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654B1 -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 Google Patents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654B1
KR102575654B1 KR1020230009470A KR20230009470A KR102575654B1 KR 102575654 B1 KR102575654 B1 KR 102575654B1 KR 1020230009470 A KR1020230009470 A KR 1020230009470A KR 20230009470 A KR20230009470 A KR 20230009470A KR 102575654 B1 KR102575654 B1 KR 102575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joint
protruding body
pai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온피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온피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온피앤디
Priority to KR1020230009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88Brackets for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지주와 한 쌍의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횡대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제1결합몸체와 상기 제1결합몸체에서 돌출된 제1돌출몸체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 상기 횡대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2결합몸체와 상기 제2결합몸체에서 돌출된 제2돌출몸체를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제2돌출몸체와 결합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몸체 및 제2돌출몸체는 각각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곡된 옆면이 상기 이음부와 결합되되, 상기 제1돌출몸체 및 제2돌출몸체 각각의 옆면과 상기 제1돌출몸체 및 제2돌출몸체과 접하는 상기 이음부의 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ADJUSTABLE BRACKET FOR BALUSTRADE INSTALLATION}
본 발명은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난간의 지주를 기준으로 횡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주와 횡대 사이에 설치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계나 다리, 보행로 등에는 낙상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심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난간이 설치된다. 이때 난간의 설치지점이 경사지거나 꺾이는 경우에는 선형의 지주와 횡대를 설치하기가 어려워 종래에는 계단식으로 단이 형성되도록 시공을 하였으나, 경사의 정도에 따라 단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와 더불어 시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8638호(이하, '종래문헌'이라 함.)에서는 울타리의 구성 중 난간대를 구성하는 횡형부재를 지주에 슬라이딩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때 위 종래문헌에서는 지주에 횡형부재(1)의 결합시 3차원 다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 형상인 볼 타입의 삽입회동체(2)를 통해 설치함으로써 현장의 다양한 경사도에 쉽게 대응하여 적절한 높이로 횡형부재를 손쉽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종래문헌 등에서 개시된 자유도가 높은 볼 타입의 유동형 브라켓은, 결합력이 약해 연결구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여 볼 자체 회전으로 각도의 변형이 빈번히 발생 문제가 있다. 특히, 실내가 아닌 데크로드와 같은 야외에 설치되는 난간의 경우에는 자연 환경에 의한 손상과 빈번하게 발생되는 외력을 버틸 수 있는 내구성이 요구되지만, 볼 타입의 유동형 브라켓은 내구성이 낮아 야외에서 장기간 사용하기가 어려워 주기적인 유지보수가 요구되어 과도한 비용과 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KR 10-1798638 B1 (2017.11.16.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난간의 지주를 기준으로 횡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주와 횡대 사이에 설치되면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부식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된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된 지주와 한 쌍의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횡대를 서로 연결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제1결합몸체와 상기 제1결합몸체에서 돌출된 제1돌출몸체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 상기 횡대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2결합몸체와 상기 제2결합몸체에서 돌출된 제2돌출몸체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제2돌출몸체와 결합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제2돌출몸체는 각각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곡된 옆면이 상기 이음부와 결합되되,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제2돌출몸체 각각의 옆면과 상기 제1돌출몸체 및 제2돌출몸체와 접하는 상기 이음부의 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음부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커버몸체;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2커버몸체;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의 사이에 상기 제1돌출몸체가 삽입되되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이음부가 회전하고,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의 사이에 상기 제2돌출몸체가 삽입되되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부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1커버몸체 또는 제2커버몸체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부는,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와 연결되어 일측으로 개구된 사각홀을 형성하는 제1보강부재; 및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와 연결되어 타측으로 개구된 사각홀을 형성하는 제2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돌출몸체의 양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각도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돌출몸체의 양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각도조절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상기 제1돌출몸체 및 제2돌출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각도조절홈 및 제2각도조절홈은 호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제2돌출몸체 각각의 옆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1체결돌기와 제2체결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1돌출몸체 및 제2돌출몸체와 접하는 상기 이음부의 양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1톱니고정부와 제2톱니고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1체결돌기와 제2체결돌기의 돌기의 수가 상기 제1톱니고정부와 제2톱니고정부의 돌기의 수보다 많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부는,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와 상기 이음부의 일면이 제2방향에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와 상기 이음부의 타면이 제1방향에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결합몸체의 일면에 상기 제2돌출몸체가 배치되되, 상기 제2결합몸체의 타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2결합몸체의 중공부에 횡대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2결합몸체의 중공부에 배치되어 삽입된 상기 횡대의 단부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결합몸체의 중공부에서 상기 중공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배수가이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수가이드가 상기 제2결합몸체의 양면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공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횡대의 단부의 둘레면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결합몸체의 둘레면 중 일부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는 한 쌍의 상기 배수가이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결합몸체의 중공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은, 제1연결부, 제2연결부 및 이음부를 통해 난간의 지주와 횡대가 서로 회전 가능한 형태로 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지형에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와 상기 이음부와 톱니 형태의 돌기가 서로 맞닿아 결합됨에 따라 각도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결합된 자세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은, 제2연결부가 다양한 형상의 횡대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배수가이드와 배수구를 구비하여 습기로 인해 횡대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은 제2연결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횡대가 환경에 따라 신축되는 것을 보완할 수 있어 보다 난간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면서 보다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지주와 횡형부재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의 중공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음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난간의 사시도를, 도 3은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10)은, 지면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21)와 한 쌍의 상기 지주(21)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횡대(22) 사이를 연결하여 난간(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10)은 하나의 지주(21)와 하나의 횡대(22)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하나의 지주(21)에 복수의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10)이 설치되어 복수의 횡대(22)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지주(21)에도 복수의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10)이 설치되어 복수의 횡대(22)의 타단을 고정할 있다. 여기서 상기 난간(20)은 야외 또는 실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실외 데크로드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10)은 회전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지형에서 지주(21)와 횡대(22)를 연결하여 난간(20)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10)은, 제1연결부(100), 제2연결부(200) 및 이음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100)는 상기 지주(21)와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부(200)는 상기 횡대(22)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음부(300)는 상기 제1연결부(100) 및 제2연결부(200)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300)를 통해 상기 제1연결부(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부(20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하단이 지면(바닥)에 고정되는 상기 지주(21)가 연장되는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고, 한 쌍의 상기 지주(21)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횡대(22)는 한 쌍의 상기 지주(21)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경우에는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10)은, 상기 제1연결부(100)를 상기 지주(21)에 고정하는 제1체결부(400)와, 상기 횡대(22)의 일단을 상기 제2연결부(200)에 고정하는 제2체결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음부(300)의 좌측은 상기 제1연결부(100)에서 제1회전축(610)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200)는 상기 이음부(300)의 우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회전축(610)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음부(300)는 상기 제1연결부(100)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평면에서 제1회전축(61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620)이 제1회전축(610)에 의해 변화하는 가변좌표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200)가 상기 이음부(300)를 기준으로 가변좌표의 전후좌우 평면에서 제2회전축(62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대(22)가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경우, 상기 제1회전축(610)의 연장방향과 제2회전축(620)의 연장방향은 상하전후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도 4 및 도 5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분해사시도를, 도 6은 이음부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부(100)는 상기 제1체결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지주(21)에 고정되는 제1결합몸체(110)와 상기 제1결합몸체(110)의 우측으로 돌출된 제1돌출몸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돌출몸체(120)의 단부는 상기 이음부(3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돌출몸체(120)는 상기 제1결합몸체(110)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121)와, 상기 제1고정부재(121)와 일체로 형성된 제1삽입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부재(12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부재(122)에는 옆면에 돌출 형성된 제1체결돌기(122a)와 전후면을 관통하는 제1각도조절홈(122b)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610)이 상기 제1각도조절홈(122b)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돌기(122a)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121)는 사각기둥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각도조절홈(122b)은 상기 제1회전축(610)이 제1삽입부재(122)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00)는 상기 제2체결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횡대(22)를 고정시키는 제2결합몸체(210)와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좌측으로 돌출된 제2돌출몸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돌출몸체(220)의 단부는 상기 이음부(3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돌출몸체(220)는 상기 제2결합몸체(210)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221)와, 상기 제2고정부재(221)와 일체로 형성된 제2삽입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삽입부재(2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부재(222)에는 옆면에 돌출 형성된 제2체결돌기(222a)와 상하면을 관통하는 제2각도조절홈(222b)과 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회전축(620)이 상기 제2각도조절홈(222b)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돌기(222a)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221)는 사각기둥 또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각도조절홈(222b)은 상기 제2회전축(620)이 제2삽입부재(222)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부(200)는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좌측면에 상기 제2돌출몸체(220)가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우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중공부(211)로 상기 횡대(22)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부(200)는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중공부(211)에 배치되는 탄성부재(230) 및 배수가이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횡대(22)가 삽입하면 상기 횡대(22)의 단부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30)의 일단은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중공부(211)에 고정되고 상기 횡대(22)의 단부 면에 타단이 결합되어 가압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
상기 배수가이드(240)는 상기 중공부(2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중공부(21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가이드(240)의 돌출된 단부가 상기 횡대(22)의 단부 둘레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중공부(211)는 상기 횡대(22)의 단부 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배수가이드(240)의 단부가 형성하는 면적이 상기 횡대(22)의 단부 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200)는,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둘레면 중 일부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2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212)는 한 쌍의 상기 배수가이드(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구(212)는 상기 중공부(211)가 하측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제2결합몸체(210)에 관통된 홀일 수 있다.
상기 이음부(300)는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커버몸체(310) 및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한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2커버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제2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310)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어 그 사이에 제1삽입홀(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삽입홀(311)에 상기 제1연결부(100)의 제1삽입부재(12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31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제1관통홀(312)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회전축(610)이 상기 제1관통홀(312)과 상기 제1각도조절홈(122b)을 관통하여 회전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300)의 일면에는 제1톱니고정부(3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톱니고정부(313)가 상기 제1삽입부재(122)의 제1체결돌기(122a)와 접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톱니고정부(313)도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돌기(122a)의 돌기의 수가 상기 제1톱니고정부(313)의 돌기의 수보다 많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300)의 일면은 상기 제1커버몸체(310)와 제2커버몸체(320)의 단부를 연결하는 격벽형태 몸체의 좌측면일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320)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어 그 사이에 제2삽입홀(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삽입홀(321)에 상기 제2연결부(200)의 제2삽입부재(22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32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제2관통홀(3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회전축(620)이 상기 제2관통홀(322)과 상기 제2각도조절홈(222b)을 관통하여 회전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300)의 타면에는 제2톱니고정부(3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톱니고정부(323)가 상기 제2삽입부재(222)의 제2체결돌기(222a)와 접하여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톱니고정부(323)도 복수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돌기(222a)의 돌기의 수가 상기 제2톱니고정부(323)의 돌기의 수보다 많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음부(300)의 타면은 상기 제1커버몸체(310)와 제2커버몸체(320)의 단부를 연결하는 격벽형태 몸체의 우측면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도 7은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평면도를, 도 8은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310)와 상기 이음부(300)의 일면이 전후방향인 제2방향에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320)와 상기 이음부(300)의 타면이 상하방향인 제1방향에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커버몸체(310)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제1연결부(100)의 제1돌출몸체(120)가 삽입되어 제1체결돌기(122a)와 제1톱니고정부(313)가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몸체(320)가 형성하는 'ㄷ'자 형상의 홈에 상기 제2연결부(200)의 제2돌출몸체(220)가 삽입되어 제2체결돌기(222a)와 제2톱니고정부(323)가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축(610)은 상기 제1커버몸체(310)의 제1관통홀(312)과 상기 제1연결부(100)의 제1각도조절홈(122b)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제2회전축(620)은 상기 제2커버몸체(320)의 제2관통홀(322)과 상기 제2연결부(200)의 제2각도조절홈(222a)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몸체(310)는 전후방향에서 도시하는 경우에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커버몸체(320)는 상하방향에서 도시하는 경우에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도 9는 제2연결부의 중공부를 도시한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연결부(200)는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상하전후 둘레를 따라 복수의 배수가이드(2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배수구(212)가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구(212)는 한 쌍의 배수가이드(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결합몸체(210)는 좌측면 중심부에 홀이 형성될 수 있고, 그 홀을 중심으로 복수의 고정돌기(250)가 상하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고정돌기(250)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탄성부재(230)의 내측에 배치되어 신축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도 10은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 11은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분해사시도를, 도 12는 이음부의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음부(300)는, 상하방향인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310)와 연결되어 일측으로 개구된 사각홀을 형성하는 제1보강부재(330) 및 전후방향인 제1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320)와 연결되어 타측으로 개구된 사각홀을 형성하는 제2보강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버몸체(310) 및 제2커버몸체(320)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1커버몸체(310) 보다 상기 제1보강부재(330)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보강부재(330)의 좌측 단부가 상하측로 개구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2커버몸체(320) 보다 상기 제2보강부재(340)가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보강부재(340)의 우측 단부가 전후측로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음부(300)는 제1회전축(610) 및 제2회전축(620)을 통해 회전하는 경우에 회전 공간을 확보하거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도 13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횡대(22)는 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태이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인 봉 형태일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몸체(210)의 중공부(211)는 상기 횡대(22)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면이 다각 형상의 막대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상기 중공부(211)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중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10)은 여러 형상의 중공부(211)를 가진 복수의 제2결합몸체(210)를 통해 현장에서 선택적으로 조립 및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20 : 난간
21 : 지주
22 : 횡대
100 : 제1연결부
110 : 제1결합몸체
120 : 제1돌출몸체
121 : 제1고정부재
122 : 제1삽입부재
122a : 제1체결돌기
122b : 제1각도조절홈
200 : 제2연결부
210 : 제2결합몸체
211 : 중공부
212 : 배수구
220 : 제2돌출몸체
221 : 제2고정부재
222 : 제2삽입부재
222a : 제2체결돌기
222b : 제2각도조절홈
230 : 탄성부재
240 : 배수가이드
250 : 고정돌기
300 : 이음부
310 : 제1커버몸체
311 : 제1삽입홀
312 : 제1관통홀
313 : 제1톱니고정부
320 : 제2커버몸체
321 : 제2삽입홀
322 : 제2관통홀
323 : 제2톱니고정부
330 : 제1보강부재
340 : 제2보강부재
321 : 제2삽입홀
400 : 제1체결부
500 : 제2체결부
610 : 제1회전축
620 : 제2회전축

Claims (11)

  1. 지면에 고정된 지주와 한 쌍의 상기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횡대를 서로 연결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제1결합몸체와 상기 제1결합몸체에서 돌출된 제1돌출몸체를 포함하는 제1연결부;
    상기 횡대의 단부를 고정하는 제2결합몸체와 상기 제2결합몸체에서 돌출된 제2돌출몸체를 포함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양단이 각각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제2돌출몸체와 결합되는 이음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제2돌출몸체는 각각 반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곡된 옆면이 상기 이음부와 결합되되,
    상기 제1돌출몸체와 제2돌출몸체 각각의 옆면과 상기 제1돌출몸체 및 제2돌출몸체와 접하는 상기 이음부의 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음부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커버몸체; 및
    상기 전후방향과 직교한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2커버몸체;
    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의 사이에 상기 제1돌출몸체가 삽입되되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1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이음부가 회전하고,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의 사이에 상기 제2돌출몸체가 삽입되되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제2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부가 회전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돌출몸체의 양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1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각도조절홈 및 상기 제1돌출몸체의 옆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1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돌출몸체의 양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각도조절홈 및 상기 제2돌출몸체의 옆면에 배치되어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축과 제2회전축이 상기 제1돌출몸체 및 제2돌출몸체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각도조절홈 및 제2각도조절홈은 호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기 이음부의 일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1톱니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돌기와 접하여 서로 맞물리고,
    상기 이음부의 타면에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진 제2톱니고정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돌기와 접하여 서로 맞물리며,
    상기 이음부는,
    하나의 상기 제1커버몸체와 상기 이음부의 일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제1커버몸체가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하방향에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의 상기 제2커버몸체와 상기 이음부의 타면 및 다른 하나의 상기 제2커버몸체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전후방향에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돌기의 돌기의 수가 상기 제1톱니고정부의 돌기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돌기의 돌기의 수가 상기 제2톱니고정부의 돌기의 수보다 많게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고정부가 상기 이음부의 일면의 상하방향 중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톱니고정부가 상기 이음부의 타면의 전후방향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결합몸체의 일면에 상기 제2돌출몸체가 배치되되,
    상기 제2결합몸체의 타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2결합몸체의 중공부에 횡대의 단부가 삽입 고정되며,
    상기 제2결합몸체의 중공부에 배치되어 삽입된 상기 횡대의 단부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결합몸체의 중공부에서 상기 중공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배수가이드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수가이드가 상기 제2결합몸체의 양면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공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횡대의 단부의 둘레면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1커버몸체 또는 제2커버몸체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1커버몸체와 연결되어 일측으로 개구된 사각홀을 형성하는 제1보강부재; 및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되 한 쌍의 상기 제2커버몸체와 연결되어 타측으로 개구된 사각홀을 형성하는 제2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2결합몸체의 둘레면 중 일부에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는 한 쌍의 상기 배수가이드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몸체의 중공부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KR1020230009470A 2023-01-25 2023-01-25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KR102575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470A KR102575654B1 (ko) 2023-01-25 2023-01-25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470A KR102575654B1 (ko) 2023-01-25 2023-01-25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654B1 true KR102575654B1 (ko) 2023-09-06

Family

ID=8797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470A KR102575654B1 (ko) 2023-01-25 2023-01-25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103B1 (ko) * 2023-09-22 2024-05-28 (주)엠에스티통상 구조물용 기둥재와 가로재의 결합구조 및 구조물용 기둥재와 가로재의 시공방법
KR102699410B1 (ko) * 2024-04-29 2024-08-27 박성복 상하 회전 및 360도 회전이 가능한 난간대 연결브라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729A (ja) * 1996-04-01 1997-10-14 Swan Shoji Co Ltd 手摺支柱角度自在ブラケット
KR20100013082U (ko) * 2009-06-25 2010-12-31 안건형 난간대 회동브라켓
KR101348920B1 (ko) * 2012-11-28 2014-01-08 김경태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KR101399186B1 (ko) * 2013-12-05 2014-05-27 이진성 조립식 난간의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 설치 방법
KR101798638B1 (ko) 2017-08-23 2017-11-16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8729A (ja) * 1996-04-01 1997-10-14 Swan Shoji Co Ltd 手摺支柱角度自在ブラケット
KR20100013082U (ko) * 2009-06-25 2010-12-31 안건형 난간대 회동브라켓
KR101348920B1 (ko) * 2012-11-28 2014-01-08 김경태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KR101399186B1 (ko) * 2013-12-05 2014-05-27 이진성 조립식 난간의 연결장치 및 연결장치 설치 방법
KR101798638B1 (ko) 2017-08-23 2017-11-16 휴인 주식회사 슬라이딩 조립형 울타리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103B1 (ko) * 2023-09-22 2024-05-28 (주)엠에스티통상 구조물용 기둥재와 가로재의 결합구조 및 구조물용 기둥재와 가로재의 시공방법
KR102699410B1 (ko) * 2024-04-29 2024-08-27 박성복 상하 회전 및 360도 회전이 가능한 난간대 연결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5654B1 (ko) 난간설치용 유동 브라켓
KR101895269B1 (ko)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US11136784B2 (en) Outdoor structure
KR100941698B1 (ko) 펜스용 힌지
KR101177528B1 (ko) 관절형 완충 난간
KR101429116B1 (ko) 휀스용 연결조립체
KR102335852B1 (ko) 자유방향성을 가진 데크로드의 설치구조
KR101940788B1 (ko)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KR102104830B1 (ko) 합성 목재 난간대
KR102348293B1 (ko) 폐타이어칩 충진 각관과 확장형 모듈난간 데크로드 시스템
KR102011241B1 (ko) 경사지에 설치 가능한 조립식 울타리
KR101093094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휀스
JP4496544B2 (ja) 屋根上の構造物の支持装置、自在支柱体及び支持構造
WO1997010390A1 (en) Removable protective shelter for an activity or leisure area
ES2272394T3 (es) Dispositivo de elemento deslizante.
JP2010013862A (ja) ビーム接続構造
KR102484642B1 (ko) 디자인형 울타리용 기둥과 가로재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연결 브라켓
CN109138513B (zh) 一种凉亭建筑系统
EP3851585B1 (en) Prestressed cantilever including fixing module
KR101631566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350314Y1 (ko) 펜스 조립체
KR102614239B1 (ko) 슬라이드형 난간시스템
KR20190002582U (ko) 난간 연결구
KR102684295B1 (ko) 좌우 독립 실행이 가능한 지주관통형 브라켓 난간 및 그 시공방법
KR102328329B1 (ko) 롤러 슬라이드 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