면 전환 기구(29)는, 모터 등의 구동부(30)에 의해 상하 축심 주위로 요동(搖動) 가능한 요동 암(arm)(31)과, 요동 암(31)의 선단부에 설치된 이동체(32)와, 이동체(32)를 대차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하는 이동 안내부(33)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륜(26)이, 이동체(32)의 선단부(상측의 단부)에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면 전환 기구(29)는, 구동부(30)에 의해 요동 암(31)을 요동시킴으로써, 가이드륜(26)의 위치를 대차 가로 폭 방향으로 위치 변경시켜, 가이드륜(26)이 안내되는 안내면을, 제1 안내면(27a)과 제2 안내면(27b)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안내면 전환 기구(29)가, 상부 가이드 레일(27)의 제2 안내면(27b)에 의해 가이드륜(26)이 안내되는 상태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합류 개소에 대해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전술한 분기부 개소와 마찬가지로, 평면에서 볼 때 형상이 양다리형의 상부 가이드 레일(27)이 설치된다.
그리고, 안내면 전환 기구(29)가, 구동부(30)에 의해 요동 암(31)을 요동시킴으로써, 가이드륜(26)의 위치를 대차 가로 폭 방향으로 위치 변경시켜, 가이드륜(26)이 안내되는 안내면을, 제1 안내면(27a)과 제2 안내면(27b)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X자형 분기 개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행 경로(4A) 및 제2 주행 경로(4B)를 따라 배치되는 레일부(1a, 1a) 중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가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는 분기측 레일부(1A)가, 제1 분기 경로(5A) 또는 제2 분기 경로(5B)의 입구부와 제2 분기 경로(5B) 또는 제1 분기 경로(5A)의 출구부와의 사이에 상당하는 분기 경로 형성 개소(즉, 상기 입구부와 상기 출구부와의 사이의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는, 제1 분기 경로(5A) 또는 제2 분기 경로(5B)의 입구측 부분 또는 출구측 부분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측 레일부(1A)는, 제1 분기 경로(5A)와 제2 분기 경로(5B)와의 교차 부분에 상당하는 개소[즉, 제1 분기 경로(5A)와 제2 분기 경로(5B)와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 연결축(12)을 통과시키기 위해, 분단된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주행 경로(4A) 및 제2 주행 경로(4B)를 따라 배치되는 레일부(1a, 1a) 중 제1 분기 경로(5A) 및 제2 분기 경로(5B)로부터 이격되는 쪽에 위치하는 이격측 레일부(1B)는,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주행 경로(4A)에 대응하는 분기측 레일부(1A)에서의 제1 분기 경로(5A)의 입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D1, 제1 주행 경로(4A)에 대응하는 분기측 레일부(1A)에서의 제2 분기 경로(5B)의 출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D2, 제2 주행 경로(4B)에 대응하는 분기측 레일부(1A)에서의 제2 분기 경로(5B)의 입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1, 및 제2 주행 경로(4B)에 대응하는 분기측 레일부(1A)에서의 제1 분기 경로(5A)의 출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2 출구측 레일 부분 E2에 대응시켜, 제1 가동 레일(35a) 및 제2 가동 레일(35b)의 한쌍의 가동 레일(35)이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가동 레일(35)은, 제1 가동 레일(35a)을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D1에 연속되어(즉,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D1과 위치맞춤되어) 제1 분기 경로(5A)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가동 레일(35b)을 제2 출구측 레일 부분 E2에 연속되어 제1 분기 경로(5A)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도 10 참조)와, 제1 가동 레일(35a) 및 제2 가동 레일(35b)의 한쪽을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1에 연속되어 제2 분기 경로(5B)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제1 가동 레일(35a) 및 제2 가동 레일(35b)의 다른 쪽을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D2에 연속되어 제2 분기 경로(5B)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도 8 참조)에, 가동 레일(35)의 배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 제1 가동 레일(35a)이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1에 연속되어 배치되고, 제2 가동 레일(35b)이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D2에 연속되어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분기 경로(5A) 또는 제2 분기 경로(5B)에서의 분기측 레일부(1A)의 비존재 개소(비존재 영역)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를 캐치 지지하는 보조 캐치 기구가, 한쌍의 가동 레일(35)에 의해 물품 반송차(2)를 캐치하여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가동 레일(35)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 제1 분기 경로(5A)의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 제2 분기 경로(5B)의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가동 레일(35)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하면,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D1과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1과의 사이의 영역, 및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D2와 제2 출구측 레일 부분 E2와의 사이의 영역에,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척형의 레일 지지 프레임(36)이, 천정부로부터 현수 지지되거나 또는 분기측 레일부(1A)에 연결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지지 프레임(36)에,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체(37)가 장착되고,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1 가이드체(37)에 의해 안내 지지되는 제1 가동체(38)에, 중계 링크(39)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상하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계 링크(39)에서의 가동 레일(35)로부터 이격되는 측의 단부에는, 전동 모터(40)에 의해 회동 조작되는 구동 링크(41)의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중계 링크(39)의 타단부에는, 가동 레일(35)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모터(40)는, 레일 지지 프레임(36)에 장착한 지지 브래킷(42)에 지지되어 있다.
가동 레일(35)이, 중계 링크(39)와의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장척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부에, 레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체(43)가 장착되어 있다. 그 제2 가이드체(4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는 제2 가동체(44)가, 레일 지지 프레임(36)에 장착한 베어링부(45)에 의해,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레일(35)은, 전동 모터 (40)(구동 장치의 일례)의 작동에 따라, 레일 지지 프레임(36)의 베어링부(45)를 중심으로 요동하고, 또한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도 10 참조)와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도 8 참조)로 전환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으로 되었을 때, 상대측의 가동 레일(35)로부터 이격되는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대측의 가동 레일(35)과의 맞닿음을 회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륜(26)을 캐치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28)이, 비분기 주행 상태(직진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비분기용 안내면(28a), 및 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분기용 안내면(28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안내면 전환 기구(29)가, 구동부(30)에 의해 요동 암(31)을 요동시킴으로써 가이드륜(26)의 위치를 대차 가로 폭 방향으로 위치 변경시켜, 가이드륜(26)이 안내되는 안내면을, 비분기용 안내면(28a)과 분기용 안내면(28b)으로 전환한다. 이로써, 안내면 전환 기구(29)는, 물품 반송차(2)의 주행 상태를, 제1 주행 경로(4A) 또는 제2 주행 경로(4B)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제1 분기 경로(5A) 또는 제2 분기 경로(5B)로 분기 주행시키는 상태(도 8, 도 10 참조)와, 제1 주행 경로(4A) 또는 제2 주행 경로(4B)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를 분기시키지 않고 직진 주행시키는 상태(도 9 참조)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주행 경로(4A) 또는 제2 주행 경로(4B)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의 주행 방향을 제1 분기 경로(5A) 또는 제2 분기 경로(5B)를 향해 분기시키는 분기 주행 상태와, 물품 반송차(2)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는 주행 방향 전환 기구가, 가이드륜(26)이 안내되는 상태를, 가이드륜(26)이 분기용 안내면(28b)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와, 가이드륜(26)이 비분기용 안내면(28a)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의 주행 상태를 분기 주행 상태와 비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레일(28)의 비분기용 안내면(28a)이,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 가이드륜(26)을 캐치하여 물품 반송차(2)가 분기측 레일부(1A)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서의 입구부에서 출구부에 걸쳐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주행 경로(4A) 또는 제2 주행 경로(4B)에서의 분기 경로 형성 영역을 분기 주행하지 않고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는, 분기측 레일부(1A)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이격측 레일부(1B)에서만 지지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상부 가이드 레일(28)의 비분기용 안내면(28a)에 의해 가이드륜(26)을 캐치 안내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가 분기측 레일부(1A)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주행 경로(4A) 또는 제2 주행 경로(4B)에서의 분기 경로 형성 영역을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가 분기측 레일부(1A)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안내하는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가, 비분기용 안내면(28a)에 의해 가이드륜(26)을 캐치하는 것에 의해, 물품 반송차(2)가 분기측 레일부(1A) 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물품 반송차(2)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레일(28)은, 분기용 안내면(28b)으로서,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 및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D1에 대하여 좌우의 주행륜(14)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주행부(10)가, 부상 상태(즉, 어느 레일부와도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가이드륜(26)을 캐치하는 면이다.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은, 제2 출구측 레일 부분 E2에 대하여 좌우의 주행륜(14)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주행부(10)가, 부상 상태의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가이드륜(26)을 캐치하는 면이다(도 10 참조).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1에 대하여 좌우의 주행륜(14)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주행부(10)가, 부상 상태의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가이드륜(26)을 캐치하는 면이다.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는,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D2에 대하여 좌우의 주행륜(14)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주행부(10)가, 부상 상태의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가이드륜(26)을 캐치하는 면이다(도 8 참조).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분기 경로(5A) 또는 제2 분기 경로(5B)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의 좌우 방향에서의 경사를 억제하기 위해, 분기측 레일부(1A)의 안내 작용에 더하여 물품 반송차(2)에 대하여 안내 작용하는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가, 물품 반송차(2)가 제1 분기 경로(5A)를 주행할 때는,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 및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에 의해, 가이드륜(26)을 캐치하고, 또한 물품 반송차(2)가 제2 분기 경로(5B)를 주행할 때는,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 및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에 의해, 가이드륜(26)을 캐치하도록, 물품 반송차(2)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 레일(28)에서의 분기용 안내면(28b)을 형성하는 부분 중 일부의 자세 변경부(28A)가,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과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을 제1 분기 경로(5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는 제1 상태(도 10 참조)와,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와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를 제2 분기 경로(5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는 제2 상태(도 8 참조)로, 배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상태에서는,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과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이, 제1 분기 경로(5A)의 길이 방향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을 가지고, 제2 상태에서는,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와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가, 제2 분기 경로(5B)의 길이 방향의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을 가진다.
즉, 자세 변경부(28A)로서, 제1 상태에 있어서,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을 형성하고, 또한 제2 상태에 있어서,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를 형성하는 제1 레일 부재(46a)와, 제1 상태에 있어서,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을 형성하고, 또한 제2 상태에 있어서,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를 형성하는 제2 레일 부재(46b)가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레일 부재(46a) 및 제2 레일 부재(46b)를 하면에 지지한 원판형 부재(47)의 상부에, 축형의 지지부(47A)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원판형 부재(47)가, 천정부로부터 현수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된 사각형의 판상체(板狀體)(48)에 대하여, 지지부(47A)를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하 축심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47A)의 상부에 조작용 암(49)이 장착되고, 그 조작용 암(49)을 요동 조작하는 전동 실린더(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실린더 (50)(구동 장치의 일례)에 의해 원판형 부재(47)를 회동(回動) 조작함으로써, 자세 변경부(28A)를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전환하여, 물품 반송차(2)가 제1 분기 경로(5A)를 주행할 때나 제2 분기 경로(5B)를 주행할 때, 가이드륜(26)을 정확하게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자세 변경부(28A)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물품 반송차(2)가 제1 분기 경로(5A)를 주행할 때의 가이드륜(26)의 이동 경로와, 물품 반송차(2)가 제2 분기 경로(5B)를 주행할 때의 가이드륜(26)의 이동 경로가 교차하므로,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과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과의 사이에는, 제1 분기 경로(5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극이 형성되고, 또한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와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와의 사이에는, 제2 분기 경로(5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세 변경부(28A)를 설치하여, 물품 반송차(2)가 제1 분기 경로(5A)를 주행할 때는,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과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을 제1 분기 경로(5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고, 물품 반송차(2)가 제2 분기 경로(5B)를 주행할 때는,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와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를 제2 분기 경로(5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킬 수 있으므로, 가이드륜(26)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2)가 제1 분기 경로(5A)를 주행하는 상태에 있어서,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륜(26)은,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이동 범위의 좌측단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륜(26)이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에 안내되는 상태로 되면,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과의 맞닿음에 의해,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이동 범위의 우측단 측으로 가이드륜(26)이 이동한다.
또한, 물품 반송차(2)가 제2 분기 경로(5B)를 주행하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륜(26)은,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이동 범위의 우측단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이드륜(26)이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으로 안내되는 상태로 되면,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와의 맞닿음에 의해,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이동 범위의 좌측단 측으로 가이드륜(26)이 이동한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2 실시예는, 한쌍의 가동 레일(35)의 조작 구성이 상이한 점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중복된 기재를 생략하기 위해, 한쌍의 가동 레일(35)의 조작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레일 지지 프레임(36)에 제1 가이드체(37)가 장착되고, 그 제1 가이드체(37)에 의해 안내 지지되는 제1 가동체(38)에, 중계 링크(39)가 지지되어 있는 점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가동 레일(35)의 하면부에 제2 가이드체(43)가 설치되고, 그 제2 가이드체(4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안내 지지되는 제2 가동체(44)가, 레일 지지 프레임(36)에 장착된 베어링부(4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계 링크(39)의 요동에 의해 가동 레일(35)의 방향이 변경되는 점도,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가동 레일(35)을 1개의 전동 모터(40)에 의해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1개의 전동 모터(40)가, 좌우 한쌍의 가동 레일(35)의 한쪽[이하, 대상의 가동 레일(35)이라고 함]에 대응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 모터(40)에는, 상하 한쌍의 구동 링크(41)가 장비되어 있고, 하방측의 구동 링크(41)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상의 가동 레일(35)에 대응하는 중계 링크(39)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한쌍의 구동 링크(41) 중 상방측의 구동 링크(41)가, 링크식의 연계 기구 K에 의해, 대상의 가동 레일(35)과는 상이한 다른 쪽의 가동 레일(35)에 대응하는 중계 링크(39)의 단부에, 연동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계 기구 K는, 구동 링크(4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로드(51), 그 제1 로드(51)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중계 요동 링크(52), 그 중계 요동 링크(52)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로드(53), 그 제2 로드(5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요동 링크(54), 그 제1 요동 링크(54)를 상단에 장착된 회동축(55), 및 그 회동축(55)의 하단부에 장착된 제2 요동 링크(5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요동 링크(56)가, 대상의 가동 레일(35)과는 상이한 다른 쪽의 가동 레일(35)에 대응하는 중계 링크(39)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계 요동 링크(52)는, 지지 프레임(57)에, 그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57)은, 천정부로부터 현수 지지되는 등에 의해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개의 전동 모터 (40)(구동 장치의 일례)에 의해, 좌우 한쌍의 가동 레일(35)을,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도 10 참조)와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도 8 참조)로 전환 조작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다음에,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 실시예는, 한쌍의 가동 레일(35)의 구성이 상이한 점, 상부 가이드 레일(28)에서의 자세 변경부(28A)의 구성이 상이한 점, 및 한쌍의 가동 레일(35) 및 상부 가이드 레일(28)의 자세 변경부(28A)에 대한 조작 구성이 상이한 점 이외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따라서, 중복된 기재를 생략하기 위해, 이하,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쌍의 가동 레일(35)은, 제1 가동 레일(35a)을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D1에 연속되어 제1 분기 경로(5A)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제2 가동 레일(35b)을 제2 출구측 레일 부분 E2에 연속되어 제1 분기 경로(5A)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도 23 참조)와, 제1 가동 레일(35a) 및 제2 가동 레일(35b)의 한쪽을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1에 연속되어 제2 분기 경로(5B)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제1 가동 레일(35a) 및 제2 가동 레일(35b)의 다른 쪽을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D2에 연속되어 제2 분기 경로(5B)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도 19, 도 21 참조)로, 가동 레일(35)의 배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점은, 제1 실시예와 같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하고,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 제2 가동 레일(35b)이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1에 연속되어 배치되고, 제1 가동 레일(35a)이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D2에 연속되어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쌍의 가동 레일(35)은,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삼각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동 레일(35)을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와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 좌우의 주행륜(14)이 한쌍의 가동 레일(35)에 동시에 탑재되는 구간이 존재하는 것에 더하여, 한쪽의 가동 레일(35)[제2 가동 레일(35b)]과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D1에 좌우의 주행륜(14)이 동시에 탑재되는 구간과 다른 쪽의 가동 레일 (35)[제1 가동 레일(35a)]과 제2 출구측 레일 부분 E2에 좌우의 주행륜(14)이 동시에 탑재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좌우의 주행륜(14)이 동시에 레일에 탑재되는 구간이 길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 좌우의 주행륜(14)이 한쌍의 가동 레일(35)에 동시에 탑재되는 구간이 존재하는 것에 더하여, 한쪽의 가동 레일(35)[제1 가동 레일(35a)]과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1에 좌우의 주행륜(14)이 동시에 탑재되는 구간과, 다른 쪽의 가동 레일 (35)[제2 가동 레일(35b)]과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D2에 좌우의 주행륜(14)이 동시에 탑재되는 구간이 존재하도록 구성되어, 좌우의 주행륜(14)이 동시에 레일에 탑재되는 구간이 길어지도록 하고 있다.
도 18, 도 20,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레일(28)의 자세 변경부(28A)로서, 제1 상태에 있어서,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1을 형성하고, 또한 제2 상태에 있어서,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F2를 형성하는 제1 레일 부재(57a)와, 제1 상태에 있어서,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을 형성하고, 또한 제2 상태에 있어서,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G2를 형성하는 제2 레일 부재(57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레일 부재(46a)와 제2 레일 부재(46b)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길이가 짧은 쪽의 제1 레일 부재(46a)의 존재 개소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대하여,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레일 부재(57a)와 제2 레일 부재(57b)의 길이가 서로 같으며, 양자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1개의 구동 장치로서의 전동 실린더(58)가, 한쌍의 가동 레일(35)을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자세 변경부(28A)를 제1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상태와, 한쌍의 가동 레일(35)을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자세 변경부(28A)를 제2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쌍의 가동 레일(35) 및 자세 변경부(28A)에 연계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도 16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가이드 레일(28)보다 상방측으로 되는 개소에, 판형의 기체 프레임(60)이, 상부 가이드 레일(28)을 지지하는 프레임체(8A)(도 3 참조)에 지지되거나 또는 천정부에 현수 지지되는 등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기체 프레임(60)의 위쪽 개소에, 전동 실린더(58)에 의해 회동 축심 M 주위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 조작되는 T자형의 요동 프레임(61)이, 지지축(62)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60)의 하면부에,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레일 부재(57a)와 제2 레일 부재(57b)를 장착한 판형의 레일 지지체(63)가, 회동 축심 N 주위에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일 지지체(63)의 회동에 의해, 자세 변경부(28A)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전환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60)과 요동 프레임(61)과의 사이에, 좌우 한쌍의 가동 레일용 슬라이드 부재(64), 및 자세 변경부용 슬라이드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쌍의 가동 레일용 슬라이드 부재(64)의 각각은,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60)의 상면부에 장착한 좌우 한쌍의 가이드체(66)에 의해,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 레일용 슬라이드 부재(64)에서의 좌우의 가이드체(66)의 사이에, 축형 프레임(67)이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축형 프레임(67)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긴 구멍형으로 기체 프레임(60)에 형성된 삽통공(68)을 통하여, 기체 프레임(60)의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에는, 가동 레일(35)이 장착되어 있다.
가동 레일용 슬라이드 부재(64)의 상부에, 슬라이드 조작용의 피걸림부(64A)가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이 피(被)걸림부(64A)가, 요동 프레임(61)의 긴 구멍형의 걸어맞춤공(69)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요동 프레임(61)의 정방향 및 역방향의 요동에 의해, 가동 레일(35)이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와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레일(35)이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될 때나,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될 때에 있어서, 가동 레일용 슬라이드 부재(64)에 형성된 한쌍의 걸어맞춤 오목부(70)에 대하여 탄성 가압력에 의해 걸어맞추어, 가동 레일용 슬라이드 부재(64)를 위치결정하는 탄성 걸어맞춤체(71)가, 기체 프레임(60)에 형성되어 있고, 가동 레일(35)이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나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에 있어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자세 변경부용 슬라이드 부재(65)는, 기체 프레임(60)의 상면부에 장착한 가이드체(72)에 의해, 이격측 레일부(1B)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자세 변경부용 슬라이드 부재(65)의 일단부에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걸림체(63A)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공(73)이, 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U자형의 구멍으로 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피걸림체(63A)는, 레일 지지체(63)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60)에 형성한 삽통공(74)을 통하여, 기체 프레임(60)의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7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세 변경부용 슬라이드 부재(65)의 타단부에는, 슬라이드 조작용의 피걸림부(65A)가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이 피걸림부(5A)가, 요동 프레임(61)의 긴 구멍형의 걸어맞춤공(75)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요동 프레임(61)의 정방향 및 역방향의 요동에 의해, 자세 변경부(28A)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세 변경부(28A)가 제1 상태로 될 때나 제2 상태로 될 때에 있어서, 레일 지지체(63)에 형성된 한쌍의 걸어맞춤 오목부(76)에 대하여 탄성 가압력에 의해 걸어맞추어져, 가동 레일용 슬라이드 부재(64)를 위치결정하는 탄성 걸어맞춤체(77)가, 기체 프레임(60)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자세 변경부(28A)가 제1 상태나 제2 상태에 있어서 정확하게 위치 결정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개의 전동 실린더(58)에 의해 요동 프레임(61)을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요동 조작함으로써, 한쌍의 가동 레일(35)을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자세 변경부(28A)를 제1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상태(도 22, 도 23 참조)와, 한쌍의 가동 레일(35)을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자세 변경부(28A)를 제2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상태(도 20, 도 21 참조)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열기한다.
(1) 상기 제1 ~ 제3 실시예에서는, 물품 반송차(2)의 주행부(10)가, 분할된 전방 주행부(10F) 및 후방 주행부(10R)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주행부(10)를 분할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하여 실시해도 된다.
(2) 상기 제1 ~ 제3 실시예에서는, 비분기 주행 형태, 제1 분기 주행 형태, 및 제2 분기 주행 형태로 전환하는 데 있어서, 가이드 레일(1)에 더하여, 가동 레일(35)나 상부 가이드 레일(28)에 의해 물품 반송차(2)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주행시키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비분기 주행 형태에 있어서, 주행부(10)의 좌우의 주행륜(14)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레일부(1a)를 구비한 비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와, 제1 분기 주행 형태에 있어서, 주행부(10)의 좌우의 주행륜(14)를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레일부(1a)를 구비한 제1 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와, 제2 분기 주행 형태에 있어서, 주행부(10)의 좌우의 주행륜(14)을 안내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레일부(1a)를 구비한 제2 분기 주행 형태용의 레일체와의 각각을, 물품 반송차(2)를 안내하기 위해 주행 경로 상에 위치시키는 안내 작용 위치와 주행 경로로부터 퇴피시킨 퇴피 위치로 위치 변경 조작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는 등, 비분기 주행 형태, 제1 분기 주행 형태, 및 제2 분기 주행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은, 각종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3) 상기 제1 ~ 제3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1)에 더하여, 가동 레일(35)이나 상부 가이드 레일(28)에 의해 물품 반송차(2)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비분기 주행 형태, 제1 분기 주행 형태, 및 제2 분기 주행 형태로 전환하여 주행시킬 때, 상부 가이드 레일(28)에, 자세 변경부(28A)를 구비하게 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자세 변경부(28A)를 구비하게 하지 않고서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주행부(10)에, 차체의 전후 양측에 설치된 좌우의 주행륜(14)에 더하여, 보조의 좌우 주행륜을 차체 전후 방향을 따라 장비하여, 좌우의 주행륜(14)이 가이드 레일(1)이나 가동 레일(35)로부터 부상해도, 보조의 좌우 주행륜을 가이드 레일(1)에 탑재시켜, 주행부(10)의 자세를 안정시키도록 하면 된다.
(4) 상기 제1 ~ 제3 실시예에서는, 2개의 환형의 주행 경로(4)가,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또한 2겹의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3개 이상의 환형의 주행 경로(4)가, 복수 겹의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5) 상기 제1 ~ 제3 실시예에서는, 2개의 환형의 주행 경로(4)의 가로측 옆쪽에, 물품 처리부 P를 경유하는 서브 주행 경로(3)가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복수의 환형의 주행 경로(4) 중 1개가, 물품 처리부 P를 경유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6) 상기 제1 ~ 제3 실시예에서는, 2개의 환형의 주행 경로(4)가, 2겹의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면, 2개의 환형의 주행 경로(4)를, 이들 경로 중 일부의 경로 부분이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및 다른 경로 부분이 이격되어 있는 상태로 배치하는 형태로 실시해도 된다.
1: 주행 레일
1a: 레일부
1A: 분기측 레일부
4: 주행 경로
4A: 제1 주행 경로
4B: 제2 주행 경로
5A: 제1 분기로
5B: 제2 분기로
2: 물품 반송차
10: 주행부
14: 주행륜
15: 안내륜
28: 상부 가이드 레일
28a: 비분기용 안내면
28b: 분기용 안내면
28A: 자세 변경부
35: 가동 레일
58: 구동 장치
D1: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D2: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E1: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E2: 제2 출구측 레일 부분
F1: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F2: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1: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G2: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L: 주행 가이드 부재

Claims (8)

  1. 물품 반송차(搬送車)의 주행 경로를 형성하는 주행 가이드 부재가, 천정측에 설치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 부재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같은 방향을 향해 주행하는 복수의 상기 주행 경로를,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하고, 또한 복수의 상기 주행 경로에서의 인접하는 한쌍의 주행 경로 중 한쪽인 제1 주행 경로와 다른 쪽인 제2 주행 경로를 접속하는 제1 분기(分岐) 경로 및 제2 분기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분기 경로는, 상기 제1 주행 경로로부터 상기 제2 주행 경로로 상기 물품 반송차가 분기 주행하는 분기 경로이며, 상기 제2 분기 경로는, 상기 제2 주행 경로로부터 상기 제1 주행 경로로 상기 물품 반송차가 분기 주행하는 분기 경로이며,
    상기 제1 분기 경로와 상기 제2 분기 경로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주행 경로 및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제1 분기 경로와 상기 제2 분기 경로는,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행 경로는, 평면에서 볼 때 복수 겹의 환형(環形)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행부와, 그 주행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물품 유지부를 가지고, 상기 주행부에, 좌우의 주행륜, 및 상하 축심(軸心) 주위에서 회전하는 좌우의 안내륜이 구비된 물품 반송차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주행 경로 및 상기 제2 주행 경로의 각각에 대응하여,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레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는, 상기 주행륜이 주행하는 주행면 및 상기 안내륜을 안내하는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레일부 중, 상기 제1 분기 경로 및 상기 제2 분기 경로가 존재하는 측에 위치하는 분기측 레일부는,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입구부와 상기 제2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1 분기 경로의 출구부와의 사이의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 및 출구측 부분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분기 경로와 상기 제2 분기 경로와의 교차 영역에 있어서 분단된 상태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주행 경로 또는 상기 제2 주행 경로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를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로 분기 주행시키는 분기 주행 상태와, 상기 물품 반송차를 직진 주행시키는 비(非)분기 주행 상태로,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상태를 전환하는 주행 방향 전환 기구와,
    상기 제1 주행 경로 또는 상기 제2 주행 경로에서의 상기 분기 경로 형성 영역을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분기측 레일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물품 반송차를 안내하는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와,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에서의 상기 분기측 레일부의 비(非)존재 영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catch)하여 지지하는 보조 캐치 기구와,
    상기 제1 분기 경로 또는 상기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하는 상기 물품 반송차의 좌우 방향에서의 경사를 억제하도록, 상기 물품 반송차를 안내하는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상기 제1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1 입구측 레일 부분, 상기 제1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출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1 출구측 레일 부분,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입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2 입구측 레일 부분, 및 상기 제2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상기 분기측 레일부에서의 상기 제1 분기 경로의 출구측 부분을 따르는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응시켜, 제1 가동 레일 및 제2 가동 레일의 한쌍의 가동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은, 상기 제1 가동 레일을 상기 제1 입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상기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제2 가동 레일을 상기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상기 제1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와, 상기 제1 가동 레일 및 상기 제2 가동 레일의 한쪽을 상기 제2 입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상기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제1 가동 레일 및 상기 제2 가동 레일의 다른 쪽을 상기 제1 출구측 레일 부분에 연속되어 상기 제2 분기 경로를 따라 경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배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보조 캐치 기구는,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에 의해 상기 물품 반송차를 캐치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는, 상기 주행부의 상기 주행륜보다 위쪽에, 경로 전환용의 피(被)안내체를 구비하고,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상부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은, 상기 분기 주행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분기용 안내면, 및 상기 비분기 주행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비분기용 안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방향 전환 기구는, 상기 피안내체가 안내되는 상태를,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와, 상기 피안내체가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물품 반송차의 주행 상태를 상기 분기 주행 상태와 상기 비분기 주행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는, 상기 분기 경로 형성 영역에 있어서 상기 비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분기측 레일부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용 안내면으로서,
    상기 제1 입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상기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상기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상기 제2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상기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상기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
    상기 제2 입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상기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상기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상기 제1 출구측 레일 부분에 대하여 상기 좌우의 주행륜 중 한쪽을 탑재하고 또한 다른 쪽을 부상시켜 주행하는 상기 주행부가, 부상 상태의 상기 주행륜측으로 경사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는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기 주행용 보조 안내 기구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분기 경로를 주행할 때는, 상기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상기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고, 또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2 분기 경로를 주행할 때는, 상기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 및 상기 제1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에 의해, 상기 피안내체를 캐치하도록, 상기 물품 반송차를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레일에서의 상기 분기용 안내면을 형성하는 부분 중 일부의 자세 변경부는, 상기 제1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과 상기 제2 출구측 분기용 안내면을 상기 제1 분기 경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는 제1 상태와, 상기 제2 입구측 분기용 안내면과 상기 제1 맞춤측 분기용 안내면을 상기 제2 분기 경로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복시키는 제2 상태로, 배치 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 및 상기 자세 변경부에 연계된 1개의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을 상기 제1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자세 변경부를 상기 제1 상태로 하는 제1 분기 상태와, 상기 한쌍의 가동 레일을 상기 제2 분기 경로 형성 상태로 하고, 또한 상기 자세 변경부를 상기 제2 상태로 하는 제2 분기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120133693A 2011-11-24 2012-11-23 물품 반송 설비 KR102031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6593A JP5527619B2 (ja) 2011-11-24 2011-11-24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JPJP-P-2011-256593 2011-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955A true KR20130057955A (ko) 2013-06-03
KR102031806B1 KR102031806B1 (ko) 2019-10-14

Family

ID=4849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693A KR102031806B1 (ko) 2011-11-24 2012-11-23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01864B2 (ko)
JP (1) JP5527619B2 (ko)
KR (1) KR102031806B1 (ko)
CN (1) CN103129934B (ko)
TW (1) TWI564987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711A (ko) * 2015-04-06 2016-10-14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 설비
KR20170129924A (ko) * 2015-05-01 2017-11-27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창고 및 현수식(懸垂式) 스태커 크레인
KR20180059081A (ko) 2016-11-25 2018-06-04 세메스 주식회사 자기 부상 이송 장치
KR20180136187A (ko) 2017-06-14 2018-12-24 세메스 주식회사 자기 부상 이송 장치
KR20190001107A (ko) 2017-06-26 2019-01-04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유지 보수용 승강 장치
WO2019231081A1 (ko) * 2018-05-31 2019-12-05 에이피에스홀딩스 주식회사 이송 시스템
KR20200016593A (ko) 2018-08-07 2020-02-17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유지 보수용 승강 장치
KR20200068964A (ko) 2018-12-06 2020-06-16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유지 보수용 승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0661B2 (ja) * 2011-12-19 2014-11-26 株式会社ダイフク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JP5582366B2 (ja) * 2012-05-23 2014-09-0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KR101829650B1 (ko) * 2014-01-07 2018-02-19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이동 재치 장치 및 이동 재치 장치의 제어 방법
IL230866A0 (en) * 2014-02-06 2014-09-30 Dan Yehuda Schlesinger Device for surface transportation
JP6358142B2 (ja) * 2015-03-26 2018-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304122B2 (ja) * 2015-05-13 2018-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559235B2 (ja) 2015-05-29 2019-08-14 株式会社安川電機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設備構築方法
TWI554464B (zh) * 2015-06-22 2016-10-2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運輸裝置及使用該運輸裝置之運輸系統
JP6641926B2 (ja) 2015-11-26 2020-02-0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SG11201806899XA (en) * 2016-03-03 2018-09-27 Murata Machinery Ltd Conveyance system
CN109415171B (zh) * 2016-06-21 2019-10-1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产品输送设备
CN106743275A (zh) * 2016-12-31 2017-05-31 长沙高汇环保科技有限公司 全自动多功能收发装置的物品分发回收方法
JP6677187B2 (ja) * 2017-01-31 2020-04-0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897407B2 (ja) * 2017-08-04 2021-06-30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N108217472A (zh) * 2018-02-28 2018-06-29 冠亚机械工业(昆山)有限公司 一种厂房用电动葫芦搬运系统
MX2019003979A (es) 2018-04-06 2019-10-07 Sst Systems Inc Sistema de transporte con portadores automatizados.
US10583985B2 (en) * 2018-08-07 2020-03-10 Daifuku Co., Ltd. Article storage facility
CN113165671B (zh) * 2018-11-28 2024-02-02 村田机械株式会社 行驶车系统
CN110498201A (zh) * 2019-08-06 2019-11-26 湖北九州云仓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小订单货物悬挂链出库运输系统及方法
TWI733528B (zh) 2020-04-08 2021-07-1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懸吊式搬運設備、及懸吊式搬運設備的導引裝置與方向保持模組
CN113816087A (zh) * 2021-09-30 2021-12-21 弥费实业(上海)有限公司 行走装置及空中运输车
TWI836353B (zh) * 2022-02-22 2024-03-21 達步施企業股份有限公司 物流輸送系統
EP4339140A1 (de) * 2022-09-14 2024-03-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weiche, verfahren, computersystem, computerprogrammprodukt
CN117894725B (zh) * 2024-03-15 2024-05-14 华芯智上半导体设备(上海)有限公司 自动化物料传输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806A (ja) * 1999-02-08 2000-08-15 Hitachi Kiden Kogyo Ltd 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自走式搬送車の運行制御方法
JP2003079074A (ja) * 2001-08-31 2003-03-14 Daifuku Co Ltd 搬送設備
JP2003528012A (ja) * 2000-03-15 2003-09-24 ダブリュエフ ロジスティ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経路変更ステーションを備えた懸垂式コンベア装置
JP2006282303A (ja) 2005-03-31 2006-10-19 Murata Mach Ltd 天井走行車システム
KR100753072B1 (ko) * 2000-09-14 2007-08-3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이송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3068A (en) * 1973-03-08 1974-12-10 Univ Johns Hopkins Mechanically linked personal rapid transit system
JPS5083787U (ko) * 1973-11-27 1975-07-17
CH621991A5 (ko) * 1977-09-14 1981-03-13 Oerlikon Buehrle Ag
JPS62180818A (ja) * 1986-01-31 1987-08-08 Tokyo Juki Ind Co Ltd 角レ−ル用切換部方式
JPH0699032B2 (ja) * 1989-07-26 1994-12-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システムの搬送体振り分け装置
DE4022163A1 (de) * 1990-07-12 1992-01-16 Licentia Gmbh Vorrichtung zum aus- u. einschleusen von kleingut aus einem transportband
DE4226066A1 (de) * 1992-08-06 1994-02-10 Rsl Logistik Gmbh & Co Verfahren zum Sortieren
JPH0899792A (ja) * 1994-09-30 1996-04-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無人搬送システムの分岐部における無人車の走行制御方法及び装置
JPH101903A (ja) * 1996-06-14 1998-01-06 H S S T Kaihatsu Kk 桁式軌道用の分岐装置
JP3625004B2 (ja) * 1997-01-24 2005-03-02 アシスト シンコー株式会社 軌条式走行台車及び軌条式走行台車を有する搬送装置
US6325198B1 (en) * 1998-06-26 2001-12-04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High speed manufacturing system
JP2000059921A (ja) * 1998-08-07 2000-02-25 Shinko Electric Co Ltd 懸垂式物品搬送システムの分岐部又は合流部における走行制御方法
KR20020088419A (ko) * 2000-04-05 2002-11-27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처리 장치
JP3355378B2 (ja) * 2000-04-12 2002-12-09 村田機械株式会社 無人搬送車システム
JP4190699B2 (ja) * 2000-04-25 2008-12-0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無人搬送装置
US6321138B1 (en) * 2000-09-15 2001-11-20 Woodson Incorpor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with automated order make up
JP2002249295A (ja) * 2001-02-22 2002-09-03 Fuji Seisakusho:Kk ホイスト用ガイドレールの分岐装置
JP3514312B2 (ja) * 2001-03-07 2004-03-31 株式会社半導体先端テクノロジーズ ウェハ搬送装置
JP3682547B2 (ja) * 2001-07-16 2005-08-10 村田機械株式会社 無人搬送車システム
TWI233913B (en) * 2002-06-06 2005-06-11 Murata Machinery Ltd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US20040173438A1 (en) * 2003-03-07 2004-09-09 Sdi Industries, Inc. Trolley-less overhead conveyer system
JP2005001830A (ja) * 2003-06-12 2005-01-06 Daifuku Co Ltd 搬送装置
US6920973B2 (en) * 2003-06-19 2005-07-2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tegrated reconfigurable manufacturing system
US20050095087A1 (en) * 2003-10-30 2005-05-05 Sullivan Robert P.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JP3874192B2 (ja) * 2004-01-09 2007-01-31 村田機械株式会社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4702693B2 (ja) * 2004-02-12 2011-06-15 ムラテック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搬送台車及び搬送装置
JP2005266936A (ja) * 2004-03-16 2005-09-29 Daifuku Co Ltd 物品搬送車の走行制御装置
JP2006051886A (ja) * 2004-08-12 2006-02-23 Murata Mach Ltd 天井走行車システム
JP2006066723A (ja) * 2004-08-27 2006-03-09 Murata Mach Ltd 搬送車システム
JP2006087887A (ja) * 2004-09-27 2006-04-06 Giken:Kk 鉄道模型ポイント自動切換用電源制御装置
JP2006241685A (ja) 2005-02-28 2006-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軌道系交通システムのx字形分岐路
JP2006313461A (ja) * 2005-05-09 2006-11-16 Murata Mach Ltd 搬送台車システム
JP2008044400A (ja) * 2006-08-10 2008-02-28 Murata Mach Ltd 搬送台車システム
JP4389181B2 (ja) * 2007-03-07 2009-12-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処理設備
JP5422928B2 (ja) * 2008-06-24 2014-02-19 村田機械株式会社 走行システム
JP5353222B2 (ja) * 2008-12-16 2013-11-27 村田機械株式会社 走行車システム
JP4766111B2 (ja) * 2008-12-26 2011-09-07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車システム
JP5686501B2 (ja) * 2009-03-27 2015-03-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5099454B2 (ja) * 2009-03-27 2012-12-19 株式会社ダイフク 交差部切換設備
CN102985307B (zh) * 2010-06-18 2015-04-01 村田机械株式会社 有轨台车系统以及有轨台车系统中的分支控制方法
CN201808908U (zh) * 2010-09-30 2011-04-27 安徽意通电力设备有限公司 轻轨悬挂输送轨道的转向装置
JP5310784B2 (ja) * 2011-05-16 2013-10-09 村田機械株式会社 有軌道台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806A (ja) * 1999-02-08 2000-08-15 Hitachi Kiden Kogyo Ltd 搬送システムにおける自走式搬送車の運行制御方法
JP2003528012A (ja) * 2000-03-15 2003-09-24 ダブリュエフ ロジスティック ゲーエムベーハー 経路変更ステーションを備えた懸垂式コンベア装置
KR100753072B1 (ko) * 2000-09-14 2007-08-31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이송 설비
JP2003079074A (ja) * 2001-08-31 2003-03-14 Daifuku Co Ltd 搬送設備
JP2006282303A (ja) 2005-03-31 2006-10-19 Murata Mach Ltd 天井走行車システム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711A (ko) * 2015-04-06 2016-10-14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 설비
KR20170129924A (ko) * 2015-05-01 2017-11-27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자동 창고 및 현수식(懸垂式) 스태커 크레인
KR20180059081A (ko) 2016-11-25 2018-06-04 세메스 주식회사 자기 부상 이송 장치
KR20180136187A (ko) 2017-06-14 2018-12-24 세메스 주식회사 자기 부상 이송 장치
KR20190001107A (ko) 2017-06-26 2019-01-04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유지 보수용 승강 장치
WO2019231081A1 (ko) * 2018-05-31 2019-12-05 에이피에스홀딩스 주식회사 이송 시스템
KR20190136736A (ko) * 2018-05-31 2019-12-10 에이피에스홀딩스 주식회사 이송 시스템
KR20200016593A (ko) 2018-08-07 2020-02-17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유지 보수용 승강 장치
KR20200068964A (ko) 2018-12-06 2020-06-16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유지 보수용 승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10370A (ja) 2013-06-06
US20130313070A1 (en) 2013-11-28
TW201341287A (zh) 2013-10-16
US8701864B2 (en) 2014-04-22
KR102031806B1 (ko) 2019-10-14
JP5527619B2 (ja) 2014-06-18
CN103129934B (zh) 2016-12-28
CN103129934A (zh) 2013-06-05
TWI564987B (zh) 2017-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806B1 (ko) 물품 반송 설비
EP2511150B1 (en) Item conveyance infrastructure
JP5630661B2 (ja)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JP5440870B2 (ja) 物品搬送設備
JP5686501B2 (ja) 物品搬送設備
JP5472209B2 (ja) 物品搬送設備
KR102023519B1 (ko) 물품 반송 설비
JP5477651B2 (ja) 物品搬送設備
JP5316907B2 (ja) 物品搬送設備
JP2010228674A (ja) 交差部切換設備
JP5739036B1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