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222B1 -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222B1
KR101828222B1 KR1020170141221A KR20170141221A KR101828222B1 KR 101828222 B1 KR101828222 B1 KR 101828222B1 KR 1020170141221 A KR1020170141221 A KR 1020170141221A KR 20170141221 A KR20170141221 A KR 20170141221A KR 101828222 B1 KR101828222 B1 KR 101828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ad
panel
weight
elastic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Priority to KR102017014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08L61/1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with polyhydric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은,
설치면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 일 측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함입홈 및, 상기 함입홈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탄성 재질의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안착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An Awning Stands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야외에 설치되어 햇빛이나 비, 눈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이라 함은 햇볕을 가리거나 비나 눈 등이 들이치는 것을 막는 곳으로, 그늘이 없는 야외에 설치되어 사람들이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양은 해를 가리는 차양막과 그 막을 지지하는 틀이나 기둥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차양은 그 틀이나 기둥을 지면에 설치한 뒤 그 위에 차양막을 고정하여 차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차양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스탠드의 전방 및 후방에 걸쳐 대구경의 지주를 연속 반복하여 세워 설치함에 따라 사방의 기둥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은 기둥의 선단에는 경사진 형태의 지붕을 고정 설치함에 따라 상기의 차양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각종 스포츠 게임이 벌어지는 경기장이나 운동장 또는 야외 무대 등에는 관중 및 관계자 등이 운동경기나 공연 등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 스탠드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스탠드에는 차양이 필수적으로 설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양 구조물에 대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430587호에 ‘차양막 골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본 고안은 비나 햇빛을 가리면서 쉴 수 있는 차양막의 골조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하는 한쌍의 기둥(10) 상단에 관절부(11)를 구성하고, 상기 관절부(11)에 결합하는 지지암(20)을 만곡으로 구성하며, 상기 지지암(20)의 상단에 상측으로 볼록한 차양프레임(30)을 결합 구성하여, 그늘이 필요로 하는 곳에 설치되어 비나 햇빛을 가리면서 쉴 수 있도록 하고, 기둥의 상부에 관절을 구성하여 해의 위치에 따라 차양막의 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차양막을 지지하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다수개의 의자를 배열하여 버스정류장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승하차객에 편의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원쉼터, 스탠드차양막, 연결통로 등 그 사용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는 차양막 골조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양은 비나 눈, 그리고 햇빛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본 목적에 충실한 차양막 골조 구조이긴 하나, 세찬 바람과 함께 비가 오는 경우(폭우나 태풍), 혹은 과다한 양의 눈이 내리는 경우(폭설) 차양막이 무너져내려 사용자에게 위험 요소를 제공할 수 있었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야외에 설치되어 햇빛이나 비, 눈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으로서, 차양의 내구성을 보다 보완하여 폭우나 태풍, 폭설 시에도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양의 내구성을 보다 보완하여 폭우나 태풍, 폭설 시에도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양막의 기능을 수행하는 안착패널과 고정프레임 사이의 고정력을 높임과 동시에 스탠드 차양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 향상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착패널에 탄성을 부여하여 폭우나 폭설, 태풍 시에도 파손이나 파괴, 쳐짐이 없도록 하는 탄성 및 완충 기능 보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안착패널과 고정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설치방법 및 그를 위한 피막코팅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안착패널에 탄성을 부여하여 폭우나 폭설, 태풍 시에도 파손이나 파괴, 쳐짐이 없도록 하도록 안착패널 내부 및 안착패널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은,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으로서, 설치면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 일 측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함입홈 및, 상기 함입홈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탄성 재질의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안착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안착패널은, 상기 한 쌍의 함입홈을 내통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홈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탄성패드가 끼움 결합되도록 함입 형성된 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패드의 양 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패드는, 코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금속 재질의 금속코어 및, 상기 금속코어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의 탄성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은,
1) 차양의 내구성을 보다 보완하여 폭우나 태풍, 폭설 시에도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을 제공하고,
2) 차양막의 기능을 수행하는 안착패널과 고정프레임 사이의 고정력을 높임과 동시에 스탠드 차양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으며,
3) 안착패널에 탄성을 부여하여 폭우나 폭설, 태풍 시에도 파손이나 파괴, 쳐짐이 없도록 하는 탄성 및 완충 기능 보호 구조를 구성하였을 뿐 아니라,
4) 안착패널과 고정프레임 사이의 결합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설치방법 및 그를 위한 피막코팅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5) 안착패널에 탄성을 부여하여 폭우나 폭설, 태풍 시에도 파손이나 파괴, 쳐짐이 없도록 하도록 안착패널 내부 및 안착패널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제조방법을 구성하여 내구성을 최대화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착패널 및 고정프레임 사이의 결합을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패드가 삽입된 스탠드 차양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패드 및 완충패드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패드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탠드 차양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10)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안착패널(300) 및 고정프레임(200) 사이의 결합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10)은, 지주(100)와, 고정프레임(200), 그리고 안착패널(300)을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100)는 설치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기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안착패널(300)의 양 단을 지주(100)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 이상 설치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지주(100)는 두 개 이상의 복수개의 개수로 설치됨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지주(100)의 재질이나 형상 등에 있어서는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으나 충분한 강도를 지닌 철재나 그 외의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지주(100)와 설치면 사이에는 볼트를 이용한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혹은 설치면에 별도로 지주(100) 설치를 위해 별도의 구조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프레임(200)은 상기 지주(100)의 상부 일 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차양막의 기능을 하는 안착패널(300)을 지지할 수 있는 프레임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고정프레임(200)은 지주(100)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안착패널(300)을 도 1의 예시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정프레임(200) 역시 휘어진 형태로 지주(100)와 결합될 수 있다.
지주(100)와 고정프레임(200) 사이에는 볼트가 체결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고정프레임(200)의 단부를 지주(100)와 끼움 결합 하는 방식으로 결합을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프레임(200)은 각각의 지주(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므로,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러한 고정프레임(200)의 재질에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지주(100)와 동일한 철재나 금속재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안착패널(300)은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00) 사이에 설치되어 차양막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정프레임(200)과 볼트 결합이 체결될 수도 있으나, 안착패널(300)과 고정프레임(200) 사이의 끼움결합을 수행하기 위해 안착패널(300)의 길이방향 양 측단면을 따라 함입홈(310)을 함입 형성하고, 해당 함입홈(310)에 고정프레임(200)을 끼움 결합하여 고정프레임(200)과의 결합을 체결할 수도 있다. 더불어 함입홈(310)에 고정프레임(200)을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패스너 등을 통해 별도의 체결을 더하여 고정력을 보다 높이는 것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를 통해 함입홈(310)과 고정프레임(200) 사이의 끼움결합에 더 나아가 패스너를 통한 체결을 통해 이중 고정을 수행하여 안착패널(300)과 고정프레임(200) 사이의 결합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안착패널(300)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수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고, 고정프레임(200)은 금속재로 구성되는 만큼 서로 다른 재질이 결합되는 안착패널(300)과 고정프레임(200)의 결합 부위에 있어 잦은 하중 발생 및 피로 누적에 의한 내구성 저하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함입홈(310)의 내주면에 따라 탄성 재질의 완충패드(320)를 구비토록 하고, 완충패드(32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함입홈(310)에 고정프레임(200)을 끼움 결합하여 함입홈(310)과 고정프레임(200) 사이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을 분산하고 결합 부위에 완충 기능 및 적당한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결합 수명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완충패드(320)는 고정프레임(200)과 함입홈(310) 사이의 결합에 있어 외부로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일반적인 탄성재는 높은 마찰계수를 나타내므로 고정프레임(200)과 함입홈(310)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켜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 때 완충패드(320)의 두께는 함입홈(310)에 고정프레임(200)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으며 그 두께나 형상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완충패드(320)는 함입홈(310)의 내주면 전체를 따라 표면에 구비되는 것 역시 가능하며, 혹은 함입홈(310)의 일부, 즉 함입홈(310)의 둘레면, 혹은 함입홈(310)의 바닥면에만 구비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10)은 완충패드(320)를 통해 고정프레임(200)과 안착패널(300)의 끼움결합에 있어 마찰력을 높여 고정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외부에서 비나 눈, 바람에 의한 충격이나 하중이 가해질 경우 이를 분산시켜 안착패널(300) 및 고정프레임(200)에 반복적인 하중이나 피로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스탠드 차양(10)의 수명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폭우나 폭설 시 고정프레임(200)과 안착패널(300)의 결합부인 함입홈(310) 사이에서 파괴가 발생하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탄성패드(340)가 삽입된 스탠드 차양(10)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패드(340) 및 완충패드(320)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안착패널(300)에는 폭 방향을 따라 관통홈(3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관통홈(330)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패드(340)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홈(330)을 안착패널(300)의 양 측단면을 따라 함입 형성된 한 쌍의 함입홈(310)을 내통하게 되는 것이며, 관통홈(330)에는 탄성 재질의 탄성패드(340)가 삽입되어 안착패널(300)에 탄성에 의한 완충효과 뿐 아니라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여 스탠드 차양(1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탄성패드(340)는 관통홈(330)의 내주면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관통홈(330)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며, 외부에서는 드러나지 않으나 도 3의 단면도에서는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패드(340)는 탄성 재질로서 재료의 특성에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으므로 안착패널(300)의 함입홈(310)에 구비되는 완충패드(32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혹은 다른 재질의 탄성재가 구비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탄성패드(340)의 삽입을 통해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이나 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안착패널(300)에 폭우 또는 폭설, 태풍 등에 의해 강한 바람이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착패널(300)에 삽입된 탄성패드(340)가 안착패널(300)에 탄성을 제공하도록 하여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나아가 강한 비바람이나 눈 등으로 인해 안착패널(300)에 과한 하중이 가해져 파괴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있어서도 탄성패드(340)가 그를 방지하여 안착패널(3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관통홈(330)은 한 쌍의 함입홈(310)을 내통하도록 관통 형성된다 하였으므로, 함입홈(310)을 따라 완충패드(320)가 구비되는 경우 관통홈(330)에 삽입된 탄성패드(340)의 양 단부가 함입홈(310)의 일 면과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함입홈(310)에 삽입되는 완충패드(320) 및 관통홈(330)에 삽입되는 탄성패드(340) 사이의 결합을 도모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완충패드(320)의 일 면, 즉 함입홈(310)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완충패드(320)의 저면에 탄성패드(34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입 형성된 삽입공(321)을 형성하여, 탄성패드(340)의 양 단부가 삽입공(321)에 끼움 결합되어 완충패드(320) 및 탄성패드(340) 사이의 결합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패드(340)는 관통홈(3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단부가 탄성패드(340)의 삽입공(321)에 끼움 결합되어 안착패널(300) 내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패드(340)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탄성패드(340)의 재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재질이라면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고 하였으므로 탄성재를 포함한다면 다양한 범위에서 선택되어 폭넓게 이용될 수 있음을 기본으로 하나, 안착패널(300)에 관통홈(330)을 관통 형성하고 해당 관통홈(330)에 탄성패드(340)가 삽입되는 만큼 해당 부분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탄성패드(340)를 금속재와 탄성재의 이중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때 탄성패드(340)를 통한 완충 및 탄성 제공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탄성패드(340)의 코어를 금속재로, 코어를 둘러싸는 쉘 부분을 탄성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패드(340)는 금속코어(341) 및 탄성쉘(342)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금속코어(341)는 탄성패드(340)의 코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철재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해당 금속코어(341)를 둘러싸는 탄성재가 탄성쉘(342)을 이루게 되어 강도 증가와 함께 탄성재를 통한 완충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코어(341)에 비해 탄성쉘(342)이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즉 종단면의 넓이를 비교하면 금속코어(341)에 비해 탄성쉘(342)이 더 넓은 종단면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성쉘(342)을 구성하는 탄성재의 종류 및 금속코어(341)를 구성하는 금속재의 재질 선택에 따라 각각의 두께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금속코어(341) 및 탄성쉘(342)의 이중 구조를 통해, 금속코어(341)가 관통홈(330)에 삽입된 탄성패드(340)에 있어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며, 탄성쉘(342)이 완충 기능 및 탄성력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안착패널(300)에 탄성패드(340)가 삽입되는 경우 강도 향상 및 완충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탠드 차양(10)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10)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스탠드 차양(10)의 설치방법은, 지주(100)를 설치하는 단계와, 고정프레임(200)을 설치하는 단계 및, 안착패널(300)을 설치하는 단계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주(100)를 설치하는 단계는 야외 스탠드 등의 설치면에 지주(100)를 기립 설치하는 단계로서, 이 때 지주(1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면에 홈을 파고 지주(100)의 단부를 매설하거나, 이에 더 나아가 지주(100)와 설치면 사이에 패스너 등을 통해 별도의 결합을 더 설치하는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혹은 지주(100) 설치를 위해 설치면에 별도의 구조체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주(100)를 설치면에 기립 설치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기존의 차양 스탠드의 지주(100) 설치를 위한 방식이 모두 이용될 수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때 지주(100)는 적어도 두 개 이상, 즉 복수개로 설치된다고 상술하였다. 지주(100)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인 것을 기본으로 한다.
고정프레임(200)을 설치하는 단계는 각각의 지주(100)의 상부 일 측에 고정프레임(200)을 설치하는 과정으로서, 고정프레임(200)의 단부와 지주(100)를 패스너를 통해 체결하여 고정프레임(200)과 지주(100)를 고정 체결하거나, 혹은 지주(100)의 상부 일 측에 홈을 설치하고 해당 홈에 고정프레임(200)을 끼움 결합하는 방식 등을 통해 지주(100)와 고정프레임(200)을 짜맞추어 고정프레임(200)을 설치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고정프레임(200)은 각각의 지주(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므로, 고정프레임(200)의 총 개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인 것을 기본으로 한다. 고정프레임(200)의 재질에는 별다른 제한을 두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지주(100)와 동일한 철재나 금속재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안착패널(300)을 설치하는 단계를 통해 스탠드 차양(10)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안착패널(300)의 설치를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프레임(200) 사이에 안착패널(300)을 설치하여 고정프레임(200)이 안착패널(300)의 양 측단을 지지하는 방식을 통해 차양막의 기능을 하는 수지나 플라스틱 재질의 안착패널(300)이 고정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안착패널(300)의 양 측단면 각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함입홈(310)에 고정프레임(200)이 끼움 결합되어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200) 사이에 안착프레임이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더 나아가 패스너 등을 통한 추가적 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높이는 것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와 같이 패스너를 통해 안착패널(300)과 고정프레임(200)을 결합하는 경우, 안착패널(300)을 설치하는 단계 후에 고정프레임(200)과 안착패널(300) 차이를 패스너로 체결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해당 과정은 볼트와 너트 등을 포함하는 패스너로 고정프레임(200)과 안착패널(300) 사이의 결합부위, 즉 체결부위를 체결하는 과정이며, 패스너의 체결을 통해 고정프레임(200)과 안착패널(300) 사이의 결합력이 더 증대되는 것이다.
이에 더 나아가 해당 패스너로 체결된 체결부위에 피막코팅제를 도포하여 패스너 체결부위에서 흔히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하여 체결부위의 부식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 및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를 위해 패스너 체결 단계 후에는, 체결부위에 피막코팅제를 도포 후 건조 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피막코팅제를 체결부위에 도포하고 건조 처리하는 단계는 패스너, 즉 볼트와 너트와 같은 패스너를 통해 체결 처리된 체결부위에 쉽게 부식이 일어날 수 있으며, 하중이 집중되어 크랙 등의 문제가 쉽게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당 부위에 피막코팅제를 도포하고 건조 처리하는 단계로서, 이 때 피막코팅제는 종래의 단순한 부식방지제를 이용할 수 있으나, 자가 치유성을 지닌 피막코팅제를 이용토록 하여 외부로부터 외력이 가해지거나 해당 피막코팅제에 손상이 생기더라도 자가 치유가 가능토록 하여 피막 코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가 치유성 피막코팅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피막코팅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머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1차 개질 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및, 2차 개질 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2차 개질 폴리머에 카본나노파이버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폴리머 매트릭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피막코팅제의 베이스가 되는 폴리머 매트릭스의 제조를 위해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20 내지 80 중량%와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 20 내지 80 중량%를 혼합하는 과정이다.
이 때 폴리디메틸실록세인은 실리콘계의 고분자 화합물로서, 피막코팅제의 베이스를 이루는 기본 물질이다.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된 특성을 보여 피막코팅제의 베이스로 이용할 시 패스너와의 체결부위에 접촉되더라도 별도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더불어 그 자체만으로도 점탄성(viscoelasticity)를 가져 크랙 등을 메꾸는데 적합한 특성을 보인다. 폴리디메틸실록세인의 첨가 범위는 20 내지 80 중량% 범위에서 유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 범위에서 조절된다.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는 피막코팅제의 또 다른 베이스 물질로서, 이 역시 실리콘계이며 피막코팅제의 베이스 물질로서 주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첨가 범위를 20 내지 80 중량%로 광범위하게 설정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범위에서 조절된다.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는 피막코팅제에서 실제로 실리카계의 치밀한 피막을 형성 처리하여 코팅된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1차 개질 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1차 개질 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에서는 폴리머 매트릭스에 신나메이트-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를 첨가하여 1차로 개질 처리된 1차 개질 폴리머를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 때 폴리머 매트릭스와 신나메이트-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의 혼합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매트릭스 90 내지 99.5 중량%에 신나메이트-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 0.5 내지 10 중량%가 혼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때 첨가되는 신나메이트-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는 피막코팅제의 치유제로 첨가되는 것으로서,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에 의해 형성된 치밀한 피막에 상처가 나거나 흠집이 생기는 경우 해당 크랙 부위를 신나메이트-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가 메꿔 치유하는, 자기 치유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2차 개질 폴리머를 제조하게 된다. 2차 개질 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1차 개질 폴리머 95 내지 99 중량%와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 중량%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2차 개질 폴리머 제조 단계에서는 1차 개질 폴리머에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이 첨가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은 자기 치유성 피막코팅제에 첨가되는 또 다른 치유제로서, 피막코팅제에 첨가 시 별도의 촉매 없이도 수분과 반응하여 소수성 막을 형성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소수성 막 형성을 통해 부식의 진행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발수기능 및 차단기능을 동시에 갖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는 금속 표면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는데, 패스너를 매개로 체결된 체결부위는 패스너 및 고정프레임(200)이 일반적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지므로, 금속 표면이라 할 수 있어 해당 피막 형성 효과가 보다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2차 개질 폴리머에 카본나노파이버를 첨가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는 상기 2차 개질 폴리머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의 카본나노파이버를 첨가하고 교반 처리하여 피막코팅제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로서, 이 때 카본나노파이버의 첨가를 통해 피막코팅제 자체의 강도가 증가하여 긁힘이나 크랙이 생성되는 것을 기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피막의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제조된 피막코팅제를 체결부위에 도포하고 건조 처리함을 통해 강도 높은 피막코팅제가 치밀하고 단단한 발수 및 부식방지 코팅막을 형성함으로써 부식 및 크랙의 형성을 방지할 뿐 아니라, 만약 부식이나 크랙이 피막코팅제를 통해 형성된 코팅막에 생성된다 할지라도 치유제를 통한 자가 치유가 가능케 되어 피막 코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상술한 설명에서 함입홈(310)의 내주면에 따라 탄성 재질의 완충패드(320)를 구비토록 하고, 완충패드(320)가 구비된 상태에서 함입홈(310)에 고정프레임(200)을 끼움 결합하여 함입홈(310)과 고정프레임(200) 사이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을 분산하고 결합 부위에 완충 기능 및 적당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였는데, 이의 구현을 위해 상기 고정프레임(200)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안착패널(300)을 설치하는 단계 사이에는, 상기 안착패널(300)의 함입홈(310) 내주면을 따라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패드(320)를 부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안착패널(300)을 설치하는 단계는 완충패드(320)가 부착된 상태에서 함입홈(310)에 고정프레임(200)을 끼움 결합하여 안착패널(300)을 설치하게 된다.
이 때 안착패널(300)의 함입홈(310) 내주변에 구비되는 완충패드(320)는 탄성 재질로 구성된다고 상술하였으며, 완충패드(320)를 함입홈(31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접착제를 함입홈(310)의 내주면에 따라 도포하고, 접착제가 도포된 함임홈의 내주면을 따라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시트 타입의 완충패드(320)를 부착하여 이를 구현해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상기 안착패널(300)에는 폭 방향을 따라 관통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330)에는 별도의 탄성패드(340)가 더 끼움결합될 수 있다고도 설명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안착패널(300)의 준비 과정에 있어 관통홈(330)을 미리 관통 형성하도록 하여폭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관통홈(330)을 포함하는 안착패널(300)을 준비하도록 해야한다.
이 때 관통홈(330)의 형성을 위해서는 안착패널(300)의 제조 시 사출 방식에 있어 초기에 관통홈(330)을 형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며, 혹은 안착패널(300)을 제조한 후 양 측단면의 함입홈(310)을 내통하도록 관통홈(330)을 관통 절삭 처리할 수도 있다.
더불어 관통홈(330)에 탄성패드(340)를 끼움 결합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착패널(300)을 설치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관통홈(330)에 탄성 재질의 탄성패드(340)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 때 탄성패드(340)를 끼움 결합하기 위해서는 액상 상태의 탄성재를 관통홈(330)에 충진하고 이를 건조 처리하여 탄성패드(340)가 끼움 결합된 형태의 안착패널(300)을 제조할 수도 있으며, 혹은 별도로 제작된 탄성패드(340)를 관통홈(330)에 끼움 결합하여 안착패널(300)에 형성된 관통홈(330)에 탄성패드(340)가 끼움 결합 처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탄성패드(340) 및 완충패드(320)는 동일한 탄성재로 제조될 수도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탄성재로 이루어진 시트 타입의 베이스를 제조한 다음, 상기 베이스를 성형 처리하여 완충패드(320) 및 탄성패드(340)를 각각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10)의 설치방법은, 탄성 재질의 베이스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시트를 성형 처리하여 완충패드(320) 및 탄성패드(340)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재질의 고분자 시트 형상의 베이스시트를 선 제조한 뒤, 베이스시트를 일정 형상으로 성형 처리하여 완충패드(320) 및 탄성패드(340)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완충패드(320) 및 탄성패드(340)의 제작을 위해서는 베이스시트의 절삭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베이스시트를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 베이스시트라 함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으로 하나, 탄성 및 완충 기능을 더함과 동시에 스탠드 차양(10)에 난연성을 더하고 베이스시트 자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별도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베이스시트의 제조 시 탄성 재질의 고분자 베이스에 난연계 수지 파우더를 분산 처리하여 스탠드 차양(10)에 난연성을 더하고 베이스시트 자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10) 및 이의 설치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스탠드 차양 100 : 지주
200 : 고정프레임 300 : 안착패널
310 : 함입홈 320 : 완충패드
321 : 삽입공 330 : 관통홈
340 : 탄성패드 341 : 금속코어
342 : 탄성쉘

Claims (12)

  1.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으로서,
    설치면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 일 측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 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함입 형성된 함입홈 및, 상기 함입홈의 내주면을 따라 구비된 탄성 재질의 완충패드를 포함하는 안착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안착패널은, 상기 한 쌍의 함입홈을 내통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홈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홈에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탄성패드가 끼움 결합되도록 함입 형성된 삽입공을 더 포함하여,
    상기 탄성패드의 양 단부가 상기 삽입공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코어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금속 재질의 금속코어 및,
    상기 금속코어를 둘러싸는 것으로서 탄성 재질의 탄성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5.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의 설치방법으로서,
    복수개의 지주를 설치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지주의 상부 일 측에 고정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안착패널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함입 형성된 함입홈 내주면을 따라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패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완충패드가 부착된 상기 안착패널의 함입홈에 상기 고정프레임을 끼움 결합하여 이웃하는 한 쌍의 고정프레임 사이에 상기 안착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패널은, 상기 한 쌍의 함입홈을 내통하도록 폭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전에는,
    상기 관통홈에 탄성 재질의 탄성패드를 끼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의 설치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패널을 설치하는 단계 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안착패널 사이를 패스너로 체결하는 단계; 및,
    상기 패스너로 체결된 체결부위에 피막코팅제를 도포 후 건조 처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의 설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코팅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20 내지 80 중량%와 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 20 내지 80 중량%를 혼합하여 폴리머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머 매트릭스 90 내지 99.5 중량%에 신나메이트-테트라에틸오쏘실리케이트 0.5 내지 10 중량%를 첨가하여 1차 개질 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1차 개질 폴리머 95 내지 99 중량%와 퍼플루오로옥틸트리에톡시실란 1 내지 5 중량%를 혼합하여 2차 개질 폴리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2차 개질 폴리머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의 카본나노파이버를 첨가하고 교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의 설치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의 설치방법은,
    탄성 재질의 고분자 베이스에 난연계 수지 파우더가 분산 처리된 베이스시트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시트를 성형 처리하여 완충패드 및 탄성패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의 설치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141221A 2017-10-27 2017-10-27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828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21A KR101828222B1 (ko) 2017-10-27 2017-10-27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21A KR101828222B1 (ko) 2017-10-27 2017-10-27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222B1 true KR101828222B1 (ko) 2018-02-09

Family

ID=61199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221A KR101828222B1 (ko) 2017-10-27 2017-10-27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95B1 (ko) 2019-02-11 2019-07-30 최혜주 영상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차양시설
KR102383862B1 (ko) 2021-11-15 2022-04-08 제이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차양 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587Y1 (ko) * 2006-08-31 2006-11-10 유래식 차양막 골조
KR101030320B1 (ko) * 2010-10-25 2011-04-20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KR101064797B1 (ko) * 2009-12-29 2011-09-14 배형원 하드코팅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하드코팅제와 하드코팅필름
KR101758118B1 (ko) * 2017-02-14 2017-07-14 양승현 실외 지붕 골조용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587Y1 (ko) * 2006-08-31 2006-11-10 유래식 차양막 골조
KR101064797B1 (ko) * 2009-12-29 2011-09-14 배형원 하드코팅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하드코팅제와 하드코팅필름
KR101030320B1 (ko) * 2010-10-25 2011-04-20 주식회사 유제이엔지니어링 구조보강형 내,외장패널 시공장치
KR101758118B1 (ko) * 2017-02-14 2017-07-14 양승현 실외 지붕 골조용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어셈블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콘크리트학회 2014 봄 학술대회 논문집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4 봄 학술대회 논문집(2014. 05.)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95B1 (ko) 2019-02-11 2019-07-30 최혜주 영상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차양시설
KR102383862B1 (ko) 2021-11-15 2022-04-08 제이앤에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차양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280B2 (en) Rail system for an outdoor shelter
KR101828222B1 (ko)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US20070074461A1 (en) Adjustable shade-providing building structure
US20200399905A1 (en) Rail System For An Outdoor Shelter
KR200386530Y1 (ko) 간이시설물용 조립식 지주
CA2726609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KR100791515B1 (ko) 야외용 천막구조물
US20230243170A1 (en) Waterproof roof for outdoor shed and outdoor shed
KR101715680B1 (ko) 보강형 골조 및 에어패널을 이용한 건축용 조립식 구조물
KR101828223B1 (ko) 조립식 차양 구조체
KR20200033549A (ko) 내식성 및 이탈변형방지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조립구조
CN210828486U (zh) 一种膜结构景观凉亭
KR101869535B1 (ko)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차양 구조체
KR102520319B1 (ko) 파고라 지붕 확장 구조 및 확장 방법
KR101061823B1 (ko) 조립식 천막
KR102614239B1 (ko)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KR20080006386U (ko) 조형물의 기둥구조
KR102177939B1 (ko) 내진기능을 갖는 한식 구조물 기둥과 기초부의 연결조립구조
KR102091407B1 (ko) 조립식 공연장
KR101817663B1 (ko) 조립식 차양막 구조
CN212716074U (zh) 一种景观廊架
KR102155131B1 (ko) 온실의 바닥 고정구조
KR102528642B1 (ko) 파고라 지붕 확장 구조 및 확장 방법
KR200490809Y1 (ko) 막구조물
CN220285131U (zh) 一种网格一体化结构的钢结构屋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