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027B1 -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027B1
KR930000027B1 KR1019900011575A KR900011575A KR930000027B1 KR 930000027 B1 KR930000027 B1 KR 930000027B1 KR 1019900011575 A KR1019900011575 A KR 1019900011575A KR 900011575 A KR900011575 A KR 900011575A KR 930000027 B1 KR930000027 B1 KR 93000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gear
cam
holde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282A (ko
Inventor
맹현진
Original Assignee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박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박창성 filed Critical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027B1/ko
Priority to EP19910112683 priority patent/EP0469499A3/en
Priority to US07/737,975 priority patent/US5249089A/en
Priority to JP3190296A priority patent/JPH0778390A/ja
Publication of KR92000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카세트홀더와 업다운플레이트의 조립상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카세트홀더의 정면예시도.
제4도는 트레이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브래키트의 사시도.
제7도는 업다운홀더와 캠레버의 조립상태 분해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결합상태 단면예시도.
제9도는 캠기어의 조립구조를 보인 측면도.
제10도는 탄성기어와 톱커버의 상관관계를 보인 예시도.
제11도는 캠기어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측면도.
제12도는 트레이의 수평운동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제13도는 카세트홀더 로딩작용시 캠기어와 캠레버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제14도는 덮개개방과 카세트 안착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
제15도는 카세트 안착시 카세트 스위치와 캠기어의 관계를 설명하는 측면도.
제16도는 동력 전달계의 설명을 위한 평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홀더 1a : 안내용 벤딩부
1b : 지지각 1c : 걸림돌기
1d, 1e : 엠보싱돌기 2 : 업다운플레이트
3 : 샤프트 3a : 단
4, 5, 17, 20, 25 : 핀 6 : 고무
7 : 트레이 8 : 트레이 좌우측판
8a, 8b : 안내홈 8c : 안내홈
8d : 경사부 8e : 안내홈
8f : 랙 8g : 탄성기어
8h : 안내홈 9 : 도어
10 : 서포터 11 : 양측 브래키트
11a : 고정편 11b : 걸림홈
11c : 체결편 11d, 11e : 안내홈
12 : 카세트 12a : 슬라이더
12b : 덮개 13 : 메인베이스
13a : 걸림돌기 13b : 체결편
14 : 업다운홀더 14a : 절곡부
14b : 스프링걸이 14c : 까치발
15 : 샤프트 16 : 캠레버
16a : 스프링걸이 16b : 조정구삽입공
18 : 위치조정편 18a : 장공
18b : 돌부 18c : 중간사각공
18e : 체결공 19 : 인장스프링
21 : 캠기어 21a : 캠홈
21b : 전주기어 21c : 간헐기어
21d : 기어부 21e : 돌출부
21f : 요입부 21g : 단부
21i : 돌출부 22 : 전동기어
23 : 부시 24 : 개방레버
24a : 장공 26 : 가이드롤
27 : 고정나사 28 : 중간기어
29 : 미세조정봉 30 : 지지포스트
31 : 베벨기어 32 : 톱커버
32a : 하향벤딩부 32b : 전방누름판
33 : 카세트스위치 34 : 펑션플레이트
35 : 브래키트 36 : 업다운레버
37 : 입력기어 38 : 업다운기어
39 : 토션스프링
본 발명은 디에이티(D.A.T)의 카세트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적 장치의 조립성 향상과 동작의 신뢰성을 보다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한 트레이방식의 카세트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에이티(DIGITAL AUDIO TAPE RECORDER)의 트레이방식 카세트 로딩장치는 카세트홀더에 카세트를 탑재하고 트레이를 그의 랙과 브래키트에 축착된 캠기어의 작동으로 수평이동시키면, 카세트홀더와 여기에 연결된 업다운플레이트가 카세트 트레이와 함께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같이 수평이동하는 동안에 카세트의 슬라이더가 개방되며, 카세트 트레이가 수펴으로 이동한 다음 캠기어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하여 이에 연동되는 캠레버 및 업다운홀더가 함게 회동하면서 업다운플레이트를 구동시키게 되어 카세트홀더 및 그에 탑재된 카세트를 수직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디에이티에 있어서, 장치의 경량화, 박형화, 단순화 및 제품의 소형화를 기하고 적은 수량의 부품으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염가화하며, 동작의 신뢰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세트홀더에 카세트가 잘못 끼워지는 경우에도 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세트홀더(1)와 그에 샤프트(3)로 연결되어 연계 동작하는 업다운플레이트(2)를 보유하고 있으며, 카세트홀더 (1)와 업다운플레이트(2)의 양측면에는 핀(4)(5)이 각각 압입 고정되고, 샤프트(3)의 단(3a)에는 고무(6)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레이트(2)는 트레이(7)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트레이(7)는 트레이 좌우측판(8)과 도어(9)와 서포터(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7)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좌우측 브래키트(11)는 메인베이스 (13)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져 구성되는데, 양측 브래키트(11)의 후방부에는 카세트홀더(1)가 수직 이동할 수 있도록, 업다운플레이트(2)를 회동시키는 업다운홀더 (14)가 샤프트(15)로 결합되고, 그 업다운홀더(14)의 일측에는 캠레버(16)가 결합된다.
상기 캠레버(16)에는 카세트(12) 덮개(12b)의 개방에 이용되는 핀(17)이 고정되고, 캠레버(16)의 위치 조정에 이용되는 위치조정편(18)이 고정되며, 상기 캠레버 (16)와 업다운홀더(14)는 인장스프링(19)에 의해 탄력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좌측 브래키트(11)에는 캠기어(21)와 전동기어(22)가 맞물리게 축착되고 전동기(22)에는 중간기어(28)가 하부의 베벨기어(31)와 맞물려 결합되며, 베벨기어 (31)에 다시 업다운기어(38) 및 입력기어(37)가 연결됨과 동시에 입력기어(37)에는 캡스턴모우터(M)가 연결 구성된다. 한편, 캠기어(21)의 캠홈(21a)에는 캠레버(16)의 단부에 고정된 핀(21)의 캠홈(21a)에는 캠레버(16)의 단부에 고정된 핀(21)이 삽입되고 좌측브래키트(16)에 고정된 부시(23)에는 카세트 (12)덮개(12b)개방용 레버 (24)가 핀(25)으로 축착되며, 그 레버(24)의 후방단부 장공(24a)에는 상술한 핀(17)이 캠레버(16) 및 개방레버(24)를 연결하는 형태로 끼워져 삽입된다.
트레이 좌우측판(8)과 양측 브래키트(11)에는 상기 핀(4), (5)이 광통되는 안내홈(8a)(8b)과 (11d)(11e)의 수직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브래키트(11)상면에는 톱커버(32)가 트레이 좌측판(8)에 형성되는 안내홈(8h)을 따라 흔들림없이 구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한 캠기어(21)는 전동기어(22)에 맞물리는 전주기어 (21b)와, 상기 트레이 좌우측판(8)에 형성된 랙(8f)에 맞물리는 간헐기어(21c)를 갖으며, 간헐기어(21c)는 랙(8f)에 맞물려 구동시키는 구간(a-b)인 기어부(21d)와 무치차부로 되어 있고, 무치차부는 트레이 후진 방지구간(b-c)인 돌출부(21e)와, 상기 랙(8f)의 단부에 형성된 몰드스프링인 탄성기어(8g)의 탄성 변형을 감소하기 위한 탄성변형 감소구간(c-a)인 요입부(21f)를 갖는다.
캠기어(21)의 캠홈(21a)은 가-나구간, 나-다구간, 다-라구간 및 라-마구간으로 나누어지는데, 여기서 가-나구간은 동심원상의 카세트(12)수평운동 구간이고, 나-다구간은 직경변화부로서 카세트(12)의 업다운 구간이며, 다-라구간은 카세트 (12)에 압착력을 줄 수 있는 여유 스트로크 구간이고, 라-마구간은 스프링(19)력에 의해 캠기어(21)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간이다.
상기 구간에서 ″마″점은 ″다″점보다 반경이 높은 위치이나 ″라″점보다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같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세트홀더(1)의 일측에는 카세트홀더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용 벤딩부(1a)가 돌설되는데, 이러한 안내용 벤딩부(1a)는 후술되는 트레이 좌측판(8)에 구성되는 경사부(8d)홈에 끼워져 카세트(12)삽입시 카세트홀더(1)가 θ의 각도로 경사를 유지한체로 오픈되어질 수 있도록 하며 단순히 핀(4)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카세트홀더(1)가 뒤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카세트홀더(1)에는 또한, 카세트(12)의 슬라이더(12a)를 오픈시키기 위한 걸림돌기(1c)와, 슬라이더록해체(12d)를 위해 대략 15。의 경사면을 갖는 엠보싱돌기(1d)가 상면에 각각 구비되고, 그 저면에는 카세트홀더(1)의 좌우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각(1b)이 설치되며, 벤딩된 양측에는 카세트홀더(1)가 트레이 좌우측판(8)의 안쪽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엠보싱돌기(1e)가 돌설된다.
이러한 카세트홀더(1)의 각 모서리부는 카세트(1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끝부분을 벤딩하여 벤딩부(1f)를 형성하며, 카세트홀더(1)의 선단은 끝부분을 구부린 상태로 충분히 길게 형성하여 카세트(12)를 세워서 탑재할 경우라 할지라도 카세트 (12)가 도어(9)와의 사이로 빠지지 않도록 오삽입 방지를 위한 벤딩부(1g)를 형성한다. 이때 오삽입 방지를 위한 벤딩부(1g)와 전방의 도어(9)의 설치간격은 카세트(12)의 두께보다 좁게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카세트홀더(1)의 측면에 핀(4)이 끼워져 코킹되는 부위는, 코킹된 핀(4)이 카세트홀더(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카세트(12)진행상 장애가 되지 아니하도록 벤딩시켜 코킹높이 규제부(1h)를 형성하게 되며, 그 상부에 샤프트(3)가 끼워지는 직각규제용홈(1j)을 구비함으로서 샤프트(3)의 단(3a)에 의해 카세트홀더(1)가 항상 직각상태를 유지한체 조립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카세트홀더(1)의 내면에는 릴도피홈(1i)이 천공되는 데 이러한 릴도피홈(1i)은 메인베이스(13)위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이 돌출될 경우에도 카세트(12)의 진행에 장애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카세트홀더(1)에는 업다운 플레이트(2)가 샤프트(3)에 의해서 결합되며, 샤프트(3)에는 내측단(3b) 및 외측단(3a)이 각각 형성되고 있어 내측단 (3b)에 E링을 삽입한 후 이에 고무(6)를 끼운 다음 업다운플레이트(2)의 바깥쪽에 슬라이드와셔(50)를 설치하고 다시 외측단(3a)에 카세트홀더(1)를 결합시켜 별도의 스톱와셔를 체결함이 없이도 조립을 완료한다. 다시말해서 트레이(7) 제작시에는 카세트홀더(1)의 좌우에 핀(4)을 코킹하고 측면을 벤딩하며, 업다운플레이트(2)의 좌우측에도 핀(5)을 코킹한 후 벤딩한 다음, 단(3a)을 형성하고 있는 샤프트(3)을 이용하여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라이트(2)를 조립체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립시 특히 고려되어야할 사항은 샤프트(3)에 끼워지는 고무(6)의 삽입 방향으로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고무(6)가 굴림마찰로 카세트(12)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카세트(12)변형을 예방하기 위하여 카세트(12)를 들리지 않고 슬라이더(12a)를 벗길 수 있어야 하며, 카세트(12)와 카세트홀더(1)가 이격된만큼 고무가 압착을 하며, 어떠한 상태에서도 카세트(12)가 지지포스트(30)위에서 벗어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때에 고무(6)에 가해지는 압착력은 업다운홀더(14)에 탄설되는 인장스프링(19)으로부터 제공된다.
상기 카세트홀더(1)와 결합되는 업다운플레이트(2) 일측에는 메인베이스(13)의 주행계 조정을 위한 도피홈(2a)을 구비한다.
이러한 도피홈(2a)은 서포트(10)의 조정도피홈(10a)과 겹쳐지도록 설정되며, 카세트 로딩장치를 안착한후에도 후술되는 가이드롤 (26)을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봉이 들어갈 수 있는 구조이다.
업다운플레이트(2)와 업다운홀더(14)와의 연결부에는 업다운플레이트(2)가 까치발(14c)에 삽입될때 보다 접촉성을 향상시켜줄수 있도록 모서리부분을 모따기 (2b)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샤프트(3)에 의해 결합되는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레이트(2)는 다시 트레이(7)에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7)는 구체적으로 한쌍의 트레이 좌우측판(8)과 고정나사(27)로 체결되는 도어(9) 및 서포트(10)로 구성된다.
트레이 좌우측판(8)에는 길이방향의 안내홈(8a)(8b) 및 카세트홀더(1)의 벤딩부(1a)가 끼워져 설치되는 안내홈(8d)과 경사부(8c)가 구비되고, 안내홈(8a)(8b)에 상기 코킹핀(4)(5)이 삽입되어 안내홈(11d)(11e)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트레이(7)의 구성중에서 서포트(10)의 이젝트부(10b)는 트레이 좌우측판 (8)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트레이(7)가 이동하게 되면 카세트푸셔부(9a)와 이젝트부(10b)도 같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레이트(2)는 이동구간이 제한된다. 다시말해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크로스)방향으로 트레이(7)가 이동을 하여 카세트홀더(1)가 일정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을때, 걸림돌기(1c)카세트 오삽입 방지부(12c)가 걸려있으나 트레이 좌우측판(8)의 안내홈(8a)길이만큼 트레이(7)는 전체적으로 더 진행할 수가 있다.
이때, 카세트(12)는 오삽입 방지부(12c)가 걸려있다가 카세트 푸셔부(9a)가 계속 진행하게 되어 밀어주고 있으므로 슬라이드부록 해제부(12d)를 오픈시킬 수가 있고 나아가서 카세트덮개(12b)를 열 수가 있게 된다. 이것이 도어(9)카세트 푸셔부(9a)의 주요기능이고, 이는 크로스방향으로의 운동시에만 그 역활을 수행한다.
이와 반대로, 트레이(7)의 오픈동작시에는 푸셔장치에 관계없이 카세트(12)를 복원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 역활은 서포터(10)의 이젝트부(10b)카세트(12)를 밀어주면서 오픈방향으로 빠지게 되어 벗겨진 슬라이더(12a)를 원위치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트레이 좌우측판(8)의 내측에는 안내홈(8e)이 구성되며 이 안내홈(8e)을 따라 브래키트(11)에 축착된 가이드롤(26)이 설치되어 굴림마찰되는 것이고, 그 상면에는 캠기어(21)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랙(8f)에 맞물려 트레이(7)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랙(8f)와 캠기어(21)의 간헐기어(21c)를 조립할때 조립오차가 있을 경우라 하더라도 트래이(7)의 완전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랙(8f)의 전방에 탄성기어(8g)가 구성되며, 이러한 트레이 좌우측판(8)의 상부 길이방향으로는 트레이(7)수평이동시 트레이(7) 및 톱커버(32)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톱커버(32)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톱커버(32)의 벤딩부 (32b)를 안내하는 안내홈(8h)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조의 트레이 좌우측판(8)중 우측판에는 안내홈(8a)(8b) 및 또 다른 안내홈(8c)만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트레이(7)외측에 다시 브래키트(11)가 결합되는데 브래키트(11)에는 엔드/스타트 센서(40)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편(11a)이 일체로 구성되고, 그 상면에는 트레이 좌우측판(8)에 형성되는 안내홈(8a)(8b)과 더불어 핀 (4)(5)으로 연결되어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레이트(2)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 (11d), (11e)이 형성되며, 브래키트(11)의 저부에는 브래키트(11)를 메인베이스 (13)의 걸림돌기(13a)에 결합시키기 위해 구성된 걸림홈(11b)과 체결홈(11c), 그리고 좌우 길이방향의 거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메인베이스(13)의 홈(13b)에 끼워져 설치되는 엠보싱돌기(11f)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후술되는 개방레버(24)조립위치에 장공(24a)를 따라 핀(17)이 삽입되어짐에 있어서, 개방레버(24)가 시계 방향으로 처질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일정한 높이로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벤딩부(11g)를 개방레버(24)설정부위에 구비한다.
또, 업다운플레이트(2)의 모서리에 모따기(2b)되어진 부분과 까치발(14c)로서 연결되는 업다운홀더(14)에는 미세조정시 위치조정편(18)의 돌부(18b)와 캠레버 (16)가 각기 삽입되는 절곡부(14a) 및 일단을 구부려 형성한 스프링걸이(14b), 상기 브래키트(11)와 점접촉할 수 있도록 돌설한 엠보싱돌기(14e), 그리고 내측에 설치되는 개방레버(24)의 장공(24a)으로 핀(17)을 안내하는 여유공간, 즉 도피홈(14f)이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톱커버(32)의 선단벤딩부(32d)가 끼워져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하는 삽입홈(14d)이 구성된다.
이러한 업다운홀더(14)는 샤프트(15)를 이용하여 캠레버(16)와 연결되며, 샤프트(15)의 단(15a)을 충분히 길게 함으로서 별도의 스톱와샤를 사용치 아니하고도 결합되는 캠레버(16)가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업다운홀더(14)와 캠레버(16)에는 인장스프링(19)이 각 스프링걸이(14b) 및 (16a)에 고정되고, 조정구 삽입공(16b)에는 미세조정봉(29)이 끼워지며, 캠레버(16)선단에는 다시 캠기어(21)의 캠홈(21a)에 설치되는 핀(20)이 회전이 자유롭게 유설되는데, 핀(20)이 급작스런 힘을 받는 경우 캠곡선(21a)을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엠보싱(16c)부를 핀(20)의 근접위치에 두어 캠레버(16)가 캠기어(21)와 충분히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캠레버(16)가 업다운홀더(14)에 고정나사(27)로 가조립되어 약하게 체결되어 있으므로 미세조정봉(29)을 이용하여, 업다운홀더(14)의 까치발(14c)높이와 캠레버(16)캠곡선에서의 상대높이를 핀(14)의 높이를 보면서 조정한 후 약하게 체결된 고정나사(27)를 강하게 조립하여 위치조정편(18)이 캠레버(16)와 일체화되어 업다운홀더(16)를 밀어주게 한다.
캠레버(16)의 바깥쪽에는 미세조정을 위하여 설치되는 위치조정편(18)이 미세조정봉(29)과 고정나사(27)로서 체결되는 것이며, 이러한 위치조정편(18)의 회전시 기준점이 되는 엠보싱(16d)돌기는 위치조정편(18)의 상부 체결공(18e)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설된다. 즉, 미세조정시 위치조정편(18)의 체결공(18e)이 엠보싱돌기(16d)에 고정되어지면, 중간 사각공(18c)에 끼워지는 미세조정봉(29)으로서 조정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이어서 정하여진 위치로 조정이 끝난 후 안내장공(18a)에 설치되는 고정나사(27)로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위치조정편(18)은 업다운홀더(14)의 절곡부 (14a)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고정나사(27)가 캠레버(16)와 위치조정편(18)을 상호 체결하고 있어 캠레버(16)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호 연계 동작하게 되는 것이며, 위치조정편(18)의 선단돌출부(18b)가 결합되는 상기 절곡부(14a)를 밀어줄 수도 있도록 면접촉되어 있다. 다만, 선단돌출부(18b)의 모서리를 면취(18d)하여 절곡부(14a)와 결합될때 조임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캠레버(16)선단에 축설되는 핀(20)이 캠홈(21a)을 따라 끼워질 수 있도록 연설되는 캠기어(21)는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랙(8f)에 맞물리는 간헐기어 (21c)와 전동기어(22)에 연결되는 전주기어(21b)로 나누어지며 전동기어(22)에는 중간기어(28)가 베벨기어(31)와 맞물려 구성됨으로서 캡스턴모우터(M)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캠기어(21)는 동력전달부의 안전장치로서, 톱커버(32)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세트스위치(33)조작에 의해 제어되며, 크로스 동작시에는 캠기어(21)의 돌출부 (21i)가 카세트 스위치(33)의 레버를 ″a″상태에서 ″b″상태로 밀어주게 되어 캠기어의 동력을 차단하게 되고, 오픈 완료시에는 돌출부(21i)가 카세트 스위치(33)의 레버를 ″c″위치에 오도록 캡스턴모우터(M)의 동력을 오프시키게 된다(제15도 참조).
한편, 캠레버(16)에 고정된 핀(17)과 장공(24a)으로 연결되고, 힌지(Hinge)지점의 핀(25)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카세트(12)와 접촉하는 선단에 면취부(24c)를 구비하는 개방레버(24)가 브래키트(11)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체 설치되는데, 카세트 (12)의 덮개(12b)를 열어주는 개방레버(24)와 캠레버(16)의 연결부를 장공(24a)으로 형성함은 핀(17)이 수직운동중 위치가 변하기 때문이다.
개방레버(24)의 측면에는 2개소에 엠보싱돌기(24b)가 구성되고 있어 브래키트 (11)와 레버(24)가 점접촉하면서 뒤로 물러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그 선단의 카세트 접촉부에는 면취부(24c)를 두어 덮개(12b)를 여는 과정에서 개방레버(24)가 덮개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외측에 조립되는 브래키트(11)상면에 결합되고 트레이좌측판(8)에 형성된 안내홈(8h)을 따라 직선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는 톱커버(32) 일측에는, 트레이(7)를 오픈방향으로 빼내려고 할때 탄성기어(8g)가 상방향으로 들릴 염려가 있으므로 이를 규제하여 정상 랙(8f) 위치 이상으로 들리지 못하도록 눌려주는 하향벤딩부(32a)가 구성되고, 상기 안내홈(8h)에 끼워져 트레이(7)가 수평운동도중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벤딩부(32b)를 내측으로 구부려 형성하며, 카세트 로딩장치를 조립할때 트레이(11)를 오픈시킨 상태로, 공구를 이용 체결가능토록하는 여유공간인 도피홈(32c)을 천공함과 동시에, 업다운홀더(14)의 삽입홈(14d)에 끼워져 업다운홀더(14)가 좌우로 움직이는 도중 좌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로서의 벤딩부(32d)를 구비한다.
상기 톱커버(32)의 바깥쪽에는 카세트 로딩장치를 뒤집어 탑재, 보관하는 경우 전주기어(21b)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돌설한 돌출부(32e)와, 캠기어(21)가 회전하는 경우 톱커버(32)와 점접촉하도록 규제하는 엠보싱(32f), 그리고 탑재된 카세트 (12)가 들리지 못하도록 억제하며 톱커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사례와 더불어 톱커버(32)와 도어(9)사이에 카세트(12)가 끼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전방의 누름판(32g)이 각기 설치된다.
이같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계를 제16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카세트 로딩장치는 별도의 동력 전달용 모우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캡스턴모우터(M)의 동력만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모드 구성이 순차적으로 바뀌게 되어 있는데, 모드 이동용 로딩 모우터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지 아니한 또다른 캠기어, 즉 모드전환용 캠기어를 회전시켜줌에 따라 이와 연동되어져 있는 모드 스위치는 각각 Review↔Play↔STOP↔FF/REW↔ULC(unloading)↔Eject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젝트 모드시에만 동력을 받을 수 있게 하면 된다. 다시말해서 이젝트 모드에서 동력을 받아, 카세트(12)를 정하여진 위치에 놓으면 동력은 필요가 없으며, 이때 장치는 다른 모드로 계속 진행하게 된다.
이젝트 모드상에서 트레이(7)의 수평, 수직운동이 마쳐짐을 확인하는 것은 카세트 스위치(33)에서 ″a″가 ″b″로 전환되어짐에 따라 카세트 로딩장치에 필요한 동력은 차단되고, 계속 회전하던 상기의 모드전환용 캠기어(도시없음)는 모드를 ULC↔ FF/REW↔STOP↔Play↔Reviwe 순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아울뜸회전하던 상기의 모드전환용 캠기어(도시없음)는 모드를 ULC↔ FF/ REW↔STOP↔Play↔Reviwe순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아울룡으로 인해 제16도에 도시되고 있듯이 펑션플레이트(34)가 화살표방향으로 이동, 이젝트모드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때에 선단 벤딩부(34a)는 브래키트(35)에 조립되어져 있는 토션스프링(39)을 오른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이힘을 받은 브래키트(35)는 까치발(35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까치발(35a)에 끼워져 있는 하방향 레버(36a)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준다. 따라서 업다운레버(36)는 핀(3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업다운기어(38)를 제16도의 (a)도 위치에서 (b)도 위치로 들어 올려주게 된다. 여기서 동력은, 캡스턴에서 타이밍벨트를 통하여 입력기어(37)가 계속 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젝트모드가 됨에 따라 평상시 베벨기어(31)에만 물려 있던 업다운기어(38)가 상방향으로 들려짐으로서 입력기어(37)와도 물리게 된다.
따라서 업다운기어(38)의 상하유동에 의하여 입력기어(37)까지 연결된 동력이 이젝트모드시 펑션플레이트(34)의 유동으로 브래키트(35)가 우측으로 회전하고, 이는 업다운레버(36)를 들어주게 되어, 업다운기어(38)가 베벨기어(31)와 물려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젝트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반대가 되어 펑션플레이트(34)가 좌측으로 원위치되고 토션스프링(39)을 눌러주고 있던 것이 해제되어 (a)도의 상태로 환원되는 것이다.
그리고 오픈/크로스키에 의하여 동력신호가 캡스턴모우터(M)에 전하여 지면서, 이와 동시에 로딩모우터에도 신호가 주어져서 모드전환용 캠기어(도시없음)의 회전모드가 이젝트모드로 되어짐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계가 이루어져 캠기어(21)는 랙(8f)에 동력을 전달하면서 트레이(7)를 오픈시키게 된다.
이때 카세트 스위치(33)의 레버가 캠기어(21)의 돌출부(21i)에 의해서 ″C″위치로 가게되면 카세트 스위치(33)는 오프(OFF)되고 이 신호에 의해서 캡스턴모우터 (M)는 정지되며 로딩모우터는 이 신호를 받아 현재의 이젝트모드 상태를 언로딩상태 (ULC모드)로 변화시켜 놓는다. 여기서 캡스턴모우터(M)는, 캡스턴동력으로 캡스턴과 릴 그리고 상술한 카세트 로딩장치의 동력계로 이용하며, 로딩모우터로 모드전환용 캠기어(도시없음)을 돌려서 모드변환을 하게 한다.
다시 오픈상태를 크로스시키기 위해서는, 도시되지 아니한 시스콘(SYSCON ; system control)의 오픈/크로스키를 눌러주게 되는데, 이 신호를 캡스턴모우터(M)를 회전시키고, 로딩모우터에서는 모드전환을 명하게 하여 현재의 언로딩상태를 이젝트모드로 전환시킨다. 따라서 동력을 받은 캠기어(21)는 카세트 스위치(33) 위치를 ″b″로 될때까지 회전시켜 ″b″위치에서 스위치(33)가 오프됨을 알리며, 이 신호는 캠스턴모우터(M)를 정지시키고, 로딩모우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음 모드로 전환되어 진다.
아울러 오픈되어 있는 트레이(7)를 수동으로 크로스시키려 할때에는, 오픈/크로스키에 의한 신호대신에 트레이(7)를 수동으로 밀어줌으로서 캠기어(21)의 돌출부 (21i)가 회전되어 ″C″상태의 카세트 스위치(33)를 ″온(ON)″시키게 되는데, 스위치(33)가 온상태로 됨으로서 상기에서와 같이 캡스턴모우터(M)가 회전되면서 로딩모우터는 언로딩상태에서 이젝트상태로 모드전환을 시켜주어서 동력전달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기어결합 부위에서 차차끼리 만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캡스턴모우터(M)가 먼저 회전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젝트모드 상태에서 언로딩상태로 모드를 바꾸어주는 것은 수동으로 트레이 (7)를 밀어주는 경우, 이젝트 상태에서는 캡스턴모우터(M)까지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서 힘이 크게 소요된다. 따라서 이젝트모드에서 가장 가까운 언로딩상태로 시스콘(SYSCON)을 통해 보내 놓은 것은,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동력의 업다운기어(38)을 끊어 놓으므로서 캡기어(21)로 부터 전동기어(22), 중간기어(28) 그리고 베벨기어(31)까지 밖에 연결되지 않아, 훨씬 적은 힘으로도 트레이(7) 크로스동작을 명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12도의 (a)도는 카세트 트레이(7)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카세트홀더(1)는 트레이 좌측판(8)의 경사부(8d)를 따라 위치하여 θ의 각도로 경사지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12)를 수월하게 삽입, 취출할 수 있다.
경사진 카세트홀더(1)에 카세트(12)를 탑재한후, 전동기어(22)를 통하여 동력을 받은 캠기어(21)의 전주기어(21b)를 이용해서 간헐기어(21c)부분의 회전으로 (제11도의 (a)도 a에서 b구간), 간헐기어(21c)의 치차부위가 트레이(7)의 랙(8f)과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트레이(7)는 카세트홀더(1) 및 업다운플레이트(2)와 함께 슬라이드하여 제12도의 (b)도상태를 거치고 트레이 안내홈(8a)과 브래키트 안내홈 (11d)의 수평부를 합한 길이만큼 수평이동하여 카세트(12)를 탑재한 카세트홀더(1)는 코킹핀(4)이 하강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트레이(1) 조립체는 트레이 좌우측판(8)에 끼워진 가이드롤 (26)의 굴림마찰에 의하여 원활하게 수평 이동하게 된다.
카세트홀더(1)의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이 절환되는 부분에서는 제11도의 (a)도에서 보듯이 순간적이기는 하지만 트레이(7)의 랙(8f)이 간헐기어(21c)에서 벗어나게 되어 동력이 끊어지는데 이때 만약 트레이(7) 조립체가 후진(개방되는 방향)되면 트레이(7) 조립체가 카세트홀더(1)를 탑재한체로 빠져버려 모드가 바꾸어져 버릴 우려가 있으나 b-c구간에서 트레이(7) 조립체의 후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트레이 랙(8f)부분에 제11도의 (b)도에 도시한 몰드 스프링인 탄성기어 (8g)부분이 있어서 캠기어(21)의 회전운동으로 트레이(7) 조립체의 랙(8f)과 맞물려 정확한 위치까지 트레이(7)가 움직일 수 있게 되며, c-a구간이 c-b구간보다 낮추어져 있으므로 캠기어(21)와 탄성기어(8g)가 물리지 않을 구간(카세트홀더가 안착하였을때)에서 오랫동안 탄성변형이 가하여지지 않게 된다.
또 수평운동하는 동안 캠레버(16)는 캠기어(21)에 머물게 되고 이때 업다운홀더(14)는 업다운플레이트(2)를 몰수 있는 높이로 머물게 된다. 그래서 트레이(7) 조립체가 수평운동을 마치게될 즈음 업다운플레이트(2)는 업다운홀더(14)의 까치발(14c)형상속으로 삽입되어지게 된다.
이때에도 캠기어(21)는 계속 회전을 하게 되어 수평운동이 수직운동으로 전환되는데 이때는 트레이(7) 조립체를 수평운동후 정지시킨체 카세트홀더(1)만을 수직운동시켜야 하므로, 캠기어(21)에서는 트레이(7)의 랙(8f)으로 주었던 동력을 단절시키기 위해 간헐기어(21c)부분에 무치차(21e)(21f)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무치차(제11도의 (a)도 b-a구간)부분이 회전하는 동안 캠곡선의 형상으로 동심원(제11도의 (b)도 가-나구간)을 따르던 캠레버(16)가 ″나″구간을 지나 하향 회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연동되는 업다운홀더(14)은 업다운플레이트(2)를 물고 수직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카세트홀더(1)는 수직운동을 브래키트(11)에 형성된 안내홈(11d)의 수직부 깊이까지만 하면 되지만 업다운플레이트(2)를 눌러주는 업다운홀더(14)에 압착력을 주기 위해 캠레버(16)가 따르는 캠곡선에 여유 스트로크를 주었으며 이는 메인베이스(13)상의 지지포스트(30)위에 놓인 카세트(12)를 압착시켜 주기 위해서 카세트홀더(1)와 카세트(12)사이에 약간 틈을 주어 카세트홀더(1)가 카세트(12)의 안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즉, 캠기어(21)가 계속 회전하여 수직운동을 할 즈음에는 캠레버(16)가 캠홈 (21a)을 따라 하강하게 됨으로서, 업다운홀더(14)는 업다운플레이트(29)를 물고서 하강하게 되고 카세트홀더(14)가 원하는 위치에 안착하게 되며, 이때 캠곡선의 수직스트로크(하강방향)가 카세트홀더(1)의 수직스트로크보다 좀더 크게 여유 스트로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압착력을 가지고 완벽하게 카세트홀더(1)가 안착되어 진다.
또한 업다운홀더(14)에 비하여 캠레버(16)는 좀더 많은 량을 하강하게 되는데 이대 여유 스트로크량은 스프링(19)이 흡수하게 된다. 결국 이 스프링(19)이 업다운홀더(14)와 캠레버(16)사이에 압착력을 주고 있으므로 카세트홀더(1)는 강한 압착력을 가지고 지지포스트(30)위에 안착된다.
이때 캠곡선 마지막 압착력을 주는 부분의 위치까지 캠레버(16)의 핀(20)을 안내한 후에는 동심원을 따르게 되어 있고 동력이 차단되 상태이므로 스프링(19)의 강한 압착력으로 캠기어(21)의 역회전될 우려가 있으나, 캠홈(21a)의 동심원 부분이 약간 안쪽으로 휘어져 단부(21g)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1도의 라-마구간), 핀(20)을 제13도의 (b)도와 같이 자연스럽게 잡아주게 된다.
카세트홀더(1)의 안착으로 카세트(2)는 지지포스트(30) 위치까지 내려가나 카세트홀더(1)는 더 내려가 브래키트(11)의 안내홈(11d)에 의하여 규제된다. 이때 카세트(12)에 압착력을 주게되는 여분은 고무(6)의 탄성에 의한다.
이와 같이 카세트(12)가 카세트홀더(1)에 실린후 로딩되어 메인베이스(13)의 지지포스트(30)에 안착됨으로서 로딩이 완료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그외 동작을 추가 설명하면, 카세트(12)의 슬라이더(12a)가 개방됨과 아울러 덮개(12b)가 개방되어지는바, 슬라이더(12a)의 개방동작은 카세트홀더(1)가 제12도의 (a)도에서 제12도의 (b)도까지 이동하면서 이후부터는 카세트홀더(1)의 수평이동이 정지되며, 이때 카세트(12)가 트레이(7)와 함께 소정 스트로크가 이동함으로서 행하여 진다.
그리고 카세트(12)의 덮개(12b) 개방동작은 제14도와 같이 카세트(12) 수직이동시 행하여 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캠레버(16)가 캠기어(21)와 연동되어 하향 회동하기 시작하면 그에 코킹된 핀(17)이 개방레버(24)를 제14도의 (a)도상태에서 (b)도상태와 같이 들어 올리기 시작하여 캠곡선을 따라 캠레버(16)가 하강상태에서 내려오면 개방레버(24)는 완전히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카세트(12)의 덮개(12b)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12b)가 개방되면 카세트(12)내의 릴의 로크상태가 해제되고 결국 테이프가 풀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젝트동작은 상기 로딩동작의 역으로 행하여지며 이젝트 완료단계에서는 서포터(10)가 카세트(12)를 소정거리 외부로 밀어냄으로써 카세트(12)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디에이티의 카세트 하우징 메카니즘중 트레이방식에 대한 것으로 독창적인 기술구성에 의하여 기기의 경, 박, 단 소화를 전 메카니즘에 실현하였고, 특히 적은량의 부품을 사용으로 조립성이 수월해질 뿐아니라 동작의 신뢰성을 증대시켜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2)

  1. 카세트홀더(1) 및 그에 샤프트(3)로 연결된 업다운플레이트(2)가 함께 연동될 수 있도록 조립되는 트레이(7)와, 메인베이스(13)에 양측이 평행하게 고정되며 상기 부품(1)(2)(7)들을 지지하는 양측 브래키트(11)와, 상기 트레이(7)의 랙(8f)에 맞물리는 간헐기어(21)와, 전동기어(22)에 맞물리는 전주기어(21b) 및 캠홈(21a)을 구비하여 브래키트(11)에 축착되는 캠기어(21)와, 상기 업다운플레이트(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 브래키트(11)의 후방부에 샤프트(15)로 축착되는 업다운홀더(14)와, 상기 샤프트(15)에 삽설되고 그 선단부 핀(20)이 캠홈(21a)에 삽입되며, 상기 업다운플레이트(14)를 회동시키는 캠레버(16)로서 구성되는 카세트 프론트 로딩장치에 있어서,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레이트(2)가 연결되는 샤프트(3)에 한쌍의 고무(6)를 좌우에서 코킹하고, 트레이좌측판(8) 전방부 내면에는 카세트홀더(1) 일측 선단에 돌설되는 안내용 벤딩부(1a)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부(8d)를 구비한 안내홈(8c)을 소정 각도(θ)로 기울려 형성하며, 상기 캠레버(16)의 엠보싱(16d)을 위치조정편(18)의 체결공(18e)에 끼워 중간사각공(18c)을 통해 조정구 삽입공(16b)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음, 면취부(18d)를 가진 돌부(18b)가 업다운홀더(14)의 절곡부(14a)에 끼워지도록 하고 업다운홀더(14)와 캠레버(14)의 스프링걸이(14b)(16a)에는 인장스프링 (19)을 연결하며, 상기 캠기어(21)의 캠홈(21a)에는 동심원상의 카세트 수평운동구간 (가-나)과, 직경변화부인 카세트 업다운구간(나-다), 카세트에 압착력을 줄 수 있는 여유 스트로크구간(다-라), 인장스프링(19) 복원력에 의해 캠기어가 역회전됨을 방지하는 역회전 방지구간(라-마)을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일측에 안내핀(1a)을 돌설하는 상기 카세트홀더(1) 상면에는 카세트 슬라이더(12a) 오픈용 걸림돌기(1c)와 대략 15˚의 경사각을 갖는 엠보싱돌기(1d) 및 릴도피홈(1i)을 각각 형성하고, 저면에는 카세트홀더(1)의 회전방지 및 좌우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각(1b)을 구비하며, 벤딩된 양측에는 카세트홀더(1)가 트레이 좌우측판(8)의 안쪽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은 규제하는 엠보싱 돌기(1e)와 코킹되는 핀(4)이 돌출되지 못하도록 절곡 구성시킨 코킹높이 규제부(1h)를 구비함과 동시에, 모서리에는 카세트 오삽입방지용 벤딩부(1f), (1g)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레이트(2)를 연결하는 샤프트(3) 양측에, 카세트홀더(1)의 양측벽이 접촉 지지되어 저면과 직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단턱(3a)을 형성하며, 단턱(3a)의 설치간격은 카세트홀더(1)의 저면폭과 일치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도어(9)와의 연결 근접부에 소정의 경사각(θ)으로 구성되는 경사부(8d), 안내홈(8c) 및 브래키트(11)의 안내홈(11d)(11e)과 연결되는 안내홈(8a)(8b)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상기 트레이(7) 좌측판(8) 상단에, 가이드롤 (26)이 설치되는 안내홈(8e)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랙(8f) 상면에는 톱커버(32) 안내홈(8h)을 형성하며, 그 일측에 탄성기어(8g)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안내홈(8a) 및 (11d)의 수직안내부를 원호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5.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키트(11) 내면으로 고정된 부시(23)에 카세트 덮개 개방레버(24)를 핀(25)으로 축착하고, 개방레버(24) 후단부장공(24a)에는 캠레버(16)에 고정되는 핀(17)을 코킹하며, 상기 안내홈(11d)(11e) 하단에는 앤드센서(40)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편(11a)과 개방레버(24)의 처짐을 방지하는 벤딩부(11g)를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베이스(13)의 걸림돌기(13a) 및 걸림홈 (13b)과 결합되는 걸림홈(11b) 및 엠보싱(11f) 그리고 체결편(11c)을 브래키트(11) 저부에 일체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6.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트레이 좌측판(8)에 형성된 랙(8f)과 맞물려 설치되는 상기 간헐기어(21c)는 랙(8f)에 맞물려 구동되는 구간(a-b)인 기어부(21d)와 무치차부로 구성하고, 무치차부는 다시 트레이 후진방지구간(b-c)인 돌출부(21e)와, 돌출부(21e)보다 낮게 형성되어 탄성기어(8g)의 탄성변형을 감소하기 위한 탄성변형 방지구간(c-a)인 요입부(21f)로 구성되며, 상기 캠기어(21) 외측에는 톱커버(32) 일측에 고정되는 카세트 스위치(33)의 레버를 구동시키기 위한 돌출부(21i)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7.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홀더(1)와 결합되는 업다운플레이트(2) 일측에는 메인베이스(13)의 주행계조정을 위한 도피홈(2a)을 형성하고, 이 도피홈(2a)은 서포트(10)의 조정도피홈(10a)과 일치되도록 설정하며, 업다운홀더 (14)와의 연결부에는 까치발(14c)이 끼워지기 용이하도록 모따기(2b)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8.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캠레버(16) 및 위치조정편(18)이 연결되는 업다운홀더(14) 상면에는 톱커버(32)의 선단 벤딩부(32d)가 끼워지는 삽입홈(14d)을 형성하고, 그 측면에는 상기 브래키트(11)와 점접촉되도록 돌설하는 엠보싱돌기(14e) 및 내측에 설치되는 개방레버(24)의 장공 (24a)으로 핀(17)을 끼울 수 있도록 도피홈 (14f)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9.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16)의 엠보싱(16d)에 끼워져 결합되는 위치조정편(18)이 엠보싱(16c)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공(18a)에 고정나사(27)를 체결하고, 캠레버(16)의 선단에는 핀(20)이 상기 캠곡선(21)으로 부터 벗어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엠보싱(16c)을 돌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10. 청구범위 제4항, 제6항,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레이(7) 상면에 설치되는 톱커버(32) 일측에는 탄성기어(8g)가 상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하향 벤딩부(32a)를 구성하고, 내측에는 트레이(7) 안내홈(8h)에 끼워지는 벤딩부(32b)를 구성하며, 그 후방에는 업다운홀더(14)의 삽입홈(14d)에 삽설되는 벤딩부(32d)를 구성함과 동시에 전주기어(21b)를 보호하는 돌출부(32e)와, 탑재된 카세트(12)가 들리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전방누름판(32g)을 각각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11.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톱커버(32) 일측에 고정되는 카세트스위치(33)는, 캠기어(21)의 돌출부(21i)에 의해 a→b, a→c로 선택구동되고, 이신호를 받은 시스콘(SYSCON)은 모드전환을 명하게 되며, 상기 카세트스위치(33)에서 ″a″가 ″b″로 전환될때 모드전환용 캠기어는 모드를 ULC→FF/REW→STOP→ Play→Review의 순으로 변환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12. 청구범위 제11항에 있어서, 카세트스위치(33)의 레버가 a→b, a→c로 변환될때의 동력전달 체계로서, 베벨기어(31)와 입력기어(37)를 연결하는 업다운기어(38)가 업다운레버(36)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업다운레버(36)는 토션스프링(39)으로 탄설되는 브래키트(35)와 핀(36')으로 연설되며, 브래키트(35)는 다시 선단에 벤딩부(34a)를 구비하는 펑션플레이트(34)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KR1019900011575A 1990-07-30 1990-07-30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KR930000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1575A KR930000027B1 (ko) 1990-07-30 1990-07-30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EP19910112683 EP0469499A3 (en) 1990-07-30 1991-07-27 Driving device for loading/unloading a tray for a digital audio tape
US07/737,975 US5249089A (en) 1990-07-30 1991-07-30 Driving device for loading/unloading a tray for a digital audio tape
JP3190296A JPH0778390A (ja) 1990-07-30 1991-07-30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テープ用トレーのローディング/アンローディング駆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1575A KR930000027B1 (ko) 1990-07-30 1990-07-30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282A KR920003282A (ko) 1992-02-29
KR930000027B1 true KR930000027B1 (ko) 1993-01-06

Family

ID=1930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575A KR930000027B1 (ko) 1990-07-30 1990-07-30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49089A (ko)
EP (1) EP0469499A3 (ko)
JP (1) JPH0778390A (ko)
KR (1) KR930000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2284A (en) * 1991-07-18 1995-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y housing driving apparatus of digital audio tape recorder
DE4229753A1 (de) * 1992-09-05 1994-03-10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ät mit einem die Wickelteller antreibenden Motor (Lademechanismus mit langem Verschiebeweg)
JP5864148B2 (ja) * 2010-07-12 2016-02-17 三菱製鋼株式会社 電子機器用ヒン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3445A (en) * 1980-05-02 1983-12-27 Clarion Co., Ltd. Clutch system in a tape player
JPS6286569A (ja) * 1985-10-11 1987-04-21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KR900007830Y1 (ko) * 1987-09-15 1990-08-24 주식회사 금성사 브이씨알의 캡스턴 모터를 이용한 카세트로딩장치
US5060094A (en) * 1987-11-20 1991-10-22 Goldstar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JPH01292661A (ja) * 1988-05-19 1989-11-24 Sanyo Electric Co Ltd テープレコーダのローディング装置
US5036413A (en) * 1988-07-01 1991-07-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ssette loading apparatus having a supplemental force imparting unit
KR920005710Y1 (ko) * 1988-09-01 1992-08-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브이티알의 캡스턴 플라이휘일 회전력 전달장치
KR920008476B1 (ko) * 1988-12-30 1992-09-30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US5136442A (en) * 1989-03-06 1992-08-04 Alps Electric Co., Ltd. Cassette loading device of a tape player utilizing power from capstan motor
US5038237A (en) * 1989-08-30 1991-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transmission and clutch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de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49089A (en) 1993-09-28
EP0469499A3 (en) 1993-06-09
JPH0778390A (ja) 1995-03-20
EP0469499A2 (en) 1992-02-05
KR920003282A (ko) 199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969B1 (ko)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KR920001378Y1 (ko) 테이프 카세트
JPH07118123B2 (ja) 電子機器における操作切換機構
KR930000027B1 (ko)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JPH0356901Y2 (ko)
US5825583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deck mechanism with a slide base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respectively disposed on opposite side surfaces of a fixed base plate
KR920008476B1 (ko)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JPH07114050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US5038237A (en) Power transmission and clutch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deck
JPH0335742B2 (ko)
US5136442A (en) Cassette loading device of a tape player utilizing power from capstan motor
US618854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5701215A (en) Tape cassette loading apparatus of tape recorder including a spring member for biasing a cassette towards reel tables
KR100281195B1 (ko) 카세트 테이프 로딩장치
US5328125A (en) VCR deck tape loading mechanism
KR19990002404U (ko)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홀더 안착 안내장치
JPH082829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カセット装填機構
KR200147773Y1 (ko) 카세트테이프삽입및취출장치
KR940002094B1 (ko)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JPH0356902Y2 (ko)
JPH0626983Y2 (ja) プレ−ヤにおける摺動部材の支持機構
JPS6112605Y2 (ko)
KR200154184Y1 (ko) 트레이 방식 자기기록재생기의 중간 도어 개폐장치
JPH11110862A (ja) 記録再生装置のトレイローディング機構
JPH03224160A (ja) カセツトテープ装着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