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543A -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 - Google Patents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543A
KR20180033543A KR1020187005078A KR20187005078A KR20180033543A KR 20180033543 A KR20180033543 A KR 20180033543A KR 1020187005078 A KR1020187005078 A KR 1020187005078A KR 20187005078 A KR20187005078 A KR 20187005078A KR 20180033543 A KR20180033543 A KR 20180033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hatched
hat
sheet pile
hypothe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기타하마
신지 다에나카
다카시 모미야마
가즈타카 오츠시
즈요시 가와니시
가즈히데 도다
Original Assignee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6Auxiliary devices rigidly or detachably arranged on sheet piles for facilitating assembly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이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는,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이들의 재축 방향의 단부면끼리 맞대서 연결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이며,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피걸림부와;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상기 제1 피걸림부에 대하여 상기 재축 방향으로 거는 가설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
본 발명은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재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이 종계 구조를 갖는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이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을 벽 폭 방향으로 연접시킨 구성 벽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5년 8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168456호, 및 2016년 1월 1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0400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들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원용한다.
종래, 종계부의 지수성이나 강성, 내력을 확보하면서, 저렴하고 간편하게 시공하여 공사 기간이나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적어도 각 1개 이상의 웹 및 플랜지를 갖고서 단면 굴곡상으로 형성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상하로 연결하는 종계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종계 구조는, 하측 조인트 부재와, 상측 조인트 부재와, 고착 수단을 구비한다.
하측 조인트 부재는, 하측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웹 및 플랜지의 서로 다른 적어도 2군데에서 당해 웹 및 플랜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고정된다. 상측 조인트 부재는, 상기 하측 조인트 부재에 대응한 상측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웹 및 플랜지의 서로 다른 적어도 2군데에서 당해 웹 및 플랜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서 고정된다. 고착 수단은, 상기 하측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상단부 에지와 상기 상측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하단부 에지가 맞닿아진 상태에서 상기 하측 조인트 부재와 상측 조인트 부재를 고착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3828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는, 하측 조인트 부재 및 상측 조인트 부재가 되는 강판의 단면 성능이, 상하로 연결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면 성능보다도 작아짐으로써 하측 조인트 부재 및 상측 조인트 부재만이 배치되는 종계부의 굽힘 강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상정 이상의 큰 굽힘 하중이 작용한 경우에, 종계부가 구조적 약점이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현장 용접으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지만, 근년의 대단면화가 진행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서는, 1장당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면적이 커서 용접량이 많아진다. 따라서, 종계부 1군데당의 용접 시간이 길고, 특히, 종계부의 개소가 많은 경우에 공사 기간이 장기화한다.
그리고,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고력 볼트 마찰 접합으로 연결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고력 볼트 1개당의 전단 내력이 그다지 높지 않아,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면 성능과 동일 정도의 접속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수의 고력 볼트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첨접판도 커져 가공 비용이 증대함과 함께, 다수의 고력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시공 시간도 길어져서 공사 기간이 장기화한다.
이들 문제점은, 특히, H형강이나 강관 등의 강제 부재와 비교하여 벽 폭 방향의 치수가 큰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있어서 현저하게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이 재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개소에서, 충분한 굽힘 강성을 확보함과 함께, 연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개요는 하기와 같다.
(1) 본 발명이 제1 형태는,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이들의 재축 방향의 단부면끼리 맞대서 연결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이며,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피걸림부와;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상기 제1 피걸림부에 대하여 상기 재축 방향으로 거는 가설부를 구비한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설부가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피걸림부에 걸리기 때문에, 가설부에 의해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개소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에 대항할 수 있어, 굽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계 시공 시에,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설치된 가설부를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제1 피걸림부에 걺으로써, 이들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수고와 비용을 요하는 용접 작업을 필수로 하지 않고 종계 시공을 행할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서는,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피걸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설부가, 상기 제1 피걸림부에 추가로, 상기 제2 피걸림부에도 걸려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종계 시공 시에, 가설부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제2 피걸림부에도 걺으로써,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더욱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수고와 비용을 요하는 용접 작업을 필수로 하지 않고 종계 시공을 행할 수 있다.
(3) 상기 (2)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서는,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부면과 상기 제1 피걸림부의 단부면이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부면과 상기 제2 피걸림부의 단부면이 동일 평면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 및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부면끼리뿐만 아니라, 제1 피걸림부 및 제2피걸림부의 양 단부면끼리도 맞댈 수 있다. 따라서,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이 재축 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강판의 단부면뿐만 아니라, 피걸림부의 측면에서도 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굽힘 하중에 대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서는, 상기 제1 피걸림부가, 그 선단부측에서 상기 재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장 설치 돌기를 갖고, 상기 가설부가, 상기 재축 방향과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판 두께 방향에 수직한 벽 폭 방향으로 연장함과 함께 상기 연장 설치 돌기에 거는 오목부를 갖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제1 피걸림부의 연장 설치 돌기를 가설부의 오목부에 대하여 상기 벽 폭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1 피걸림부와 가설부가 서로 걸므로, 용이하게 연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설부가 제1 피걸림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보다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다.
(5) 상기 (4)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서는, 상기 가설부 및 상기 제1 피걸림부 간의, 상기 벽 폭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구속하는 슬라이드 방지부를 더 갖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드 방지부에 의해, 가설부 및 제1 피걸림부가 서로 상대 이동하여 양자 간의 걸림 상태가 풀려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6)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서는, 상기 제1 피걸림부가, 상기 재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하여 복수 설치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제1 피걸림부 1개당이 부담하는 굽힘 응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제1 피걸림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7) 상기 (6)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서는, 상기 복수의 제1 피걸림부가, 공통의 기재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재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제1 피걸림부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대하여 복수의 제1 피걸림부를 설치할 때, 기재를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대하여 고정하는 일 공정으로 모든 제1 피걸림부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8)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서는, 상기 가설부의, 상기 제1 피걸림부와의 걸림 부위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재축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본 경우의 단면적이,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 및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 간의 맞댐 위치에 있어서 가장 크게 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가설부 중, 가장 굽힘 강성이 필요하게 되는 개소의 단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가설부의 경량화와 굽힘 강성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9)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기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를 갖는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이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의하면, 수고와 비용을 요하는 용접 작업을 필수로 하지 않고 종계 시공을 행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상기 (9)에 기재된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을, 상기 재축 방향과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판 두께 방향에 수직한 벽 폭 방향으로 복수 연속 설치시킨 강제벽이며, 상기 벽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의 각각의 상기 가설부가, 상기 재축 방향의 위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는 강제벽이다.
상기 형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구조적 약점이 될 수 있는 연결 개소가 벽 폭 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벽체 전체에서 높은 굽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1)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가설부에 의한 굽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종래 구조와 같은 용접 작업을 필수로 하지 않더라도 확실한 종계 시공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그것들의 재축 방향으로 종계할 때의 시공 비용을 억제하면서도 충분한 굽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2)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그것들의 재축 방향으로 종계할 때의 시공 비용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3)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더욱 충분한 굽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4)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종계 시공의 시공 비용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5)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가설부 및 제1 피걸림부 간의 걸림 상태가 풀리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양자 간의 연결 상태를 확실하고 또한 건전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6)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제1 피걸림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 및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 간의 종계 개소에 있어서의 굽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7)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일 공정으로 모든 제1 피걸림부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 비용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8)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경량이며 굽힘 강성이 높은 가설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계 시공을 보다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9)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종래 구조와 같은 용접 작업을 필수로 하지 않더라도 확실한 종계 시공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그것들의 재축 방향으로 종계할 때의 시공 비용을 억제하면서도 충분한 굽힘 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10)에 기재된 형태에 관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에 의하면, 벽체 전체에서 높은 굽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를 적용한 강제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웹부에도 가설부가 설치되는 경우의 종계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양면에 가설부가 설치되는 경우의 종계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가설부의 배면도이다.
도 6b는 가설부의 측면도이다.
도 7a는 종계 구조의 정면도이며, 일부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b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양쪽 단부에 피걸림부가 설치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8b는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부에만 피걸림부가 설치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8c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양면에 피걸림부가 설치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9a는 용접 너트에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9b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가설부측 돌기 및 피걸림부가 단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가설부측 돌기 및 피걸림부가 단면 대략 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가설부측 돌기 및 피걸림부가 단면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평강의 용접에 의해 가설부측 돌기 및 피걸림부가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4a는 가설부측 돌기 및 피걸림부가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c는 도 14a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의 변형예이다.
도 14d는 도 14a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15a는 가설부측 돌기 및 피걸림부의 선단부측의 간격이 기단부측의 간격보다도 작게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a는 가설부측 돌기 및 피걸림부의 맞닿음면과는 반대측의 편단면이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b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a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작용하는 압축력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7b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7c는 가설부에 발생하는 휨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8a는 가설부측 돌기가 피걸림부에 끼워 넣어지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에 있어서, 가설부에 편심 굽힘이 작용한 경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8c는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맞댐면으로부터 가장 이격한 위치에 있어서의 가설부측 돌기와 피걸림부가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며, 가설부에 편심 굽힘이 작용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9a는 가설부에 있어서, 단부측의 평판부의 판 두께 치수보다도 중앙측의 평판부의 판 두께 치수가 크게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9b는 가설부에 있어서, 단부측의 평판부의 판 두께 치수보다도 중앙측의 평판부의 판 두께 치수가 크게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19c는 가설부에 있어서, 단부측의 평판부의 판 두께 치수보다도 중앙측의 평판부의 판 두께 치수가 크게 형성되는 종계 구조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동 실시 형태에 따른 종계 구조의 가설부를 판 두께 방향 X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단면 대략 대 형상 또는 대략 T 형상의 가설부측 돌기가 형성된 가설부를 벽 폭 방향 Z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쐐기형의 가설부측 돌기와 피걸림부가 형성된 가설부를, 벽 폭 방향 Z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a는 절단 가공된 판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b는 절단 가공된 가설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c는 벽 폭 방향 Z로 경사진 가설부측 돌기 및 피걸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4a는 돌출부가 형성된 판 부재와 오목부가 형성된 판 부재를 위치 정렬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4b는 돌출부가 오목부에 끼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a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설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b는 가설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c는 프레임 부재의 양측부에서 끼워 넣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a는 재축 방향 Y로 관통시킨 볼트 등이 설치된 가설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6b는 도 26a에 도시하는 가설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27a는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설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b는 가설부에 설치되는 빗장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c는 노치 홈에 끼움 장착된 빗장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작용하는 굽힘 하중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1)(이하, 간단히 종계 구조(1)라고 칭한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계 구조(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긴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시공할 수 없는 협애지 등의 현장에 있어서, 지반내(8)의 하방 및 상방에 매립되는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 및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을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재축 방향 Y로 연결됨으로써, 긴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7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70)을 벽 폭 방향 Z로 복수 연속 설치시킴으로써, 지반내(8) 등에 강제벽(7)이 구축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로 연결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은 각각의 재축 방향 Y의 단부(3)의 단부면(3a)끼리 맞댄 상태에서 가설부(5)에 의해 연결된다.
가설부(5)는 예를 들어 강제이며,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재축 방향 Y의 단부(3)의 측면(3b, 3b)에 걸쳐서 가설된다.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a)와, 한 쌍의 웹부(2b)와, 한 쌍의 아암부(2c)와, 한 쌍의 조인트부(2d)를 갖는다. 벽 폭 방향 Z로 인접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조인트부(2d)끼리를 끼워 맞춤으로써, 벽 폭 방향 Z로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속 설치될 수 있다.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은 벽 폭 방향 Z로 연장하여 플랜지부(2a)가 형성됨과 함께, 벽 폭 방향 Z에서 플랜지부(2a)의 양단의 각각으로부터, 각각의 웹부(2b)가 경사지게 하여 형성됨으로써, 홈부(S)가 형성된다.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은 각각의 웹부(2b)의 편단으로부터, 각각의 아암부(2c)가 형성됨과 함께, 각각의 아암부(2c)의 선단부에, 각각의 조인트부(2d)가 형성된다.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은 플랜지부(2a), 웹부(2b) 및 아암부(2c)에 있어서, 대략 평탄상으로 형성된 평탄면(20)을 갖는다.
가설부(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a)의 평탄면(20)에만 가설되어도 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2a) 및 한 쌍의 웹부(2b)의 평탄면(20)에 가설되어도 되고, 도 5에 도시하게 플랜지부(2a) 및 한 쌍의 아암부(2c)의 평탄면(20)에 가설되어도 된다. 특히,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면(20)의 편면뿐만 아니라 양면에 가설부(5)를 가설시켜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3개의 가설부(5)가 플랜지부(2a) 및 한 쌍의 웹부(2b)의 평탄면(20)에 각각 가설되어 있지만, 복수의 가설부(5)를 일체화시켜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에 가설되어도 된다.
가설부(5)는 도 6a,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판 등이 사용된 평판부(51)와, 평판부(51)로부터 판 두께 방향 X로 돌출시킨 가설부측 돌기(50)를 갖는다.
가설부측 돌기(50)는 벽 폭 방향 Z로 연속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의 압연 가공 등에 의해 평판부(51)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가설부측 돌기(50)는 강판의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평판부(5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가설부(5)는 강판을 평판부(51)로서 사용하고, 그 측면에 가설부측 돌기(50)를 용접 접합함으로써 얻어져도 된다.
가설부(5)는 예를 들어, 평판부(51)의 판 두께 치수 t를 9mm∼25mm 정도, 폭 치수 B를 50mm∼125mm 정도, 또는, 200mm∼400mm 정도, 높이 치수 H를 200mm∼400mm 정도로 한다. 또한, 가설부(5)는 각각의 가설부측 돌기(50)의 재축 방향 Y의 길이 L을 10mm∼38mm 정도, 판 두께 방향 X의 높이 h를 4.5mm∼25mm 정도, 각각의 가설부측 돌기(50)가 서로 이격하는 거리 D를 60mm∼100mm 정도로 한다.
가설부(5)는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부(51)가 상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측면(3b)에 재축 방향 Y로 연속하도록, 또한, 가설부측 돌기(50)가 평판부(51)로부터 측면(3b)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가설부(5)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각각 단부(3)에 형성된 평탄면(20)을 따라서 설치된다.
평판부(51)는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평판부(51)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각각에, 판 두께 방향 X로 관통시켜서 볼트 삽입 관통 구멍(40)이 형성된다. 평판부(51)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평탄면(20)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재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하여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가 설치된다. 이 경우, 1개당의 가설부측 돌기(50)가 부담하는 굽힘 응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가설부측 돌기(5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단, 가설부측 돌기(50)는 복수 설치될 필요는 없고, 1개만 설치되어도 된다.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측 돌기(50)는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의 단부(3)의 측면(3b)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피걸림부(60)(제1 피걸림부)와,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의 단부(3)의 측면(3b)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피걸림부(60)(제2 피걸림부)에, 재축 방향 Y로 걸린다. 이에 의해,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 사이의 재축 방향 Y로의 상대 이동을 구속한다.
이와 같이, 가설부측 돌기(50)는 재축 방향 Y에서 평판부(51)의 상부측 및 하부측의 각각에 형성됨과 함께,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의 단부(3)의 측면(3b)에 설치된 피걸림부(60)에 서로 걸린다. 따라서, 가설부(5)에 의해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종계 개소에 작용하는 굽힘 응력에 대항할 수 있어, 굽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가설부(5)에 의해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수고와 비용을 요하는 용접 작업을 필수로 하지 않고 종계 시공을 행할 수 있다.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피걸림부(60)는 벽 폭 방향 Z로 연속하여 직선상으로 연장함과 함께, 재축 방향 Y를 따라서 서로 이격하여 복수 설치된다. 또한, 피걸림부(60)는 판 부재(6)(기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판 부재(6)가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측면(3b)에 대하여 설치된다. 판 부재(6)는 벽 폭 방향 Z로 연속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피걸림부(60)가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의 압연 가공 등에 의해 판 부재(6)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의 단부면(3a)과 피걸림부(60)의 판 부재(6)의 재축 방향 Y의 단부면이 동일 평면인 동시에,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의 단부면(3a)과 피걸림부(60)의 판 부재(6)의 재축 방향 Y의 단부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 및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의 단부면(3a)끼리뿐만 아니라, 피걸림부(60)의 단부면끼리도 맞댈 수 있다. 따라서,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이 재축 방향으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강판의 단부면뿐만 아니라, 피걸림부의 측면에서도 부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큰 굽힘 하중에 대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판 부재(6)의 단부면끼리를 맞대고 있지만, 판 부재(6)를 갖지 않은 경우에도, 피걸림부(60)의 재축 방향 Y의 단부면이 맞대지는 구성이라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피걸림부(60)는 강판의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판 부재(6)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피걸림부(60)는 강판을 판 부재(6)로서 사용하고, 그 측면에 평강을 용접 접합함으로써 얻어져도 된다.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피걸림부(60)는 그 측면에 있어서, 재축 방향 Y를 따라서 서로 이격하여 복수 설치된다. 따라서, 피걸림부(60) 1개당 부담하는 굽힘 응력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피걸림부(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단, 피걸림부(60)는 1개만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재축 방향 Y를 따라서 서로 이격하여 복수 설치되는 피걸림부(60)가 공통의 기재인 단일판 부재(6)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재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복수의 피걸림부(60)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에 대하여 복수의 피걸림부(60)를 설치할 때, 기재인 판 부재(6)를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에 대하여 고정하는 일 공정으로 모든 피걸림부(60)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단,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강 등을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측면(3b)에 직접 용접 등에 의해 설치함으로써 피걸림부(60)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가설부(5)가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의 피걸림부(60)에 걸려 있지만, 가설부(5)는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의 피걸림부(60)에만 걸려도 된다. 이 경우, 가설부(5)의 평판부(51)에는 가설부측 돌기(50)가 형성되지 않고,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의 단부(3)의 측면(3b)과 평판부(51)가 직접 용접 등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5)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양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가설부(5)는 도 7a,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측면(3b)으로, 평판부(51)로부터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까지 판 두께 방향 X로 관통시킨 볼트(4)에 의해 볼트 접합된다. 가설부(5)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이면에서 체결 너트(41)를 볼트(4)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에 고정된다.
가설부(5)는 판 두께 방향 X로 조여지는 체결 너트(41)가 사용되어서 고정 될 뿐만 아니라, 도 9a,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평탄면(20)에 설치된 용접 너트(42) 또는 암나사부(43)가 사용되어서 고정되어도 된다. 이때, 가설부(5)는 용접 너트(42) 또는 암나사부(43)에 볼트(4)가 나사 결합되어서 고정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가설부(5)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양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볼트(4)는 가설부(5)의 평판부(51), 판 부재(6) 및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에 형성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40)에 삽입 관통된다. 볼트(4)는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접에 의해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에 설치된 용접 너트(42)에 나사 결합되어서, 또는,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나사 가공에 의해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에 형성된 암나사부(43)에 나사 결합된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특히,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의 압연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대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도 10∼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에서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인장력 T를 받음으로써, 가설부측 돌기(50)의 재축 방향 Y의 편단면과, 피걸림부(60)의 재축 방향 Y의 편단면이 서로 맞닿아진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편단면이 맞닿아짐으로써 맞닿음면(30)이 형성된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각각의 편단면이 서로 맞닿음면(30)에서 재축 방향 Y로 걸리고, 인장력 T에 저항하는 것이 됨으로써,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이격하지 않도록 구속된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설부(5)의 평판부(51)의 측면에 대략 직교시켜서 가설부측 돌기(50)의 맞닿음면(30)이 형성됨과 함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평탄면(20) 또는 판 부재(6)의 측면에 대략 직교시켜서 피걸림부(60)의 맞닿음면(30)이 형성된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대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를 향해서, 판 두께 방향 X에서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한 가설부측 돌기(50)가 형성됨과 함께, 가설부(5)의 평판부(51)를 향해서, 판 두께 방향 X에서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한 피걸림부(60)가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설부측 돌기(50)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측면(3b)을 향하여 돌출시킨 선단부측(50a)을 가설부(5)의 평판부(51)에 접속되는 기단부측(50b)보다도, 재축 방향 Y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한다. 또한, 피걸림부(60)는 가설부(5)의 평판부(51)를 향하여 돌출시킨 선단부측(60a)을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평탄면(20) 또는 판 부재(6)에 접속되는 기단부측(60b)보다도, 재축 방향 Y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각각의 편단면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판 두께 방향 X에서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한 맞닿음면(30)에서 서로 맞닿아진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가설부측 돌기(50)의 선단부측(50a)이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고, 또한, 피걸림부(60)의 선단부측(60a)이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상으로 경사짐으로써, 판 두께 방향 X에서 서로 이격하지 않도록 맞닿음면(30)에서 걸린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설부측 돌기(50)의 선단부측(50a)에서 재축 방향 Y로 연신시킨 가설부측 연신부(52)가 형성됨과 함께, 피걸림부(60)의 선단부측(60a)으로 재축 방향 Y로 연신시켜서 피걸림부측 연신부(62)가 형성된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가설부측 돌기(50)의 기단부측(50b)과 피걸림부(60)의 피걸림부측 연신부(62)가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서 맞닿음면(30)에서 맞닿아진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가설부측 돌기(50)의 가설부측 연신부(52)와 피걸림부(60)의 기단부측(60b)이 서로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서 맞닿음면(30)에서 맞닿아진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가설부측 돌기(50)의 선단부측(50a)의 가설부측 연신부(52)와, 피걸림부(60)의 선단부측(60a)의 피걸림부측 연신부(62)가 재축 방향 Y로 연신되어 형성됨으로써, 판 두께 방향 X에서 서로 이격하지 않도록 걸린다.
또한,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한 가설부측 돌기(50)가 형성되고,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한 피걸림부(60)가 형성됨과 함께, 가설부측 돌기(50)의 선단부측(50a)의 가설부측 연신부(52)와, 피걸림부(60)의 선단부측(60a)의 피걸림부측 연신부(62)가 형성되어도 된다.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재축 방향 Y의 길이 L보다도, 각각의 서로 이격하는 거리 D가 큰 경우에, 맞닿음면(30)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편단면에서, 가설부(5)의 평판부(51)의 측면에 가설부측 돌기(50)가 용접되어서,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평탄면(20) 또는 판 부재(6)의 측면에 피걸림부(60)가 용접되어도 된다.
종계 구조(1)는 복수의 피걸림부(60)에 걸리는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가 형성되고,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4d, 도 15a, 도 15b, 도 16a,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가 특히, 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계 구조(1)는 가설부측 돌기(50)의 재축 방향 Y의 편단면(53)에서, 가설부측 돌기(50)의 선단부측(50a) 및 기단부측(50b)에 R부(30a)가 형성됨과 함께, 피걸림부(60)의 재축 방향 Y의 편단면(63)에서, 피걸림부(60)의 선단부측(60a) 및 기단부측(60b)에 R부(30a)가 형성됨으로써, 용이한 압출 가공에 의해 가공성이 향상된다.
종계 구조(1)는 R부(30a)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특히, 도 14a,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가설부측 돌기(50)의 편단면(53)이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테이퍼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피걸림부(60)의 편단면(63)이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테이퍼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설부측 돌기(50)가 피걸림부(60)에 걸린 상태에서,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대향하는 가설부측 돌기(50)의 편단면(53)과 피걸림부(60)의 편단면(63)이 서로 대략 평행해지도록 형성되어, 가공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종계 구조(1)는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가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이격한 선단부측(50a)의 간격 W1이,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가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이격한 기단부측(50b)의 간격 W2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되고, 인장력 T에 저항하는 가설부측 돌기(50)의 맞닿음면(30)의 경사 각도 θ1(단부(3)로부터 먼 측면의 경사 각도)과, 맞닿음면(30)과는 반대측의 편단면(53)의 경사 각도 θ2(단부(3)로부터 가까운 측면의 경사 각도)가 각각의 위치에서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된다.
또한, 종계 구조(1)는 복수의 피걸림부(60)가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이격한 선단부측(60a)의 간격 W1이, 복수의 피걸림부(60)가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이격한 기단부측(60b)의 간격 W2와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되고, 인장력 T에 저항하는 피걸림부(60)의 맞닿음면(30)의 경사 각도 θ1과, 맞닿음면(30)과는 반대측의 편단면(63)의 경사 각도 θ2가 각각의 위치에서 대략 동일한 크기가 된다.
또한, 종계 구조(1)는 예를 들어, R부(30a)의 곡률 반경을 5mm 정도, 경사 각도 θ1을 45° 정도로 할 수 있다. 종계 구조(1)는 예를 들어, 간격 W1을 30mm 정도로 하고, 간격 W1과 간격 W2의 크기의 차가 작을수록, 압출 가공에 의한 가공성의 향상에 유리해진다.
또한, 도 1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경사 각도 θ1이 90° 미만으로 되고, 경사 각도 θ2가 90° 초과로 되어 있지만, 도 14c에 도시하는 변형예와 같이, 경사 각도 θ1이 90° 초과로 되고, 경사 각도 θ2가 90° 미만으로 되어도 된다.
또한, 도 14b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돌기(50)의 양측면이 평행으로 되어 있지만, 도 14d에 도시하는 다른 변형예와 같이, 돌기(50)가 선단부측을 향하여 앞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종계 구조(1)는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가 단면 대략 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도 15a,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의 선단부측(50a)의 간격 W1이,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의 기단부측(50b)의 간격 W2보다도 작게 형성됨과 함께, 복수의 피걸림부(60)의 선단부측(60a)의 간격 W1이, 복수의 피걸림부(60)의 기단부측(60b)의 간격 W2보다도 작게 형성된다. 이때, 종계 구조(1)는 필요에 따라, 도 16a,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맞닿음면(30)과는 반대측의 가설부측 돌기(50)의 편단면(53)의 경사 각도 및 피걸림부(60)의 편단면(63)의 경사 각도(경사 각도 θ2)가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종계 구조(1)는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에 재축 방향 Y에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 P, 또는,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에 재축 방향 Y에서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 T가 발생한다. 종계 구조(1)는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에 인장력 T가 작용했을 때에, 가설부측 돌기(50)의 맞닿음면(30)으로부터 평판부(51)의 무게 중심까지 판 두께 방향 X로 거리가 있기 때문에, 가설부(5)에 편심 굽힘이 작용하는 것이 되어,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5)에 휨 변형이 발생하여 가설부측 돌기(50)가 이탈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종계 구조(1)는 도 18a∼도 1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에서 가장 단부측(G)에 형성된 가설부측 돌기(50)가 재축 방향 Y의 양측으로부터 이격 또는 맞닿게 한 상태에서 2개의 피걸림부(60)에 끼워 넣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종계 구조(1)는 가설부(5)의 재축 방향 Y의 상단측에서, 가설부측 돌기(50)의 더 상방에 피걸림부(60)가 설치됨과 함께, 가설부(5)의 재축 방향 Y의 하단측에서, 가설부측 돌기(50)의 더 하방에 피걸림부(60)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종계 구조(1)는 재축 방향 Y에서 가장 단부측(G)의 가설부측 돌기(50)가 재축 방향 Y의 양측으로부터 복수의 피걸림부(60)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5)에 편심 굽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가설부측 돌기(50)의 상방 또는 하방의 피걸림부(60)에 걸린다. 따라서, 가설부(5)의 휨 변형이 억제되어, 가설부측 돌기(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계 구조(1)는 맞닿음면(30)과는 반대측의 가설부측 돌기(50)의 편단면(53) 및 피걸림부(60)의 편단면(63)이 대략 직각상으로 형성되는 것 외에, 도 1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테이퍼상으로 경사져서 형성되어서 서로 걸리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가설부측 돌기(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종계 구조(1)는 도 19a∼도 1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에서 가설부(5)의 단부측(G)의 평판부(51)의 판 두께 치수 t2보다도, 재축 방향 Y에서 중앙측(F)의 평판부(51)의 판 두께 치수 t1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설부(5)의 피걸림부(60)와의 걸림 부위를 제외한 부분을, 재축 방향 Y에 수직한 단면에서 본 경우의 단면적이,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맞댐 위치에 있어서 가장 크게 함으로써, 가설부(5) 중, 가장 굽힘 강성이 필요하게 되는 개소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설부(5)의 경량화와 굽힘 강성 확보를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9a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가설부(5)는 단부측(G)보다도 중앙측(F)에서 평판부(51)의 외면(51a)을 돌출시켜서 테이퍼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판 두께 치수 t2보다도 판 두께 치수 t1을 크게 하고 있다.
도 19b, 도 19c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단부측(G)보다도 중앙측(F)에서 평판부(51)의 내면(51b)을 돌출시켜서 형성됨으로써, 판 두께 치수 t2보다도 판 두께 치수 t1을 크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부(51)의 두께를 단부(3)로부터 이격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점감시키거나, 또는, 도 1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부(51)의 두께를 단부(3)로부터 이격함에 따라 스텝상으로 점감시킴으로써 판 두께 치수 t2보다도 판 두께 치수 t1을 크게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종계 구조(1)는 가설부(5)의 단부측(G)의 평판부(51)의 판 두께 치수 t2보다도, 중앙측(F)의 평판부(51)의 판 두께 치수 t1을 크게 함으로써, 재축 방향 Y의 중앙측(F)에서의 가설부(5)의 강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가설부(5)에 편심 굽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가설부(5)에 휨 변형이 억제되어서, 가설부측 돌기(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계 구조(1)는 도 18a∼도 1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장 단부측(G)의 가설부측 돌기(50)가 재축 방향 Y의 양측으로부터 복수의 피걸림부(60)에 끼워 넣어지는 것으로 하면서, 도 19a∼도 1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에서 중앙측(F)의 평판부(51)의 판 두께 치수 t1을 크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 도 12, 도 14a∼도 19c 등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피걸림부(60)가 그 선단부측에서 재축 방향 Y로 연신하는 연장 설치 돌기(테이퍼상으로 경사지게 한 피걸림부(60)의 일부, 또는, 피걸림부측 연신부(62))를 갖는다. 그리고, 이 연장 설치 돌기가 벽 폭 방향 Z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가설부(5)의 오목부에 걸린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확실하게 가설부(5)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계 구조(1)는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가 단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5)를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홈부(S)의 외측으로부터 판 두께 방향 X로 이동시킨다. 이때, 가설부(5)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에 홈부(S)의 외측으로부터 설치되고 볼트(4) 등으로 고정된다. 또한, 가설부(5)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홈부(S)의 내측으로부터 이동시키고,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에 홈부(S)의 내측으로부터 설치되어도 된다.
종계 구조(1)는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가 단면 대략 대 형상 또는 단면 대략 T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5)를 벽 폭 방향 Z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때, 가설부(5)는 복수의 피걸림부(60)의 사이에 가설부측 돌기(50)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또한,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의 사이에 피걸림부(60)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판 두께 방향 X로 이격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종계 구조(1)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부(60) 및 가설부측 돌기(50)가 웨지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의 사이에 피걸림부(60)를 슬라이드 삽입시킬 때의 시공성이 향상함과 함께, 가설부측 돌기(50)와 피걸림부(6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가설부(5)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돌기 간의 유극이 작아져, 변형 시의 슬립 변형을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종계 구조(1)는 도 23a, 도 2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부(60)가 형성된 판 부재(6) 및 가설부(5)가 재축 방향 Y 등으로 경사지게 한 절단선(E)을 따른 절단 가공 등에 의해 제작되어도 된다. 이때, 종계 구조(1)는 도 2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부(60) 및 가설부측 돌기(50)가 벽 폭 방향 Z로 경사져서 형성되고, 가설부(5)를 벽 폭 방향 Z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피걸림부(60)의 사이에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가 슬라이드 삽입된다.
종계 구조(1)는 필요에 따라, 벽 폭 방향 Z의 편측단에 스토퍼 부재(33)가 설치되고, 가설부(5)를 벽 폭 방향 Z로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에, 가설부(5)가 스토퍼 부재(33)에 맞닿아지는 것이 된다. 이때, 종계 구조(1)는 피걸림부(60) 및 가설부측 돌기(50)가 경사짐으로써, 가설부(5)의 슬라이드 이동을 쉽게 하면서, 가설부(5)가 스토퍼 부재(33)에 맞닿음으로써, 가설부(5)의 필요 이상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하여, 가설부(5)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계 구조(1)는 필요에 따라, 도 24a, 도 2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의 양쪽 단부(3)의 측면(3b)에, 피걸림부(60)가 형성된 판 부재(6)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때, 종계 구조(1)는 예를 들어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측의 판 부재(6)에 재축 방향 Y로 돌출시킨 돌출부(65)가 형성됨과 함께,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측의 판 부재(6)에, 재축 방향 Y로 함몰시킨 오목부(66)가 형성되어도 된다.
도 24a, 도 24b에 도시하는 종계 구조(1)에서는,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을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연결할 때에,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2A)측의 판 부재(6)에 형성된 돌출부(65)가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2B)측의 판 부재(6)에 형성된 오목부(66)에 끼움 장착된다. 이에 의해, 종계 구조(1)는 돌출부(65)가 오목부(66)에 끼움 장착됨으로써,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를 벽 폭 방향 Z에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계 구조(1)는 특히, 돌출부(65) 및 오목부(66)가 벽 폭 방향 Z로 경사져서 형성됨으로써, 돌출부(65) 및 오목부(66)의 서로 경사면이 가이드로 되어, 돌출부(65)와 오목부(66)의 끼움 장착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계 구조(1)는 도 25a∼도 2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피걸림부(60)의 사이에 복수의 가설부측 돌기(50)를 슬라이드 삽입한 상태에서,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걸린 가설부측 돌기(50)와 피걸림부(60)가 둘러싸이는 프레임 부재(55)가 가설부(5)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때, 종계 구조(1)는 프레임 부재(55)의 양측부(55a)에서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를 끼워 넣음으로써, 가설부(5)의 필요 이상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종계 구조(1)는 필요에 따라, 가설부(5)의 상단부면(5b)에 홈(54)이 형성되고, 프레임 부재(55)의 상단부(55b)가 홈(54)에 감입됨으로써, 프레임 부재(55)의 판 두께 방향 X의 이동이 구속되어서, 프레임 부재(55)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계 구조(1)는 도 26a,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5)의 하단부면(5a)이 재축 방향 Y의 상방부터 하방을 향하여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종계 구조(1)는 가설부(5)의 하단부면(5a)을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가설부(5)에서 연결된 상태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70))을 매립할 때에, 가설부(5)의 하단부면(5a)이 받는 타설 저항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종계 구조(1)는 가설부(5)의 상단부면(5b) 또는 평판부(51)의 외면(51a)에서, 가설부(5)로부터 연속하여 피걸림부(60) 또는 판 부재(6)까지 관통시킨 볼트(4), 나사 등의 축 부재(56)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종계 구조(1)는 가설부(5)로부터 연속하여 피걸림부(60) 또는 판 부재(6)까지 평강 등을 가설시킨 플레이트(44)가 설치되고, 플레이트(44)를 나사 고정 등으로 고정해도 된다.
또한, 종계 구조(1)는 도 27a∼도 2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가 벽 폭 방향 Z에서 부분적으로 절취됨으로써,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에 노치 홈(57a)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때, 종계 구조(1)는 가설부측 돌기(50)와 피걸림부(60)가 부분적으로 절취되어서 형성된 노치 홈(57a)에, 재축 방향 Y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대략 각 형상 등의 빗장 부재(57)가 끼움 장착된다.
또한, 노치 홈(57a) 및 빗장 부재(57)는 대략 각 형상이 아니라, 선단부측을 향하여 폭 치수를 점감시킨 삼각 형상인 것이 시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종계 구조(1)는 도 25a∼도 25c에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55), 도 26a, 도 26b에 도시하는 축 부재(56), 플레이트(44), 및 도 27a∼도 27c에 도시하는 빗장 부재(57) 중 어느 하나만이 슬라이드 방지부로서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이들이 적절히 조합되어 설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종계 구조(1)는 슬라이드 방지부에 의해 가설부(5)의 벽 폭 방향 Z의 이동이 구속됨으로써, 가설부(5)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종계 구조(1)는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가 단면 대략 대 형상 또는 단면 대략 T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가설부(5)가 판 두께 방향 X로 이격하지 않도록 고정되어서, 가설부(5)의 벽 폭 방향 Z의 이동이 프레임 부재(55) 등으로 구속됨과 함께, 가설부측 돌기(50)와 피걸림부(60)가 재축 방향 Y로 걸린다. 이때, 종계 구조(1)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를 판 두께 방향 X로 관통시킨 볼트(4)를 사용하지 않고 가설부(5)의 탈락을 방지하고,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에 개공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으로서,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지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계 구조(1)는 특히,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설부(5)에서 연결된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을 지반내(8)에 매립할 때에, 또는,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지반내(8)에 매립된 상태에서,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결되는 개소에 굽힘 하중 M이 작용한다.
종계 구조(1)는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결되는 개소에서 충분히 굽힘 하중 M에 저항할 수 있는 것으로 하기 위해서, 가설부(5)의 굽힘 강성 및 굽힘 내력을 해트형 강 시트 파일(2) 단체와 동일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종계 구조(1)는 예를 들어, 가설부(5)가 플랜지부(2a) 및 아암부(2c)에 가설됨으로써, 굽힘 하중 M의 중립축(C)으로부터 가설부(5)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 e1, e2가, 중립축(C)으로부터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플랜지부(2a) 및 아암부(2c)까지의 이격 거리와 대략 동일한 것으로 된다.
종계 구조(1)는 가설부(5)의 판 두께 방향 X의 치수가 가설부(5)의 벽 폭 방향 Z의 치수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굽힘 하중 M의 중립축(C)으로부터 가설부(5)의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 e1, e2가,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플랜지부(2a) 및 아암부(2c)와 대략 동일해지기 때문에, 해트형 강 시트 파일(2)과 동일 정도의 단면적을 갖는 가설부(5)가 가설됨으로써, 가설부(5)의 굽힘 강성 및 굽힘 내력을 해트형 강 시트 파일(2) 단체와 동일 정도로 할 수 있다. 종계 구조(1)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2)과 동일 정도의 얇은 판 두께의 가설부(5)일지라도,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결되는 개소에서 충분히 굽힘 하중 M에 저항할 수 있기 때문에, 가설부(5)를 경량이며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종계 구조(1)는 특히, 굽힘 하중 M의 중립축(C)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가설부(5)가 가설되어서, 가설부(5)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짐으로써, 가설부(5)의 판 두께를 보다 얇게 해도,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결되는 개소에서 충분히 굽힘 하중 M에 저항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계 구조(1)는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결되는 개소에서, 충분한 굽힘 강성의 확보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가설부(5)를 경량이며 콤팩트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연결 비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계 구조(1)는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결되는 개소에서, 충분한 굽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결되는 개소가 구조적 약점으로 되지 않는 것이 되어,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이 재축 방향 Y로 연결된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전체의 굽힘 성능의 저하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계 구조(1)는 굽힘 하중 M의 작용 방향이 특정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측이 되는 플랜지부(2a)의 평탄면(20)에만 가설부(5)를 가설함으로써, 가설부(5)로서의 강재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종계 구조(1)는 도 10∼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로 연결되는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맞닿음면(30)에서 재축 방향 Y로 걸림으로써, 인장력 T에 저항하는 것이 된다. 인장력 T에 저항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의 지압 강도는, 인장 강도보다도 일반적으로 1.5배 정도 높기 때문에,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판 두께 치수 t'에 대하여 가설부측 돌기(50) 및 피걸림부(60)의 판 두께 방향 X의 높이 h를 7할 정도(h=1/1.5×t')까지 저감시킴으로써, 가설부(5)를 보다 경량이며 콤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강제벽(7)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축 방향 Y에서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의 단부(3)의 측면(3b)에 가설되는 가설부(5)와,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이 가설부(5)로 재축 방향 Y로 연결된 복수의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70)을 구비하고, 복수의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70)을 벽 폭 방향 Z로 연속 설치시킴으로써, 지반내(8) 등에서 벽 폭 방향 Z로 연장되도록 구축된다.
강제벽(7)은 특히, 벽 폭 방향 Z에서 서로 인접하여 연속 설치되는 복수의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70)으로, 각각의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70)의 가설부(5)가 재축 방향 Y의 위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배치된다. 이때, 강제벽(7)은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2)이 연결되는 개소가, 벽 폭 방향 Z에서 대략 지그재그상 등으로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70)의 구조적 약점이 될 수 있는 연결 개소가, 재축 방향 Y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서 벽 폭 방향 Z로 연속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구체화의 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이 재축 방향 Y로 연결되는 개소에서, 충분한 굽힘 강성을 확보함과 함께, 연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을 제공할 수 있다.
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2: 해트형 강 시트 파일
2A: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
2B: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
2a: 플랜지부
2b: 웹부
2c: 아암부
2d: 조인트부
20: 평탄면
3: 단부
3a: 단부면
3b: 측면
30: 맞닿음면
30a: R부
31: 한 쪽 단부
32: 다른 쪽 단부
33: 스토퍼 부재
4: 볼트
40: 볼트 삽입 관통 구멍
41: 체결 너트
42: 용접 너트
43: 암나사부
44: 플레이트
5: 가설부
5a: 하단부면
5b: 상단부면
50: 가설부측 돌기
50a: 가설부측 돌기의 선단부측
50b: 가설부측 돌기의 기단부측
51: 평판부
51a: 외면
51b: 내면
52: 가설부측 연신부
53: 가설부측 연신부의 편단면
54: 홈
55: 프레임 부재
55a: 프레임 부재의 양측부
55b: 프레임 부재의 상단부
56: 축 부재
57: 빗장 부재
57a: 노치 홈
6: 판 부재
60: 피걸림부
60a: 피걸림부의 선단부측
60b: 피걸림부의 기단부측
62: 피걸림부측 연신부
63: 피걸림부의 편단면
65: 돌출부
66: 오목부
7: 강제벽
70: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8: 지반내
X: 판 두께 방향
Y: 재축 방향
Z: 벽 폭 방향

Claims (10)

  1.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과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을, 이들의 재축 방향의 단부면끼리 맞대서 연결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이며,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피걸림부와;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측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상기 제1 피걸림부에 대하여 상기 재축 방향으로 거는 가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상기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2 피걸림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설부가, 상기 제1 피걸림부에 추가로, 상기 제2 피걸림부에도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부면과 상기 제1 피걸림부의 단부면이 동일 평면이며;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단부면과 상기 제2 피걸림부의 단부면이 동일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걸림부가, 그 선단부측에서 상기 재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연장 설치 돌기를 갖고,
    상기 가설부가, 상기 재축 방향과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판 두께 방향에 수직한 벽 폭 방향으로 연장함과 함께 상기 연장 설치 돌기에 거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부 및 상기 제1 피걸림부 간의, 상기 벽 폭 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을 구속하는 슬라이드 방지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걸림부가, 상기 재축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피걸림부가, 공통의 기재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부의, 상기 제1 피걸림부와의 걸림 부위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재축 방향에 수직한 단면에서 본 경우의 단면적이,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 및 상기 제2 해트형 강 시트 파일 간의 맞댐 위치에 있어서 가장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10. 제9항에 기재된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을, 상기 재축 방향과 상기 제1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판 두께 방향에 수직한 벽 폭 방향으로 복수 연속 설치시킨 강제벽이며,
    상기 벽 폭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의 각각의 상기 가설부가, 상기 재축 방향의 위치를 서로 상이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벽.
KR1020187005078A 2015-08-28 2016-08-25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 KR201800335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68456 2015-08-28
JP2015168456 2015-08-28
JPJP-P-2016-004004 2016-01-13
JP2016004004 2016-01-13
PCT/JP2016/074833 WO2017038629A1 (ja) 2015-08-28 2016-08-25 ハット型鋼矢板の縦継構造、縦継ハット型鋼矢板ユニット、及び鋼製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543A true KR20180033543A (ko) 2018-04-03

Family

ID=5818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078A KR20180033543A (ko) 2015-08-28 2016-08-25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JP (1) JP6555352B2 (ko)
KR (1) KR20180033543A (ko)
CN (1) CN108138458B (ko)
AU (1) AU2016316135B2 (ko)
HK (1) HK1251271A1 (ko)
MY (1) MY187422A (ko)
PH (1) PH12018500289A1 (ko)
SG (1) SG11201800379XA (ko)
TW (1) TWI610009B (ko)
WO (1) WO2017038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02887B2 (ja) * 2017-08-23 2022-01-20 株式会社技研製作所 鋼矢板
JP2022031612A (ja) * 2018-12-21 2022-02-22 日本製鉄株式会社 組み合わせ鋼矢板および鋼矢板壁
CN110374123B (zh) * 2019-08-05 2020-10-27 新十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可调组合式围堰及其下放施工方法
CN111764371B (zh) * 2020-06-09 2022-01-28 河海大学 一种拼接型雪花形钢板桩及其施工方法
CN112942446B (zh) * 2021-02-04 2022-04-19 浙江吉祥建设集团有限公司 板桩基础防水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9818A (en) * 1938-10-22 1941-07-22 George B Bell Jr Sheet piling
JPH053434U (ja) * 1991-06-27 1993-01-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波 板
JP2537721B2 (ja) * 1991-10-17 1996-09-25 鹿島建設株式会社 鋼管柱の接合部構造
JP3008212U (ja) * 1994-08-24 1995-03-07 セーチョー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トラフ
JP2001020392A (ja) * 1999-07-07 2001-01-23 Shimizu Corp 構造部材の接合構造
JP5024703B2 (ja) * 2007-08-27 2012-09-12 三谷セキサン株式会社 既製杭の連結方法、連結構造
JP5182251B2 (ja) * 2009-08-10 2013-04-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矢板の継手構造および鋼矢板壁構造
CN102472032B (zh) * 2010-04-22 2014-07-09 新日铁住金株式会社 组合钢板桩墙
JP5413541B2 (ja) * 2011-07-14 2014-02-1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組合せ鋼矢板、地中連続壁、及び組合せ鋼矢板の再利用方法
CN202989906U (zh) * 2012-11-02 2013-06-12 武汉二航路桥特种工程有限责任公司 钢板桩对接机构
JP6325809B2 (ja) * 2013-12-18 2018-05-16 株式会社技研製作所 鋼矢板の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1271A1 (zh) 2019-01-25
CN108138458B (zh) 2020-03-27
MY187422A (en) 2021-09-22
JPWO2017038629A1 (ja) 2018-05-10
TWI610009B (zh) 2018-01-01
SG11201800379XA (en) 2018-02-27
CN108138458A (zh) 2018-06-08
AU2016316135B2 (en) 2019-05-30
PH12018500289B1 (en) 2018-08-13
TW201713824A (zh) 2017-04-16
WO2017038629A1 (ja) 2017-03-09
JP6555352B2 (ja) 2019-08-07
PH12018500289A1 (en) 2018-08-13
AU2016316135A1 (en)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3543A (ko) 해트형 강 시트 파일의 종계 구조, 종계 해트형 강 시트 파일 유닛, 및 강제벽
US11065667B2 (en) Offset notch bridging connector
JP6114290B2 (ja) 機械的に連結するフレームアセンブリ
US20180002914A1 (en) Joint structure of steel beam
RU256230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зажим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JP2017203321A (ja) 接合具
JP6536323B2 (ja) 鋼矢板の縦継構造及び鋼矢板壁
RU2678290C2 (ru) Элемент барьер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US20060144000A1 (en) Composite beam
JP2014020129A (ja) 鋼矢板及び鋼矢板壁体
CN210122843U (zh) 护栏连接部件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KR101247262B1 (ko) 철근 커넥터
JP6601298B2 (ja) 縦継施工方法及び拘束部材
JP7123782B2 (ja) 地中連続壁の継手構造
JP4167609B2 (ja) ホールダウン金物およびその金物と支持ボルトとの固定構造
KR20190024125A (ko) 이탈 방지 흙막이 패널 및 흙막이 구조물
JP6590253B2 (ja) 鋼矢板の継手部固定金具
JP6245604B2 (ja) 排水シート及びトンネル排水構造
KR101170542B1 (ko) 수직재와 횡재의 체결구
JP3182288U (ja) コンパネフォーム型枠及びその連結具
JP7092376B2 (ja) デッキ材固定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固定金具
KR102116012B1 (ko) 강관파일 연결구
CN109477321A (zh) 钢制部件的纵向连接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