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1098A -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1098A
KR20130041098A KR1020137000819A KR20137000819A KR20130041098A KR 20130041098 A KR20130041098 A KR 20130041098A KR 1020137000819 A KR1020137000819 A KR 1020137000819A KR 20137000819 A KR20137000819 A KR 20137000819A KR 20130041098 A KR20130041098 A KR 20130041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ear
plate
uni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915B1 (ko
Inventor
야스히로 미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4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전자기기의 스페이스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의 접속위치에 캠 유닛과 기어 유닛을 구비한다. 캠 유닛은 상부 플레이트와 접속되는 제 1 캠 샤프트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제 1 캠 기구와, 하부 플레이트에 접속되는 제 2 캠 샤프트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제 2 캠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기어 유닛은 상부 플레이트에 접속되는 제 1 기어 샤프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접속되는 제 2 기어 샤프트와, 제 1 기어 샤프트에 형성된 제 1 기어와, 제 2 기어 샤프트에 형성된 제 2 기어를 포함하고, 제 1 기어 샤프트와 제 2 기어 샤프트를 동기하여 회전시키는 기어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본발명은 본체부에 대해 덮개체부를 요동시키는 휴대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 혹은 노트형 컴퓨터 등의 폴더식 전자기기는 숫자 패드 등을 갖는 본체부와 액정표시장치 등을 갖는 덮개체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체부에 대해 덮개체부를 회전(요동)시키기 위해, 본체부와 덮개체부의 접속위치에 힌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는 이른바 2축식 힌지장치이다. 2축식 힌지장치에서는 본체부에 대해 덮개체부를 제 1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하여 180° 회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덮개체에 대해 본체부를 제 2 회전 샤프트를 중심으로 180°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로서 본체부에 대해 덮개체부를 360°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힌지장치는 내부에 캠 기구와 기어기구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다. 캠 기구를 형성함으로써, 본체부에 대해 덮개체부가 소정의 회전각도가 된 때에 토크를 발생시켜, 덮개체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액정표시장치등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023955호
종래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는 그 장치 내부에 캠 기구와 기어기구를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므로 필연적으로 그 형상이 커진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는 전자기기의 중앙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이었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중앙위치는 전자기기의 주요한 전자회로나 전자부품 등(이하, 주요 구성부품 등이라고 한다)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장치의 중앙위치에서 힌지장치가 큰 체적을 점유하고 있었으므로, 주요 구성부품의 설치위치에 자유도가 없어지고, 또한 전자기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는 개량된 유용한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총괄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의 보다 상세한 목적은 전자기기의 스페이스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캠 유닛과 기어 유닛을 갖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로서,
상기 캠 유닛은,
캠측 커버와,
상기 캠측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1 캠측 브라켓과 접속되는 제 1 캠 샤프트와,
상기 제 1 캠 샤프트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제 1 캠 기구와,
상기 제 1 캠 샤프트에 대해 독립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 2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2 캠측 브라켓과 접속되는 제 2 캠 샤프트와,
상기 제 2 캠 샤프트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제 2 캠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유닛은,
기어측 커버와,
상기 기어측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1 캠측 브라켓이 접속되는 제 1 기어 샤프트와,
상기 제 1 기어 샤프트에 설치된 제 1 기어부와,
상기 기어측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2 캠측 브라켓이 접속된 제 2 기어 샤프트와,
상기 제 2 기어 샤프트에 설치된 제 2 기어부와,
상기 제 1 기어부 및 상기 제 2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어 샤프트와 상기 제 2 기어 샤프트를 동기시켜 회전시키는 기어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캠 유닛과 상기 기어 유닛은 서로 회전가능한 제 1 및 제 2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이간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 샤프트와 상기 제 2 기어 샤프트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캠 기구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360° 회전한 때에 1회상기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회전위치에서 토크를 발생시키는 캠 유닛과, 제 1 및 제 2 플레이트가 회전할 때 동기를 취하는 기어 유닛을 분리하여 이간시켜 배치함으로써, 캠 유닛과 기어 유닛의 사이에 부품 등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힌지장치가 탑재되는 전자기기의 스페이스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캠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캠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기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기어 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적용한 전자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b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c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0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10c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적용한 전자기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b는 전자기기의 뒤수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발명의 실시예 2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의 브라켓과 상부 케이스의 접속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의 캠 기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탑재한 전자기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4b는 닫힌 상태에서의 제 1 및 제 2 캠부의 캠 전개도이다.
도 14c는 본발명의 캠 유닛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5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탑재한 전자기기의 덮개 열림 개시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b는 덮개 열림 개시상태에서의 제 1 및 제 2 캠부의 캠 전개도이다.
도 16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탑재한 전자기기의 덮개 열림 도중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b는 덮개 열림 도중상태에서의 제 1 및 제 2 캠부의 캠 전개도이다.
도 17a는 본발명의 실시예 1인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를 탑재한 전자기기의 뒤수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b는 뒤수납상태에서의 제 1 및 제 2 캠부의 캠 전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실시예 1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는 캠 유닛(5)과 기어 유닛(6)을 구비하고 있다. 이 캠 유닛(5) 및 기어 유닛(6)은 하부 플레이트(9)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8)를 상대적으로 개폐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캠 유닛(5)은 도 1중 좌측에 위치하고, 캠 브라켓 상부(1) 및 캠 브라켓 하부(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기어 유닛(6)은 도 1중 우측에 위치하고, 기어 브라켓 상부(3)와 기어 브라켓 하부(4)를 구비하고 있다.
캠 브라켓 하부(2)의 구멍부(2a)는 캠 유닛(5)에 대한 캠 브라켓 하부(2)의 연결점(즉, 하부 플레이트(9)의 요동중심)으로서, 좌우방향(화살표 R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1)를 구성한다. 캠 브라켓 상부(1)의 구멍부(1a)는 캠 유닛(5)에 대한 연결점(즉, 상부 플레이트(8)의 요동중심)으로서, 하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1)에 평행한 상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2)을 구성한다.
도 1중 우측에 위치하는 기어 유닛(6)에 대한 기어 브라켓 하부(4)의 연결점은 하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1)상에 위치하고, 기어 브라켓 상부(3)의 기어 유닛(6)에 대한 연결점은 상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2)상에 위치한다.
캠 유닛(5) 및 기어 유닛(6)은 함께 작동하여, 하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1)를 중심으로 하여 하부 플레이트(9)를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함과 함께, 상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2)를 중심으로 하여 상부 플레이트(8)를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한다.
상부 플레이트(8)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좌우 1쌍의 귀부(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플레이트(9)에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좌우 1쌍의 귀부(9a)가 형성되어 있다.
캠 브라켓 상부(1)의 평면부(1c)에는 전후 1쌍의 장착용 구멍부(1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1c)는 좌측의 귀부(8a)의 상면에 장착 나사(10)로 고정된다. 캠 브라켓 하부(2)의 평면부(2c)에는 전후 1쌍의 장착용 구멍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2c)는 좌측의 귀부(9a)의 하면에 장착 나사(10)로 고정된다.
기어 브라켓 상부(3)의 평면부(3c)에는 전후 1쌍의 장착용 구멍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3c)는 우측의 귀부(8a)의 상면에 장착 나사(10)로 고정된다. 기어 브라켓 하부(4)의 평면부(4c)에는 전후 1쌍의 장착용 구멍부(4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면부(4c)는 우측의 귀부(9a)의 하면에 장착 나사(10)로 고정된다.
본실시예 1에서, 캠 유닛(5)은 캠 브라켓 상부(1)와 캠 브라켓 하부(2)의 상대적으로 요동할 때에, 소정 각도로 토크를 상승시킴으로써 브라켓 상부(1)와 캠 브라켓 하부(2)를 그 각도로 요동을 규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기어 유닛(6)은 하부 플레이트의 요동축선(C1) 주위의 기어 브라켓 하부(4)의 회전(회전각도를 제 1 요동각(θ1)이라고 한다)과, 상부 플레이트의 요동축선(C2) 주위의 기어 브라켓 상부(3)의 회전(회전각도를 제 2 요동각(θ2)라고 한다)을 동기시키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캠 유닛(5)은, 도 3a,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커버(56)내에 제 1 캠 기구(50A)와 제 2 캠 기구(50B)가 설치된다. 제 1 캠 기구(50A)는 스프링(54), 제 1 캠 샤프트(55A), 캠 플레이트(52, 53)에 형성된 제 1 캠부 및 제 1 캠(81)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캠 기구(50B)는 스프링(54), 제 1 캠 샤프트(55B), 캠 플레이트(52, 53)에 형성된 제 2 캠부 및 제 2 캠(8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캠 기구(50A)를 구성하는 제 1 캠 샤프트(55A)는 상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2)과 일치하도록 힌지 커버(56)에 설치된다. 이 제 1 캠 샤프트(55A)는 캠 플레이트(52)에 형성된 구멍부(52a), 캠 플레이트(53)에 형성된 구멍부(53a) 및 힌지 커버(56)의 덮개체가 되는 힌지 캡(57)에 형성된 구멍부(57a)에 삽입통과됨으로써, 각 플레이트(52, 53) 및 힌지 캡(57)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된다.
스프링(54)은 캠 플레이트(53)와 힌지 캡(57)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제 1 캠(81)은 캠 플레이트(52)와 캠 플레이트(53)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 1 캠 샤프트(55A)에는 단면이 타원형인 제 1 중간 키부(5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중간 키부(55a)는 제 1 캠(81)에 형성된 타원형 걸어맞춤구멍(81a)에 걸어맞춤한다. 장착상태에서, 중간 키부(55a)는 걸어맞춤구멍(81a)과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고, 이로써 제 1 캠 샤프트(55A)와 제 1 캠(81)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제 1 캠 샤프트(55A)의 도 3b중 우단부에는 제 2 중간 키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캠 유닛(5)이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키부(55b)는 힌지 캡(57)의 우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캠 브라켓 상부(1)는 이 힌지 캡(57)보다 돌출한 중간 키부(55b)에 와셔(58) 및 슬리브(59)를 통하여 장착된다.
캠 브라켓 상부(1)의 단부에는 타원형 구멍(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캠 샤프트(55A)에 형성된 중간 키부(55b)는 이 캠 브라켓 상부(1)에 형성된 타원형 구멍(1a)에 걸어맞춤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중간 키부(55b)가 타원형 구멍(1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캠 브라켓 상부(1)는 제 1 캠 샤프트(55A)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중간 키부(55b)의 선단부는 캠 브라켓 상부(1)에 코킹(caulking)으로 고정된다.
제 1 캠부는, 도 13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52), 캠 플레이트(53) 및 제 1 캠(81)에 형성된 산부와 골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캠 플레이트(52)에는 1쌍의 산부(52c, 52d) 및 1쌍의 골부(52g, 52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플레이트(53)는 1쌍의 산부(53c, 53d) 및 1쌍의 골부(53g, 53h)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제 1 캠(81)은 캠 플레이트(52)와 대향하는 면에 1쌍의 산부(81d, 81e) 및 1쌍의 골부(81h, 81i)가 형성되고, 캠 플레이트(53)와 대향하는 면에 1쌍의 산부(81b, 81c) 및 1쌍의 골부(81f, 81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캠 플레이트(52), 캠 플레이트(53) 및 제 1 캠(81)의 어디에서도, 1쌍의 산부는 18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1쌍의 골부도 18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산부와 골부는 90°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캠 플레이트(52)에 형성된 산부(52c, 52d) 및 골부(52g, 52h)와, 캠 플레이트(53)에 형성된 산부(53c, 53d) 및 골부(53g, 53h)는 서로 동일 위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산부(52c)와 산부(53c), 산부(52d)와 산부(53d), 골부(52g)와 골부(53g), 골부(52h)와 골부(53h)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 2 캠 기구(50B)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캠 기구(50B)는 제 1 캠 기구(50A)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 캠 기구(50B)를 구성하는 제 2 캠 샤프트(55B)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1)과 일치하도록 힌지 커버(56)에 설치된다. 이 제 2 캠 샤프트(55B)는 캠 플레이트(52)에 형성된 구멍부(52b), 캠 플레이트(53)에 형성된 구멍부(53b) 및 힌지 커버(56)의 덮개체되는 힌지 캡(57)에 형성된 구멍부(57b)에 삽입통과됨으로써, 각 플레이트(52, 53) 및 힌지 캡(57)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축지지된다.
스프링(54)은 캠 플레이트(53)와 힌지 캡(57)의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제 2 캠(82)은 캠 플레이트(52)와 캠 플레이트(53)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 2 캠 샤프트(55B)에는 제 1 캠 샤프트(55A)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타원형인 제 1 중간 키부(55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중간 키부(55a)는 제 2 캠(82)에 형성된 타원형 걸어맞춤구멍(82a)에 걸어맞춤한다. 장착상태에서 중간 키부(55a)는 걸어맞춤구멍(82a)과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제 2 캠 샤프트(55B)와 제 2 캠(82)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제 2 캠 샤프트(55B)의 도 3b중 우단부에는 제 2 중간 키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캠 유닛(5)이 조립된 상태에서, 중간 키부(55b)는 힌지 캡(57)의 우측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캠 브라켓 하부(2)는 이 힌지 캡(57)보다 돌출한 중간 키부(55b)에 와셔(58) 및 슬리브(59)를 통하여 장착된다.
캠 브라켓 하부(2)의 단부에는 타원형 구멍(1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캠 샤프트(55B)에 형성된 중간 키부(55b)는 이 캠 브라켓 하부(2)에 형성된 타원형 구멍(2a)에 걸어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 키부(55b)가 타원형 구멍(2a)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캠 브라켓 하부(2)는 제 2 캠 샤프트(55B)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중간 키부(55b)의 선단부는 캠 브라켓 하부(2)에 코킹으로 고정된다.
제 2 캠부는, 제 1 캠부와 마찬가지로, 캠 플레이트(52), 캠 플레이트(53) 및 제 2 캠(82)에 형성된 산부와 골부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캠 플레이트(52)에는 도 13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산부(52e, 52f) 및 1쌍의 골부(52i, 52j)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플레이트(53)는 1쌍의 산부(53e, 53f) 및 1쌍의 골부(53i, 53j)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제 2 캠(82)은 캠 플레이트(52)와 대향하는 면에 1쌍의 산부(82d, 82e) 및 1쌍의 골부(82h, 82i)가 형성되고, 캠 플레이트(53)와 대향하는 면에 1쌍의 산부(82b, 82c) 및 1쌍의 골부(82f, 82g)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캠부에 있어서도, 캠 플레이트(52), 캠 플레이트(53) 및 제 2 캠(82)의 모두에서 1쌍의 산부는 18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1쌍의 골부도 180°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산부와 골부는 90°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산부(52e)와 산부(53e), 산부(52f)와 산부(53f), 골부(52i)와 골부(53i), 골부(52j)와 골부 (53j)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실시형태에 관련된 캠 유닛(5)에서는 제 1 캠 기구(50A)를 구성하는 제 1 캠부와 제 2 캠 기구(50B)를 구성하는 제 2 캠부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캠(81)과 제 2 캠(82)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실시예 1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닫힌 상태로부터, 상부 플레이트(8)가 하부 플레이트(9)에 대해 360° 회전할 수 있지만, 캠 유닛(5)의 상하 1쌍의 캠 기구(50A, 50B)중 상측 캠 기구 (50A)가 180°의 회전을 분담하고, 하측 캠 기구(50B)도 180°의 회전을 분담한다. 캠 유닛(5)은 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9)가 닫힌 상태일 때 그리고 360° 회전하여 상부 플레이트(8)가 하부 플레이트(9)의 뒤편에 수납되는 뒤수납상태일 때에, 제 1 및 제 2 캠부의 산부와 골부가 걸어맞춤하고, 토크 상승에 의해 그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9)를 유지한다.
또한, 본실시형태에 관련된 캠 유닛(5)은 제 1 캠 기구(50A)를 구성하는 캠 플레이트(52), 캠 플레이트(53) 및 제 1 캠(81)의 캠 형성위치에 각각 2개의 산부 및 골부를 형성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 2 캠 기구(50B)를 구성하는 캠 플레이트(52), 캠 플레이트(53) 및 제 1 캠(81)에도 각각 2개의 산부 및 골부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캠 기구(50A, 50B)에 형성하는 캠의 산부 및 골부의 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의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도 4b를 이용하여 기어 유닛(6)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어 유닛(6)은 상하 1쌍의 제 1 및 제 2 기어 샤프트(61A, 61B), 1쌍의 기어(62A, 62B), 1쌍의 기어 샤프트(63A, 63B), 지지 플레이트(64, 66), 미들 플레이트(65), 리벳팅 플레이트(67), 기어 커버(68) 및 기어 캡(6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측의 제 1 기어 샤프트(61A)는 상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2)상에 위치하고, 하측의 제 2 기어 샤프트(61B)는 하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1)상에 위치한다. 지지 플레이트(64)에는 제 1 및 제 2 제 1 기어 샤프트(61A, 61B)의 일단부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지는 상하 1쌍의 걸어맞춤구멍(6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64)의 걸어맞춤구멍(64a)의 상하방향의 중간부분에는 1쌍의 기어 샤프트(63A, 63B)의 일단부에 형성된 소직경부가 끼워맞춰지는 구멍부(64b)가 형성되어 있다.
미들 플레이트(65)에는 기어 샤프트(63A, 63B)를 삽입통과하는 구멍부(65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66)에는 기어 샤프트(70A, 70B)의 단부가 삽입통과 가능한 1쌍의 구멍부(66a)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기어 캡(69)의 기어 커버(68)와 대향하는 측의 단면에는 지지 플레이트(66)를 수납하는 오목부가 형성됨과 함께, 기어 샤프트(70A, 70B)의 단부가 삽입통과하는 1쌍의 구멍부(69a)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샤프트(63A, 63B)는 상하 1쌍의 기어(62A, 62B)에 형성된 중심구멍(62A) 및 미들 플레이트(65)에 형성된 구멍부(65a)에 삽입통과된 후, 그 선단부가 지지 플레이트(64)에 형성된 구멍부(64b)에 삽입통과된다. 그 후, 기어 샤프트(63A, 63B)의 지지 플레이트(64)로부터 돌출한 단부에 리벳팅 플레이트(67)를 코킹으로 고정해, 이로써 서브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이 서브 어셈블리를 기어 커버(68)에 삽입하여 제 1 및 제 2 기어 샤프트(61A, 61B)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부(61a)의 단부에 플레이트(66)를 맞닿게 하여, 기어 커버(68)의 개구부에 기어 캡(69)을 끼워맞춘다.
상하 1쌍의 기어 샤프트(70A, 70B)는 기어 브라켓 상부(3) 및 기어 브라켓 하부(4)에 형성된 구멍(3a, 4a), 기어 캡(69)에 형성된 구멍부(69a), 지지 플레이트(66)에 형성된 구멍부(66a)에 삽입통과된 후, 제 1 및 제 2 기어 샤프트(61A, 61B)에 형성된 끼워맞춤 구멍부(61a)에 끼워맞춰진다.
또한, 본실시예에 관련된 기어 유닛(6)에서는 기어 샤프트(70A)가 상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2)과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기어 샤프트(70B)가 하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1)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기어 샤프트(70A, 70B)에는 그 중앙을 관통하는 삽입통과구멍(7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삽입통과구멍(70a)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와 같이, 1쌍의 기어 샤프트(70A, 70B)가 제 1 및 제 2 기어 샤프트(61A, 61B)에 끼워맞춰짐으로써, 기어 유닛(6)이 구성된다. 이 기어 유닛(6)은 기어 샤프트(70A)와 제 1 기어 샤프트(61A)가 일체로 회전하고, 기어 샤프트(70B)와 제 1 기어 샤프트(61B)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제 1 기어 샤프트(61A)에 형성된 기어부(61b)는 기어(62A)와 서로 맞물리고, 제 2 기어 샤프트(61B)에 형성된 기어부(61b)는 기어(62B)와 서로 맞물리고 있다. 또한, 기어(62A)와 기어(62B)도 서로 맞물리고 있다. 또한, 기어(62A, 62B)는 제 1 및 제 2 기어 샤프트(61A, 61B)에 형성된 기어부(61b)와 함께 청구항에 기재된 기어기구를 구성한다.
따라서, 기어 샤프트(70A)에 접합된 기어 브라켓 상부(3)에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면, 기어 유닛(6)에 의해 기어 샤프트(70B)에 접합된 캠 브라켓 하부(2)는 다른 방향(기어 브라켓 상부(3)의 회전방향과 반대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기어 유닛(6)을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기어 샤프트(61A, 61B)에 형성된 기어부(61b), 및 기어(62A, 62B)의 기어비는 기어 브라켓 상부(3)의 회전과 기어 브라켓 하부(4)의 회전이 동기하도록(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 기어 브라켓 상부(3)으로 기어 브라켓 하부(4)는 각 기어부(61b) 및 기어(62A, 62B)가 서로 맞물려 연결됨으로써, 독자적으로 회전(요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기어 브라켓 상부(3)는 상부 플레이트(8)에 고정되고, 기어 브라켓 하부(4)는 하부 플레이트(9)에 고정된다. 따라서, 기어 유닛(6)은 캠 브라켓 하부(2)와 기어 브라켓 하부(4)를 동기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서로가 제멋대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기구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8)가 캠 유닛(5)의 캠 브라켓 상부(1)에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 플레이트(9)가 캠 유닛(5)의 캠 브라켓 하부(2)에도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9)가 기어 유닛(6)에 의해 동기하여 회전할 때에, 캠 유닛(5)이 토크를 발생하는 소정 회전각도까지 회전하면, 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9)는 그 토크 상승에 의해 그 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본실시예 1에 관련된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에 의하면, 기어 유닛(6)에 의해 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9)를 동기하여 회전시킴과 동시에, 캠 유닛(5)에 의해 원하는 회전각도로 그 회전을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기어 샤프트(70A, 70B)에 형성된 삽입통과구멍(7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삽입통과구멍(70a)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드(7)(배선)를 삽입통과시키는 배선 삽입통과구멍으로서 기능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유닛(5) 및 기어 유닛(6)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는 적용대상이 되는 전자장치(S)에 대해 상부 플레이트(8)가 상부 케이스(11)에 고정되고(도 6 참조), 하부 플레이트(9)가 하부 케이스(12)에 고정된다.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에는 각각 전자부품이 탑재되고, 코드(7)는 상부 케이스(11)에 탑재된 전자회로와 하부 케이스(12)에 탑재된 전자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코드(7)를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사이에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이를 외부로 노출시킨 구성에서는 전자장치(S)의 디자인상 바람직하지 없고, 또한 외력의 인가 등으로 빠져 버릴 우려도 있다.
그러나, 본실시예 1에서는 기어 샤프트(70A, 70B)에 삽입통과구멍(70a)를 형성하고, 이 삽입통과구멍(70a)에 코드(7)를 삽입통과시킴으로써, 도 5a,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유닛(6)(기어 커버(68))내에서 코드(7)를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사이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전자장치(S)의 외관을 양호하게 힐 수 있음과 동시에, 빠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실시예 1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의 힌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도 9a, 도 9b, 및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8)가 하부 플레이트(9)에 대해 닫혀진 닫힌 상태의 경우에는, 도 8,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1a 및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장치(S)에서도 상부 케이스(11)가 하부 케이스(12)에 대해 닫혀진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 1 캠 기구(50A) 및 제 2 캠 기구(50B)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캠부의 각 산부 및 골부는,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81)과 캠 플레이트(52) 및 제 2 캠(82)와 캠 플레이트(52)에 있어서는 산부와 골부가 걸어맞춰진 상태이다. 따라서 닫힌 상태에서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는 토크 상승이 된 상태가 되고, 상부 케이스(11)(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케이스(12)(하부 플레이트(9))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도 14b, 도 15b, 도 16b 및 도 17b는 제 1 및 제 2 캠 기구(50A, 50B)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캠부의 캠 전개도이다. 또한, 도 14c는 캠 유닛(5)의 배면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 도면에 A~D로 나타낸 각 캠부는 도 14b, 도 15b, 도 16b 및 도 17b에 각각 나타낸 캠 전개도의 좌측에 나타낸 부호 A~D와 대응하고 있다.
닫힌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상부 케이스(11)를 상기한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에서 발생하고 있는 토크 이상의 힘으로 열린 방향으로 조작하면, 상부 케이스(11)는 하부 케이스(1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덮개 열림) 동작을 개시한다. 이 때,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를 구성하는 기어 유닛(6)의 작용에 의해, 기어 브라켓 상부(3)와 기어 브라켓 하부(4)의 회전은 동기하고 있으므로, 하부 케이스(12)에 대해 상부 케이스(11)를 안정적인 상태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2)(하부 플레이트(9))에 대해 상부 케이스(11)(상부 플레이트(8))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81)과 캠 플레이트(52) 및 제 2 캠(82)과 캠 플레이트(52)에 있어서의 산부와 골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캠부를 구성하는 모든 산부와 골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구성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캠부에 토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하부 케이스(12)(하부 플레이트(9))에 대한 상부 케이스(11)(상부 플레이트(8))의 회전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도 16a, 도 16b는 하부 케이스(12)(하부 플레이트(9))에 대해 상부 케이스(11)(상부 플레이트(8))가 90°이상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도, 제 1 및 제 2 캠부를 구성하는 모든 산부와 골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b 및 도 17a는 하부 케이스(12)(하부 플레이트(9))에 대해 상부 케이스(11)(상부 플레이트(8))가 360° 회전한 뒤수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닫힌 상태에 대해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상하가 거꾸로 되어 접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뒤수납상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캠 기구(50A, 50B)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캠부의 각 산부 및 골부는,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캠(81)과 캠 플레이트(53) 및 제 2 캠(82)과 캠 플레이트(53)에 있어서는 산부와 골부가 걸어맞춰진 상태이다. 따라서 뒤수납상태에서도,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는 토크 상승이 된 상태가 되고, 상부 케이스(11)(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케이스(12)(하부 플레이트(9))의 회전이 규제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실시예 1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 및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를 포함하는 전자기기(S)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캠 유닛(5)을 상부 플레이트(8)의 좌측에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기어 유닛(6)을 도 1의 우측에 집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상부 케이스(11)의 좌우방향 중앙부와 하부 케이스(12)의 좌우방향 중앙부로부터 힌지 동작에 필요한 기구를 제거할 수 있어, 좌우방향 중앙부의 스페이스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중앙 부분에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패널 등의 전자부품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자기기(S)에 대형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부 케이스(11) 또는 하부 케이스(12)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의 하부 케이스(12)에 대한 요동각을 360°으로 하여, 상부 케이스(11)의 외측면과 하부 케이스(12)의 외측면간이 맞닿도록 위치시키는 뒤수납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뒤수납위치를 선택한 후, 상부 케이스(11)의 내측면 또는 하부 케이스(12)의 내측면의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표면측, 즉, 상측을 향해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실시예 1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가 구비하는 캠 유닛(5)은 원통형 캠(51)을 사이에 두고 캠 플레이트(52, 53)를 끼우는 형태로 하고, 캠 플레이트(52, 53)의 긴 타원형 외주면을 힌지 커버(56)의 내주면이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캠 플레이트(52, 53)에 캠 샤프트(55A, 55B)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시킬 수 있어, 캠 샤프트(55A, 55B)를 별도의 지지기구로 지지하는 구성에 비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함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예 1에서는 기어 유닛(6)을 구성하는 기어 샤프트(70A, 70B)가 삽입통과구멍(70a)을 구비하여 코드(7)가 기어 유닛(6)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외부에 코드(7)가 노출되지 않고 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9)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코드(7)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기어 샤프트(61A, 61B)가 코드(7)의 연장방향인 하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1)과 상부 플레이트 요동축선(C2)의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연락부(61c)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부 플레이트(8)를 하부 플레이트(9)에 대해 요동시킨 경우에도, 코드(7)에 각 기어 샤프트(61A, 61B)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에서는, 회전방지수단의 기능을 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9)에만 부담시키고 있지만, 그 대신에 회전방지수단의 기능을 상부 플레이트(8)로부터 독립시킨 싱크로 바로 할 수도 있다. 이하, 그에 관한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낸다. 또한, 도 12에서 도 1 내지 도 11을 이용해 설명한 실시예 1에 관련된 구성과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실시예 2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2)에 있어서는, 캠 브라켓 상부(1)와 기어 브라켓 상부(3)는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11)에 고정되고,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캠 브라켓 하부(2)와 기어 브라켓 하부(4)는 수지제의 하부 케이스(12)에 고정된다.
본실시예 2에서는, 상부 플레이트(8) 및 하부 플레이트(9)을 대신하여, 캠 브라켓 상부(1)와 기어 브라켓 상부(3)의 연결에 싱크로 바(13)를 사용함과 함께, 캠 브라켓 하부(2)와 기어 브라켓 하부(4)의 연결에 싱크로 바(14)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싱크로 바(13, 14)는 모두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강성을 높이고 장착성의 향상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양단부를 절곡형성하여 단면을 ㄷ자형으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싱크로 바(13, 14)는 상부 케이스(11)에 대해 세워지도록 설치된다.
본실시예 2의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2)에 의해서도 싱크로 바(13, 14)의 모두가 판상 부재이므로, 캠 유닛(5)과 기어 유닛(6)간의 중앙 부분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고, 액정표시장치 등의 설치 페이스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예 2에서는, 싱크로 바(13, 14)만을 방지수단으로서 기능 시켰지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캠 브라켓 상부(1)와 기어 브라켓 상부(3)를 상부 플레이트(8)에 고정하고, 캠 브라켓 하부(2)과 기어 브라켓 하부(4)를 하부 플레이트(9)에 고정하여, 상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9)에도 방지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분담시킬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으면서 상술한 실시예에 여러 가지 변형 및 치환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캠 유닛(5)을 배치하고 우측에 기어 유닛(6)을 배치했지만, 우측에 캠 유닛(5)을 배치하고 좌측에 기어 유닛(6)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캠 유닛(5)과 기어 유닛(6)의 상호위치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좌우방향을 명시하였지만, 이 좌우방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장치(S) 또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 D2)의 폭방향을 의미하고, 전자장치(S) 및 전자기기용 힌지장치(D1, D2)의 폭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을 좌측방향으로 하고, 우측을 우측방향으로 하는 개념이다. 즉, 상술한 표리방향이 수직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후방향이 수평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정의가능한 개념이다.
본국제출원은 2010년 7월 12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157781호 및 2011년 7월 4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1-148699호에 근거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일본특허출원 제2010-157781호 및 일본특허출원 제2011-148699호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본국제출원에 원용한다.
S 전자기기
D1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D2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1 캠 브라켓 상부(제 1 캠측 브라켓)
2 캠 브라켓 하부(제 2 캠측 브라켓)
3 기어 브라켓 상부(제 1 기어측 브라켓)
4 기어 브라켓 하부(제 2 기어측 브라켓)
5 캠 유닛
6 기어 유닛
7 코드
8 상부 플레이트(제 1 플레이트)
9 하부 플레이트(제 2 플레이트)
10 장착 나사
11 상부 케이스
12 하부 케이스
13 싱크로 바
14 싱크로 바
50A 제 1 캠 기구
50B 제 2 캠 기구
52, 53 캠 플레이트
54 스프링
55A 제 1 캠 샤프트
55B 제 2 캠 샤프트
56 힌지 커버
57 힌지 캡
61A 제 1 기어 샤프트
61B 제 2 기어 샤프트
61b 기어부
62A, 62B 기어
63A, 63B 기어 샤프트
64, 66 지지 플레이트
65 미들 플레이트
67 리벳팅 플레이트
68 기어 커버
69 기어 캡
70 기어 샤프트
70a 삽입통과구멍

Claims (3)

  1. 캠 유닛과 기어 유닛을 갖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로서,
    상기 캠 유닛은,
    캠측 커버와,
    상기 캠측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1 캠측 브라켓과 접속되는 제 1 캠 샤프트와,
    상기 제 1 캠 샤프트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제 1 캠 기구와,
    상기 제 1 캠 샤프트에 대해 독립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제 2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2 캠측 브라켓과 접속되는 제 2 캠 샤프트와,
    상기 제 2 캠 샤프트에 토크를 발생시키는 제 2 캠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유닛은,
    기어측 커버와,
    상기 기어측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1 캠측 브라켓이 접속되는 제 1 기어 샤프트와,
    상기 제 1 기어 샤프트에 설치된 제 1 기어부와,
    상기 기어측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 2 캠측 브라켓이 접속된 제 2 기어 샤프트와,
    상기 제 2 기어 샤프트에 설치된 제 2 기어부와,
    상기 제 1 기어부 및 상기 제 2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어 샤프트와 상기 제 2 기어 샤프트를 동기시켜 회전시키는 기어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캠 유닛과 상기 기어 유닛은 서로 회전가능한 제 1 및 제 2 플레이트에 대향하여 이간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 샤프트와 상기 제 2 기어 샤프트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캠 기구는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제 2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360° 회전한 때에 1회 상기 토크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KR1020137000819A 2010-07-12 2011-07-11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KR101441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7781 2010-07-12
JPJP-P-2010-157781 2010-07-12
JP2011148699A JP5864148B2 (ja) 2010-07-12 2011-07-04 電子機器用ヒンジ装置
JPJP-P-2011-148699 2011-07-04
PCT/JP2011/065813 WO2012008420A1 (ja) 2010-07-12 2011-07-11 電子機器用ヒンジ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1098A true KR20130041098A (ko) 2013-04-24
KR101441915B1 KR101441915B1 (ko) 2014-09-23

Family

ID=4546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819A KR101441915B1 (ko) 2010-07-12 2011-07-11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15848B2 (ko)
EP (1) EP2594814B1 (ko)
JP (1) JP5864148B2 (ko)
KR (1) KR101441915B1 (ko)
CN (1) CN103052816B (ko)
WO (1) WO201200842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010A (ko) * 2018-01-16 2020-08-04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외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힌지
WO2022108186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토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3176B1 (ko) * 2021-11-02 2023-01-31 유아이엘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단말기용 다단 토크 힌지 어셈블리
WO2024039118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360도 힌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4148B2 (ja) * 2010-07-12 2016-02-17 三菱製鋼株式会社 電子機器用ヒンジ装置
TWM416976U (en) * 2011-07-13 2011-11-21 Acer Inc Collapsible electronic equipment and pivot structure
US20130080932A1 (en) 2011-09-27 2013-03-28 Sanjiv Sirpal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toggle
JP2013255206A (ja) * 2012-01-24 2013-12-19 Panasonic Corp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用置台
CN103291734A (zh) * 2012-02-28 2013-09-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转动机构及使用该转动机构的电子设备
JP5704613B2 (ja) * 2012-05-30 2015-04-2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
KR101899502B1 (ko) 2012-05-31 2018-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컴퓨팅장치
US8971031B2 (en)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EP2911370B1 (en) 2012-10-18 2018-05-23 NE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US9485337B2 (en) 2012-10-29 2016-11-01 Ne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2954098B (zh) * 2012-11-28 2015-06-03 浙江禾子施能科技有限公司 折叠取暖器的铰链结构
US8904601B2 (en) * 2013-03-11 2014-12-09 First Dome Corporation Synchronous movement device applied to dual-shaft system
US9003606B2 (en) * 2013-03-11 2015-04-14 First Dome Corporation Synchronous movement device applied to dual-shaft system
US9201465B2 (en) * 2013-03-15 2015-12-0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ousing lid with synchronized motion
TWI547651B (zh) * 2013-06-05 2016-09-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雙軸式樞紐機構及其相關可攜式電子裝置
JP5738927B2 (ja) * 2013-06-10 2015-06-24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US9310850B2 (en) * 2013-06-11 2016-04-12 First Dome Corporation Synchronous movement device applied to dual-shaft system
TWI504336B (zh) * 2013-07-05 2015-10-11 Pegatron Corp 轉軸模組及使用其之電子裝置
US9430000B2 (en) * 2013-07-12 2016-08-30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housing lid with synchronized motion provided by a flexible compressive member
US9500013B2 (en) * 2013-07-25 2016-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assembly for a computing device
TWM468131U (zh) * 2013-08-16 2013-12-11 I3G Design Co Ltd 合頁裝置
CN103398093B (zh) * 2013-08-21 2016-08-10 福立旺精密机电(中国)有限公司 可360度旋转的转轴
TWI518256B (zh) * 2013-08-26 2016-01-2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樞軸結構
US9009919B1 (en) * 2013-11-22 2015-04-21 Sinher Technology Inc. Steady opening and closing double-axis hinge
TWM476453U (en) * 2013-12-06 2014-04-11 Yuan Deng Metals Industrial Co Ltd Synchronously-rotatable biaxial hinge
US9021658B1 (en) * 2013-12-09 2015-05-05 Chin-Hsing Horng Trigger hinge
TWM475799U (en) * 2013-12-17 2014-04-01 First Dome Corp Transmission device for rotary shaft
TWM478991U (zh) * 2013-12-17 2014-05-21 First Dome Corp 用於雙轉軸之平行度固定裝置
TWM483648U (zh) * 2013-12-31 2014-08-01 First Dome Corp 用於雙轉軸之傳動穩定裝置
TWM483642U (zh) * 2014-02-25 2014-08-01 First Dome Corp 用於雙轉軸之平行度控制裝置
US9265167B2 (en) * 2014-05-09 2016-02-16 First Dome Corporation Torque balancing device applied to synchronous dual-shaft system
US9715255B2 (en) * 2014-06-27 2017-07-25 Intel Corporation Belt driven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9563236B2 (en) * 2014-07-11 2017-02-07 Intel Corporation Adjustable tension wrap end hinge
TWI644608B (zh) * 2014-07-14 2018-12-1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Double shaft synchronous transmission
TWI626386B (zh) * 2014-08-13 2018-06-11 First Dome Corp Transmission for pivots
TWI532930B (zh) * 2014-08-15 2016-05-11 First Dome Corp Multi - joint synchronous shaft structure
JP6590135B2 (ja) * 2014-10-14 2019-10-16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CN105697530A (zh) * 2014-11-25 2016-06-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连接装置及电子设备
US9625954B2 (en) 2014-11-26 2017-04-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ivot hinge
US10174534B2 (en) 2015-01-27 2019-0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pivot hinge
US10162389B2 (en) 2015-09-25 2018-1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vered multi-axis hinge
US10227808B2 (en) 2015-11-20 2019-03-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9964988B2 (en) * 2015-12-22 2018-05-08 Intel Corporation Hinge clip
WO2017142532A1 (en) 2016-02-17 2017-08-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band hinge device
US9624703B1 (en) * 2016-02-19 2017-04-18 Leohab Enterprise Co., Ltd. Positioning mechanisms of double-pintle hinge
US9857849B1 (en) 2016-06-10 2018-0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with wrapped displays
US9617770B1 (en) * 2016-08-03 2017-04-11 Leohab Enterprise Co., Ltd. Double-hinge device
US10908652B2 (en) 2016-08-19 2021-02-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dular hinge for a computing device
US10474203B2 (en) 2016-09-01 2019-1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0364598B2 (en) * 2016-09-02 2019-07-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0437293B2 (en) 2016-09-23 2019-10-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xis hinge
CN106527588A (zh) * 2016-11-15 2017-03-2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10641318B2 (en) 2016-12-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0241548B2 (en) 2016-12-09 2019-03-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device employing a self-spacing hinge assembly
US10253804B2 (en) 2017-01-24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KR102373875B1 (ko) * 2017-05-22 202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US10296044B2 (en) 2017-06-08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0344510B2 (en) 2017-06-16 2019-07-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N209180220U (zh) * 2017-11-03 2019-07-30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双轴枢扭器与电子装置
US10558245B2 (en) * 2018-02-02 2020-02-1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narrow width hinge
US10563438B1 (en) * 2018-12-11 2020-02-18 Lianhong Art Co., Ltd. Hinge device with helical gear
US11797061B2 (en) 2018-12-28 2023-10-24 Mitsubishi Steel Mfg. Co., Ltd. Parallel biaxial hinge with rotation order regulating structure
CN210178745U (zh) * 2019-01-15 2020-03-24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的同步机构
US10480226B1 (en) * 2019-01-24 2019-11-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2145542B (zh) * 2019-06-27 202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US10928864B1 (en) * 2019-09-26 2021-02-23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dual shaft expandable hinge
US10852776B1 (en) 2019-09-26 2020-12-01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single axle hinge
US11099611B2 (en) 2019-09-26 2021-08-24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expandable dual axle hinge and clutch
US11016540B2 (en) 2019-09-26 2021-05-25 Dell Products L.P. Bi-stable synchronized dual axle hinge
US11093008B2 (en) 2019-09-26 2021-08-17 Dell Products L.P. Synchronized dual shaft expandable hinge
US11016539B2 (en) 2019-09-26 2021-05-25 Dell Products L.P. Belt synchronized expandable dual axle hinge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5027A (en) * 1986-06-30 1988-08-23 Andric Milos D Door hinge
KR930000027B1 (ko) * 1990-07-30 1993-01-06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US5754395A (en) * 1995-08-29 1998-05-19 Acer Advanced Labs, Inc. Ergonomic keyboard for a portable computer which is moveable between two positions
JPH09303032A (ja) * 1996-05-16 1997-11-25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チルトヒンジ
KR100248856B1 (ko) * 1997-09-04 2000-03-15 구본준 액정표시장치
US6253419B1 (en) * 2000-01-13 2001-07-03 Lu Sheng-Nan Pivot device with multiple pivotal bars for a notebook computer
TW454886U (en) * 2000-10-04 2001-09-11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Pivot structure
JP4584717B2 (ja) * 2002-11-21 2010-11-24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電子装置の2つのパーツ間に接続される可撓性伝導体
WO2004090355A1 (ja) * 2003-04-03 2004-10-21 Sugatsune Kogyo Co., Ltd. 機器ケースの開閉装置及び2軸ヒンジ装置
JP2005023955A (ja) 2003-06-30 2005-01-27 Casio Comput Co Ltd ヒンジ構造、撮像装置および携帯電話装置
JP2005108201A (ja) * 2003-09-12 2005-04-21 Makoto Kida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上扉開閉式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4169342B2 (ja) * 2003-10-28 2008-10-22 三菱製鋼株式会社 ヒンジ機構
JP2005207465A (ja) * 2004-01-21 2005-08-04 Sugatsune Ind Co Ltd ニ軸ヒンジ装置
JP4111957B2 (ja) * 2004-04-09 2008-07-02 フェニックス コリア 株式会社 回転して広げられたり折り畳まれたりできる二つの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装置及びその携帯装置に使用されるヒンジ装置
US7239504B2 (en) * 2004-07-27 2007-07-03 Dell Products L.P. Snap-in floating hinge cap for portable computer
US7319749B2 (en) * 2004-08-04 2008-01-15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orthogonal pivot axes
KR101033377B1 (ko) * 2005-01-25 2011-05-09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접이식 전자 기기
JP5170950B2 (ja) * 2005-01-25 2013-03-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ヒンジ装置
US7414834B2 (en) * 2005-04-21 2008-08-1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KR100676820B1 (ko) * 2005-05-23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착탈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TWI314036B (en) * 2005-07-28 2009-08-21 Sanyo Electric Co Hinge mechanism of foldable machine and fordable machine with the same hinge mechanism
JP4212577B2 (ja) * 2005-07-28 2009-01-21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み機器のヒンジ機構及びこのヒンジ機構を備えた折畳み機器
US7513011B2 (en) * 2005-12-29 2009-04-07 Shin Zu Shing Co., Ltd. Hinge with multiple torsion springs
TWM294822U (en) * 2006-03-01 2006-07-21 Quanta Comp Inc Hinge apparatus and computer device
KR100815316B1 (ko) * 2006-05-15 2008-03-19 삼성전기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 개폐장치
JP4560024B2 (ja) * 2006-09-21 2010-10-13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7805810B2 (en) * 2006-10-05 2010-10-05 Lawrence Andrew Hoffman Multi leaf extendable gear hinge
JP5018294B2 (ja) * 2006-11-13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開閉装置
US7832056B2 (en) * 2006-11-13 2010-11-16 Panasonic Corporation Opening-closing device
US20080134468A1 (en) * 2006-12-06 2008-06-12 Shin Zu Shing Co., Ltd. Pivotal device
US20080151478A1 (en) * 2006-12-21 2008-06-26 Jr-Jiun Chern Hinge for laptop computer
KR200439610Y1 (ko) * 2007-02-14 2008-04-21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JP5200391B2 (ja) * 2007-02-28 2013-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ヒンジユニット及び折畳み型携帯電子機器
JP2009041729A (ja) 2007-08-10 2009-02-26 Omron Corp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US20090070961A1 (en) * 2007-09-17 2009-03-19 Chia-Ko Chung Simultaneous-rotating hinge
JP5112121B2 (ja) * 2008-03-13 2013-01-09 加藤電機株式会社 2軸ヒンジ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101449754B1 (ko) * 2008-05-14 201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힌지 장치
GB2462583B (en) * 2008-07-30 2012-08-29 Dlp Ltd Hinge assembly for panels with toothed elements
US7900323B2 (en) * 2008-10-02 2011-03-08 Shin Zu Shing Co., Ltd. Hinge and a lamp with the hinge
CN102109005B (zh) * 2009-12-25 2013-10-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及使用该铰链结构的电子装置
US20110265288A1 (en) * 2010-04-29 2011-11-03 Yung-Chang Chiang Two-stage dual-pintle hinge
CN201771947U (zh) * 2010-05-10 2011-03-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JP5864148B2 (ja) * 2010-07-12 2016-02-17 三菱製鋼株式会社 電子機器用ヒンジ装置
CN201874977U (zh) * 2010-08-18 2011-06-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KR101139866B1 (ko) * 2010-12-10 2012-05-02 (주) 프렉코 폴딩 방식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120083804A (ko) *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팬택 팔찌 형태로 변형 가능한 휴대 단말기
CN102619866A (zh) * 2011-01-28 2012-08-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结构
TWI416954B (zh) * 2011-03-31 2013-11-21 Jarllytec Co Ltd Foldable display support stand
TWM416976U (en) * 2011-07-13 2011-11-21 Acer Inc Collapsible electronic equipment and pivot structure
KR101856780B1 (ko) * 2011-07-13 2018-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에서 기어 캠 장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3010A (ko) * 2018-01-16 2020-08-04 항저우 암페놀 피닉스 텔레콤 파츠 컴퍼니 리미티드 외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힌지
WO2022108186A1 (ko) * 2020-11-18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토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3176B1 (ko) * 2021-11-02 2023-01-31 유아이엘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단말기용 다단 토크 힌지 어셈블리
WO2024039118A1 (ko) * 2022-08-19 2024-02-22 주식회사 파츠텍 휴대단말기용 360도 힌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4814A4 (en) 2015-10-07
US8615848B2 (en) 2013-12-31
CN103052816B (zh) 2016-05-18
EP2594814A1 (en) 2013-05-22
EP2594814B1 (en) 2018-05-23
CN103052816A (zh) 2013-04-17
JP5864148B2 (ja) 2016-02-17
WO2012008420A1 (ja) 2012-01-19
KR101441915B1 (ko) 2014-09-23
US20130111704A1 (en) 2013-05-09
JP2012037049A (ja) 201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1098A (ko) 전자기기용 힌지장치
US7930803B2 (en) Foldable device
KR100722240B1 (ko)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JP4212577B2 (ja) 折畳み機器のヒンジ機構及びこのヒンジ機構を備えた折畳み機器
JP4156691B2 (ja) 液晶表示装置
TWI345034B (en) Hinge device
CN107153445B (zh) 铰接装置以及电子设备
JP2008121795A (ja) 薄型2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及び薄型2軸ヒンジ装置の製造方法
JP2016110588A (ja) ヒンジ機構及び電子機器
JP2010100201A (ja) 車両用収納装置
CN101233333B (zh) 折叠机器
JP2006220198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212578B2 (ja) 折畳み機器のヒンジ機構及びこのヒンジ機構を備えた折畳み機器
JPH08121462A (ja) ヒンジ装置
JP2009030733A (ja)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4381376B2 (ja) 折畳み式電子機器
JP6084088B2 (ja) 二軸ヒンジ
JP2007040373A (ja) 折畳み式携帯電話機
JP6219345B2 (ja) ヒンジ
JP4534569B2 (ja) ヒンジ機構及び構成体
JP2007274602A (ja)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5234804B2 (ja) 筐体構造、及び携帯機器
JP2004353748A (ja) ヒンジ装置
JP2008128321A (ja) 2軸ヒンジ
JP2001084059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