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729A -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 Google Patents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729A
KR20180074729A KR1020187014184A KR20187014184A KR20180074729A KR 20180074729 A KR20180074729 A KR 20180074729A KR 1020187014184 A KR1020187014184 A KR 1020187014184A KR 20187014184 A KR20187014184 A KR 20187014184A KR 20180074729 A KR20180074729 A KR 20180074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acket
binder
support member
side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391B1 (ko
Inventor
위 벵 엔지
게리 도날드 와트
Original Assignee
2이엘엠에스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2이엘엠에스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2이엘엠에스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8007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 E04B2/781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8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grooves engaging with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05Girders or columns that are rollable, collapsi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length or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E04C3/07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04B1/582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 E04B1/583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a closed cross-section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21Socket type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36Snap-fit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51Connections between closed section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63Connections to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2001/2466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72Elongated load-supporting part formed from a number of parallel prof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 E04C2003/0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material distribution in cross section the hollow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one enclosed ca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65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square- or rectangular-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4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arranged one on top of the other and in full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hooks or lik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6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directly on or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63Installation, e.g. suspension, of conduit channel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지지 장치(100)가 개시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100)는 지지 구조물(104)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 일차 판(204)을 갖는 커넥터 판(202), 및 상기 커넥터 일차 판(204)과 일체로 형성되고 커넥터 일차 판(204)으로부터 돌출하는 대향 사이드 레그부(210, 212)를 포함한다. 대향 사이드 레그부(210, 212)의 각각은 사이드 레그부(210, 212)를 세장형 지지 부재(300)의 각각의 측벽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 부재(222)를 구비한다. 다른 부품들 중에서 하중 지지 커넥터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본 발명은 지지 장치 및 지지 장치의 다양한 부분에 관한 것이다.
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시스템은 예를 들어 WO 03/102321호에 공지되어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벽을 지지하기 위해 수직 보강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벽이 벽돌이나 기타 건축용 또는 건설용 블록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벽을 수직 보강재에 결착하기 위해 시멘트 작업 시에 벽돌이나 건설용 블록 사이에 타이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지지 부재 시스템은 다른 벽 구조를 지지하기 위해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양한 벽 섹션을 지지하여 강화시키기 위해 수직 및 수평 보강재의 배열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 부재 시스템은 만능이 아니며 그 적용은 대개 제한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단점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지지 장치를 제공하거나 및/또는 대중들에게 유용한 선택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양태에서는, 지지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 일차 판을 갖는 커넥터 판, 상기 커넥터 일차 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커넥터 일차 판으로부터 돌출하는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opposing side leg portions)을 포함하는 지지 장치가 제공된다.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의 각각은 사이드 레그부를 세장형 지지 부재의 각각의 측벽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 장치는 커넥터 일차 판과 각각의 리테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다양한 크기의 복수의 지지 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지지 판은 커넥터 일차 판과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 사이의 상이한 연결부들에서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 상기 리테이너는 각각의 대향 사이드 레그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일차 판은 복수의 지지 판의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단부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결합 부재는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 및 상기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로부터 이격 및 오프셋되는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 및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의 각각은 대체로 T-형상의 결합 천공부를 형성하기 위해 중심 개구를 갖는 세장형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 장치는 복수의 측벽 결합 부재를 갖는 세장형 지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측벽 결합 부재는 측벽 세장형 슬롯으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리세스, 측벽 세장형 슬롯으로부터 상기 메인 리세스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제 2 및 제 3 보조 리세스를 갖는 측벽 세장형 슬롯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3 보조 리세스는 측벽 세장형 슬롯의 단부 근처에 배치될 수 있고, 제 2 보조 리세스는 메인 리세스와 바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존재하는 경우, 사이드 레그부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 및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의 위치는 정렬된 천공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측벽 결합 부재의 위치와 매칭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세장형 슬롯은 정렬된 세장형 슬롯들을 형성하기 위해 측벽 세장형 슬롯과 정합하도록 배열되고, 중심 개구는 커넥터 조립체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렬된 중심 개구들을 형성하기 위해 측벽 보조 리세스 중 어느 하나와 정합하도록 배열된다. 유리하게, 상기 지지 장치는 측벽 보조 리세스 중 어느 하나와 정합 상태에 있는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 또는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의 중심 개구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장치는 정렬된 천공부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정렬된 세장형 슬롯들에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는 상기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도록 구성된 돌출 결합 요소 및 세장형 지지 부재의 각 측벽에 대해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고정하고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로킹 기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돌출 결합 부재와 로킹 기구에 공통적인 네크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갖는 커넥터 브래킷을 구비할 수 있으며, 네크부는 정렬된 세장형 슬롯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로킹 기구는 자동 폐쇄식(self-locking)일 수 있으며, 로킹 기구는 네크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압축성 캐치를 구비하고, 압축성 캐치는 압축성 캐치가 정렬된 개구들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압축 위치와, 압축성 캐치가 두 개 이상의 부품에 로킹될 수 있게 하는 비압축 위치 사이에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네크부의 크기는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 중 하나와 세장형 지지 부재의 각 측벽의 조합된 두께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는 정렬된 세장형 슬롯들에 딱 맞게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돌출 결합 요소는 정렬된 구멍들에 딱 맞게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돌출 결합 요소는 절첩된 핑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정렬된 천공부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핀 커넥터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핀 커넥터 조립체는 돌출 결합 요소를 갖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구비하는 핀 커넥터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는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 커넥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 및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이 변형되어 교합 요소를 함께 로킹시키는 쐐기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 핀 커넥터 브래킷의 하나 이상의 핀 개구에 삽입되어 돌출 결합 요소에 대해 충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을 갖는 핀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 상기 지지 장치는 추가 세장형 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을 슬리브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추가 세장형 부재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를 갖는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슬리브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판을 구비하는 하중 지지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판은 슬리브 부재로부터의 하중을 세장형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세장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는 립형(lipped) 채널을 연결 판에 대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 립형 채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립형 채널은 상호 접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판은 슬리브 부재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으며, 세장형 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 슬롯을 구비한다.
지지 장치가 벽을 확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지지 장치는 세장형 지지 부재를 지지될 벽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타이 부재는 타이 보디, 상기 타이 보디로부터 돌출하는 대향 판 연장부들, 및 세장형 지지 부재의 측벽의 각 측벽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 러그를 가지며, 상기 돌출 러그 중 하나는 두 개의 다른 돌출 러그 사이에 등거리로 배치된다.
그 사용 및 적용을 확장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 장치는 두 개의 세장형 지지 부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한 바인더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인더 커넥터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연결부를 갖는 연속 바인더 보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세장형 지지 부재 중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세장형 지지 부재 중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2 연결부 공간을 갖는다.
제 1 양태의 다양한 특징부는 지지 장치와 별개로 및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특징부는 또한 다른 양태를 형성하는 것이 명백해야 한다.
제 2 양태에서는,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을 슬리브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를 갖는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슬리브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판을 포함하는 하중 지지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연결 판은 슬리브 부재로부터의 하중을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는 립형 채널을 연결 판에 대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 립형 채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립형 채널은 상호 접촉한다. 상기 연결 판은 슬리브 부재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제 2 세장형 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 슬롯을 구비한다.
제 3 양태에서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각 천공부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는 상기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도록 구성된 돌출 결합 요소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두 개 이상의 부품에 고정하고 두 개 이상의 부품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로킹 기구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는 돌출 결합 부재와 로킹 기구에 공통적인 네크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갖는 커넥터 브래킷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네크부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각 천공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킹 기구는 자동 폐쇄식일 수 있으며, 로킹 기구는 네크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압축성 캐치를 구비하고, 압축성 캐치는 압축성 캐치가 두 개 이상의 부품의 각 천공부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압축 위치와 압축성 캐치가 두 개 이상의 부품에 로킹될 수 있게 하는 비압축 위치 사이에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네크부의 크기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조합된 두께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와 돌출 결합 요소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각 천공부에 딱 맞게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 결합 요소는 폴더 핑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의 개구는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는 두 개의 브래킷 레그를 구비하는 핀 커넥터 브래킷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브래킷 레그는 돌출 결합 요소를 가지며; 베이스 부재는 두 개의 브래킷 레그에 연결된다. 베이스 부재는 각각의 충합 핀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핀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돌출 요소는 각각의 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4 양태에서는, 핀 커넥터 브래킷과,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 및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이 변형되어 쐐기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에 삽입되어 돌출 결합 요소에 대해 충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을 갖는 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핀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되며; 변형된 브래킷 레그는 충합 핀과 협력하여 로킹 기구를 형성한다.
제 5 양태에서는, 세장형 지지 부재를 이 세장형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될 벽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타이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타이 부재는 타이 보디, 상기 타이 보디로부터 돌출하는 대향 판 연장부들, 및 세장형 지지 부재의 측벽의 각각의 사이드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러그 중 하나는 두 개의 다른 돌출 러그 사이에 등거리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이 부재는 세 개의 돌출 러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다른 돌출 러그는 대향 판 연장부들의 각 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제 6 양태에서는, 두 개의 세장형 지지 부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한 바인더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바인더 커넥터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연결부를 갖는 연속 바인더 보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세장형 지지 부재 중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세장형 지지 부재 중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2 연결부 공간을 갖는다.
제 7 양태에서는,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를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에 바인딩하는 방법으로서, 제 1 바인더 커넥터 및 제 2 바인더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각각의 바인더 커넥터는 제 6 양태에 따른 것이며, 제 1 바인더 커넥터의 제 1 연결부는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를 포위하기 위해 제 2 바인더 커넥터의 제 2 연결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며, 제 1 바인더 커넥터의 제 2 연결부는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를 포위하여 제 1 및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해 제 2 바인더 커넥터의 제 1 연결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각각은 제 1 측벽, 제 2 측벽, 상기 제 1 측벽에 대향하는 제 3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에 대향하는 제 4 측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제 1 바인더 커넥터를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1 측벽에,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 주위에,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4 측벽 주위에 부착하고 제 1 바인더 커넥터를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3 측벽에 부착하는 단계; 제 2 바인더 커넥터를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3 측벽에,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2 측벽 및 제 1 측벽 주위에,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4 측벽 주위에 부착하고 제 2 바인더 커넥터를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1 측벽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양태와 관련된 특징부들은 다른 양태와 관련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제 예시적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 장치에 사용되는 행거 단부 판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지지 장치의 D-D 방향으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지지 장치의 E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지지 장치의 다양한 부품을 함께 확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도 1에 사용된 이중 핀 브래킷 및 이중 핀 커넥터를 포함하는 핀 커넥터 조립체 형태의 커넥터의 확대된 비조립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이중 핀 커넥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지지 장치에 사용되는 하중 지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하중 지지 커넥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9는 수평 보강재, 도 7의 하중 지지 커넥터, 및 도 1의 지지 장치의 수직 보강재 사이의 연결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HH 부분의 연결 이전의 확대도이며 도 5의 이중 핀 브래킷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의 이중 핀 브래킷이 도 10의 하중 지지 커넥터 및 수직 보강재에 삽입되는 것을 도시하며, 도 5의 이중 핀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이중 핀 커넥터 및 이중 핀 브래킷이 하중 지지 커넥터와 수직 보강재를 함께 부착하도록 조립 및 배열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은 도 11의 J-J 방향으로의 단면도이며, 도 10에 대응한다.
도 14는 도 13과 유사하지만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이중 핀 브래킷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이중 핀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3과 유사한 도면이지만, 이중 핀 브래킷에 완전히 삽입된 이중 핀 커넥터를 도시하며, 도 12에 대응한다.
도 17은 지지 장치를 석벽에 결착하기 위해 도 1의 지지 장치에 사용되는 T-타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5의 이중 핀 커넥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바인더 커넥터의 도시도이다.
도 19는 두 개의 보강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해 반대 배향으로 배치되는 도 18의 바인더 커넥터 중 두 개를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의 두 개의 바인더 커넥터가 두 개의 보강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도시한다.
도 21은 상당한 길이 또는 높이의 두 개의 보강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한 여러 쌍의 도 19의 바인더 커넥터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2 및 도 23은 단일 핀 커넥터 및 단일 핀 브래킷을 포함하는 도 5의 핀 커넥터 조립체의 예시적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단일 핀 커넥터와 단일 핀 브래킷이 어떻게 쐐기를 형성하는지를 도시한다.
도 25는 두 개의 보강재를 단부-대-단부 관계로 연결하기 위한 도 5의 핀 커넥터 조립체의 사용을 도시한다.
도 26은 기둥으로 사용되는 도 1의 지지 장치를 도시한다.
도 27은 셀프-로킹 기구를 갖는 커넥터 브래킷 형태의 대체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커넥터 브래킷의 배면도이다.
도 29a 내지 도 29d는 도 27 및 도 28의 커넥터 브래킷을 제조하기 위한 단순화된 공정 단계를 도시하며, 도 29e는 도 27 및 도 28의 커넥터 브래킷의 셀프-로킹 기구를 도시한다.
도 30은 도 27 및 도 28의 커넥터 브래킷이 도 10 및 도 11의 배열과 함께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커넥터 브래킷이 도 30의 배열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 30의 단순화된 단면도이다.
도 1은 행거 조립체(102)로서 구성된 지지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행거 조립체(102)는 천장 또는 지붕과 같은 상부 지지 구조물(104)에 장착되고 수직 보강재(300)에 연결되어 수직 보강재(300)를 지지 구조물(104)로부터 현수시키는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를 구비한다. 행거 시스템(102)은 대응 하중 지지 커넥터(500, 502)를 거쳐서 수직 보강재(300)에 연결되는 각각의 단부를 갖는 두 개의 수평 보강재(400, 402)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행거 시스템(102)은 벽 쌓기가 일정 거리에 이르는 창 또는 기타 형태의 개구 위에 수직 및 수평 지지를 요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행거 시스템(102)은 수평 보강재(400, 402)와 상부 구조물(104) 사이에 건설된 벽의 중량을 감당하기에 충분한 강도로 상부 구조물(104)로부터 "매달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수직 보강재(300)와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 사이, 수직 보강재(300)와 두 개의 수평 보강재(400, 402) 사이, 건설될 벽과 행거 시스템(102) 사이의 연결은 건설될 벽 및 창 또는 다른 형태의 개구의 상부에 인가되는 수평 하중(예를 들어, 풍압)을 견디기 위해 지지 구조물(104)로부터의 외팔보 작용을 달성하기에 충분히 강력하고 확고해야 한다. 행거 시스템(102)이 이들 목적을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연결을 포함하는 행거 시스템(102)의 부품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는 상부 지지 구조물(104)에 대해 접촉하기 위한 외부 편평면(206)과, 내부 편평면(208)을 갖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커넥터 일차 판(204)을 갖는 행거 커넥터 판(202)을 구비한다. 커넥터 일차 판(204)은 커넥터 일차 판(204)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사이드 레그부(210) 및 제 2 사이드 레그부(212)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사이드 레그부(210, 212)는 양 사이드 레그부(210, 212)가 내부 편평면(208)에 인접하고, 서로 대향하며, 이격 거리 AA로 이격되도록 커넥터 일차 판(204)의 각각의 에지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다.
행거 커넥터 판(202)은 커넥터 일차 판(204)의 각 단부로부터 내부 편평면(208)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굴곡 러그(214, 216) 형태의 단부 스토퍼를 추가로 구비한다. 행거 커넥터 판(202)은 또한 상호 이격되는 두 개의 일차 판 부착 구멍(218, 220)을 구비하며, 각각의 구멍(218, 220)은 각각의 굴곡 러그(214, 216)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각각의 사이드 레그부(210, 212)는 결합 부재(222)의 구성을 가지며, 이 실시예에서 양 사이드 레그부(210, 212)의 결합 부재(222)의 구성은 유사하고 따라서 결합 부재(222)를 설명하기 위해 사이드 레그부(212) 중 하나가 사용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결합 부재(222)의 구성은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224, 228) 및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230, 234)로서 구성되고, 하나의 칼럼의 결합 천공부(224, 228)는 다른 칼럼의 결합 천공부(230, 234)로부터 오프셋된다. 각각의 결합 천공부(224, 228, 230, 234)는 구조가 유사하며,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 중 제 1 결합 천공부(224)를 사용할 때 결합 천공부(224)는 대체로 T-형상의 결합 천공부(224)를 형성하기 위해 세장형 슬롯(224a) 및 중심 개구(224b)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230, 234) 역시 유사한 구조를 가지며, 제 1 결합 천공부(230)를 볼 때, 이 또한 세장형 슬롯(230a) 및 중심 개구(230b)를 갖는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224, 228) 및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230, 234)의 중심 개구(224b, 230b)가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하여 내측으로 향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224, 228)의 세장형 슬롯(224a)은 제 1 선형 축(BB)을 따라서 연장되고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230, 234)의 세장형 슬롯(230a)은 제 2 선형 축(CC)을 따라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224, 228)는 대응 쌍의 결합 천공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230, 234)로부터 오프셋되며, 동일한 쌍 내의 결합 천공부는 서로 오프셋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224)의 제 1 결합 천공부는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230)의 제 1 결합 천공부와 제 1 쌍의 결합 천공부(224, 230)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 1 및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228, 234)의 제 2 결합 천공부는 제 2 쌍의 결합 천공부(228, 234)를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각 쌍의 결합 천공부의 결합 천공부 사이의 오프셋 양은 50mm이다[예로서, 제 1 쌍(224, 230)을 고려할 때, 이는 BB 또는 CC에 평행한 방향으로 중심 개구(224b, 230b) 사이에서 측정된다].
각각의 사이드 레그부(210, 212)는 또한 사이드 레그부(210, 212)와 일체로 형성된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는 일 측부에서 피봇되는 각각의 장방형 러그(240, 242)를 형성하도록 세 측부를 따라서 절단함으로써 사이드 레그부(210, 212) 상에서 커넥터 일차 판(204) 근처에 이격되어 형성되며, 장방형 러그(240, 242)는 피봇 연결을 감안하여 역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 편평면(208)을 향해서 뾰족해지도록 내측으로 강제되거나 굴곡된다.
행거 단부 판(200)은 또한 다양한 두께를 갖지만 유사한 폭 및 길이를 갖는 다수의 지지 판(244)을 구비한다. 실제로, 지지 판(244)의 폭은 지지 판(244)의 단부 프로파일이 커넥터 일차 판(204)과 제 1 및 제 2 사이드 레그부(210, 212) 사이의 일체형 연결을 따르도록 약간 변경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다수의 지지 판(244)은 메인 구조 판(246), 일차 패커(packer) 판(248) 및 이차 패커 판(250)을 구비한다. 지지 판(246, 248, 250)의 각각은 두 개의 지지 판 부착 구멍(252, 254)을 가지며, 이들 지지 판 부착 구멍은 각각의 지지 판(246, 248, 250) 중 대응하는 것과 정합하고 또한 지지 판(246, 248, 250)이 행거 커넥터 판(202)에 조립될 때 각각의 일차 판 부착 구멍(218, 220)과 정합한다.
지지 판(246, 248, 250)을 조립하기 위해서, 이들 지지 판은 두 개의 대향 사이드 레그부(210, 212) 사이에 삽입되고 두 개의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를 지나서 푸시되며[이는 지지 판(246, 248, 25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가 외측으로 휘어지게 함] 지지 판(246, 248, 250)이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로부터 벗어나면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는 도 1에 도시하듯이 지지 판(246, 248, 250)을 내부 편평면(208)에 대해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내측으로 휘어지거나 편향된다. 지지 판(246, 248, 250)의 길이는 또한 커넥터 일차 판(204)의 길이와 매칭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알아야 하며, 따라서 굴곡 러그(214, 216)는 지지 판(246, 248, 250)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와 함께 사용된다. 이후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를 상부 지지 구조물(104)에 고정하기 위해, 석조 앵커 또는 유사 체결구가 지지 판 부착 구멍(252, 254) 및 일차 판 부착 구멍(218, 220)에 삽입된다.
도 3은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의 조립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도 1의 지지 장치(100)의 D-D 방향으로의 부분 단면도이다. 행거 커넥터 판(202)은 절단된 한 장의 금속 시트(예를 들어 2.5mm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두 개의 사이드 레그부(210, 212)는 커넥터 일차 판(204)에 대해 적소에서 굴곡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마찬가지로, 사이드 레그부 리테이너(236, 238) 및 결합 천공부 쌍(224, 230; 228, 234)이 모두 일체의 용접없이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은 커넥터 일차 판(204)과 하나의 사이드 레그부(212) 사이의 굴곡부(256)를 도시한다. 굴곡부(256)가 과도하게 구부러지면 이것이 파괴를 초래할 수 있고 따라서 행거 커넥터 판(202)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굴곡부(256)의 굴곡 반경이 타이트하게 제어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판(246, 248, 250)의 기하학적 형상은 굴곡부(256)가 하중 인가 중에 행거 커넥터 판(202)의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적절하게 큰 반경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해 제어 또는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판(246, 248, 250)의 폭은 지지 판(246, 248, 250)이 적층될 때 각 지지 판(246, 248, 250)의 에지(246a, 248a, 250a)가 곡률 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굴곡부(256)의 각 부분과 결합되도록 약간 변화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지지 판(246, 248, 250)의 두께도 변화되는 바, 지지 판(246, 248, 250)의 에지(246a, 248a, 250a)에 의해 생성되는 점진적 엇갈린 단차를 생성하기 위해 메인 구조 판(246)은 일차 패커 판(248)보다 두껍고 일차 패커 판(248)은 이차 패커 판(250)보다 두껍다.
메인 구조 판(246)은 수직 보강재(300)로부터 상부 지지 구조물(104)로 외팔보 작용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두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메인 구조 판(246)의 두께는 약 16mm 내지 25mm일 수 있으며,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수직 보강재(300)와 메인 구조 판(246) 사이의 고도로 응력부여된 연결은 쉽게 제조 및 조립되는 부품을 사용하여 달성되며 그 결과 지지 장치(100)에 대한 일체의 용접을 제거한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실제로, 용접이 제거되므로, 사전-아연도금된 스틸이 지지 장치(100)의 모든 부품에 사용될 수 있으며 후속 표면 처리가 전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그렇지 않을 경우 이는 아연도금된 코팅이 용접에 의해 손상되기 때문에 스틸의 부식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지 장치는 표준 부품을 재고로 보유하고 통상적인 주문에 맞춰 즉시 조립하는데 적합하다. 이것은 용접이 사용될 경우 달성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제조가 경제적으로 진행될 수 있기 전에 수직 보강재(300)의 길이를 알아야 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행거 단부 판(200)은 수직 보강재(300)가 상부 구조물(104)로부터 외팔보 식으로 내려갈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수직 보강재(300)는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에 연결된다.
수직 보강재(300)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중공 박스 섹션을 형성하기 위해 네 개의 측벽을 가지며 도 1에는 두 개의 측벽(302, 304)이 도시되어 있다[나머지 두 개의 측벽은 수직 보강재(300)의 하부에서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네 개의 측벽 각각의 구조는 서로 유사하며 따라서 제 1 측벽(302)만 상세히 설명될 것임이 명확해야 한다.
도 4는 수직 보강재(300)의 제 1 측벽(302)의 일부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도 1의 지지 장치(100)의 EE 부분의 확대도이다. 제 1 측벽(302)은 제 1 측벽(302)을 따라서 이산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측벽 결합 부재(306)를 구비하며, 이 실시예에서 측벽 결합 부재(306)는 두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FF, GG)을 따라서 배치되는 측벽 결합 천공부(308)의 형태이고, 용이한 참조를 위해서, 제 1 축(FF)을 따르는 결합 천공부(308)는 제 1 축 결합 천공부(310, 312)로 지칭될 것이며 제 2 축(GG)을 따르는 결합 천공부(308)는 제 2 축 결합 천공부(314, 316, 318)로 지칭될 것이다. 제 1 축 결합 천공부(310, 312)는 제 2 축 결합 천공부(314, 316, 318)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음이 도 4로부터 명백해야 한다.
도 4에서의 제 1 축 결합 천공부 중 첫 번째 천공부(310)("제 1 천공부"로 지칭됨)를 참조하면, 제 1 천공부(310)는 제 1 축(FF)을 따라서 연장되고 놓이는 세장형 슬롯(310a) 및 상기 세장형 슬롯(310a)으로부터 돌출하는 다수의 리세스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천공부(310)는 세장형 슬롯(310a)의 중심 주위에 배치되고 제 1 축(FF)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 1 방향을 따라서 수직 보강재(300)의 제 1 측벽(302)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메인 리세스(310b)를 구비한다. 제 1 천공부(310)는 약 25mm의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고 세장형 슬롯(310a)으로부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제 1 측벽(302)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세 개의 보조 리세스(310c, 310d, 310e)를 추가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보조 리세스(310c)가 슬롯(310a)의 일 단부 근처에 위치하고, 제 2 보조 리세스(310d)가 슬롯(310a)의 중심 부근에 메인 리세스(310b)의 정반대로 배치되며, 제 3 보조 리세스(310e)가 슬롯(310a)의 타 단부에 배치된다.
제 1 축 결합 천공부(310, 312)의 각각은 전술한 제 1 천공부(310)와 유사한 구성 및 배향을 가지며 제 2 축 결합 천공부(314, 316, 314)는 제 1 천공부(310)와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다른 배향을 갖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일 예로 제 2 축 결합 천공부(314, 316, 318) 중 중간의 것(316)("중간 천공부"로 지칭됨)을 사용하면, 중간 천공부(316)는 세장형 슬롯(316a), 메인 리세스(316b), 및 상기 메인 리세스(316b)와 유사한 구조로 배치되는 세 개의 보조 리세스(316c, 316d, 316e)를 가지며, 메인 리세스(316b)와 세 개의 보조 리세스(316c, 316d, 316e)의 배향은 다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메인 리세스(316b)는 제 2 방향을 향하도록 배향되며[즉 제 1 천공부(310)의 보조 리세스(310c, 310d, 310e)와 동일함] 세 개의 보조 리세스(316c, 316d, 316e)는 제 1 방향을 향하도록 배향된다[즉 제 1 천공부(310)의 메인 리세스(310b)와 유사함]. 즉, 세 개의 보조 리세스(310c, 310d, 310e)와 세 개의 보조 리세스(316c, 316d, 316e)는 오프셋의 관점에서 비스듬하지만 서로 마주한다. 제 1 천공부(310)의 제 3 보조 리세스(310e)는 중간 천공부(316)의 제 1 보조 리세스(316c)와 일치함을 알아야 한다.
결합 천공부(308)의 구성에 의하면, 수직 보강재(300)는 이후 도 1에 도시된 핀 커넥터 조립체(600)와 같은 커넥터를 사용하여 행거 단부 판(200)에 장착될 수 있다. 핀 커넥터 조립체(600)의 비조립된 확대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핀 커넥터 조립체(600)는 이중 핀 커넥터(602) 및 이중 핀 커넥터 브래킷(604)을 구비한다.
이중 핀 커넥터(602)는 세장형 핀 보디(606)를 구비하고 핀 보디(606)의 각 단부에서 두 개의 직립 또는 돌출하는 충합 핀(608, 610)을 구비하며, 각각의 충합 핀(608, 610)의 단부에는 각각의 약간 테이퍼진 충합면(612, 614)이 제공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점진적 펀칭을 사용하여 이중 핀 커넥터(602)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a는 소정 두께의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로부터 절단된 예비성형된 핀 커넥터 구조물(616)을 도시한다. 예비성형된 핀 커넥터 구조물(616)은 대체로 N-형상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세장형 보디(626)에 연결되고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자유 단부(622, 624)를 갖는 두 개의 세장형 아암(618, 620)을 구비한다. 예비성형된 핀 커넥터 구조물(616)은 또한 각각의 세장형 아암(618, 620)을 따라서 예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V형 노치(628, 630)를 구비하며 V형 노치(628, 630)의 개구는 외측으로 향한다.
예비성형된 핀 커넥터 구조물(616)은 다음에 각각의 자유 단부(612, 614)를 내측으로 절첩하여 각각의 절첩된 세장형 아암(632, 634)을 형성함으로써 세장형 아암(618, 620)의 V-형 노치(628, 630)에서 구부러지며, 이는 또한 도 6b에 도시되어 있듯이 각각의 테이퍼진 충합면(612, 614)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절첩된 세장형 아암(632, 634)은 도 6c에 도시되어 있듯이 세장형 핀 보디(606)를 형성하는 세장형 보디(626)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직립 충합 핀(608, 610)을 생성하기 위해 각각의 자유 단부(622, 624) 근처에서 구부러진다. 이런 식으로, 이중 핀 커넥터(602)가 형성된다.
도 5로 되돌아가서, 이중 핀 커넥터 브래킷(604)은 점진적 펀칭을 사용하여 이중 핀 커넥터(602)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이중 핀 커넥터 브래킷(604)은 한 장의 금속 시트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메인 브래킷 보디(638)를 갖는 대체로 C-형상의 브래킷 보디(636)를 형성하기 위해 지정된 위치에서 구부러지며, 두 개의 브래킷 레그(640, 642)가 메인 브래킷 보디(638)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된다. 브래킷 레그(640) 중 하나는 제 1 축 결합 슬롯(310, 312) 및 제 2 축 결합 슬롯(314, 316, 318)과 유사한 방식으로 다른 브래킷(642)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각각의 브래킷 레그(640, 642)는 돌출 결합 요소를 구비하며, 이 실시예에서 돌출 결합 요소는 킹크(kink)(648, 650)를 생성하는 융기된 리지형(ridged) 스트립(644, 646)의 형태이다. 브래킷 레그(640, 642)의 양 리지형 스트립(644, 646)은 서로 마주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중 핀 브래킷(604)은 또한 각각의 브래킷 레그(640, 642)에 인접해서 또한 브래킷 레그(640, 642)가 메인 브래킷 보디(638)와 만나는 곳에서 메인 브래킷 보디(638)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핀 개구(652, 654)를 구비한다[이들 핀 개구 중 하나(654)는 도 5에서 볼 수 없지만]. 융기된 리지형 스트립(644, 646)은 각각의 두 개의 핀 개구(652, 654)를 폐색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쇄하도록 구성된다. 핀 개구(652, 654)는 충합 핀의 프로파일과 매칭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핀 개구(652, 654)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이다. 리지형 스트립(644, 646)은 점진적 펀칭에 적합하지만 돌출 요소는 특히 다른 제조 공정이 사용되는 경우에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음은 명백해야 한다.
핀 커넥터 조립체(600)는 다양한 용도를 가지며, 하중 지지 커넥터(500, 502)[및 따라서 수평 보강재(400, 402)]가 수직 보강재(300)에 부착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직 보강재(300)를 행거 단부 판(200)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부착 또는 연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설명은 추후에 논의될 것이다.
도 7은 연결 판(506)과 단일 구조로서 일체로 형성된 슬리브 부재(504)를 구비하는 하중 지지 커넥터(500) 중 하나의 사시도이다. 슬리브 부재(504)는 수평 보강재(400)에 인가되는 하중을 슬리브 부재(504)에 전달하고 따라서 연결 판(506)에 전달하기 위해 수평 보강재(40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508, 510)에 의해 형성된다. 연결 판(506)은 슬리브 부재(504)로부터의 하중을 수직 보강재(300)에 전달하기 위해 수직 보강재(3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판(506)은 도 2의 결합 부재(222)(즉, 결합 슬롯)와 유사한 연결 판 결합 부재(512)를 구비하며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전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역시 점진적 펀칭에 의한 하중 지지 커넥터(500)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8a는 소정 두께의 스틸과 같은 금속 시트로부터 점진적 펀칭 공정의 일부로서 절단된 예비성형된 하중 지지 구조물(514)을 도시한다. 예비성형된 하중 지지 구조물(514)은 제 1 단부(518), 제 2 단부(520) 및 측부(522, 524)를 갖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인 중심 판(516)[연결 판 결합 부재(512)가 이미 형성됨]을 구비한다. 예비성형된 하중 지지 구조물(514)은 중심 판(516)의 각 측부(522, 524)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날개 판(526, 528)을 구비한다. 도 8a에 도시되어 있듯이, 중심 판(516)의 제 1 단부(518)는 날개 판(526, 528)을 넘어서 융기되지만 중심 판(516)의 제 2 단부(520)는 하중 지지 구조물 개구(530)를 생성하기 위해 날개 판(526, 528) 내부에 착좌한다. 예비성형된 하중 지지 구조물(514)은 또한 측부(522, 524)를 따라서 두 개의 분리선 갭(532, 534)을 구비하며, 이들 분리선 갭은 날개 판(526, 528)이 중심 판(516)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특정 치수에서 정지되고 중심 판(516)의 전체 측부(522, 524)를 따라서 연장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날개 판(526, 528)의 에지(536, 538, 540, 542)는 도 8a에 도시되어 있듯이 날개 판(544, 546)의 종축을 따라서 립(552, 554, 556, 558)을 형성하기 위해 도 8a에 도시된 제 1 절첩선(548, 550)을 따라서 및 각각의 에지(536, 538, 540, 542)에 인접해서 날개 판(526, 528)의 날개 판 보디(544, 546)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내측으로 절첩된다.
날개 부재(526, 528)는 도 8c에 도시되어 있듯이 한 쌍의 립형(lipped) 채널(564, 566)을 형성하기 위해 중심 판(516)의 제 2 단부(520) 및 분리선 갭(532, 534)의 깊이에 각각 대응하는 제 2 절첩선(560, 562)을 따라서 내측으로 추가 절첩된다. 다음으로, 한 쌍의 립형 채널(564, 566)은 날개 판(526, 528)을 중심 판(516)의 측부(522, 524)를 따라서 구부림으로써 서로를 향해서 이동되어 립(556, 558)을 각각의 대향 립(552, 554)과 접촉시키며 이는 도 7에 도시된 슬리브 부재(504)를 형성하는 박스형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형성한다[그리고 한 쌍의 립형 채널(564, 566)은 따라서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508, 510)를 형성한다].
하중 지지 커넥터(500)를 사용하기 위해, 슬리브 부재(504)는 수평 보강재를 수직 보강재에 부착하기 위해 수평 보강재(400) 내에 삽입되며 이는 수평 보강재의 유효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신축적으로) 만든다. 이것은 제 2 측벽(304)에서의 도 1의 수평 보강재(400)와 수직 보강재(300) 사이의 연결의 확대도인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두 개의 핀 커넥터 조립체(600)를 사용하여 연결 판(506)을 수직 보강재(300)에 부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두 개의 핀 커넥터 조립체(600)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 9의 HH 부분의 확대도이지만 두 개의 핀 커넥터 조립체(600)의 결합 이전인 도 10이 참조된다. 단순함을 위해, 수직 보강재의 제 1 측벽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 4도 참조되지만 제 2 측벽(304) 역시 동일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것이다.
연결 판(506)은 행거 커넥터 판(202)(도 2 참조)의 결합 부재(222)와 구조적으로 유사한 결합 부재(512)[두 개의 칼럼으로 네 개의 결합 천공부 - 하나의 칼럼에서 결합 천공부(1224, 1225, 1226, 1227) 및 다른 칼럼에서 네 개의 결합 천공부(1230, 1231, 1232, 1233)]를 구비하며, 따라서 1000이 더해진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것이다.
연결 판(506)을 수직 보강재(300)에 확고하게 부착하기 위해, 사용자는 하중 지지 커넥터(500)를 수직 보강재(300)의 제 2 측벽(304)에 대해 유지하고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의 제 1 천공부(1224)를 제 1 축 결합 천공부(310, 312)의 하나와 정합시키며 마찬가지로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의 제 1 천공부(1230)를 수직 커넥터의 제 2 측벽의 제 2 축 결합 천공부(314, 316, 318) 중 하나와 정합시킨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의 제 1 천공부(1224)의 중심 개구(1224b)를 제 1 축 결합 천공부(310)의 제 1 천공부의 제 2 보조 리세스(310d)(도 10에 도시되지 않음)를 정합시키며 마찬가지로 세장형 슬롯(1224a)은 제 1 천공부(310)의 세장형 슬롯(310a)과 정합되거나 정렬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의 제 1 천공부(1230)의 중심 개구(1230b)를 제 2 축 결합 천공부의 중간 천공부(316)의 제 2 보조 리세스(316d)와 정렬시키며 마찬가지로, 세장형 슬롯(1230a)은 또한 중간 천공부(316)의 세장형 슬롯(316a)과 정렬된다. 다양한 천공부, 리세스 및 개구의 정합 및 정렬은 따라서 각각의 정렬된 천공부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핀 커넥터 조립체(600)는 연결 판(506)[및 이에 따라서 하중 지지 커넥터(500)]을 수직 보강재(300)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듯이, 브래킷 레그(640)는 상호 정합되는 세장형 슬롯(1224a) 및 세장형 슬롯(310a) 내로 슬라이딩 또는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리지형 스트립(644)은 중심 개구(1224b) 및 제 2 보조 리세스(310d)를 통해서 삽입된다. 동시에, 다른 브래킷 레그(642) 또한 세장형 슬롯(1230a) 및 세장형 슬롯(316a) 내에 삽입되며 리지형 스트립(646)은 중심 개구(1230b) 및 중간 천공부(316)의 제 2 보조 리세스(316d)를 통해서 삽입된다. 핀 커넥터 조립체(600)는 제 2 보조 리세스(310d, 316d) 뿐만 아니라 대응 보조 리세스(310c/316c, 310e/316e) 중 임의의 것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1의 J-J 방향으로의 단면도로서, 이중 핀 브래킷(604)을 삽입하기 전과, 이중 핀 브래킷(604)을 연결 판(506) 및 수직 보강재(300)의 슬롯 및 리세스에 삽입한 후를 도시하는데, 도 13은 도 10에 대응하고, 도 14는 도 11에 대응한다.
커넥터 핀 조립체(600)의 이중 핀 커넥터(602)는 다음에 하나의 충합 핀(608)이 하나의 핀 개구(652)와 정렬되고 다른 충합 핀(610)이 이중 핀 브래킷(604)의 다른 핀 개구(654)와 정렬된 상태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이중 핀 커넥터의 충합 핀(608, 610)은 충격을 가할 수 있는 망치 또는 유사한 기구를 사용하여 각각의 핀 개구(652, 654)에 압입된다. 충합 핀(608, 610)이 압입됨에 따라, 테이퍼진 충합면(612, 614)은 대응하는 경사진 리지형 스트립(644, 646)과 결합하며 이것은 도 13과 유사한 단면도지만 핀 개구(652, 654) 내로의 충합 핀(608, 610)의 부분적 삽입에 대응하는 도 15에 보다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다. 충합 핀(608, 610)이 핀 개구(652, 654) 내에 더 압입됨에 따라, 리지형 스트립(644, 646)은 저항을 제공하여, 브래킷 레그(640, 642)와 충합 핀(608, 610)이 약간 변형되게 하며, 리지형 스트립(644, 646)과 충합 핀(608, 610) 사이에 쐐기 연결을 형성한다. 도 12는 이중 핀 브래킷(604)과 이중 핀 커넥터(602) 사이의 적절한 연결을 도시하며 이것은 또한 도 15와 유사한 단면도지만 도 12에 대응하는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쐐기 연결은 각각의 충합 핀(608, 610)과 결합하는 킹크(648, 650)를 구비하는 것을 알아야 하며, 도 16을 도 15와 비교하면, 브래킷 레그(640, 642)는 약간 외측으로 가압되는 반면에 충합 핀(608, 610)은 쐐기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내측으로 약간 가압됨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충합 핀(608, 610)과 협력하는 변형된 브래킷 레그(640, 642)는 연결 판(506)[및 따라서 하중 지지 커넥터(500)]과 수직 보강재(300)를 함께 체결하기 위한 로킹 기구를 형성한다. 쐐기 연결은 이중 핀 커넥터(602), 이중 핀 브래킷(604) 및 결합 부재(310, 316) 사이의 접촉을 증가시키며, 임의의 방향으로의 하중이 교합 수평 보강재(400), 하중 지지 커넥터(500) 및 수직 보강재(300)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하중 전달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 도 9는 하중 지지 커넥터(500)를 수직 보강재(300)에 연결하기 위해 다른 커넥터 핀 조립체(600)가 사용되는 것을 도시하며, 전술한 것과 동일한 절차가 적용된다. 보다 효과적인 연결 및 하중 전달을 위해 두 개의 커넥터 핀 조립체(600)(즉, 한 쌍)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네 개의 결합 천공부의 두 개의 칼럼(1224, 1225, 1226, 1227/1230, 1231, 1232, 1233)을 각각 제공하는 것은 두 개의 커넥터 핀 조립체(600)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칼럼 천공부의 결합 천공부(1224, 1225, 1226, 1227)[및 마찬가지로 제 2 칼럼 천공부의 결합 천공부(1230, 1231, 1232, 1233)]와 제 1 축 결합 천공부(310, 312)[및 제 2 축 결합 천공부(314, 316, 318)]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한 쌍의 커넥터 핀 조립체(600)는 도 9에 도시하듯이 연결 판(506)의 두 개의 제 1 칼럼 및 제 2 칼럼 천공부에 의해 이격된다.
커넥터 핀 조립체(600)를 사용한 수직 보강재(300)에 대한 하중 지지 커넥터(500)의 연결은 수평 보강재(400)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그 결과, 임의의 수평 하중은 상기 연결을 오프셋으로 인해 "비틀어지게" 만드는 경향이 있을 것이며 따라서 한 쌍의 커넥터 핀 조립체(600)는 이러한 비틀림 작용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이중 핀 조립체(600)를 사용하여, 행거 단부 판(200)은 도 1에 도시하듯이 수직 보강재에 확고하게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이중 핀 조립체는 제 1 사이드 레그부(210)의 측벽 결합 부재(306)와 결합 부재(222) 내에[및 제 2 사이드 레그부(212) 내에] 삽입되어 확실한 연결을 달성하는 동시에 효과적인 하중 전달을 위해 모든 교합 부품 사이의 접촉을 최대화한다.
도 7에 도시된 하중 지지 커넥터(500)는 한 장의 금속 시트로 일체 형성되기 때문에, 용접이 전혀 필요하지 않다. 실제로, 하중 지지 커넥터(500)는 전술했듯이, 최종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강판의 시트 또는 롤을 펀칭 및 절첩하는 것을 수반하는, 완전 자동화된 점진적 펀칭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부재(504)는 수평 보강재(400) 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평 공차를 제공한다. 수직 공차의 관점에서, 결합 천공부(1224, 1225, 1226, 1227)(또는 1230, 1231, 1232, 1233) 사이의 분리 거리는 25mm인 바, 즉 결합 천공부는 25mm 증분으로 이산 위치에 배치된다.
전술했듯이, 행거 조립체(102)는 예를 들어 창 위의 벽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벽은 석조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석조는 지지를 달성하기 위해 수직 보강재(300)에 결착될 필요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T-타이 부재(700)가 제안되며 이것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T-타이 부재(700)는 타이 보디(702)에 대해 대체로 T-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비교적 평탄한 타이 보디(702) 및 대향 판 연장부(704, 70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타이 보디(702)는 종축을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대향 판 연장부(704, 706)는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T-타이 부재(700)는 대향 판 연장부(704, 706)의 예정된 위치에서 특정 각도 및 치수로 연장되는 레그를 구부림으로써 생성되는 세 개의 돌출 러그(708, 710, 712)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3 돌출 러그(708, 712)는 대향 판 연장부(704, 706)의 단부에 배치되어 그것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제 1 및 제 3 돌출 러그(708, 712) 사이에서 및 타이 보디(702) 근처에서 거의 또는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배치되는 제 2 돌출 러그(71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런 식으로, 타이 보디(702)에 인가되는 임의의 하중은 세 개의 러그(708, 710, 712) 각각에 거의 동등하게 또는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된다.
T-타이 부재(700)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는 두 개의 세장형 홈(714, 716)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들 홈은 타이 보디(702)의 하부에 대향 융기 리지를 생성한다. 세장형 홈(714, 716)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벽돌 또는 건설 블록 사이의 시멘트 작업에 대한 하중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의 판 연장부(704, 706)는 또한 타이 보디(702) 상의 세장형 홈(714, 716)과 유사한 대응 리지 부분(722, 724)을 갖는 판 연장 홈(718, 720)을 구비한다. 그러나, 판 연장부(704, 706)의 리지 부분(722, 724)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제 1 판 연장부(704)의 리지 부분(722)은 타이 보디(702)로부터 멀리 향하는 반면에 제 2 판 연장부(706)의 리지 부분(724)은 타이 보디(702) 쪽으로 향한다. 세장형 홈(714, 716)은 각각의 종축을 따라서 판 연장부 홈(718, 720)과 대체로 정렬된다.
T-타이 부재(700)를 사용하기 위해, 타이 보디(702)는 석조 벽의 시멘트와 같은 벽 재료 사이에 삽입되며[세장형 홈(714, 716)이 시멘트에 매립된 상태로], 돌출 러그(708, 710, 712)는 수직 보강재(300)의 측벽 결합 부재와 결합된다. 도 1과 관련하여, T-타이 부재(700)는 벽이 수평 보강재(400) 위에 구성됨에 따라 제 2 측벽(304)과 결합될 것이다. 그러나,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4의 제 1 측벽(302)이 참조될 것이며 동일한 설명이 제 2 측벽(304)에 적용됨은 명백할 것이다.
T-타이 부재(700)는 (FF, GG 축을 따라서) 결합 천공부(308)의 프로파일과 매칭되도록 구성되고, 예로서, 제 1 및 제 3 돌출 러그(708, 712)는 두 개의 제 2 축 결합 천공부(314, 316)의 메인 리세스(314b, 316b)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제 2 돌출 러그(710)는 제 1 축 결합 천공부의 제 1 천공부(310)의 메인 리세스(310b)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T-타이 부재는 세장형 슬롯(310a, 314a, 316a) 내에 결합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세장형 슬롯(310a, 314a, 316a)을 따르는 T-타이 부재(700)의 수직 운동은 T-타이 부재가 벽 재료의 베딩(bedding) 조인트와 정렬될 수 있게 한다. T-타이 부재(700)는 180도 회전될 수 있으며[도 17을 참조하면, 세장형 홈(714, 718)은 아래로 향할 것임] 제 1 및 제 3 돌출 러그(708, 712)는 이제 제 1 축 결합 천공부(310, 312)의 메인 리세스(310b, 312b)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돌출 러그(710)는 제 2 축 결합 천공부의 중간 천공부(316)의 메인 리세스(316b)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런 식으로, 수직 보강재(300)의 전체 길이를 따르는 위치의 전체 범위가 달성될 수 있다.
알 수 있듯이, T-타이 부재(700)는 벽 재료로부터 지지 장치(100)로 수평 하중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이것은 수직 보강재(300)가 될 것이다. T-타이 부재(700)에 의해, 수평 타이 보디(702)는 인가된 하중이 돌출 러그(708, 710, 712) 각각에 거의 동등하게 분포되도록 위치되고, 그 결과 T-타이 부재(700)는 타이 보디(702)가 다른 타이 부재보다 훨씬 낮은 대략 0.8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을 뿐이지만 적절한 하중 용량을 견뎌낼 수 있다.
더 얇은 타이 보디(702)에 의하면, 이는 수직 보강재(300)[또한 사용 및 적용에 따라서 수평 보강재(400)]와 하중 지지 커넥터(500)[또는 보강재의 유효 길이를 연장하는 다른 슬리브 부재] 사이에 제공될 갭을 최소화한다. 갭을 감소시키는 것은 하중 지지 커넥터(500)[특히 슬리브 부재(504)] 사이의 하중 전달 용량을 향상시키며, 부하가 전달되고 있을 때의 잠재적 이동 양을 감소시킨다.
T-타이 부재(700)는 또한 점진적 펀칭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하기에 적합하며, T-타이 부재(70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다양한 부품은 지지 장치의 다용도성을 추가하고 실제로 이들 부품은 다른 용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중 핀 조립체(600)는 두 개의 보강재(360, 370)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해 한 쌍의 바인더 커넥터(800, 850)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인더 커넥터 중 하나(800)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바인더 커넥터(800)는 서로 대향하고 공통 링크장치를 갖는 제 1 연결부(804) 및 제 2 연결부(806)를 한정하도록 S-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특정 위치에서 구부러진 얇은 강판 스트립으로 제조되는 대체로 S-형 단면의 바인더 보디(802)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바인더 보디(802)는 제 2 바인더 섹션이 제 1 바인더 섹션(808)과 직각을 형성하는 상태로 제 2 바인더 섹션(810)에 결합되는 제 1 바인더 섹션(808)을 구비하고, 제 2 바인더 섹션(810)은 제 3 바인더 섹션(812) 내로 연장되며, 제 3 바인더 섹션은 또한 대체로 C-형상인 제 1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바인더 섹션과 동일한 전반적인 방향으로) 제 2 바인더 섹션(810)에 수직하다. 제 3 바인더 섹션(812)은 제 2 바인더 섹션(810)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제 4 바인더 섹션(814)으로 추가 연장되고 제 4 바인더 섹션(814)은 제 2 연결부(806)를 형성하기 위해 제 5 바인더 섹션(816)으로 추가 연장되며, 제 3 바인더 섹션(812)은 제1 연결부(804)와 함께 공통 링크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 1 연결부(804)는 보강재의 프로파일의 약 절반을 수용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수용 공간(818)을 가지며, 제 2 연결부(806)[제 1 연결부(804)에 바로 인접함]는 역시 서로 대향 관계에 있는 보강재들 중 제 2 보강재의 약 절반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연결부 수용 공간(820)을 갖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바인더 커넥터(800)는 제 1 바인더 섹션(808)에 배치되는 제 1 바인더 결합 부재(822) 및 제 5 바인더 섹션(816)에 배치되는 제 2 바인더 결합 부재(824)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바인더 결합 부재(822) 및 제 2 바인더 결합 부재(824)는 도 2에 도시된 행거 커넥터 판(202)의 제 1 칼럼 결합 슬롯(224, 228) 또는 제 2 칼럼 결합 슬롯(230, 234)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바인더 결합 슬롯의 형태이다.
바인더 커넥터(800, 850)를 사용하기 위해, 쌍 중의 제 2 바인더 커넥터(850)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와 반대 배향으로 회전될 필요가 있다.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제 2 바인더 커넥터에서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50이 더해진 동일 참조 부호가 사용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1 바인더 섹션(858)은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5 바인더 섹션(816)에 인접할 것이며,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5 바인더 섹션(866)은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1 바인더 섹션(808)에 바로 인접할 것이다. 이런 식으로,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1 바인더 결합 부재(872)는 행거 커넥터 판(202)의 제 1 칼럼 결합 슬롯(224, 228) 및 제 2 칼럼 결합 슬롯(230, 234)과 마찬가지로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2 바인더 결합 부재(824)에 대해 오프셋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2 바인더 결합 부재(874)는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1 바인더 결합 부재(822)와 유사한 방식으로 오프셋된다.
도 20은 도 1의 수직 보강재(300)와 유사한 두 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보강재(360, 370)를 바인딩하기 위한 제 1 바인더 커넥터(800) 및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사용을 도시한다. 다시 말해서, 두 개의 보강재(360, 370)의 각각은 네 개의 측벽을 갖는 바, 제 1 측벽(362, 372), 제 2 측벽(364, 374), 상기 제 1 측벽(362, 372)과 바로 대향하는 제 3 측벽(366, 376), 및 상기 제 2 측벽(364, 374)과 바로 대향하는 제 4 측벽(368, 378)을 갖는다. 보강재(360, 370)의 측벽은 또한 도 4에 도시된 결합 슬롯(306)을 구비하지만, 간명함을 위해 도 20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1 바인더 섹션(808)은 먼저 제 1 보강재(360)의 제 1 측벽(362) 상에 배치되고 제 2 바인더 섹션(810)은 이후 제 2 측벽(364)의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제 3 바인더 섹션(812)은 제 1 보강재(360)의 제 3 측벽(366)과 제 2 보강재(370)의 제 1 측벽(372) 사이에 샌드위치되고 이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제 1 바인더 커넥터(800)는 다음에 제 4 바인더 섹션(814)이 제 2 보강재의 제 4 측벽(378)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상태로 제 2 보강재(370) 주위를 굽이치며 나아가며, 마지막으로 제 5 바인더 섹션(816)은 제 2 보강재(370)의 제 3 측벽(376)에서 종료된다.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와 유사한 프로파일의] 제 2 바인더 커넥터(850)는 제 1 바인더 섹션(858)이 제 2 보강재(370)의 제 3 측벽(376)에 배치되는 상태로 반대 배향으로 진행하고,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2 바인더 섹션(860)은 제 2 보강재(370)의 제 2 측벽(374)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3 바인더 섹션(862)은 마찬가지로 제 2 보강재(370)의 제 1 측벽(372)과 제 1 보강재(360)의 제 3 측벽(366) 사이에 샌드위치된다. 제 2 바인더 커넥터(850)는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4 바인더 섹션(864)이 제 1 보강재(360)의 제 4 측벽(368)의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상태에서 제 1 보강재(360) 주위로 더 연장되며, 최종적으로 제 5 바인더 섹션(866)은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1 바인더 섹션(808)과 오프셋된 상태로 제 1 보강재의 제 1 측벽(362)에서 종료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보강재(360, 370)의 측벽 전체를 포위하고 제 1 및 제 2 보강재(360, 370)를 측부-대-측부 배열로 연결하기 위해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1 연결부(804)는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2 연결부(856)와 협력하고 제 2 연결부(806)는 제 2 바인더 커넥터의 제 1 연결부(854)와 협력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개의 핀 커넥터 조립체(600)는 다음에, 양 보강재(360, 370)를 함께 고정하고 마찬가지로 제 1 바인더 커넥터(800) 및 제 2 바인더 커넥터(850)를 보강재(360, 370)에 고정하기 위해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1 바인더 결합 부재(872) 및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2 바인더 결합 부재(824)와 결합하고 또한 제 2 바인더 커넥터(850)의 제 2 바인더 결합 부재(874) 및 제 1 바인더 커넥터(800)의 제 1 바인더 결합 부재(822)와 결합하도록 설치된다.
제 1 및 제 2 바인더 커넥터(800, 850)의 프로파일 및 대향 배향은 두 개의 보강재(360, 370)가 건설될 벽의 평면에 수직하게 함께 이동하도록 보장하며, 두 개의 바인더 커넥터(800, 850)는 또한 두 개의 보강재(360, 370)를 운송 또는 설치 목적으로 함께 결착시킨다. 말할 필요도 없이, 두 개의 보강재(360, 370)의 바인딩은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강재(360, 370)의 외부 측벽(363, 376)에 커넥터 핀 조립체(600)를 설치하는 것은 두 개의 바인더 커넥터(800, 850)를 고정하기 위한 용이한 접근을 허용하며, 화재 등급이 손상될 수 있거나 마감이 영향받을 수 있는 제 2 및 제 4 측벽(364, 368, 374, 378)에서의 상당한 돌출을 방지한다. 핀 커넥터 조립체(600)의 설치는 핀 커넥터 조립체(600)가 설치될 수 있기 전에 바인더 결합 부재가 보강재(360, 370) 상의 결합 슬롯과 정합되도록 바인더 커넥터(800, 850)가 보강재(360, 360)의 길이를 따라서 이동될 것을 요구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바인더 커넥터(800, 850)는 제조하기에 용이하고 두 개의 보강재(360, 370)와의 견고한 연결이 용접 또는 복잡한 설치 절차의 필요 없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바인더 커넥터(800, 850)는 세 개 초과의 보강재(360, 370)가 함께 바인딩 또는 연결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 5 바인더 섹션(816, 866)을 넘어서 추가 바인더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1은 보강재(360, 370)의 길이를 따라서 지정된 위치 또는 이산 위치에서 상당한 높이의 두 개의 보강재(360, 370)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 여러 쌍의 바인더 커넥터(800, 850)가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다. 실제로, 함께 바인딩되는 두 개(또는 그 이상의) 보강재(360, 370)의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특정 구조를 보강할 때 지지 장치(100)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핀 커넥터 조립체(600)는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중 핀 커넥터(602)의 형태가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핀 커넥터 조립체(600)는 단일 돌출 충합 핀(672)(도 23 참조) 및 단일 핀 브래킷(674)(도 5에 도시된 것의 대략 절반)을 포함하는 단일 핀 커넥터(67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단일 핀 브래킷(674)은 단일 핀 브래킷 보디(680)로부터 연장되는 단일 핀 브래킷 레그(678)를 갖는 L형 브래킷 보디(676)를 구비한다. 단일 핀 브래킷(674)은 이중 핀 브래킷(604)의 일 측부의 구조와 유사하게 단일 핀 리지형 스트립(682) 및 단일 핀 개구(684)를 구비하며, 단일 핀 리지형 스트립(682)은 또한 단일 핀 개구(684)를 폐색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쇄한다. 도 23은 단일 핀 브래킷(674)의 단일 핀 개구(684) 내로 곧 구동될 단일 돌출 충합 포인트(672) 및 단일 핀 테이퍼진 표면(686)을 갖는 단일 핀 커넥터(670)를 도시한다. 도 24는 한편, 단일 충합 핀(672)이 단일 핀 리지형 스트립(678)과 함께 어떻게 쐐기 결합되는지를 도시하며, 브래킷 레그(678)와 단일 충합 핀(672)은 이중 핀 커넥터(602)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이 약간 변형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중 핀 커넥터(604)는 두 개의 단일 핀 커넥터(670)로 대체될 수도 있지만, 이것은 이중 핀 커넥터(604)가 사용자가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만드는 수직 보강재를 따르는 두 지점을 결합시키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중 핀 커넥터(604)가 [이중 핀 커넥터(602) 대신에] 두 개의 단일 핀 돌출 핀(672)을 사용할 수 있거나 이중 핀 커넥터(602)가 두 개의 단일 핀 브래킷(674)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도 예상된다.
핀 커넥터 조립체(600)는 두 개(또는 그 이상)의 보강재(900, 902)를 도 2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단부-대-단부 배열로 내부 슬리브(904)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 장치(100)는 또한, 예를 들어, 행거 조립체(102)와 유사한 부품을 갖지만 역전된(수평 보강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둥 조립체(950)로서 구성되는 다른 용도를 가지며, 기둥 조립체(950)는 천장 또는 상부 지지 구조물 대신에 플로어 또는 하부 구조물(960)에 장착된다. 지지 장치(100)는 또한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의 행거 커넥터 판(202)은 제 1 및 제 2 사이드 레그부(210, 2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지만, 이것은 반드시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행거 커넥터 판(202)은 제 1 및 제 2 레그부(210, 212)에 대해 경사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행거 커넥터 판(202)을 경사진 천장(또는 플로어)에 장착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지지 판(246, 248, 250)은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지지 판(246, 248, 250)이 사용될 경우 이들 지지 판은 그에 맞춰서 구성(크기, 두께 등)될 수 있다.
하나의 부품[예를 들어 수평 보강재(400, 402)]을 다른 부품[예를 들어 하중 지지 커넥터(500)를 사용하는 수직 보강재(300)]에 체결 또는 결합시키기 위해 핀 조립체(600)를 사용하는 대신에, 커넥터는 셀프-로킹 기구(742)를 갖는 커넥터 브래킷(740)의 형태일 수 있으며, 도 27은 커넥터 브래킷(740)의 정면도이고 도 28은 커넥터 브래킷(740)의 배면도이다.
커넥터 브래킷(740)은 한 장의 금속 시트로 형성되고 도 29a 내지 도 29e는 핀 커넥터(602)와 유사하게 점진적 펀칭에 의한 커넥터 브래킷(740)의 형성을 도시한다. 도 29a는 소정 두께의, 스틸과 같은 금속의 시트로부터 점진적 펀칭에 의해 제조되는 예비성형된 브래킷 구조물(744)을 도시한다. 예비성형된 브래킷 구조물(744)은 점진적 펀칭에 의해 형성되고 베이스 부재(746)의 양 단부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아암 섹션(752, 754) 아래에 위치되는 제 1 및 제 2 브래킷 개구(748, 750)를 갖는 베이스 부재(746)를 구비한다.
아암 섹션(752, 754)의 각각은 핑거 부재(760, 762)와 두 개의 사이드 아암(764, 766, 768, 770)에 공통적이고 이들을 연결하는 네크부(756, 758)를 가지며, 핑거 부재(760, 762)는 각각의 사이드 아암(764, 766, 768, 770) 사이에 배치된다. 사이드 아암의 각각은 분리 가능한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를 생성하기 위해 슬릿을 구비한다.
핑거 부재(760, 762)는 사이드 아암(764, 766, 768, 770)보다 길게 연장되며, 제 1 단계로서, 핑거 부재의 단부(760a, 762a)는 도 29b에 도시하듯이 각각의 제 1 절첩부(772, 774)를 형성하기 위해 단부(760a, 762a)로부터 소정 거리에서 외측으로 절첩된다. 다음으로, 핑거 부재(760, 762)는 도 29c에 도시하듯이 제 1 절첩부(772, 774)가 예비성형된 브래킷 구조물(744)의 각각의 개구(748, 750) 내로 연장되도록 네크부(756, 758)에 인접한 라인 근처에서 내측으로 절첩된다.
다음으로, 네크부(756, 758)는 도 29d에 도시하듯이 네크부(756, 758)가 베이스 부재(746)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더 내측으로 절첩되며, 네크부(756, 758) 및 각각의 사이드 아암(764, 766, 768, 770)은 커넥터 브래킷(740)의 대응 커넥터 브래킷 레그(780, 782)를 형성한다. 이런 식으로, 핑거 부재(760, 762)의 제 1 절첩부(772, 744)는 대응 개구(748, 750) 내에 위치된다. 개구(748, 750)는 각각의 핑거 부재(760, 762)의 폭을 수용하거나 받아들이도록 크기를 갖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일련의 절첩된 핑거 부재(760, 762)는 각각의 개구(748, 750)를 폐색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쇄하는 대응 돌출 결합 요소(776, 778)를 형성하는 것도 알 수 있다.
분리 가능한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는 각각의 사이드 아암(764, 766, 768, 770)이 네크부(756, 758)에서 피봇된 단부에서보다 더 넓은 프로파일을 생성하도록 도 29e에 도시하듯이 슬릿에서 휘어진다. 따라서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는 (슬릿 때문에) 내측으로 압축될 수 있고 이는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가 외측으로 스프링 작용할 수 있게 하며 이들 가압된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는 셀프-로킹 기구(742)를 형성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커넥터 브래킷(74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 10의 배열이 사용되며 이는 도 30에 도시되어 있지만, 핀 커넥터 조립체(600) 대신에, 커넥터 브래킷(740)은 연결 판(506)을 수직 보강재(300)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핀 커넥터 조립체(600)[및 구체적으로 핀 커넥터 브래킷(604)]와 마찬가지로, 커넥터 브래킷 레그 중 제 1 커넥터 브래킷 레그(782)는 상호 정합되거나 정렬되는 세장형 슬롯(1224a) 및 세장형 슬롯(310a)을 통해서 삽입되고, 돌출 결합 요소(778)는 중심 개구(1224b) 및 제 2 보조 리세스(310d)에 삽입된다. 커넥터 브래킷 레그(782) 및 돌출 결합 요소(778)의 치수는 움직임이 최소이도록 세장형 슬롯(1224a)과 세장형 슬롯(310a) 및 중심 개구(1224b)에 각각 딱맞게 끼워지도록 크기를 갖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동시에, 다른 커넥터 브래킷 레그(780)는 세장형 슬롯(1230a) 및 세장형 슬롯(316a)에 삽입되고 다른 돌출 결합 요소(776)는 중심 개구(1230b) 및 중간 천공부(316)의 제 2 보조 리세스(316d)에 삽입된다.
분리 가능한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의 슬릿까지 위로 네크부(756, 758)(도 30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의 높이 "H"는 연결 판(506)과 수직 보강재(300)의 조합된 두께 "T"에 적합하게 크기를 갖거나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합된 두께 "T"는 4.5mm 내지 6mm의 범위일 수 있고 네크부의 높이 "H"는 6.5mm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양호한 끼워맞춤에 대한 공차는 2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도 31a 내지 도 31c는 커넥터 브래킷(740)을 보강재(300) 및 연결 판(506)에 결합시키는 다양한 단계를 위로부터 도시하는 도 30의 단순화된 단면도이며, 두께(T)를 도시한다(도 31b 참조). 도 31a 내지 도 31c는 간명함을 위해 사이드 아암 부재 중 두 개(764a, 768a)만 도시하지만, 다른 사이드 아암 부재(766a, 770a)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브래킷 레그(780, 782)가 연결 판(506) 및 수직 보강재(300)의 천공부에 삽입됨에 따라(도 31a 및 도 31b 참조), 정렬된 세장형 슬롯(1224a) 및 세장형 슬롯(310a)의 크기는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8a)를 압축한다. 분리 가능한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8a)가 두께(T)를 제거하면, 약간 압축된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8a)는 도 31c에 도시되어 있듯이 외측으로 편향되어 수직 보강재(300)의 내표면 상에 캐치된다. 이런 식으로,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는 커넥터 브래킷(740)이 연결 판(506) 및 수직 보강재(300)에 로킹되거나 자체로 고정되는 동시에 이것들을 함께 결합시킬 수 있도록 압축성 또는 일방 캐치와 같이 기능한다.
커넥터 브래킷(740)은 핀 커넥터 조립체(600)와 달리 추가 커넥터 핀이 필요없고 그 결과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압축성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 형태의 셀프-로킹 기구(742)는 작동 및 고정하기에 용이한데, 이는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가 적소에 로킹되면 이들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보강재(300)의 내부에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보강재(300) 내로부터 이들 부품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커넥터 브래킷(740)과 핀 커넥터 조립체(600) 양자는 일 방향으로부터의 로킹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사이드 아암 부재(764a, 766a, 768a, 770a)는 도 31a 내지 도 31c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향으로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각각의 사이드 아암(764, 766, 768, 770)을 결합시키는 네크부(756, 758)는 각각의 천공부[즉 세장형 슬롯(1224a)과 세장형 슬롯(310a); 및 세장형 슬롯(1230a)과 세장형 슬롯(316a)]의 치수와 매칭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돌출 결합 요소(776, 778)와 함께 각각의 개구[즉 중심 개구(1224b)와 제 2 보조 리세스(310d); 및 중심 개구(1230b)와 제 2 이차 리세스(316d)]에 결합되고, 이것은 커넥터 브래킷(740)이 사용될 통상적인 스틸 등급 및 두께에서 600 kg 내지 750 kg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커넥터 브래킷(740)은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용도에 따라서, 두 개가 아닌 하나의 브래킷 레그(780 또는 782)로 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커넥터 브래킷(740)은 점진적 펀칭 또는 다른 공지된 금속 형성 공정을 사용하여 또한 실제로 지지 장치의 나머지 부품과 마찬가지로 일체의 용접 없이 한 장의 금속 시트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의 부품은 3D 프린팅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부품은 광범위한 용도를 갖는 것을 알아야 한다. 특히, 지지 장치(100), 행거 단부 판 조립체(200), 핀 커넥터 조립체(600) 및 커넥터 브래킷(740) 등은 벽 또는 기타 구조물을 일체의 벽 없이 지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부품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보호된 보행로, 간판 기둥 지지 구조물, 건물 구조물, 고속도로 방음벽, 래킹(racking) 지지 구조물, 파티션 지지 구조물, 가드레일 난간 및 울타리 등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핀 커넥터 조립체(600) 및 커넥터 브래킷(740)과 그 셀프-로킹 기구는 종래의 체결 수단(볼트 및 용접) 등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적용은 엄청나다.
이제 본 발명을 충분히 설명했으므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여러가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야 한다.

Claims (39)

  1. 지지 장치에 있어서,
    지지 구조물에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 일차 판(connector primary plate)을 갖는 커넥터 판, 및 상기 커넥터 일차 판과 일체로 형성되고 커넥터 일차 판으로부터 돌출하는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opposing side leg portions)을 포함하며; 상기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의 각각은 사이드 레그부를 세장형 지지 부재의 각각의 측벽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일차 판과 각각의 리테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다양한 크기의 복수의 지지 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 판은 상기 커넥터 일차 판과 상기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 사이의 상이한 연결부들에서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각각의 대향 사이드 레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판은 상기 복수의 지지 판의 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단부 스토퍼(end stopper)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 및 상기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로부터 이격 및 오프셋되는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를 구비하는
    지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 및 상기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의 각각은 대체로 T-형상의 결합 천공부를 형성하기 위해 중심 개구를 갖는 세장형 슬롯을 구비하는
    지지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측벽 결합 부재를 구비하는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각각의 측벽 결합 부재는 측벽 세장형 슬롯(side wall elongate slot)을 구비하고, 상기 측벽 세장형 슬롯은 측벽 세장형 슬롯으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리세스, 및 측벽 세장형 슬롯으로부터 상기 메인 리세스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제 2 및 제 3 보조 리세스를 갖는
    지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보조 리세스는 상기 측벽 세장형 슬롯의 단부 근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보조 리세스는 상기 메인 리세스와 바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지지 장치.
  9. 제 6 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칼럼 결합 천공부 및 상기 제 2 칼럼 결합 천공부의 위치는 정렬된 천공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벽 결합 부재의 위치와 매칭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세장형 슬롯은 정렬된 세장형 슬롯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벽 세장형 슬롯과 정합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중심 개구는 커넥터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정렬된 중심 개구들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측벽 보조 리세스 중 어느 하나와 정합하도록 배열되는
    지지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천공부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정렬된 세장형 슬롯들에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는 상기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도록 구성된 돌출 결합 요소, 및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의 각 측벽에 대해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고정하고 상기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로킹 기구(locking mechanism)를 구비하는
    지지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돌출 결합 부재와 상기 로킹 기구에 공통적인 네크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갖는 커넥터 브래킷을 구비하며, 상기 네크부는 상기 정렬된 세장형 슬롯들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자동 폐쇄식(self-locking)이며, 상기 로킹 기구는 상기 네크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압축성 캐치(compressible catch)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성 캐치는 압축성 캐치가 상기 정렬된 개구들을 통해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압축 위치와, 압축성 캐치가 두 개 이상의 부품에 로킹될 수 있게 하는 비압축 위치 사이에 구성되는
    지지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크기는 상기 대향 사이드 레그부들 중 하나와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의 각 측벽의 조합된 두께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는 상기 정렬된 세장형 슬롯들에 딱 맞게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출 결합 요소는 상기 정렬된 구멍들에 딱 맞게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지지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결합 요소는 절첩된 핑거 부재(folded finger member)를 구비하는
    지지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정렬된 천공부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핀 커넥터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핀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돌출 결합 요소를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구비하는 핀 커넥터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하나 이상의 충합 핀(abutment pin)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커넥터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을 갖는 핀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은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 및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이 변형되어 쐐기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 핀 커넥터 브래킷의 하나 이상의 개구에 삽입되어 돌출 결합 요소에 대해 충합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세장형 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을 슬리브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추가 세장형 부재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를 갖는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슬리브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판을 구비하는 하중 지지 커넥터(load bearing connector)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연결 판은 슬리브 부재로부터의 하중을 세장형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세장형 부재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는 립형 채널(lipped channel)을 연결 판에 대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 립형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립형 채널은 상호 접촉하는
    지지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판은 상기 슬리브 부재를 넘어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 판은 세장형 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 슬롯을 구비하는
    지지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를 지지될 벽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 부재(tie member)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타이 부재는 타이 보디(tie body), 상기 타이 보디로부터 돌출하는 대향 판 연장부들(opposing plate extensions), 및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의 측벽의 각 측벽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 러그를 가지며, 상기 돌출 러그 중 하나는 두 개의 다른 돌출 러그 사이에 등거리로 배치되는
    지지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세장형 지지 부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한 바인더 커넥터(binder connector)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 커넥터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연결부를 갖는 연속 바인더 보디(continuous binder body)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 중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 중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2 연결부 공간을 갖는
    지지 장치.
  23. 하중 지지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에 인가되는 하중을 슬리브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를 갖는 슬리브 부재; 및
    상기 슬리브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 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판은 슬리브 부재로부터의 하중을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에 전달하기 위해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에 연결될 수 있는
    하중 지지 커넥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대향 아암 부재는 립형 채널을 연결 판에 대해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두 개의 대향 립형 채널을 구비하며, 상기 립형 채널은 상호 접촉하는
    하중 지지 커넥터.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판은 슬리브 부재를 넘어서 연장되며, 상기 연결 판은 제 2 세장형 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 슬롯을 구비하는
    하중 지지 커넥터.
  26. 두 개 이상의 부품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각 천공부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는 상기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도록 구성된 돌출 결합 요소,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두 개 이상의 부품에 고정하고 두 개 이상의 부품을 함께 결합하기 위한 로킹 기구를 구비하는
    커넥터.
  27. 제 26 항에 있어서,
    돌출 결합 부재와 로킹 기구에 공통적인 네크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를 갖는 커넥터 브래킷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네크부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각 천공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기구는 자동 폐쇄식이며, 상기 로킹 기구는 네크부를 넘어서 연장되는 압축성 캐치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성 캐치는 압축성 캐치가 두 개 이상의 부품의 각 천공부를 통해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압축 위치와, 압축성 캐치가 두 개 이상의 부품에 로킹될 수 있게 하는 비압축 위치 사이에 구성되는
    커넥터.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크기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조합된 두께에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와 상기 돌출 결합 요소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의 각 천공부에 딱 맞게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1. 제 27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결합 요소는 폴더 핑거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3. 제 26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브래킷 레그를 구비하는 핀 커넥터 브래킷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브래킷 레그는 돌출 결합 요소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 부재는 두 개의 브래킷 레그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각각의 충합 핀을 수용하기 위한 두 개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돌출 결합 요소는 각각의 핀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색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34. 핀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제 33 항에 따른 핀 커넥터 브래킷과,
    하나 이상의 브래킷 레그 및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이 변형되어 쐐기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에 삽입되어 돌출 결합 요소에 대해 충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충합 핀을 갖는 핀 커넥터를 포함하며,
    변형된 브래킷 레그는 충합 핀과 협력하여 로킹 기구를 형성하는
    핀 커넥터 조립체.
  35. 세장형 지지 부재를,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될 벽에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타이 부재에 있어서,
    상기 타이 부재는,
    타이 보디;
    상기 타이 보디로부터 돌출하는 대향 판 연장부들; 및
    상기 세장형 지지 부재의 측벽의 각각의 측벽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돌출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러그 중 하나는 두 개의 다른 돌출 러그 사이에 등거리로 배치되는
    타이 부재.
  36. 제 35 항에 있어서,
    세 개의 돌출 러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다른 돌출 러그는 대향 판 연장부들의 각 단부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되는
    타이 부재.
  37. 두 개의 세장형 지지 부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한 바인더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연결부를 갖는 연속 바인더 보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세장형 지지 부재 중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를 제 1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1 연결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 2 연결부는 세장형 지지 부재 중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 2 연결부 공간을 갖는
    바인더 커넥터.
  38.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를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에 바인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바인더 커넥터 및 제 2 바인더 커넥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바인더 커넥터는 제 37 항에 따른 것이며,
    상기 제 1 바인더 커넥터의 제 1 연결부는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를 포위하기 위해 제 2 바인더 커넥터의 제 2 연결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바인더 커넥터의 제 2 연결부는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를 포위하여 제 1 및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를 함께 바인딩하기 위해 제 2 바인더 커넥터의 제 1 연결부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바인딩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각각은 제 1 측벽, 제 2 측벽, 상기 제 1 측벽에 대향하는 제 3 측벽, 및 상기 제 2 측벽에 대향하는 제 4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바인딩 방법은,
    상기 제 1 바인더 커넥터를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1 측벽에,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2 측벽 및 제 3 측벽 주위에, 그리고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4 측벽 주위에 부착하고, 상기 제 1 바인더 커넥터를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3 측벽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바인더 커넥터를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3 측벽에, 제 2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2 측벽 및 제 1 측벽 주위에, 그리고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4 측벽 주위에 부착하고, 상기 제 2 바인더 커넥터를 제 1 세장형 지지 부재의 제 1 측벽에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바인딩 방법.
KR1020187014184A 2015-10-21 2016-10-06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KR102666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0201508699YA SG10201508699YA (en) 2015-10-21 2015-10-21 Wall support apparatus and its components
SG10201508699Y 2015-10-21
PCT/SG2016/050491 WO2017069698A1 (en) 2015-10-21 2016-10-06 Support apparatus and its compon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729A true KR20180074729A (ko) 2018-07-03
KR102666391B1 KR102666391B1 (ko) 2024-05-14

Family

ID=5855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184A KR102666391B1 (ko) 2015-10-21 2016-10-06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20180313077A1 (ko)
EP (2) EP4245935A3 (ko)
JP (1) JP2018532921A (ko)
KR (1) KR102666391B1 (ko)
CN (2) CN108291396B (ko)
AR (1) AR106420A1 (ko)
AU (1) AU2016343243A1 (ko)
BR (1) BR112018007910B1 (ko)
CA (1) CA3002131A1 (ko)
CL (1) CL2018000995A1 (ko)
CO (1) CO2018004992A2 (ko)
EA (2) EA037901B1 (ko)
EC (1) ECSP18037190A (ko)
ES (1) ES2954988T3 (ko)
HK (1) HK1251631A1 (ko)
HU (1) HUE063832T2 (ko)
IL (1) IL258600A (ko)
MX (2) MX2018004872A (ko)
PE (1) PE20181101A1 (ko)
PH (1) PH12018500811A1 (ko)
PL (1) PL3365505T3 (ko)
SG (2) SG10201508699YA (ko)
TW (2) TWI725063B (ko)
UY (1) UY36956A (ko)
WO (1) WO2017069698A1 (ko)
ZA (1) ZA20180305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493B1 (ko) * 2020-02-21 2021-08-05 김승일 조립식 기둥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5976B2 (ja) * 2018-09-27 2021-12-01 ヒロホー株式会社 搬送容器
US11795683B2 (en) 2019-12-16 2023-10-24 Falkbuilt Ltd. Drop-in ceiling wall system
US11332924B2 (en) 2019-12-16 2022-05-17 Falkbuilt Ltd. End brackets
CN115398068B (zh) * 2020-10-27 2024-03-12 黄盛� 壁接头及用机械连接器形成壁接头的方法和系统
CA3156123A1 (en) 2021-07-12 2023-01-12 Falkbuilt Ltd. Hybrid wall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2321A1 (en) * 2002-05-16 2003-12-11 Dyntek Pte Ltd. A support member system
WO2007032746A1 (en) * 2005-09-16 2007-03-22 Dyntek Pte Ltd A support member assembly
CN201395873Y (zh) * 2009-04-27 2010-02-03 南京工业大学 复合材料或复合木材中间层梁柱高强度连接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8175A (en) * 1971-06-04 1973-12-11 E Zimmer Snap locking structural joint assembly
US4075924A (en) * 1976-05-14 1978-02-28 Mechanical Plastics Corporation Anchor assembly for fastener
ZA822552B (en) * 1981-04-22 1983-03-30 Dexion Comino Int Ltd Framework connection means
FR2518192B1 (fr) * 1981-12-10 1985-09-27 Mouza Ets Dispositif d'assemblage de deux pieces, telles que deux profiles realises par exemple en alliage leger
JPS6351539A (ja) * 1986-08-19 1988-03-04 川鉄建材工業株式会社 構造部材の接合装置
US5028186A (en) * 1990-01-29 1991-07-02 Mechanical Plastics Corp. Hollow wall anchor with enhanced holding strength
US5937608A (en) * 1993-05-26 1999-08-17 Kucirka; Mark J. Joist bridging
US5590974A (en) * 1995-05-30 1997-01-07 Yang; Tian-Show Assembling connector structure
AU7356598A (en) * 1998-04-27 1999-11-16 Dyntek Pte Ltd A support member
US8387321B2 (en) * 2002-03-12 2013-03-05 The Steel Network, Inc.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components
GB0223511D0 (en) * 2002-10-10 2002-11-13 Ancon Ccl Ltd Steel frame tie
DE202005005425U1 (de) * 2005-04-05 2005-06-16 Karl Pedross Ag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Abschlußleisten
CA2604539A1 (en) * 2005-04-12 2007-03-08 Orava Applied Technologies Corporation Responsive structural elements
TW200900563A (en) * 2007-06-20 2009-01-01 Topline System Engineering Co Ltd Assembled type ceiling suspending beam set
WO2009073914A1 (en) * 2007-12-13 2009-06-18 Aydin Ongan A structure and components therefor
CN201386332Y (zh) * 2009-01-19 2010-01-20 北京北方空间钢结构有限公司 C型钢连接件
WO2010151539A1 (en) * 2009-06-22 2010-12-29 Barnet Liberman Modular building system for constructing multi-story buildings
CN103189583A (zh) * 2010-09-24 2013-07-03 仁伊私人有限公司 用于支撑构件总成的负载转移连接器
CN203581755U (zh) * 2013-09-22 2014-05-07 梁运勋 一种新型货架
CN203701401U (zh) * 2013-12-18 2014-07-09 江苏标榜装饰新材料股份有限公司 网架吊顶的四通连接结构
CN103696523B (zh) * 2013-12-18 2016-01-06 江苏标榜装饰新材料股份有限公司 网架吊顶的三通连接结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2321A1 (en) * 2002-05-16 2003-12-11 Dyntek Pte Ltd. A support member system
WO2007032746A1 (en) * 2005-09-16 2007-03-22 Dyntek Pte Ltd A support member assembly
CN201395873Y (zh) * 2009-04-27 2010-02-03 南京工业大学 复合材料或复合木材中间层梁柱高强度连接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493B1 (ko) * 2020-02-21 2021-08-05 김승일 조립식 기둥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1631A1 (zh) 2019-02-01
EA201890997A1 (ru) 2018-10-31
BR112018007910B1 (pt) 2023-10-17
ZA201803051B (en) 2019-07-31
MX2018004872A (es) 2019-02-14
BR112018007910A8 (pt) 2022-08-23
IL258600A (en) 2018-06-28
ECSP18037190A (es) 2018-07-31
EP3365505C0 (en) 2023-06-07
BR112018007910A2 (pt) 2018-10-30
AR106420A1 (es) 2018-01-10
SG11201802909XA (en) 2018-05-30
SG10201508699YA (en) 2017-05-30
US20180313077A1 (en) 2018-11-01
CN112726934A (zh) 2021-04-30
EA202190548A1 (ru) 2021-08-31
AU2016343243A1 (en) 2018-05-24
WO2017069698A1 (en) 2017-04-27
EP4245935A2 (en) 2023-09-20
EP3365505A4 (en) 2020-02-12
EP3365505A1 (en) 2018-08-29
CN108291396A (zh) 2018-07-17
HUE063832T2 (hu) 2024-02-28
TWI796652B (zh) 2023-03-21
KR102666391B1 (ko) 2024-05-14
TW201720997A (zh) 2017-06-16
ES2954988T3 (es) 2023-11-28
CO2018004992A2 (es) 2018-07-31
TW202126883A (zh) 2021-07-16
EP4245935A3 (en) 2023-12-27
CN108291396B (zh) 2021-02-19
CN112726934B (zh) 2022-12-06
EP3365505B1 (en) 2023-06-07
PL3365505T3 (pl) 2023-10-23
EA037901B1 (ru) 2021-06-03
PE20181101A1 (es) 2018-07-12
MX2022014098A (es) 2023-04-14
CA3002131A1 (en) 2017-04-27
UY36956A (es) 2017-05-31
JP2018532921A (ja) 2018-11-08
CL2018000995A1 (es) 2018-07-20
TWI725063B (zh) 2021-04-21
PH12018500811A1 (en) 201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4729A (ko) 지지 장치 및 그 부품
AU2002328693B2 (en) Hollow interconnecting panels as lost formwork
US8074416B2 (en) Structural members with gripping features and joining arrangements therefor
US7117647B2 (en) System for constructing log structures
WO2000071827A1 (en) Structural members and joining arrangements therefor
KR102069667B1 (ko) 개별 쐐기편 밀착 수단이 구비된 가압식 커플러
JP5798593B2 (ja) 天井下地材及び天井構造
KR100341363B1 (ko) 스틸하우스의 프레임 및 프레임의 결합구조
DE4428412A1 (de) Haltebügel für Schalungen
JP4478514B2 (ja) 木造建築用連結金物
GB2273824A (en) Cable Ladder
JP6717571B2 (ja) 腰壁パネル固定構造
JP2006291459A (ja) 鋼とコンクリートとの合成構造軸部材
KR20180113776A (ko) 조인트 클립이 결합된 프로파일 어셈블리 및 프로파일 어셈블리 결합용 조인트 클립
KR100510776B1 (ko) 흙막이 공사에 사용되는 아치형 흙막이 패널 및 설치방법
US20040118074A1 (en) Construction anchoring devices
RU48551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JP3831244B2 (ja) 横架材の接合装置
JP3650922B2 (ja) 建築用金属枠の接合構造
JP2006132104A (ja) リップみぞ形鋼材の補強構造体
KR100829077B1 (ko) 보강 데크 플레이트
KR20210068834A (ko) 경량철골용 사각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사각 파이프 연결방법
JPS609344Y2 (ja) 面格子の組立構造
JP2021055398A (ja) 継手材及び杭の継手構造
JPH04105307U (ja) 壁下地の建具枠廻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