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094B1 -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094B1
KR940002094B1 KR1019910024271A KR910024271A KR940002094B1 KR 940002094 B1 KR940002094 B1 KR 940002094B1 KR 1019910024271 A KR1019910024271 A KR 1019910024271A KR 910024271 A KR910024271 A KR 910024271A KR 940002094 B1 KR940002094 B1 KR 940002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y
cassette
bracket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현진
Original Assignee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이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이종수 filed Critical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4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094B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제1도는 종래 DAT 카세트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종래 DAT 카세트의 캠기어 구성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구성 및 동작상태도.
제4도는 트레이의 동작 상태도로서,
제4a도는 오픈 상태도.
제4b도는 클로즈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로서,
제5a도는 트레이의 오픈 상태도.
제5b도는 트레이의 수평 이동 완료 상태도.
제5c도는 트레이의 로딩완료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메인샤시 52a, 52b : 직각작동공
53 : 트레이 53a, 53b : 직각작동공
53c : 래크기어 54 : 승강가이더
54a, 54b : 경사진 안내공 54c : 래크기어
55 : 카세트홀더 55a, 55b : 가이드핀
56 : 로딩기어 56a : 수평이동 피니언
56b : 수직이동 피니언 56c : 무치차부
56d : 치차 57 : 카세트 테이프
58 : 무 58 : 샤프트
본 발명은 DAT(DIGITAL AUDIO TAPE RECORDER)의 카세트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이동관련장치를 무치차부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 피니언으로 구성하여 보다 간략하게 함으로써 부품수를 절감함은 물론 그 작동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에이티(DIGITAL AUDIO TAPE RECORDER)의 드레이방식 카세트 로딩장치는 카세트홀더에 카세트를 탑재하고 트레이를 그의 랙과 브래키트에 축착된 캠기어의 작동으로 수평이동 시키면, 카세트홀더와 여기에 연결된 업다운플레이트가 카세트 트레이와 함께 수평이동하게 되고 이같이 수평이동하는 동안에 카세트의 슬라이더가 개방되며, 카세트 트레이가 수평으로 이동한 다음 캠기어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하여 이에 연동되는 캠레버 및 업다운홀더가 함께 회동하면서 업다운플레이트를 구동시키게 되어 카세트 홀더 및 그에 탑재된 카세트를 수직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카세트 로딩장치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와 그에 샤프트(3)로 연결되어 연계 동작하는 업다운플레이트(2)를 보유하고 있으며,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레이트(2)의 양측면에는 핀(4), (5)이 각각 압입 고정되고, 샤프트(3)에는 고무(6)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홀더(1)와 업다운플레이트(2)는 트레이(7)와 연동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트레이(7)는 트레이 좌우측판(8)과 도어(9)와 서포터(10)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레이(7)를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좌우측 브래키트(11)는 메인베이스(13)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져 구성되는데, 양측 브레키트(11)의 후방부에는 카세트홀더(1)가 수직 이동할수 있도록, 업다운플레이트(2)를 회동시키는 업다운홀더(14)가 샤프트(15)로 결합되고, 그 업다운홀더(14)의 일측에는 캠레버(16)가 결합된다.
즉 캠레버(16) 선단에 축설되는 핀(20)이 캠홈(21a)을 따라 끼워질수 있도록 연설되는 캠기어(21)는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8f)에 맞물리는 간헐기어(21c)와 전동기어(22)에 연결되는 전주기어(21b)로 나누어지며 전동기어(22)에는 중간기어(28)가 베벨기어(31)와 맞물려 구성됨으로서 캡스턴모우터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캠기어(21)는 동력전달부의 안전장치로서, 톱커버(32)의 일측에 설치되는 카세트 스위치(33) 조작에 의해 제어되며, 크로스 동작시에는 캠기어(21)의 돌출부(21i)가 카세트 스위치(33)의 레버를 "a"상태에서 "b"상태로 밀어주게 되어 캠기어의 동력을 차단하게 되고, 오픈 완료시에는 돌출부(21i)가 카세트 스위치(33)의 레버를 "c"위치에 오도록 캠스턴모우터(M)의 동력을 오프시키게 된다.
또한 좌측 브래키트(11)에는 캠기어(21)와 전동기어(22)가 맞물리게 축착되고 전동기어(22)에는 중간기어(28)가 하부인 베벨기어(31)와 맞물려 결합된다. 한편, 캠기어(21)의 캠홈(21a)에는 캠레버(16)의 단부에 고정된 핀(20)이 삽입되고 좌측 브래키트(11)에 카세트덮개 개방용 레버(24)가 축척되며, 그 레버(24)의 후방단부에 캠레버(16) 및 개방레버(24)를 연결하는 형태로 끼워져 삽입된다.
트레이 좌우측판(8)과 양측 브래키트(11)에는 상기 핀(4), (5)이 관통되는 안내홈(8a)과 (11d)의 수직부는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브래키트(11) 상면에는 톱커버(32)가 트레이 좌측판(8)을 따라 흔들림없이 구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하 캠기어(21)는 전동기어(22)에 맞물리는 전주기어(21b)와, 상기 트레이 좌우측판(8)에 형성된 랙(8f)에 맞물리는 간헐기어(21c)를 갖으며, 간헐기어(21c)는 랙(8f)에 맞물려 구동시키는 구간(a-b)인 기어부(21b)와 무치차부로 되어 있고, 무치차부는 트레이 후진 방지구간(b-c)인 돌출부(21e)와, 상기 랙(8f)의 단부에 형성된 몰드스프링인 탄성기어(8g)의 탄성 변형을 감소하기 위한 탄성변형 감소구간(c-a)인 요입부(21f)을 갖는다.
캠기어(21)의 캠홈(21a)은 가-나 구간, 나-다 구간 다-라 구간 및 라-마 구간으로 나누어지는데, 여기서 가-나 구간은 동심원상의 카세트(12) 수평운동 구간이고, 나-다 구간은 직경변화부로서 카세트(12)의 업다운 구간이며, 다-라 구간은 카세트(12)에 압착력을 줄 수 있는 여유 스트로크 구간이고, 라-마 구간은 스프링(19)력에 의해 캠기어(21)가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간이다.
상기 구간에서 "마"점은 "다"점보다 반경이 높은 위치이나 "라"점보다는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카세트 로딩장치 첨부도면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트레이가 개방된 상태에서 카세트홀더(1)는 트레이 좌측판(8)의 경사부(8d)를 따라 위치하여 θ각도로 경사지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카세트(12)를 수월하게 삽입, 취출할 수 있다.
경사진 카세트홀더(1)에 카세트(12)를 탑재한 후, 전동기어(22)를 통하여 동력을 받은 캠기어(21)의 전주기어(21b)를 이용해서 간헐기어(21c) 부분의 회전으로(제3a도 a에서 b구간), 간헐기어(21c)의 치차부위가 트레이(7)의 랙(8f)과 1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트레이(7)는 카세트홀더(1) 및 업다운플레이트(2)와 함께 슬라이드하여 제4b도의 상태를 거치고 트레이 안내홈(8a)과 브래키트 안내홈(11d)의 수평부를 합한 길이만큼 수평이동하여 카세트(12)를 탑재한 카세트홀더(1)는 코킹판(4)이 하강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이 과정에서 트레이(1) 조립체는 트레이 좌우측판(8)에 끼워진 가이드롤의 굴림마찰에 의하여 원활하게 수평이동하게 된다.
카세트홀더(1)의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이 절환되는 부분에서는 제3a도에서 보듯이 순간적이기는 하지만 트레이(7)의 랙(8f)이 캠기어(21)의 간헐기어(21c)°에서 벗어나게 되어 동력이 끊어지는데 이때 만약 트레이(7) 조립체가 후진(개방되는 방향)되면 트레이(7) 조립체가 카세트홀더(1)를 탑재한 체로 빠져버려 모드가 바꾸어져 버릴 우려가 있으나 b-c 구간에서 트레이(7) 조립체의 후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트레이 랙(8f) 부분에 제3b도에 도시한 몰드스프링인 탄성기어(8g) 부분이 있어서 캠기어(21)의 회전운동으로 트레이(7) 조립체의 랙(8f)과 맞물려 정확한 위치까지 트레이(7)가 움직일 수 있게 되며, c-a 구간이 c-b 구간보다 낮추어져 있으므로 캠기어(21)와 탄성기어(8g)가 물리지 않을 구간(카세트홀더가 안착하였을때)에서 오랫동안 탄성변형이 가하여지지 않게 된다.
또 수평운동하는 동안 캘레버(16)는 캠기어(21)에 머물게 되고 이때 업다운홀더(14)는 업다운플레이트(2)를 몰수 있는 높이로 머물게 된다.
이때에도 캠기어(21)는 계속 회전을 하게 되어 수평운동이 수직운동으로 전환되는데 이때는 트레이(7) 조립체를 수평운동후 정지시킨채 카세트홀더(1) 만을 수직운동시켜야 하므로, 캠기어(21)에서는 트레이(7)의 랙(8f)으로 주었던 동력을 단절시키기 위해 간헐기어(21c) 부분에 무치차(21e), (21f)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무치차(제3a도의 b-a구간) 부분이 회전하는 동안 캠곡선의 형상으로 동심원(제3b도의 가-나 구간)을 따르던 캠레버(16)가 "나"구간을 지나 하향 회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연동되는 업다운홀더(14)는 업다운플레이트(2)를 물고 수직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카세트 로딩장치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여 고장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카세트의 테이프 로딩장치에 무치차부가 서로 상반되게 형성된 피니언을 구성하여 단일 치차로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부품을 절감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 고장율을 감소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샤시(51)의 양측에 착설되어 두 개의 직각작동공(52a), (52b)이 각각 천설된 브라켓트(52)와, 상기 브라켓트(52)의 내측에 설치되어 브라켓트(52)의 직각작동공(52a), (52b)과 대향되는 직각작동공(53a), (53b)이 천설되고, 일측에 래크기어(53c)가 형성된 트레이(53)와, 상기 브라켓트(52)와 트레이(53) 사이에 설치되어 경사진 안내공(54a), (54b)이 천설되고 일측에 래크기어(54c)가 형성된 승강가이더(54)와, 상기 브라켓트(52)의 직각작동공(52a), (52b)과 트레이(53)의 직각작동공(53a), (53b) 및 승강가이더(54)의 경사진 안내공(54a), (54b)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핀(55a), (55b)이 좌·우 양단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로딩시키는 카세트홀더(55)와, 상기 트레이(53)의 래크기어(53c)와 승강가이더(54)의 래크기어(54c)에 수평이동 피니언(56a)과 수직이동 피니언(56d)이 치합되도록 브라켓트(52)에 설치되는 로딩기어(56)로서 구성되어 카세트 테이프를 로딩하도록 하되, 상기 로딩기어(56)에 일체로 형성되어 트레이(53)의 래크기어(53c)가 치합되는 수평이동 피니언(56a)과 승강가이더(54)의 래크기어(54c)가 치합되는 수직이동 피니언(56b)은 첨부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치차부(56c)가 서로 상반되게 형성하여 카세트홀더(55)가 서로 상반되게 형성하여 카세트홀더(55)의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이 순차로 진행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로딩기어(56)의 수평이동 피니언(56a)과 수직이동 피니언(56b) 각각의 기능수행에 적합하게 무치차부(56c)와 치차(56d)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카세트홀더(55)의 양측판의 상단에는 카세트 테이프(57)를 잡아주는 고무(58)가 양측에 삽설된 샤프트(59)를 설치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카세트 테이프를 로딩시키려면 첨부도면 제5a도에서와 같이 세트 밖으로 돌출된 트레이(53)의 카세트홀더(55)에 카세트 테이프(57)를 장착하고 클로우즈 키(Close Key)(도시되지 않음)을 누르면 캡스턴모터(도시하지 않음)가 회전하여 로딩기어(59)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한 동력을 전달받은 로딩기어(56)가 첨부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와 일체로 형성된 수평이동 피니언(56a)과 수직이동 피니언(56b)이 동시에 구동하면서 이때 수평이동 피니언(56a)의 치차(56d)에 래크기어(53c)로 치합된 트레이(53)가 이동되면서 카세트홀더(55)의 가이드핀(55a), (55b)이 상기 트레이(53)의 직각작동공(53a), (53b)의 후단에 안내되어 브라켓트(52)의 직각작동공(52a), (52b)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한 동작으로 카세트홀더(55)가 이동되어 상기 카세트홀더(55)의 측면에 착설된 가이드핀(55a), (55b)이 첨부도면 제5b도와 같이 되면 수평이동이 완료되는데 이때 로딩기어(56)의 수직이동 피니언(56b)은 무치차부(56c)가 승강가이더(54)의 래크기어(54c)와 일치되어 정지된 상태가 된다.
상기한 동작으로 트레이(53)의 수평이동이 완료되어 카세트홀더(55)의 진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트레이(53)의 래크기어(53c)와 치합되어 이를 이동시키던 수평이동 피니언(56a)의 무치차부(56c)가 상기 트레이(53)의 래크기어(53c)와 일치됨과 동시에, 로딩기어(56)의 수직이동 피니언(56b)이 무치차부(56c)가 끝나고 승강가이더(54)의 래크기어(54c)에 수직이동 피니언(56b)의 치차(56d)가 치합되어 승강가이더(54)를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트레이(53)는 정지된 상태에서 카세트홀더(55)의 가이드핀(55a), (55b)이 승강가이더(54)의 경사진 안내공(54a), (54b)에 안내되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카세트홀더(55)가 하강하면 카세트의 로딩이 끝나게 되며 이를 감지한 마이콤(Micom)에 의하여 카세트 테이프를 연주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로 연주가 끝나고 카세트 테이프를 언로딩 시키고자 할때는 오픈키를 누르면 로딩기어(56)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한 동작의 역순으로 진행되어 트레이(53)가 오픈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캠기어로서 트레이에 의한 카세트 테이프의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평이동동작과 수직이동동작의 연계동작이 정확하고 원활하여 로딩동작이 원활하며 단일 로딩기어로 모든동작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라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하며 고장이나 오동작이 없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메인샤시의 양측에 착설되어 두개의 직각작동공이 각각 천설된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내측에 설치되어 브라켓트의 직각작동공과 서로 상반되는 직각작동공이 천성되며, 일측에는 래크기어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기 브라켓트와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어 경사진 안내공이 천설되고 일측에 래크기어가 형성된 승강기이더와; 상기 브라켓트의 직각작동공과 트레이의 직각작동공 및 승강가이더의 경사진 안내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가이드핀이 좌우양단에 설치되어 카세트를 로딩시키는 카세트홀더와; 상기 트레이의 래크기어와 승강가이더의 래크기어에 수평이동 피니언과 수직이동 피니언이 치합되도록 브라켓트에 설치되는 로딩기어로서 구성되어 카세트 테이프를 로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어에 일체로 형성되어 트레이의 래크기어가 치합되는 수평이동 피니언과 승강가이더의 래크기어가 치합되는 수직이동 피니언은, 무치차부를 서로 상반되게 형성하여 카세트홀더의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이 순차로 진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어의 수평이동 피니언과 수직이동 피니언은 각각 그 기능 수행에 적합하게 치차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KR1019910024271A 1991-12-24 1991-12-24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KR94000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271A KR940002094B1 (ko) 1991-12-24 1991-12-24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271A KR940002094B1 (ko) 1991-12-24 1991-12-24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094B1 true KR940002094B1 (ko) 1994-03-17

Family

ID=1932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271A KR940002094B1 (ko) 1991-12-24 1991-12-24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0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85140A2 (en) Disk playback apparatus
KR890001177B1 (ko)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조작전환기구
JPH01138651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ーのキャプスタンモーターを利用した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2721813B2 (ja) ビデオカセットテープレコーダー用リールテーブル移送装置
JPH01159859A (ja) Datの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KR940002094B1 (ko) Dat의 카세트 로딩장치
EP0232161A2 (en) Arrangement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694983A (en) Device for controlling pinch roller in cassette tape recorder
JPS62154255A (ja) ピンチロ−ラ−移動装置
JP2541624B2 (ja) 家具の扉装置
JPS61182658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KR930004337B1 (ko) 핀치롤러 구동기구
JPH0778390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テープ用トレーのローディング/アンローディング駆動装置
JPH0273552A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KR920007725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KR940007537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KR930008658Y1 (ko) 디.에이.티의 트레이 하우징 구동장치
JPH04298849A (ja) カセット装填機構の駆動装置
JPH0246553A (ja) ピンチローラ駆動機構
KR900003246B1 (ko) Vtr의 로딩장치
JPH0452842Y2 (ko)
JPS61182657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H0433582Y2 (ko)
JP2600034Y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H046242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