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320B1 -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0320B1
KR101030320B1 KR1020100103788A KR20100103788A KR101030320B1 KR 101030320 B1 KR101030320 B1 KR 101030320B1 KR 1020100103788 A KR1020100103788 A KR 1020100103788A KR 20100103788 A KR20100103788 A KR 20100103788A KR 101030320 B1 KR101030320 B1 KR 101030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rtical
wall
fixing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03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0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방향 설치 봉들을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복수의 봉 고정용 브래킷 및 앵커 볼트와; 사각 봉의 전면과 양 측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복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한 구성을 갖고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방향 설치 봉과; 복수의 장방형 볼트 통과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수직 고정판과 수평 지지판을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는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형성함은 물론 상기 수평 지지판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패널 고정편을 일체로 설치한 구성을 갖고 내,외장패널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들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후 "T"형 볼트와 너트들을 통해 길게 고정 설치되어 내,외장패널들의 상,하면을 폭 길이에 무관하게 지지 및 받쳐줌과 동시에 구조물에 대한 강도 보강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과; 상,하면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이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들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통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마감재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내,외장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건물의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대한 하중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재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수직방향 설치 봉의 배면이나 그들 사이에 별도의 수평방향 설치 봉 또는 수평방향 구조 보강 바나 보강 봉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한 구조적 보강력을 가지게 됨은 물론 내,외장패널의 상면과 저면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으며, 사용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시공시간과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내,외장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별도의 충진 작업을 하지 않아도 수밀성을 구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내,외장패널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외장패널 자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Constructing apparatus for structure reinforced exterior and interior panels}
본 발명은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완성된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석재패널 등과 같은 판 구조물로 시공하고자 할 때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전혀 실시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 및 브래킷들만을 이용하여 각 구성품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던 패널 고정용 설치 봉들 중 구조보강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별도 설치되는 설치 봉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하고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을 지지해줌과 동시에 받쳐주는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길이가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성형하여 서로 인접한 수직방향 설치 봉의 전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속해서 길게 설치하여 주는 방식을 통해, 건물의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대한 하중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재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수직방향 설치 봉의 배면이나 그들 사이에 별도의 수평방향 설치 봉 또는 수평방향 구조 보강 바나 보강 봉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한 구조적 보강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내,외장패널의 상면과 저면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으며, 또한 시공시간과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또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에 설치한 완충용 고무패킹을 통해 내,외장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도 내,외장패널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외장패널 자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은 건물의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벽면을 지칭하는 것으로, 종래 대부분의 건물에서는 외벽에 주로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돌 등으로 치장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건물의 외벽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하려는 소비자의 욕구 맞춰 또는 건물의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석재 또는 금속재 등과 같은 판 구조물 즉, 패널을 고정시켜 주는 시공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패널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해 주는 방법으로는 크게 습식방법과 건식방법이 있는데, 이 중 습식방법은 벽면의 바깥쪽에 패널의 배면 배치한 후 그 사이로 시멘트 등을 타설해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양생을 포함한 시공기간이 길고 작업성과 시공성이 떨어져 현재에 이와 같은 습식방법의 사용은 배재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반하여 건식방법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고정구를 포함하여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빔 등을 고정 설치한 다음 상기 수직 빔 및 수평 빔에 다시 브래킷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수평 및 수직 지지바 등을 설치하고 복수의 브래킷과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벽면의 바깥쪽에 패널을 고정 설치하는 방식으로, 습식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공성과 작업성이 뛰어나다.
그러나,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인 패널은 자체 하중이 무거워 취급이 까다롭고, 벽면이 완성된 건물의 바깥쪽에서 시공해야 하므로 고층 빌딩의 경우에는 장시간의 고공작업을 수반하며, 더욱이 건물의 벽면에 패널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한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빔 등을 벽면의 앵커 볼트에 먼저 고정한 후, 브래킷과 볼트 및 너트 등으로 패널을 상기 수평 및 수직 빔이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벽면과 패널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한번 시공된 후에는 외벽 전체를 들어내지 않는 한 부분적인 수선 및 교체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건물의 외장패널 시공장치는 외벽시공과 수선에는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고공작업 등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건물 외벽의 외장패널 시공장치가 개발되어 국내 특허공보 10-0852218호 및 국내특허출원 10-2009-0096663호로 제시된 바 있음은 물론 현장용접 없이 시공 가능한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시공방법 등이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900062호, 10-0949707호 및 10-0949709호 등 다량으로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외장패널 시공장치에서는 건물의 외벽에 수직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즉, 시공하고자 하는 외장패널의 넓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외장패널 설치 봉을 고정 설치하고, 현재 구조물의 강도가 구조물 허용강도 계산식을 통해 산출한 구조강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한 수직방향 외장패널 설치 봉들의 배면 또는 그들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별도의 외장패널 설치 봉 또는 구조보강용 봉이나 바를 용접 또는 브래킷과 "T"형 볼트 및 이에 체결되는 너트를 통해 더 고정 설치하여 부족한 구조강도를 개선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외장패널의 저면 및 상면을 지지해 주거나, 서로 인접한 외장패널의 인접 면을 상호 고정시켜 주기 위한 외장패널 고정편들을 설치하고자 할 때,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외장패널 설치 봉의 전면 또는 수직방향 외장패널 설치 봉들 사이에 고정 설치된 수평방향 외장패널 설치 봉의 전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T"형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복수의 외장패널 설치용 브래킷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외장패널 설치용 브래킷의 수평 받침편 단부에는 외장패널들의 상,하면 또는 양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시킨 고정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 핀 또는 걸림편을 구비한 외장패널 고정편을 일반 볼트 및 너트를 통해 더 고정 설치하는 형태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외장패널 시공장치의 구조강도 보강을 위해 별도의 외장패널 설치 봉 또는 구조보강용 봉이나 바를 수직방향 외장패널 설치 봉들의 배면 또는 그들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용접 또는 브래킷과 "T"형 볼트 및 너트를 통해 고정 설치해 주여야만 하므로 건물 외벽의 외장패널 시공장치에 대한 하중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장패널 시공에 따른 재료비가 많이 들게 되며, 또한 외장패널의 시공시간과 기간이 길어져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특히 외장패널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외장패널 설치 봉에 고정할 때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외장패널 설치용 브래킷과 외장패널 고정편들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켜 외장패널의 둘레 면에 형성시킨 고정홈에 일일이 끼워 고정시켜야만 하므로 외장패널 자체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받쳐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외장패널의 시공시간과 기간이 길어져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고, 또한 각각의 외장팬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일일이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메워 주어야만 수밀성이 확보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층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완성된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내,외장패널 등과 같은 판 구조물로 시공하고자 할 때,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전혀 실시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 및 브래킷들만을 이용하여 각 구성품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던 패널 고정용 설치 봉들 중 구조보강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별도 설치되는 설치 봉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건물의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대한 하중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재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을 지지해줌과 동시에 받쳐주는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길이가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성형하여 서로 인접한 수직방향 설치 봉의 전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속해서 길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수직방향 설치 봉의 배면이나 그들 사이에 별도의 수평방향 설치 봉 또는 수평방향 구조 보강 바나 보강 봉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한 구조적 보강력을 가지게 됨은 물론 내,외장패널의 상면과 저면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음은 물론 시공시간과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에 완충용 고무패킹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내,외장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별도의 충진 작업을 하지 않아도 수밀성을 구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내,외장패널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외장패널 자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장치는, 수직방향 설치 봉들을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복수의 봉 고정용 브래킷 및 앵커 볼트와; 사각 봉의 전면과 양 측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복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한 구성을 갖고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방향 설치 봉과; 복수의 장방형 볼트 통과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수직 고정판과 수평 지지판을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는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형성함은 물론 상기 수평 지지판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패널 고정편을 일체로 설치한 구성을 갖고 내,외장패널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들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후 "T"형 볼트와 너트들을 통해 길게 고정 설치되어 내,외장패널들의 상,하면을 폭 길이에 무관하게 지지 및 받쳐줌과 동시에 구조물에 대한 강도 보강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과; 상,하면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이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들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통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마감재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내,외장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수직 고정판의 상면에서 전방부를 향해서는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 자체의 휨강도를 증대시켜 주기 위한 보강편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은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하거나, 또는 얇은 철판을 이용하여 절곡 성형 또는 두꺼운 강판을 이용하여 절곡 및 용접 성형하는 것 중 어느 한 형태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얇은 철판으로 절곡 성형할 경우에는, 종단면이 "ㅓ"자 형상을 갖도록 수평 지지판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설치되는 패널 고정편은 철판을 2중으로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두꺼운 강판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수직 고정판과 수평 지지판 및 보강편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체로 절곡 성형하되, 종단면이 "ㅓ"자 형상을 갖도록 수평 지지판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설치되는 상기 패널 고정편은 용접을 통해 수평 지지판의 전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은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 상,하면에도 복수의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 상,하면에 수밀성 향상과 진동 및 충격 완충을 위한 고무패킹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 상,하면에 복수의 고정돌기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성형된 경우, 상기 고정돌기에만 고무패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수직 고정판에 천공되는 장방형 볼트 통과공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또는 "+"자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의하면, 층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완성된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내,외장패널 등과 같은 판 구조물로 시공하고자 할 때,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전혀 실시하지 않고 볼트와 너트 및 브래킷들만을 이용하여 각 구성품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던 패널 고정용 설치 봉들 중 구조보강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별도 설치되는 설치 봉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로 건물의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대한 하중을 대폭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재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을 지지해줌과 동시에 받쳐주는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길이가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성형하여 서로 인접한 수직방향 설치 봉의 전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속해서 길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둘째로 수직방향 설치 봉의 배면이나 그들 사이에 별도의 수평방향 설치 봉 또는 수평방향 구조 보강 바나 보강 봉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한 구조적 보강력을 가지게 됨은 물론 내,외장패널의 상면과 저면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으며, 셋째로 사용부품 수를 줄일 수 있어 시공시간과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에 완충용 고무패킹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넷째로 내,외장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별도의 충진 작업을 하지 않아도 수밀성을 구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내,외장패널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내,외장패널 자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 중 수직방향 설치 봉과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결합상태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결합상태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서 적용시킨 길이가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외장 패널을 시공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5의 (a)-(c)는 본 발명 장치 중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수직 고정편에 천공시킨 장방형 볼트 통과공들의 예를 보인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사시도.
도 6의 (a)-(c)은 본 발명 장치 중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성형 예시별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장치 중 고정돌기가 구비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 중 수직방향 설치 봉과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결합상태 일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결합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치에서 적용시킨 길이가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외장 패널을 시공한 상태의 요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c)는 본 발명 장치 중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수직 고정편에 천공시킨 장방형 볼트 통과공들의 예를 보인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a)-(c)은 본 발명 장치 중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성형 예시별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 장치 중 고정돌기가 구비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을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복수의 봉 고정용 브래킷(1) 및 앵커 볼트(2)와;
사각 봉의 전면과 양 측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복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한 구성을 갖고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방향 설치 봉(3)과;
복수의 장방형 볼트 통과공(41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수직 고정판(41)과 수평 지지판(42)을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는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형성함은 물론 상기 수평 지지판(42)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내,외장패널(8)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홈(81)에 끼워져 걸려지는 패널 고정편(43)을 일체로 설치한 구성을 갖고 내,외장패널(8)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후 "T"형 볼트(6)와 너트(7)들을 통해 길게 고정 설치되어 내,외장패널(8)들의 상,하면을 폭 길이에 무관하게 지지 및 받쳐줌과 동시에 구조물에 대한 강도 보강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과;
상,하면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이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홈(81)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통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마감재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내,외장패널(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수직 고정판(41)의 상면에서 전방부를 향해서는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 자체의 휨강도를 증대시켜 주기 위한 보강편(44)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은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하거나, 또는 얇은 철판을 이용하여 절곡 성형 또는 두꺼운 강판을 이용하여 절곡 및 용접 성형하는 것 중 어느 한 형태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얇은 철판으로 절곡 성형할 경우에는, 종단면이 "ㅓ"자 형상을 갖도록 수평 지지판(42)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설치되는 패널 고정편(43)은 철판을 2중으로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두꺼운 강판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수직 고정판(41)과 수평 지지판(42) 및 보강편(44)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체로 절곡 성형하되, 종단면이 "ㅓ"자 형상을 갖도록 수평 지지판(42)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설치되는 상기 패널 고정편(43)은 용접을 통해 수평 지지판(42)의 전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외장패널(8)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81)은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 상,하면에도 복수의 고정돌기(431)를 상기 고정홈(81)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 상,하면에 수밀성 향상과 진동 및 충격 완충을 위한 고무패킹(9)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 상,하면에 복수의 고정돌기(431)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성형된 경우, 상기 고정돌기(431)에만 고무패킹(9)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수직 고정판(41)에 천공되는 장방형 볼트 통과공(411)은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또는 "+"자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천공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복수의 봉 고정용 브래킷(1)과 앵커 볼트(2), 복수의 수직방향 설치 봉(3), 복수의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 및 복수의 내,외장패널(8)로 이루어진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봉 고정용 브래킷(1)은 벽면 고정편(11)과 봉 결합편(12)을 평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도록 강판을 이용하여 절곡 성형한 것으로, 벽면 고정편(11)과 봉 결합편(12)에는 각각 볼트 통과공(111)(121)이 장방형으로 천공된 형태를 갖고, 건물의 슬래브 측면 또는 벽면(5)에 일정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한 앵커 볼트(2)를 통해 벽면 고정편(11) 자체를 고정 설치하여, 상기 슬래브의 측면 또는 벽면(5)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 복수의 수직방향 설치 봉(3)은 사각 봉의 전면과 양 측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복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한 구성을 갖는데, 이와 같이 전면 및 양 측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복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은 상기 복수의 봉 고정용 브래킷(1)들 중 적어도 2개 이상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헤드(61)의 단축 방향 폭이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의 단축 폭보다 작고 장축 방향 폭은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의 단축 폭보다 커서 상기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에 삽입되어 걸리는 "T"형 볼트(6)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7)를 통해 상기 봉 고정용 브래킷(1)의 봉 결합편(12)들 단부에 각각 직접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수직방향 설치 봉(3)을 성형할 때 강판으로 절곡 형성하지 않고 금속재 사각 봉의 형태로 성형하되, 전면 및 양측면에 "T"형 볼트(6)의 헤드(61) 부분을 걸기 위한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을 천공해 줌은 물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을 설치할 때 봉 고정용 브래킷(1)의 봉 결합편(12)들과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각각 용접을 통해 직접 고정시키지 않고 "T"형 볼트(6)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7)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주면 된다.
이때,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을 봉 고정용 브래킷(1)들의 봉 결합편(12)들에 고정 설치할 때 용접을 실시하지 않고 "T"형 볼트(6)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7)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켜 줌으로써 내,외장패널(8)을 통한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 시공시 전문 용접공 및 용접기 등이 전혀 필요 없게 되므로 시공 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시간 및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또한 현장용접시 발생되는 용접 불꽃이 주변의 인화성 물질에 인화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 등으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 인명 피해로 이어지는 불상사를 완벽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의 전면 및 양 측면에 천공되는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의 길이(L) 및 간격(S)은 내,외장패널(8)의 상,하 및 좌,우 높이 및 폭 길이에 대응하여 설치 위치를 변경시켜 주어야 하는 봉 고정용 브래킷(1)의 설치 위치를 하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31) 내에서 변화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하고, 또 수직방향 설치 봉(3)의 구조적 휨 강도 및 뒤틀림 강도 등이 크게 변화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결정하면 되는데, 시험에 따르면 가로 세로 폭이 50mm인 사각 봉형 수직방향 설치 봉(3)의 경우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의 길이(L)는 30-250mm 사이에서 설정하고, 서로 인접한 장방형 볼트 결합공(31) 사이의 간격(S)은 5-20mm 사이에서 설정하여 천공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 요소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장방형 볼트 통과공(41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도 5의 (a)-(c)와 같이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자 형태로 천공된 수직 고정판(41)과 수평 지지판(42)을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도록 하여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형성한 형태를 가짐은 물론 상기 수평 지지판(42)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내,외장패널(8)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홈(81)에 끼워져 걸려지는 패널 고정편(43)을 도 7과 같이 일체로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수직 고정판(41)의 상면에서 전방부를 향해서는 필요에 따라 보강편(44)을 더 일체로 성형시켜 주어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 자체의 휨강도를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성형하는 방법 및 재질은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데, 그 예로 도 6의 (a)와 같이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할 수도 있고,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얇은 철판을 이용하여 절곡 성형하거나, 또는 도 6의 (c)와 같이 두꺼운 강판을 이용하여 절곡 및 용접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일체로 압출 성형할시에는 도 6의 (a)와 같이 수직 고정판(41)과 수평 지지판(42) 및 패널 고정편(43)을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상기 보강편(44)까지 일체로 압출 성형하면 되고, 얇은 철판을 이용하여 절곡 성형할 경우에는 수직 고정판(41)과 수평 지지판(42) 및 패널 고정편(43)을 포함하여 상기 보강편(44)까지도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하되, 종단면이 "ㅓ"자 형상을 갖도록 수평 지지판(42)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설치되는 패널 고정편(43)은 휨강도나 비틀림 강도 등을 높여주기 위해 철판 자체를 도 6의 (b)와 같이 2중으로 절곡하여 성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두꺼운 강판으로 성형할 경우에는, 도 6의 (c)와 같이 수직 고정판(41)과 수평 지지판(42)을 포함하여 상기 보강편(44)까지 프레스를 이용하여 일체로 절곡 성형하되, 종단면이 "ㅓ"자 형상을 갖도록 수평 지지판(42)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설치되는 상기 패널 고정편(43)은 별도로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절단한 다음 용접을 통해 수평 지지판(42)의 전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수평 지지판(42)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설치되는 상기 패널 고정편(43)은 판체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고, 상기 내,외장패널(8)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81) 역시 상하면의 길이방향 중심선 상에 연이어 형상시켜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7과 같이 상기 내,외장패널(8)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81) 자체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 상,하면에도 복수의 고정돌기(431)를 상기 고정홈(81)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돌출 성형하여 내,외장패널(8) 자체의 상하부 강도가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내,외장패널(8)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 상,하면에 고무패킹(9)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내,외장패널(8)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별도의 충진 작업을 하지 않아도 수밀성을 구비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상기 고무패킹(9)을 통해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내,외장패널(8)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외장패널(8) 자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패킹(9)은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 상,하면 전체에 설치해 주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패널 고정편(43)의 상,하면에 복수의 고정돌기(431)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 성형된 경우에는 도 7과 같이 상기 고정돌기(431)에만 고무패킹(9)을 설치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수직 고정판(41)에 천공되는 장방형 볼트 통과공(411)은 수직방향 설치 봉(3)의 설치간격 및 그에 천공된 장방형 볼트 결합공(31)의 위치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5의 (a)-(c)와 같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할 수도 있고, 이들을 병합하여 "+"자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수평 및 수직방향을 병행한 형태를 갖는 "+"자 형태로 천공시켜 주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은 내,외장패널(8)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후 "T"형 볼트(6)와 너트(7)들을 통해 길게 고정 설치되어 내,외장패널(8)들의 상,하면을 폭 길이에 무관하게 지지 및 받쳐줌과 동시에 구조물에 대한 강도 보강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층간 슬래브 또는 벽면이 완성된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을 내,외장패널(8)을 시공할 때, 종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던 패널 고정용 설치 봉들 중 구조보강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별도 설치되는 설치 봉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시키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설치하여 줌으로써 건물의 내,외장패널 시공장치에 대한 하중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를 그만큼 대폭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외장패널(8)의 상/하면을 지지해줌과 동시에 받쳐주는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길이가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성형하여 서로 인접한 수직방향 설치 봉(3)의 전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속해서 길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수직방향 설치 봉(3)의 배면이나 그들 사이에 별도의 수평방향 설치 봉 또는 수평방향 구조 보강 바나 보강 봉을 설치하지 않아도 충분한 구조적 보강력을 가지게 되므로 내,외장패널(8)의 상면과 저면 전체를 안정적으로 받쳐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부품 수를 그만큼 줄일 수 있어 시공시간과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내,외장패널(8)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하면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이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홈(81)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을 통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마감재로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성형하여 서로 인접한 수직방향 설치 봉(3)의 전면부에 가로방향으로 연속해서 길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내,외장패널(8)의 가로방향 길이가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의 설치간격보다 좁더라도 도 4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제시한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4)의 패널 고정편(43)은 내,외장패널(8)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홈(81)에 끼워져 내,외장패널(8) 전체를 지지 및 받쳐주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내,외장패널(8)의 가로방향 길이가 수직방향 설치 봉(3)들의 설치간격에 무관하게 모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외장패널(8)들의 측면 접촉부를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아도 되어 사용부품 수를 그만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시공시간과 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봉 고정용 브래킷 11 : 벽 고정편
12 : 봉 결합편 111, 121 : 볼트 통과공
2 : 앵커 볼트
3 : 수직방향 설치 봉 31 : 장방형 볼트 결합공
4 :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
41 : 수직 고정판 42 : 수평 지지판
43 : 패널 고정편 44 : 보강편
411 : 통과공 431 : 고정돌기
5 : 벽면
6 : "T"형 볼트
7 : 너트
8 : 내,외장패널 81 : 고정홈
9 : 고무패킹

Claims (9)

  1. 수직방향 설치 봉들을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공지된 복수의 봉 고정용 브래킷 및 앵커 볼트와;
    사각 봉의 전면과 양 측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복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한 구성을 갖고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공지된 복수의 수직방향 설치 봉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또는 "+"자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를 갖도록 복수의 장방형 볼트 통과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수직 고정판과 수평 지지판을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는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형성함은 물론 상기 수평 지지판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패널 고정편을 일체로 설치한 구성을 갖고 내,외장패널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들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후 "T"형 볼트와 너트들을 통해 길게 고정 설치되어 내,외장패널들의 상,하면을 폭 길이에 무관하게 지지 및 받쳐줌과 동시에 구조물에 대한 강도 보강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과;
    상,하면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이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들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통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마감재로 고정 설치되는 공지된 복수의 내,외장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수직 고정판의 상면에서 전방부를 향해서는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 자체의 휨강도를 증대시켜 주기 위한 보강편이 구비되고,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 상,하면에는 수밀성 향상과 진동 및 충격 완충을 위한 고무패킹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수직방향 설치 봉들을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공지된 복수의 봉 고정용 브래킷 및 앵커 볼트와;
    사각 봉의 전면과 양 측면에서 중심선을 따라 복수의 장방형 볼트 결합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천공한 구성을 갖고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공지된 복수의 수직방향 설치 봉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또는 "+"자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를 갖도록 복수의 장방형 볼트 통과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수직 고정판과 수평 지지판을 측 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는 긴 앵글형 브라켓 형태로 형성함은 물론 상기 수평 지지판의 전단부에서 수직 상하 방향으로는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끼워져 걸려지는 패널 고정편을 일체로 설치한 구성을 갖고 내,외장패널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들의 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후 "T"형 볼트와 너트들을 통해 길게 고정 설치되어 내,외장패널들의 상,하면을 폭 길이에 무관하게 지지 및 받쳐줌과 동시에 구조물에 대한 강도 보강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과;
    상,하면에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이 끼워져 걸려지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방향 설치 봉들의 전면에 고정 설치된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을 통해 건물의 내벽 또는 외벽의 마감재로 고정 설치되는 공지된 복수의 내,외장패널;로 구성되되,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수직 고정판의 상면에서 전방부를 향해서는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 자체의 휨강도를 증대시켜 주기 위한 보강편이 구비되고,
    상기 내,외장패널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은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구조보강겸 패널 지지수단의 패널 고정편 상,하면에도 복수의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돌출 성형하되,
    상기 고정돌기에는 수밀성 향상과 진동 및 충격 완충을 위한 고무패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103788A 2010-10-25 2010-10-25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KR10103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88A KR101030320B1 (ko) 2010-10-25 2010-10-25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788A KR101030320B1 (ko) 2010-10-25 2010-10-25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0320B1 true KR101030320B1 (ko) 2011-04-20

Family

ID=4405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788A KR101030320B1 (ko) 2010-10-25 2010-10-25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032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417B1 (ko) * 2011-04-27 2011-12-01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내,외장패널 구조보강용 지지 바
KR101178175B1 (ko) 2012-02-14 2012-08-29 (주)금강에스앤에이 건축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내진 블럭
CN103243889A (zh) * 2012-02-14 2013-08-14 株式会社金刚S&A 用于固定建筑物外装材料的固定部件组件及其附属部件
KR20170007669A (ko) 2015-07-10 2017-01-19 박종길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180000149U (ko) * 2016-07-05 2018-01-15 이화중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KR101828222B1 (ko) * 2017-10-27 2018-02-09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951879B1 (ko) 2018-07-19 2019-02-25 천종우 자동 레이저 가공 접합 구조물에 탄소섬유강화 복합재 화스너를 이용한 내진프레임 시공방법
KR101962885B1 (ko) 2017-10-25 2019-03-28 박종길 난간용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KR20190034373A (ko) 2017-09-22 2019-04-02 주식회사 더큐브시스템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KR101995772B1 (ko) * 2018-09-07 2019-07-03 최덕규 하지 공사용 프로파일 시공방법
KR20190082344A (ko) 2017-12-29 2019-07-10 박종길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181A (ja) * 1995-05-31 1996-12-10 Sekisui Chem Co Ltd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2061372A (ja) * 2000-08-22 2002-02-28 Nichiha Corp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3064843A (ja) * 2001-08-28 2003-03-05 Nichiha Corp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KR100949709B1 (ko) * 2009-11-09 2010-03-29 김조경 현장용접이 필요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181A (ja) * 1995-05-31 1996-12-10 Sekisui Chem Co Ltd 外壁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2061372A (ja) * 2000-08-22 2002-02-28 Nichiha Corp 留め付け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JP2003064843A (ja) * 2001-08-28 2003-03-05 Nichiha Corp 留め付けシール金具及び外壁施工構造
KR100949709B1 (ko) * 2009-11-09 2010-03-29 김조경 현장용접이 필요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417B1 (ko) * 2011-04-27 2011-12-01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내,외장패널 구조보강용 지지 바
KR101178175B1 (ko) 2012-02-14 2012-08-29 (주)금강에스앤에이 건축외장재용 트러스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내진 블럭
CN103243889A (zh) * 2012-02-14 2013-08-14 株式会社金刚S&A 用于固定建筑物外装材料的固定部件组件及其附属部件
KR20170007669A (ko) 2015-07-10 2017-01-19 박종길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180000149U (ko) * 2016-07-05 2018-01-15 이화중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KR200486799Y1 (ko) 2016-07-05 2018-06-29 이화중 연장 구조의 천장 마감재
KR20190034373A (ko) 2017-09-22 2019-04-02 주식회사 더큐브시스템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KR101962885B1 (ko) 2017-10-25 2019-03-28 박종길 난간용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KR101828222B1 (ko) * 2017-10-27 2018-02-09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KR20190082344A (ko) 2017-12-29 2019-07-10 박종길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KR101951879B1 (ko) 2018-07-19 2019-02-25 천종우 자동 레이저 가공 접합 구조물에 탄소섬유강화 복합재 화스너를 이용한 내진프레임 시공방법
KR101995772B1 (ko) * 2018-09-07 2019-07-03 최덕규 하지 공사용 프로파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320B1 (ko)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KR101088417B1 (ko) 내,외장패널 구조보강용 지지 바
KR100949709B1 (ko) 현장용접이 필요없는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0916568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사용한벽체 패널 설치 방법
KR100949707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1406873B1 (ko) 경량 골조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
KR100824062B1 (ko)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KR100722403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101002354B1 (ko) 건축물 외벽의 외장 패널 시공장치
KR101457059B1 (ko) 점탄성체를 이용한 전단벽체의 제진공법
KR100918042B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갱폼
KR20090113011A (ko) 방진 데크플레이트
KR100648046B1 (ko) 외적 포스트텐션 방법을 이용한 보 및 거더 보강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 및 거더의 보강방법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101300490B1 (ko)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JP5807883B1 (ja) 吊足場
KR100452976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스틸플레이트 보강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KR102530366B1 (ko)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JP5033387B2 (ja) 制振補強構造
KR101615270B1 (ko) 콘크리트 일체화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2461466B1 (ko) 삼각 스터드 골조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392011Y1 (ko) 거푸집 벽체 마감용 저중량 프로파일
KR102332317B1 (ko) 단열성 복합 마감패널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되는 벽마감 멀티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