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490B1 -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0490B1 KR101300490B1 KR1020110129837A KR20110129837A KR101300490B1 KR 101300490 B1 KR101300490 B1 KR 101300490B1 KR 1020110129837 A KR1020110129837 A KR 1020110129837A KR 20110129837 A KR20110129837 A KR 20110129837A KR 101300490 B1 KR101300490 B1 KR 101300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upper flange
- hollow
- steel
- bottom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2435 tendon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reinforcing ba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37 continuou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중공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의 제1 블록, 제 2블록 및 제3 블록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물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인 거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가 넓은 제형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가 넓은 제형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의 거더폭을 넓힌 경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각각 도 7에 도시된 A-A, B-B, C-C 및 D-D 라인을 절개선으로 하는 수직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110: 상부플랜지(Upper Flange)
120: 측벽부(Web)
130: 하부플랜지(Bottom Flange)
140: 강재
150: 스터드(Stud)
160: 쉬스관
170: 수직부재
180: 정착구
190: 유지관리용 쉬스관
Claims (10)
- 상부플랜지, 측벽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가 개방된 중공 거더로서,
상기 상부플랜지 상에서 교축방향으로 중앙부 일부에 설치되는 강재; 및
상기 강재와 상기 상부플랜지를 연결하도록 상기 강재 상에 형성된 스터드(Stu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프리스트레스 력에 저항하는 인장 구조부재 역할을 하고, 거더 상단부 바닥판 설치시 거푸집 역할을 하며, 상기 바닥판 타설시 하중으로 인해 거더 상단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는, 공용 중에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거더 상단의 압축력에 저항하고, 상기 바닥판과 합성되어 상기 차량 하중에 함께 저항하며, 거더 상단부 바닥판의 하단에 발생될 수 있는 균열에 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거더폭을 넓힐 경우, 상기 상부플랜지용 강재와 합성되도록 거더 중앙부에 교축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추가 인장력 도입을 위해 거더 내부에 배치되는 유지관리용 쉬스관; 및
상기 유지관리용 쉬스관을 정착시키도록 상기 중공 거더의 단부 측면에 설치되는 정착구
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거더는 지지되는 바닥판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의 기울기를 크게 형성한 제형(梯形) 거더이고, 상기 바닥판은 강성이 큰 상기 강재와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거더는 1회 긴장으로 긴장력을 최대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 상부플랜지, 측벽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가 개방된 중공 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에 있어서,
a) 중공 거더용 철근을 배근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쉬스관을 설치하는 단계;
b) 내부 중공부 형성재를 내부 중공부에 삽입하는 단계;
c) 상부플랜지용 강재를 상기 상부플랜지 상에 설치하고, 거더 거푸집을 제작하여 설치하는 단계;
d)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고, 상기 거더 거푸집을 탈형하는 단계;
e) 긴장재를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단계;
f) 상기 중공 거더를 교대 또는 교각 상에 거치하는 단계; 및
g) 바닥판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의 강재는 상기 상부플랜지 상에서 교축방향으로 중앙부 일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강재는, 프리스트레스 력에 저항하는 인장 구조부재 역할을 하고, 거더 상단부 바닥판 설치시 거푸집 역할을 하며, 상기 바닥판 타설시 하중으로 인해 거더 상단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거더는 지지되는 바닥판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측벽부의 기울기를 크게 형성한 제형(梯形) 거더이고, 상기 바닥판은 강성이 큰 상기 강재와 합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9837A KR101300490B1 (ko) | 2011-12-06 | 2011-12-06 |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29837A KR101300490B1 (ko) | 2011-12-06 | 2011-12-06 |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358A KR20130063358A (ko) | 2013-06-14 |
KR101300490B1 true KR101300490B1 (ko) | 2013-09-02 |
Family
ID=4886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98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0490B1 (ko) | 2011-12-06 | 2011-12-06 |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049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1615B1 (ko) * | 2018-05-10 | 2018-11-26 | 주식회사 세연사 | T형 슬래브거더를 이용한 주두부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39261B1 (ko) * | 2017-07-31 | 2019-04-11 | (주)태영이씨엠 | 강제 외팔보 및 연결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형 거더 및 그 제작방법 |
KR20240038573A (ko) | 2023-06-21 | 2024-03-25 | 송성민 | 보강내부거푸집,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중공거더 및 중공거더 제작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18548A (ja) * | 1995-02-17 | 1996-08-27 | Sato Kogyo Co Ltd | コンクリート充填型鉄骨梁 |
KR100645491B1 (ko) | 2005-11-04 | 2006-11-23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확폭플랜지부가 형성된 교량용 유형 거더 설치방법 |
-
2011
- 2011-12-06 KR KR1020110129837A patent/KR10130049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18548A (ja) * | 1995-02-17 | 1996-08-27 | Sato Kogyo Co Ltd | コンクリート充填型鉄骨梁 |
KR100645491B1 (ko) | 2005-11-04 | 2006-11-23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확폭플랜지부가 형성된 교량용 유형 거더 설치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1615B1 (ko) * | 2018-05-10 | 2018-11-26 | 주식회사 세연사 | T형 슬래브거더를 이용한 주두부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358A (ko) | 2013-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45418B2 (ja) | 箱桁橋の構築方法 | |
KR100947306B1 (ko) |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 |
KR101249285B1 (ko) | 상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브라켓으로 캔틸레버부가 형성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를 갖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10039B1 (ko) | 내하력이 향상된 파형강판 웨브 피에스씨 박스거더교의 연속지점부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파형강판 피에스씨 박스거더교 | |
KR101144586B1 (ko) |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 |
KR101255464B1 (ko) |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 |
JP5184836B2 (ja) | 合成鋼床版桁橋の施工方法 | |
KR101030128B1 (ko) |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과 이의 제작방법 및 개단면 상현재를 갖는 트러스구조물을 이용한 트러스교와 이의 시공방법 | |
KR100984249B1 (ko) | 합성거푸집 패널과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 |
KR101300490B1 (ko) | 이종재료 상부플랜지를 갖는 중공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 |
KR101013009B1 (ko) |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 |
KR101160763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1105404B1 (ko) |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 |
KR101434898B1 (ko) | 변단면 데크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1191545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JP6089096B2 (ja) | プレキャスト桁のねじれ抑制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桁の接合方法 | |
KR100984247B1 (ko) | 상부플랜지 내부철근과 일체화된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 |
KR102031915B1 (ko) | 복합 거더 | |
KR20040091350A (ko) | 피에스에스 거더 | |
KR20200019807A (ko) |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0989153B1 (ko) |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259139B1 (ko) | 강합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및 그 제작방법 | |
KR200291793Y1 (ko) | 피에스에스씨 합성거더 | |
KR100984248B1 (ko) | 상단돌출블록의 거푸집 역할을 하는 전단연결부재를 이용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 |
KR100310301B1 (ko) | 리프리스트레스트박스거더합성형교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