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916B1 - 자기기록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916B1
KR100188916B1 KR1019930005016A KR930005016A KR100188916B1 KR 100188916 B1 KR100188916 B1 KR 100188916B1 KR 1019930005016 A KR1019930005016 A KR 1019930005016A KR 930005016 A KR930005016 A KR 930005016A KR 100188916 B1 KR100188916 B1 KR 10018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gear
magnetic tape
cassette
tap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307A (ko
Inventor
최도영
권석하
박건춘
조영호
서재갑
시마사하루 오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3000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916B1/ko
Priority to ES09350032A priority patent/ES2080672B1/es
Priority to ES09550035A priority patent/ES2119669B1/es
Priority to PCT/KR1993/000026 priority patent/WO1993021631A1/en
Priority to CN93105932A priority patent/CN1061158C/zh
Publication of KR930022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11B15/615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inside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63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 G11B15/6756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erpendicular to its main side, i.e. top loading of the cassette with hol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81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8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pivoting movement of the cassette holder outside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Unwinding Web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 발명은 서브 및 매인샤시로 이루어지는 무빙덱크시스템에 있어서 샤시의 수평이동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테이프를 회전드럼에 로딩시키는 일반적인 개념에서 탈피하여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사이즈를 초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기기본체에 대하여 소정각도 개폐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 및 취출동작이 가능토록 하는 이젝팅 수단과, 테이프 카세트를 리이드하여 회전드럼에 1차 로딩되도록 하는 테이프 카세트 홀딩수단과, 상기 테이프 카세트 홀딩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를 회전드럼에 2차 풀로딩되도록 하기 위한 각 주행요소들을 가지는 테이프 카세트 안착수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테이프 카세트 홀딩수단에는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는 카세트 홀더와, 이 카세트 홀더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슬라이더와, 회전드럼이 장착된 어퍼샤시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은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상기 각 주행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규의 모드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발명은 단일구동원에 의한 각 주행요소들의 제어가 가능하며, 재품자체를 테이프 카세트의 크기와 유사한 포켓사이즈의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
제1a도 내지 제1d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측면을 각 동작 상태별로 나타낸 개략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어퍼 샤시 및 슬라이더의 동작 전,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슬라이더에 안착된 테이프 카세트의 동작 전,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각 주행요소들을 나타낸 로워 샤시의 평면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제4도에서의 자기 테이프 로딩계 및 주행계를 나타낸 평면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적용되는 록킹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제7a도 및 제7b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적용되는 플런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요부 측면도.
제7c도는 플런저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8a도 내지 제8c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각 주행 요소들과 자기 테이프의 모드별 위치 관계를 나타내 개략 평면도.
제9a도 내지 제9c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각 주행 요소들의 모드별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10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모드 제어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11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모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젝트 레버 11 : 브라켓
12 : 탄성부재 20 : 테이프 카세트
21 : 자기 테이프 30 : 어퍼샤시
31 : 회전드럼 32 : 제1레버
33 : 제2레버 34 : 탄성부재
35 : 핀 40 : 카세트 홀더
41 : 제1링크 42 : 제2링크
43 : 핀 44 : 리드 오픈 부재
45 : 제3링크 46 : 탄성부재
50 : 슬라이더 51 : 서플라이 리일 베이스
52 : 테이크업 리일 베이스 53 : 서플라이 리일
54 : 테이크업 리일 55 : 탄성부재
56 : 레일 60 : 로워샤시
61 : 탄성부재 70 : 캡스턴 모터
71 : 전달기어 72 : 제1기어
73~77 : 작은 기어 78 : 제2기어
79 : 종동기어 80 : 벨트
81 : 아이들 기어 90 : 링 기어
91 : 가이드 부재 92 : 풀 베이스
93 : 레버 94 : 제1회동 아암
95 : 회동기어 96 : 탄성부재
97 : 제3기어 98 : 제4레버
99 : 제2회동아암 100 : 탄성부재
101 : 핀치 로울러 102 : 캠 기어
103 : 제5래버 104 : 제6레버
105 : 제3회동아암 106 : 탄성부재
107 : 제7레버 108 : 록킹장치
109 : 브라켓 110 : 제1록킹부재
111 : 제2록킹부재 112 : 탄성부재
113 : 회동부재 114 : 구동코일
115 : 영구자석 116 : 플런저
117 : 탄성부재 150 : 키 입력부
155 : 앤드 게이트 160 : 마이콤
161 : 모드 판별부 162 : 기준 신호 발생부
163 : FG 신호 출력부 164 : 비교부
170 : 메인 서보 IC 175 : 캡스턴 모터 제어부
180 : FG 신호 검출부 185 : 증폭부
190 : 변환부
이 발명은 일정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 테이프를 회전드럼에 로딩되도록 하여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혹은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 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등과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여러 선진업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각 가정에 거의 보급되어 현대인들에 있어서는 하나의 생활필수품처럼 느껴질 정도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가정용으로 보급되어 있는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대부분 VHS(Video Home System) 방식(일본 JVC사 개발품명)을 채용한 ½인치 테이프 카세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크게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되는 카세트 홀더와, 이 카세트 홀더를 기기본체 내부로 끌어드령 메인덱크상에 안착시키기 위한 구동부재들과, 상기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 테이프를 메인덱크상에 설치된 회전드럼측으로 로딩 혹은 언로딩시키기 위한 장치와, 자기 테이프가 일정경로를 따라 주행되도록 하는 장치들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를 카세트 홀더 내부로 삽입시키게 되면, 이 삽입상태를 감지하여 메인덱크상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카세트 홀더를 메인덱크상에 안착시키게 되며, 이 상태에서 한쌍의 폴베이스에 의해 자기 테이프를 고속회전하는 드럼측으로 로딩시켜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혹은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게 한다.
최근에 이르러, 상기한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응용하여 개발된 휴대용 캠코더등과 같은 제품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그 크기를 소형화시킴은 물론 경량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서 이미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8mm 테이프 카세트를 이용한 제품이 많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중의 하나가 덱크사이즈이며, 이 덱크사이즈를 얼마만큼 축소시키느냐에 따라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할 수 있기 때문에 덱크사이즈의 축소정도에 따라 그 기술수준의 척도를 나타내고 있고, 실제 각 선진업체에서는 다양한 형태 및 방식으로 연구 개발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4796115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평 2-281459호 공보등에 개시된 바와같이, 기존에는 하나의 메인덱크상에 설치되었던 각각의 구동부품들을 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되는 서브샤시와, 회전드럼 및 각 주행요소들이 설치된 메인샤시에 분리 구성한 후 상기 서브샤시를 회전드럼측으로 이동시켜 자기 테이프를 회전드럼에 로딩 및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덱크사이즈를 보다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3-283127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테이프 카세트가 안착되는 서브샤시와, 회전드럼 및 각 주행요소들이 설치된 메인샤시를 서로 상대 이동시켜 자기 테이프를 회전드럼에 로딩 및 언로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덱크사이즈를 보다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들은 별도의 구동원이나 혹은 연동장치에 의해 샤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구성부품들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이에따른 생산코스트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방식들 역시 덱크사이즈를 소형화시키는 데에 그 한계점을 드러내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자들을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덱크사이즈를 최대한으로 축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구성부품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방식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전에 국내 특허출원 제 92-6199호로서 개시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를 회전드럼이 설치된 카세트 홀더에 삽입시켜 자기 테이프가 1차 로딩되도록 하고, 그후에 상기 카세트 홀더를 눌러 닫음으로써 자기 테이프가 회전드럼에 2차 풀로딩되도록 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대하여 재안한바 있다.
이 발명은 상기 출원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동작 완료시에 테이프 카세트의 내부공간으로 회전드럼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샤시사이즈를 초소형화할 수 있는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샤시를 회전드럼이 설치된 어퍼샤시와 각 주행요소들이 설치된 로워샤시로 분리구성하여 상기 어퍼샤시내에서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테이프가 회전드럼에 1차 로딩되도록 하고, 어퍼샤시가 수직방향으로 하강하여 로워샤시에 최종 안착될 때 2차 풀로딩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각 주행요소들을 테이프 카세트의 내부공간에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 구동원에 의해 자기 테이프에 로딩 및 주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별도의 장치없이도 각 모드를 제어 가능토록 하여 구성부품수를 줄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제1특징은, 일정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 테이프를 회전드럼측으로 로딩시켜 이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키기 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기본체의 내부로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개폐되는 이젝팅 수단과; 상기 이젝팅 수단에 연결되어 이 이젝팅 수단의 개폐동작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며, 테이프 카세트의 삽입시에 이 테이프 카세트의 허브가 한쌍의 리일에 가이드된 후 회전드럼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상기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 테이프를 1차 로딩되도록 하는 테이프 카세트 홀딩수단과; 상기 테이프 카세트 홀딩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자기 테이프가 회전드럼 및 각 주행요소에 2차 풀로딩되도록 하는 로딩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 카세트 홀딩수단의 안착 및 이젝트 동작시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있게 승하강 이동되도록 한쌍의 링크로 연결되는 테이프 카세트 안착수단;으로 구성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다.
이 발명의 제2특징은, 구동원에 의해 정, 역회전하는 기어와 치차 맞춤되어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는 전달기어와; 상기 전달기어와 선택적으로 치차 맞춤되어 상기 구동원의 회전력이 가지 테이프 로딩계 및 주행계로 전달되도록 로워샤시상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제1 및 제2기어와; 상기 전달기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기어의 어느 한쪽 기어가 회전될 때 상기 전달기어가 밀려 이탈하지 않도록 레버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위치규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다.
이 발명의 제3특징은, 리모콘이나 기기본체에 부착된 키패드로부터 모드키가 입력되거나 테이프 카세트가 기기본체내에 삽입되면 놉이나 센서를 통해 출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모드를 판별하여 캡스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시작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캡스턴 모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스톱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캡스턴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메인 서보 IC와; 상기 메인 서보 IC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서보 IC의 제어애 따라 캡스턴 모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캡스턴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캡스턴 모터 제어부와; 상기 캡스턴 모터 제어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캡스턴 모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FG 신호를 검출하는 FG 신호 검출부와; 상기 FG신호 검출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FG 신호 검출부의 출력을 적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FG 신호를 구형파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콤으로 피드백시키는 변환부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콤은 키입력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의 모드를 판별한 후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와 비교하여 다르면 상기 메인 서보IC로 시작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캡스턴 모터를 회전시켜 FG 신호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판별된 입력 모드의 기준 신호와 상기 마이콤으로 피드백되는 FG 신호를 비교하여 캡스턴 모터의 회전에 의해 링 기어의 위치가 판별된 입력 모드에 위치한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제어회로에 있다.
이 발명의 제4특징은, 키입력부를 통해 출력된 신호가 모드 신호이거나 카세트 인 신호이면 해당 모드를 판별하고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와 같은지를 비교하는 초기화 과정과; 상기 초기화 과정에 의하여 판별된 입력 모드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다르다고 판별되면 판별된 입력 모드에 해당되는 시작 제어 신호를 메인 서보 IC로 출력하여 캡스턴 모터를 구동시켜 FG신호를 발생시키는 캡스턴 모터 구동 과정과; 상기 초기화 과정에 의하여 판별된 입력 모드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다르다고 판별되면 스톱 센서(S1)와 카세트인 센서(S2)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캡스턴 모터 구동 과정에서 출력된 FG 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된 모드의 해당 위치에 링기어가 위치될 때까지 캡스턴 모터를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는 캡스턴 모터 제어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제어방법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 모드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a도 내지 제1d도를 참조하여 이 발명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대한 구성을 설명한다.
이들 도면은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전체 측면을 각 동작상태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젝트 레버(1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한쌍의 아암(10a) 끝단이 기기본체(도시생략)의 내부에 세워 형성된 한쌍의 브라켓(11) 끝단에 축(11a)으로 연결되어 이 축(11a)을 중심으로 상하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젝트 레버(10)는 이젝트 동작시에 이젝트 레버(10) 정면에 형성된 록킹핀(10b)이 해제되면서 기기본체에 대하여 소정각도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20)를 기기본체의 내부로 삽입 혹은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젝트 레버(10)의 내측면에는 하측방향으로 향하여 한쌍의 탄성부재(12)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탄성부재(12)에 의해 이젝트 레버(10)의 누름동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20)의 상면을 눌러줌으로써 테이프 카세트(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젝트 레버(10)의 아암(10a) 일측부에는 핀(10c)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10c)은 어퍼샤시(30)의 측면에 세워 형성된 브라켓(30a)의 장공(30b)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이젝트 레버(10)의 상하 회동시에 상기 어퍼샤시(30)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젝트 레버(10)의 안쪽에는 테이프 카세트(20)가 삽입되는 카세트 홀더(40)와, 이 카세트 홀더(40)를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50)와, 이 슬러이더(50)의 수평 이동시에 테이프 카세트(20)내의 자기테이프(21)가 1차 로딩되도록 회전드럼(31)이 장착된 어퍼샤시(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홀더(40)는 그 일측끝단이 슬라이더(50)의 끝단과 축(40a)으로 연결되고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제1링크(41)가 슬라이더(50) 측면의 브라켓(50a)에 형성된 장공(50b)내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링크(42)와 핀(43)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 홀더(40)가 축(40a)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할 수 있게 되어 테이프 카세트(20)의 삽입 및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홀더(40)의 어느 한쪽 측면애는 일측의 축(44a)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리드오픈부재(44)가 장착되어 있고, 이 리드오픈부재(44)의 대략 중앙부에는 장공(44b)이 형성되어 카세트 홀더(4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핀(40b)이 끼워 맞춤되어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리드오픈부재(44)의 중앙부와 슬라이더(50)가 소정각도 경사지는 제3링크(45)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링크(42)와 제3링크(45)는 탄성부재(4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 홀더(40)가 슬라이더(5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리드오픈부재(44)가 축(44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테이프 카세트(20)의 리드(20a)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a도 및 제2b도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50)에는 대략 중앙부 양측에 한쌍의 리일베이스(51,52)가 장착되어 있고, 이 리일베이스(51,52)상에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리일(53,54)이 각각 설치되어 테이프 카세트(20)의 허브(도시생략)을 가이드할 수 있게 되며, 어퍼샤시(30)에 설치된 슬라이더 이동기구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한쌍의 리일베이스(51,52)는 슬라이더(50)에 각각 축(51a,52a)으로 연결되고, 이 축(51a,52a)의 타측에 형성된 핀(51b,52b)들이 슬라이더(50)에 형성된 각각의 장공(50c,50d)에 끼워 맞춤되어 상기 리일베이스(51,52)가 축(51a,52a)을 중심으로 상기 장공(50c,50d) 범위내에서 탄성부재(55)에 의해 탄력있게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 이동기구는 어퍼샤시(30) 일측에 축(32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장착된 제1레버(32)와, 이 제1레버(32)의 대략 중앙부에 장착되어 축(33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레버(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레버(32)의 끝단에 형성된 장공(32b)내에 슬라이더(50)의 하측으로 압입고정된 핀(50e)이 끼워 맞춤되어 있고, 상기 제2레버(33)에 형성된 장공(33b)내에는 어퍼샤시(30)의 하측으로 압입 고정된 핀(30c)에 끼워 맞춤되어 있으며, 상기 제2레버(33)의 끝단과 어퍼샤시(30)는 탄성부재(3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1레버(32)와 제2레버(33)가 탄력있게 작동한다.
또한, 상기 어퍼샤시(30)에는 그 중앙부에 회전드럼(31)이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더(50)가 이동되어 오는 경우에 테이프 카세트(20)의 자기 테이프(21)가 1차 로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어퍼샤시(30)의 내부 양측에 한쌍의 걸리편(30d,30e)이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더(50)상에 설치된 리일비에스(51,52)를 터치함으로써 이 리일베이스(51,52)가 축(51a,52a)을 중심으로 탄성부재(55)에 의해 탄력있게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50)의 하측면에는 레일(56)이 형성되어 어퍼샤시(30)상에 형성된 핀(35)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50)를 정확히 가이드할 수 있게 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상기 슬라이더(50)에 테이프 카세트(20)가 안착되어 어퍼샤시(30)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자기테이프(21)가 회전드럼(31)에 1차 로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술한 바와같이 리일베이스(51,52)의 회동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20)의 허브도 양측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며, 이 테이프 카세틈(20)의 허브가 회동된다는 점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어퍼샤시(30)의 하측에는 테이프 카세트(20)내의 자기 테이프(21)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 주행요소들이 장착된 로워샤시(6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어퍼샤시(30)와 로워샤시(60)의 측면은 전술한 제1a도 내지 제1d도에서와 같이 스콧트 러셀(Scott russel)의 링크기구원리를 응용한 한쌍의 제4 및 제5링크(60a,60b)가 서로 교차하도록 끝단들이 핀(60c)들로 연결되고, 이 제4 및 제5링크(60a,60b) 중앙의 축(60d)에 탄성부재(61)가 장착되어 각각의 링크(60a,60b)들에 걸림 유지됨으로써 상기 어퍼샤시(30)가 수직방향으로 탄력있게 승하강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 로워샤시(60)상에 설치된 각각의 주행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로워샤시(60)의 일측에 모드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캡스턴 모터(7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캡스턴 모터(70)의 기어(70a)에는 브라켓(70b)상의 레버(71a)로 연결되어 축(71b)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달기어(71)가 치차맞춤되어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회동됨으로써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력을 자기 테이프 로딩계나 주행계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자기 테이프 로딩계는 제5a도에서와 같이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71)와 치차맞춤이 가능하도록 로워샤시(60)상에 제1기어(72)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제1기어(72)에는 다수의 작은 기어들(73~77)이 순차적으로 치차맞춤되어 최종적으로는 로워샤시(60) 중앙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돈 링기어(90)에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기 테이프 주행계는 제5b도에서와 같이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71)와 치차맞춤이 가능하도록 로워샤시(60)상에 제2기어(78)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제2기어(78)상에 형성된 풀리(78a)와 종동기어(79)가 벨트(80)로 연결되며, 상기 종동기어(79)에는 그 상측에 레버(79a)로 연결된 아이들 기어(81)가 치차맞춤되어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아이들러(81)가 좌우 회동되면서 어퍼샤시(30)상에 설치된 각각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리일(53,54)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아이들 기어(81)는 서플라이 리이(53)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53a)와 직접 치차맞춤되며, 테이크업 리일(54)은 보조 기어들(54b,54c)을 통하여 테이크업 리일(54) 외주면의 기어(54a)와 연결됨으로써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기 테이프 로딩계를 통하여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링기어(90)는 로워샤시(60)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부재(91)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가이드부재(91)에 형성된 레일(91a)에는 하나의 폴베이스(92)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상기 폴베이스(92)는 그 상측에 가이드폴(92a) 및 경사폴(92b)을 가지며, 링기어(90) 일측의 핀(90a)에 유동가능하게 장착된 레버(9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부재(91)의 레일(91a)을 따라 일정량만큼 이동한 후 스톱퍼(91b)에 걸림유지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20)내의 자기 테이프(21)를 회전드럼(31)에 플로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링기어(90)의 일측(제4도에서 우측)에는 로워샤시(60)상의 축(94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1회동아암(94)이 장착되어 있고, 이 제1회동아암(94) 상면의 중앙부와 끝단부에는 일정각도 경사지는 미들폴(94b)과 수직으로 세워 형성된 리뷰폴(94c)이 각각 압입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동아암(94)의 중앙측면과 캡스턴 모터(70) 상부의 브라켓(70b) 사이에 탄성부재(94e)가 걸림유지되고, 제1회동아암(94)의 끝단에는 걸림편(94d)이 형성되어 상기 링기어(90)상에 세워 형성된 핀(90b)에 의해 위치를 탄력있게 규제받고 있다.
상기 제1회동아암(94)은 링기어(9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핀(90b)에 의한 위치규제가 해제됨과 동시에 축(94a)을 중심으로 탄력있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자기 테이프(21)를 캡스턴 모터(70)의 축(70c) 방향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링기어(90)의 상측(제4도 참조)에는 이 링기어(90)에 형성된 돌출기어부(90c)에 의해 축(95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기어(95)가 설치되어 있고, 이 회동기어(95)는 로워샤시(60)에 형성된 스톱퍼(60e)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위치를 규제받고 있다.
상기 회동기어(95)에는 탄성부재(96)에 의해 소정탄력을 갖는 제3레버(97)의 일측이 핀(97a)으로 연결되고 그 중앙부에 형성된 장공(97b)이 로워샤시(60)에 돌출형성된 핀(60f)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제3레버(97)의 타측에 돌출 형성된 핀(97c)이 제4레버(98)의 장공(98a)내에 끼워져 연결되어 이 제4레버(98)는 축(98b)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4레버(98)의 끝단에 형성된 핀(98c)이 일측의 축(99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회동아암(99)의 중앙에 형성된 장공(99b)내에 끼워져 상기 핀(98c)과 제2회동아암(99)이 탄성부재(100)로서 탄력을 갖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회동아암(99)의 타측 끝단에 핀치로울어(10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3 및 제4레버(97, 98)는 링기어(90)의 돌출기어부(90c)에 의해 회동기어(95)가 소정량 회동하는 경우에 상기 각 레버들(97,98)에 연동하여 제2회동아암(99)의 핀치로울러(101)를 캡스턴 모터(70)의 축(70c)에 압착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21)를 주행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기어(90)의 좌측(제4도 참조)에는 이 링기어(90)와 치차맞춤되어 축(102a)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캠기어(102)가 로워샤시(60)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캠기어(102)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캠홈(102b,10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기어(102)의 상측에 제5 및 제6레버(103,104)가 각각의 축(103a,104a)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5 및 제6레버(103,104)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각각의 핀(103a,104b)이 상기 캠기어(102)이 제1 및 제2 캠홈(102b,102c)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5레버(103)의 상측에는 이 제5레버(103)의 끝단에 형성된 핀(103c)에 의해 위치를 규제받는 제3회동아암(105)이 축(105a)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제3회동아암(105)의 축(105a)에는 탄성부재(106)가 장착되어 로워샤시(60)에 형성된 스톱퍼(60g)에 걸림유지되고, 제3회동아암(105)의 일측끝단 서플라이 포스트(105b)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회동아암(105)은 제5레버(103)의 핀(103c)이 해제되는 경우에 탄력있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서플라이 포스트(105b)에 의해 자기 테이프(21)를 회전드럼(31)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되며, 가이드부재(91)에 형성된 스톱퍼(91C)에 의해 위치를 규제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6레버(104)의 대략 중앙에는 돌출편(104c)이 형성되어 이 제6레버(104)의 회동시에 스톱센서(S1)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되고, 제6레버(104)의 하측끝단에 형성돈 핀(104d)에는 제7레버(107)의 일측끝단이 끼워져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이 제7레버(107)에 형성된 한쌍의 장공(107am107b)이 로워샤시(60)상에 형성된 한쌍의 핀들(60h,60i)에 가이드되어 좌우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7레버(107)에 의해 전술한 이젝트 레버(10)에 의해 록킹핀(10b)을 해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6a도 및 제6b도를 참조하여 록킹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록킹장치(108)는 로워샤시(60)의 정면 중앙에 박판 형상의 브라켓(109)이 세워 형성되고, 이 브라켓(109)의 전면에 형성된 한쌍의 제1 및 제2핀(109a,109b)에 제1록킹부재(110)가 어느 일측핀(109a)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며, 이 제1록킹부재(110)의 전면에는 상기 타측핀(109b)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록킹부재(1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록킹부재(110,111)의 하측에 형성된 각각의 걸림편(110a,111a)에는 탄성부재(11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록킹부재(111)는 제7레버(107)의 끝단에 걸어 맞춤되어 탄력있게 작동함으로써 이젝트 레버(10)의 안착 및 이젝트 동작시에 록킹핀(10b)을 록킹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록킹부재(111)는 제4도에서와 같이 로워샤시(60) 정면 중앙에 축(113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부재(113)를 작동시켜 이 회동부재(113)에 의해 카세트인 센서(S2)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같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력을 자기 테이프 로딩계 및 주행계에 선택적으로 전달시키는 전달기어(71)는 로워샤시(60)의 하부우측(제4도 참조)에 설치된 프런저장치에 의해 위치를 제어받게 된다.
즉, 제7a도 내지 제7c도에서와 같이, 로워샤시(60) 상면에 구동코일(114)이 부착되어 도시하지 않은 회로패턴과 연결되고, 이 구동코일(114)의 상측에는 N,S 자극이 착자된 영구자석(115)이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부착된 플런저(1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116)는 그 일측끝단의 축(116a)을 중심으로 탄성부재(117)에 의해 탄력있게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아암부(116b)의 끝단에 결림편(116c)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편(116c)은 상기 전달기어(71)의 축(71b)에 걸림유지되어 전달기어(71)의 위치를 강제적으로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a 및 제1b도에서와 같이 기기본체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노출된 이젝트레버(10) 내측에 위치한 카세트 홀더(40)내부로 테이프 카세트(20)를 삽입시킨 후 상기 카세트 홀더(40)를 눌러 닫게 되면, 이 카세트 홀더(40)가 축(40a)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더(50)상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테이프 카세트(20)의 허브가 슬라이더(50)상에 설치된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리일(53,54)에 가이드 되어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카세트 홀더(40)의 측면에 형성된 리드오픈부재(44)가 축(44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 카세트(20)의 리드(20a)를 오픈시켜 주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제1c도에서와 같이 카세트 홀더(40)를 어퍼샤시(30)측으로 밀어넣으면 어퍼샤시(30)에 장착된 슬라이더 이동기구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50)가 어퍼샤시(30)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즉, 제2a도 및 제2b도에서와 같이 상기 카세트 홀더(40)의 밀어누름력에 의해 슬라이더(50)가 어느정도 어퍼샤시(30)측으로 이동되면 슬라이더 이동기구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레버(32,33)가 탄성부재(34)에 의한 상호 링크작용으로 상기 제1레버(32)가 슬라이더(50)를 끌고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레버(33)는 상대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슬라이더(50)가 어퍼샤시(3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슬라이더(50)의 하측면에 형성된 레일(56)이 어퍼샤시(30)의 핀(35)에 가이드되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a도 및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슬라이더(50)가 제2b도 및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샤시(30)에 설치된 회전드럼(31) 측으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더(50)에 지지된 카세트 솔더 내의 테이프 카세트(20)의 자기 테이프가 회전드럼(31)에 접촉되어 1차 로딩됨과 동시에, 회전드럼(31)이 테이프 카세트(20)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수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5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퍼샤시(30)의 회전드럼(31) 양측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걸림편(30d,30e)에 의해 슬라이더(50)에 장착된 한 쌍의 리일 베이스(51,52) 일측을 터치하게 되므로 이 리일 베이스(51,52)는 각각의 축들(51a,52a)을 중심으로 탄성부재(55)에 의해 탄력있게 양측으로 회동한다.
이때, 상기 리일 베이스(51,52)의 타측에 형성된 장공들(50c,50d)내에서 회동범위를 규제받게 되며, 상기 리일 베이스(51,52)상의 리일(53,54)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이 양만큼 회전드럼(31) 측으로 더욱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1d도에와 같이 이젝트레버(10)를 눌러 닫게 되면, 이 이젝트레버(10)가 축(11a)을 중심으로 하강이동하면서, 핀(10c)이 끼워진 어퍼샤시(30)의 장공(30b)을 눌러주게 되므로 어퍼샤시(30)는 제4 및 제5링크(60a,60b)에 설치된 탄성부재(61)에 의해 탄력있게 수직 하강이동하여 로워샤시(60)상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이젝트레버(10)의 록킹핀(10b)은 로워샤시(60)상에 설치된 록킹장치(108)에 의해 걸림유지된다.
즉, 제6a도 및 제6b도에서와 같이 상기 이젝트 레버(10)의 록킹핀(10b)이 하강하여 제1록킹부재(110)를 눌러줌에 따라 탄성부재(112)의 인장력이 해제되면서 제2록킹부재(111)을 원위치 시켜주므로 이젝트 레버(10)가 록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 제2록킹부재(111)가 원위치되면서 로워샤시(60)상에 설치된 회동부재(113)을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이 회동부재(113)가 축(113a)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카세트인 센서(S2)를 종작시킴으로써 테이프 카세트(20)가 안착되었다는 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이 신호에 따라 캡스턴 모터(7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제8a도 내지 제8c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어퍼샤시(30)의 회전드럼(31)에 테이프 카세트(20)내의 자기테이프(21)가 1차 로딩된 상태에서 로워샤시(60)애 안착되어 각 주행 요소들의 초기 배열위치 및 작동 후 배열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들 각 주행요소들은 테이프 카세트(20)의 공간내에 모두 배열된다.
한편, 제9a도는 로워샤시(60)상에 설치된 각 주행요소들의 초기 배열위치를 나타낸 언로딩스톱(Un Loading Stop: 이하 ULS라 칭함) 모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은 언로딩스톱(ULS) 상태에서 캡스턴모터(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전달기어(71)를 통하여 자기 테이프 로딩계를 구성하는 제1기어(72)에 회전력이 전달됨으로써 다수의 작은 기어군들(73~77)을 통하여 가이드 부재(91)에 설치된 링기어(90)를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71)는 플런저(116)의 아암부(116b) 끝단에 형성된 걸림편(116c)에 의해 걸림유지되어 있으므로, 전달기어(71)는 회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자기 테이프 로딩계를 통하여 링기어(9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부재(91)의 레일(91a)에 장착된 폴베이스(92)가 자기 테이프(21)를 끌고 레일(91a)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때 링기어(90)상의 핀(90b)에 의해 위치규제 되어 있던 제1회동아암(94)이 축(94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탄력있게 회동하여 미들폴(94b) 및 리뷰폴(94c)에 의해 자기 테이프(21)를 캡스턴 모터(70)의 축(70c)에 접촉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링기어(90)에 치차맞춤된 캠기어(102)가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5레버(103)의 핀(103b)이 캠기어(102)상의 제1캡홈(102b)에 가이드되어 축(103a)을 중심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5레버(103) 일측의 핀(103c)에 걸림유지 되어 있던 제3회동아암(105)이 탄성부재(106)의 힘에 의해 축(105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이 제3회동아암(105)의 끝단에 형성된 서플라이포스트(105b)에 의해 자기 테이프(21)를 회전드럼(31)측으로 밀착이동 시키면서 가이드 부재(91)에 형성된 스톱퍼(91c)에 의해 위치를 규제받게 된다.
그리고, 이 제6레버(104)의 핀(104d)이 캠기어(102)의 제2캠홈(102c)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6레버(104)가 회동하게 되므로 이 제6레버(104) 중앙에 형성된 돌출편(104c)에 의해 스톱센서(S1)를 동작시키게 된다.
제9b도는 상기와 가이 각 주행요소들이 1차 이동한 위치를 나타낸 스톱(stop) 모드 상태이다.
그후에, 상기 링기어(90)가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더욱 진행되어 폴베이스(92)가 스톱퍼(91b)에 위치 규제됨과 동시에 돌출기어부(90c)가 회동기어(95)와 치차 맞춤되면서 이 회동기어(9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제3 및 제4레버(97,98)가 탄성부재(96)에 의해 탄력있게 회동하게 되고, 제2회동아암(99)이 축(99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이 제2회동아암(99) 끝단에 형성된 펀치로울러(101)가 캡스턴모터(70)의 축(70c)으로 이동하여 자기 테이프(21)를 압착시킴으로써 자기 테이프(21)가 주행가능하도록 한다.
제9c도는 상기한 바와같이 펀치로울러(101)가 캡스턴 모터(70)의 축(70c)에 압착된 위치를 나타낸 재생(Play Back: 이하 PB라 칭함)모드 상태로서, 이때, 상기한 각 주행요소들은 캡스턴모터(70)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더라도 각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은 상태엣 캡스턴모터(70)의 회전력을 가지 테이프 주행계 측으로 전달 시키기 위하여는 우선 전달기어(71)의 위치규제를 해체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에는 제7c도에서와 같이 구동코일(114)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구동코일(114)에 대향하여 장착된 영구자석(115)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플런져(116)가 축(116a)을 중심으로 탄성부재(117)에 의해 탄력있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전달기어(71)의 위치규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캡스턴모터(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달기어(71)는 자기 테이프 주행계를 구성하는 제2기어(78)에 가상선 상태로 치차 맞춤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코일(114)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플런저(116)과 탄성부재(117)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다시 전달기어(71)의 축(71b)에 밀착되므로 위치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5b도에서와 같이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력이 벨트(80)를 통하여 종동기어(79)에 치차 맞춤된 아이들기어(81)로 전달되고,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회전방향에 따라 아이들기어(81)가 좌우 회동되면서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 리일(53,54)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모드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0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제어 회로의 일실시예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로서, 리모콘이나 본체에 부착된 키패드로부터 모든 키[즉, 재생(Play), 스톱(Stop), 이젝트(Eject)등]가 입력되거나 테이프 카세트가 기기본채내에 삽입되면 해당 신호를 놉(knob)이나 센서를 통하여 출력하는 키입력부(150)의 출력단에는 앤드 케이드(155)의 한 입력단이 연결되고, 상기 앤드 게이트(155)의 출력단에는 상기 앤드 게이트(15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캡스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16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앤드 게이트(155)의 다른 입력단에는 테이프 카세트가 로워 샤시내에 안착되었거나 이젝트 레버가 닫혀있을 경우에만 마이콤(160)으로 모드키가 입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카세트 인 센서(S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160)의 출력단에는 상기 마이콤(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시작 제어 신호(START CTL)에 따라 캡스턴 모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 서보 IC(170)가 연결되고, 상기 메인 서보 IC(170)의 출력단에는 상기 메인 서보 IC(170)의 출력에 따라 캡스턴 모터(7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캡스턴 모터 제어부(175)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캡스턴 모터(70)의 출력단에는 상기 캡스턴 모터(70)로부터 발생되는 주파수 발생기(Frequency Generator; 이하 FG라 칭함) 신호를 검출하는 FG 신호 검출부(180)가 연결되고 상기 FG 신호 검출부(180)의 출력단에는 상기 FG 신호 검출부(180)의 출력을 적정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185)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증폭부(185)의 출력단에는 상기 증폭부(185)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타입의 FG 신호를 디지탈 타입의 FG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190)가 연결되고 상기 변환부(190)의 출력단에는 상기 마이콤(160)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마이콤(160)은, 상기 키입력부(15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키입력부(150)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모드를 판별하고 현재 메카니즘의 상태와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판별부(161)와, 상기 모드 판별부(161)의 출력단과 스톱센서(S1) 및 카세트 인 센서(S2)에 연결되어 상기 모드 판별부(161)에서 판별된 입력 모드에 따라 캡스턴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기준 신호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부(162)와, 상기 변환부(19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캡스턴 모터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FG 신호를 출력하는 FG 신호 출력부(163)와,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162)와 FG 신호 출력부(16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메카니즘이 입력된 모드의 상태에 맞게 위치하도록 기준 신호 발생부(162)의 출력과 FG 신호 출력부(163)의 출력을 비교하여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면 스톱 제어 신호(STOP CTL)를 출력하는 비교부(16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비교부(164)의 출력단에는 상기 메인 서보 IC(170)가 연결되어 상기 비교부(164)로부터 스톱 제어 신호(STOP CTL)가 출력되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162)에 연결된 스톱 센서(S1)는 스톱 모드에서만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카세트 인 센서(S2)는 언로딩 스톱(ULS) 모드에서는 하이나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스톱(STOP) 모드, 재생(PB) 모드에서는 항상 하이 신호를 출력하며, 이젝트(Eject) 모드에서는 항상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제11도는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로서, 키 입력부(150)의 출력에 따른 마이콤(16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키입력부(150)의 출력을 제공받아 입력된 모드를 판별하고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와 비교하는 초기화 과정(P1)과, 상기 초기화 과정(P1)에 의하여 판별된 입력 모드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다르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70)를 구동시켜 FG신호를 발생시키는 캡스턴 모터 구동 과정(P2)과, 상기 초기화 과정에 의하여 판별된 입력 모드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다르다고 판별되면 스톱 센서(S1)와 카세트 인 센서(S2)에서 출력된느 신호를 기준 신호로 이용하여 입력된 모드의 해당 위치에 링기어가 위치될 때까지 캡스턴 모터(70)를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는 캡스턴 모터 제어 과정(P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초기화 과정(P1)은, 키 입력부(150)로부터 모드키가 입력되거나 테이프 카세트가 기기본체내에 삽입되면 이를 판별하는 스텝(201)과, 상기 스텝(201)에 의하여 모드 키가 입력되었거나 테이프 카세트가 기기본체내에 삽입되었다고 판별되면 입력된 모드를 판별하는 스텝(202)과, 상기 스텝(202)에 의하여 판별된 입력 모드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를 비교하는 스텝(203)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초기화 과정(P1)의 스텝(203)에 의하여 판별된 입력 모드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같다고 판별되면 상기 스텝(201)으로 리턴하여 키입력을 다시 기다리고, 다르다고 판별되면 수행되는 캡스턴 모터 구동 과정(P2)은, 판별된 입력 모드의 시작 제어 신호(START CTL)를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하는 스텝(204)과, 상기 스텝(204)에 의하여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되는 시작 제어 신호(START CTL)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캡스턴 모터(70)를 회전시키는 스텝(205)과, 상기 스텝(205)에 의하여 캡스턴 모터(70)가 회전하면 발생되는 FG 신호를 디지탈 타입의 FG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콤(160)으로 다시 출력시키는 스텝(206)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캡스턴 모터 구동과정(P2)이 진행되면서 수행되는 캡스턴 모터 제어 과정(P3)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로 판별되면 수행되는 제1루틴(R1)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재생(PB) 모드로 판별되면 수행되는 제2루틴(R2)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로 판별되면 수행되는 제3루틴(R3)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로 판별되면 수행되는 제4루틴(R4)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로 판별되면 수행되는 제5루틴(R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루틴(R1)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스텝(207)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로 판별되면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하는 스텝(208)과,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로 트리거되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에 의해 링 기어가 스톱(STOP) 모드의 위치까지 회전한 것을 나타내므로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하는 스텝(209)과, 스톱 제어 신호(STOP CTL)가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되면 캡스턴 모터 제어부(175)에 의해 캡스턴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텝(210)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루틴(R2)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재생(PB) 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스텝(211)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재생(PB) 모드로 판별되면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하는 스텝(212)과, 상기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면 상기 캡스턴 모터 구동과정(P2)에서 출력되는 FG 펄스의 수를 카운트하는 스텝(213)과, 상기 카운트되는 FG 펄스의 수가 재생 모드(PB)의 기준 FG수와 같은지를 비교하는 스텝(214)과, 다르면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수가 같아질때까지 캡스턴 모터(70)를 계속 회전시키고 재생(PB) 모드의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수가 같아지면 메인 서보 IC(170)로 스톱 제어 신호(STOP CTL)가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되면 캡스턴 모터(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탭(210)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3루틴(R3)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스텝(215)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로 판별되면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하는 스텝(216)과,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 상태로 트리거되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에 의해 링 기어가 스톱(STOP) 모드의 위치까지 회전한 것을 나타내므로 스톱 제어 신호(STOP CTL)를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하는 스텝(209)과, 스톱 제어 신호(STOP CTL)가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되면 캡스턴 모터(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텝(210)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4루틴(R4)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면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스텝(217)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로 판별되면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하는 스텝(218)과, 상기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면 캡스턴 모터 구동과정(P2)에서 출력되는 FG펄스의 수를 카운트하는 스텝(219)과, 상기 카운트되는 FG 펄스의 수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의 기준 FG 수와 같은지를 비교하는 스텝(220)과, 다르면 언로딩 스톱(ULS) 모드의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아질때까지 캡스턴 모터(70)를 계속 회전시키고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으면 메인 서보 IC(170)로 스톱 제어 신호(STOP CTL)을 출력시키는 스텝(209)과, 언로딩 스톱(ULS)가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되면 캡스턴 모터(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텝(210)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5루틴(R5)은,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인지를 판별하는 스텝(221)과,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로 판별되면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하는 스텝(218)과, 상기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면 캡스턴 모터 구동과정(P2)에서 출력되는 FG펄스의 수를 카운트하는 스텝(219)과, 상기 카운트되는 FG 펄스의 수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의 기준 FG 수와 같은지를 비교하는 스텝(220)과, 다르면 언로딩 스톱(ULS) 모드의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아질때까지 캡스턴 모터(70)를 계속 회전시키고 언로딩 스톱(ULS) 모드의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으면 메인 서보 IC(170)로 스톱 제어 신호(STOP CTL)을 출력시키는 스텝(209)과, 스톱 제어 신호(STOP CTL)가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되면 캡스턴 모터(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스텝(210)의 순으로 이루어진다.
아래의 표 1은 모드 변화에 따라 스톱 센서(S1),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을 기준 신호로 사용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 발명은, 리모콘이나 본체에 부착된 키패드로부터 소정의 키가 입력되거나 테이프 카세트가 기기본체내에 삽입되면 키입력부(150)의 놉이나 센서를 통해 앤드 게이트(155)의 한 입력으로 제공된다. 이때, 앤드 게이트(155)의 다른 입력에는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제공되고 있으며, 테이프 카세트가 로워 샤시내에 안착이 되어있지 않거나 이젝트 레버가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는 키 입력부(150)의 출력을 마이콤(160)으로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카세트 인 센서(S2)로부터 하이 신호가 출력되면 초기화 과정(P1)의 스텝(210)에 의하여 상기 키입력부(150)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모드 신호인지 테이프 인 신호인지가 판별된다. 상기 스텝(201)에서 마이콤(160)으로 입력된 신호가 모드 신호이거나 테이프 인 신호로 판별되는 스텝(202)에 의하여 입력된 모드를 판별한다. 여기서 모드라함은 재생키, 스톱키, 이젝트 키등이 입력되거나 테이프 카세트가 기기본체내에 삽입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스텝(202)에 의하여 입력된 모드가 판별되면 스텝(203)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와 판별된 입력모드가 같은지를 비교한다. 이때,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와 판별된 입력 모드가 같다고 판별도면 마이콤(160)은 아무런 동작도 취하지 않고, 다르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 구동 과정(P2)이 수행되면서 캡스턴 모터 제어과정(P3)이 수행된다.
즉, 상기 스텝(203)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와 판별된 입력 모드가 다르다고 판별되면 판별된 입력 모드에 해당되는 시작 제어 신호(START CTL)를 캡스턴 모터 구동 과정(P2)의 스텝(204)에서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서보 IC(170)는 상기 마이콤(160)으로부터 출력되는 시작 제어 신호(START CTL)에 따라 후단에 연결된 캡스턴 모터 제어부(175)를 제어하여 캡스턴 모터(7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205). 상기 캡스턴 모터(70)가 회전하게 되면 FG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마이콤(160)으로 피드백된다(206).
즉, FG 신호 검출부(180)에서는 상기 캡스턴 모터(70)에서 발생되는 FG 신호를 검출하여 증폭부(185)를 통해 적정 레벨로 증폭시킨 후 변환부(190)로 출력한다. 변환부(190)에서는 아날로구 타입(사인파)의 FG 신호를 디지탈 타입(구형파)의 FG 신호로 변환한 후 마이콤(160)으로 다시 출력한다. 마이콤(160)에서는 상기 변환부(190)에서 출력되는 FG 신호를 FG 신호출력부(163)를 통해 비교부(164)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초기화 과정(P1)의 스텝(203)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와 판별된 입력 모드가 다르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70)를 회전시키는 캡스턴 모터 구동과정(P2)이 수행되면서 캡스턴 모터 제어 과정(P3)의 스텝(207)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207)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로 판별되면 스텝(208)에 의하여 마이콤(160)의 기준신호 발생부(162)의 스톱센서(S1)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스톱 센서(S1)는 모두 판별부(161)의 출력에 의거하여 스톱(STOP) 모드에서만 하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상태로 트리거되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에 의해 링 기어가 회전하여 링 기어의 위치가 스톱모드에 위치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스텝(209)이 수행되어 메인 서보 IC(170)로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출력하고 스텝(210)에서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캡스턴 모터 제어 과정(P3)의 스텝(207)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인지를 판별하여 아니라고 판별되면 스텝(211)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재생(PB)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211)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재생(PB) 모드로 판별되면 스텝(212)에서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톱 센서(S1)는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 상태였으므로 계속 하이 상태를 유지하다가 재생에 관련된 키가 입력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스텝(212)에 의하여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 상태로 트리거되었다고 판별되면 상기 캡스턴 모터 구동과정(P2)에서 출력되는 FG 펄스의 수를 스텝(213)에서 카운트한다.
그리고, 스텝(214)에서 재생 모드에 해당되는 기준 FG 수와 상기 스텝(213)에 의하여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은지를 비교한다. 이때,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같아질때까지 캡스턴 모터(70)를 회전시키면서 FG 수를 카운트하는 상기 스텝(213,214)을 계속 수행하다가 재생(PB) 모드에 해당되는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수가 같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에 의해 링기어가 회전하여 링 기어의 위치가 재생(PB) 모드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므로 스텝(209)에 의하여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한다. 상기 스텝(209)에 의하여 메인 서보 IC(170)로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출력하면 스텝(210)에서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캡스턴 모터 제어 과정(P3)의 스텝(211)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재생(PB) 모드인지를 판별하여 아니라고 판별되면 스텝(215)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215)의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로 판별되면 스텝(216)에 의하여 마이콤(160)의 기준 신호 발생부(162)의 스톱(STOP) 센서(S1)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한다.
이때, 상기 스톱 센서(S1)의 출력이 로우에서 하이상태로 트리거되면 캡스턴 모터의 호전에 의해 링 기어가 회전하여 현재 링 기어의 위치가 스톱(STOP) 모드에 위치해있는 것을 나타내므로 스텝(209)이 수행되어 메인 서보 IC(170)로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출력하고 스텝(210)에서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캡스턴 모터 제어 과정(P3)의 스텝(215)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인지를 판별하여 아니라고 판별되면 스텝(217)에 으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217)에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로 판별되면 스텝(218)에서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는지를 판별한다. 그 이유는,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는 순간이 이젝트(Eject) 모드이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카세트 인 센서(S2)는 스톱(STOP) 모드, 재생(PB) 모드에서는 항상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언로딩 스톱(ULS)모드에서는 하이나 로우 신호를 출력하며 이젝트(Eject) 모드에서는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스텝(218)에 의하여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 상태로 트리거되었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언로딩 스톱(ULS) 모드 위치로 변환하기 위하여 캡스턴 모터 구동과정(P2)에서 출력되는 FG 펄스의 수를 스텝(219)에서 카운트한다. 그리고, 스텝(220)에서 언로딩 스톱(ULS) 모드에 해당되는 기준 FG 수와 상기 스텝(219)에 의하여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은지를 비교한다. 이때,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같아질때까지 캡스턴 모터(70)를 회전시키면서 FG 수를 카운트하는 상기 스텝(219,220)을 계속 수행하다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에 해당되는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에 의해 링기어가 회전하여 링 기어의 위치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 나타내므로 스텝(209)에 의하여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한다. 상기 스텝(209)에 의하여 메인 서보 IC(170)로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출력하면 스텝(210)에서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한편, 캡스턴 모터 제어 과정(P3)의 스텝(217)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스톱(STOP)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인지를 판별하여 아니라고 판별되면 스텝(221)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221)에 의하여 현재 메카니즘의 모드가 재생(PB) 모드이고 판별된 입력 모드가 이젝트(Eject) 모드로 판별되면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는 순간이 이젝트(Eject) 모드이므로, 스텝(218)에서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상태로 트리거되는지 판별한다. 이때, 상기 카세트 인 센서(S2)는 스톱(STOP) 모드, 재생(PB) 모드에서는 항상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언로딩 스톱(ULS) 모드에서는 하이나 로우 신호를 출력하여 이젝트(Eject) 모드에서는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스텝(218)에 의하여 카세트 인 센서(S2)의 출력이 하이에서 로우 상태로 트리거되었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하여 연속적으로 언로딩 스톱(ULS) 모드 위치로 변환하기 위하여 캡스턴 모터 구동과정(P2)에서 출력되는 FG 펄스위 수를 스텝(219)에서 카운트한다.
그리고, 스텝(220)에서 언로딩 스톱(ULS) 모드에 해당되는 기준 FG 수와 상기 스텝(219)에 의하여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은지를 비교한다. 이때, 같지 않다고 판별되면 같아질때까지 캡스턴 모터(70)를 회전시키면서 FG 수를 카운트하는 상기 스텝(219,220)을 계속 수행하다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에 해당되는 기준 FG 수와 카운트되는 FG 수가 같다고 판별되면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에 의해 링기어가 회전하여 링 기어의 위치가 언로딩 스톱(ULS) 모드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므로 스텝(209)에 의하여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메인 서보 IC(170)로 출력한다. 상기 스텝(209)에 의하여 메인 서보 IC(170)로 스톱 제어신호(STOP CTL)를 출력하면 스텝(210)에서 캡스턴 모터(7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동작완료시 테이프 카세트의 내부공간으로 회전드럼을 완전히 수용할 수 있게 하여 그 사이즈를 초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자체를 테이프 카세트와 유사한 포켓사이즈의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구동원에 의한 각 주행요소들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그 구성부품을 대폭 삭감할 수 있으므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8)

  1. 일정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 카세트내의 자기 테이프를 회전드럼측으로 로딩시켜 이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시키기 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기본체의 내부로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개폐되는 이젝팅 수단; 상기 테이프 카세트를 수납하는 카세트 홀더; 상기 카세트 홀더를 승강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그 카세트 홀더의 하강회동시에 테이프 카세트의 각 허브가 끼워지는 한 쌍의 리일을 구비하는 슬라이더; 일측에 상기 회전 드럼이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수평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그 슬라이더의 일방향으로서의 이동중에 상기 회전드럼이 상기 카세트 홀더 내의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에 접촉되면서 그 테이프 카세트의 내부공간으로 완전히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젝팅 수단의 개폐동작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이동되는 어퍼샤시; 및 상기 어퍼샤시의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어퍼샤시가 하강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를 상기 회전드럼에 감기도록 로딩시키는 자기 테이프 로딩계와, 상기 회전드럼에 감긴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자기 테이프 주행계가 설치되는 로워샤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의한 회전력이 상기 자기 테이프 로딩계 및 자기 테이프 주행계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3. 재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 로딩계가, 상기 로워샤시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제1기어와, 이 제1기어에 순차적으로 치차맞춤되는 다수의 작은 기어들과, 이 작은 기어들을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기 로워샤시 중앙부에 설치된 링기어로 이루어진 자기기록 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테이프 주행계가, 상기 로워샤시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구동원으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기어와, 이 제2기어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종동기어와, 이 종동기어에 치차맞춤됨과 동시에 그 상측이 레버로 연결되어 좌우 회동하는 아이들러기어로 이루어진 자기기록 재생장치.
  5.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기기본체 내부로 삽입된 자기 테이프 카세트의 자기 테이프를 회전드럼에 감기도록 로딩시키는 자기 테이프 로딩계와, 상기 회전드럼에 감긴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키는 자기 테이프 주행계와, 상기 자기 테이프 로딩계 및 자기 테이프 주행계가 설치된 로워샤시를 구비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구동원; 상기 로워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기 테이프 로딩계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제1기어; 상기 로워샤시 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자기 테이프 주행계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제2기어; 상기 로워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 상기 레버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원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기어에 치차 맞춤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동되면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선택적으로 치차 맞춤되는 전달기어; 및 상기 전달기어에 의해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중 어느 한쪽 기어가 회전될 때 상기 전달기어가 밀려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레버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위치규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기기록 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규제 수단이 구동코일과, 이 구동코일에 대향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영구자석이 부착된 플런저로 구성되어, 이 플런저가 축을 중심으로 자력 및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있게 회동하여 상기 레버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게 한 자기기록 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일측으로 연장형성된 아암부 끝단의 걸림편에 의해 상기 레버의 돌출 형성된 핀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한 자기기록 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저는 상기 구동코일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 축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핀의 위치규제를 해제하여 상기 전달기어가 상기 구동원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하며 전원이 끊어진 경우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가 원위치하여 상기 핀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한 자기기록 재생장치.
KR1019930005016A 1992-04-14 1993-03-29 자기기록 재생장치 KR10018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016A KR100188916B1 (ko) 1992-04-14 1993-03-29 자기기록 재생장치
ES09350032A ES2080672B1 (es) 1992-04-14 1993-04-09 Aparato subminiatura de grabacion y reproduccion magnetica y metodo de control del funcionamiento del mismo.
ES09550035A ES2119669B1 (es) 1992-04-14 1993-04-09 Aparat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magnetica
PCT/KR1993/000026 WO1993021631A1 (en) 1992-04-14 1993-04-14 Subminiatur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93105932A CN1061158C (zh) 1992-04-14 1993-04-14 超小型记录及重播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6199 1992-04-14
KR92-6199 1992-04-14
KR1019930005016A KR100188916B1 (ko) 1992-04-14 1993-03-29 자기기록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307A KR930022307A (ko) 1993-11-23
KR100188916B1 true KR100188916B1 (ko) 1999-06-01

Family

ID=2662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016A KR100188916B1 (ko) 1992-04-14 1993-03-29 자기기록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188916B1 (ko)
CN (1) CN1061158C (ko)
ES (2) ES2080672B1 (ko)
WO (1) WO1993021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896B2 (ja) * 1992-12-17 2002-01-07 三星電子株式会社 テープレコーダーのハウジング装置
KR950004175A (ko) * 1993-07-26 1995-02-17 김광호 아이들러 제어장치
KR0147570B1 (ko) * 1993-07-26 1998-10-15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 가이드 장치
KR0141235B1 (ko) * 1993-07-30 1998-07-15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동력변환장치
KR0138354B1 (ko) * 1993-08-31 1998-05-15 김광호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모드 복귀방법
US5511738A (en) * 1993-09-22 1996-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dler controlling apparatus of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0138355B1 (ko) * 1993-09-22 1998-05-15 김광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되감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3574A (en) * 1986-02-03 1989-02-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rrangement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3113856A (ja) * 1986-10-30 1988-05-18 Sony Corp テ−プカセツト装着装置
US4985789A (en) * 1987-10-02 1991-01-15 Sanyo Electric Co., Ltd.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use with cassette
JP2537063B2 (ja) * 1987-11-30 1996-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セット装着装置
JP2578625B2 (ja) * 1987-12-18 1997-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セット装着装置
JPH0778941B2 (ja) * 1988-06-22 1995-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セット装着装置
JP2644888B2 (ja) * 1989-04-24 1997-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セット装着装置
JP2709138B2 (ja) * 1989-05-02 1998-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H03283158A (ja) * 1990-03-30 1991-12-13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
JPH03283157A (ja) * 1990-03-30 1991-12-13 Sony Corp テープカセット
US5327306A (en) * 1990-03-30 1994-07-05 Sony Corporation Compact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movable reels and reel spindles
JPH0449564A (ja) * 1990-06-19 1992-0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80672B1 (es) 1998-03-01
CN1078819A (zh) 1993-11-24
ES2080672A2 (es) 1996-02-01
WO1993021631A1 (en) 1993-10-28
ES2119669B1 (es) 1999-05-16
ES2119669A1 (es) 1998-10-01
KR930022307A (ko) 1993-11-23
CN1061158C (zh) 2001-01-24
ES2080672R (ko) 199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3185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610008A (en) Disc playing system with continuous playing function
KR100188916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US4807066A (en) Cassette changer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WO1998027554A1 (fr) Editeur video, editeur et editeur portable
US5148332A (en) Automatic cassett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pivotable magazine holder
US4879613A (en) Cassette tape recorder for multiple cassette tapes
US3552751A (en) Tape cartridge system
US4739421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including device for securing a tape wrapping mechanism at a predetermined position
US5377061A (en) Tape cassette loading apparatus
JP3273637B2 (ja) 記録再生装置用モード切換え機構
US5029036A (en)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US5523907A (en) Door mechanism for a tape recorder
US5159507A (en)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single motor for driving its rotary heads, capstan and reel bases
EP0637020A2 (en) Recording cassette mechanisms
CA1249882A (en) Switching device for a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012299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이젝트 장치
GB2109982A (en) Tape recorder
WO1999044200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lecture de bande magnetique
KR013835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되감기 장치
US4587582A (en) Magnetic tape recorder/player
KR900005640Y1 (ko) 브이씨알의 고속탐사를 위한 테이프 가이드장치
KR97000369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서브샤시 밀림방지장치
JPH079233Y2 (ja) テープカセット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