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402A - 축전 소자 - Google Patents

축전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402A
KR20120075402A KR1020110143078A KR20110143078A KR20120075402A KR 20120075402 A KR20120075402 A KR 20120075402A KR 1020110143078 A KR1020110143078 A KR 1020110143078A KR 20110143078 A KR20110143078 A KR 20110143078A KR 20120075402 A KR20120075402 A KR 20120075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resin member
storage element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883B1 (ko
Inventor
노부유키 나가나와
신스케 요시타케
준 나카무라
마사카즈 쓰쓰미
가쓰히코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2007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결하게 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지 부재의 신규 고착 구조를 구비한 축전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는 수지 부재로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대향하는 접합면을 가지는 수지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부재는, 무기(無機)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부재이며, 적어도 상기 접합면에 상기 무기 섬유가 노출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접착된다.

Description

축전 소자{STORAGE ELEMENT}
본 발명은, 외부 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자동차, 자동 이륜차 등)이나 각종 기기(휴대 단말기, 노트북형 PC 등)의 동력원으로서 전지(리튬 이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등)나 커패시터(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과 같은 방충전 가능한 축전 소자가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전지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개구부를 막는 커버판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그리고, 외부 단자가 커버판의 외면에 배치되고, 집전체(集電體)가 발전 요소에 접속되고, 상기 집전체가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외부 단자와 집전체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외부 단자와 발전 요소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외부 단자와 집전체를 접속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외부 단자와 집전체가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외부 단자와 집전체가 보조 단자 및 접속 도체(導體)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방법이다.
전자의 방법에서는, 보디부(body portion), 상기 보디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코킹부(caulking portion), 및 상기 보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수나사부로 구성되는 외부 단자가 사용된다. 그리고, 봉지(封止) 부재를 통하여 커버판의 외면에 외부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외부 단자의 코킹부가 케이스 내의 집전체의 관통공(貫通孔)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코킹부의 선단(先端) 부분이 아래쪽으로부터 코킹된다. 이로써, 외부 단자와 집전체가 직접적으로 접속된다(특허 문헌 1: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357833호 공보).
후자의 방법에서는, 보디부, 상기 보디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코킹부, 및 상기 보디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코킹부에 의해 구성되는 보조 단자와,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수나사부로 구성되는 외부 단자와, 보조 단자의 제2 코킹부, 외부 단자의 수나사부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접속 도체가 사용된다. 그리고, 봉지 부재를 통하여 커버판의 외면에 보조 단자가 배치되고, 상기 보조 단자의 제1 코킹부가 케이스 내의 집전체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제1 코킹부의 선단 부분이 아래쪽으로부터 코킹된다. 또한, 봉지 부재를 통하여 커버판의 외면에 외부 단자가 배치되고, 보조 단자의 제2 코킹부와 외부 단자의 수나사부가 접속 도체의 삽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제2 코킹부의 선단 부분이 위쪽으로부터 코킹된다. 이로써, 외부 단자와 집전체가 보조 단자 및 접속 도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된다(특허 문헌 2: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346774호 공보).
그리고, 어느 방법에서도, 외부 기기의 리드선의 압착 단자가 외부 단자의 수나사부에 끼워져서, 상기 수나사부에 너트가 체결된다. 이로써, 리드선의 압착 단자가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외부 기기가 전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후자의 방법에 의하면, 외부 단자와 보조 단자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너트가 체결될 때 외부 단자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torque)가 보조 단자에 전달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보조 단자가 회전하지 않고, 보조 단자의, 집전체의 접속부와의 코킹이 열화되지 않아, 접속이 잘못되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이 점에서, 후자의 방법은, 전자의 방법보다 우수하다.
그러나, 후자의 방법에서도, 너트가 체결될 때 외부 단자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가 봉지 부재에 직접 가해진다. 그러므로, 봉지 부재에 의한 봉지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봉지 부재와는 별도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가 설치되고, 외부 단자가 이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를 통하여 커버판의 외면에 배치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10-97764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봉지 부재[특허 문헌 1에서는 "상부 패킹판(6)"]나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봉지 부재[특허 문헌 2에서는 "절연 봉지 재(7)"]뿐만 아니라, 상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특허 문헌 3에서는 "회전 고정 부재(10)"]도, 너트가 체결될 때 외부 단자의 회전 규제를 행하므로, 외부 단자로부터 회전 토크를 받게 된다. 따라서, 이들 봉지 부재나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어느 쪽도 수지제이므로, 총칭하여 "수지 부재"라고 함)는, 커버판의 외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 단자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이길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특허 문헌 3에서는, 커버판의 외면에서의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의 고착 위치의 금속면이 미세한 요철면으로 되도록 가공되고, 이것을 에워싸도록 금형(金型)이 배치되고, 용융된 수지가 흘러들어가 고체화되어,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가 성형되는 방법이나,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가 커버판의 외면에 직접 사출 성형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단락 0036 참조).
그러나, 이들 방법은, 작업 공정이 복잡하며, 비용이 드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커패시터(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1-357833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03-346774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2010-97764호 공보
이에, 본 발명은, 간결하게 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수지 부재의 신규 고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는,
발전 요소와,
상기 발전 요소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는 수지 부재로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대향하는 접합면을 가지는 수지 부재와,
상기 수지 부재에 지지되고,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단자를 구비하고, 수지 부재는, 무기(無機)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부재이며, 적어도 접합면에 무기 섬유가 노출된 상태로, 케이스의 외면에 접착된다.
그 중에서, 제1 양태에 따른 축전 소자로서,
케이스의 외면에 배치되는 봉지 부재로서,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대향하는 접합면을 가지는 봉지 부재와,
상기 봉지 부재에 지지되는 보조 단자로서, 케이스의 내외를 관통하고,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단자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제2 양태에 따른 축전 소자로서,
수지 부재는, 봉지 부재이며,
외부 단자와 함께 봉지 부재에 지지되는 보조 단자로서, 케이스의 내외를 관통하고,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외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단자를 추가로 구비한다.
또한, 제3 양태에 따른 축전 소자로서,
수지 부재는, 봉지 부재이며,
외부 단자는, 케이스의 내외를 관통하고, 발전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수지 부재와는 별도로 봉지 부재가 설치되는 경우(제1 양태에 따른 축전 소자의 경우), 수지 부재는, 봉지 부재보다 경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의 일 양태로서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의 소정 영역에, 수지 부재의 접합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비원형상(非圓形狀)의 오목부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의 다른 양태로서,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의 소정 영역에, 봉지 부재의 접합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비원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 부재와 봉지 부재는, 서로 근접 배치되고, 봉지 부재용 오목부의 면적은, 수지 부재용의 오목부의 면적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의 별도의 양태로서,
수지 부재는, 주위둘레형의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 내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외부 단자는, 수지 부재의 오목부 내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軸部)를 구비하고,
수지 부재의 외벽부는, 수지 부재의 오목부가 외부 단자의 헤드부를 전체적 내지 거의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높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의 다른 별도의 태양으로서, 외부 단자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는, 수나사부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의 별도의 태양으로서, 수지 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케이스의 외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전지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상기 전지의 단자부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기 단자부를 위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상기 단자부를 아래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의 일실시예인 전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는, 비수(非水) 전해질 2차 전지, 더욱 상세하게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는,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와, 상기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를 막아 밀폐하는 커버판(3)으로 구성되는 케이스(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버판(3)에는, 케이스(1) 내에 수납된 발전 요소(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 구조(9)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의 케이스 본체(2) 및 커버판(3)은, 알루미늄 합금이나 강철 등의 금속 부재이다. 케이스 본체(2)는, 타원 통형상으로 된 권취형 발전 요소(4)를 수납하기 위하여, 폭 방향으로 편평한, 바닥이 있는 각통체(角筒體)이다. 커버판(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에 대응한 직사각형상의 판재이다. 커버판(3)은, 케이스 본체(2)의 개구부에 끼워넣어져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밀폐 고정되어 있다.
발전 요소(4)는, 밴드형의 양극 시트(5)와 밴드형의 음극 시트(6)를, 그 사이에 밴드형의 세퍼레이터(separator)(7)를 끼운 상태에서, 좌우의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우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타원이 되는 타원 통형상으로 권취한 것이다. 발전 요소(4)는, 절연성 시트로 형성된 절연 커버(도시하지 않음)로 전체가 덮히고, 케이스(1)와 절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 내에 수납되어 있다. 양극 시트(5)는, 알루미늄박(箔)의 표면에 양극 활물질을 담지(擔持)시킨 것이다. 음극 시트(6)는, 동박의 표면에 음극 활물질을 담지시킨 것이다. 양극 시트(5) 및 음극 시트(6)는, 각각 좌우의 이동 방향의 끝둘레부에, 활물질 미도포부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발전 요소(4)의 좌우의 단부(端部)에서는, 알루미늄박과 동박이 노출되어, 이들 전극의 금속박이 권취된 권취 다발 상태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발전 요소(4)의 좌우의 단부에 노출된 금속박에는, 각각 집전체(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집전체(8)는, 상하로 장척(長尺)인 도전성 금속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 집전체(8)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음극 집전체(8)는, 동 또는 동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집전체(8)의 상부는, 수평으로 절곡되어 접속부(8a)가 된다. 상기 접속부(8a)보다 아래쪽의 부분은, 전후에 두 갈래로 나누어져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 갈래로 나누어진 부분은, 발전 요소(4)의 단부와 함께, 도시하지 않은 협지판(挾持板)에 끼워져, 초음파 용접 등에 의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단자 구조(9)는, 양극 단자 구조(9)와 음극 단자 구조(9)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단자 구조(9)는, 도 5?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판(3)의 좌우의 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3a)이 안과 밖 사이에서 끼워지도록 배치된 수지 플레이트(10) 및 외부 개스킷(11)과, 상기 수지 플레이트(10) 및 외부 개스킷(11)을 통하여 관통공(3a)에 삽통(揷通)되고, 집전체(8)의 접속부(8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벳(12)과, 외부 개스킷(11)에 근접하여 배치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와, 상기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를 통하여 커버판(3)의 외면에 배치된 단자 볼트(14)와, 상기 단자 볼트(14)와 리벳(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판(15)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케이스(1) 내의 발전 요소(4)와 단자 볼트(14)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수지 플레이트(10), 외부 개스킷(11) 및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수지제이므로, 수지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수지 플레이트(10), 외부 개스킷(11) 및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절연 기능을 가지므로, 절연 부재에 상당한다. 특히, 외부 개스킷(11)은[경우에 따라, 수지 플레이트(10)도], 봉지 기능도 가지므로, 봉지 부재에도 상당한다. 리벳(12)은, 보조 단자에 상당한다. 단자 볼트(14)는, 외부 단자에 상당한다. 접속판(15)은, 접속 도체에 상당한다.
수지 플레이트(10)는, 적어도 절연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지 플레이트(10)에는,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가 사용된다. 단, 재질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수지 플레이트(10)는, 직사각형상이다. 수지 플레이트(10)의 하면에는, 집전체(8)의 접속부(8a)를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수지 플레이트(10)는, 이 오목부(10a)가 집전체(8)의 접속부(8a)를 받아들인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8a)에 형성된 관통공(8b)과 일치하는 관통공(10b)을 가지고 있다.
외부 개스킷(11)은, 절연성과 봉지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개스킷(11)에는,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가 사용된다. 단, 재질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외부 개스킷(11)은, 리벳(12)의 보디부(12a)보다 한층 큰 직사각형이다. 외부 개스킷(11)은, 외주부를 제외하고 상면을 파이게 하여, 외주에, 주위둘레형의 외벽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개스킷(11)은, 외벽부(11a) 내에, 리벳(12)의 보디부(12a)를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11b)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 개스킷(11)은, 이 오목부(11b)가 리벳(12)의 보디부(12a)를 받아들인 상태에서, 상기 리벳(12)의 제1 코킹부(12b)를 삽통 가능한 관통공(11c)을 가지고 있다. 외부 개스킷(11)의 하면에는, 커버판(3)의 관통공(3a)을 삽통하여 수지 플레이트(10)의 관통공(10b)에 삽입되는 환형(環形) 볼록부(11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지 플레이트(10)는, 커버판(3)의 하면(내면)에 배치되는 결과, 케이스(1) 내에 배치된다. 외부 개스킷(11)은, 커버판(3)의 상면(외면)에 배치되는 결과, 케이스(1)의 외면에 배치된다. 커버판(3)의 상면 중, 외부 개스킷(11)이 배치되는 영역에는, 외부 개스킷(11)의 하부[브릿지(bridge)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비원형상의 오목부(제1 오목부)(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외부 개스킷(11)의 하부[커버판(3)과의 접합면]가 제1 오목부(3b)에 삽입됨으로써, 외부 개스킷(11)은, 그 축 주위에서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오목부(3b)는, 직사각형인 외부 개스킷(11)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오목부(3b)는, 예를 들면, 코이닝(coining)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리벳(12)은, 도전성 금속 부재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극의 리벳(12)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음극의 리벳(12)은, 동 또는 동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리벳(12)의 보디부(12a)의 하면으로부터 제1 코킹부(12b)가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벳(12)의 보디부(12a)의 상면으로부터 제2 코킹부(12c)가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코킹부(12b)는 중공(中空)(통형)이며, 제2 코킹부(12c)는 중실(中實)(기둥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코킹부(12b)는 원통형이며, 제2 코킹부(12c)는 원기둥형이다. 단, 형상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판(3)의 관통공(3a), 집전체(8)의 접속부(8a)의 관통공(8b), 수지 플레이트(10)의 관통공(10b), 외부 개스킷(11)의 관통공(11c) 및 환형 볼록부(11d), 리벳(12)의 제1 코킹부(12b)의 치수 관계를 설명한다. 도 5에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판(3)의 관통공(3a)의 내경과 수지 플레이트(10)의 관통공(10b)의 내경은,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커버판(3)의 관통공(3a)의 내경이나, 수지 플레이트(10)의 관통공(10b)의 내경과, 외부 개스킷(11)의 환형 볼록부(11d)의 외경은,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외부 개스킷(11)의 환형 볼록부(11d)의 길이와, 커버판(3) 및 수지 플레이트(10)의 두께의 합계는,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외부 개스킷(11)의 환형 볼록부(11d)의 내경과 집전체(8)의 접속부(8a)의 관통공(8b)은,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외부 개스킷(11)의 환형 볼록부(11d)의 내경이나, 집전체(8)의 접속부(8a)의 관통공(8b)과, 리벳(12)의 제1 코킹부(12b)의 외경은,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다. 또한, 리벳(12)의 제1 코킹부(12b)의 길이와 커버판(3), 집전체(8)의 접속부(8a), 수지 플레이트(10) 및 외부 개스킷(11)의 두께의 합계는, 동일 내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리벳(12)의 보디부(12a)가 외부 개스킷(11)의 오목부(11b)에 삽입되고, 리벳(12)의 제1 코킹부(12b)가 상기 오목부(11b)의 바닥면의 관통공(11c)을 통과하여 집전체(8)의 접속부(8a)의 관통공(8b)에 삽통되고, 상기 접속부(8a)의 관통공(8b)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제1 코킹부(12b)의 선단 부분이 아래쪽으로부터 코킹된다. 이로써, 리벳(12)은, 집전체(8)의 접속부(8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커버판(3)으로부터 절연된 상태로, 커버판(3)에 장착된다.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수지 플레이트(10)나 외부 개스킷(11)과 마찬가지로, 절연성을 구비한 합성 수지 부재이다. 단,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에는, 수지 플레이트(10)나 외부 개스킷(11)보다 경도를 높이기 위하여, 예를 들면,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에 유리 섬유를 필러(filler)로 형성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강화 수지 재료가 사용된다. 또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대신, 4F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FA)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유리 섬유 이외의 무기 섬유라도 된다. 단, 재질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단,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절연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케이스(1)의 재질로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되는 경우, 양극의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를 비절연성으로 함으로써, 양극의 전위와 케이스(1)의 전위를 일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케이스(1)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의 재질로서 철이나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되는 경우, 음극의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를 비절연성으로 함으로써, 음극의 전위와 케이스(1)의 전위를 일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양극 또는 음극의 전위와 케이스(1)의 전기를 일치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에 필러 외에 도전성의 물질(예를 들면, 카본)을 혼합하여, 반도체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보다 한층 큰 직사각형이다.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외주부를 제외하고 상면을 파이게 하여, 외주에, 주위둘레형의 외벽부(13a)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외벽부(13a) 내에,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를 받아들일 수 있는 오목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오목부(13b) 내에, 비원형상의 끼워맞춤 볼록부(13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오목부(13b)가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를 받아들인 상태에서, 끼워맞춤 볼록부(13c)는,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에 형성된 비원형상의 끼워맞춤 오목부(끼워맞춤 오목홈)(14c)에 끼워넣어진다. 따라서, 오목부(13b) 내의 끼워맞춤 볼록부(13c)[즉, 오목부(13b) 내에 있어서, 외벽부(11a)의 상단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끼워맞춤 볼록부(13c)]가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의 끼워맞춤 오목부(14c) 내에 끼워넣어져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단자 볼트(14)가 그 축 주위에서의 회전을 규제된 상태로 받아들인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 볼트(14)의 끼워맞춤 오목부(14c)는, 헤드부(14a)가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 노치된 직사각형이다. 그리고,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끼워맞춤 볼록부(13c)는, 직사각형인 끼워맞춤 오목부(14c)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에는, 비원형상의 볼록부(13d)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볼록부(13d)는, 직사각형의 볼록면(융기면)이다. 그리고, 커버판(3)의 상면 중,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배치되는 영역에는,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볼록부(13d)를 받아들일 수 있는 비원형상의 오목부(제2 오목부)(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볼록부(13d)가 제2 오목부(3c)에 삽입됨으로써, 외부 개스킷(11)과 마찬가지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그 축 주위에서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오목부(3c)는, 직사각형인 볼록부(13d)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오목부(3c)는, 예를 들면, 코이닝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커버판(3)의 상면에 배치될 때,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볼록부(13d)의 표면을 포함함)이 적절한 수단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에 유리 섬유가 노출되도록 한다. 적절한 수단으로서는,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을 기계적으로 절삭하는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줄 등으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의 표면을 절삭하면, 유리 섬유가 노출된다. 이어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의 볼록부(13d)가 커버판(3)의 상면의 제2 오목부(3c)에 끼워넣어져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커버판(3)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 커버판(3)에 대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고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커버판(3)의 상면[특히, 제2 오목부(3c)] 및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적절한 접착 수단(접착 필름, 액상 접착제, 고체상 접착제 등)이 공급되고, 상기 접착 수단을 통하여 커버판(3)에 대하여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접착제로서는, 일반적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에폭시 수지계의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는,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와의 접착성에 뒤떨어지지만, 무기 섬유와의 접착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에 유리 섬유가 노출되는 것에 의해,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커버판(3)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단자 볼트(14)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단자 볼트(14)는, 철이나 스테인레스강, 크롬몰리브덴강 등의 강, 그 외 강도가 높은 도전성 금속 부재이다. 단자 볼트(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오목부(13b) 내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 헤드부(14a)와, 상기 헤드부(14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외주에 수나사가 각설(刻設)된 축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4a)의 하면에는, 비원형상의 끼워맞춤 오목부(끼워맞춤 오목홈)(14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볼트(14)는, 오목부(13b) 내의 끼워맞춤 볼록부(13c)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14c) 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커버판(3)으로부터 절연되고, 또한 축부(14b)의 축 주위에서의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에 지지되어 있다.
접속판(15)은, 동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도전성 금속 부재이다. 접속판(15)의 표면에는, 녹을 방지하는 것 외에, 미끄러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니켈 도금이 행해져 있다. 접속판(15)의 일단부에는, 제1 관통공(15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제2 관통공(15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관통공(15a)에는, 리벳(12)의 제2 코킹부(12c)가 삽통된다. 제2 관통공(15b)에는, 단자 볼트(14)의 축부(14b)가 삽통된다. 그리고, 리벳(12)의 제2 코킹부(12c) 중, 접속판(15)의 제1 관통공(15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선단 부분이 위쪽으로부터 코킹된다. 이로써, 리벳(12)과 접속판(15)이 일체화된다.
그리고, 단자 볼트(14)는, 그 축부(14b)가 접속판(15)의 제2 관통공(15b)에 삽통될 뿐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외부 기기의 리드선의 압착 단자가 단자 볼트(14)의 축부(14b)에 끼워지고, 단자 볼트(14)의 축부(14b)에 너트가 체결되면, 단자 볼트(14)는 약간 들려 올라가, 헤드부(14a)의 상면이 접속판(15)의 하면에 압접(壓接)한다. 이로써,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b)와 너트와의 사이에서 리드선의 압착 단자가 접속판(15)과 함께 협지된다. 이로써, 압착 단자와 단자 볼트(14)와 접속판(15)이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리드선의 압착 단자는,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 외부 개스킷(11) 및 수지 플레이트(10)에 의해 커버판(3)으로부터 절연된, 단자 볼트(14), 접속판(15), 리벳(12) 및 집전체(8)를 통하여, 발전 요소(4)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외부 기기와 전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의 끼워맞춤 오목부(14c)가 커버판(3)의 상면에 고정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오목부(13b) 내의 끼워맞춤 볼록부(13c)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너트가 단자 볼트(14)의 축부(14b)에 체결되는 것에 의해 함께 회전하고자 하는 단자 볼트(14)는, 확실하게 회전이 규제된다. 그리고, 이 때,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의 끼워맞춤 오목부(14c)와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오목부(13b) 내의 끼워맞춤 볼록부(13c)와의 사이에 다소 간극이 생기더라도, 단자 볼트(14)가 어느 정도의 각도만 공전(空轉)할 뿐이므로, 특별히 지장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때,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단자 볼트(14)의 회전 규제를 행하므로, 단자 볼트(14)로부터 회전 토크를 받게 된다. 그러나,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은, 유리 섬유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커버판(3)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로써,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커버판(3)과의 마찰 저항이 향상된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단자 볼트(14)로부터의 회전 토크에 의해 단자 볼트(14)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확실하게 회전이 규제된다. 그리고, 전술한 효과는, 커버판(3)의 상면의 제2 오목부(3c)와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의 볼록부(13d)가 요철(凹凸)로 끼워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더욱 현저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판(3)의 상면[특히, 제2 오목부(3c)] 및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접착 수단(접착제 등)이 공급되고,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접착 수단에 의해 커버판(3)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 규제가 더욱 확실하게 된다.
그리고, 단자 볼트(14)의 축부(14b)(수나사부)의 둘레 길이가 짧은 경우, 즉 단자 볼트(14)의 축부(14b)의 직경이 작은 경우,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재질로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PPS) 등의 합성 수지가 단독으로 사용되면, 단자 볼트(14)로부터의 회전 토크에 견뎌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유리 섬유 등의 무기 섬유가 합성 수지에 혼합됨으로써,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이뿐만 아니라, 비용 절감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커버판(3) 상에서 외부 개스킷(11)과는 분리되어 있으므로, 리벳(12)의 봉지를 행하는 외부 개스킷(11)에 회전 토크가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외부 개스킷(11)에 예상 외의 힘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외부 개스킷(11)에 의한 봉지{구체적으로는, 외부 개스킷(11)의 하면과 커버판(3)의 상면[제1 오목부(3b)의 상면]과의 사이의 봉지, 외부 개스킷(11)의 환형 볼록부(11d)의 외주면과 커버판(3)의 관통공(3a)의 내주면 및 수지 플레이트(10)의 관통공(10b)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봉지, 외부 개스킷(11)의 환형 볼록부(11d)의 내주면과 리벳(12)의 제1 코킹부(12b)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봉지}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또한, 단자 볼트(14)의 축부(14b)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는, 단자 볼트(14)와는 분리된 리벳(12)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리벳(12)가 회전함으로써, 리벳(12)의, 집전체(8)의 접속부(8a)와의 코킹이 느슨해져, 접속이 손상되는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수지 플레이트(10)나 외부 개스킷(11)에 예상 외의 힘이 인가되지 않게 되어, 수지 플레이트(10)나 외부 개스킷(11)에 의한 봉지{구체적으로는, 수지 플레이트(10)의 상면과 커버판(3)의 하면과의 사이의 봉지, 외부 개스킷(11)의 하면과 커버판(3)의 상면[제1 오목부(3b)의 상면]과의 사이의 봉지, 외부 개스킷(11)의 환형 볼록부(11d)의 외주면과 커버판(3)의 관통공(3a)의 내주면 및 수지 플레이트(10)의 관통공(10b)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봉지, 외부 개스킷(11)의 환형 볼록부(11d)의 내주면과 리벳(12)의 제1 코킹부(12b)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봉지}가 손상되지 않게 되다.
그리고, 외부 개스킷(11)과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분리하여 설치되는 것에 의해, 외부 개스킷(11)에는, 봉지 부재로서 적절한 경도의 재질을 선택하고,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에는, 단자 볼트(14)로부터의 회전 토크에 견딜 수 있는 적절한 경도의 재질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개스킷(11)이 탄성 변형하여 도전성 부재[커버판(3), 집전체(8), 리벳(12)]의 표면과 밀착됨으로써, 봉지 효과가 높아지므로, 외부 개스킷(11)에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유연성이 강하면, 단자 볼트(14)로부터의 회전 토크에 의해, 끼워맞춤 볼록부(13c)가 마모, 결손(缺損)하기 쉬워지고, 그것이 진행되면, 단자 볼트(14)의 회전 규제 기능이 기능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에는, 단자 볼트(14)로부터의 회전 토크에 견딜 수 있을 만큼의 있는 강성이 요구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리벳(12)에서는, 제1 코킹부(12b)나 제2 코킹부(12c)를 코킹함으로써 생기는 리벳(12)의 전체적인 소성 변형이 억제되도록, 보디부(12a)의 축 길이 방향의 치수가 종래보다 길어져 있다. 그 결과, 커버판(3)의 상면으로부터의 접속판(15)의 높이 위치는, 종래의 단자 구조에 비해 필연적으로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끼워맞춤 볼록부(13c)는,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단자 볼트(14)를 회전 규제할 때에 있어서, 단자 볼트(14)로부터 회전 토크를 직접 받는 부분이다. 따라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끼워맞춤 볼록부(13c)는, 그 회전 토크에 견딜 수 있을 만큼의 강도를 가지므로, 높이 방향의 두께를 충분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의 높이 위치는 높아지고, 이에 따라, 커버판(3)의 상면으로부터의 접속판(15)의 높이 위치도, 종래의 단자 구조에 비해 필연적으로 높아진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개스킷(11)의 외벽부(11a)는 높고, 커버판(3)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외벽부(11a)의 상단면까지의 연면 거리(creeping distance)가 길어져 있다[바람직하게는, 커버판(3)의 폭 치수에 대한 연면 거리의 비가 0.15?0.30]. 또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외벽부(13a)는 높고, 커버판(3)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외벽부(13a)의 상단면까지의 연면 거리가 길어져 있다[바람직하게는, 커버판(3)의 폭 치수에 대한 연면 거리의 비가 0.15?0.3].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개스킷(11)의 외벽부(11a)는, 리벳(12)의 보디부(12a)를 전체적 내지 대략 전체적으로 수용하고, 또한 외벽부(11a)의 상단면이 접속판(15)의 하면에 접촉 내지 근소한 간격을 가지고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외벽부(13a)는,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를 전체적 내지 대략 전체적으로 수용하고, 또한 외벽부(13a)의 상단면이 접속판(15)의 하면에 접촉 내지 근소한 간격을 가지고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지가, 결로 등에 의해 발생하는 수적(水滴)이나 도전성 분위기(정전기나 더스트)에 노출된 경우라도, 외부 개스킷(11)의 외벽부(11a)나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외벽부(13a)가 커버(또는 차단벽)로 된다. 이로써, 커버판(3)과 리벳(12)과의 사이의 단락이나 커버판(3)과 단자 볼트(14)와의 사이의 단락이 적절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축전 소자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재질로서, 합성 수지 재료에 유리 섬유를 필러로 형성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수지 재료가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 재료는, 외부 개스킷(11)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지(외부 단자와 집전체가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구조의 전지)나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전지(외부 단자와 집전체가 보조 단자 및 접속 도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구조의 전지)의 봉지 부재에도, 이러한 수지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단, 합성 수지 재료(베이스 재료)에 유리 섬유를 필러로 형성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수지 재료는, 유리 섬유를 넣지 않는 베이스 재료만인 것에 비해 경도가 상승하여, 유연성이 저하되어 봉지 효과가 저하된다. 따라서, 유리 섬유를 넣는 것에 의한 경도 상승을 예측하여, 베이스 재료는 미리 경도가 낮은 것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전지에 의하면, 보조 단자와 외부 단자가 일체화한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부품점수 및 제조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개스킷(11)의 하면 전체면이 커버판(3)의 상면의 제1 오목부(3b)에 끼워넣어진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외부 개스킷(11)의 하면에 볼록부가 설치되고, 커버판(3)의 제1 오목부가 상기 볼록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크기로 되고,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와 마찬가지로, 외부 개스킷(11)의 볼록부가 상기 제1 오목부에 끼워넣어지도록 해도 된다.
역으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에 볼록부(13d)가 설치되고, 커버판(3)의 상면에는, 상기 볼록부(13d)를 받아들일 수 있는 크기의 제2 오목부(3c)가 설치되고,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볼록부(13d)가 커버판(3)의 제2 오목부(3c)에 끼워넣어진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볼록부(13d)가 설치되지 않고, 커버판(3)의 제2 오목부가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 전체면을 받아들일 수 있는 크기로 되고, 외부 개스킷(11)과 마찬가지로,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의 하면 전체면이 상기 제2 오목부에 끼워넣어지도록 해도 된다.
또는, 커버판(3)에 제1 오목부(3b)가 설치되어 있지 않도록 하여, 외부 개스킷(11)이 커버판(3)의 상면 평탄면에 배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커버판(3)에 제2 오목부(3c)가 설치되어 있지 않도록 하여,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가 커버판(3)의 상면 평탄면에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단, 커버판(3)의 단면(斷面) 모멘트가 상승하고, 그 결과, 커버판(3)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점에서, 커버판(3)에 제1 오목부(3b) 및 제2 오목부(3c)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제1 오목부(3b) 및 제2 오목부(3c) 중, 어느 한쪽이 작게 됨으로써, 제1 오목부(3b)와 제2 오목부(3c)와의 거리가 이격된다. 이로써, 제1 오목부(3b)와 제2 오목부(3c)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개스킷(11)용의 제1 오목부(3b)가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용의 제2 오목부(3c)보다 큰 예를 나타낸다. 이는, 제1 오목부(3b)의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커버판(3)의 평탄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그 결과, 봉지 효과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외부 개스킷(11)이든,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든, 볼록부는, 1개가 아니라, 복수개라도 된다. 또한, 외부 개스킷(11) 및 단자 회전 규제 고정 부재(13)는, 직사각형이 아니고, 예를 들면, 원형상, 육각형상, 팔각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양극 집전체(8) 및 양극의 리벳(12)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되고, 음극 집전체(8) 및 음극의 리벳(12)은, 동 또는 구리합금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전지의 종류에 따른 도전성 금속 재료이면, 이들 재료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 볼트(14)와 접속판(15)의 재료에 대해서도 예시했다. 그러나, 강도나 도전성 등의 특성이 적합한 도전성 금속 재료이면, 이들 재료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 볼트(14)의 헤드부(14a)의 상면으로부터 축부(수나사부)(14b)가 돌출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수나사 대신, 원통형이나 다각형의 통형 등의 적절한 형상의 축부가 돌출하고, 상기 축부의 상단면에, 나사 구멍이 천설(穿設)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발전 요소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타원 통형상의 권취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라도 되고, 적층형이라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1)가 알루미늄 합금이나 강철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케이스(1)[케이스 본체(2) 및 커버판(3)]의 재질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이외의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절연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케이스 본체(2) 및 커버판(3)]의 형상이나 구조도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이나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 구조(9)가 커버판(3)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그러나, 단자 구조(9)는, 케이스 본체(2)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전지의 종류나 크기(용량)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2차 전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종 2차 전지, 그 외에, 1차 전지나,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등의 커패시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발전 요소(4);
    상기 발전 요소(4)를 수용하는 케이스(1);
    상기 케이스(1)의 외면에 배치되는 수지 부재로서, 상기 케이스(1)의 외면에 대향하는 접합면을 가지는 수지 부재; 및
    상기 수지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발전 요소(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 단자(14)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 부재는, 무기(無機) 섬유를 포함하는 합성 수지 부재이며, 적어도 상기 접합면에 상기 무기 섬유가 노출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의 외면에 접착되는, 축전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외면에 배치되는 봉지(封止) 부재(11)로서, 상기 케이스(1)의 외면에 대향하는 접합면을 가지는 봉지 부재(11); 및
    상기 봉지 부재(11)에 지지되는 보조 단자(12)로서, 상기 케이스(1)의 내외를 관통하고, 상기 발전 요소(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상기 외부 단자(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단자(12)
    를 더 포함하는 축전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봉지 부재이며,
    상기 외부 단자(14)와 함께 상기 봉지 부재에 지지되는 보조 단자(12)로서, 상기 케이스(1)의 내외를 관통하고, 상기 발전 요소(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상기 외부 단자(1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보조 단자(12)를 더 포함하는 축전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봉지 부재이며,
    상기 외부 단자(14)는, 상기 케이스(1)의 내외를 관통하고, 상기 발전 요소(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축전 소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13)는, 상기 봉지 부재(11)보다 경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축전 소자.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상기 케이스(1)의 외면의 소정 영역에, 상기 수지 부재의 상기 접합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비원형상(非圓形狀)의 오목부를 가지는, 축전 소자.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는, 상기 케이스(1)의 외면의 소정 영역에, 상기 봉지 부재(11)의 상기 접합면 중 적어도 일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비원형상의 오목부(3b)를 가지는, 축전 소자.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13)와 상기 봉지 부재(11)는,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봉지 부재용의 오목부(3b)의 면적은, 상기 수지 부재용의 오목부(3c)의 면적보다 큰, 축전 소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주위둘레형의 외벽부와, 상기 외벽부 내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단자(14)는, 상기 수지 부재의 상기 오목부 내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 헤드부(14a)와, 상기 헤드부(14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軸部)(14b)를 구비하고,
    상기 수지 부재의 상기 외벽부는, 상기 수지 부재의 상기 오목부가 상기 외부 단자(14)의 상기 헤드부(14a)를 전체적 내지 대략 전체적으로 수용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축전 소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자(14)는, 헤드부(14a)와, 상기 헤드부(14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축부(14b)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14b)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축전 소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부재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케이스(1)의 외면에 접착되는, 축전 소자.
KR1020110143078A 2010-12-28 2011-12-27 축전 소자 KR101924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3138 2010-12-28
JP2010293138 2010-12-28
JPJP-P-2010-293140 2010-12-28
JP2010293140 2010-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402A true KR20120075402A (ko) 2012-07-06
KR101924883B1 KR101924883B1 (ko) 2018-12-04

Family

ID=4540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078A KR101924883B1 (ko) 2010-12-28 2011-12-27 축전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98471B2 (ko)
EP (1) EP2472644B1 (ko)
JP (1) JP5920650B2 (ko)
KR (1) KR101924883B1 (ko)
CN (1) CN1025444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0650B2 (ja) * 2010-12-28 2016-05-1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6037196B2 (ja) * 2011-01-17 2016-12-0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の製造方法
JP2012164634A (ja) 2011-01-20 2012-08-30 Gs Yuasa Corp 蓄電素子
JP6224582B2 (ja) 2012-06-20 2017-11-01 株式会社Gsユアサ 締結構造
WO2014174616A1 (ja) * 2013-04-24 2014-10-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5761394B2 (ja) * 2014-01-30 2015-08-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端子、蓄電装置及び蓄電モジュール
DE102014106204A1 (de) 2014-05-05 2015-11-05 Bmw Ag Batteriezelle sowie Batterie mit ein oder mehreren Batteriezellen
JP6428123B2 (ja) 2014-10-06 2018-11-2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US10388933B2 (en) * 2016-08-08 2019-08-20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JP6926668B2 (ja) * 2016-08-08 2021-08-25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802978B2 (ja) * 2017-03-09 2020-12-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6931460B2 (ja) * 2017-10-06 2021-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および電池の製造方法
US11431047B2 (en) * 2018-05-07 2022-08-30 Apple Inc. Feedthrough with integrated insulator
US11145925B2 (en) 2018-09-06 2021-10-12 Apple Inc. Cylindrical battery cell with overmolded glass feedthrough
US11417926B2 (en) 2018-11-29 2022-08-16 Apple Inc. Feedthroughs for thin battery cells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8264A (en) * 1968-06-10 1970-12-15 Gen Electric Electrolytic capacitor rivet seal
US3680203A (en) * 1971-07-09 1972-08-01 Mallory & Co Inc P R Encapsula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by ultrasonic wave energy
US3686538A (en) * 1971-11-02 1972-08-22 Robert A Webster Electrical component having terminal insert seal
US4045862A (en) * 1973-01-10 1977-09-06 P. R. Mallory & Co., In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US4074417A (en) * 1974-09-09 1978-02-21 P. R. Mallory & Co. Inc. Method of sealing electrical housing
JPS5958754A (ja) 1982-09-28 1984-04-04 Toshiba Battery Co Ltd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GB2154059B (en) * 1984-01-25 1987-10-28 Hitachi Ltd Light emitting chip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GB2154049A (en) 1984-02-09 1985-08-29 Venture Tech Ltd Electrochemical cell
JP2699435B2 (ja) 1988-08-18 1998-01-19 東洋紡績株式会社 核酸電気泳動用ゲル組成物
JPH06124694A (ja) 1992-10-08 1994-05-06 Fuji Photo Film Co Ltd 非水電池
JPH0732490A (ja) * 1993-07-19 1995-02-03 Sankyo Seiki Mfg Co Ltd 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接着方法
JPH0831429A (ja) * 1994-07-21 199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JP3612629B2 (ja) 1995-03-07 2005-01-19 株式会社京浜理化工業 非水系電池
US5656392A (en) 1995-03-20 1997-08-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rganic electrolyte batteries
KR100417560B1 (ko) 1995-09-27 2004-04-2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젤리롤형고용량2차전지
JP3787873B2 (ja) * 1995-11-24 2006-06-21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
JPH10125291A (ja) 1996-10-22 1998-05-15 Sony Corp 電池構造
CN1243605A (zh) 1997-11-07 2000-02-02 索尼株式会社 矩形密封电池
JPH11195561A (ja) * 1997-11-10 1999-07-21 Asahi Glass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6190798B1 (en) 1998-01-09 2001-02-20 Kabushiki Kaisha Toshiba Seale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278222B2 (ja) 1999-03-17 2009-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式電池用封口板、密閉式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424773B2 (ja) 1999-03-19 2010-03-03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式電池
JP3749048B2 (ja) 1999-09-28 2006-02-22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密閉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6579640B1 (en) 1999-09-28 2003-06-17 Sanyo Electric Co., Ltd. Sealed rectangular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JP2001126684A (ja) 1999-10-28 2001-05-11 Sony Corp 非水電解液電池
JP4572448B2 (ja) 2000-06-12 2010-11-04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3939116B2 (ja) 2000-09-29 2007-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JP2002245991A (ja) 2001-02-16 2002-08-30 Osaka Gas Co Ltd 非水系二次電池
JP5173095B2 (ja) 2001-04-25 2013-03-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4645001B2 (ja) * 2001-07-11 2011-03-09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4911214B2 (ja) * 2001-07-11 2012-04-04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US6878486B2 (en) 2001-12-20 2005-04-1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Seal for electrochemical cell
JP3805275B2 (ja) 2002-04-30 2006-08-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
WO2003100886A1 (en) 2002-05-27 2003-12-0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Battery
JP4843893B2 (ja) 2002-05-29 2011-12-21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4247595B2 (ja) 2002-05-30 2009-04-02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池
JP2004071265A (ja) 2002-08-05 2004-03-0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
JP3960877B2 (ja) 2002-08-05 2007-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
US6902095B2 (en) 2003-07-03 2005-06-07 Water Gremlin Company Two part cold formed battery terminal
JP4375660B2 (ja) 2003-08-01 2009-12-0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4629998B2 (ja) 2004-04-22 2011-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二次電池
CN2701082Y (zh) 2004-06-01 2005-05-18 肇庆市风华锂电池有限公司 电池安全封口塞及其封口盖板和电池
JP2006019093A (ja) 2004-06-30 2006-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集合電池
KR100601527B1 (ko) * 2004-09-22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
JP5021900B2 (ja) 2005-02-04 2012-09-12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密閉型電池
KR100624966B1 (ko) 2005-04-26 2006-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20070037053A1 (en) 2005-08-12 2007-02-15 Satish Anantharaman Battery case having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JP4281727B2 (ja) 2005-10-13 2009-06-17 日本軽金属株式会社 電池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
JP5182838B2 (ja) 2006-07-25 2013-04-17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チウム電池容器用封口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電池
US8119270B2 (en) 2006-08-04 2012-02-21 Gs Yuasa International Ltd. Lead acid battery with liquid sensor in lid
TW200810199A (en) 2006-08-08 2008-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ccumula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8140628A (ja) 2006-11-30 2008-06-19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とその製造方法
WO2008084883A2 (ja) 2007-01-12 2008-07-1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電極構造およびバッテリ装置の製造方法
JP2008218244A (ja) 2007-03-05 2008-09-18 Hitachi Maxell Ltd 電池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医療用電子機器
US20080220316A1 (en) 2007-03-06 2008-09-11 Berkowitz Fred J End cap seal assembly for a lithium cell
JP4986678B2 (ja) * 2007-03-29 2012-07-25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2008305645A (ja) 2007-06-06 2008-12-18 Toshiba Corp 電池
JP5019374B2 (ja) 2007-08-29 2012-09-05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レーザ溶接性に優れた電池ケース蓋用アルミニウム合金板材
JP2009054531A (ja) 2007-08-29 2009-03-12 Toshiba Corp 電池
JP5240824B2 (ja) 2008-01-30 2013-07-17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4775436B2 (ja) 2008-02-29 2011-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146065B2 (ja) 2008-04-11 2013-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組電池、車両及び電池搭載機器
DE102008020912A1 (de) * 2008-04-17 2009-10-22 Varta Microbattery Gmbh Galvanische Zelle mit irreversibler Sicherung
JP5277702B2 (ja) 2008-04-21 2013-08-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気部品、非水電解質電池、並びに、それらに用いられるリード線及び封入容器
JP5326126B2 (ja) 2008-05-16 2013-10-30 エリーパワ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9289637A (ja) 2008-05-30 2009-12-10 Toyota Motor Corp 密閉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9763B2 (ja) 2008-06-13 2010-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極
JP5716398B2 (ja) 2008-07-02 2015-05-13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8735B2 (ja) 2008-07-23 2012-02-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5288973B2 (ja) 2008-09-29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4710954B2 (ja) 2008-10-14 2011-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端子部材および端子部材の製造方法
JP5481827B2 (ja) * 2008-10-15 2014-04-23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
JP5418809B2 (ja) 2008-10-16 2014-02-19 株式会社Gsユアサ 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6392B2 (ja) 2008-11-27 2011-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JP2010157415A (ja) 2008-12-26 2010-07-15 Sanyo Electric Co Ltd 密閉型電池用封口体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密閉型電池
KR101015834B1 (ko) 2009-01-06 2011-02-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5566641B2 (ja) * 2009-08-26 2014-08-06 株式会社東芝 電池
KR101074780B1 (ko) 2009-09-30 2011-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JP5449961B2 (ja) 2009-09-30 2014-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JP5525904B2 (ja) 2010-04-28 2014-06-18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
JP5920650B2 (ja) * 2010-12-28 2016-05-1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KR101244735B1 (ko) 2011-04-05 2013-03-1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 전지
US8748034B2 (en) 2011-04-14 2014-06-10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including one of projecting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lid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2644A1 (en) 2012-07-04
CN102544425A (zh) 2012-07-04
US20120160558A1 (en) 2012-06-28
US8598471B2 (en) 2013-12-03
JP5920650B2 (ja) 2016-05-18
JP2012151098A (ja) 2012-08-09
US9685643B2 (en) 2017-06-20
KR101924883B1 (ko) 2018-12-04
CN102544425B (zh) 2015-09-23
US20140057135A1 (en) 2014-02-27
EP2472644B1 (en)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5402A (ko) 축전 소자
KR101968713B1 (ko) 축전 소자
KR20120075403A (ko) 축전 소자
US11482761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KR101901768B1 (ko) 축전 소자
JP5539910B2 (ja) 二次電池
US20120264007A1 (en)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71435B1 (ko) 축전 소자 및 도전성 부재
US9627710B2 (en) Battery
JPWO2019194053A1 (ja) 電池モジュール
US20140147721A1 (en) Battery module
JPWO2019194055A1 (ja) 電池
JP4590911B2 (ja) 電池
KR20080057629A (ko) 전극조립체와 그를 이용한 원통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