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239B1 -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14239B1 KR102614239B1 KR1020230009475A KR20230009475A KR102614239B1 KR 102614239 B1 KR102614239 B1 KR 102614239B1 KR 1020230009475 A KR1020230009475 A KR 1020230009475A KR 20230009475 A KR20230009475 A KR 20230009475A KR 102614239 B1 KR102614239 B1 KR 102614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hole
- support
- bracket
- slide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8—Brackets for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17/1456—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the ends of the rails being located in vertical channels extending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pos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지주; 지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횡대; 및 상기 지주와 횡대 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 상기 횡대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드홀을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의 제1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고정하는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횡대와 연결된 브라켓이 지주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면, 실외 산책로, 등산로, 수변공원, 전원 주택 등에는 목재로 구성된 데크 조립체(Deck assembly)가 사용되고 있다. 이는 목재 데크 조립체가 다른 재료에 비하여 자연친화적이고, 충격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고 내구성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데크 조립체는 설치 장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 받침부재의 상부에 직교되도록 안착되어 받침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데크판을 포함한다. 이때, 받침부재는 데크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데크판은 보행자가 밟고 지나갈 수 있는 것으로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데크 조립체의 경계에는 울타리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울타리는 금속으로 형성된 각관과 각관을 둘러싸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금속으로 형성된 각관의 수축 팽창률에 비해서 목재의 수축 팽창률이 훨씬 커서, 각관과 목재 사이에 흔들림이나 소음이 발생하고, 빨리 파손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48811호(이하, '종래문헌'이라 함.)에서는 목재 기둥이 개선된 디자인형 울타리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위 종래문헌에서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데크에 고정되는 제1기둥(1), 목재로 형성되어 소정값 이상의 강성을 가지며 "ㄷ"자 형상으로 상기 제1기둥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2기둥(2) 및 제3기둥(3), 그리고 수평기둥(6)을 상기 제2기둥(2) 및 제3기둥(3)에 체결하는 체결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종래문헌 등에서 개시된 구조는, 각관을 이용하여 목재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난간브라켓 연결시 피스를 이용하여 목재와 각관을 연결하는 것으로, 목재와 각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목재와 각관 연결방식도 피스를 이용하여 목재에 손상을 주어 내구성 저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횡대와 연결된 브라켓이 지주의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지면에 고정된 지주; 지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횡대; 및 상기 지주와 횡대 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 상기 횡대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드홀을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의 제1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주는, 하단이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적어도 일 측면이 개구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둘러싸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제1슬라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지주의 제1슬라이드홀에 삽입되는 제1결합몸체와 상기 제1결합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된 제1돌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제1돌출몸체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 측면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개구홀을 포함하며, 전후방향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몸체의 너비(D1),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폭(W1) 및 상기 개구홀의 폭(W3)이 아래의 식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몸체의 타면에 배치되는 볼트머리와 상기 제1결합몸체를 관통하는 볼트몸체를 가진 볼트 및, 상기 제1결합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의 볼트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볼트머리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드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는, 상기 제1슬라이드홀과 제2슬라이드홀이 서로 이격되되, 상기 제1결합몸체의 타면에 배치된 상기 볼트몸체의 일부가 수용되는 연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폭(W1), 상기 제2슬라이드홀의 폭(W2), 상기 연결홀의 폭(W4), 상기 볼트머리의 대변(D2) 및 상기 볼트몸체의 두께(D3)가 아래의 식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하나의 상기 제1결합몸체에 연결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볼트 중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지주의 제2슬라이드홀이 복수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는, 상기 제1슬라이드홀이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양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1슬라이드홀이 한 쌍의 상기 개구홀을 통해 양 측면으로 각각 개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브라켓이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브라켓 각각의 제1결합몸체가 상기 제1슬라이드홀에 삽입되되, 이격된 복수의 상기 브라켓의 제1결합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지면에 고정되되 상기 지주의 하단을 고정하는 받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 중심부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단이 설치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테두리에 배치되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단의 외면을 감싸는 밀폐부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고정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하측에 삽입되는 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양단이 각각 제1연결부의 제1돌출몸체와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몸체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곡된 옆면이 상기 이음부와 결합되되, 상기 제1돌출몸체의 옆면과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접하는 상기 이음부의 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제1슬라이드홀에 받침부와 브라켓의 제1연결부, 그리고 브라켓의 볼트몸체가 끼움결합됨에 따라 서로 다른 강성을 가진 제품 간의 결합시에 낮은 강성의 제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손상을 방지하면서 내구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브라켓의 제1결합부재와 제1체결부를 가이드하는 제1슬라이드홀 및 제2슬라이드홀을 통해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 위치가 고정된 이후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인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제2슬라이드홀에 대변이 고정된 볼트에 대해 작업자가 외부에서 너트를 조여 보다 쉽게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설치 및 해체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지주에 커버부가 지면 및 바닥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빗물이나 습기 등에 의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지주와 브라켓의 고정부분이 개구홀을 통해 매입방식으로 가려져 미관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자인형 울타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평단면도 및 브라켓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이용한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평단면도 및 지주의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평단면도 및 브라켓의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및 요부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이용한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평단면도 및 지주의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평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난간의 사시도를, 도 3은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정면도를, 도 4는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한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10)은, 지주(100), 횡대(200) 및 브라켓(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10)은 상기 지주(100)와 결합되는 받침부(400) 및 헤드캡(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주(100)는 복수로 이루어져 지면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하단이 상기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주(100)는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주(100)의 높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횡대(2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지주(100)에서 상기 횡대(200)의 일단은 하나의 상기 지주(100)에 연결되고 상기 횡대(200)의 타단은 다른 하나의 상기 지주(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횡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상을 비롯하여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이나, 다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상기 횡대(200)가 한 쌍의 지주(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지주(100)에 고정되어 상기 횡대(200)의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횡대(200)를 지주(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300)은 고정형 브라켓 또는 유동형 브라켓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동형 브라켓은 종래의 볼 타입 등의 기술들을 활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300)은 하나의 상기 지주(100)와 하나의 상기 횡대(20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상기 지주(100)의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브라켓(30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지주(10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상기 지주(100)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복수의 브라켓(3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지주(100)에는 좌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라켓(300)과 우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브라켓(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00)는 데크로드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주(100)가 상기 받침부(400)에 고정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400)는 상기 지주(100)의 하단과 일체로 고정된 상태에서 지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받침부(400)가 지면에 고정된 이후에 상기 지주(100)의 하단이 상기 받침부(400)의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주(100)는 상측으로 개구된 홀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300)의 일부가 상기 지주(100)의 상측으로 인입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10)은 상기 지주(100)에 상기 브라켓(300)의 삽입이 끝나면, 상기 헤드캡(500)을 통해 상기 지주(100)의 상측 개구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횡대(200)는 상기 브라켓(300)과 미리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300)이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거나, 상기 브라켓(300)이 상기 지주(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횡대(200)가 상기 브라켓(30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이하,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기 브라켓(300)이 상기 지주(100)를 기준으로 상기 횡대(200)가 회전 가능한 유동형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5는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 6은 도 3의 A-A`선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평단면도를, 도 7은 도 4의 B-B`선에 따른 지주의 평단면도 및 브라켓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300)은, 제1연결부(310), 제2연결부(320) 및 이음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310)는 상기 지주(100)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횡대(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음부(330)는 상기 제1연결부(310) 및 제2연결부(32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330)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부(32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하단이 지면(바닥)에 고정되는 상기 지주(100)가 연장되는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고, 한 쌍의 상기 지주(100)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횡대(200)는 한 쌍의 상기 지주(100)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경우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300)은, 상기 제1연결부(310)를 상기 지주(100)에 고정하는 제1체결부(340)와, 상기 횡대(200)의 일단을 상기 제2연결부(320)에 고정하는 제2체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부(330)의 좌측은 상기 제1연결부(310)에서 제1회전축(361)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이음부(330)의 우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회전축(36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음부(330)는 상기 제1연결부(310)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평면에서 제1회전축(36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362)이 제1회전축(361)에 의해 변화하는 가변좌표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320)가 상기 이음부(330)를 기준으로 가변좌표의 전후좌우 평면에서 제2회전축(362)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대(200)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경우, 상기 제1회전축(361)의 연장방향과 제2회전축(362)의 연장방향은 상하전후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340)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의 볼트머리(341)가 상기 지주(100)에 매립되고 상기 너트(34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상기 브라켓(300)을 상기 지주(100)에 삽입하여 설정된 높이에서 상기 너트(342)를 조립함에 따라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100)는 하단이 지면을 통해 위치가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1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감싸도록 배치된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브라켓(300)이 배치되는 좌우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제1슬라이드홀(111), 제2슬라이드홀(112), 개구홀(113) 또는 연결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슬라이드홀(111), 제2슬라이드홀(112), 개구홀(113) 또는 연결홀(114)은 상측이 개구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홀일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홀(111)은 상기 브라켓(300)의 제1연결부(31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슬라이드홀(112)은 상기 제1체결부(340)의 볼트머리(341)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340)는 상기 제1연결부(310)의 일부를 관통하는 볼트몸체(3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홀(114)에는 상기 볼트몸체(343)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홀(113)은 상기 횡대(200)가 배치되는 측면으로도 개구된 홀로 상기 브라켓(300)의 이음부(330)의 일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홀(111)의 폭(W1), 상기 제2슬라이드홀(112)의 폭(W2), 상기 개구홀(113)의 폭(W3) 및, 상기 연결홀(114)의 폭(W4)은 아래의 식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폭은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한 너비일 수 있다.
상기 개구홀(113)의 폭(W3) 또한 상기 제2슬라이드홀(112)의 폭(W2)과 상기 연결홀(114)의 폭(W4) 보다 큰 게 바람직할 수 있다.
후술하는 상기 제1연결부(310)의 상기 제1결합몸체(311)의 너비(D1), 상기 볼트머리(341)의 대변(D2) 및 상기 볼트몸체(343)의 두께(D3)는 상기 제1슬라이드홀(111)의 폭(W1), 상기 제2슬라이드홀(112)의 폭(W2), 상기 개구홀(113)의 폭(W3) 및, 상기 연결홀(114)의 폭(W4)과 아래와 같은 식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머리(341)의 대변(D2)은 상기 볼트가 육각볼트 등 각진 형태인 경우에 평직경일 수 있으며, 상기 볼트머리(341)가 대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슬라이드홀(111)의 폭(W1)은 상기 볼트머리(341)의 대변 보다는 크고 대각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상기 지주(100)에 상기 브라켓(300)이 삽입되면 상기 볼트가 제1슬라이드홀(111)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되 회전을 방지하여 상기 너트(342)를 통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커버부(120)는 서로 다른 강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이 상기 커버부(120) 보다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금속으로 상기 커버부(120)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300)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커버부(120)가 개구홀(113)을 형성함에 따라 연결부위가 매립되어 미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20)는 다수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 커버부(120)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거나,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외면에 상기 커버부(120)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400)와 헤드캡(500)을 통해 상하부가 고정되어 상기 커버부(120)의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8 및 도 9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브라켓의 분해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부(310)는 상기 제1체결부(340)를 이용하여 상기 지주(100)에 고정되는 제1결합몸체(311)와 상기 제1결합몸체(311)의 우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몸체(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출몸체(312)의 단부는 상기 이음부(3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몸체(312)는 상기 제1결합몸체(311)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312a)와, 상기 제1고정부재(312a)와 일체로 형성된 제1삽입부재(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재(312b)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부재(312b)에는 옆면에 돌출 형성된 제1체결돌기(312b-1)와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1각도조절홈(312b-1)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361)이 상기 제1각도조절홈(312b-1)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돌기(312b-1)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12a)는 사각기둥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각도조절홈(312b-2)은 상기 제1회전축(361)이 제1삽입부재(312b)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제2체결부(350)를 이용하여 상기 횡대(200)를 고정시키는 제2결합몸체(321)와 상기 제2결합몸체(321)의 좌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몸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몸체(322)의 단부는 상기 이음부(33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몸체(322)는 상기 제2결합몸체(321)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322a)와, 상기 제2고정부재(322a)와 일체로 형성된 제2삽입부재(322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삽입부재(322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부재(322b)에는 옆면에 돌출 형성된 제2체결돌기(322b-1)와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2각도조절홈(322b-2)과 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축(362)이 상기 제2각도조절홈(322b-2)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돌기(322b-1)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322a)는 사각기둥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각도조절홈(322b-2)은 상기 제2회전축(362)이 제2삽입부재(322b)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제2결합몸체(321)의 좌측면에 상기 제2돌출몸체(322)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몸체(321)의 우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2결합몸체(321)의 중공부(321a)로 상기 횡대(2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제2결합몸체(321)의 중공부(321a)에 배치되는 탄성부재(323) 및 배수가이드(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23)는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횡대(200)가 삽입하면 상기 횡대(200)의 단부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23)의 일단은 상기 제2결합몸체(321)의 중공부(321a)에 고정되고 상기 횡대(200)의 단부 면에 타단이 결합되어 가압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
상기 배수가이드(324)는 상기 중공부(321a)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중공부(321a)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가이드(324)의 돌출된 단부가 상기 횡대(200)의 단부 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몸체(321)의 중공부(321a)는 상기 횡대(200)의 단부 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배수가이드(324)의 단부가 형성하는 면적이 상기 횡대(200)의 단부 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20)는, 상기 제2결합몸체(321)의 둘레면 중 일부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321b)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321b)는 한 쌍의 상기 배수가이드(3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구(321b)는 상기 중공부(321a)가 하측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제2결합몸체(321)에 관통된 홀일 수 있다.
상기 이음부(330)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커버몸체(331)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2커버몸체(3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제2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331)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어 그 사이에 제1삽입홀(33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삽입홀(331a)에 상기 제1연결부(310)의 제1삽입부재(312b)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331)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홀(331b)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361)이 상기 제1관통홀(331b)과 상기 제1각도조절홈(312b-2)을 관통하여 회전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330)의 일면에는 제1톱니고정부(33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톱니고정부(331c)가 상기 제1삽입부재(312b)의 제1체결돌기(312b-1)와 접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톱니고정부(331c)도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돌기(312b-1)의 돌기의 수가 상기 제1톱니고정부(331c)의 돌기의 수보다 많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330)의 일면은 상기 제1커버몸체(331)와 제2커버몸체(332)의 단부를 연결하는 격벽형태 몸체의 좌측면일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332)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어 그 사이에 제2삽입홀(3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홀(332a)에 상기 제2연결부(320)의 제2삽입부재(322b)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332)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홀(332b)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362)이 상기 제2관통홀(332b)과 상기 제2각도조절홈(322b-2)을 관통하여 회전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330)의 타면에는 제2톱니고정부(332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톱니고정부(332c)가 상기 제2삽입부재(322b)의 제2체결돌기(322b-1)와 접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톱니고정부(332c)도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돌기(322b-1)의 돌기의 수가 상기 제2톱니고정부(332c)의 돌기의 수보다 많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330)의 타면은 상기 제1커버몸체(331)와 제2커버몸체(332)의 단부를 연결하는 격벽형태 몸체의 우측면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0은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한 정면도를, 도 11은 지주의 평단면도를, 도 12는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평단면도 및 지주의 평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부(4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바닥프레임(410)과,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밀폐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주(100)의 베이스프레임(110) 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밀폐부(420)는 상기 커버부(120)의 하단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밀폐부(420)의 일부를 절개한 것으로 상기 커버부(120)의 하단 외면을 감싸도록 상측으로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받침부(400)는 상기 커버부(120)의 하단을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상면 보다 상측으로 이격시키도록, 상기 커버부(120)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120)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둘러싸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430)가 복수로 이루어져 복수의 상기 커버부(120)의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400)는 상기 바닥프레임(4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지주(100)의 베이스프레임(110)과 결합되는 결합프레임(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프레임(44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상기 제1슬라이드홀(111) 또는 상기 제2슬라이드홀(112)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을 이용한 난간시스(10)은, 복수의 브라켓(300)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600)는 상기 제1슬라이드홀(111)에 삽입되는 제1보강부재(610) 또는 상기 제2슬라이드홀(112)에 삽입되는 제2보강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보강부재(610)는 상하로 이격된 복수의 상기 브라켓(300)의 제1결합몸체(311)와 접하여 상하로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공되거나, 미관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600)는 고무패드, 합성수지재, 알루미늄재 또는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3은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의 평단면도 및 지주의 평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지주(100)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상기 볼트머리(341)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슬라이드홀(112)을 포함하거나, 하나의 제2슬라이드홀(112)에 복수의 상기 볼트머리(341)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310)에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체결부(340)가 배치됨에 따라 삽입된 브라켓(3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0)과의 조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4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4는 지주의 평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4-(a)를 참조하면, 상기 지주(100)의 개구홀(113)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와 상기 커버부(120)의 양측 단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120)는 'ㄷ'자 형상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전후방향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 지주(100)의 개구홀(113)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의 양측 단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좌우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홀(113)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한 쌍의 상기 커버부(12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를 포함하여 좌우방향으로 공간을 분할할 수 있으며, 4개의 상기 커버부(120)가 베이스프레임(110)의 가이드를 통해 전후좌우로 구분된 공간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도시된 형상은 다양한 실시 형태 중 하나이며 이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골격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형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아니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100 : 지주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제1슬라이드홀
112 : 제2슬라이드홀
113 : 개구홀
114 : 연결홀
120 : 커버부
200 : 횡대
300 : 브라켓
310 : 제1연결부
311 : 제1결합몸체
312 : 제1돌출몸체
312a : 제1고정부재
312b : 제1삽입부재
312b-1 : 제1체결돌기
312b-2 : 제1각도조절홈
320 : 제2연결부
321 : 제2결합몸체
321a : 중공부
321b: 배수구
322 : 제2돌출몸체
322a : 제2고정부재
322b : 제2삽입부재
322b-1 : 제2체결돌기
322b-2 : 제2각도조절홈
323 : 탄성부재
324 : 배수가이드
330 : 이음부
331 : 제1커버몸체
331a : 제1삽입홀
331b : 제1관통홀
331c : 제1톱니고정부
332 : 제2커버몸체
332a : 제2삽입홀
332b : 제2관통홀
332c : 제2톱니고정부
340 : 제1체결부
341 : 볼트머리
342 : 너트
343 : 볼트몸체
350 : 제2체결부
361 : 제1회전축
362 : 제2회전축
400 : 받침부
410 : 바닥프레임
420 : 밀폐부
430 : 돌출부
440 : 결합프레임
500 : 헤드캡
600 : 보강부재
610 : 제1보강부재
620 : 제2보강부재
100 : 지주
110 : 베이스프레임
111 : 제1슬라이드홀
112 : 제2슬라이드홀
113 : 개구홀
114 : 연결홀
120 : 커버부
200 : 횡대
300 : 브라켓
310 : 제1연결부
311 : 제1결합몸체
312 : 제1돌출몸체
312a : 제1고정부재
312b : 제1삽입부재
312b-1 : 제1체결돌기
312b-2 : 제1각도조절홈
320 : 제2연결부
321 : 제2결합몸체
321a : 중공부
321b: 배수구
322 : 제2돌출몸체
322a : 제2고정부재
322b : 제2삽입부재
322b-1 : 제2체결돌기
322b-2 : 제2각도조절홈
323 : 탄성부재
324 : 배수가이드
330 : 이음부
331 : 제1커버몸체
331a : 제1삽입홀
331b : 제1관통홀
331c : 제1톱니고정부
332 : 제2커버몸체
332a : 제2삽입홀
332b : 제2관통홀
332c : 제2톱니고정부
340 : 제1체결부
341 : 볼트머리
342 : 너트
343 : 볼트몸체
350 : 제2체결부
361 : 제1회전축
362 : 제2회전축
400 : 받침부
410 : 바닥프레임
420 : 밀폐부
430 : 돌출부
440 : 결합프레임
500 : 헤드캡
600 : 보강부재
610 : 제1보강부재
620 : 제2보강부재
Claims (10)
-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에 있어서,
지면에 고정된 지주;
지면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횡대; 및
상기 지주와 횡대 사이를 연결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제1연결부, 상기 횡대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가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제1슬라이드홀을 포함하여,
상기 브라켓의 제1연결부의 일부가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주는,
하단이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적어도 일 측면이 개구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둘러싸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제1슬라이드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지주의 제1슬라이드홀에 삽입되는 제1결합몸체와 상기 제1결합몸체의 일면에서 돌출된 제1돌출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제1돌출몸체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 측면과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개구홀을 포함하며,
전후방향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몸체의 너비(D1),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폭(W1) 및 상기 개구홀의 폭(W3)이 아래의 식 1에 따라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몸체의 타면에 배치되는 볼트머리와 상기 제1결합몸체를 관통하는 볼트몸체를 가진 볼트 및, 상기 제1결합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의 볼트 몸체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의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볼트머리를 수용하도록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제2슬라이드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주는,
상기 제1슬라이드홀과 제2슬라이드홀이 서로 이격되되,
상기 제1결합몸체의 타면에 배치된 상기 볼트몸체의 일부가 수용되는 연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폭(W1), 상기 제2슬라이드홀의 폭(W2), 상기 연결홀의 폭(W 4), 상기 볼트머리의 대변(D2) 및 상기 볼트몸체의 두께(D3)가 아래의 식 2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양단이 각각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에 결합되는 이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가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연결부가 상기 이음부와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되,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음부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개구홀과 상기 커버부의 개구된 일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은,
복수의 상기 브라켓이 상하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브라켓 각각의 제1결합몸체가 상기 제1슬라이드홀에 삽입되되,
이격된 복수의 상기 브라켓의 제1결합몸체 사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 및
지면에 고정되되 상기 지주의 하단을 고정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지면에 고정되어 중심부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하단이 설치되는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테두리에 배치되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단의 외면을 감싸는 밀폐부 및,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프레임에 고정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슬라이드홀의 하측에 삽입되는 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1슬라이드홀에 상기 제1결합몸체, 보강부재 및 결합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식 1]
[식 2]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하나의 상기 제1결합몸체에 연결되는 복수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고,
복수의 볼트 중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홀이 복수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홀이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양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1슬라이드홀이 한 쌍의 상기 개구홀을 통해 양 측면으로 각각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9475A KR102614239B1 (ko) | 2023-01-25 | 2023-01-25 |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9475A KR102614239B1 (ko) | 2023-01-25 | 2023-01-25 |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4239B1 true KR102614239B1 (ko) | 2023-12-15 |
Family
ID=8912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09475A KR102614239B1 (ko) | 2023-01-25 | 2023-01-25 |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1423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5891A (ko) * | 2008-06-03 | 2009-12-08 | 남중환 | 휀스 결합구조 |
KR20100013082U (ko) * | 2009-06-25 | 2010-12-31 | 안건형 | 난간대 회동브라켓 |
KR101569774B1 (ko) * | 2014-07-01 | 2015-11-17 | 주식회사 나무나라 | 가로 목의 각도설치가 용이한 휀스용 지주 |
KR200480718Y1 (ko) * | 2016-02-19 | 2016-06-28 | 수풍산업 주식회사 | 목재 부식이 방지되는 난간 결속구조 |
KR101848811B1 (ko) | 2018-02-07 | 2018-04-16 | (유)송원이엔지 | 목재 기둥이 개선된 디자인형 울타리 |
KR101930844B1 (ko) * | 2018-09-11 | 2018-12-19 | 아이앤지산업(주) |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2023
- 2023-01-25 KR KR1020230009475A patent/KR1026142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25891A (ko) * | 2008-06-03 | 2009-12-08 | 남중환 | 휀스 결합구조 |
KR20100013082U (ko) * | 2009-06-25 | 2010-12-31 | 안건형 | 난간대 회동브라켓 |
KR101569774B1 (ko) * | 2014-07-01 | 2015-11-17 | 주식회사 나무나라 | 가로 목의 각도설치가 용이한 휀스용 지주 |
KR200480718Y1 (ko) * | 2016-02-19 | 2016-06-28 | 수풍산업 주식회사 | 목재 부식이 방지되는 난간 결속구조 |
KR101848811B1 (ko) | 2018-02-07 | 2018-04-16 | (유)송원이엔지 | 목재 기둥이 개선된 디자인형 울타리 |
KR101930844B1 (ko) * | 2018-09-11 | 2018-12-19 | 아이앤지산업(주) |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6827B1 (ko) | 완충형 보행 데크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252869B1 (ko) |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 |
KR101792440B1 (ko) | 산책로용 목재 데크 | |
US20060169965A1 (en) | Pre-fabricated fencing panels | |
KR102575654B1 (ko) |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 |
KR101079406B1 (ko) | 펜스용 브라켓을 구비한 펜스 | |
KR102614239B1 (ko) |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 |
JP7020932B2 (ja) | 屋根体 | |
KR102184096B1 (ko) | 물탱크용 지지 조립체 | |
KR102609786B1 (ko) | 알루미늄 데크 로드 시스템 | |
KR101828222B1 (ko) | 야외 설치용 스탠드 차양 및 이의 설치방법 | |
KR200482083Y1 (ko) |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f자형 연결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 |
JP6932478B2 (ja) | 床 | |
JP4307694B2 (ja) | 建物用付設物の取付具及び建物用付設物の取付構造 | |
KR101828223B1 (ko) | 조립식 차양 구조체 | |
KR200482005Y1 (ko) | 변형 방지 기능을 가지는 데크로드용 십자형 보강프레임 및 데크로드 시스템 | |
KR102610484B1 (ko) | 난간연결구 | |
JP7115704B2 (ja) | 手すり | |
JPH0224447A (ja) | 手摺りの取付方法及び取付装置 | |
KR101693027B1 (ko) | 보드판마감재를 포함한 휀스기둥 | |
JP3746247B2 (ja) | 手摺りの取付装置 | |
JP6963451B2 (ja) | ビーム取付金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柵 | |
KR102679782B1 (ko) | 일체형 절곡브라켓을 갖는 난간 설치용 지주 | |
JP3087272B2 (ja) | 手摺の取付構造 | |
JP6858512B2 (ja) | デッキ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