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0087A - 이단 승강기 장치 - Google Patents

이단 승강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0087A
KR20120130087A KR1020127018420A KR20127018420A KR20120130087A KR 20120130087 A KR20120130087 A KR 20120130087A KR 1020127018420 A KR1020127018420 A KR 1020127018420A KR 20127018420 A KR20127018420 A KR 20127018420A KR 20120130087 A KR20120130087 A KR 20120130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car support
support frame
trav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레나 코르토나
프랭키 슈미드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13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66B1/42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separate from the main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66B11/022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with changeable inter-deck di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66B11/0213Car frames for multi-deck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6Multi-deck elevato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7Tandem operation of multiple elevator cars in the sam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의 운행을 위해 제공된 운행 공간(3) 내에서 운행될 수 있는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을 구비한 승강기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승강기 장치는 또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 상에 배치된 제1 승강기 카(15) 및 제2 승강기 카(16)를 포함한다. 아울러, 유압 조절 장치(24)가 운행 공간(3)의 하단 영역(22)에 배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1 승강기 카(15)는 운행 공간(3)의 하단 영역(22)에서 조절 장치(24)에 의해 제2 승강기 카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단 승강기 장치{DOUBLE-DECKER LIFT INSTALLATION}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승강기 카를 고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승강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소위 이단 승강기 장치로 설계된 승강기 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다.
JP 10-236753 A호에는 이단 승강기가 기재되어 있다. 공지된 승강기는 카 프레임 내에서 하나가 다른 하나 위에 배치된 2개의 카를 구비한다. 2개의 카는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유압 실린더들이 평형추 프레임 내에 배치된다. 일 단이 평형추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 단이 카 프레임에 연결된 견인 케이블이 구동 풀리 위로 안내된다. 아울러, 견인 케이블 외에도, 제2 케이블이 자유회전(freewheeling) 풀리 위로 안내되는데, 일 단이 유압 실린더들에 연결되고, 타 단이 카들 중 하나에 연결된다. 유압 실린더들이 제2 케이블을 구동하면, 카들이 서로에 대해 이동한다.
JP 10-236753 A호에 공지된 이단 승강기는 복잡한 설계를 가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으론, 평형추 프레임의 설계는 유압 실린더들이 승강기 샤프트를 통해 평형추 프레임과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추가적인 제어 수단을 필요로 한다. 아울러, 제2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가이드가 더 필요하다. 작동 중에 견인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의 신장 또는 단축 역시 일어날 수 있고, 이는 2개의 승강기 카 간의 원하지 않는 상대 이동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구조를 가진 승강기 장치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단하게 2개 이상의 승강기 카 간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승강기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 청구항들에 설명된 방안들의 결과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승강기 장치의 유리한 개선들이 가능하다.
따라서, 승강기 장치는은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의 운행을 위해 제공된 운행 공간 내에서 변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다. 제1 승강기 카는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적어도 제2 승강기 카가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 상에 더 배치된다. 조절 장치가 운행 공간의 하단 영역에 배치되며, 제1 승강기 카는 운행 공간의 하단 영역에서 조절 장치에 의해 운행 방향으로 제2 승강기 카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승강기 장치 설계에 있어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은 운행 공간을 정의하는 승강기 샤프트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을 구동하는 역할을 하는 구동 모터부가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은 제공된 운행 경로를 따라 변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은 이에 연결된 견인 수단으로부터 현수될 수 있다. 견인 수단은 구동 모터부의 구동 풀리 위로 적절하게 안내될 수 있다. 견인 수단은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의 구동을 위해 구동 모터부로부터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으로 힘 또는 토크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을 운반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의 구동은 특히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이해되고,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 승강기 카는 제2 승강기 카에 대해 고정될 수 있고, 운행 공간의 하단 영역에서는 제2 승강기 카에 대해 고정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은 제1 승강기 카 지지부 및 제2 승강기 카 지지부를 포함하되, 제1 승강기 카는 제1 승강기 카 지지부에 연결되고, 제2 승강기 카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에 연결되며, 폐쇄 상태에서 제1 승강기 카 지지부를 제2 승강기 카 지지부에 연결하고 개방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하는 연결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폐쇄 상태에서는, 2개의 승강기 카를 구비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이 운행 공간을 통해 변위될 수 있고, 승강기 카들 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다. 예컨대, 한 층이 다른 층 위에 위치하는 상층들 각각은 동일한 층간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폐쇄된 상태에서는, 사람들이 각각의 층에서 양 승강기 카에 출입할 수 있다. 예컨대, 지하 또는 로비가 운행 공간의 하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2개의 승강기 카 지지부가 분리되면, 2개의 승강기 카가 서로에 대해 조절될 수 있다. 개방 상태에서는, 제1 승강기 카가 특히 하강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후, 사람들은 양 승강기 카가 이동한 층에 따라 양 승강기 카에 출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승강기 카는 제1 승강기 카 지지부와 함께 다시 상승될 수 있다. 이후, 연결 잠금 장치는 2개의 승강기 카 지지부를 다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잠금 장치는 폐쇄 상태에서 제1 승강기 카 지지부의 연결점 및/또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의 연결점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예컨대, 연결 부재는 바형 설계를 가질 수 있고, 폐쇄 상태에서는 승강기 카 지지부들에 형성된 관통 보어들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승강기 카 지지부들의 분리를 위해, 연결 부재는 개방 상태를 취하도록 관통 보어들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 잠금 장치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조절 장치는 유리하게 제1 승강기 카를 구비한 제1 승강기 카 지지부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 잠금 장치를 제2 승강기 카 지지부 상에 배치함으로써, 개방 상태에서는 연결 잠금 장치의 중량이 제1 승강기 카 지지부에 작용하지 않으므로, 조절 장치 상의 하중이 제거된다.
제1 승강기 카가 제2 승강기 카에 대해 조절될 때 운행 공간 내에서 제2 승강기 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에 따라, 제2 승강기 카는 예컨대 제2 승강기 카 지지부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는 승강기 샤프트 및/또는 가이드 레일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운행 공간 내에서 제2 승강기 카를 고정하는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는 빌딩 구조물 등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2개의 승강기 카가 분리되면, 제2 승강기 카 및 상기 제2 승강기 카에 연결된 다른 부품, 특히 제2 승강기 카 지지부의 중량만이 견인 수단에 작용한다. 그로 인해, 견인 수단 상의 하중이 일 단에서 제거된다. 그러나, 예컨대 평형추의 하중이 견인 수단의 타 단에 인가되므로, 구동 풀리에 편압(differential force)이 존재한다. 이는 구동 풀리가 그에 따라 설계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그러므로 제2 승강기 카는 승강기 샤프트를 통해 상향 변위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승강기 카는 힘의 평형을 달성하기 위해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조절 장치는 유압 조절 장치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무엇보다도, 원활하고 진동이 없는 쾌적한 작동을 보장한다.
아울러, 조절 장치는 승강기 샤프트의 피트 내에 배치되고/배치되거나 승강기 샤프트의 저면에 연결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에 따라, 조절 장치의 간단한 설계 및 유리한 정렬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발생되는 압축력을 신뢰성 있게 흡수할 수 있고, 조절을 위해 작용하는 압축력을 조절 장치로부터 제1 승강기 카로 유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승강기 카 및 제2 승강기 카는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이 운행 공간을 통해 변위될 수 있는 운행 준비 상태에서 최소 기본 간격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제1 승강기 카는 운행 공간의 하단 영역에서 제어된 방식으로 하강될 수 있고, 그 결과로 승강기 카들 간의 간격이 최소 기본 간격에 비해 증가한다. 사람들이 승강기 카들에 출입한 후, 2개의 승강기 카 간의 최소 기본 간격이 복구될 때까지 제1 승강기 카가 다시 상승될 수 있다.
대응하는 구성요소들이 대응하는 도면부호들을 가지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후술하는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연결 잠금 장치의 폐쇄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대표적인 승강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연결 잠금 장치의 개방 상태에서의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은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의 운행을 위해 제공된 운행 공간(3) 내에서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을 구비한 승강기 장치(1)를 도시한다. 운행 공간(3)은 건물의 승강기 샤프트(4) 내에 제공된다. 정지점(5, 6)을 나타내는 여러 층(5, 6)이 구비된다. 층들(5, 6)은 승강기 장치(1)의 2개의 최저층이다. 통상, 층들(5, 6)의 위에 다른 많은 층들 또는 정지점들이 존재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은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 및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를 포함한다.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은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에 부착된 시브들(sheaves, 9, 10)을 구비한다. 견인 수단(11)이 시브들(9, 10) 주위로 안내된다. 아울러, 견인 수단(11)은 구동 모터부(13)의 구동 풀리(12) 주위로 진행된다. 구동 모터부(1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풀리(12)의 현재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이 진행 공간(3)을 통해 상향 또는 하향 변위된다. 따라서, 2개의 승강기 카 지지부(7, 8)를 구비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이 운행 공간(3)을 통해 운행될 수 있다.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은 제1 승강기 카(15) 및 제2 승강기 카(16)를 고정한다. 제1 승강기 카(15)는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 상에 배치되고, 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2 승강기 카(16)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 상에 배치되고, 이에 연결된다. 제1 승강기 카(15)는 출구 레벨(17)을 가진다. 제2 승강기 카(16) 역시 출구 레벨(18)을 가진다. 두 출구 레벨(17, 18) 간에 간격(19)이 정의된다. 도 1에 도시된 기본 위치에서는, 2개의 승강기 카(15, 16) 간의 최소 기본 간격(20)이 제공되고, 그에 따라 간격(19) 역시 최소이다. 간격(19)은 더 높이 위치한 층들을 위해 요구되는 층들 간의 통상의 간격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간격(19)은 최저층들인 층들(5, 6) 간의 층간 간격(21)보다 작다.
층들(5, 6)로 이동하기 위해,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은 제2 승강기 카(16)의 출구 레벨(18)이 층(6)에 위치하도록 구동 풀리(12)의 대응하는 구동에 의해 하단 영역(22)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의 위치에서는, 간격(19)이 층간 간격(21)보다 작기 때문에 제1 승강기 카(15)의 출구 레벨(17)이 층(5) 위에 위치한다.
제2 승강기 카(16)가 층(6)에 정지하면,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 내에 배치된 제1 승강기 카(15)는 운행 공간(3)의 하단 영역(22)에 위치한다. 승강기 샤프트(4)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 아래에 피트(23)를 구비한다. 실린더(25) 및 피스톤 로드(26)와 함께 실린더(25) 내에서 안내되는 피스톤을 구비한 유압 조절 부재(24)가 피트(23) 내에 배치된다. 피스톤 로드(26)는 방향(27)으로 상향 조절되거나 또는 방향(28)으로 하향 조절될 수 있다. 도시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의 위치에서는, 피스톤 로드(26)에 연결된 판형 단부 부품(29)이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의 하측(30)을 지지할 때까지, 피스톤 로드(26)가 방향(27)으로 상향 조절되었다. 판형 단부 부품(29)은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이 판형 단부 부품(29)까지 운행되도록 상기 위치에 이미 위치한 것일 수도 있다.
승강기 장치(1)는 연결 잠금 장치(35)를 구비한다. 연결 잠금 장치(35)는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 상에 배치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연결 잠금 장치(35)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 상에 배치되며, 제2 승강기 카(16)에 연결된다. 아울러, 승강기 장치(1)는 제2 승강기 카(16)를 위한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를 구비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에 연결된다.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을 적절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7)이 승강기 샤프트(4) 내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구체적으로, 구동 모터부(13)에 의한 구동 중의 안내를 보장한다. 더욱이, 2개의 승강기 카 지지부(7, 8) 각각은 가이드 레일(37)과 무관하게 안내될 수 있다. 다른 가이드 레일이 또한 구비될 수 있다.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는 가이드 레일(37)과 상호 작용한다.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에 의해,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 내에 배치된 제2 승강기 카(16)가 가이드 레일(37)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운행 공간(3)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승강기 장치(1)의 설계를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연결 잠금 장치(35)가 개방 상태이고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가 활성 상태인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승강기 장치(1)를 도시한다. 반대로, 도 1은 연결 잠금 장치(35)가 폐쇄 상태이고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가 비활성 상태인 승강기 장치(1)를 도시한다.
제1 승강기 카(15)가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를 통해 유압 조절 부재(24) 상에 지지되면,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가 구동된다.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의 비구동 상태가 도 1에 도시되고, 구동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의 한 쌍의 브레이크 슈가 가이드 레일(37)과 상호 작용한다. 결과적으로,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는 운행 공간(3) 내에서 이동 불가능하게 제2 승강기 카(16)에 고정된다.
연결 잠금 장치(35)는 연결 부재들(38, 39)을 구비한다. 폐쇄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들(38, 39)이 승강기 카 지지부들(7, 8)을 함께 연결하도록 연장된다. 그에 따라, 연결 부재(38)는 연결점(40)에서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와 상호 작용하고, 연결점(41)에서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와 상호 작용한다. 예컨대, 관통 보어들이 승강기 카 지지부들(7, 8)의 연결점들(40, 41)에 구비될 수 있고, 연결 부재(38)가 상기 관통 보어들에 맞물린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연결점들(42, 43)이 또한 연결 부재(39)를 위해 승강기 카 지지부들(7, 8)에 구비된다. 폐쇄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39)가 연결점들(42, 43)과 상호 작용한다.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가 활성화되면, 연결 잠금 장치(35)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연결 부재들(38, 39)은 수축된다. 도 2에는 수축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승강기 카 지지부들(7, 8)이 분리된다. 이후, 판형 단부 부품(29)을 구비한 피스톤 로드(26)가 방향(28)으로 하향 이동한다. 이는 실린더(25)로부터의 가압 유체의 제어된 토출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는 제1 승강기 카(15)와 함께 하향 이동한다. 그에 따라, 간격(19)이 증가한다. 간격(19)이 층간 간격(21)과 같으면, 제1 승강기 카(15)를 구비한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가 정지한다. 제1 승강기 카(15)의 출구 레벨(17)은 이제 층(5)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승강기 카들(15, 16) 간의 간격(44)이 최소 기본 간격(20)에 비해 증가하였다.
도 2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사람들이 2개의 승강기 카(15, 16)가 이동한 각각의 층(5, 6)에서 2개의 승강기 카(15, 16)에 출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층간 간격(21)이 승강기 샤프트(4) 내의 다른 층들의 통상의 층간 간격과 다른 경우, 사람들이 동시에 2개의 승강기 카(15, 16)에 출입할 수 있다.
사람들이 승강기 카(15, 16)에 출입한 후, 피스톤 로드(26)가 방향(27)으로 조절된다. 이는 펌프에 의해 실린더(25)에 가압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간격(44)이 감소한다. 간격(44)이 최소 기본 간격(20)에 도달하면, 연결 잠금 장치(35)가 연결 부재들(38, 39)을 통해 2개의 승강기 카 지지부들(7, 8)을 함께 연결하도록 구동된다. 이후,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는 불활성화된다. 도 1에 도시된 상황이 다시 일어난다. 다음으로, 2개의 승강기 카(15, 16)를 구비한 전체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은 구동 모터부(13)에 의해 운행 공간(3)을 통해 변위될 수 있다. 2개의 승강기 카(15, 16)는 자신의 목적층으로 이동한다. 승강기 카들(15, 16) 간의 최소 기본 간격(20)은 간격(19)이 다시 통상의 층간 간격에 대응하도록 기결정된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다른 층에서 동시에 양 승강기 카(15, 16)에 출입할 수 있다.
연결 잠금 장치(35)가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 상에 배치되므로, 그 질량 또는 중량이 유압 조절 부재(24)에 의해 이동 또는 상승될 필요가 없다. 이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에 부착된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유압 조절 부재(24)의 설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다른 부품들, 특히 펌프에도 영향을 미친다. 다른 한편으론, 유압 조절 부재(24)는 그 질량이 구동 모터부(13)에 의해 이동될 필요가 없도록 피트(23) 내에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된다.
유압 조절 부재(24)는 피트(23)의 기부(45)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 로드(26)는 제1 승강기 카(15)를 구비한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의 중량이 작용하는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되기 때문에, 힘을 유리하게 전달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유압 조절 부재(24)는 유압 조절 장치(24)를 형성한다. 승강기 장치(1)의 설계에 따르면, 다수의 유압 조절 부재(24)가 유압 조절 장치(24)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2개의 승강기 카(15, 16)는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이 운행 공간(3)을 통해 이동할 수 있는 운행 준비 상태에서 최소 기본 간격(20)을 가질 수 있다. 승강기 카 지지부들(7, 8)이 분리된 비잠금 상태에서는, 최소 기본 간격(20)보다 큰 승강기 카들(15, 16) 간의 간격(44)을 달성할 수 있다. 제2 승강기 카(16)는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승강기 카(15)는 매우 효율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유압 조절 부재(24)에 의한 조절은 최소 진동으로 매우 원활히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높은 쾌적도를 달성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의 운행을 위해 제공된 운행 공간(3) 내에서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을 구비한 승강기 장치(1)에 있어서,
    제1 승강기 카(15)가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제2 승강기 카(16)가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 상에 배치되며, 조절 장치(24)가 운행 공간(3)의 하단 영역(22)에 배치되고, 제1 승강기 카(15)는 운행 공간(3)의 하단 영역(22)에서 조절 장치(24)에 의해 운행 방향으로 제2 승강기 카(16)에 대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승강기 카(15)는 제2 승강기 카(16)에 대해 고정될 수 있고, 운행 공간(3)의 하단 영역(22)에서는 제2 승강기 카(16)에 대해 고정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은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 및 적어도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를 포함하되, 제1 승강기 카(15)는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에 연결되고, 제2 승강기 카(16)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에 연결되며,
    폐쇄 상태에서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를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에 연결하고 개방 상태에서 이들을 분리하는 연결 잠금 장치(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연결 잠금 장치(35)는 폐쇄 상태에서 제1 승강기 카 지지부(7)의 연결점(40, 42) 및/또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의 연결점(39, 43)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부재(38, 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연결 잠금 장치(35)는 제2 승강기 카 지지부(8)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승강기 카(15)가 제2 승강기 카(16)에 대해 조절될 때 운행 공간(3) 내에서 제2 승강기 카(16)를 고정하도록 설계된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동 및/또는 유지 장치(36)는 승강기 샤프트(4)와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하고/상호 작용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37)과 적어도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장치(24)는 유압 조절 장치(24)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 장치(24)는 승강기 샤프트(4)의 피트(23) 내에 배치되고/배치되거나, 승강기 샤프트(4)의 저면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승강기 카(15) 및 제2 승강기 카(16)는 승강기 카 지지 프레임(2)이 운행 공간(3)을 통해 변위될 수 있는 운행 준비 상태에서 최소 기본 간격(2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장치.
KR1020127018420A 2009-12-15 2010-12-01 이단 승강기 장치 KR20120130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79256 2009-12-15
EP09179256.4 2009-12-15
PCT/EP2010/068594 WO2011082897A1 (de) 2009-12-15 2010-12-01 Aufzuganlage mit doppeldec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087A true KR20120130087A (ko) 2012-11-28

Family

ID=4211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420A KR20120130087A (ko) 2009-12-15 2010-12-01 이단 승강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174822B2 (ko)
EP (1) EP2512969B1 (ko)
KR (1) KR20120130087A (ko)
CN (1) CN102741145B (ko)
BR (1) BR112012014441A2 (ko)
HK (1) HK1176341A1 (ko)
SG (1) SG181744A1 (ko)
WO (1) WO2011082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7759B (zh) * 2012-12-10 2016-11-02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能够调整的轿厢间距的双层电梯
US10059566B2 (en) * 2013-05-07 2018-08-28 Otis Elevator Company Connecting cars in a multicar elevator system
WO2014184926A1 (ja) * 2013-05-16 2014-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102014105003A1 (de) * 2014-04-08 2015-10-08 Thyssenkrupp Elevator Ag Aufzugsystem
CN104727746B (zh) * 2015-03-16 2017-01-11 李汉臣 竖井凿岩台车及其施工方法
US10450168B2 (en) 2018-01-15 2019-10-22 Otis Elevator Company Double deck elevator system
CN110844743B (zh) 2018-08-21 2022-07-12 奥的斯电梯公司 跃层电梯和跃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5227A (en) * 1929-05-27 1931-05-12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Multiple-car elevator
US1946982A (en) * 1929-10-10 1934-02-13 Patrick J Campbell Elevator system
US1996982A (en) 1933-03-28 1935-04-09 Sprague Specialties Co Electrolytic condenser
US4976338A (en) * 1989-04-27 1990-12-11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Leveling control system for hydraulic elevator
JPH0472288A (ja) * 1990-07-10 1992-03-06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FI86836C (fi) * 1990-12-17 1992-10-26 Kone Oy Hiss och dess styrsystem
JPH04223985A (ja) * 1990-12-25 1992-08-13 Toshiba Corp ダブルデッキエレべータの運転方法
JP2994891B2 (ja) * 1992-11-27 1999-12-27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多層エレベータ装置
US5526901A (en) * 1994-07-15 1996-06-18 Otis Elevator Company Two car elevator system
JPH10236753A (ja) 1997-02-25 1998-09-08 Otis Elevator Co 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JP3345565B2 (ja) * 1997-04-11 2002-11-18 森ビル株式会社 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SG126669A1 (en) * 1998-02-02 2006-11-29 Inventio Ag Double-decker or multi-decker elevator
SG87910A1 (en) * 1999-10-29 2002-04-16 Toshiba Kk Double-deck elevator car
WO2002038482A1 (fr) * 2000-11-08 2002-05-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 cabine pour ascenseurs a double cabine
JP4791656B2 (ja) * 2001-07-03 2011-10-1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階高可変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107858B2 (ja) * 2002-03-22 2008-06-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FI116617B (fi) * 2003-08-12 2006-01-13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kaksoiskorihissin korivälin säätämiseksi
SG115736A1 (en) * 2004-03-17 2005-10-28 Inventio Ag Equipment for fine positioning of a cage of a multi-stage cage
SG115739A1 (en) * 2004-03-17 2005-10-28 Inventio Ag Equipment for fine positioning of the cages of a multi-stage cage for a lift
FI118081B (fi) * 2005-12-29 2007-06-29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ovien ennakkoaukaisun valvomiseksi kaksoiskorihississä
JP2009196735A (ja) * 2008-02-19 2009-09-03 Toshiba Elevator Co Ltd かご移動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09196810A (ja) * 2008-02-25 2009-09-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12969B1 (de) 2015-02-11
SG181744A1 (en) 2012-07-30
EP2512969A1 (de) 2012-10-24
WO2011082897A1 (de) 2011-07-14
CN102741145A (zh) 2012-10-17
CN102741145B (zh) 2015-01-07
BR112012014441A2 (pt) 2017-04-04
US9174822B2 (en) 2015-11-03
HK1176341A1 (en) 2013-07-26
US20120312636A1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0087A (ko) 이단 승강기 장치
US10280043B2 (en) Support apparatus for an elevator car
JP5577275B2 (ja) 床高さ調節機構付きエレベーター
US20120023863A1 (en) Method And Elevator Arrangement
CN103228565B (zh) 延伸的辊导引件
CN104755402A (zh) 电梯配置
JP569372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4260288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6818909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
EP1914188B1 (en) Elevator device
US10005643B2 (en) Elevator system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4087552A1 (en) Apparatus for driving a double-deck elevator to a landing level
CN110040601B (zh) 用于双层电梯的h形框架
JP4376036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着床制御装置
JP622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3195166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JP546802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988876B2 (ja) 主ロープの振れ抑制装置
CN103058036A (zh) 双层电梯
CN102838003B (zh) 双层电梯的轿厢用紧急制动器的恢复方法
JP421289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227133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着床誤差修正方法
JP2023168698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