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969B1 -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969B1
KR970011969B1 KR1019880012778A KR880012778A KR970011969B1 KR 970011969 B1 KR970011969 B1 KR 970011969B1 KR 1019880012778 A KR1019880012778 A KR 1019880012778A KR 880012778 A KR880012778 A KR 880012778A KR 970011969 B1 KR970011969 B1 KR 970011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cassette
lever
mode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7251A (ko
Inventor
요시미 고다마
다께후미 쯔찌다
Original Assignee
이우에 사또시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5020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929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11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9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2937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0578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293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0578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382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6144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9699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0840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우에 사또시, 상요덴기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우에 사또시
Publication of KR89000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1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of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11B15/615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inside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8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제1A도는 VTR의 외관을 도시한 공백(empty)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1B도는 상 동의 재생(play)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1C도는 상 동의 대기(stand-by)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1D도는 상 동의 인출(eject)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2도A는 샤시 구조의 분해 사면도.
제2B도는 상 동의 조립상태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제3도는 카세트가 장전된 VTR 내부를 도시한 대기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4도는 상 동의 재생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5도는 VTR 내부를 도시한 공백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6도는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대기 모드에서의 서브샤시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대기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의 이행 과정의 초기에 있어서의 상 동의 평면도.
제8도는 대기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의 이행 과정의 말기에 있어서의 상 동의 평면도.
제9도는 재생 모드에서의 상 동의 평면도.
제10도는 공백 모드에서의 상 동의 평면도.
제11도는 테이프 로딩(loading) 장치의 로딩 동작 개시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2도는 상 동의 로딩 동작 완료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3도는 테이프 로딩 장치의 치차열을 따르는 단면도.
제14도는 펀치롤러 압착 기구의 사면도.
제15도는 공급측 테이프 인출 레버의 평면도.
제16A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VTR의 공백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16B도는 상 동의 정지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17도는 정지모드에 있어서의 VTR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제18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VTR의 대기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19도는 상 동의 재생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20도는 상 동의 공백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21도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서브샤시 구동용의 레버 기구를 도시한 사면도.
제22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VTR의 대기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23도는 상 동의 우측면도.
제24도는 상 동의 재생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25도는 상 동의 정면도.
제26도는 상 동의 공백 모드에서의 평면도.
제27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리일샤시 구동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제28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급측 테이프 인출 레버의 사면도.
제29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권취측 테이프 인출 레버의 사면도.
제30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압착 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제31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일체형 VTR의 테이프 주행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32도는 상 동의 공백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33도는 상 동의 분해 사면도.
제34도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일체형 VTR의 공백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35도는 상 동의 테이프 주행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36도는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일체형 VTR의 테이프 주행 모드에서의 사면도.
제37도는 제7실시예에 배치되는 VTR 수납부의 사면도.
제38도는 제37도 X-X선을 따르는 사면도.
제39A도는 종래의 VTR 대기모드에서의 단면도.
제39B도는 상 동의 재생모드에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 샤시2 : 테이프 로딩 장치
4 : 리일 샤시5 : 서브샤시
6 : 핀치 롤러 레버7, 64 : 테이프 인출레버
13 : 가이드 바14 : 실린더 장치
16 : 캡스턴17 : 안내 부재
18,19 : 정지부26 : 로딩 모터
28 : 검출 스위치43 : 공급 리일대
44 : 권취 리일대58 : 걸림부
61 : 핀치 롤러62 : 원동 레버
65,71 : 테이프 인출축66 : 연결판
80 : 제1레버80a,80b,86,88 : 자유단
85 : 제2레버110 : VTR부
111 : 케비넷118 : 제1안내부
119 : 제2안내부120 : 카메라부
122 : 그립130 : 뷰 파인더
158 : 전원 스위치
본 발명은, 카세트 내의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고, 또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기록하고, 또는 자기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장치의 깊이를 확대 축소할 수 있고, 휴대에 편리한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디오테이프레코더(VTR)의 소형화가 진척되고 있고, 특히 폭 8mm의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는 8밀리 VTR에 있어서는 초 소형으로 경량의 적이 실현되고 있다.
VTR의 소형 경량화에 수반해서, 카메라부와 VTR부를 일체로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VTR이 실용화 되고 있다. 또 액정 컬러텔레비젼과 VTR을 일체화하여, 휴대 가능한 화상 재생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VTR에 있어서는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엄격하다.
그래서, 제39A도 및 제3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에 따라서 카세트 삽입방향을 따르는 장치의 깊이를 확대 축소할 수 있는 VTR이 제안되고 있다(일본국 공개 특허공보(소) 제61-271,648호).
상기 VTR에 있어서는, 회전 자기 헤드를 구비한 실린더 장치(14)가 메인샤시(1)위에 설치되고, 이 메인샤시(1) 위에, 리일샤시(4)가 실린더 장치(14)와 접근 이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이 리일샤시 위에 공급 리일대(43) 및 권취 리일대(44)개 배치되어 있다.
제39A도에 도시한 모드(대기모드)에 있어서는, 리일 샤시(4)의 일부(A)가 메인샤시(1)로부터 돌출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리일샤시(4) 위의 리일대(43,44)에 테이프 카세트(9)가 장전된다.
제39B도에 도시한 모드(재생모드)에서는, 리일샤시(4)가 실린더장치(14)측으로 슬라이드해서, 카세트(9)의 앞부분 개구부(91)에 실린더 장치(14)가 침입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자기테이프가 실린더 장치에 권취되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따라서, 상기 VTR에 있어서는, 깊이를 도시한 바와 같이 L1에서L2로 수축할 수 있으므로, 휴대에 편리하다.
그런데, 상기 VTR에 있어서는 최소 깊이 L2가 카세트 치수의 제약을 받아,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예를들면 8밀리 VTR에서는, 바깥지름 27mm의 실린더 장치(14)를 사용한 경우, 최소 깊이 L2는 사실상 85mm 정도가 한계였다. 또한, 8밀리 VTR에서는 카세트 치수, 실린더 장치(14)의 바깥 지름에, 규격 또는 그에 준한 규정이 있다, 따라서, VTR의 초 소형화는 곤란했다.
또한, 일본국 공개 특허공보(소) 제 62-164,249호에는, 재생모드에 있어서의 장치의 깊이를 단축시키기 위해, 카세트(9)의 자기 테이프의 길이를 표준보다도 단축시킴과 동시에, 카세트 내의 리일 지름이 작아진 만큼만 카세트(9)의 개구부(91)을 다시금 확대해서, 재생 모드에서는 상기 개구부(91)내에 실린더 장치(14)를 거의 완전하게 수납하는 VTR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VTR에서는, 규격에 맞는 표준 카세트는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 치수 형상 및 실린더 장치의 바깥 지름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도, 휴대시에 종래 보다도 더욱 소형화할 수 있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록 또는 재생시에는, 장치 내에 카세트를 장전하는 것이 불가결하므로, 카세트의 안까지의 치수에 의해서 장치의 최소 깊이가 제약을 받는 것은 부득이 하지만, 종래에는 카세트를 장치로 부터 벗긴 상태에서도, 장치의 최소 깊이는 카세트를 장전한 경우와 같다. 본 발명은 이 점에 착안해서,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을 때보다도 다시금 리일샤시를 실린더 장치 측으로 접근시킴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 카세트에서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실린더 장치에 권취하기 위한 테이프 로딩장치, 또는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인출된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위한 핀치롤러 압착기구를 상기 리일샤시의 이동에 연동시킬 수 있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일체형 VTR에 있어서, 메인샤시로 부터 리일샤시를 돌출시킨 재생모드에서, 메인샤시로부터 돌출한 리일샤시 위의 각종 구동시스템을 카메라부의 구성 요소로 덮어 씌워서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 일체형 VTR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일샤시에 고정된 개체의 이동에 의해 메인샤시 위의 조작 패널이 개체되고, 필요시에만 조작 패널이 개방되는 신호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리일샤시는 카세트가 셋트되기 위한 대기 모드의 제1정지위치 S1, 이 제1정지위치보다는 실린더 장치측으로 접근한 재생모드의 제2정지 위치 S2, 및 이 제2정지위치보다도 다시금 실린더 장치에 접근한 공백모드(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모드)의 제3정지 위치 S3의 적어도 3가지 위치에 정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대기 모드에 있어서, 리일샤시는 메인샤시로 부터 돌출해서 제1정지위치 S1에서 정지하고 있고, 이 상태에서 리일샤시가 실린더 장치측으로 후퇴한다.
리일샤시에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는 경우, 리일샤시는 제2정지위치 S2에서 정지하고, 재생모드로 이행한다. 재생모드에서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리일샤시에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공백 상태에서는, 리일샤시는 다시금 후퇴해서 제3정지위치 S3에서 정지하고, 공백모드로 이행한다.
공백모드에서 장치의 깊이는 카세트의 안까지의 치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종래 장치의 최소 깊이보다도 작게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8밀리 VTR에 실시한 몇 개의 예에 대해서 상세히 기술한다.
제1실시예
전체 구성
VTR은 제1 A, B,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일 샤시(4)의 정지위치 및 카세트홀더(15)의 상태에 의해서, 공백모드, 재생모드, 대기모드, 및 인출모드인 4개의 모드로 변한다.
제1D도에 도시한 인출모드는, 리일샤시(4)가 메인샤시(1)로부터 최대로 돌출한 제1정지위치 S1에서 정지하고, 테이프카세트(9)를 수용하기 위해 카세트 홀더(15)가 상승한 상태이다.
제1C도에 도시한 대기모드는 카세트 홀더(15)가 하강해서 리일샤시(4)에 로크(lock)된 상태이다.
제1B도에 도시한 재생모드는, 대기모드의 상태에서 리일샤시(4)가 실린더장치(14)측으로 이동해서 제2정지위치 S2에서 정지한 상태이다. 재생모드에서,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제1A도에 도시한 공백모드는, 카세트홀더 공백 상태에 있어서, 재생모드의 상태보다도 리일샤시(4)가 다시금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이동해서 제3정지위치 S3에서 정지한 상태이다. 공백모드에서 VTR 전체의 깊이가 최소로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C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대기모드에서의 VTR의 깊이 L1은 103mm, 제1B도 및 제4도의 재생모드에서의 깊이 L2는 87mm, 제1A도 및 제5도의 공백모드에서의 깊이 L3은 67mm이다. 대기모드에 비해서 제1B도의 재생모드에서는 VTR의 깊이는 16mm 작아지고, 공백모드에서는 36mm 작아진다.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한 각종 메카니즘을 배치하기 위한 샤시 구조는, 장방형의 메인샤시(1), 메인 샤시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리일샤시(4), 및 양 샤시(1, 4) 사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서브샤시(5)로 구성된다.
메인샤시(1)에는 실린더장치(14), 이 실린더장치 근방에 티이프로딩 장치(2), 실린더장치(14)의 안쪽 우측에 캡스턴(capstan)(16)이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로딩 장치
테이프로딩 장치(2)는, 제11도, 제12도,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장치(14)의 밑부분을 포위해서 2장의 링형 기어(3, 31)을 상하 2단에 동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배치하고, 상단의 링형 기어(3)에 테이프 공급측의 테이프 선도(先導)가이드(32)를 배치하고, 하단의 링형 기어(31)에 테이프 권취측의 테이프 선도가이드(34)를 배치하고 있다.
공급측의 선도 가이드(32)는 레버(35)를 통해서 링형 기어(3)에 부착되고, 레버(35)와 선도 가이드(32) 사이에는 테이프로딩 완료시에 선도가이드(32)를 메인샤시(1) 위의 위치 결정 정지부(36)에 압접(壓接)시키기 위한 스프링(33)이 개재 장착되어 있다.
상기 링형 기어(3, 31)은 중간 치차열(齒車列, 20)을 통해서 로딩모터(26)에 연계(連繫)되어 있다. 중간 치차열(20)은, 로딩 모터(26)에 의해서 구동되는 웜(worm)(27)과, 이 웜(27)과 링형 기어(3, 31)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 제1, 제2, 제3, 제4 및 제5치차(21)(22)(23)(24)(25)로 구성된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치차는 각각 상하 2단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제1치차(21)의 하단 기어(21b)는 웜 휠이며 상기 웜(27)에 끼워지며, 상단기어(21a)는 제2치차(22)의 하단기어(22b)에 끼워져 있다.
제2치차(22)의 상단 기어(22a)는 제3치차(23)의 상단 기어(23a)에, 제3치차(23)의 하단 기어(23b)는 제4치차(24)의 하단 기어(24b)에 끼워져 있다. 제4치차(24)의 상단 기어(24a)는 제5치차(25)의 상단 기어(25a) 및 상기 상단의 링형 기어(3)에 끼워지고, 제5치차(25)의 하단 기어(25b)는 상기 하단의 링형 기어(31)에 끼워져 있다.
제1치차 내지 제4치차(21)(22)(23)(24)는, 상단 기어와 하단 기어가 일체로 회전함에 반해, 제5치차(25)는, 상단 기어(25a)와 하단 기어(25b)가 서로 관계 없이 회전 자유롭게 동심으로 축지지됨과 동시에, 서로 토션(torsion) 스프링(281)에 연결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치차(21)의 상당 기어(21a)와 이 기어에 끼워지는 제2치차(22)의 하단 기어(22b)는, 주위면 일부에 치아가 형성되어 상단 기어(21a)의 일부에는 치아 끝 원 반지름을 갖는 큰지름 원호부(21c)가 형성되고, 하단 기어(22b)의 일부에는 치아 및 반지름을 갖는 작은 지름 원호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제11도의 대기모드에 있어서, 제1치차(2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중간 치차열을 거쳐, 상단의 링형기어(3)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해서, 테이프 공급측 선도 가이드(32)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하단의 링형 기어(31)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해서, 테이프 권취 측의 선도 가이드(34)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이동 시킨다. 이 결과, 제12도와 같이 양 선도 가이드는 메인 샤시 위의 정지부(36, 37)에 맞닿아 위치 결정되어, 테이프 로딩 완료 상태가 된다.
이 때, 제5치차(25)의 상단 기어(25a)는 오버런(over run)해서 회전하고, 토션 스프링(281)의 탄력성에 의해서 하단 기어(25b)를 회전 압박하고, 선도 가이드(34)를 위치 결정 정지부(37)에 압접시킨다.
상기의 상태에서 제1치차(21)이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해도, 제1치차(21)의 상단 기어(21a)의 큰 지름 원호부(21c)와 제2치차(22)의 하단 기어(22b)의 작은 지름 원호부(22c)가 대향하므로, 제1치차(21)은 공회전하여, 제2치차(22) 이후의 치차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제12도의 재생모드에 있어서, 공급측 선도 가이드(32)를 정지부(36)에 가압하는 스프링(33)의 반력과, 권취측 선도 가이드(34)를 정지부(37)에 가압하는 토션 스프링(281)을 반력에 의하여, 양 링형 기어(3, 31)에는 테이프의 언로딩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제2치차(22)는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받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1치차(21)의 상단 기어의 큰지름 원호부(21c)가 제2치차(22)에 대응한 상태에서는, 제2치차(22)의 하단 기어의 치아 끝이 제1치차(21)의 상단 기어의 큰 지름 원호부(21c)에 맞닿아, 제2치차(22)의 시계방향 회전은 저지된다.
테이프언로딩시에는, 로딩모터(26)이 역적하고, 제1치차(21)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치차(21)의 상단 기어(21a)와 제2치차(22)의 하단 기어(22b)가 다시 끼워진다. 이때, 제2치차(22)에는 상기와 같이 시계 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제1치차와의 끼워짐은 순조롭게 개시된다. 이 결과, 링형 기어(3, 31)이 역전해서, 제11도와 같이 선도 가이드(32)(34)가 원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테이프로딩 장치(2)에 있어서 중요한 동작은, 테이프 로딩이 완료한 후에도, 선도 가이드(32, 34)를 정지부(36, 37)에 받아서 멈추게 하고, 테이프로딩 완료 위치에 대기시킨 채로, 제1치차(21)의 큰 지름 원호부(21c)가 제2치차(22)의 작은 지름 원호부(22c)에 대향 하는 범위 내에서, 로딩모터(26)에 의해 웜(27)을 회전 구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후술한 것과 같이, 웜(27)의 회전을 리일샤시(4)의 구동 기구에 전달해서, 리일샤시(4)를 상기 제3정지 위치까지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샤시 구조
제2A도, 제2B도와 같이, 상기 메인샤시(1)은 네변을 상향으로 굴곡시켜 높이가 짧은 벽판을 형성하고 있고, 양측벽(11, 11)에 가이드바(13, 13)을 배치하고 있다.
메인샤시(1) 위에는, 실린더 장치(14)에 접근 이간 가능하게 리일샤시(4)가 배치된다.
리일샤시(4)는 밑판(41)의 양측을 상향으로 굴곡 시켜 측판(42, 42)를 형성하고, 밑판(41)의 양측에 가이드 부재(46)을 하향으로 돌설해서 이 가이드부재(46)을 메인 샤시(1)의 가이드바(13, 1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려 있다.
리일샤시(4)의 밑판(41)에는 공급리일대(43) 및 권취 리일대(44)가 배치되고, 또한 후술하는 서브샤시 구동 레버(8), 핀치롤러 레버(6), 권취측 테이프 인출 레버(64) 및 공급측 테이프 인출 레버(7)이 밑판(41)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밑판(41)은 실린더 장치(14)측 테두리가 크게 파여져 있어서, 리일샤시(4)가 실린더 장치(14)측으로 후퇴해서 메인샤시(1) 및 리일샤시(4)가 겹칠 때, 실린더 장치(14)가 리일샤시(4)의 개구 내로 들어가므로, 리일샤시(4)는 실린더 장치(14)에 충돌하지 않게 된다.
제2A도,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판(41)의 아랫 면에는, 하향으로 치아면을 구비하여 상기 테이프 로딩 장치(2)의 웜(27)에 끼워지는 랙(rack) 판(48)이 돌설되어, 웜(27)의 회전에 의해서 리일샤시(4)가 실런더장치(14)에 접근 이간한다.
제2도와 같이, 메인샤시(1)과 리일샤시(4)의 사이에 서브샤시(5)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서브샤시(5)의 앞판(51), 한쌍의 측판(53, 53), 및 앞판(51)과 양측 판(53)을 연결하는 밑판(52)로 형성된다. 이 밑판(52)는 양단부를 남기고 크게 파여져 있다.
밑판(52)에는, 리일샤시 위의 카세트 밑면에 개방 설치된 구명으로 부터 카세트 내로 침입하여 카세트내의 리일 회전 로크 기구의 로크 해제를 행하는 로크 해제 부재(200)이 돌설되어 있다.
서브샤시(5)의 양측판(53, 53)에 가이드홈(54, 54)가 개방 설치되고, 이 가이드 홈(54)에 리일샤시(4)의 측판(42)에 돌설한 롤러(45)가 구름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서브 샤시(5)의 밑판(52)에 돌설된 가이드축(55)가, 리일샤시(4)의 밑판(41)에 개방 설치된 가이드 장공(長孔)(4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서브샤시(5)는, 리일샤시(4)의 슬라이드와는 관계 없이 리일샤시(4)의 슬라이드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서브샤시(5)의 밑판(52)의 윗면에 한쌍의 카세트 검출 스위치(56, 56)이 배치되고, 이 스위치(56)은 리일샤시(4)의 밑판(41)의 앞부분 절결부(切決部)(49)를 관통해서 리일샤시(4) 위에 임출(臨出)하고 있다.
서브샤시(5)와 리일샤시(4)와의 사이에는 서브샤시(5)를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57)이 연계되고, 서브샤시(5)의 동작은 이 스프링(57) 및 리일샤시(4)의 밑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서브샤시 구동레버(8)에 의하여 규제된다.
구동 레버(8)은 한 단에 하량 맞닿음 부재(81), 다른 단에 맞닿음 갈고리(82)를 돌설하고 있고, 제6도의 인출 모드에 있어서, 맞닿음 갈고리(82)를 돌설하고 있고, 제6도의 인출 모드에 있어서, 맞닿음 부채(81)은 메인샤시(1)의 앞벽(10)의 내면에 맞닿아서, 맞닿음 갈고리(82)를 서브샤시(5)의 밑판(52)의 후 단면에 맞닿게 하고 있다. 또한, 제6도 내지 제10도에 있어서, 메인샤시(1) 및 서브샤시(4)는 2점 쇄선에 의해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서브샤시(5)는 상기와 같이 스프링(57)에 의해 항상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압박되고, 구동레버(8)에 시계 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고 있으나, 이 레버(8)은, 맞닿음 부재(81)이 메인샤시(1)의 앞 벽(10) 내면에 걸려 있고, 시계 방향의 회전은 저지된다. 따라서, 제6도의 인출모드에서, 서브샤시(5)는 메인샤시(1)에서 최대로 돌출된 상태에서, 메인샤시와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제6도와 같이 메인샤시(1) 위에는 로딩모터(26) 근방에, 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 검출 스위치(28)이 배치됨과 동시에, 이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레버(29)가 지지축(29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리일샤시(4) 위에 카세트가 장전된 상태에서, 리일샤시(4)가 재생 모드의 제2정치 위치 S2에 도달했을때, 카세트(9)의 벽면이 스위치 레버(29)에 맞닿아, 이로인해 스위치(28)이 폐쇄되어 로딩모더(26)이 정지된다.
한편, 리일샤시(4) 위에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공백 상태에서는, 리일 샤시(4)가 더 나아가 공백모드의 제3정지위치 S3에 도달했을 때, 제5도와 같이 리일 샤시(4)가 스위치 레버(29)에 맞닿고, 이로 인해 스위치(28)이 폐쇄되어 로딩모터(26)이 정지된다.
핀치 롤러 압착 기구
제2A도 및 제14도와 같이, 리일샤시(4)의 밑판(41)의 우측 상부에는, 핀치롤러 레버(6)와 원동레버(62)가 동축으로 또한 서로 관계없이 회전 자유롭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원동 레버(62)와 핀치롤러 레버(6) 사이에는, 스프링(63)이 걸쳐 있다.
핀치롤러 레버(6)에는, 실린더 장치측의 자유단에 핀치롤러(61)이 상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원동레버(62)의 자유단에는 캠롤러(68)이 하향으로 돌설되고, 이 캠롤러는 리일샤시(4)에 형성된 원호상의 장공을 관통해서 메인샤시(1)에 형성된 캠홈(67)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걸리고, 캠 폴로워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리일샤시(4)에는 권취측 테이프 인출 레버(64)가 피봇지지되고, 이 레버(64)와 핀치롤러 레버(6)이 연결판(66)에 피봇지지 연결되어 있다. 테이프 인출 레버(64)의 자유단에는 카세트 내의 자기 테이프를 걸기 위한 축(65)가 돌설되어 있다.
메인샤시 위의 캠 홈(67)의 형상은, 제1C도의 상태로 부터 제1B도의 상태로의 리일샤시(4)의 이동에 따라서 원통 레버(6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시 제1B도의 상태로 부터 제1A도의 상태로의 리일샤시(4)의 이동에 따라서 원동레버(62)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로 인해 핀치 롤러 베러(6)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핀치 롤러(61)을 캡스턴(16)에서 약간 이간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A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일샤시(4)의 밑판(41)의 좌측으로는 공급축 테이프 인출 레버(7)이 배치된다. 이 레버는 스프링(73)에 의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고, 회전 중심 근방에 캠롤러(72)를 하향으로 돌설하여, 메인샤시(1) 위에 형성된 캠 홈(7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캠폴로워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인출 레버(7)의 자유단에는 카세트 내의 자기 테이프를 걸기 위한 축(71)이 돌설되어 있다.
다음에, 리일샤시(4) 위에 카세트(9)를 장전한 경우와, 장전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VTR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세트를 장전한 경우
제1D도의 인출모드에 있어서, 홀더(15)에 카세트(9)를 투입하여, 홀더(15)를 리일샤시(4) 위에 하강시킨다. 이 결과, 홀더(15)는, 로크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리일샤시(4) 위에 로크 됨과 동시에, 제2A도에 도시한 카세트 검출 스위치(56)이 작용해서, 로딩모터가 기동한다.
이로 인해 테이프로딩 장치(2)가 동작하고, 제3도 및 제4동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선도 가이드(32, 34)가 카세트(9)의 자기 테이프(90)을 인출하면서 실린더 장치(14)의 둘레의 대략 반을 둘러서 테이프로딩을 행한다.
상기 로딩 동작과 동시에, 리일샤시(4)가 실린더 장치(14)측으로 구동되어, 제4동에 도시한 재생 모드의 제2정지 위치까지 슬라이드한다. 이 결과, 카세트(9)가 스위치 레버(29)에 맞닿아 로딩모터가 정지하고, 리일샤시(4)도 정지한다. 이 동안의 리일샤시(4)의 이동량은 16mm이다.
리일샤시(4)가 제14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하는 과정에서, 리일샤시 위의 원동 레버(62)는 캠롤러(68)이 메인샤시(1) 위의 캠 홈(67)에 의해서 구동되므로, 캠홈(67)의 형상에 대응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프링(63)을 통해서 핀치롤러 레버(6)의 회전에 의해, 핀치롤러 레버(6)에 연결판(66)을 통해서 연결된 권취측 테이프 인출 레버(64)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카세트로 부터 테이프를 인출함과 동시에, 제4도와 같이 핀치롤러 레버(6) 위의 핀치롤러(61)이 자기 테이프(90)을 캡스턴(16)으로 압착시킨다.
또한, 핀치롤러 레버(6)과 권취측 테이프 인출 레버(64)의 회전 중심은 동일 하지 않고, 양 레버는 편심상태로 있기 때문에, 제1C도의 상태로 있을 때에는 핀(65)는 핀치롤러(61)의 근방 위치에 있고 카세트 내에 콤팩트하게 수납되어 있으나, 리일샤시(4)가 제1B도의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서 핀(65)와 핀치롤러(61)은 서서히 이간해 간다. 그리고 제1B도의 상태, 즉 재생 상태에 이르면, 핀치롤러(61)이 자기 테이프(90)을 캡스턴(16)에 압착 시키는 위치에 핀치롤러 레버(6)이 도달하고, 권취측 테이프 인출 레버(64)는 핀(65)가 소정량 이간한, 소위 카세트 포맷(formet)으로 결정된 위치에서 테이프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리일샤시(4)가 제15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 이동함으로써, 공급측 테이프 인출 레버(7)은 캠 롤러(72)가 메인샤시(1) 위의 캠 홈(74)에 의해서 구동 되므로 캠 홈(74)의 형상에 대응해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카세트에서 테이프를 인출한다.
리일샤시(4)가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샤시(4) 위에 피봇지지된 서브샤시 구동 레버(8)의 회전 중심(제6도 중(8a))도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동 레버(8)은 맞닿은 부채(81)이 메인샤시(1)로 부터 떨어져 시계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서브샤시(5)는 리일샤시(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후퇴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제3도에 도시한 서브샤시(5) 의 앞판(51)이 카세트(9)의 앞면에 맞닿기 때문에, 서브샤시(5)는 리일샤시(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할 수 없고, 제4도의 위치까지 리일샤시(4)와 일체로 이동한다.
리일샤시가 비어 있는 경우
제1C의 대기모드에서 로딩모터(26)이 기동함으로써, 리일샤시(4)의 구동이 개시되고, 제6도, 제7도, 제8도 및 제9도의 동작 순서에 따라서 리일샤시(4)는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서브샤시 구동 레버(8)의 시계방향 회전이 허용되고, 서브샤시(5)와 리일샤시(4)와의 상대위치의 로크상태가 해제된다. 이 결과, 서브샤시(5)는, 제2A도에 도시한 스프링(57)의 압박력에 의하여, 리일샤시(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후퇴한다.
리일샤시(4) 및 서브샤시(5)는, 제9도의 재생모드에 있어서의 제2정지위치를 통과해서 후퇴한 뒤, 제10도와 같이 리일샤시(4)가 스위치 레버(29)에 맞닿음으로써, 로딩 모터(26)이 정지되고, 리일샤시(4)가 정지된다.
제9도의 상태에서 제10도의 상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핀치롤러 레버(6)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약간 시계 반대방향으로도 회전하고, 핀치롤러(61)이 캡스턴(16)으로 부터 약간 이간한다. 따라서, 캡스턴(16)으로 부터의 반력에 의한 핀치롤러(61)의 변형이 방지된다.
제1C도, 제3도 및 제6도의 대기모드로 부터 제1A도, 제5도 및 제10도의 공백 모드까지의 리일샤시(4)의 후퇴량은 20mm, 서브샤시(5)의 리일샤시(4)에 대한 후퇴량은 16mm이다. 따라서, 공백모드에 있어서의 VTR의 깊이는, 대기모드의 그것보다도 36mm 작아진다.
또한, 리일샤시(4)가 재생모드의 제2정지 위치 S2에 도달한 시점에서 테이프 로딩은 완료되고, 이 상태에서 다시 로딩 모터가 회전해서, 리일샤시(4)를 후퇴시켜도,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 로딩장치(2)의 제1치차(21)의 큰지름 원호부(21c)와 제2치차(22)의 작은 지름 원호부(22c)와의 대향에 의하여, 로딩모터(26)의 회전력은 선도 가이드(32, 34)에는 전달되지 않고, 선도 가이드는 테이프 로딩 완료 위치에서 정지한 채로이고, 리일샤시(4)의 후퇴에 지장이 없게 된다.
공백모드에서, VTR의 조작 패널에 설치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해서 인출모드를 선택하면, 로딩모터(26)이 역전되고, 우선, 테이프로딩 기구의 언 로딩 동작이 개시된 후, 리일샤시(4)의 전진 동작이 가해져서, 리일샤시(4)는 실린더 장치(14)로부터 이간해서 대기모드의 제1정지위치 S1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리일샤시(4)의 전진 과정에서, 서브샤시 구동 레버(8)의 맞닿음 부재(81)이 메인샤시(1)의 앞벽(10)의 내면에 걸려서, 구동 레버(8)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이 레버(8)의 맞닿음 갈고리(82)가 스르링(57)에 대항해서 서브샤시(5)를 전지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 샤시(5)를 리일샤시(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전진시켜, 제3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대기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 상태에서, 카세트홀더의 로크가 해제되어, 카세트홀더가 상승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샤시(1)과 리일샤시(4) 사이에 서브샤시(5)를 배치함으로써, 메인샤시(1)의 후퇴량과, 서브샤시(5)의 후퇴량을 가한 만큼만, VTR의 깊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실시예의 VTR에 있어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출모드, 대기모드, 재생모드 및 공백보드외에, 제16B도에 도시한 정지모드가 설치된다. 정지모드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를 실린더 장치(14)에 감긴 채로 자기 테이프의 주행이 정지된다.
리일샤시(4)는, 제16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모드의 제2정지 위치 S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인출모드의 이 제1정지위치 S1에 접근한 정지모드의 제4정지위치 S4에도 정지 가능하다.
재생모드에서 조작 패널의 정지 버튼을 조작하면, 정지모드로의 이행 지령이 발생되지고, 이로 인해 로딩 모터가 기동해서, 리일샤시(4)의 후퇴구동이 개시된다. 그후, 리일샤시(4)가 제4정지 위치 S4에 도달하면, 로딩 모터가 정지하여, 리일샤시(4)는 정지한다.
리일샤시(4)의 제4정지 위치 S4에서의 정지는, 예를 들면 VTR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는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서, 하기와 같이 행해질 수 있다.
정지 버튼의 조작에 기인하는 지령 신호에 의하여 로딩 모터를 시동시킨 후, 스위치(28)이 열리는 시점을 검출한다. 이 시점부터 100msec의 시간을 재고, 이 시간의 종료 후, 로딩모터를 정지시켜서, 정지모드로 이행하는 것이다.
상기 동작에 의해서, 제17도에 도시한 핀치롤러 레버(6)의 피봇축이 리일샤시(4)와 함께 후퇴함과 동시에, 상기 원동 레버에 설치한 캠롤러가 캠 홈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 결과, 재생모드에서 캡스턴(16)에 압착하고 있던 핀치 롤러(61)이 캡스턴으로부터 이간하게 된다.
따라서, 재생모드에서는 핀치롤러가 캡스턴으로 부터의 반력을 받지 않으므로, 정지모드에 장시간 있는 경우에도 핀치롤러는 변형하지 않는다.
제3실시예
제18도 내지 제21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리일샤시(4)와 서브샤시(5)와의 연결을, 제2A도의 스프링(57)에 의하지 않고, 레버 기구에 의해서 행함으로써, 서브샤시(5)의 이동 및 위치 결정을 더욱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VTR을 도시하고 있다.
리일샤시(4)의 밑판(41)의 아랫면에는, 밑판 단면 보다도 실린더 장치측으로 경사진 위치에 제1레버(80), 및 밑판 단면 근방에 제2레버(85)가 각각 밑판(41)과 평행한 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피봇지지되어 있다.
제1레버(80) 한쪽의 자유단(80a)에는 핀(83)을 하향으로 돌설하고, 다른쪽 자유단(80b)에는 절결 홈(84)를 개방 설치되고 있다.
제2레버(85)의 한쪽 자유단(86)에는 핀(87)을 하향으로 돌설하고, 이 핀(87)을 상기 제1레버(80)의 절결홈(8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우고, 다른쪽 자유단(88)에는 후기하는 걸림부(58)에 걸리는 핀(89)를 하향으로 돌설하고 있다.
따라서, 제1레버(80)이 회전하면, 제2레버(85)는 제1레버(80)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1레버(80)의 실린더 장치측의 자유단(80a)의 돌출 길이는 다른쪽 자유단(80b)의 돌출 길이 보다도 짧고, 제2레버(85)의 제1레버(80)측의 자유단(86)의 돌출 길이는 다른쪽 자유단(88)의 돌출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레버(80)의 실린더 장치측의 자유단(80a)의 회전 이동량보다도 제2레버(85)의 걸림부(58)측의 회전 이동량은 커진다.
메인샤시(1)에는 제1레버(80)의 핀(8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리는 안내 부재(17)이 고정되고, 이 안내 부재(17)에는 리일샤시(4)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홈 상의 제1안내부(118)과, 제1안내부(118)의 안쪽 단으로 부터 직각으로 굴곡되는 제2안내부(119)가 개방설치되고, 상기 제1레버(80)의 핀(83)이 상기 안내부(118, 119)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한편, 서브샤시(5)의 실린더 장치측의 단부에는, 제2레버(85)의 핀(89)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부(58)이 내향 돌설되어 있다. 이 걸림부(58)에는 제2레버(85)의 핀(89)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안내홈(59)가 개방설치되고, 이 홈(59)는 걸림부(58)의 좌단에서 우측으로 똑바로 뻗는 제1홈부(59a), 이 제1홈부(59a)로부터 외향 경사져 우측으로 뻗는 제2홈부(59b), 및 이 제2홈부(59b)로부터 우측으로 똑바로 뻗는 제3홈부(59c)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리일샤시(4) 위에 카세트(9)가 장전되어 있는 경우와, 비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서브샤시(5)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세트가 정전되어 있는 경우
대기모드의 제18도에서 재생모드의 제19도까지 도시한 바와 같이, 리일샤시(4)가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리일샤시(4) 위의 제2레버(85)에 걸리는 서브 샤시(5)도 리일샤시(4)와 일체로 이동한다.
이때, 리일샤시(4) 위의 제1레버(80)의 자유단의 핀(83)은 메인샤시(1) 위의 제1안내부(18)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려서, 제1레버(80)의 회전은 저지된다. 따라서, 제1레버(80)에 걸려 있는 제2레버(85)도 회전하지 않고, 리일샤시(4)와 서브샤시(5)는 일체로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이동한다.
리일샤시(4)가 제19도에 도시한 재생모드의 위치에 도달하면, 스위치(28)이 작동해서 로딩모터가 정지되고, 리일샤시(4) 및 서브샤시(5)도 동시에 정지된다.
리일샤시가 비어있는 경우
대기모드로 부터 재생모드로의 이행시에는, 상기와 동일하게 리일샤시(4)와 서브샤시(5)는 일체로 실린더장치(14)측으로 이동한다.
리일샤시(4)가 제19도의 재생모드 위치에 도달해도, 카세트(9)가 장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로딩모터(28)은 회전을 계속하고, 리일샤시(4)가 스위치레버(29)에 맞닿아 모터가 정지하기까지 리일샤시(4) 및 서브샤시(5)가 후퇴한다.
리일샤시(4)가 재생모드 위치를 통과할 때, 제1레버(80)의 핀(83)이 메인샤시 위의 안에 부재(17)의 제1안내 부재(118)에서 제2안내부(119)로 이동하고, 제1레버(8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제2레버(85)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해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샤시(5)를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이행시킨다.
이로 인해, 서브샤시(5)는 인출모드에서 공백모드까지 리일샤시(4)에 구속된 상태로 이동하고 각 모드에서의 서브샤시(5)의 위치 결정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한, 제1레버(80) 및 제2레버(85)는 제1레버(80)의 안내 부재(17)측의 자유단(80a)의 회전 이동량 보다도 제2레버(85)의 걸림부(58)측의 자유단(88)의 회전 이동량 쪽이 커지도록 레버비가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모드에서 공백모드로의 이행시, 리일샤시(4)의 후퇴량보다도 서브샤시(5)의 후퇴량이 커진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공백모드에서는 장치 전체가 지극히 콤팩트하게 된다.
제4실시예
제22도 내지 제30도에 도시한 VTR은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VTR과 동일하게, 리일샤시(4)의 슬라이드 정지 위치 및 카세트홀더(15)의 상태에 의해서, 공백모드, 재생모드, 대기모드, 인출모드의 제4모드로 변화하지만, 테이프로딩 장치의 구체적 구성, 샤시 구조 등에 후술한 바와 같은 차이가 있다.
제22도 내제 제2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샤시(1) 위에는, 리일샤시(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술한 서브샤시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메인샤시(1)에는 실린더 장치(14)가 장비됨과 동시에, 이 실린더 장치의 주위에 선도 가이드(38), 제2 이동 가이드(39), 고장 가이드 포스트(101)(102)(103)등이 배설되고, 주지한 테이프로딩 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장치(14)의 우측에는, 캡스턴 모터에 의해서 회전 구동되는 캡스턴(16)과, 이 캡스턴에 대향해서 핀치롤러(61)을 돌설한 핀치롤러 레버(6)이 배치된다.
메인샤시(1)의 안쪽 양단부에는, 공백모드에서 후기 테이프 인출 레버(7, 64)의 선단이 맞닿기 위한 한쌍의 판상 정지부(18, 19)가 돌설된다.
리일샤시(4)는 실린더 장치(14)와의 대향부가 크게 절결되어 있고, 리일샤시(4)가 실린더 장치(14)측으로 후퇴해서 양 샤시(1, 4)가 겹쳐도, 리일샤시(4)는 실린더 장치(14)에 충돌하지 않는다.
리일샤시(4)에는 공급리일대(43)가 배치됨과 동시에, 양 리일대를 구동하는 주지의 수진(首振) 아이들러(401), 이 아이들러(401)에 끼워져서 캡스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402)등이 배치된다. 또한, 리일샤시(4)의 안쪽 양 단부에는, 테이프 인출축(71, 65)를 돌설한 한쌍의 테이프 인출 레버(7, 64)가 피봇지지되어 있다. 또한, 양 레버(7, 64) 근방에는 한쌍의 카세트 위치 결정 핀(405, 405), 양 리일대(43, 44)의 자기 앞쪽의 양 단부에는 한쌍의 카세트 검출 스위치(56, 56)이 배설된다.
리일샤시(4)는 제27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샤시(1)에 배치된 로딩 모터(26)에 의해서 구동된다. 메인샤시(1)의 측판에 원동 기어(204) 및 종동 기어(206)이 피봇지지되고, 원동기어(204)에는 풀리(203)에 전달되고, 원동기어(204)가 회전 구동 된다. 한편, 리일샤시(4)의 측판에는, 리일샤시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뻗는 랙(205)가 형성되고, 이 랙(205)에 상기 원동 기어(204) 및 종동 기어(206)이 끼워져 있다.
따라서, 제27도(a)의 대기모드에서 로딩모터(26)이 기동하고, 원동 기어(204)가 시계 반대방향의 회전을 개시 하면, 리일샤시(4)는, 랙(205)가 원동 기어(204)에 의해서 구동되고, 최종적으로 제27도(b)의 공백모드의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로딩모터(26)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원동기어(204)가 시계방향의 회전을 개시해서, 리일샤시(4)는 제27도(a)의 대기모드 위치를 향해서 구동된다.
또한, 로딩모터(26)에 대해서 기동 지령을 발생하기 위해, 리일샤시(4)에는 홀더가 상승단으로 부터 리일샤시 위로 하강해서 로크된 것을 검지하는 홀더 스위치(도시 생략)가 배설되어 있다.
로딩모터(26)은 VTR의 시스템 제어기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우선, 상기 홀더 스위치가 ON 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이 스위치가 ON으로 되면, 상기 양 카세트 검출 스위치(56, 56)의 양쪽이 ON되었는지의 여부가 차례로 판단된다. 적어도 한쪽 카세트 검출 스위치(56)이 ON된 경우에는, 리일샤시를 재생모드 위치까지 반송하여 정지시킨다. 또한, 양쪽 카세트 검출 스위치가 함께 OFF인 경우에는, 리일샤시를 공백모드 위치까지 반송하여 정지시킨다. 또한, 로딩모터의 정지제어는 메인샤시 위에 배설한 리미트 스위치(도시 생략)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행해진다.
따라서, 홀더(15)에 카세트(9)가 잘못된 자세로 장전된 경우에도, 적어도 한쪽 카세트 검출 스위치가 ON되어, 리일샤시(4)는 재생모드 위치에서 정지하고, 공백 모드 위치까지 나아가는 일은 없다, 이 결과, 홀더(15) 내의 카세트(9)와 실린더 장치(14)가 서로 충돌하는 사태가 방지되어 안전하다.
또한, 카세트 검출 스위치는 2개로 국한되지 않고, 3개 이상 설치하여, 모든 스위치가 ON된 경우에만, 공백 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테이프 인출 레버(7, 64)는 제28도 및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가 각각 리일샤시(4) 위의 지지축(78, 603)에 피봇지지되고, 양 레버의 기단부에는 L자상으로 굴곡되는 암(77, 602)가 돌설되어 있다. 양 암(77, 602)는 리일샤시(4)의 개방 설치한 원호상의 장공(403, 404)를 관통 해서 메인샤시(1)과의 간극부에 뻗어, 선단부에 롤러(76, 601)을 피봇지지하고 있다. 한편, 메인샤시(1)에는, 상기 롤러(76, 601)이 맞닿기 위한 원호상의 맞닿음 부재(75, 69)가 각각 돌설되어 있다. 또한, 리일샤시(4)와 테이프 인출 레버(7, 64) 사이에 스프링(79, 608)을 걸치고, 양 레버(7, 64)를 서로 열린 방향으로 압박한다.
따라서, 리일샤시(4)의 이동에 따라서, 테이프 인출 레버(7, 64)는 맞닿음 부재(75, 69)로 이간하게 되지만, 롤러(76, 601)은 스프링(79, 608)의 압박에 의해서 맞닿음(75, 69)와의 맞닿음 상태를 유지하고, 이로 인해 양 테이프 인출 레버(7, 64)는 서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핀치롤러 레버(6)은 제30(a), (b), (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레버(604) 및 슬라이드레버(605)를 통해서 리일샤시(4)에 연계되어 있다. 핀치롤러레버(6)은 L자형으로 형성되고, 중앙부가 메인샤시(1) 위의 지지축(606)에 피복지지됨과 동시에,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압박되어 있다. 회전레버(604)는 중앙부가 메인샤시(1) 위의 피봇축(607)에 지지됨과 동시에, 한쪽 자유단은 핀치롤러레버(6)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 레버(604)의 자유단의 다른 쪽은 슬라이드 레버(605)의 두부에 미끄럼 접속되어 있다. 슬라이드레버(605)는 메인 샤시(1) 위에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의 왕복 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는 리일샤시(4)에 형성한 캠면(40)에 미끄럼 접속되어 있다.
캠 면(4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리일샤시(4)의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높이가 변하고, 제30(a)도의 인출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부터 동 도면(b)의 재생모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캠 곡선은 높아지고, 또한 동 도면(c)의 공백모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캠곡선은 서서히 낮아진다.
따라서, 리일샤시(4)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레버(605)가 왕복 구동되고, 이 레버의 동작은 회전 레버(604)를 거쳐 핀치롤러 레버(6)에 전달된다. 이 결과, 핀치롤러 레버(6)은 상기 스프링의 압박에 대항하여, 또는 스프링 압박에 의해서 회전구동 되고, 핀치롤러(61)이 캡스턴(16)에 대해서 압착이간 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장치의 모드 변환에 따르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2도에 도시한 인출모드에 있어서는, 테이프 인출 레버(7, 64)는 서로 닫는 방향의 회전단에 설정되고, 테이프 인출축(71, 65)는 리일대(43, 44)에 먼저 접근한 위치에 보존되어 있다. 또한, 핀치롤러레버(6)은 시계 방향의 회전단에 설정되고, 핀치롤러(61)의 캡스턴(16)으로 부터 먼저 이간한 위치에 보존되어 있다.
제1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5)에 카세트(9)를 삽입하고, 홀더(15)를 리일샤시(4) 위에 하강시키면, 로크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서 홀더(15)를 리일샤시(4) 위에 로크되고, 제1C도의 대기모드로 된다. 또한, 홀더(15)의 하강에 의해서 제22도에 도시한 한쌍의 카세트 검출 스위치(56, 56)의 접점이 동시에 닫혀진다.
이 결과, 상기 로딩모터(26)이 기동해서, 리일샤시(4)는 제24도의 재생모드 위치까지 구동된다. 또한, 리일샤시(4)의 이동에 따라서, 테이프 인출레버(7, 64)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호전하고, 테이프 인출축(71, 65)가 카세트(9)에서 자기 테이프(90)을 인출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테이프로딩 장치가 동작해서 선도 가이드(38) 및 제2가이드(39)가 실린더 장치(14)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고, 실린더 장치(14), 가이드 포스트(101, 102, 103), 및 캡스턴(16)을 따르는 소정의 테이프 주행 경로에 자기 테이프(90)을 걸친다.
또한, 리일샤시(4)의 이동에 따라서 핀치롤러레버(6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구동되고, 핀치롤러(61)은 자기 테이프(90)을 캡스턴(16)에 압착시킨다.
재생모드에서 기록 또는 재생이 종료되면, 제1D도의 인출모드로 이행하고, 홀더(15)로부터 카세트(9)를 취출한다.
그 후, 비어 있는 홀더(15)를 하강시켜, 리일샤시(4)레 코크시킨다. 이 때, 홀더(15) 내에는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으므로, 양 카세트 검출 스위치(56, 56)은 함께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일샤시(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6도의 공백모드 위치까지 구동되게 된다.
리일샤시(4)가 제22도의 인출모드 위치에서 제26도의 공백모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테이프 인출 레버(7, 64)는 다음과 같이 회전한다.
제22도의 인출모드에서 제24도의 재생모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테이프 인출레버(7, 64)는 서로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리일샤시(4)가 제26도의 공백모드 위치까지 나아가는 과정에서, 테이프 인출레버(7, 64)의 선단부가 메인샤시(1)에 설치된 정지부(18, 19)에 맞닿고, 그 후의 양 레버(7, 64)의 개방 방향의 회전은 저지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79, 608)이 신장해서 리일샤시(4)의 이동이 허용된다. 따라서, 리일샤시(4)가 메인샤시(1)에 완전하게 겹친 공백모드에서, 양 베러(7, 64)가 메인샤시(1)의 영역으로 부터 튀어나가는 일은 없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는 제26도에 도시한 공백모드에 있어서 캡스턴(16)에 대한 핀치롤러(61)의 압착이 해제 되므로, 캡스턴 정지상태에서의 핀치롤러의 압착기간은 최소한으로 되고, 핀치롤러(61)이 캡스턴(16)에서 받는 반력에 의해서 변형할 우려가 없다. 또한, 핀치롤러 레버(6)은 캡스턴(16)과 공통 기판인 메인샤시(1)에 피봇지지 되어 있으므로, 핀치롤러(61)과 캡스턴(16)을 높은 평행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실시예
제31도 내지 제33도는, 본 발명을 카메라 일체형 VTR로 실시한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카메라 일체형 VTR은, VTR부(110)과 카메라부(120)을 하나의 캐비넷(111) 내에 배치하여 구성되고, 카메라부(120)은 주지한 바와 같이 대물렌즈(121), 오토포커스 기구, 줌 기구, 오토아리리스 기구, 고체 촬상소자 등을 구비하고 잇다.
VTR부(110)으로서는, 예를들면 전술한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의 8밀리 VTR의 구조가 채용되고, 메인샤시는 캐비넷(111) 내에 고정되며, 리일샤시 및 서브샤시(이하, 양 샤시를 슬라이드샤시라 총칭함)는 메인샤시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캐비넷(111) 측부에는 수지제의 그립(122)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31도는, VTR부(110)이 촬영시의 테이프 주행 모드로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제32도는, VTR부가 공백 모드로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3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122)의 측면(123)에는 한쌍의 훅(126, 126)이 돌설되고, 캐비넷(111)의 그립과의 대향면에 설치한 걸림 수용부(도시생략)에 대하여 상기 훅을 걸리게 함으로써, 캐비넷(111)과 그립(122)는 일체화된다.
그립(122)에는, 베터리 팩이 내장됨과 동시에, 대물 렌즈(128)을 구비한 광학 뷰파인더(130)이 배치된다. 뷰 파인더(130)에는 아이컵(129)가 부착된다. 배터리 팩으로 부터 카메라부(120) 및 VTR부(110)으로의 전원 공급은, 그립(122)의 측면(123)에 배치한 다수의 접촉 부재(127)과 케비넷(111) 측면에 설치한 접촉 부재(도시생략)과의 접촉에 의해서 행해진다.
제32도의 공백모드에 있어서, VTR부(110)은 최소의 깊이 L3로 설정되고, 그립(122)의 두부(124)가 VTR부(110)에서 길이 A만큼 돌출되어 있다.
VTR부(110)에 카세트를 장전할 때는, VTR부(110)의 슬라이드샤시를 메인샤시로부터 최대로 돌출시켜, VTR부(110)의 깊이를 L1로 하고, 대기도므를 설정한다.
카세트 장전 후, 조작 패널의 조작에 의해서, 슬라이드샤시를 이동시켜서, 제31도와 같이 VTR부(110)의 깊이를 L2로 설정한다. 이로 인해 VTR부(110)은, 녹화 또는 재생이 가능한 테이프 추행모드로 이행한다.
테이프주행 모드에 있어서는, VTR부(110)이 카메라부(120)에서 돌출하는 길이가 상기의 그립 돌출길이A와 동일하고, 이 결과, VTR부(110)의 서브샤시의 앞판(51)과 그립(122)의 천면(天面)(125)와는 동일면에 일치한다.
따라서, 제31도에 도시한 촬영시의 상태에서, VTR부(110)의 그립측 측면의 전체가 그립(122)에 의해서 가리워지므로, 예를들면 그립을 잡는 손의 손가락 끝이 VTR부(110)의 내부에 침입하는 일은 없고, VTR부(110)의 메카니즘이 보호된다.
제6실시예
제34도 및 제35도는, 본 발명을 카메라 일체형 VTR에 실시한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립(122)에는 베터리팩만이 내장되고, 전자식 뷰 파인터(130)은 카메라부(120)의 후부에 지지축(131)로 90°회전이 자유롭게 피봇지지되어, 접안부(132)를 통해서 촬영 화면을 모니터할 수 있다.
제34도에 도시한 공백모드에 있어서는, VTR부(110)의 수축에 의하여 생긴 공간에 뷰 파인터(130)이 수납된다. 또한, 뷰 파인더의 두께는(L2-L3)로 설계되어 있고, 이 결과, 공백모드에 있어서는 뷰 파인더(130)의 상면과 그립(122)의 천면과는 동일면에 일치하게 된다.
제35도에 도시한 테이프 주행 모드에 있어서는, 뷰 파인더(130)의 회전에 의해서 생긴 공간을 이용해서, VTR부(110)의 확대가 행해지게 된다.
제7실시예
제36도 내지 제38도는, 본 발명을 카메라 일체형 VTR에 실시한 또한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VTR부(110)의 카세트홀더의 윗면에는, 후술한 바와 같이 VTR위 개체(個體)로 되는 천찬(112)가 고정되어 있다. VTR부(110) 및 카메라부(120)이 배치되기 위하 케비넷에는,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VTR 수납부(140)이 형성되고, 이 VTR수납부(140)은 그립에 대향해서 배치되기 위한 배판(背板)(141), VTR부(110)의 두께에 거의 일치하는 폭을 갖는 밑판(143), 및 VTR부(110)의 최대 돌출량인 (L1-L3)보다도 큰 길이 B를 갖는 앞판(14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앞판(141)에는, REC 버튼(151), PLAY 버튼(152), FF(조송) 버튼(153), REW(되감기) 버튼(154), 일시정지(pause) 버튼(155) 등의 테이프 주행 모드에 있어서만 필요한 조작 버튼, 가변속도 셔터 스위치(156)이나 화이트 밸런스 스위치(157) 등의 촬영시에만 필요한 조작 스위치 및, VTR부의 테이프 주행계 등으로 전원을 공급 하는 슬라이드식 전원 스위치(158)이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샤시가 메인샤시에 돌출하여 VTR부(110)이 확대된 재생모드에 있어서, 전술한 각종 조작버튼 및 스위치가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게 된다.
카세트홀더의 천판(112)의 아랫면에는, 제38도(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의 앞판(142)를 향해 돌기(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3)은 천판(112)의 이동에 따라서 앞판(142) 위의 전원 스위치(158)의 슬라이드 노브(159)와 걸림 가능한 위치에 있다.
제38(a)도의 테이프 주행 모드에서, 전원 스위치와 상기 돌기(113)은 이간함과 동시에, 전원 스위치(15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노출되어,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로 전원 스위치(158)의 노브(159)를 도시한 좌단의 ON 위치 R1로 수동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전원이 투입된다.
테이프 주행 모드 로부터 공백모드로 이행할 경우에는, 일단 인출모드를 거쳐 카세트를 배출한다. 그 후, 공백모드로의 이행 지령에 기인해서, 슬라이드샤시의 후퇴 동작이 행해지고, 이에 따라서 카세트 홀더의 천판(112)가 제38(a)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결과, 제3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스위치(158)의 노브(159)가 돌기(113)에 의해서 가압되고, 우단의 OFF 위치 R2까지 이동하여, 전원 공급이 중지된다.
상기 카메라 일체형 VTR에 있어서는, VTR부(110)이 대기모드 또는 인출모드로 이행해서, 슬라이드샤시가 메인샤시로 부터 최대로 돌출된 경우에도, VTR부(110)의 실린더장치 등의 메카니즘은 의연하게 상기 앞판(142)에 의해서 가리워지고, 외부에 노출되는 일은 없다.
또한, 공백모드에서 조작 스위치류가 카세트 홀더의 천판(112)에 의해서 가리워지므로, VTR을 가방 등에 넣어 휴대할 때, 스위치류가 오동작하는 일은 없다. 또한, 촬영 종료 후, 전원 스위치(158)의 OFF 조작을 잊어버린 경우라도, 상기와 같이 공백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전원이 끊어져 버리므로 안심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 되지 않고, 특허청구에 기재된 본 발명의 원리에서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이면 가능한 여러 가지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8)

  1. 회전 헤드를 갖춘 실린더 장치(14)를 배치한 메인샤시(1) 위에, 공급리일대(43) 및 권취 리일대(44)를 갖춘 리일샤시(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메인샤시(1)위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메인샤시와 최대로 겹치는 위치로 이동했을 때, 전체 또는 대부분이 메인샤시(1)의 넓이 영역 내에 수용되는 형상의 리일샤시(4), 메인샤시(1) 위에 설치되어, 리일샤시(4)와 연계해서, 이 리일샤시(4)를 메인샤시(1)에 돌출시킨 대기모드 위치, 이 대기 모드 위치보다도 실린더 장치(14)측으로 접근한 공백모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안내 수단, 및 리일샤시(4)를 상기 대기모드 위치, 재생모드 위치, 및 공백모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 및 공백모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수단, 을 갖추고, 리일샤시(4)가 대기모드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리일대(43, 44)로의 카세트 장전이 가능하게 되어, 리일샤시(4)가 재생모드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이 리일샤시 위의 카세트가 소정의 신호 기록 재생장치에 셋트되고,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리일샤시(4)가 공백모드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메인샤시(1) 및 리일샤시(4)의 리일샤시 이동방향을 따르는 전체 길이가 최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 안내수단이 메인샤시(1)의 양측부에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바(13, 13), 및 리일샤시(4)의 양측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바(1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리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46, 4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메인샤시(1) 위에, 로딩모터(26)의 동력에 의하여 리일샤시(4)를 대기모드 위치와 공백모드 위치 사이에서 왕복 구동시키는 리일샤시 구동 기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수단은 메인샤시(1)에 배치되고, 리일샤시(4)가 재생모드 위치에 도달한 때에 리일샤시 위의 카세트가 미끄럼 접속 가능하며, 또한 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리일샤시(4)가 공백모드 위치에 도달한 때에 이 리일샤시가 미끄럼 접속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로딩모터(26)의 제어회로에 접속 된 검출 스위치(28)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메인샤시(1) 위에 리일샤시(4) 위의 카세트를 수용하기 위한 서브샤시(5)가 리일샤시(4)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서브샤시(5)가 대기모드에서 카세트의 장전을 허용하는 위치까지 리일샤시(4)로 부터 돌출 가능함과 동시에, 대기모드로 부터 공백모드로의 이행에 따르는 리일샤시(4)의 이동에 연동해서 구동되며, 공백모드에서 서브샤시(5)의 전체 또는 대부분이 리일샤시(4)의 넓이 영역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서브샤시(5)가 스프링 수단에 의해 리일샤시(4)의 영역 내를 향해서 항시 압박되고, 리일샤시(4)에, 일단이 서브샤시에 걸리고 타단에 메인샤시에 걸리는 구동 레버(8)이 피봇지지되며, 리일샤시(4)의 메인샤시(1)에 대한 상대 위치에 따라서 서브샤시(5)의 위치가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리일샤시(4)에, 제1레버(80) 및 제2레버(85)가 리일샤시(4)의 슬라이드 방향과 평행한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레버(80)의 한쪽 자유단(80b)와 제2레버(85)의 한쪽 자유단(86)이 서로 반대 회전 가능하게 걸리며, 제1레버(80)의 다른쪽 자유단(80a)가 메인샤시(1)에 설치한 안내부재(1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리고, 제2레버(85)의 다른쪽 자유단(80a)가 메인샤시(1)에 설치한 안내부재(17)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걸리고, 제2레버(85)의 다른쪽 자유단(88)이 서브샤시(5)에 설치한 걸림부(58)에 미조럼 이동 가능하게 걸리며, 안내부재(17)이 리일샤시(4)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뻗어나는 제1안내부(118), 및 이 제1안내부(118)의 안쪽 단에서 굴곡되어 뻗어나는 제2안내부(119)를 갖고, 제1레버(80) 및 제2레버(85)가 제1레버(80) 및 제2레버(85)가 제1레버(80)의 안내부재(17)측의 자유단(80a)의 회전 이동량보다도 제2레버(85)의 걸림부(58)측의 자유단(88)의 회전 이동량 쪽이 많아지도록, 레버 비가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메인샤시(1)에, 리일샤시 위의 카세트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인출해서 실린더 장치(14)에 권취하는 테이프로딩 장치(2)가 배치되고, 로딩 모터(26)과 테이프로딩 장치(2) 사이에, 리일샤시(4)가 대기모드 위치와 재생모드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에만 로딩모터(26)의 구동력을 테이프로딩 장치(2)에 전달하는 간헐 회전기구가 개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리일샤시(4)에 핀치롤러(61)을 갖춘 핀치롤러 레버(6)이 회전 자유롭게 피봇지지되고, 이 핀치롤러 레버(6)과 메인샤시(1) 사이에 캠 기구를 개재 장착하며, 이 캠 기구에 대기모드로 부터 재생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핀치롤러(61)을 캡스턴(16)에 압착시키고, 또한 재생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핀치롤러(61)을 캡스턴(16)에 압착시키고, 또한 재생모드로 부터 공백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핀치롤러(61)을 캡스턴(16)에 압착시키고, 또한 재생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핀치롤러(61)을 캡스턴(16)에 압착시키고, 또한 재생모드로 부터 공백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핀치롤러(61)을 캡스턴(16)에서 이간시키는 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리일샤시(4)가 재생모드 위치로 부터 대기모드 위치측으로 접근한 정지모드 위치에서도 정치 가능하고, 캠 기구의 캠 면이 리일샤시(4)의 재생모드 위치로 부터 정지모드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서 핀치롤러(61)을 캡스턴(16)에서 약간 이간시키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기록재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리일샤시(4)에 메인샤시(1)에 대한 리일샤시(4)의 상대 이동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테이프 인출 레버(7, 64)를 피봇지지함과 동시에 메인샤시(1)의 안쪽 부위에 공백모드에서 상기 테이프 인출 레버(7, 64)을 단부가 맞닿는 정지부(18, 1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재생장치.
  12. 회전 헤드를 갖춘 실린더 장치(14)와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캡스턴(16)을 배치한 메인샤시(1) 위에, 공급 리일대(43) 및 권취 리일대(44)를 갖춘 리일샤시(4)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고, 리일샤시(4)가 카세트를 장전하기 위한 대기모드 위치와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한 재생모드 위치에서 정지 가능한 신호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리일샤시(4)에, 핀치롤러(61)을 갖춘 핀치롤러레버(6), 및 캠 폴로워를 갖춘 원동 레버(62)가 동축 위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피봇지지되고, 핀치롤러레버(6)과 원동레버(62)가 스프링수단을 통해서 동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캠폴로워가 메인샤시(1) 위에 형성된 캠면에 걸리고, 리일샤시(4)의 대기모드 위치로부터 재생모드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서 원동레버(62) 및 핀치롤러레버(6)이 회전함과 동시에, 스프링수단이 탄성변형되고, 이 스프링 수단의 탄력에 의하여 핀치롤러(61)이 캡스턴(16)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기록 재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리일샤시(4)에, 핀치롤러 레버(6)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한 위치에 테이프 인출축(65)를 돌설한 테이프 인출 레버(64)가 피봇지지되고, 핀치롤러 레버(6)과 테이프 인출레버(64)가 연결판(66)에서 서로 연결되고,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재생장치.
  14. 회전 헤드를 갖춘 실린더 장치(14)를 배치한 메인샤시(1) 위에, 공급 리일대(43) 및 권취 리일대(44)를 갖춘 리일샤시(4)를 스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리일샤시(4)가 카세트를 장전하기 위한 대기모드 위치와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한 재생모드 위치에서 정지 가능한 신호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리일샤시(4)에, 공급 리일대(43) 및 권취 리일대(44)에 각각 대향해서 테이프 인출축(71, 65)를 돌설한 한쌍의 테이프 인출레버(7, 64)가 리일샤시를 따르를 면 내에서 회전 자유롭게 피봇지지되고, 양 레버(7, 64)와 메인샤시(1) 사이에 각각 캠 기구를 개재 장착하고, 양 캠 기구에, 대기모드로 부터 재생모드로의 이행에 따라서 테이프 인출축(71, 65)를 테이프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캠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기록 재생장치.
  15. VTR부(110) 및 카메라부(120)을 공통 캐비넷(111) 내에 배치하고, 이 캐비넷(111)에 그립(122), 배터리 박스 등의 부속 부품이 착탁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 일체형 VTR에 있어서, 상기 VTR부(110)은, 회전 헤드를 갖춘 실린더 장치(14)가 배치된 메인샤시(1), 카세트의 장전부를 갖추고, 메인샤시(1) 위에 실린더 장치(14)에 대해서 접근이간 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드 샤시, 및 슬라이드샤시를, 메인샤시로 부터 돌출한 테이프 주행 모드 위치와, 이 테이프 주행 모드 위치보다도 실린더 장치(14)측에 접근한 공백 모드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수단을 갖추고, 슬라이드샤시가 테이프 주행 모드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슬라이드샤시 위의 카세트가 신호 기록 재생 위치에 셋트되고,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슬라이드 샤시가 공백모드 위치에 슬라이드함으로써, VTR부(110)이 슬라이드 샤시 이동 방향으로 축소되고, 부속 부품이 캐비넷(111)의 메인샤시를 따르는 측면에, 공백모드에서 축소한 VTR부(110)보다도 슬라이드 샤시의 돌출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돌출시켜 배치되며, 부속 부품의 돌출 거리가 공백모드로 부터 테이프 주행 모드로의 이행에 따르는 슬라이드샤시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되거나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VTR.
  16. 제15항에 있어서, 캐비넷(111)에, VTR부(110)의 수축에 의해서 생기는 공간 스페이스에 수용 가능한 뷰파인더(130)이 공간 스페이스에 대해서 진입, 이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VTR.
  17. 회전 헤드를 갖춘 실린더 장치(14)를 배치한 메인샤시(1) 위에, 카세트가 장전되기 위한 슬라이드 샤시를 실린더 장치(14)에 대해서 접근 이간 가능하게 배치한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메인샤시(1) 위에 설치되고, 슬라이드샤시와 연계해서, 이 슬라이드샤시를, 메인샤시(1)에서 돌출시킨 테이프 주행모드 위치, 이 테이프 주행모드 위치보다도 실린더 장치(14)측에 접근한 공백모드 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 안내수단, 슬라이드샤시를 배치되어, 메인샤시 위에 설치한 조작 패널을 은폐하기 위한 덮개를 구비하고, 슬라이드샤시가 테이프 주행 모드 위치에 설치된 상태로, 슬라이드샤시 위의 카세트가 신호 기록 재생 위치에 셋트됨과 동시에, 상기 덮개의 이동에 의해서 조작 패녈이 노출되고, 카세트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슬라이드 샤시가 공백모드 위치에 슬라이드됨으로써, VTR부(110)이 슬라이드샤시 이동 방향으로 축소됨과 동시에, 조작 패널이 상기 덮개에 의해서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조작 패널에, 테이프 주행 모드로부터 공백모드로의 이행시에 덮개와 걸려서 ON에서 OFF로 절환되는 전원스위치(158)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KR1019880012778A 1987-10-02 1988-09-30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KR970011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50200A JPH0192952A (ja) 1987-10-02 1987-10-02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62-250200 1987-10-02
JP63011518A JPH083934B2 (ja) 1988-01-20 1988-01-20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63-11518 1988-01-20
JP63-29377 1988-02-10
JP63029377A JPH01205783A (ja) 1988-02-10 1988-02-10 シャーシスライド式の磁気記録再生装置
JP63029376A JPH01205782A (ja) 1988-02-10 1988-02-10 カメラ一体型vtr
JP63-29376 1988-02-10
JP63038289A JP2614481B2 (ja) 1988-02-19 1988-02-19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63-38289 1988-02-19
JP63096998A JPH0690840B2 (ja) 1988-04-20 1988-04-20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JP63-96998 1988-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7251A KR890007251A (ko) 1989-06-19
KR970011969B1 true KR970011969B1 (ko) 1997-08-08

Family

ID=27548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778A KR970011969B1 (ko) 1987-10-02 1988-09-30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85789A (ko)
EP (1) EP0310114B1 (ko)
KR (1) KR970011969B1 (ko)
DE (1) DE387710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7960A (ja) * 1989-04-28 1990-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テープローディング装置
DE3919984A1 (de) * 1989-06-19 1990-12-20 Thomson Brandt Gmbh Videorecorder
JPH0369054A (ja) * 1989-08-09 1991-03-25 Toshiba Corp 駆動内容切換え装置
JP2805950B2 (ja) * 1990-01-20 1998-09-30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プレーヤのカセットイジェクト機構
US5327306A (en) * 1990-03-30 1994-07-05 Sony Corporation Compact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movable reels and reel spindles
US5218492A (en) * 1990-06-14 1993-06-0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449564A (ja) * 1990-06-19 1992-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KR930000491Y1 (ko) * 1990-08-21 1993-02-05 주식회사 금성사 카메라 일체형 브이 씨 알의 펀치로울러 압착장치
JP2664281B2 (ja) * 1990-11-09 1997-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DE69129731T2 (de) * 1990-11-20 1999-01-14 Canon Kk Aufnahme- und Wiedergabegerät
US5361180A (en) * 1991-03-14 1994-11-01 Sharp Kabushiki Kaisha Simplified cassette loading mechanism for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906719B2 (ja) * 1991-04-10 1999-06-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DE69225097T2 (de) * 1991-06-18 1998-10-15 Canon Kk Kamera mit integriertem Video-Aufnahmegerät
KR100188916B1 (ko) * 1992-04-14 1999-06-01 윤종용 자기기록 재생장치
DE4214270A1 (de) * 1992-04-30 1993-11-04 Thomson Brandt Gmbh Bandandruckrollen-betaetigungsvorrichtung
DE4319929A1 (de) * 1992-06-17 1994-01-05 Gold Star Co Deckmechanismus für magnetisch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e
KR940011672B1 (ko) * 1992-06-20 1994-12-23 주식회사 금성사 자기기록매체의 헤드드럼 보호장치
US5349485A (en) * 1992-09-30 1994-09-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agnetic tape loading mechanism for a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584073B2 (ja) * 1994-12-28 2004-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又は再生装置
JP3531460B2 (ja) 1998-03-19 2004-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1273195A (ja) 1998-03-19 1999-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65001B2 (ja) * 1998-03-19 2004-09-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1328777A (ja) 1998-03-19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00997B2 (ja) 1998-03-19 2004-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436370B1 (ko) * 2002-01-22 2004-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장치
US7032852B2 (en) * 2002-10-24 2006-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loading device for a tape recorder
WO2023016547A1 (zh) * 2021-08-13 2023-02-16 长春捷翼汽车零部件有限公司 集成式电动汽车充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4956A (en) * 1962-09-24 1964-11-03 Catamaran Corp Double cam device
US3838465A (en) * 1972-05-25 1974-09-24 Philips Corp Recording and/or playback apparatus with battery indication controlled by cover position
JPS5769565A (en) * 1980-10-15 1982-04-28 Victor Co Of Japan Ltd Magnetic recorder and reproducer
JPS5952451A (ja) * 1982-09-17 1984-03-27 Sanyo Electric Co Ltd カセツトロ−デイング駆動機構
JPS59171070A (ja) * 1983-03-18 1984-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US4757397A (en) * 1985-02-01 1988-07-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inature tape loading device
JPH0792958B2 (ja) * 1985-05-27 1995-10-09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DE3686509T2 (de) * 1985-05-27 1993-03-18 Sony Corp Videobandaufnahmegeraet mit einbaukamera.
JP2545358B2 (ja) * 1986-01-18 1996-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ヘツ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EP0232161B1 (en) * 1986-02-03 1992-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rrangement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77106D1 (de) 1993-02-11
EP0310114A2 (en) 1989-04-05
DE3877106T2 (de) 1993-04-29
EP0310114A3 (en) 1990-05-23
KR890007251A (ko) 1989-06-19
EP0310114B1 (en) 1992-12-30
US4985789A (en) 199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969B1 (ko) 카세트식 신호 기록 재생장치
JPS59171070A (ja) 記録再生装置
JPH0810514B2 (ja) Datの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US5327306A (en) Compact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movable reels and reel spindles
JPS62165761A (ja) 回転ヘツ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JP253117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447787Y2 (ko)
US5321565A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plural sliding chassis for compact configuration
KR0161264B1 (ko) 기록 재생 장치에서의 테이프 처리 장치
US5526210A (en) Tape cassette for loading by a cassette inserting and ejecting apparatus
WO1984003789A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44956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48585B2 (ko)
JPH02210658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333971Y2 (ko)
JP2668173B2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2899435B2 (ja) 複数カセットの装填装置
JPS6235160Y2 (ko)
JPH06103560B2 (ja) 磁気テープのローディング装置
JP2919993B2 (ja) カセット装填装置
JPH10302348A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JPH0239027B2 (ko)
JPH0328313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224165A (ja) 複数カセット装着装置
JPS61188772A (ja) 磁気テ−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