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334A -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 - Google Patents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334A
KR20130056334A KR1020137009405A KR20137009405A KR20130056334A KR 20130056334 A KR20130056334 A KR 20130056334A KR 1020137009405 A KR1020137009405 A KR 1020137009405A KR 20137009405 A KR20137009405 A KR 20137009405A KR 20130056334 A KR20130056334 A KR 20130056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ire
wire crimping
crimping
crimp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097B1 (ko
Inventor
켄타로 오누마
히로시 코바야시
타카히토 나카시마
사오리 무라마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58Crimping mandr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압착 단자(1)는 베이스 플레이트부(4), 및 전선의 압착 공정 중에 환형 심선 압착부(5)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심선 압착편(2, 3)을 포함하고, 일 심선 압착편(2)의 단부측은 외향으로 접혀서 외향 반발력을 가진 접힘부(16)를 형성하고, 타 심선 압착편(3)의 단부측은 접힘부 외측에 덮개부(17)로서 배치되고, 접힘부의 외부면은 반발력에 의해 덮개부의 내부면과 밀접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WATER PROOF CRIMPING TERMINAL AND CRIMP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수 압착 단자 및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착 단자의 심선(core wire) 압착부의 접착성을 개선하여 심선부에 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심선 압착부에 도포되는 부식방지 수지물질의 도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수 압착 단자 및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재 금속으로서, 동합금으로 제조된 단자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심선부를 가진 절연 피복 전선을 압착, 접속하는 기술에 있어서, 심선부의 압착부와 단자에 물이 부착될 때 발생하는 전식(電蝕:이재 금속 접촉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수 수단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따르면, 단자(51)의 한 쌍의 좌우 심선(core wire) 압착편(52)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노출된 심선부에 UV 경화 수지(53)가 도포되어 심선부에 물이 침투하여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5의 (a) 및 (b)에 있어서, 참조부호 54는 동합금으로 제조되는 단자(51)의 절연 피복형 압착편을 나타내고, 유사하게 참조부호 55는 피메일 타입 전기 접점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56은 알루미늄 전선의 절연 피복부를 각각 나타낸다. 특허문헌 1은 또한 심선 압착편(52)의 전방부와 후방부 뿐만 아니라 심선 압착편(52)의 전체부분과 피복형 압착편(54)의 전체부분에 수지층(53)이 도포된 형태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방수는 아니지만, 전선의 심선부의 열팽창에 기인한 심선 압착부의 팽창을 방지하는 일예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일 심선 압착편(전선 배럴)은 타 심선 압착편(전선 배럴) 보다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일 심선 압착편의 단부를 외측으로 접어서 내측으로 단차부를 형성하며, 양쪽의 심선 압착편을 중첩시키고, 타(내측) 심선 압착편의 상향 굽힘 단부를 상기 단차부에 접촉결합시킨다.
또한, 특허문헌 2는 다른 일예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 다른 일예에 따르면, 외측의 보다 긴 심선 압착편의 단부를 외측으로 접어서 내향 돌출하는 돌출면을 내측에 형성하고, 내측의 보다 짧은 심선 압착편을 내측으로 구부려 외측의 오목면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면을 오목면과 결합시킨다.
JP-A-2010-108829(도 1 내지 도 4) JP-A-H07-073950(도 5 내지 도 8)
그러나, 도 5의 (a) 및 (b)에 도시하고,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압착 단자의 상기 일반적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한 쌍의 심선 압착편(52)들 사이의 조인트 면(56)에 간혹 간극이 형성될 때, 이 간극을 통해 심선 압착편(52)의 내측에 있는 심선부에 물이 침입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 쌍의 심선 압착편(52)의 전체에 수지물질(53)을 피복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서 수지물질(53)을 경화하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일반적인 압착 단자에 있어서는, 외측의 보다 긴 심선 압착편이 외측으로 접혀있거나, 내측의 보다 짧은 심선 압착편이 내측으로 접혀있기 때문에, 내측의 심선 수용 영역을 감소시켜 심선부에 과도한 압착변형을 부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심선 압착편들 사이의 조인트 면으로부터 내측의 심선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심선부의 과도한 압착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압착 단자 및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방수 압착 단자는, 베이스 플레이트부: 및 전선의 압착 공정 중에 환형 심선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심선 압착편; 을 포함하고, 상기 심선 압착편들 중 어느 하나인 일 심선 압착편의 단부측은 외향으로 접혀서 외향 반발력을 가진 접힘부를 형성하고, 상기 심선 압착편들 중 다른 하나인 타 심선 압착편의 단부측은 상기 접힘부 외측에 덮개부로서 배치되고, 상기 접힘부의 외부면은 상기 반발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의 내부면과 밀접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전선의 심선부가 압력하에서 심선 압착부에 부착되고 접속된 상태에서, 지지점으로서의 접혀진 베이스 단부 상에서 접힘부를 외측으로 복원하기 쉬운 반발력(탄성력)을 통해 일 (굽혀진) 심선 압착편의 단부측의 접힘부는 타 (굽혀진) 심선 압착편의 단부측의 덮개부에 간극 없이 강하고 타이트하게 밀접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와 접힘부의 사이 부분으로부터 내측(심선부측)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그러므로, 심선 압착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부식방지 수지물질을 도포할 필요가 없다. 단지, 심선 압착부의 전후방부로 돌출하는 2개 위치의 심선노출부에만 부식방지 수지물질을 도포하면 된다.
예를 들면, 타 심선 압착편의 단부측이 내향으로 접혀서 접힘부를 형성할 경우, 접힘부와 일체로 형성된 타 심선 압착편은 내향 접힘부의 내향 반발력에 의해 외향으로 힘을 받으며(접힘부 내측에 위치하는 일 심선 압착편은 강하게 내측의 심선부와 접촉하기 때문이다), 반발력은 외측으로 빠져 나와서 일 심선 압착편에 대한 접착성을 낮춘다. 외향 접힘부가 일 심선 압착편에 형성되고, 접힘부로부터 분리된(불연속인) 타 심선 압착편의 덮개부가 접힘부의 외측에 배치된 경우, 접힘부의 반발력은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접힘부는 강하게 별도부재로서의 덮개부와 밀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라 규정된 방수 압착 단자에 있어서는 상기 제1양태에 따른 방수 압착 단자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단부가 상기 접힘부의 단부 보다 길게 연장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길게 연장된 덮개부는 덮개부가 연장되지 않은 경우 보다 큰 내향 압착력으로 접힘부와 밀접하게 되어 덮개부의 내부면과 접힘부의 외부면 간의 접착성(방수 특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른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은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으로서, 연속적으로 앤빌에 대향하는 크림퍼에 단차면을 통해 한 쌍의 곡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곡면들 중 어느 하나인 일 곡면의 가상 연장면 외측으로 상기 곡면들 중 다른 하나인 타 곡면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일 곡면을 따라서 상기 일 심선 압착편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타 곡면을 따라서 상기 타 심선 압착편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와 접하도록 하고 상기 앤빌 및 상기 크림퍼에 의해 상기 심선 압착부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타 심선 압착편의 단부, 즉 덮개부의 단부는 크림퍼의 단차면과 접한다. 덮개부는 일 곡면의 가상 연장선과 타 곡면 간의 공간(단차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일 심선 압착편의 단부의 외측의 접힘부는 일 곡면으로부터 덮개부의 내부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고, 이때, 심선 압착편 모두는 굽혀진 형태로 압력하에서 원활하게 부착되어 지름을 감소시킨다(압착된 상태). 덮개부가 단차면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접촉 결합하기 때문에 덮개부에 의한 접힘부의 불필요한 내향 압착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심선부의 수용 공간을 확보하며, 심선부의 과도한 압착변형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라 규정된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제3양태에 따른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에 있어서 전선의 압착 공정 이전에 상기 접힘부는 상기 일 심선 압착편으로부터 외측으로 분리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압착 공정이전의 상태에서(단자 형성 중), 접힘부는 지지점으로서의 굽힘부 상에서 어느 정도 개방 각도(예각)로 외향으로 접힌다. 따라서, 외향 반발력이 접힘부에 부여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일 심선 압착편의 한 쌍의 외향 접힘부는 외측의 타 심선 압착편의 덮개부와 탄성적으로 밀접할 수 있어 접힘부의 반발력을 소멸시키지 않고 접착성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접힘부와 덮개부의 사이 부분으로부터 물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식방지 수지물질을 심선 압착부 전체 길이에 걸쳐서 도포할 필요가 없고, 단지 심선 압착부의 전후부에서 심선 노출부에만 도포해도 된다. 따라서, 부식방지 수지물질의 경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부식방지 수지물질의 사용량(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공정수와 전선을 가진 압착단자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연장된 덮개부가 큰 내향 압착력으로 내측의 접힘부와 강하게 밀접할 수 있으므로, 심선 압착부의 방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내측의 일 곡면과, 단차면에 연속하는 외측의 타 곡면이 크림퍼에 형성된다. 덮개부는 외측의 곡면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접힘부는 덮개부의 내부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여 심선 압착편 모두가 강제적인 변형 없이도 압력하에서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덮개부가 원활하고도 확실하게 접힘부와 밀접할 수 있어 방수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심선부의 강제 압착변형을 방지하거나, 소선(素線)이 심선부의 강제적 압착변형에 기인하여 절단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라서, 압착단자의 자유 상태에서 외향 반발력이 접힘부에 부여되기 때문에, 전선의 압착공정 중에 반발력에 기인하여 접힘부가 외측의 덮개부와 탄성적으로 밀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접힘부와 덮개부 사이에서의 방수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서 방수 압착 단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압착 단자의 심선 압착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압착동작 이전에 심선 압착부 형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전선의 심선부가 앤빌 및 크림퍼에 의해 심선 압착부와 함께 차례로 압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일반적 방수 압착 단자의 일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측면도이고, 도 5의 (b)는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압착 단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유사하게 방수 압착 단자의 심선 압착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전선의 예시를 생략한다). 유사하게, 도 3 및 도 4의 (a) 내지 (c)는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압착 단자(1)는 환형 심선 압착부(5), 환형 절연 피복 압착부(8), 및 박스형상의 피메일 타입 전기 접점부(10)를 포함하며, 심선 압착부(5)는 서로 중첩된 한 쌍의 우측 및 좌측 심선 압착편(2, 3)을 가지고, 절연 피복 압착부(8)는 심선 압착부(5)의 후방부에서 한 쌍의 우측 및 좌측 절연 피복 압착편(6, 7)을 가지며, 전기 접점부(10)는 심선 압착부(5)의 전방부에서 수평 베이스 플레이트부(바닥 플레이트부)(4) 및 좌우 수직측벽(9)을 통해 심선 압착부(5)에 연속하고 있다.
절연 피복 전선(11)의 단부측에서의 절연 피복(12)을 박리하여 복수의 소선(素線)(13a)으로 구성된 심선부(13)를 노출시키고, 심선부(13)의 외측면을 일(우측) 심선 압착편(2)의 내부면과 밀접하게 접촉시키고 타(좌측) 심선 압착편(3)의 내부면을 상기 일 심선 압착편(2)의 외측에 놓는다(중첩시킨다). 따라서, 한 쌍의 심선 압착편(2, 3)의 조인트 면(14)은 지름방향으로 강하고 밀접하게 상호 접촉되어 조인트 면(14)으로부터 내측으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심선 압착부(5)에[심선 압착편(2, 3)의 후방 단부(5a)로부터 전방 단부(5b)까지의 범위에], 부식방지 수지물질(15)을 도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절연 피복 압착부(8)의 주변(상부측)과 심선 압착부(15)의 전방 단부(5b)로부터 짧게 돌출한 심선 단부의 주변을 포함하여 단지 전체 2부분에만 부식방지 수지물질(15)(쇄선으로 도시함)을 도포하면 된다. 그러므로, 부식방지 수지물질(15)을 절연 피복 압착부(8) 보다 길게 심선 압착부(5)에 도포할 때 필요한 부식방지 수지물질(15)의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상기 2부분에서의 짧고 작은 부식방지 수지물질(15)을 짧은 시간에 경화할 수 있다.
심선 압착부(5)는 한 쌍의 심선 압착편(2, 3)과 베이스 플레이트부(4)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부는 한 쌍의 심선 압착편(2, 3)과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 방향으로 한 쌍의 심선 압착편(2, 3)의 길이 범위 내에서 한 쌍의 심선 압착편(2, 3)의 하부측에 연속한다. 유사하게, 절연 피복 압착부(8)는 한 쌍의 절연 피복 압착편(6, 7)과 베이스 플레이트부(4)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부(4)는 한 쌍의 절연 피복 압착편(6, 7)과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절연 피복 압착편(6, 7)의 길이 범위 내에서 한 쌍의 절연 피복 압착편(6, 7)에 연속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부(4)는 또한 바닥 플레이트부로도 지칭되며, 단자의 종방향으로 절연 피복 압착부(8)의 후방단부로부터 피메일 타입 전기 접점부(10)의 전방 단부에 일체로 연속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이 코킹된 이후, 환형 심선 압착부(5)는 하측에서의 원호형 베이스 플레이트부(4), 일 심선 압착편(2) 및 타 심선 압착편(3)을 포함하며, 일 심선 압착편(2)은 베이스 플레이트부(4)의 일측부(4a)(본 실시예의 우측부)에 대해 지름방향이 되는 방향인 내측으로 굽혀지고(굽힘부는 참조부호 2a로 표시함) 다시 굽힘부(2a)의 단부측에서 지름방향으로 상향 외측으로 접혀지고(접힘부는 참조부호 16으로 표시함), 타 심선 압착편(3)은 베이스 플레이트부(4)의 타측부(4b)(본 실시예에서의 좌측부)와 반대되는 방향인 내측으로 굽혀지고(굽힘부는 참조부호 3a로 표시함) 접힘부(16)의 상측에 놓여지는(중첩되는) 덮개부(17)를 가지고 있어 굽힘부(3a)의 단부측에서 함께 밀접하게 된다.
도 2의 일실시예에서, 일측 굽힘부(2a)의 단부측(상측)부는 좌측 하향으로 다소 경사져있다(경사부는 참조부호 2b로 표시된다). 경사부(2b)의 단부(2b')는 수직방향으로 심선 압착부(5)의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타측(좌측)에 위치한다. 접힘부(16)는 우측 상향으로 다소 경사진 상태로 경사부(2b)의 상측에 위치한다. 접힘부(16)의 단부(16a)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에서 가상 중심선 상에 위치한다.
접힘부(16)의 베이스 단부는 원호(반원)형 굽힘부(18)를 통해 경사부(2b)의 단부에 일체로 연속한다. 접힘부(16)는 탄성력(반발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 탄성력은 지지점으로서 경사부(2b)와 접힘부(16)의 교차부인 굽힘부(18)에서 경사부(2b)에 대해 화살표 F로 도시한 바와 같은 지름방향에서 외측으로 향한다. 따라서, 접힘부(16)의 탄성력에 의해 접힘부(16)의 외부 곡면(16b)은 외측의 덮개부(17)의 내부 곡면(17b)과 강하고 타이트하게 접촉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덮개부(17)는 접힘부(16)의 단부(16a) 보다 길게 시계방향으로 연장된다. 덮개부(17)의 단부 내부면(17a)이 경사부(2b)의 베이스부 측부(2b")의 외부면과 접촉한다. 덮개부(17)는 지름방향 내측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가진다. 접힘부(16)의 외향 탄성력에 의해 접힘부(16)의 외부면(16b)은 덮개부(17)의 내부면(17b)과 밀접하게 된다. 동시에, 길게 뻗는 덮개부(17)의 내부면(17b)이 덮개부(17)의 내향 탄성력에 의해 접힘부(16)의 외부면(16b)과 밀접하게 된다. 따라서, 접힘부(16)와 덮개부(17) 사이의 한 부분[조인트 면(14)]으로부터 내측의 심선부(13)(도 1)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도 1에 있어서, 부식방지 수지물질(15)을 심선 압착부(5)의 전체 길이[전방 단부(5b)로부터 후방 단부(5a)까지]에 걸쳐 도포할 필요가 없다.
도 2에서, 덮개부(17)가 연장되지 않고 접힘부(16)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도, 덮개부(17)는 연장될 때 얻어지는 것과 같지 않은 내향 탄성력을 가지고 있고 접힘부(16)가 변하지 않은 외향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덮개부(17)는 확실하게 접힘부(16)와 간극 없이 밀접하게 되어, 조인트 면(14)으로부터 물이 심선부(13)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부식방지 수지물질(15)은 심선 압착부(5)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도포될 필요가 없다.
도 3은 압착 동작 이전에 도 2에 도시한 심선 압착부(5)의 자유로운 상태를 도시한다. 일(우측) 심선 압착편(2)은 우측 상향(외향)으로 경사진 기다란 경사부(2c)와 우측 하향(외향)으로 짧게 경사진 접힘부(16)를 포함한다. 접힘부(16)의 베이스 단부(상단부)는 작은 직경을 가진 원호형 굽힘부(18)를 통해 경사부(2c)의 단부에 일체로 연속한다. 경사부(2c)와 접힘부(16)에 의해 형성된 개방 각도θ가 일예로서 대략 약 35°(바람직하게는 예각)이며, 이 수치는 본 실시예의 일(우측) 심선 압착편(2) 및 타(좌측) 심선 압착편(3)에 의해 형성된 개방 각도 보다 조금 작다. 접힘부(16)는 지지점으로서의 굽힘부(18)의 경사부(2c)에 대해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내향 및 외향)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가진다.
타(좌측) 심선 압착편(3)은 일 심선 압착편(2)의 상단부로서의 접힘부(18)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좌상향 (외향)으로 뻗으면서 경사진다. 타 심선 압착편(3)의 단부(상단부)는 참조부호 17a로 표시되어 있다. 우측과 좌측 심선 압착편(2, 3)의 폭(도 1의 전후방향에서의 길이)과 두께는 각각 동일하다. 도 3에 도시한 심선 압착편(2, 3)은 각각 원호형으로 굽혀진 베이스 플레이트부(4)로부터 기울어져 외향으로 돌출(상승)한다. 심선 압착부(5)는 베이스 플레이부(4)와 심선 압착편(2, 3)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심선 압착부(5)는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한 압착 공정에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압착 동작에 의해 변형된다.
즉,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한 심선 압착부(5)는 금속으로 제조된 하부 몰드로서의 앤빌(21) 상에 설치되고, 금속으로 제조된 상부 몰드로서의 크림퍼(22)는 심선 압착부(5)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의 심선 압착부(5)를 포함하는 압착단자(1)(도 1)는 그 탄성이 양호한 동합금으로 형성된다.
앤빌(21)은 리시빙 원호형 곡면(23)과 이 곡면(23)의 좌우 양측에 위치한 측벽(21b)을 포함한다. 크림퍼(22)는 앤빌(21)의 곡면(23)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내경을 가진 한 쌍의 우측 및 좌측 프레스 원호형 곡면(24, 25)을 포함한다. 좌우향으로 그리고 근사 수직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단차면(26)을 통해 우측(일)곡면(24)은 좌측(타) 곡면(25)과 연속한다. 좌측 곡면(25)은 우측 곡면(24)의 가상 신장면(도시안됨) 외측에서 지름방향으로 배치된다.
우측 곡면(24)의 정점(24a)은 단차면(26)의 하단에 연속하고, 단차면(26)의 상단은 좌측 곡면(25)의 정점(25a)에 연속한다. 좌측 곡면(25)의 정점(25a)은 우측 곡면(24)의 정점(24a) 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 우측 곡면(24)의 하단(24b)과 좌측 곡면(25)의 하단(25a)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위치한다. 우측 곡면(24)의 하단(24b)과 좌측 곡면(25)의 하단(25a)은 각각 외향으로 그리고 근사 수직방향으로 경사진 테이퍼형 경사면(27)에 각각 연속한다. 경사면(27)들은 각각 앤빌(21)의 좌우측 상단(21a)에 근접한다. 도 4의 (a)에 있어서, 기호 W는 몰드 C/W(crimper wide), 즉, 크림퍼(22)의 우측 곡면(24)의 하단(24b)과 좌측 곡면(25)의 하단(25a) 간의 폭 치수를 나타낸다.
도 4의 (a)에 있어서, 심선 압착부(5)의 베이스 플레이트부(바닥 플레이트부)(4)는 앤빌(21)의 곡면(23)의 폭방향으로 중앙부와 접촉한다. 전선(11)의 복수의 소선(13a)으로 구성된 심선부(13)(도 1)는 심선 압착부(5) 내에 설정된다. 우측 심선 압착편(2)의 단부측에서 접힘부(16)의 단부(하단부)의 외부면은 크림퍼(22)의 경사면(27)의 상단측과 접촉한다. 이때, 접힘부(16)는 다소 내측으로 가압되어, 지지점으로서의 접힘부(16)의 상부측의 굽힘부(18)에서 굽혀된다. 좌측 심선 압착편(3)의 단부(상단부)의 외측 단부는 좌측 곡면(25)의 하단측에 접한다.
크림퍼(22)는 도 4의 (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액압식 실린더의 램(ram)에 의해 일체로 하강한다. 하강 이동 중에,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힘부(16)의 외부면은 크림퍼(22)의 우측 곡면(24)과 접촉하며, 이때, 접힘부(16)는 전선의 지름방향 내측으로 가압되어 지지점으로서의 굽힘부(18)에서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굽혀진다. 동시에, 심선 압착편(2)이 굽혀진다(굽힘부가 참조부호 2a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접힘부(16)의 내부면은 굽힘부(2a)의 외부면과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된다. 좌측 심선 압착편(3)의 단부측부(3b)는 크림퍼(22)의 좌측 곡면(25)을 따라서 굽혀진다. 베이스 플레이트부(4)는 앤빌(24)의 곡면(23)을 따라서 원호 형상으로 굽혀진다.
도 4의 (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크림퍼(22)가 더욱 하강하면,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심선 압착편(2)은 내측으로 굽혀져 직경이 감소된다. 이때, 접힘부(16)는 크림퍼(22)의 중앙에서 단차면(26)을 통과하고, 접힘부(16)의 단부(16a)는 단차면(26)의 하측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좌측 심선 압착편(3)의 단부(17a)는 단차면(26)과 접하며, 이때 심선 압착편(3)의 단부측부는 내측으로 굽혀져 덮개부(17)를 형성한다. 접힘부(16)는 덮개부(17)의 내부면을 따라서 좌측방향으로 안내되어 원활하게 덮개부(17) 내측으로 진입한다. 덮개부(17)는 좌측 곡면(25)에 의해 하측에서 접힘부(16)에 가압되어 접힘부(16)와 밀접하게 된다.
접힘부(16)는 덮개부(17)에 의해 내향으로 가압되어, 굽힘부(2a)의 단부측에서의 좌하향 경사부(2b)가 심선부(13)를 향해 내향으로 파고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심선부(13)는 우측 및 좌측 심선 압착편(2, 3)의 굽힘부(2a, 3a), 우측 경사부(2b), 및 굽혀진 베이스 플레이트부(4)에 둘러싸여 지름방향으로 압착되어 있고, 그 결과 굽힘부(2a, 3a), 경사부(2b), 및 베이스 플레이트부(4) 각각의 내면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도 4의 (c)에 도시한 상태에서, 압착 공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크림퍼(22)는 램과 함께 상승하고, 환형 심선 압착부(5)는 크림퍼(22) 및 앤빌(21)의 가압력으로부터 해제된다. 접힘부(16)는 그 자체의 외향 복원력과 경사부(2b) 상에 작용하는 심선부(13)의 외향 반발력에 의해 덮개부(17) 측으로 가압되어 함께 밀접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17)와 접힘부(16)의 사이 부분으로부터 심선부(13)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합금으로 제조된 단자(1)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심선부(13)와 같이, 이재 금속(dissimilar metal)으로 제조된 단자와 심선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설명한 접힘부(16)와 덮개부(17)의 상기 설명한 밀접 동작이 특히 효과적이다.
도 4의 (c)에 도시한 일실시예에서, 덮개부(17)의 단부(17a)와 접힘부(16)의 단부(16a)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동일 가상 수직면에 위치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4의 (a)에 있어서, 중앙으로부터 우향으로 단차면(26)이 이동하고, 좌측곡면(25)은 우측 곡면(24) 보다 길게 설정된 경우[도 3에서, 좌측 심선 압착편(3)이 바람직하게 우측 심선 압착편(2) 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연장된 덮개부(17)의 형태가 수득된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심선 압착편(3)의 단부측으로서의 덮개부(17)가 단차면(26)과 이 단차면에 연속하는 좌측 곡면(25)의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28)[도 4의 (b)]에 수용되기 때문에, 덮개부(17)는 하측의 접힘부(16) 또는 경사부(2b)가 강제로 심선부(13)로 파고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심선 압착부(5)에서 심선부(13)의 수용공간이 실질적으로 원형이 되도록 유지되며, 불합리한 압착력이 심선부에 부여되지 않고 심선부(13)의 과도한 압착변형을 방지한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박스형 전기접점부(10)(내부에 탄성 접촉편을 가진다)를 가진 피메일측 압착단자(1)를 단자로서 사용한다. 그러나, 탭 타입, 또는 핀 타입과 같은 메일 타입 전기 접점부(도시 안됨)가 베이스 플레이트부(4)에 연속으로 형성된 메일 타입 압착단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기 접점부가 형성되지 않고 복수 전선의 심선부(13)가 조인트 압착에 의해 심선 압착부(5)에 부착된 조인트용 압착 단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우측 심선 압착편(2)에 접힘부(16)가 형성되고, 좌측 심선 압착편(3)에 덮개부(17)가 형성되어 있지만, 덮개부(17)를 우측 심선 압착편(2)에 형성하고,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형태와 대칭이 되도록 접힘부(16)를 좌측 심선 압착편(3)에 형성할 수도 있다[접힘부(16)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덮개부(17) 내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 단자의 심선 압착부의 구조, 또는 심선 압착부를 형성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방수 압착 단자 및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방수 압착 단자 및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접압) 방법을 이용하여 압착 단자의 심선 압착부에 부식방지 수지 물질의 도포량을 감소시키고, 부식방지 수지 물질의 경화시간을 줄이고, 부식방지 수지물질의 소요 비용을 줄이고, 예를 들면 전선을 가진 압착 단자의 제조로부터 전선을 가진 압착 단자를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사이클 시간(여기서 커넥터 하우징은 절연수지로 이루어지고, 와이어 하네스의 커넥터를 형성한다)을 단축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0년 10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231394호를 기초로 하며,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1: 방수 압착 단자
2, 3: 심선 압착편
4: 베이스 플레이부
5: 심선 압착부
16: 접힘부
17: 덮개부
21: 앤빌
22: 크림퍼
24, 25: 곡면
26: 단차면

Claims (4)

  1. 방수 압착 단자로서,
    베이스 플레이트부: 및
    전선의 압착 공정 중에 환형 심선 압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심선 압착편;
    을 포함하고,
    상기 심선 압착편들 중 일 심선 압착편의 단부측은 외향으로 접혀서 외향 반발력을 가진 접힘부를 형성하고, 상기 심선 압착편들 중 타 심선 압착편의 단부측은 상기 접힘부 외측에 덮개부로서 배치되고, 상기 접힘부의 외부면은 상기 반발력에 의해 상기 덮개부의 내부면과 밀접하게 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압착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단부가 상기 접힘부의 단부 보다 길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압착 단자.
  3. 제1항에 따른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으로서,
    앤빌에 대향하는 크림퍼에 단차면을 통해 한 쌍의 곡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곡면들 중 일 곡면의 가상 연장면 외측으로 상기 곡면들 중 타 곡면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일 곡면을 따라서 상기 일 심선 압착편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타 곡면을 따라서 상기 타 심선 압착편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의 단부가 상기 단차부와 접하도록 하고 상기 앤빌 및 상기 크림퍼에 의해 상기 심선 압착부를 가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전선의 압착 공정 이전에 상기 접힘부는 상기 일 심선 압착편으로부터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압착 단자의 압착 방법.
KR1020137009405A 2010-10-14 2011-10-14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 KR101516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1394A JP5717395B2 (ja) 2010-10-14 2010-10-14 防水型圧着端子の圧着方法
JPJP-P-2010-231394 2010-10-14
PCT/JP2011/074234 WO2012050239A1 (en) 2010-10-14 2011-10-14 Water proof crimping terminal and crimp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334A true KR20130056334A (ko) 2013-05-29
KR101516097B1 KR101516097B1 (ko) 2015-05-04

Family

ID=4491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9405A KR101516097B1 (ko) 2010-10-14 2011-10-14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65189B2 (ko)
JP (1) JP5717395B2 (ko)
KR (1) KR101516097B1 (ko)
CN (1) CN103155284B (ko)
BR (1) BR112013008584A2 (ko)
DE (1) DE112011103480T5 (ko)
WO (1) WO2012050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0015B2 (ja) * 2013-03-19 2017-01-1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の電線に対する圧着構造
JP6454062B2 (ja) 2013-03-21 2019-01-16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5462394B2 (ja) * 2013-05-13 2014-04-02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圧縮スリーブを用いた電線の接続方法及び当該圧縮スリーブ
JP6147232B2 (ja) * 2014-08-25 2017-06-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519440B2 (ja) * 2015-10-21 2019-05-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および圧着治具
JP6279540B2 (ja) * 2015-12-16 2018-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端子
JP2017201577A (ja) * 2016-05-02 2017-11-0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付電線
DE102016125647A1 (de) * 2016-12-23 2018-06-28 Epcos Ag Leiterverbindung, Verbindungsstück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iterverbindung
JP6556787B2 (ja) * 2017-06-09 2019-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圧着装置
DE102017121924B3 (de) 2017-09-21 2019-02-21 Tdk Electronics Ag Elektrisches Bauelement mit Anschlussbereich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schlussbereichs
DE102017121908B4 (de) * 2017-09-21 2023-12-07 Tdk Electronics Ag Elektrisches Bauelement mit Litzenkontak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tzenkontakts
JP6709806B2 (ja) * 2018-01-18 2020-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クリンパ
JP6793148B2 (ja) * 2018-04-12 2020-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磁圧接端子の製造方法
JP2019212458A (ja) * 2018-06-04 2019-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6768742B2 (ja) * 2018-06-04 2020-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CN110086004A (zh) * 2019-04-29 2019-08-02 江苏正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压接可靠性的连接装置及其压接方法
JP7299127B2 (ja) * 2019-10-02 2023-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並びにこれを用いた端子付き電線、及び電気接続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7080A (en) * 1966-07-25 1968-06-04 Burndy Corp Splice connector with locking insert
US5414926A (en) * 1992-10-09 1995-05-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crimping apparatus
JP2970362B2 (ja) 1993-06-30 1999-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圧着構造及び端子圧着方法並びにこれらに用いる圧着端子
US5561267A (en) * 1993-11-30 1996-10-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rimp termin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064852B2 (ja) * 1995-02-02 2000-07-1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圧着方法および圧着端子
JP3731783B2 (ja) * 1997-09-05 2006-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の圧着方法および圧着装置
JPH10223265A (ja) * 1998-01-27 1998-08-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ゴム栓付き端子圧着電線、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1217013A (ja) 2000-02-02 2001-08-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10108829A (ja) 2008-10-31 2010-05-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導体と端子の接続部および接続方法
JP5608995B2 (ja) 2009-03-26 2014-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復旧制御方法、履歴保存プログラム、履歴保存装置及び履歴保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08584A2 (pt) 2016-07-12
JP5717395B2 (ja) 2015-05-13
DE112011103480T5 (de) 2013-07-25
KR101516097B1 (ko) 2015-05-04
US20130213710A1 (en) 2013-08-22
US9065189B2 (en) 2015-06-23
CN103155284B (zh) 2015-12-16
JP2012084472A (ja) 2012-04-26
WO2012050239A1 (en) 2012-04-19
CN103155284A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6334A (ko) 방수 압착 단자 및 그 압착 방법
JP5546709B1 (ja) 圧着端子、端子付き電線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JP5674120B2 (ja) コネクタ端子の電線接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86354B2 (ja) 金型及び圧着方法
CN104094471B (zh) 连接构造体、连接器以及连接构造体的制造方法
US2015036483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nnection structural body, connection structural body, wire harness, crimping member and crimping device
JP5717394B2 (ja) 防水型圧着端子とその形成方法
KR101629125B1 (ko) 단자 피팅
US20150180138A1 (en) Terminal Attached Aluminum Electric Wire
JP5164819B2 (ja) 圧着バレルの圧着方法、圧着バレル及び圧着装置
JP6709818B2 (ja) 端子付き電線
JP5535288B2 (ja) 圧着端子の製造方法、圧着端子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
JP2010140807A (ja) 圧着バレルの圧着構造、圧着端子及び圧着装置
JP6147232B2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7201577A (ja) 端子付電線
JP2009252449A (ja) 端子金具、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6339365B2 (ja) ワイヤハーネス、被覆導線の接続方法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構造体
JP2010067577A (ja)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6440673B2 (ja) 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5607851B2 (ja) 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圧着装置
JP6093668B2 (ja) 圧着端子
JP5011173B2 (ja) 端子圧着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WO2020100875A1 (ja) 端子付き電線
WO2020100874A1 (ja) 端子付き電線
JP2014164940A (ja) 電線付き圧着端子及び電線付き圧着端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