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262B1 - 철근 커넥터 - Google Patents

철근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262B1
KR101247262B1 KR1020120062776A KR20120062776A KR101247262B1 KR 101247262 B1 KR101247262 B1 KR 101247262B1 KR 1020120062776 A KR1020120062776 A KR 1020120062776A KR 20120062776 A KR20120062776 A KR 20120062776A KR 101247262 B1 KR101247262 B1 KR 101247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guide piece
guide
wedge member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대은
황대원
Original Assignee
황대원
황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원, 황대은 filed Critical 황대원
Priority to KR1020120062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이음이 필요한 2개의 철근 양단을 철근 수용부재에 삽입하고, 상기 철근 수용부재에 쐐기 부재에 체결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철근 수용부재가 수용된 철근을 고강도로 조임으로써 이음 철근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는 시공성이 뛰어나고, 철근 이음부에서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철근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 커넥터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본 발명은 철근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기 위해 이음이 필요한 2개의 철근 양단을 철근 수용부재에 삽입하고, 상기 철근 수용부재에 쐐기 부재에 체결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철근 수용부재가 수용된 철근을 고강도로 조임으로써 이음 철근을 일체로 연결할 수 있는 시공성이 뛰어나고, 철근 이음부에서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철근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압축력은 강하지만 인장력이 취약한 콘크리트 내에 인장력이 우수한 철근을 삽입하여 인장강도와 압축강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건물 시공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층 단위로 시공되며, 철근과 콘크리트가 건물 전체에서 일체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철근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철근 이음 공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종래에는 철근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철근을 일정 길이만큼 겹쳐서 접합시킨 상태에서 접합부에 이음 철근을 감아서 연장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종래의 철근 이음 방법은 철근을 일정 길이만큼 겹쳐야 하므로 겹쳐지는 길이 만큼 철근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므로 철근 자재 비용이 증가하여 시공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합부를 이음 철근을 감아서 고정시킬 경우 지진하중과 같이 횡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할 경우 접합부의 철근이 분리될 수 있으며 강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이로 인해 철근의 접합부는 구조적인 취약부분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철근의 접합부를 이음 철근으로 감아서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지고, 인부의 숙련도에 따라 소요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전체적인 공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의 양단을 철근 수용부재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철근 수용부재에 쐐기 부재를 삽입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철근 수용부재가 상기 철근을 고강도로 조임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인장강도가 우수한 철근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넥터는 이음이 필요한 2개의 철근 양단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철근 수용부재와 상기 철근 수용부재와 체결되어 철근 수용부재를 수축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철근 수용부재가 상기 철근을 조여서 일체로 고정하는 쐐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 수용부재는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철근의 지름보다 큰 지름(R1)으로 형성된 철근 수용부와 상기 철근 수용부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쐐기 부재와 체결되는 가이드 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근 수용부는 표면에 내부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는 철근 수용부의 외주연에서 엇갈려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는 상기 쐐기 부재가 체결될 경우 수용된 철근의 표면에 형성된 반원형 띠와 상기 반원형 띠 사이의 철근 외주연에 각각 번갈아 맞닿아서 접촉 면적을 넓히고, 상기 철근 수용부재 내에서 철근의 이동을 차단하여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 수용부는 중심부 내부에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가이드 편이 삽입되어 체결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쐐기 부재와 가이드 편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감소하는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가이드 편과 체결되는 경우 너비가 작은 타단을 상기 가이드 편의 너비가 넓은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양 끝단은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너비(L2)는 상기 가이드 편의 너비(L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편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완전히 체결되면서 수평인 상기 가이드 편이 상기 가이드 홈의 높이에 따라 경사진 형태로 경사 변형이 발생하고, 상기 가이드 편과 연결된 철근 수용부에 수축 변형력을 전달하여 상기 철근 수용부의 지름(R1)이 변형 지름(R2)로 감소하면서 수용된 철근을 강하게 조여서 고정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 부재의 너비가 넓은 일단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넥터는 이음 시공이 필요한 2개의 철근을 일체로 고정시켜 설계 기준강도 이상의 높은 인장 강도 확보가 가능하여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두개의 철근을 철근 수용 부재에 삽입하고, 쐐기 부재를 상기 철근 수용부재에 장착하는 것 만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초보 인력이라도 손쉽게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고, 이에 따라 전체 공기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철근이 수용된 철근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수용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쐐기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수용부재와 쐐기 부재가 체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쐐기 부재의 체결에 따른 철근 수용부의 수축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철근 수용부재와 쐐기 부재가 체결 완료 되었을 경우 양 단에서 본 입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쐐기 부재에 두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넥터는 기둥과 같은 수직 부재와 보 및 슬라브와 같은 수평부재는 물론 철근에 대한 이음 시공이 필요한 모든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철근이 수용된 철근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넥터는 이음이 필요한 2개의 철근 양단이 삽입되는 철근 수용부재(10)와 상기 철근 수용부재와 체결되어 철근 수용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철근 수용부재가 상기 철근을 고강도로 조여서 일체로 고정하는 쐐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상기 철근 수용부재(10)와 쐐기 부재(20)가 체결됨으로서 이음이 필요한 철근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철근 수용부재(10)는 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철근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철근 수용부(110)와 상기 철근 수용부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쐐기 부재에 삽입되어 일체로 체결되는 가이드 편(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수용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철근 수용부(110)는 표면에 내부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기(111)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111)는 철근이 수용될 경우 철근에 형성된 띠와 상기 띠 사이에 표면과 맞닿는 위치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철근은 콘크리트와의 부착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길이방향의 2개의 직선 띠를 기준으로 철근의 외주연을 따라 반원형의 띠가 형성되되, 상기 반원형의 띠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돌기(111)는 이음이 필요한 철근이 삽입되고, 쐐기부재(20)에 의해 조여질 경우 상기 철근의 반원형의 띠와 상기 띠 사이의 철근 외주연에 각각 맞닿도록 몸체부 표면에서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적용된 돌기가 없는 경우 철근 수용부(110)는 철근의 돌출부인 철근의 반원형 띠와만 접촉하게 되어 접촉 면적이 작아서 강도 발현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돌기(111)로 인해 철근의 반원형의 띠는 물론 띠 사이의 외주연과 각각 강하게 맞물려서 접촉하게 되어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상기 돌기(111)가 엇갈려 배치됨으로 철근 커넥터의 철근 수용 부재와 철근의 일체성을 보장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철근 수용부와 다른 재료로 형성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시공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제조 단가가 높아지므로 본 발명에 따른 돌기는 철근 수용부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기(111)의 테두리를 사각형으로 설정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될 위치에서 대향하는 2개의 변에 2개에 홈을 파고, 상기 2개의 홈 사이를 가압하면 철근 수용부가 내측으로 돌출되고, 이로 인해 돌기(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11)는 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철근의 반원형 띠와 접촉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반원형 띠 방향이 장변이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고, 대향하는 2개의 장변에 홈을 형성하여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철근 수용부(110)와 일체로 돌기(111)를 형성하되, 돌기 일단이 개방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내구성 및 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철근 수용부(110) 중심부 내면에는 삽입되는 철근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스토퍼(11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12)에 의해 수용되는 철근이 스토퍼에 의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철근 위치를 지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용이해진다.
상기 스토퍼(112)는 스토퍼가 형성될 위치에 "ㄷ" 형태의 홈을 형성한 후 상기 "ㄷ"홈 내부의 철근 수용부를 가압하면 상기 철근 수용부가 내부로 돌출되면서 스토퍼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편(120)은 초입부에서 말단부로 갈수록 너비가 감소하는 평행 사변형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편(120)의 형상은 쐐기 부재(20)의 형상과 매칭되므로 후술할 쐐기 부재(20)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쐐기 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쐐기 부재(2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 측면에 가이드 홈(221)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2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220)에 철근 수용 부재의 가이드 편(120)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20)에 의해 상기 가이드 편(120)이 체결되는 공간인 가이드 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220)의 양 끝단은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20)의 양 끝단은 가이드 편(120)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이며 두께가 얇을수록 철근 수용부(110)와 철근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정밀한 가압이 가능하다.
상기 쐐기 부재(20)와 철근 수용부재의 가이드 편(120)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감소하는 평행 사변형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쐐기 부재(20)와 철근 수용부재(10)가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쐐기 부재의 너비가 넓은 일단이 상기 가이드 편의 너비가 좁은 타단을 통해 삽입 체결되므로 상기 쐐기 부재(20)를 철근 수용부재(10)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철근 수용부재(10)와 쐐기 부재(20)의 체결 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수용부재와 쐐기 부재가 체결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쐐기 부재의 체결에 따른 철근 수용부의 수축 변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철근 수용부재와 쐐기 부재가 체결 완료 되었을 경우 양 단에서 본 입면도이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먼저, 너비가 좁은 단의 철근 수용부재의 가이드 턱을 너비가 넓은 단의 쐐기 부재의 가이드 프레임에 삽입시킨다.(도 5의 (a))
상기 쐐기 부재의 가이드 프레임(220)에 철근 수용부재의 가이드 편(120)이 체결되면서 선단에서는 상기 쐐기 부재의 가이드 프레임(220)이 레일 역할을 수행하므로 상기 가이드 편(12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220)을 따라 후단부쪽으로 쉽게 이동된다.
그러나, 가이드 편의 너비(L1)는 상기 쐐기 부재의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너비(L2)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 편(120)이 가이드 프레임(220)을 따라 후단부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편(L1)이 가이드 프레임의 모서리에 맞닿는 지점에 존재하게 된다. (도 5의 (b))
상기 지점에서부터는 인력에 의해서는 상기 가이드 편(120)을 상기 가이드 프레임(220)을 따라 후단부로 이동시킬 수 없으며, 상기 지점에 도달하면 망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쐐기 부재를 가격하여 상기 가이드 편(220)이 강제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220)을 따라 완전히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c))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편(120)은 지면과 대략적으로 평행한 수평한 형태로 제조되지만, 상기 가이드 편의 너비(L1)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너비(L2)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 편(120)이 가이드 프레임(220)와 체결되면서 후단부에서 너비 차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편(120)이 가이드 프레임(220)의 모서리에 맞닿게 되고, 이 지점에서부터는 인력이 아무리 큰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상기 가이드 편(120)을 더 이상 가이드 프레임(220)에 밀어넣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지점에서는 망치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큰 힘에 의해 가격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평한 가이드 편(120)이 가이드 프레임의 가이드 홈(221)내에서 경사지게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가이드 편(120)이 가이드 프레임(220) 끝단까지 이동하여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편(120)의 경사 변형에 따라 상기 가이드 편(120)과 연결된 철근 수용부(110)가 내측 방향으로 가압을 받고 탄성 변형에 의해 조여지게 되므로 철근 수용부의 지름(R1)이 수축 변형에 의해 변형 지름(R2)으로 작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용된 철근과 강하게 맞닿도록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변형 지름(R2)은 철근 수용부재(10)와 쐐기 부재(20)가 완전히 체결되었을 때 탄성 변형에 의해 수축되어 형성되는 지름을 의미하고, 철근의 지름과 같거나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설계 지름(R2)이 상기 철근의 지름보다 작게 설계될 경우 철근 수용부(110)가 철근에 맞닿은 이후에도 상기 철근 수용부(110)는 철근을 계속 가압하게 되므로 인장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시공 후 철근 커넥터와 철근의 일체성을 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편(120)에 발생하는 경사 변형의 정도에 따라 철근 수용부의 지름(R1)이 변형 지름(R2)으로 변형됨으로써 수용된 철근을 조여서 고정하는 고정력이 결정되고, 상기 경사 변형의 정도는 상기 가이드 편(120)과 가이드 프레임(220)의 내측 너비 차이(L2-L1)와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가이드 홈(221)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결국, 상기 가이드 편(120)과 가이드 프레임(220)의 내측 너비 차이(L2-L1)가 크고 가이드 홈(221)의 높이가 클 경우에는 작을 경우보다 경사 변형 각도가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수축 변형 역시 커지게 되므로 상기 변형 지름(R2)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편(120)과 가이드 프레임(220)의 내측 너비 차이(L2-L1)가 크고 가이드 홈(221)의 높이를 조절하여 철근 수용부(110)의 변형 지름(R2)을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 편(120)과 가이드 프레임(220)의 내측 너비 차이가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아무리 가이드 홈의 높이가 높다 하더라도 철근 수용부(110)와 수용된 철근이 맞닿은 이후에는 아무리 큰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한계 변형으로 인해 더 이상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쐐기 부재와 철근 수용부재가 완전히 체결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쐐기 부재(20)가 철근 수용부재(10)와 완전히 체결될 경우 철근 수용부(110)에 가해지는 조임력(R2의 크기)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편과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너비 차이와 가이드 홈의 높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철근 수용부재(10)와 쐐기 부재(20)가 완전히 체결될 경우 도 7과 같이 양단(도면에서 C, D)에서 보면 철근과 이를 수용하는 철근 수용부재(10) 및 쐐기 부재(20)가 일체로 결합됨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쐐기 부재에 두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220)의 너비가 넓은 일단에는 망치 또는 해머와 같은 공구로 용이하게 가압하기 위해 가이드 프레임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두부(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두부(230)는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이지만, 인근에 다수 개의 철근 이음 시공이 필요한 경우 돌출된 면적이 클 경우 철근 이음 시공의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소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철근 수용부재 110 : 철근 수용부
111 : 돌기 112 : 스토퍼
120 : 가이드 편 20 : 쐐기 부재
210 : 플레이트 220 : 가이드 프레임
221 : 가이드 홈

Claims (10)

  1. 철근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철근의 지름보다 큰 지름(R1)으로 형성된 철근 수용부와 상기 철근 수용부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쐐기 부재와 체결되는 가이드 편을 포함하여 이음이 필요한 2개의 철근 양단이 삽입되어 수용되는 철근 수용부재와;
    상기 가이드 편이 삽입되어 체결을 가이드하고 상기 가이드 편의 두께보다 큰 높이의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여 상기 철근 수용부재와 체결되어 철근 수용부재를 수축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철근 수용부재가 상기 철근을 조여서 일체로 고정하는 쐐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내측 너비(L2)는
    상기 가이드 편의 너비(L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편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완전히 체결되면서 수평인 상기 가이드 편이 상기 가이드 홈의 높이에 따라 경사진 형태로 경사 변형이 발생하고, 상기 가이드 편과 연결된 철근 수용부에 수축 변형력을 전달하여 상기 철근 수용부의 지름(R1)이 변형 지름(R2)로 감소하면서 수용된 철근을 강하게 조여서 고정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철근 수용부는 표면에 내부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기(상기 돌기는 돌기의 테두리를 사각형으로 설정하고, 돌기가 형성될 위치에서 대향하는 2개의 변에 2개의 홈을 파고, 상기 2개의 홈 사이를 가압하여 형성됨)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는 철근 수용부의 외주연에서 엇갈려 배치됨으로써 수용된 철근의 표면에 형성된 반원형 띠와 상기 반원형 띠 사이의 철근 외주연에 각각 번갈아 맞닿아서 접촉 면적을 넓히고, 상기 철근 수용부재 내에서 철근의 이동을 차단하여 일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수용부는
    중심부 내부에 상기 철근이 삽입되는 위치를 지정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넥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부재와 가이드 편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갈수록 너비가 감소하는 평행 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쐐기 부재는 상기 가이드 편과 체결되는 경우 너비가 작은 타단(B)을 상기 가이드 편의 너비가 넓은 일단(A)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양 끝단은
    경사진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넥터.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부재의 너비가 넓은 일단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커넥터.
KR1020120062776A 2012-06-12 2012-06-12 철근 커넥터 KR101247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76A KR101247262B1 (ko) 2012-06-12 2012-06-12 철근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776A KR101247262B1 (ko) 2012-06-12 2012-06-12 철근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262B1 true KR101247262B1 (ko) 2013-03-25

Family

ID=4818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776A KR101247262B1 (ko) 2012-06-12 2012-06-12 철근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2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611B1 (ko) * 2014-11-12 2015-07-06 윤용수 철근 연결장치
KR20220103255A (ko) * 2021-01-15 2022-07-22 김종천 성형걸쇠를 이용한 이형철근 연결구
KR102641976B1 (ko) 2023-06-22 2024-02-28 주식회사 동인산업 철근 연결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237Y1 (ko) * 1982-10-28 1985-10-10 송유섭 철근 연결구
KR200250603Y1 (ko) 2001-07-10 2001-10-19 주식회사 신영 콘크리트 작업용 철근연결구
KR200423810Y1 (ko) * 2006-06-02 2006-08-10 삼양기전(주) 철근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237Y1 (ko) * 1982-10-28 1985-10-10 송유섭 철근 연결구
KR200250603Y1 (ko) 2001-07-10 2001-10-19 주식회사 신영 콘크리트 작업용 철근연결구
KR200423810Y1 (ko) * 2006-06-02 2006-08-10 삼양기전(주) 철근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611B1 (ko) * 2014-11-12 2015-07-06 윤용수 철근 연결장치
KR20220103255A (ko) * 2021-01-15 2022-07-22 김종천 성형걸쇠를 이용한 이형철근 연결구
KR102449785B1 (ko) * 2021-01-15 2022-09-30 김종천 성형걸쇠를 이용한 이형철근 연결구
KR102641976B1 (ko) 2023-06-22 2024-02-28 주식회사 동인산업 철근 연결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0672B2 (en) Reinforcing bar coupling
KR101456055B1 (ko) 철근 마디 형태를 이용한 철근 커플러 및 철근 이음 방법
KR101247262B1 (ko) 철근 커넥터
KR102069879B1 (ko) 철근 유동방지형 원터치 커플러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20180074729A (ko)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KR20180033543A (ko)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
KR10210169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링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KR101773434B1 (ko) 콘크리트 파일과 강관 파일 결합용 이음장치
KR102167075B1 (ko) 순차 인서트 조립방식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101649747B1 (ko) 비정형 콘크리트구조물 성형용 스틸폼 구조체
KR102157574B1 (ko) 하이브리드 철근 커플러
KR102317467B1 (ko) 철근 연결구
KR20140128853A (ko) 철근 커플러
JP7174474B2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用継手部材
KR100837113B1 (ko) 철근 커플러
GB1587101A (en) Pipe lining
KR101983346B1 (ko) 철근 단부 파지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장치
KR100684235B1 (ko) 스트럽철근커플러
KR101681916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에서의 단열재 결합용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의 결합방법
JP3799154B2 (ja) 型枠材の連結構造
KR102106107B1 (ko) 갱폼용 간격유지장치
JP6964537B2 (ja) 木造建物用筋交い接続金物
EP2345768A1 (en) Interlocking structural reinforc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