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99Y1 -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 Google Patents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99Y1
KR200486799Y1 KR2020160003877U KR20160003877U KR200486799Y1 KR 200486799 Y1 KR200486799 Y1 KR 200486799Y1 KR 2020160003877 U KR2020160003877 U KR 2020160003877U KR 20160003877 U KR20160003877 U KR 20160003877U KR 200486799 Y1 KR200486799 Y1 KR 200486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ide wall
ceiling
plate
joi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149U (ko
Inventor
이화중
Original Assignee
이화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중 filed Critical 이화중
Priority to KR2020160003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9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1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0Connections between 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리어(10) 상에 바아(2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바아(20)는 암형의 일단과 숫형의 타단을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이음수단(30)을 구비하고, 상기 이음수단(30)은 일단에 바닥판(21), 측벽판(22), 상단판(23)을 지닌 바아(20)의 타단에서 암수 결합을 위한 치수 축소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건물의 천장에서 캐리어에 결합되는 바아가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되면서 천장패널을 지지하는 강도를 유지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Ceiling finish with extenting structure}
본 고안은 천장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건물의 천장에서 길이 연장 방식으로 천장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물 역할을 하는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실내의 천장부분은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별도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마감된다. 마감재는 판재를 절곡한 샤시 구조의 캐리어와 바아를 사용하며, 일방향으로 배치된 캐리어 상에 타방향으로 바아를 교차시킨다. 다만 이러한 마감재는 천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지만 길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 운반, 보관, 시공에 있어 불편을 초래하므로 적절한 길이로 제한하면서 필요에 따라 연장하는 구조를 검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재의 길이 조절과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8711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35476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에 의하면 파티션 지지프레임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재는 수평연장부와, 상기 수평연장부의 일측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가압면이 형성되는 제1가압부와 제1가압부의 가압면과 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제2가압부를 가진다. 이에, 연결부재의 회동만으로 그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 사이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웨브를 구비하고, 상기 웨브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2개의 플레이트부는 상기 웨브의 상호 대향되는 외측면에 각각 용접결합된다. 이에, 2개의 형강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 2에 의하면 비교적 크기가 큰 별도의 연결부재를 사용해야 하므로 건물의 천장 마감재를 시공하는 작업과 관련하여 유용성을 높이기에 한계를 드러낸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08711호 "파티션 프레임의 연결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부재와 지지프레임" (공개일자 : 2003.03.28.)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635476호 "형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형강의 연결부재" (공개일자 : 2006.10.1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건물의 천장에서 캐리어에 결합되는 바아가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되면서 천장패널을 지지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캐리어 상에 바아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바아는 암형의 일단과 숫형의 타단을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이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음수단은 일단에 바닥판, 측벽판, 상단판을 지닌 바아의 타단에서 암수 결합을 위한 치수 축소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이음수단은 바아의 타단에서 절개부에 의한 치수 축소로 탄성적인 끼워맞춤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절개부는 끼워맞춤 부분의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착탈 가능한 끼움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이음수단은 바아의 타단에서 압착부에 의한 치수 축소로 탄성적인 끼워맞춤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압착부는 끼워맞춤 부분의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사행 형태의 파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바아는 타단에 형성되는 요홈 상으로 일단에 형성되는 돌출판 또는 돌출턱을 맞물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돌출판은 대향하는 측벽부의 거리 변동을 구속하여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결속편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콘크리트 건물의 천장에서 캐리어에 결합되는 바아가 길이의 연장이 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되면서 천장패널을 지지하는 강도를 유지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장 마감재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변형예에 따른 바아의 연장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아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바아의 연장 전ㆍ후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캐리어(10) 상에 바아(2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천장 마감재에 관하여 제안한다. 캐리어(10)는 천장에 고정된 부재 상에 고정대(12)를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바아(20)는 캐리어(10)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15) 상에 맞물림 상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 1은 캐리어(10)와 바아(20)로 구성되는 천장 마감재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여타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설명에서 상ㆍ하ㆍ좌ㆍ우의 방향과 관련된 용어는 도 1 내지 도 3의 상태를 기준으로 명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바아(20)는 암형의 일단과 숫형의 타단을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이음수단(30)을 구비한다. 보편적으로 바아(20)는 일정한 단면 형태를 지닌 알루미늄 샤시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바아(20)의 길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 운반, 보관은 물론 시공에 있어 불편을 초래한다. 이에, 바아(20)는 숫형 구조로 가공된 타단을 암형 구조의 일단과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는 방식으로 취급함이 선호된다. 이음수단(30)은 협의적 의미에서 바아(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숫형 구조로 한정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이음수단(30)은 일단에 바닥판(21), 측벽판(22), 상단판(23)을 지닌 바아(20)의 타단에서 암수 결합을 위한 치수 축소를 수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아(20)의 단면은 하측에 형성된 바닥판(21), 바닥판(21)의 양측에 직각으로 연장된 측벽판(22), 측벽판(22)에 "ㄱ"자 형태로 연장된 상단판(23)으로 구성된다. 이음수단(30)은 바아(20)의 타단에서 치수 축소를 유발하여 암수 결합에 의한 전체적 길이 연장을 도모한다. 다만 치수 축소는 과도한 공수에 의한 비용증가를 배제하는 범위로 제한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이음수단(30)은 바아(20)의 타단에서 절개부(33)에 의한 치수 축소로 탄성적인 끼워맞춤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바아(20)의 타단에서 상단판(23)을 일정 길이로 제거하여 절개부(33)를 형성한 상태를 예시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바닥판(21)을 일정한 길이로 제거하여 절개부(3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바아(20)의 타단에 절개부(33)가 형성되면 일단의 바닥판(21), 측벽판(22), 상단판(23)에 끼워맞춤으로 맞물리기 용이하다. 이웃하는 바아(20)를 맞물리는 과정에서 부호 31의 바닥판과 부호 32의 측벽판은 다소의 탄성적 변형을 수반하여 치수가 축소된 이음수단(30)을 형성한다.
한편, 바아(20)의 타단에서 측벽판(32)에 경사진 구배부(38)를 형성하면 맞물림 작업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절개부(33)는 끼워맞춤 부분의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착탈 가능한 끼움편(34)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끼움편(34)은 비용적 측면에서 고무재가 무난하지만 열에 의하여 부피가 팽창되는 발포재, 물에 의하여 부피가 팽창되는 수분흡수팽창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측벽판(32)의 상단인 절개부(33)에 끼움편(34)이 설치되어 상단판(23)의 내측에 긴밀하게 수용된 상태를 예시한다. 도 3에서 바아(20)와 이음수단(30) 사이의 틈새는 이해를 돕기 위한 표현으로서 실제로는 긴밀한 접촉을 이룬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이음수단(30)은 바아(20)의 타단에서 압착부(36)에 의한 치수 축소로 탄성적인 끼워맞춤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는 평면에서 도 4(b)는 정면에서 압착부(36)에 의한 결합 상태를 나타낸다. 바아(20)의 타단에서 상단판(23)이 겹치면서 상측의 압착부(36)가 형성되는 동시에 바닥판(21)과 측벽판(22)이 교점에서 겹치면서 하측의 압착부(36)가 형성된다. 바아(20)의 성형 과정에서 타단의 일정 영역을 별도의 후처리 금형에 일시 투입하여 압착부(36)에 의하여 치수가 축소된 이음수단(30)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바아(20)와 이음수단(30) 사이의 틈새가 넓은 반면에 결합 용이성은 향상된다.
본 고안의 변형예로서, 상기 압착부(36)는 끼워맞춤 부분의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사행 형태의 파형부(3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에 상단판(23)의 내측에 결합되는 사행 형태의 파형부(37)가 잘 드러난다. 전술한 후처리 금형을 이용하여 압착부(36)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파형부(37)까지 일시에 형성이 가능하다. 사행 형태의 파형부(37)는 반드시 일정한 피치와 폭에 한정되지 않고 자류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일예로, 파형부(37)는 단부에서 폭이 좁고 내측으로 가면서 점차 폭이 증대되는 형태로 하면 상단판(23)에 결합하기 용이하다. 어느 경우에나 파형부(37)의 최대 폭은 상단판(23)의 내면 폭보다 다소 작게 형성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바아(20)는 타단에 형성되는 요홈(42) 상으로 일단에 형성되는 돌출판(45) 또는 돌출턱(48)을 맞물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인접하는 바아(20) 사이에서 이음수단(30)이 충분한 결합 길이를 요한다. 결합 길이가 길어질수록 결합력이 증대되지만 비용증가로 이어지므로 요홈(42), 돌출판(45), 돌출턱(48)으로 결합 길이를 축소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음수단(30)의 측벽판(32)의 단부 중앙에 요홈(42)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돌출판(45)은 측벽판(22)을 U자 형태로 절개하고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돌출턱(48)은 측벽판(22)을 원형이나 각형으로 내측으로 융기시켜 형성된다. 이에 도 6(a)와 같이 천장 마감재 작업시 이웃하는 바아(20)를 연장할 때 돌출판(45)이 요홈(42)에 맞물리거나 돌출턱(48)이 구배부(38)에 접촉되어 상하요동 또는 처짐을 구속한다.
물론 도 5에 예시하는 것처럼 돌출판(45)과 돌출턱(48)은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구성을 다소 약화시켜도 이웃하는 바아(20) 사이의 결합력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판(45)은 대향하는 측벽부(22)의 거리 변동을 구속하여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결속편(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b)에서 L자형의 결속편(46) 또는 도 6(c)에서 예각형의 결속편(46)은 이음수단(30)의 측벽판(32)과 긴밀하게 맞물려 결합력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특히 제1실시예에서 바닥판(21)과 상단판(23)에 절개부(33)를 형성한 경우 대향하는 측벽판(2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에 효능성을 높인다.
한편, 요홈(42)의 주변으로 경사진 형태의 안내홈(43)을 형성하면 요홈(42)과 돌출판(45)의 결합 용이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캐리어 15: 걸림편
20: 바아 21, 31: 바닥판
22, 32: 측벽판 23: 상단판
30: 이음수단 33: 절개부
34: 끼움편 36: 압착부
37: 파형부 38: 구배부
40: 보강수단 42: 요홈
43: 안내홈 45: 돌출판
46: 결속편 48: 돌출턱

Claims (7)

  1. 캐리어(10)에 형성된 걸림편(15)을 이용하여 바아(20)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천장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바아(20)는 암형의 일단과 숫형의 타단을 결합하여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이음수단(30)을 구비하고,
    상기 이음수단(30)은 일단에 바닥판(21), 측벽판(22), 상단판(23)을 지닌 바아(20)의 타단에서 암수 결합을 위한 치수 축소를 수반하되,
    상기 이음수단(30)은 바아(20)의 타단에서 절개부(33)에 의한 치수 축소로 탄성적인 끼워맞춤을 유지하고, 상기 절개부(33)는 끼워맞춤 부분의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착탈 가능한 끼움편(34)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이음수단(30)은 바아(20)의 타단에서 압착부(36)에 의한 치수 축소로 탄성적인 끼워맞춤을 유지하고, 상기 압착부(36)는 측벽판(32)에서 끼워맞춤 부분의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사행 형태의 파형부(37)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바아(20)는 타단에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요홈(42) 상으로 일단에 형성되는 돌출판(45) 또는 돌출턱(48)을 맞물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45)은 대향하는 측벽부(22)의 거리 변동을 구속하여 결합력을 증대하도록 결속편(4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KR2020160003877U 2016-07-05 2016-07-05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KR200486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77U KR200486799Y1 (ko) 2016-07-05 2016-07-05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77U KR200486799Y1 (ko) 2016-07-05 2016-07-05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49U KR20180000149U (ko) 2018-01-15
KR200486799Y1 true KR200486799Y1 (ko) 2018-06-29

Family

ID=6127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877U KR200486799Y1 (ko) 2016-07-05 2016-07-05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9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22Y1 (ko) * 2005-09-06 2006-01-24 주식회사 건일 천정 구조물 지지용 프레임
CN201241414Y (zh) * 2008-08-12 2009-05-20 林伟汎 龙骨连接结构
KR101030320B1 (ko) 2010-10-25 2011-04-20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8711B1 (ko) 1998-11-07 2001-10-19 -- 3방향밸브
KR100635476B1 (ko) 2004-05-17 2006-10-17 (유)선일건설 형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및 형강의 연결부재
KR101221964B1 (ko) * 2011-01-20 2013-01-16 김진만 엠바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022Y1 (ko) * 2005-09-06 2006-01-24 주식회사 건일 천정 구조물 지지용 프레임
CN201241414Y (zh) * 2008-08-12 2009-05-20 林伟汎 龙骨连接结构
KR101030320B1 (ko) 2010-10-25 2011-04-20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49U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267B1 (ko) 스틸하우스용 프레임
KR20120093245A (ko) 박벽의 냉간 성형된 경량의 구조 프로파일 요소 및 그러한 프로파일 요소를 생산하는 방법
KR200485667Y1 (ko) 유로폼 클램핑 장치
KR101614414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 보강장치
KR20180007355A (ko) 무해체 강판 복합 거푸집
KR200486799Y1 (ko)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KR200469835Y1 (ko) 동바리 및 비계용 수평재 체결구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101874201B1 (ko) 건축물 내 외벽 습식 몰탈 부착용 마감패널
KR101247262B1 (ko) 철근 커넥터
KR200480610Y1 (ko) 외장 패널용 고정구
CN210713210U (zh) 一种拼装房
KR101536352B1 (ko) 단열패널 고정철물 및 그를 이용한 단열패널 시공방법
JP5649465B2 (ja) パネル構造
KR101705774B1 (ko) 천장패널 및 벽체패널로 사용 가능한 프레임
KR102668948B1 (ko) 데크플레이트 배열시 연결부 간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한 결합구조
KR20080057278A (ko) 지지 부재 조립체
KR101917666B1 (ko) 건축용 외벽 패널
KR101474747B1 (ko) 스틸 하우스와 같은 구조물의 프레임
KR102316089B1 (ko) 측면, 하부 및 코너강판과 고정철물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강판 거푸집 보
KR102406336B1 (ko) 벽체 고정용 프레임 보강재 구조체
KR102304465B1 (ko) 단열재가 구성된 지붕의 시공구조
CN212715932U (zh) 一种组合钢模板快拆卡扣
KR200386774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
KR102306893B1 (ko) 절곡형 데크플레이트용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