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09Y1 - 막구조물 - Google Patents
막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0809Y1 KR200490809Y1 KR2020190000714U KR20190000714U KR200490809Y1 KR 200490809 Y1 KR200490809 Y1 KR 200490809Y1 KR 2020190000714 U KR2020190000714 U KR 2020190000714U KR 20190000714 U KR20190000714 U KR 20190000714U KR 200490809 Y1 KR200490809 Y1 KR 2004908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vertical frame
- connection
- frames
- membrane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18—Tents having plural sectional covers, e.g. pavilions, vaulted tents, marquees, circus tents; Plural tents, e.g. mod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앙수직프레임, 중앙수직프레임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중앙수직프레임보다 길이가 길고, 상부는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고, 하부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후방수직프레임, 후방수직프레임의 하부 상단 또는 후방수직프레임의 상부 하단을 후방수직프레임과 동일한 열에 배치된 중앙수직프레임의 상단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결하고, 중앙수직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연결프레임, 연결프레임 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전방연결프레임 및 전방연결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연결프레임 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후방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햇빛을 가리거나 우설을 막기 위해 차양막이 설치가능한 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햇빛을 가리거나 우설을 막기 위하여 양산, 우산, 천막 구조물, 차양막 구조물 등이 사용된다. 이 중 차양막 구조물은 체육시설물, 도경시설, 전시장 등에 설치되어, 야외에서 햇빛을 가리거나 우설을 막음으로써 사람이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차양막은 그 자체로서는 햇빛을 가리거나 우설을 막기 위한 형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는 차양막을 프레임에 설치할 때 차양막에 구멍을 뚫어야만 하고, 그로 인해 비나 눈이 올 때 물이 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양막은 굴곡을 갖지 않아 차양막 위로 물이 고이는 등 배수에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구조의 종래 차양막 구조물의 경우, 차양막을 프레임에 설치할 때 차양막 위에 프레임이 설치되어, 차양막의 미감이 떨어지거나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막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과제는 차양막 설치 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연출성이 풍부하도록 구성된 곡선 형상을 가지는 막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과제는 프레임의 곡선 형상으로 인해 차양막이 곡선으로 형성되는 막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과제는 차양막 아래에 차양막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숨겨 차양막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막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과제는 차양막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곡선 형상의 막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앙수직프레임, 중앙수직프레임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중앙수직프레임보다 길이가 길고, 상부는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고, 하부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후방수직프레임, 후방수직프레임의 하부 상단 또는 후방수직프레임의 상부 하단을 후방수직프레임과 동일한 열에 배치된 중앙수직프레임의 상단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결하고, 중앙수직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연결프레임, 연결프레임 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전방연결프레임 및 전방연결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연결프레임 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후방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연결프레임의 하측에서, 연결프레임 및 중앙수직프레임과 각각 연결되어, 연결프레임을 지지하는 전방지지프레임과 후방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전방지지프레임은 후방지지프레임보다 길이가 길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연결프레임, 전방연결프레임 및 후방연결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차양막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에서, 차양막은 연결프레임 및 전방연결프레임의 길이에 맞게 개별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후방수직프레임의 상단과 후방수직프레임과 동일한 열에 배치된 연결프레임의 전단을 연결하는 보강와이어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곡선 형상을 가짐으로써, 차양막 설치 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웅장함을 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차양막 아래에 차양막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숨겨져 있어 차양막이 형성하는 곡선 형태의 미관을 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차양막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물이 새지 않고 배수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구멍이 노후화되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은, 곡선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이 차양막 아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배수에 최적화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양막이 설치된 막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구조물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양막이 설치된 막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고안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구성요소 중 일부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의 표기가 일부 생략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고안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에서 “수직” 방향은, 예컨대 지면과 90도를 형성하는 방향이고, “수평” 방향은, 예컨대 지면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해당 표현은 방향을 정의하는 표현으로서 관련 구성요소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 “전” 또는 “전방”은 막구조물의 앞쪽 방향으로서, 예컨대 도 2에서의 좌측 방향에 해당하고, “후” 또는 “후방”은 막구조물의 뒤쪽 방향으로서, 예컨대 도 2에서 우측 방향에 해당하며, 방향을 정의하는 표현으로서 관련 구성요소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서 “상” 또는 “상방”은 막구조물의 위쪽 방향으로서, 예컨대 도 2에서 위쪽 방향에 해당하고, “하” 또는 “하방”은 막구조물의 아래쪽 방향으로서, 예컨대 도 2에서 아래쪽 방향에 해당하며, 방향을 정의하는 표현으로서 관련 구성요소의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막구조물(1)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구조물(1)은 중앙수직프레임(10), 후방수직프레임(12), 연결프레임(11), 전방지지프레임(13) 및 후방지지프레임(14), 전방연결프레임(15) 및 후방연결프레임(16)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수직프레임(10)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후방수직프레임(12)은 중앙수직프레임(10)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후방수직프레임(12)은 중앙수직프레임(10)보다 길이가 길고, 후방수직프레임(12)의 상부는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고, 후방수직프레임(12)의 하부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진다.
막구조물(1)은 중앙수직프레임(10)과, 후방수직프레임(12)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중앙수직프레임(10)은 후방수직프레임(12)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중앙수직프레임(10)과 후방수직프레임(12)을 참고하면, 열 기준(전후방향 기준)으로 2개의 수직프레임을 사용하므로 구조물의 지지 효율을 증가하여 막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수직프레임(12)의 상부는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므로, 막구조물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와이어(17)가 연결프레임(11)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막구조물(1)의 중앙수직프레임(10) 및 후방수직프레임(12)은 경사 또는 단차가 있는 지면에 설치될 때를 기준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본 고안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막구조물(1)은 경사가 없는 지면에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후방수직프레임(12)의 하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더 길어질 수 있다.
연결프레임(11)은, 각각의 후방수직프레임(12)의 하부 상단 또는 각각의 후방수직프레임(12)의 상부 하단을, 동일한 열에 배치된 각각의 중앙수직프레임(10)의 상단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결한다. 연결프레임(11)은 중앙수직프레임(10)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1)은 중앙수직프레임(10)과 후방수직프레임(12)에 각각 연결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8)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은 중앙수직프레임(10)의 상단과 후방수직프레임(12)의 상부하단 혹은 하부상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수직프레임(12)의 상부하단 혹은 하부상단의 높이는 중앙수직프레임(10)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아, 연결프레임(11)은 우산살과 같은 곡선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연결프레임(15)은, 연결프레임(11) 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진다. 후방연결프레임(16)은 전방연결프레임(15)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전방연결프레임(15)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연결프레임(11) 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진다. 차양막(18)을 연결프레임(11), 전방연결프레임(15) 및 후방연결프레임(16) 위에 배치하여 차양막(18)에 구멍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프레임(11), 전방연결프레임(15) 및 후방연결프레임(16)은 우산살과 같은 곡선형태를 형성하고, 그 위에 설치된 차양막(18)도 곡선형태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차양막(18) 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막아 배수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차양막(18)에 구멍이 없으므로 막구조물 내부로 빗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곡선형태의 프레임 및 2개의 수직프레임(즉, 중앙수직프레임(10) 및 후방 수직프레임(12))을 사용함으로써, 막구조물의 내부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전방지지프레임(13)과 후방지지프레임(14)은 연결프레임(11)의 하측에서, 연결프레임(11) 및 중앙수직프레임(10)과 각각 연결되어, 연결프레임(11)을 지지한다. 전방지지프레임(13)과 후방지지프레임(14)은,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의 연결프레임(11)의 하중을 지탱하는데 도움을 주는 구성으로, 연결프레임(11)의 하측에서 중앙수직프레임(10)의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지지프레임(13)은 후방지지프레임(14)보다 길이가 길며, 막구조물의 무게중심이 앞쪽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양막(18)은 연결프레임(11), 전방연결프레임(15) 및 후방연결프레임(16)의 위에 위치한다. 막구조물(1)은 차양막(18)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보강와이어(17)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보강와이어(17)는 후방수직프레임(12)의 상단과 후방수직프레임(12)과 동일한 열에 배치된 연결프레임(11)의 전단을 연결한다. 보강와이어(17)를 사용함으로 연결프레임(11)을 지탱하는 중앙수직프레임(10)에 가해지는 적재하중을 후방수직프레임(12)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양막(18)은 연결프레임(11), 전방연결프레임(15) 및 후방연결프레임(16)의 길이에 맞게 개별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차양막(18)은 두 개의 연결프레임(11), 한 개의 전방연결프레임(15) 및 한 개의 후방연결프레임(16)으로 형성되는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양막(18)의 단부를 지퍼, 테이프 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시에는 분리가 가능하여 하중 및 크기의 분담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고안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중앙수직프레임 11: 연결프레임
12: 후방수직프레임 13: 전방지지프레임
14: 후방지지프레임 15: 전방연결프레임
16: 후방연결프레임 17: 보강와이어
18: 차양막 1: 막구조물
12: 후방수직프레임 13: 전방지지프레임
14: 후방지지프레임 15: 전방연결프레임
16: 후방연결프레임 17: 보강와이어
18: 차양막 1: 막구조물
Claims (5)
- 막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앙수직프레임;
상기 중앙수직프레임 각각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후방수직프레임 -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은 상기 중앙수직프레임보다 길이가 길고,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의 상부는 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고,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의 하부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짐 -;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의 하부 상단 또는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의 상부 하단을, 상기 후방수직프레임과 동일한 열에 배치된 상기 중앙수직프레임의 상단과 수평 방향으로 각각 연결하고, 상기 중앙수직프레임의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 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전방연결프레임;
상기 전방연결프레임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전방연결프레임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간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방으로 볼록한 곡선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후방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 전방에서,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중앙수직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을 지지하는 전방지지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 후방에서,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중앙수직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연결프레임을 지지하는 후방지지프레임 - 상기 전방지지프레임은 상기 후방지지프레임보다 길이가 김 -;
을 포함하는, 막구조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 상기 전방연결프레임 및 상기 후방연결프레임 위에 설치되는 차양막
을 더 포함하는, 막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상기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전방연결프레임의 길이에 맞게 개별로 형성되는, 막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수직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후방수직프레임과 동일한 열에 배치된 연결프레임의 전단을 연결하는 보강와이어
를 더 포함하는, 막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714U KR200490809Y1 (ko) | 2019-02-20 | 2019-02-20 | 막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0714U KR200490809Y1 (ko) | 2019-02-20 | 2019-02-20 | 막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0809Y1 true KR200490809Y1 (ko) | 2020-01-07 |
Family
ID=6915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0714U KR200490809Y1 (ko) | 2019-02-20 | 2019-02-20 | 막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0809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1515B1 (ko) * | 2005-04-26 | 2008-01-07 |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 야외용 천막구조물 |
KR100968216B1 (ko) * | 2010-03-16 | 2010-07-06 | 주식회사가림 | 조립식 지붕구조물 |
KR101397640B1 (ko) * | 2013-07-03 | 2014-05-23 | 주식회사 에이맥스 | 스탠드용 막 구조물 |
-
2019
- 2019-02-20 KR KR2020190000714U patent/KR20049080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1515B1 (ko) * | 2005-04-26 | 2008-01-07 |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 야외용 천막구조물 |
KR100968216B1 (ko) * | 2010-03-16 | 2010-07-06 | 주식회사가림 | 조립식 지붕구조물 |
KR101397640B1 (ko) * | 2013-07-03 | 2014-05-23 | 주식회사 에이맥스 | 스탠드용 막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3575B1 (ko) | 캠핑 텐트 | |
KR100791515B1 (ko) | 야외용 천막구조물 | |
US20210298248A1 (en) | Shade Device | |
KR200490809Y1 (ko) | 막구조물 | |
KR101397640B1 (ko) | 스탠드용 막 구조물 | |
KR101018641B1 (ko) |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 |
KR101188018B1 (ko) | 타프 | |
KR101268221B1 (ko) | 텐트 | |
KR101618302B1 (ko) | 텐트용 차광막 받침대 | |
KR200386358Y1 (ko) |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 |
KR20110057862A (ko) | 농작물 재배용 가림막 구조 | |
CN204715818U (zh) | 篷房横梁及篷房 | |
KR101817663B1 (ko) | 조립식 차양막 구조 | |
KR101837002B1 (ko) | 조립식 차양막 구조 | |
KR20120037717A (ko) |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 |
KR101397031B1 (ko) | 그늘막 텐트 | |
US20230403994A1 (en) | Shade Device | |
CN219316577U (zh) | 一种带天幕的帐篷 | |
KR20190027771A (ko) | 패브릭 타프 | |
CN209585794U (zh) | 帐篷 | |
KR20200137851A (ko) | 육각 오토텐트의 구조적 특수성을 이용한 회전 결합형 타프천막 | |
KR102692297B1 (ko) | 착탈 가능한 메쉬스크린이 구비된 사계절용 텐트 | |
KR102173162B1 (ko) | 야외 테이블용 조립식 차양 프레임 | |
KR102662403B1 (ko) | 대형 천막 | |
KR102583015B1 (ko) | 식물을 모방한 인공 차양 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