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3245A -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구조 프로파일 요소 및 그러한 프로파일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구조 프로파일 요소 및 그러한 프로파일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245A
KR20120093245A KR1020127011225A KR20127011225A KR20120093245A KR 20120093245 A KR20120093245 A KR 20120093245A KR 1020127011225 A KR1020127011225 A KR 1020127011225A KR 20127011225 A KR20127011225 A KR 20127011225A KR 20120093245 A KR20120093245 A KR 2012009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sections
portions
sectione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197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마이흐
Original Assignee
프로텍터웩 플로렌즈 매이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0904815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9048152A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1010026320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0026320A1/d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텍터웩 플로렌즈 매이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프로텍터웩 플로렌즈 매이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2009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83Honeycomb girders; Girders with apertured solid web
    • E04C3/086Honeycomb girders; Girders with apertured solid web of the castellat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 E04C2003/041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the cross-section being built up from several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 E04C2003/043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the open cross-section free of enclosed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73U- or C-shap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명은 박벽(thin-walled)의, 냉간 성형(cold-formed)된 프로파일 요소, 특히 구조 프로파일, 예를 들어 건식벽 구조(drywall construction), 파사드(facade), 플라스터(plaster), 스크리드(screed), 타일 또는 케이블 캐리어 프로파일(cable carrier profile) 또는 선반 또는 배수 레일(drain rail)에 관련된다. 프로파일 요소는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다수의 개구(5)가 형성되는 가늘고 긴 프로파일 몸체(2)를 갖는다. 프로파일 몸체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되어 구성된 종방향 섹션(10, 11)을 포함하고, 각각의 종방향 섹션(10, 11)은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를 포함한다. 종방향 섹션(10, 11)은 각각 가늘고 긴 섹션(16, 17) 및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에 의해 구분되는 가늘고 긴 섹션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된 복수의 연결 섹션(14, 15)을 포함한다. 하나의 종방향 섹션(10)의 연결 섹션(14)은 다른 종방향 섹션(11)의 연결 섹션(15)을 마주하고, 각각의 경우에 후자에 모서리 대 모서리로 용접되거나, 굽은 접합 모서리를 따라 서로 연결된다. 적어도 일부의 섹션에서, 개구(5)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의 섹션에 의해 구분된다.

Description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구조 프로파일 요소 및 그러한 프로파일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THIN-WALLED, COLD-FORMED LIGHTWEIGHT STRUCTURAL PROFILE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PROFILE ELEMENT}
본 발명은,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 가늘고 긴 섹션 몸체(enlongated section body)를 가지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thin-walled cold formed lightweight sectional element), 특히 건식 구조 섹션(dry construction section), 건물의 외장을 위한 섹션(section for face of building), 플라스터 섹션(plaster section), 기초 섹션(base section), 스크리드 섹션(screed section), 타일 섹션(tile section) 또는 케이블 캐리어 섹션(cable carrier section) 또는 프레임 레일(frame rail) 또는 배수 레일(drainage rail)과 관련된다. 발명은 또한 그러한 박벽의 냉간 성형된 섹션형 요소의 제조 방법과 관련된다.
이 유형의 박벽의 냉간 성형된 섹션형 요소는, 예를 들어, 건식 구조에서 C형 직립 섹션으로 사용되며, 섹션형 요소의 섹션 몸체에서 제공되는 개구는 예를 들어, 파이프 또는 기타 중공체(hollow body) 뿐만 아니라 케이블, 선 또는 기타 가늘고 긴 밴드 형(band-shaped) 또는 로프 형(rope-shaped) 요소를 위한 통과 개구(leadthrough opening)로 역할할 수 있다. 또한 이 개구는, 통풍구 구실을 하거나, 절연 재료와 같은 충전 재료(filler material)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역할할 수도 있다.
알려진 박벽의 냉간 성형된 섹션형 요소에서, 이 개구는, 예를 들어, 펀칭 절차(punching procedure)에 의해 도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펀칭되어 나온 재료는 쓰레기를 형성하고, 이에 따라 그러한 박벽의 냉간 성형된 섹션형 요소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어, 불리하다.
단순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감소된 재료를 들여 제조될 수 있는 앞서 언급한 종류의 박벽의 냉간 성형된 섹션형 요소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그러한 박벽의 냉간 성형된 섹션형 요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것이다.
섹션형 요소에 관련된 목적은, 앞서 언급한 종류의 박벽의 냉간 성형된 섹션형 요소로부터 시작하여, 섹션 몸체가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되어 형성된 종방향부(longitudinal portion)를 포함하고, 각 종방향부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meandering longitudinal edge)를 포함하고, 종방향부는 가늘고 긴 부분(enlongated portion)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연결부(connection portion)뿐 아니라 가늘고 긴 부분을 각각 포함하고, 하나의 종방향부의 연결부는 다른 종방향부의 연결부와 마주하고 거기에 단부 대 단부로(end-to-end) 용접되거나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bent-over abutment edge)를 따라 상호 연결되고, 개구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의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분되고, 종방향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stiffening bead) 및 거기에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는 종방향부에 형성되고,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와 통하고,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는 연결부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만족된다.
방법에 관련된 목적의 일부는, 앞서 언급한 종류의 방법으로부터 시작하여,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를 각각 갖는 두 개의 분리된 종방향부가 프로파일 몸체를 생산하도록 제공되고, 종방향부는 각각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를 포함하고, 종방향부는 가늘고 긴 부분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에 의해 구분되는 다수의 연결부뿐 아니라 가늘고 긴 부분도 각각 포함하고, 종방향부는 그 종방향 연장에 대해 횡으로 분리되고, 하나의 종방향부의 연결부는 개구가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의 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다른 종방향부의 연결부에 단부 대 단부로 용접되고, 종방향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 및 거기에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가 종방향부에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가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와 통하고, 횡방향 연장된 보강 비드는 연결부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만족된다.
따라서,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재료가 펀칭되어 나옴에 의한 생산에 대해 절약될 수 있도록 어떠한 쓰레기도 섹션 몸체의 개구의 생산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달리 말해, 섹션형 요소의 더 넓은 설계가 두 개의 분리되어 형성된 종방향부의 떼어져 이동됨에 의해 동일한 양의 재료로 달성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원래 재료부의 폭보다 더 큰 폭이 달성되도록 이렇게 떼어져 이동됨에도 불구하고 두 개의 종방향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종방향부를 그 종방향부에 횡으로 움직여 떼어뜨리도록 하는 두 종방향부의 가늘고 긴 부분에 각각 측면으로 돌출된 연결부 때문에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횡으로"라는 용어는 섹션형 요소 또는 그 종방향부의 종방향으로만 연장되지 않는 임의의 방향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횡으로"라는 용어는 특히 섹션형 요소 또는 종방향부의 종방향 연장에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한 것을 또한 의미할 수도 있다. 연결부는 또한, 더 큰 겹쳐진 영역은 없으나, 실질적으로 두 개의 종방향부 사이에 모서리의 연결이 있도록 서로에 대해 단부 대 단부로 용접되거나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를 따라 서로에 대해 연결된다. 이상적인 재료의 활용은 그렇게 함으로써 또한 달성된다. 섹션형 요소의 강성(stiffeness)이 알려진 섹션형 요소와 동질의 것이거나 그에 비해 더 향상되도록, 개구에 의해 약해진 섹션형 요소의 영역에서 보강이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발명에 따라 배열되고 상호 연결된 보강 비드에 의해 이상적인 방식으로 보장된다.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섹션형 요소의 뒤틀림 강도(torsional strength) 및 휨 강도(deflection strength)는 특히 보강 비드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방법에 관련된 목적의 일부는 발명에 따라, 앞서 언급한 종류의 방법으로 시작하여, 사행형 모서리를 각각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종방향부가 섹션 몸체를 생산하도록 제공되고, 종방향부는 가늘고 긴 부분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연결부뿐 아니라 가늘고 긴 부분을 각각 포함하고, 종방향부는 그들이 평평한 방식으로 서로 접촉하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종방향부의 연결부의 각 연결 모서리가 직접 종방향으로 연장된 다른 종방향부의 연결부의 연결 모서리에 접촉되도록 배열되고, 하나의 종방향부의 연결부는 다른 종방향부의 연결부에 연결, 특히 용접되고, 연결부가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를 따라 상호 연결되고 개구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의 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두 개의 종방향부 중 하나는 다른 종방향부에 대하여 연결 모서리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종방향부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뿐 아니라 거기에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가 종방향부에 형성되고,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와 통하고,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는 연결부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또한 만족된다.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종방향부의 연결부는 서로 인접하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 또는 연결 모서리를 각각 포함한다. 종방향부는 궁극적으로 이 연결 모서리 또는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연결 모서리는 종방향 연장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히, 예를 들어 45°각도로 연장되고,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는 평행하게 연장된다.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T형, 망형(web-shaped), 사다리꼴 형 또는 삼각형이거나, 육각형 영역을 포함한다. 섹션형 요소의 미리 정해진 특성, 예를 들어 그 강성은, 연결부의 대응하는 설계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선택된 모양에 따라, 본 출원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될 바와 같이, 두 개의 종방향부의 각각 다른 종류의 연결이 만들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종방향부의 각각의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종방향부의 연결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연결부는 또한 섹션형 요소의 종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마지막 섹션형 요소에서 연결부의 배열은 추가적인 본문에서 또한 기술될 바와 같은 다른 종류의 연결에 결과적으로 의존된다.
종방향부는 유리하게는 약 0.5mm 내지 3mm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발명에 따른 섹션형 요소는 따라서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량의 섹션이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된 용도에 더하여, 응용은 또한 자동차 분야에서, 스위치 캐비닛 구조(switch canbinet construction)에서, 덮개 시스템(cover system)에서 또는 덩굴 지지대(vine support)나 와인 기둥(wine post)으로도 가능하다.
연결부 사이의 용접 연결은 유리하게는 불연속 레이저 용접 심(discontinuous laser weld seam)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개구에 의해 약해진 섹션형 요소의 중심 영역에서 더 나은 강도는 레이저 용접 심으로 설계됨에 의해 달성된다. 레이저 용접 심은 보통의 용접 연결에 비해, 횡방향으로 줄어든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줄어든 크기 및 그렇게 함으로 매우 좁은 공간에서 발생하는 열의 집중 때문에, 매우 훌륭한 경도(hardness)가 레이저 용접 동안에 녹은 섹션형 요소의 부분에서의 냉각 이후에 달성된다. 또한, 섹션형 요소의 인접 영역이 용접 프로세스에 의해 손상되지 않고 뿐만 아니라 두 종방향부 사이에서 매우 매끄러운 전환이 달성되도록, 심은 단부 대 단부로 상호 연결된 연결 모서리 사이에서 정확히 중심에서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 비드 중 적어도 일부는 연결부 사이에서 용접 심을 넘어 연장된다. 용접 연결의 추가적인 보강은 그렇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종방향부에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는, 바람직하게는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 중 하나 이상을 경유하여 다른 종방향부에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에 연결된다. 보강 비드는 이에 따라 일종의 사다리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개구가 완전히 둘러싸여질 수 있다. 섹션형 요소의 강성은 그렇게 함으로써 특히 개구에 의해 약해진 영역에서 스트레인 최적화 방식(strain-optimized manner)으로 증가될 수 있다.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는 각 종방향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유리하게 연장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섹션형 요소의 전체 길이에 걸쳐 향상된 강성이 균일하게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는 요구되는 강성이 그렇게 하여 유지되는 한, 한번 이상 차단(interrupt)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개구를 구분하는 섹션 몸체의 재료는 특히 딥드로잉(deep drawn)이 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섹션형 요소의 증가된 강성이 특히 개구의 약해진 영역에서 달성될 수 있다. 개구를 구분하는 섹션 몸체의 모서리는 유리하게 구부러질 수 있고, 특히 플랜지 모서리(flanged edge)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종방향부의 연결부는 연결부 사이에서 간접적인 연결이 있도록 종방향부 사이에 배열된 중간 요소를 지나 다른 종방향부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연결 요소 및 중간 요소 사이에서의 연결은 이러한 점에서 단부 대 단부로 이어지거나 겹쳐질 수 있다. 중간 요소는 이러한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가늘고 긴 스트립형 요소(enlongated strip-shaped element)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간 요소는 이러한 점에서 특히 종방향부의 두께와 같은 크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요소는 종방향부의 종방향 연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종방향 모서리를 갖는다. 이에 따라, 중간 요소의 종방향 모서리에 대한 연결 요소의 연결 모서리의 단순한 연결이 가능하다.
연결부는 바람직하게는 크림핑(crimping) 또는 클린칭(clinching)과 같은 압접 프로세스(pressure joining process)에 의하여, 체결(clamping), 압착(squeezing), 가압(pressing), 용접(welding), 스크루잉(screwing), 접착 연결(adhesive bonding), 리벳팅(riveting) 또는 폴딩(folding)에 의하여, 또는 플러그인 연결(plug-in connection)에 의하여 중간 요소로 연결된다. 용접 연결은 특히 언급된 장점이 있는 레이저 용접 연결로 유리하게 다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중간 요소는 또한 유리하게 약 0.5mm 및 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요소는 종방향부와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간 요소는 특히 플라스틱, 특히 PVC로 만들어질 수 있고, 종방향부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전체 섹션의 무게가 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추가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좋은 열 절연이 가능하다. 또한, 플라스틱의 사용으로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분리된 종방향부는 당초에 분리된 재료부로부터 이미 제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된 종방향부는 원래 균일한 재료부로부터 유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발 재료의 종방향 연장에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출발 재료가 두 개의 분리된 종방향부로 나뉘는 적어도 하나의 사행형 슬릿이 가늘고 긴 스트립형 출발 재료로 도입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스트립형 재료부는 평평한 방식으로 서로 위에 위치하고, 절단 프로세스에서, 재료부 둘 다를 통하여 지나는 사행형 슬릿은 적어도 4개의 종방향부가 하나의 절단 프로세스에서 생산되도록 도입된다. 예를 들어, 이들 중 각각의 둘은, 프로파일 몸체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종방향부는 유리하게 그 종방향 연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떼어져 이동된다. 그러나, 떼어져 이동함은 일반적으로 종방향 섹션의 종방향 연장에 비스듬히 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연결부의 모양에 따라, 일반적으로 종방향부의 연결은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종방향부의 떼어져 이동함 이후에 직접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반면,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종방향부의 떼어져 이동함에 더하여 종방향부는 종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옮겨진다. 종방향부의 종방향 이동은 이러한 점에서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의 종방향부의 떼어져 이동함의 이전, 이후, 또는 그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종방향 이동은 따라서 두 개의 대향하여 배치된 종방향부의 연결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대향하여 배치된 연결부의 연결 모서리를 접촉시키기 위하여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종방향부의 연결부는 다른 종방향부의 연결부에 직접, 특히 단부 대 단부로 또는 겹쳐져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종방향부는 종방향부 사이에 공간이 일어날 때까지 떼어져 이동될 수 있고, 특히 가늘고 긴 스트립형의 중간 요소는 이격된 종방향부 사이에 자리 잡힐 수 있고, 두 개의 종방향부의 연결부는 중간 요소에, 특히 단부 대 단부로 또는 겹쳐져서 연결될 수 있다. 섹션형 요소의 더 큰 폭도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은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섹션형 요소의 개략적인 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따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섹션형 요소의 제조를 위한 절단 패턴 및 다른 중간 단계이고;
도 5는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한 절단 패턴이 있는 재료부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절단 패턴에 기초한 두 개의 다른 실시예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2에서 도시된 절단 패턴에 기초한 섹션형 요소의 생산을 위한 두 개의 중간 상태이고;
도 10은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이고;
도 11은 발명의 부분도이고;
도 12는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이고;
도 13은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이고;
도 14는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이고;
도 15는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이고;
도 16은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이고;
도 17은 프레임 구조(frame construction)에서 도 12 및 도 14의 실시예이고;
도 18은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이고;
도 19는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이고;
도 20은 발명의 추가적인 가능한 실시예이고;
도 21은 발명에 따른 추가적인 방법에 따라 섹션형 요소를 제조하기 위해 서로 위에 놓인 두 개의 재료부의 투시도이고;
도 22는 섹션형 요소의 제조에서의 중간 단계이고;
도 23은 두 개의 종방향 섹션의 분리 이후의 섹션형 요소이다.
도 1은 C 섹션으로 만들어진 섹션형 요소(1)를 도시한다. 섹션형 요소(1)는 섹션 망(section web)(3) 및 섹션 망(3)에 각각 직각으로 각 지어지도록 거기에 측면으로 인접한 두 개의 섹션 림(section limb)(4)을 갖는 섹션 몸체(2)를 포함한다. 섹션 림(4)의 자유 종방향 모서리는 C형 섹션을 형성하도록 90°만큼 차례로 각 지어진다. 발명에 따른 섹션형 요소(1)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U 섹션, L 섹션, T 섹션, H 섹션, 햇 섹션(hat section) 또는 Z 섹션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섹션 망(3) 내에, 예를 들어 케이블 또는 기타 요소가 놓일 수 있는 통로 개구로 역할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5)가 형성된다.
섹션형 요소(1)의 개구(5)는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발명에 따라 재료의 손실 없이 제조된다.
도 2는 섹션 몸체(2)를 위한 출발 재료로 역할하는 재료 스트립(material strip)(6), 예를 들어 시트 금속 스트립(sheet metal strip)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각 경우에 궁극적으로 섹션 망(3)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 스트립(6)의 단 하나의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이 도시된 반면, 각 경우에서 추가적인 재료 영역이 그 외부 모서리(7, 8)에 인접할 수 있으며, 섹션 림(4)은 예컨대 대응하는 구부러짐에 의해 상기 추가적인 재료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스트립(6)의 종방향 연장에서 연장되고, 이에 의해 재료 스트립(6) 및 따라서 섹션 몸체(2)가 두 개의 분리된 종방향부(10, 11)로 나뉘는 사행형 슬릿(9)이 재료 스트립(6)에서 형성된다. 종방향부(10, 11)에는 각각 도 2에 따른 도면에서 서로 매끄럽게(seamlessly) 접촉한 사행형 슬릿(9)에 의하여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가 주어진다.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는 각각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거기에 수직으로 연장된 모서리부를 각각 포함한다.
종방향부(10, 11)의 망형 연결부(14, 15)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종방향부(10, 11)의 가늘고 긴 부분(16, 17)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고, 그들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한다. 도 2로부터 또한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망형 연결부(14)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에 의해 구분되고 망형 연결부(15)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3)에 의해 구분된다.
섹션 망(3)의 최종형을 생산하기 위해서, 두 개의 종방향부(10, 11)는 도 3에서 도시되는 위치가 될 때까지, 재료 스트립(6)의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의 두 개의 화살표(18, 19)를 따라 떼어져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14, 15)의 연결 모서리(20, 21)는, 파선으로 도시되고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22) 상에 놓인다.
도 4에 따르면, 다음 단계에서, 각각의 연결부(14)가 연결부(15)에 대향하여 놓일 때까지, 두 개의 종방향부(10, 11)는 화살표(25, 26)를 따라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옮겨진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각 연결 모서리(20)는 연결 모서리(21)에 접촉한다.
그 후에, 종방향부(10, 11)는 상호 접촉된 연결 모서리(20, 21)를 따라,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으로, 서로 용접되어, 개구(5)가 있는 섹션 망(3)의 최종형이 달성된다.
더 나은 명확성을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추가적인 실시예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위해 이하에서 사용될 것이다.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T형 연결부(23, 24)가 사행형 슬릿(9)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에서만 앞서 기술된 실시예와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 섹션망(3)의 최종형을 생산하기 위해서, 두 개의 종방향부(10, 11)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의 화살표(18, 19)를 따라 차례로 떼어져 당겨진다. 이 상태에서, T형 연결부(23, 24)의 연결 모서리(20, 21)는 연결 모서리(20, 21)를 따라 섹션 망(3) 및 개구(5)를 형성하도록 선 상에 놓이고,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으로 용접될 수 있다. 처음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도 6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5)가 종방향으로 서로의 뒤에 배열되지 않으나, 교대로 배열된다. 연결부(22, 23)의 T형의 대형 때문에, 기술된 연결이 이 상태에서 이미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 모서리(20, 21)는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에 횡으로 떼어져 당겨진 후에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방법 단계에서, 종방향부(10, 11)는 도 7에서 도시된 위치로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25, 26)에 따른 종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옮겨지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위치에서, 연결 모서리(20, 21)는 완전히 서로 접촉되고 섹션 망(3)을 생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으로, 서로 용접될 수 있다. 이 변형에서, 개구(5)는 서로의 뒤에 종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되고,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에 의해 형성된 H형 설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두 종방향부(10, 11)는 먼저 종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옮겨지고, 그 후에 도 7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종방향에 횡으로 옮겨진다. 비스듬한 이동 또한 일반적으로 가능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으로부터의 종방향부(10, 11)는 서로로부터 공간을 갖고 배치되어있는 도 8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18, 19)를 따라 추가적으로 떼어져 당겨질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스트립형 요소의 형태의 추가적인 중간 요소(27)가 두 종방향부(10, 1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중간 요소(27)는 도 9로부터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 연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연결부(14, 15)의 연결 모서리(20, 21)에 접촉된 종방향 모서리(28, 29)를 갖는다. 섹션 망(3)의 최종형을 생산하기 위해서, 연결 모서리(20, 21)는 후속적으로 중간 요소(27)의 종방향 모서리(28, 29)에 연결, 예를 들어 용접된다. 동시에, 개구(5)는 그렇게 함으로써 차례로 섹션 망(3)의 종방향에 차례차례 교대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도 7에 대하여 이미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 실시예에서 종방향부(10, 11)는 도 10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25, 26)를 따라 서로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차례차례 추가적으로 옮겨질 수 있기도 하다. 이 위치에서, 종방향부(10, 11)의 각각의 연결부(14, 15)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반면에 도 9의 실시예에서 섹션 망의 종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후, 연결부(14, 15)의 연결 모서리(20, 21)는, 섹션형 요소(3) 및 개구(5)의 최종형이 형성되도록 중간 요소(27)의 종방향 모서리(28, 29)에 연결, 예를 들어 용접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 중간 요소(27)를 통한 종방향부(10, 11)의 연결은 망형 연결부(14, 15)를 갖는 종방향부(10, 11)를 참조하여 각 경우에 기술되었으나, 연결부는 또한 그렇지 않은 임의의 적절한 모양,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7로부터의 연결부(23, 24)의 T형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모든 실시예에서, 중간 요소(27)가 있는 연결부(14, 15) 및 연결부(23, 24) 사이의 연결은 그 모서리(20, 21) 및 모서리(28, 29) 연결로서 각각 기술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결 요소는 중간 요소와 겹치고, 대응하는 부분적인 연결은 예컨대 크림핑 또는 클린칭에 의하는 것과 같은 압접 프로세스에 의해, 체결, 압착, 가압, 용접, 스크루잉, 접착 연결, 리벳팅 또는 폴딩에 의해 또는 플러그인 연결에 의해 이 요소들 사이에서 생산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망(27)과 연결부(14) 사이에서 대응하는 부분적으로 접힌 연결은 도 11에서의 예시의 방식으로 상세도에서 분리되어 도시된다.
도 10에서만 도시된 것과 같은 보강 비드(30)가 발명에 따라 재료부(6) 내에 형성된다. 이 보강 비드(30)는 연결부에 만들어지거나 연결부로 연장된다. 유리한 보강은 섹션 망(3)의 종방향에 횡으로의 프로파일에 의해 달성된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부(6)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보강 비드(30)와 통하는 대응하는 보강 비드(31)가 종방향 모서리(7, 8)의 영역에 또한 형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보강 비드(30)는, 도 4에서 표시되고, 도 10의 하부 영역에서 파선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고 개구(5)가 보강 비드에 의해 완전히 에워 싸이도록 대향하여 배치된 보강 비드(31)에 대해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보강 비드(31)는 이러한 점에서 그들을 추가적으로 보강하도록 용접 심을 넘어 연장된다. 대응하는 보강 비드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모든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중간 요소(27)는 도시되지 않은 개구로 만들어지거나 차단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구는 예를 들어 펀칭된 부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중간 요소(27)는 또한 유리하게 개구가 제공될 수도 있고, 대응하는 늘림 프로세스(stretching process)에 의해 확장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양각된 부분 또는 보강 비드의 형태의 보강 요소가 또한 중간 요소(27)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 15)가 여전히 빗(comb)의 방식으로 서로 맞물리는, 재료 스트립(6)의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두 개의 종방향부(10, 11)가 멀리 떼어 당겨지기만 한다는 점에서, 도 12에 따른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다르다. 이 위치에서, 서로 단부 대 단부로 접촉된 연결부(14, 15)의 모서리는 서로 버트 용접(butt welded)된 연결 모서리(20, 21)를 형성한다.
도 13은 두 개의 바깥쪽으로 배치된 종방향부(32)가 그들 사이에 배열된 스트립형 중간 요소(33)와 함께 접속된(plug) 기초 섹션으로 만들어진 섹션형 요소를 도시한다. 중간 요소(33)는 두 개의 이중층의 외부 영역(35)에 의해 인접된 단층의 중심 영역(34)을 갖는다. 그들은 종단면에서 U형으로 만들어지고, 접속되고 체결 방식으로 보유되도록 종방향부(32)의 연결부(55)를 위한 수령자(recipient)(36)를 형성한다. 이러한 점에서 종방향부(32)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반면 중간 요소(33)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 특히 사출 성형된 부분(injection molded part) 또는 계속적으로 압출된 섹션(extruded section)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서, 연결부는 육각 연결부(37, 38)로 만들어진다. 육각 연결부(37, 38)는 거기에 인접하고 가늘고 긴 부분(16 및 17)에 각각 연결된 사다리꼴 영역(40)뿐 아니라 육각 영역(39)을 각각 포함한다. 연결 모서리(20, 21)는 육각 영역(39)의 비스듬히 연장된 모서리로 만들어지고 특히 재료 스트립(6)의 종방향 연장에 45°각으로 연장한다. 연결 모서리(20, 21) 및 거기에 인접한 육각 영역(39)의 모서리(41)는, 개구(5)의 대응하는 각 α, β가 90°각으로 또한 형성되도록, 90°의 각을 각각 포함한다.
연결 모서리(20, 21)는 서로 단부 대 단부로 접촉하고,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 유사하게, 서로에 대해 버트 용접되고, 특히 레이저 용접된다.
도 15에 따른 실시예에서, 연결부는 삼각 연결부(45, 46)로 만들어진다. 삼각 연결부(45, 46)를 형성하기 위해서, 톱니 같은 슬릿(sawtooth-like slit)이 재료 스트립(6)으로 도입되고 그것에 의해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가 형성된다. 그 후에, 두 개의 종방향부(10, 11)는 두 개의 화살표(49, 50)를 따라 재료 스트립(6)의 종방향 연장에 비스듬히 떼어져 당겨진다. 두 개의 종방향부(10, 11)의 이동 방향은 이러한 점에서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의 두 개의 측면(flank)(51, 5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러한 점에서, 두 개의 종방향부(10, 11)는, 측면(51, 52)이 서로 영역상 여전히 접촉하도록 멀리 떼어져 당겨지기만 하여, 연결 모서리(20, 21)가 형성된다. 그들은 도 12 및 도 13에 대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차례로 서로 버트 용접될 수 있다.
도 16에서 도시된 실시예는 가늘고 긴 부분(16, 17)에 대해 그 긴 밑변에 각각 연결되는 사다리꼴 연결부(47, 48)를 차례로 포함한다. 두 개의 종방향부(10, 11)는, 도 15에 대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화살표(53, 54)를 따라 재료 스트립(6)의 종방향 연장에 비스듬히 그리고 도 16에서 도시된 위치에 도달하도록 사다리꼴 부분(47, 48)의 림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떼어져 당겨진다. 이 위치에서, 사다리꼴 부분(47, 48)의 림은 여전히 영역상 접촉해, 연결 모서리(20, 21)가 형성된다. 그들은 도 12 및 도 13에 대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차례로 버트 용접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 따라 만들어진 섹션에 의하여 수직 레일(43)이 형성된 프레임(42)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수평 레일(44)은, 대조적으로, 도 14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방식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각 경우에 도 17의 상부 영역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수평 레일(44) 및 수직 레일(43) 둘 다 또한 본 출원에서 기술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5)가 섹션 망(3)에만 생성되지 않고,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섹션 림(4)의 하나 또는 둘 다에서 형성될 수 있음이 개략적으로 도 18에서 도시된다. 개구(5)가 또한 프로파일 망(3)으로부터 외부 모서리(7, 8)를 지나 섹션 림(4)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이 도 19에서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추가적으로, 개구(5)는 또한 섹션 망(3) 및/또는 섹션 림(4) 중 하나 또는 둘 다에서 완전히 배열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개구(5)의 다른 배열은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20은 발명의 복수의 추가적인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각 경우에, 가장 많이 변형된 설계의 사행형 슬롯이 도입된 재료 스트립(6)이 도시되고, 그 후에 재료 스트립(6)의 두 개의 종방향부는 재료 스트립(6)의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떼어져 당겨지고, 일부의 경우에 종방향 연장에서 추가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옮겨진다. 그렇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개구(5)는 각각 빗금으로 도시된다. 모든 실시예에서, 각 경우에 도면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된 연결 모서리(20, 21)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두 개의 종방향부(10, 11)는 이미 앞서서 기술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모서리(20, 21)를 통해 서로에게 각각 버트 용접된다. 개구(5)는,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형태, 깃발 형태, 8각형 또는 기타 도시된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양에 따라, 두 개의 종방향부(10, 11)는 종방향부(10, 11) 사이의 연결을 추가적으로 보강하는, 떼어져 움직인 방향으로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언더컷(undercut)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1에서, 두 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의, 평평한 재료 스트립(6, 6')은 그들이 서로 평평하게 포개지도록 배열된다. 균일한 사행형 슬릿(9)은 재료 스트립(6, 6') 둘 다로 도입되고, 그것에 의해 재료 스트립(6, 6')은 두 개의 종방향부(10, 11 및 10', 11')로 각각 나뉜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섹션형 요소(1)는 원래 인접한 종방향부(10, 11 또는 10', 11') 각각에 의해 형성되지 않으나, 두 개의 섹션형 요소가 하나는 종방향부(10, 10')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종방향부(11, 11')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목적을 위해, 사행형 슬릿(9)을 생산한 후에, 서로에 놓여있는 종방향부(10, 10')는 서로 독립적인 섹션형 요소를 함께 형성하도록 각각의 다른 종방향부(11, 11')로부터 분리된다.
도 22 및 도 23에서, 종방향부(11, 11')가 있는 섹션형 요소(1)의 제조가 예시로서 도시된다. 서로에 놓여있는 종방향부(11, 11')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연결 모서리(57)에서 함께 용접되어, 용접 심(59)이 연결 모서리(57)의 단부면(58)을 따라 연장되어 생산되도록 한다. 그 후에, 도 22에서 화살표(60)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종방향부(11, 11')는 떼어져 접힌다. 이 목적으로, 예를 들어 종방향부(11)는 도 23에서 도시된 위치가 될 때까지, 화살표(60)를 따라 연결 모서리(57)를 중심으로 약 180°만큼 회전된다. 이 위치에서, 종방향부(11, 11')는 실질적으로 공통 평면에 놓인다.
상호 연결된 연결 모서리(57)는 종방향부(11, 11')가 서로에 단부 대 단부로 연결되는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56)를 형성하도록 회전됨에 의해 구부러진다. 동시에, 개구(5)는 재료 손실에 연관됨 없이,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의 부분 사이에 회전됨에 의해 형성된다.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56) 사이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오버랩 용접(overlap welding), 폴딩, 접착 연결, 클린칭, 리벳팅 또는 체결과 같은 기타 종류의 연결에 의해 또한 생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종방향부의 회전은 최종 섹션형 요소가 갖게 될 모양에 따라 180°와는 다른 각도, 특히 더 작거나 더 큰 각도로 일어날 수 있다. 분리에 의한 섹션형 요소의 제조는 인정하건대 망형 연결부(14, 15)와 관련되어서만 명확히 기술되었으나, 이 제조는 또한 연결될 연결 모서리가 재료 스트립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본 출원의 테두리 안에서 기술된 다른 연결부로도 가능하다.
1. 섹션형 요소
2. 섹션 몸체
3. 섹션 망
4. 섹션 림
5. 개구
6, 6'. 재료 스트립
7. 외부 모서리
8. 외부 모서리
9. 사행형 슬릿
10, 10'. 종방향부
11, 11'. 종방향부
12.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
13.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
14. 망형 연결부
15. 망형 연결부
16. 가늘고 긴 부분
17. 가늘고 긴 부분
18. 화살표
19. 화살표
20. 연결 모서리
21. 연결 모서리
22. 선
23. T형 연결부
24. T형 연결부
25. 화살표
26. 화살표
27. 중간 요소
28. 종방향 모서리
29. 종방향 모서리
30. 보강 비드
31. 보강 비드
32. 종방향부
33. 중간 요소
34. 중심 영역
35. 외부 영역
36. 선
37. 육각 연결부
38. 육각 연결부
39. 육각 영역
40. 사다리꼴 영역
41. 모서리
42. 프레임
43. 수직 레일
44. 수평 레일
45. 삼각 연결부
46. 삼각 연결부
47. 사다리꼴 연결부
48. 사다리꼴 연결부
49. 화살표
50. 화살표
51. 측면
52. 측면
53. 화살표
54. 화살표
55. 연결부
56.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
57. 연결 모서리
58. 단부면
59. 용접심
60. 화살표

Claims (30)

  1.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5)가 형성된 가늘고 긴 섹션 몸체(2)를 가지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thin-walled cold formed lightweight sectional element)로서, 특히 구조 섹션(structural section), 예를 들어 건식 구조 섹션(dry construction section), 건물의 외장(face of building)을 위한 섹션, 플라스터 섹션(plaster section), 기초 섹션(base section), 스크리드 섹션(screed section), 타일 섹션(tile section) 또는 케이블 캐리어 섹션(cable carrier section) 또는 프레임 레일(frame rail) 또는 배수 레일(drainage rail)로서,
    상기 섹션 몸체(2)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되어 형성된 종방향부(10, 11)를 포함하고;
    각각의 종방향부(10, 11)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meandering longitudinal edge)(12, 13)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부는 가늘고 긴 부분(16, 17) 및 상기 가늘고 긴 부분(16, 17)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종방향부(10)의 상기 연결부(14, 23, 37, 45, 47)는 상기 다른 종방향부(11)의 상기 연결부(15, 24, 38, 46, 48)를 마주하고 각각의 경우에 단부 대 단부로 용접되거나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56)를 따라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5)는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의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분되고;
    상기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stiffening bead)(31) 및 거기에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가 상기 종방향부(10, 11)에 형성되고;
    상기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1)와 통하고;
    상기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는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종방향부(10, 11)의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각각 서로 인접되고 서로에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연장된 연결 모서리(20, 21) 또는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서리(20, 21)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히 연장되고 상기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56)는 상기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 연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T형, 망형(web-shaped), 사다리꼴형 또는 삼각형이거나 육각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종방향부(10, 11)의 각각의 하나의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상기 다른 연결부(10, 11)의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상기 섹션형 요소(1)의 종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부(10, 11)는 약 0.5mm 내지 3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의 상기 용접 연결은 불연속 레이저 용접 심(discontinuous laser weld seam)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비드(30, 3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 사이에서 상기 용접 심을 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방향부(10, 11)에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31)가, 다른 종방향부(10, 11)에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비드(31)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1)는 상기 각각의 종방향부(10, 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종방향으로 연장되거나 한번 이상 차단(interrup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5)를 구분하는 상기 섹션 몸체(2)의 재료는 딥드로잉(deep draw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5)를 구분하는 상기 섹션 몸체(2)의 모서리는 구부러지고, 특히 플랜지 모서리(flanged edge)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4.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5)가 형성된 가늘고 긴 섹션 몸체(2)를 가지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로서, 특히 구조 섹션, 예를 들어 건식 구조 섹션, 건물의 표면을 위한 섹션, 플라스터 섹션, 기초 섹션, 스크리드 섹션, 타일 섹션 또는 케이블 캐리어 섹션 또는 프레임 레일 또는 배수 레일로서,
    상기 섹션 몸체(2)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되어 형성된 종방향부(10, 11)를 포함하고;
    각각의 종방향부(10, 11)는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부는 가늘고 긴 부분(16, 17) 및 상기 가늘고 긴 부분(16, 17)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종방향부(10)의 상기 연결부(14, 23, 37, 45, 47)는 상기 다른 종방향부(11)의 상기 연결부(15, 24, 38, 46,48)에 마주하고 연결되고;
    상기 개구(5)는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의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분되고;
    상기 하나의 종방향부(10, 11)의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상기 종방향부(10, 11) 사이에 배열된 중간 요소(27)를 통해 상기 다른 종방향부(10, 11)의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 및 상기 중간 요소(27) 사이의 연결이 단부 대 단부로 또는 겹쳐지도록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27)는 가늘고 긴, 스트립형 요소(strip-shaped element)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7. 제14항 또는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27)는 상기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 연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종방향 모서리(28, 2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클린칭(clinching) 이나 크림핑(crimping)에 의한 것과 같은 압접 프로세스(pressure joining process)에 의해, 체결(clamping), 압착(squeezing), 가압(pressing), 용접(welding), 스크루잉(screwing), 접착 연결(adhesive bonding), 리벳팅(riveting) 또는 폴딩(folding)에 의해, 또는 플러그인 연결(plug-in connection)에 의해 상기 중간 요소(2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27)는 약 0.5mm 내지 3mm 사이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27)는 상기 종방향부(10, 11)와 상이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21. 제14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27)는 플라스틱, 특히 PVC로 만들어지고, 상기 종방향부(10, 11)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22.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5)가 형성된 가늘고 긴 섹션 몸체(2)를 가지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특히 구조 섹션, 예를 들어 건식 구조 섹션, 건물의 표면을 위한 섹션, 플라스터 섹션, 기초 섹션, 스크리드 섹션, 타일 섹션 또는 케이블 캐리어 섹션 또는 프레임 레일 또는 배수 레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각각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를 갖는 두 개의 분리된 종방향부(10, 11)가 상기 섹션 몸체(2)에 제공되고, 상기 종방향부(10, 11)는 각각의 경우에 가늘고 긴 부분(16, 17) 및 상기 가늘고 긴 부분(16, 17)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부(10, 11)는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떼어져 이동되고;
    상기 개구(5)가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의 부분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하나의 종방향부(10)의 상기 연결부(14, 23, 37, 45, 47)는 상기 다른 종방향부(11)의 상기 연결부(15, 24, 38, 46, 48)에 단부 대 단부로 용접되고;
    상기 종방향부(10, 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1) 및 거기에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가 상기 종방향부(10, 11)에 형성되고, 상기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1)와 통하며, 상기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는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부(10, 11)는 그 종방향 연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비스듬히 떼어져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부(10, 11)가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떼어져 이동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종방향부(10, 11)가 실질적으로 종방향으로 서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부(10, 11)의 상기 종방향 이동은 상기 종방향부(10, 11)가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떼어져 이동되는 것 이전에, 이후에, 또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5)가 형성되는 가늘고 긴 섹션 몸체(2)를 가지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특히 구조 섹션, 예를 들어 건식 구조 섹션, 건물의 표면을 위한 섹션, 플라스터 섹션, 기초 섹션, 스크리드 섹션, 타일 섹션 또는 케이블 캐리어 섹션 또는 프레임 레일 또는 배수 레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를 각각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종방향부(10, 10', 11, 11')가 상기 섹션 몸체(2)를 생산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종방향부(10, 10', 11, 11')는 각각의 경우에 가늘고 긴 부분(16, 17) 및 상기 가늘고 긴 부분(16, 17)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연결부(14, 15)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부(10, 10', 11, 11')는 서로 평평한 방식으로 접촉하고,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하나의 종방향부(10, 10', 11, 11')의 상기 연결부(14, 15)의 각각의 연결 모서리(57)가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다른 종방향부(10, 10', 11, 11')의 상기 연결부(14, 15)의 연결 모서리(57)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하나의 종방향부(10, 11)의 상기 연결 모서리(57)는 상기 다른 종방향부(10', 11')의 상기 연결 모서리(57)에 연결, 특히 용접되고;
    상기 연결부(14, 15)가 구부러진 접합 모서리(56)를 따라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개구(5)는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의 부분 사이에 형성되도록, 상기 두 개의 종방향부 중 하나(10, 11)가 상기 다른 종방향부(10', 11')에 대하여 상기 연결 모서리(57)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종방향부(10, 10', 11, 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1) 및 거기에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가 상기 종방향부(10, 10', 11, 11')에 형성되고, 상기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는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1)와 통하며, 상기 횡으로 연장된 보강 비드(30)는 상기 연결부(14, 15)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22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늘고 긴 스트립형 출발 재료(6)의 종방향 연장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행형 슬릿(9)이 상기 출발 재료(6)로 도입되고, 상기 출발 재료(6)를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종방향부(10, 11)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2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특히 금속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5)가 형성되는 가늘고 긴 섹션 몸체(2)를 가지는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섹션형 요소, 특히 구조 섹션, 예를 들어 건식 구조 섹션, 건물의 표면을 위한 섹션, 플라스터 섹션, 기초 섹션, 스크리드 섹션, 타일 섹션 또는 케이블 캐리어 섹션 또는 프레임 레일 또는 배수 레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를 가지는 두 개의 분리된 종방향부(10, 11)가 섹션 몸체(2)를 생산하도록 제공되고, 각각의 경우에 상기 종방향부(10, 11)는 가늘고 긴 부분(16, 17) 및 상기 가늘고 긴 부분(16, 17)을 넘어 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에 의해 구분되는 복수의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부(10, 11)는 그 종방향 연장에 횡으로 떼어져 이동되고;
    상기 개구(5)가 상기 사행형 종방향 모서리(12, 13)의 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상기 하나의 종방향부(10)의 상기 연결부(14, 23, 37, 45, 47)가 상기 다른 종방향부(11)의 상기 연결부(15, 24, 38, 46, 48)에 연결되고;
    상기 종방향부(10, 11)는 상기 종방향부(10, 11) 사이에서 공간이 생길 때까지 떼어져 이동되고;
    스트립형 중간 요소(27), 특히 가늘고 긴 것이 상기 공간을 두고 떼어진 종방향부(10, 11)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두 개의 종방향부(10, 11)의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상기 중간 요소(27)로, 특히 단부 대 단부로 또는 겹쳐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4, 15, 23, 24, 37, 38, 45, 46, 47, 48)는 클린칭 또는 크림핑에 의하는 것과 같은 압접 프로세스에 의해, 체결, 압착, 가압, 용접, 스크루잉, 접착 연결, 리벳팅 또는 폴딩에 의해, 또는 함께 접속함에 의해 상기 중간 요소(27)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11225A 2009-10-01 2010-09-27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구조 프로파일 요소 및 그러한 프로파일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 KR101720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47958 2009-10-01
DE102009047958.9 2009-10-01
DE102009048152.4 2009-10-02
DE102009048152A DE102009048152A1 (de) 2009-10-01 2009-10-02 Dünnwandig kaltverformtes Profil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Profilelements
DE102010026320.6 2010-07-07
DE201010026320 DE102010026320A1 (de) 2010-07-07 2010-07-07 Dünnwandig kaltverformtes Profil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Profilelements
PCT/EP2010/005891 WO2011038879A2 (de) 2009-10-01 2010-09-27 Dünnwandig kaltverformtes leichtbauprofil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profilel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245A true KR20120093245A (ko) 2012-08-22
KR101720197B1 KR101720197B1 (ko) 2017-04-10

Family

ID=4341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225A KR101720197B1 (ko) 2009-10-01 2010-09-27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구조 프로파일 요소 및 그러한 프로파일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32)

Country Link
US (1) US8739491B2 (ko)
EP (2) EP2573291B1 (ko)
JP (1) JP5997608B2 (ko)
KR (1) KR101720197B1 (ko)
CN (1) CN102753766B (ko)
AP (1) AP2012006236A0 (ko)
AR (1) AR078203A1 (ko)
AU (1) AU2010301506B2 (ko)
BR (1) BR112012007058B1 (ko)
CA (1) CA2775987C (ko)
CR (1) CR20120159A (ko)
CY (1) CY1113986T1 (ko)
DK (2) DK2483492T3 (ko)
EA (1) EA022812B1 (ko)
EC (1) ECSP12011758A (ko)
ES (2) ES2403234T3 (ko)
HK (1) HK1169908A1 (ko)
HR (1) HRP20130355T1 (ko)
IL (1) IL218951A0 (ko)
IN (1) IN2012DN02785A (ko)
ME (1) ME01492B (ko)
MX (1) MX2012003705A (ko)
MY (1) MY166255A (ko)
NZ (1) NZ599190A (ko)
PL (2) PL2483492T3 (ko)
PT (1) PT2483492E (ko)
RS (1) RS52742B (ko)
SI (1) SI2483492T1 (ko)
SM (1) SMT201300054B (ko)
TW (1) TWI532946B (ko)
WO (1) WO2011038879A2 (ko)
ZA (1) ZA2012023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02038C (en) * 2010-06-07 2019-01-15 Jeffrey A. Anderson Jointed metal member
DE102010047310A1 (de) 2010-10-01 2012-04-05 Protektorwerk Florenz Maisch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weiten von Metallelementen
GB201202273D0 (en) 2012-02-09 2012-03-28 Modular Walling Systems Ltd Modular construction system
US9834052B2 (en) * 2012-07-06 2017-12-05 Horizon Global Americas Inc. Universal mounting bracket for an adaptable hitch cover
JP5875077B2 (ja) * 2012-11-13 2016-03-0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溶接構造および作業機械
NL2009840C2 (nl) * 2012-11-20 2014-05-21 Maars Holding Bv Scheidingswand.
DE102013200519A1 (de) * 2013-01-15 2014-07-17 Protektorwerk Florenz Maisch Gmbh & Co Kg Bauprofilelement
DE202013006427U1 (de) * 2013-07-17 2013-10-24 Benito Bordonaro Profilkörper zur Konstruktion einer Hilfsvorrichtung
CN105369898B (zh) * 2015-08-25 2017-10-13 河南奥斯派克科技有限公司 基于bim的薄壁槽钢组合房屋
WO2017101960A1 (en) * 2015-12-18 2017-06-22 Knauf Gips Kg Drywall profile for a drywall construction with sound insulation
US20180085932A1 (en) * 2016-09-26 2018-03-29 Hsiu-Man Yu Chen Cutter
US20200087911A1 (en) * 2016-12-14 2020-03-19 Starpartner Pty Ltd Truss, permanent formwork element and slab
JP6819479B2 (ja) * 2017-06-21 2021-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金属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FI128794B (fi) * 2018-04-20 2020-12-15 Konecranes Global Oy Nosturin pääkannattajan jatkoliitos
CN110258924B (zh) * 2019-07-03 2024-01-26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冷弯c形角钢格构式异形柱及其制作方法
USD1021151S1 (en) * 2021-04-26 2024-04-02 Jaimes Industries, Inc. Framing memb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881A (en) * 1994-01-31 1997-09-02 National Gypsum Company Method of making framing components of expanded metal
US20070056245A1 (en) * 2004-09-09 2007-03-15 Dennis Edmondson Slotted metal truss and joist with supplemental flanges
WO2009059731A1 (de) * 2007-11-09 2009-05-14 Protektorwerk Metallprofil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9632C (de) * 1927-09-22 Dornier Metallbauten Gmbh Aus einem Blech kastenfoermig gebogener Traeger
US1741423A (en) * 1926-06-28 1929-12-31 Lachman Maurice Girder
US2002044A (en) 1930-01-16 1935-05-21 Rothenstein Otto Structural element
FR706311A (fr) 1930-11-24 1931-06-23 Hollandsche Constructiewerkplaatsen Nv Procédé pour l'obtention de nouvelles formes de poutre
GB680022A (en) 1950-01-18 1952-10-01 Braithwaite & Company Engine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lements for use in constructional engineering
DE1484305A1 (de) * 1959-05-13 1969-01-23 Franz Litzka Wabentraeger mit zusaetzlichen Versteifungsmitteln
FR1234371A (fr) * 1959-05-13 1960-10-17 Poutre alvéolaire ainsi que procédés et dispositifs pour l'exécution de poutres soudées, en particulier de poutres alvéolaires
US2990038A (en) 1959-05-29 1961-06-27 Diamond Harry Structural beams
CH381838A (de) * 1960-11-11 1964-09-15 Alusuisse Gitterfachwerk
DE1484301A1 (de) 1962-05-11 1969-01-02 Franz Litzka Wabentraeger
JPS4124037Y1 (ko) * 1964-03-31 1966-12-07
US4071995A (en) 1972-10-10 1978-02-07 Farmer Melville E Wall construction member
DE2303466C2 (de) 1973-01-25 1975-03-20 Stanislaus Dipl.-Ing. 7340 Geislingen Mali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benträgers
DE2305371A1 (de) 1973-02-03 1974-08-08 Malik Stanislaus Dipl Ing Wabentraeger
FR2301653A1 (fr) * 1975-02-18 1976-09-17 Bussat Rene Poutre metallique
JPS5652333Y2 (ko) * 1976-01-19 1981-12-07
US4152873A (en) 1977-09-14 1979-05-08 National Gypsum Company Bonded two piece metal stud
JPS5671680A (en) 1979-11-16 1981-06-15 Mitsubishi Heavy Ind Ltd Manufacture of beam material with opening
SU1231170A1 (ru) * 1982-07-14 1986-05-15 Киров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облегченны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балок
WO1986006431A1 (en) 1985-05-02 1986-11-06 Donn Incorporated Expanded metal products
DE3880469T2 (de) 1988-01-12 1993-12-09 Wescol Structures Ltd Lochwandstegträger.
JP2841082B2 (ja) * 1989-08-08 1998-12-24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大口径の開口のある梁およびその製造法
US5669197A (en) * 1991-06-03 1997-09-23 Bodnar; Ernest Robert Sheet metal structural member
NL9300520A (nl) * 1993-03-23 1994-10-17 Constructiewerkplaats G C Grue Constructie-element en werkwijze voor de vervaardiging van een dergelijk constructie-element.
CH687091A5 (de) * 1993-09-02 1996-09-13 Muller Kaltbach Eisen Und Meta Traeger aus Stahl
US5588273A (en) * 1995-02-06 1996-12-31 Csagoly; Paul F. Structural beam
US5525410A (en) 1995-02-24 1996-06-11 Albany International Corp. Press fabric
JP3069295B2 (ja) * 1996-08-29 2000-07-24 三協アルミニウム工業株式会社 断熱型材及び断熱型材の製造方法
DE10259307A1 (de) 2002-12-18 2004-07-08 Protektorwerk Florenz Maisch Gmbh & Co Kg Flächiges Metallelement und Profilelement
GB0510975D0 (en) 2005-05-31 2005-07-06 Westok Ltd Floor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AR054817A1 (es) * 2005-09-01 2007-07-18 Rojas Ubilla Jose Perfil con seccion desplegable
ITVE20050049A1 (it) * 2005-10-12 2007-04-13 Dallan Spa Profilato per pareti in cartongesso ed accessorio per il vincolo al soffitto.
WO2008066640A1 (en) * 2006-11-22 2008-06-05 Shiloh Industries, Inc. Metal framing member
ATE519901T1 (de) 2007-02-23 2011-08-15 Arcelormittal Commercial Sections S 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ägers mit öffnungen
DE102009048153A1 (de) 2009-10-01 2011-04-07 Protektorwerk Florenz Maisch Gmbh & Co. Kg Profil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Profilelements
CA2802038C (en) * 2010-06-07 2019-01-15 Jeffrey A. Anderson Jointed metal memb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1881A (en) * 1994-01-31 1997-09-02 National Gypsum Company Method of making framing components of expanded metal
US20070056245A1 (en) * 2004-09-09 2007-03-15 Dennis Edmondson Slotted metal truss and joist with supplemental flanges
WO2009059731A1 (de) * 2007-11-09 2009-05-14 Protektorwerk Metallprof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P2012006236A0 (en) 2012-04-30
ECSP12011758A (es) 2012-07-31
US8739491B2 (en) 2014-06-03
DK2483492T3 (da) 2013-04-02
IL218951A0 (en) 2012-06-28
DK2573291T3 (en) 2015-02-16
EP2573291A1 (de) 2013-03-27
WO2011038879A3 (de) 2011-06-03
CA2775987C (en) 2018-02-06
PT2483492E (pt) 2013-04-18
EA201270484A1 (ru) 2012-09-28
EP2573291B1 (de) 2014-11-12
MX2012003705A (es) 2012-07-23
TW201118294A (en) 2011-06-01
EA022812B1 (ru) 2016-03-31
CN102753766A (zh) 2012-10-24
BR112012007058B1 (pt) 2019-10-29
PL2573291T3 (pl) 2015-04-30
WO2011038879A2 (de) 2011-04-07
US20120240508A1 (en) 2012-09-27
HRP20130355T1 (en) 2013-05-31
CY1113986T1 (el) 2016-07-27
EP2483492B1 (de) 2013-02-13
RS52742B (en) 2013-08-30
CR20120159A (es) 2012-09-27
CN102753766B (zh) 2015-05-13
TWI532946B (zh) 2016-05-11
ES2403234T3 (es) 2013-05-16
ZA201202305B (en) 2012-12-27
ME01492B (me) 2014-04-20
NZ599190A (en) 2014-01-31
KR101720197B1 (ko) 2017-04-10
PL2483492T3 (pl) 2013-06-28
AU2010301506A1 (en) 2012-04-26
EP2483492A2 (de) 2012-08-08
HK1169908A1 (en) 2013-02-08
IN2012DN02785A (ko) 2015-09-18
BR112012007058A2 (pt) 2016-04-12
ES2529422T3 (es) 2015-02-19
AR078203A1 (es) 2011-10-19
SI2483492T1 (sl) 2013-06-28
CA2775987A1 (en) 2011-04-07
SMT201300054B (it) 2013-07-09
MY166255A (en) 2018-06-22
JP5997608B2 (ja) 2016-09-28
AU2010301506B2 (en) 2014-07-31
JP2013506773A (ja)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3245A (ko)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구조 프로파일 요소 및 그러한 프로파일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
JP6882545B2 (ja) 嵌合式屋根材およびその嵌合式屋根材の接続方法
CA2439951C (en) Steel stud and composite construction panel
US20030014934A1 (en) Sheet metal stud and composite construction panel and method
TWI486509B (zh) 懸掛式天花板之金屬片格狀懸架
JP2017503942A (ja) 双方向連続二重梁によって形成される三次元軽量鋼骨組
US20160340899A1 (en) Adjustably Interconnectable Formwork
KR20070054744A (ko) 조립식 유니버셜 구조형 스틸 패널 및 패널 시스템
US20150121799A1 (en) Rigid insulating panel and rigid insulation panel assembly
HU223583B1 (hu) Tömítőszerkezet betonhézagok tömítésére
JP2013506771A (ja) 形材要素および形材要素の製造方法
KR101623091B1 (ko) 다방향성 주름부를 갖는 중공형 지수판
JPH0246735B2 (ko)
KR101536352B1 (ko) 단열패널 고정철물 및 그를 이용한 단열패널 시공방법
RU212687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оских 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х сотовых структур и конструкций на их основе
FI125259B (fi) Tukiranka
KR200486799Y1 (ko)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JP2000291210A (ja) 長尺状の建築用屋根材
JP2005016107A (ja) 折板屋根
JP5991781B2 (ja) 折板屋根材、その折板屋根材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折板屋根材の接続に使用する固定具
JPS62133243A (ja) 彎曲状建築用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