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966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966B1
KR100624966B1 KR1020050034749A KR20050034749A KR100624966B1 KR 100624966 B1 KR100624966 B1 KR 100624966B1 KR 1020050034749 A KR1020050034749 A KR 1020050034749A KR 20050034749 A KR20050034749 A KR 20050034749A KR 100624966 B1 KR100624966 B1 KR 10062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condary battery
position fixing
lead pl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만
김광천
정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966B1/ko
Priority to US11/410,496 priority patent/US7968228B2/en
Priority to CNB2006100770721A priority patent/CN100511811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69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by welding, brazing or sol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H01M50/645Plu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권취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과 일측에 전해액주입구가 형성되는 캡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해액주입구에 리드플레이트가 용접되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 및 상기 캡조립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보호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전해액주입구의 주위에 상기 리드플레이트가 안착가능하도록 위치고정부를 형성하여 캡플레이트의 상면에 조립되는 리드플레이트가 위치고정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가 셋팅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용접 강도가 향상되고, 트위스트/벤딩 테스트에 대한 강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캡플레이트, 리드플레이트, 위치고정부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성형 수지가 결합되기 전 이차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해 보호회로기판이 성형수지에 의하여 몰딩되어 베어셀에 부착된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변형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고정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대한 본 발명의 변형예.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대한 본 발명의 변형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어셀 120 ; 캔
140 ; 캡조립체 150 ; 캡플레이트
152 ; 전해액주입구 154a ∼ 154e ; 위치고정부
160 ; 전극단자 170 ; 리드플레이트
200 ; 보호회로기판 202,204 ; 접속단자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플레이트의 상면에 리드플레이트의 위치를 가이드하여 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를 구비하여 용접시 틀어짐이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트위스트/벤딩 테스트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하여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 개발되고 사용되는 것 가운데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있다.
이들 이차 전지에서 베어셀의 대부분은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를 통상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캔에 수납하고, 캔을 캡조립체로 마감한 뒤, 캔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캔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면 알루미늄의 가벼운 속성으로 전지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전압하에서 장시간 사용할 때에도 부식되지 않는 등 유리한 점이 있다.
상기 베어셀에는 상부에 주위 부분과 절연된 전극 단자가 구비되며, 이 전극 단자가 베어셀 내에서 전극조립체의 한 전극과 연결되어 전지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캔 자체는 전극 단자와 반대의 극성을 가진다.
그런데, 전지는 에너지원으로서 많은 에너지를 방출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차전지의 경우, 에너지가 충전된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높은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으며, 충전하는 과정에서는 다른 에너지원으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축적하게 된다. 이런 과정이나 상태에서 내부 단락 등 이차 전지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지 내에 축적된 에너지가 단시간에 방출되면서 발화, 폭발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리튬계 이차전지는 리튬 자체가 높은 활성을 가지므로 전지 이상 발생시 발화나 폭발의 위험이 크다.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는 금속 상태의 리튬이 아닌 이온 상태의 리튬만 존재하므로 금속 리튬을 사용하는 전지에 비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전지에 사용되는 음극이나 비수성 전해액 등의 재료들은 가연성을 가지는 등의 이유로 전지 이상 발생시 발화나 폭발의 위험성이 크다.
따라서, 이차 전지에는 충전된 상태에서 혹은 충전하는 과정에서 전지 자체의 이상으로 인한 발화나 폭발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안전 장치가 구비된다. 이들 안전 장치는 전지의 고온 상승이나, 과도한 충방전 등으로 전지의 전압이 급상승하는 등의 경우에 전류를 차단해 전지의 파열, 발화 등 위험을 방지하게 한다. 안전 장치로서 베어셀에 연결되는 것으로는 이상 전류나 전압을 감지하여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보호회로기판, 이상 전류에 의한 과열시 작동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소자, 바이메탈 등이 있다.
통상, 베어셀의 전극과 보호회로 기판 등의 전기 단자를 직접 용접하여 전기 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은 베어셀의 형태상, 재질상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리드 플레이트(lead plate)라 불리는 도체구조가 전지의 양극, 음극과 보호회로 기판 같은 안전장치의 전기 단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리드 플레이트의 재질로는 통상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이나, 니켈이 도금된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된다. 이러한 베어셀과 보호회로기판은 일반적으로 용접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은 성형 수지에 의해 결합되기 전 단계에 있는 일반적인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보호회로기판이 성형수지에 의하여 몰딩되어 베어셀에 부착된 상태의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캔형 이차전지는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수용되며 상단은 캡조립체가 결합된 캡플레이트(13)에 의하여 밀봉되는 캔(12)으로 이루어지는 베어셀(10)과 보호회로기판(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13)는 캔(12)의 개방된 상단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는 음극단자(14)가 설치되어 있고, 캡플레이트(13)의 상면의 양측에는 음극접속리드(16)와 리드플레이트(1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음극접속리드(16)는 일단이 상기 음극단자(14)에 결합되며 타단의 일측면이 캡플레이트(13)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드플레이트(18)도 일측면이 캡플레이트(13)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호회로 기판(20)은 외부입출력단자(22, 23)가 형성된 상면과 회로부(미도시) 및 접속단자(26, 28)가 구비된 하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26,28)는 음극용 접속단자(26)와 양극용 접속단자(28)로 구성되며, 캡플레이트(13)의 각 리드플레이트(16, 18)와의 전기 접속을 위해 'L'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캡플레이트(13)의 리드플레이트(16, 18)와 접속단자(26, 28)는 일반적으로 저항 스폿용접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1의 미설명부호(15)는 상기 음극접속리드(16)과 캡플레이트(13)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한 절연판이다.
상기 보호회로기판(2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딩부(30)에 의하여 몰딩되면서 상기 베어셀(10)의 상부에 부착된다. 상기 외부입출력단자(22, 23)는 상기 몰딩부(30)의 상면에서 노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차전지에서 리드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전해액주입구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리드플레이트는 리드플레이트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용접부위에서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캔의 트위스트/벤딩 테스트시와 같은 외력 발생시 리드플레이트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플레이트의 상면에 리드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여 용접 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외력의 작용에 의한 틀어짐이나 굽힘 발생시 변형을 방지하도록 한 이차전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권취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과 일측에 전해액주입구가 형성되는 캡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해액주입구에 리드플레이트가 용접되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 및 상기 캡조립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보호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전해액주입구의 주위에 상기 리드플레이트가 안착가능하도록 위치고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모서리부가 안착되는 'ㄱ'자형의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모서리부가 안착되는 파단형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는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 변을 둘러싸도록 벽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 변에 일자형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 변에 엠보싱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네 변의 중앙에 형성되거나, 또는 네 변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전극조립체(미도시)가 수용되며 상단은 캡조립체(140)에 의하여 밀봉되는 캔(120)으로 이루어지는 베어셀(100)과 보호회로기판(2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캔(120)은 각형 리튬 이온 전지에서 대략 직육면체에서 위쪽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일반적으로는 가볍고 부식에 대처가 용이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된다. 캔(120)은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으로 이루어진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의 용기가 되고, 전극조립체가 캔(12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캔(120)에 삽입된 뒤 캔(120)의 상단개구부는 캡조립체(140)에 의해 봉해진다. 이러한 캡조립체(140)는 캡플레이트(150)와 전극단자(160)와 리드플레이트(170)를 포함한다.
상기 캡플레이트(150)는 캔(120)의 상단개구부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의 단자통공(미도시)과 일측부의 전해액주입구(152)를 구비한다. 상기 단자통공에는 상기 전극단자(16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전해액주입구(152)는 캡조립체(140)에 의하여 밀봉되는 캔(120)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는데 사용되며, 전해액이 주입된 후에는 전해액주입구(152)에 용접되는 마개에 의하여 밀봉된다. 캡플레이트(150)는 캔(120)과의 용접성 향상을 위해 캔(120)과 동일한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단자(160)는 상기 단자통공에 관통되어 결합되며, 전극단자(160) 외측에는 전극단자(160)와 캡플레이트(15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의 가스켓(162)이 설치된다. 상기 전극단자(160)는 일반적으로 음극단자로서 형성된다. 캡플레이트(150)의 단자통공 근방의 캡플레이트(150) 하면에는 절연판(미도시)이 배치되며, 절연판의 하면에는 터미널플레이트(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전극단자(160)의 상부에는 음극접속리드(164)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회로기판(200)의 접속단자(202)와 용접되어 전극단자(160)와 보호회로기판(200)의 음극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리드플레이트(170)는 장방형의 판체(171)의 좌우측에 측벽(172)(17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일측벽(172)에는 보호회로기판(200)의 접속단자(204)가 용접되어, 캡플레이트(150)와 보호회로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리드플레이트(170)는 판체(171)가 상기 전해액주입구(152)의 상부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용접은 레이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전해액주이구(152)에는 마개(미도시)에 의해 밀봉되는 상태로 리드플레이트(170)가 용접된다.
이러한 리드플레이트(170)의 용접시 리드플레이트(17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캡플레이트(150)의 상면에서 전해액주입구(152)의 가장자리에는 리드플레이트(170)의 판체(171) 형상의 네모서리에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위치고정돌기(154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돌기는 네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만 위치고정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만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네모서리에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 할 수 있으면서 제조 단가는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플레이트(170)의 판체(171)를 빙둘러싸는 벽형태의 위치고정돌기(156b)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위가 개구된 파단형 위치고정돌기(156c)를 네모서리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파단형 위치고정돌기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만 파단형 위치고정돌기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고정돌기를 판체(171)가 안착되는 네개의 변 중앙에 형성하거나 또는 변에서 일측에 치우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돌기는 일자 타입의 위치고정돌기(156d)로 형성되거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엠보싱 타입의 위치고정돌기(156e)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제조시 리드플레이트를 캡플레이트(150)의 전해액주입구(152)에 용접하는 과정에서 먼저 리드플레이트(170)를 위치고정돌기(156a∼156e)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위치고정돌기(156a∼156e)에 의하여 리드플레이트(170)의 네모서리 또는 4변의 위치가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캡플레이트(150)의 전해액주입구(152)에 리드플레이트(170)의 하면이 용접되므로 리드플레이트(17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들뜨는 상태로 용접되지 않게 된다.
또한, 리드플레이트(170)가 용접된 후에 이차전지의 조립이 완료되어 트위스트/벤딩 테스트시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리드플레이트(170)는 위치고정돌기(156a∼156e)에 의해 캡플레이트(150)의 상면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는 캡플레이트의 상면에 조립되는 리드플레이트가 위치고정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가 셋팅된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용접 강도가 향상되고, 트위스트/벤딩 테스트에 대한 강도가 향상되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권취되는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 및 전해액이 수용되는 캔과 일측에 전해액주입구가 형성되는 캡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에 전해액주입구에 리드플레이트가 용접되며, 상기 캔의 상단개구부를 밀봉하는 캡조립체 및 상기 캡조립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보호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전해액주입구의 주위에 상기 리드플레이트가 안착가능하도록 위치고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모서리부가 안착되는 'ㄱ'자형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모서리부가 안착되는 파단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부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 변을 둘러싸도록 벽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 변에 형성되는 일자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리드플레이트의 네 변에 형성되는 엠보싱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네 변의 중앙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네 변의 일측에 치우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50034749A 2005-04-26 2005-04-26 이차전지 KR10062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749A KR100624966B1 (ko) 2005-04-26 2005-04-26 이차전지
US11/410,496 US7968228B2 (en) 2005-04-26 2006-04-24 Secondary battery
CNB2006100770721A CN100511811C (zh) 2005-04-26 2006-04-26 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749A KR100624966B1 (ko) 2005-04-26 2005-04-26 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966B1 true KR100624966B1 (ko) 2006-09-19

Family

ID=3719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749A KR100624966B1 (ko) 2005-04-26 2005-04-26 이차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68228B2 (ko)
KR (1) KR100624966B1 (ko)
CN (1) CN100511811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691B1 (ko) 2007-11-15 2009-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947981B1 (ko) 2007-11-12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9887436B2 (en) 2013-07-09 2018-02-0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471B1 (ko) * 2007-09-27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보호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9142810B2 (en) * 2007-11-07 2015-09-2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CN101728572B (zh) * 2008-10-31 2012-07-0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及其制造方法
KR101050298B1 (ko) * 2008-12-03 2011-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1030900B1 (ko) * 2009-05-15 2011-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273471B2 (en) * 2010-08-23 2012-09-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rchangeable battery pack apparatus and method
JP5920650B2 (ja) 2010-12-28 2016-05-1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12164634A (ja) 2011-01-20 2012-08-30 Gs Yuasa Corp 蓄電素子
US8748034B2 (en) * 2011-04-14 2014-06-10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including one of projecting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lid plate
JP6498581B2 (ja) * 2015-09-30 2019-04-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蓄電装置及び電流遮断装置
KR102515873B1 (ko) * 2018-01-24 2023-03-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13488728B (zh) * 2021-07-02 2022-06-28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圆柱形电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685A (ja) 2001-05-09 2002-11-22 Alps Electric Co Ltd 電池蓋体
KR100452541B1 (ko) 2001-05-10 2004-10-12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커버 유닛
KR20050037690A (ko) * 2003-10-20 2005-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490545B1 (ko) 2002-12-18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2146A (ja) * 2001-10-31 2003-05-1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電 池
JP4440548B2 (ja) * 2002-02-13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4263989B2 (ja) 2002-12-18 2009-05-13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
US8778529B2 (en) * 2004-11-29 2014-07-15 Samsung Sdi Co., Ltd.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0930476B1 (ko) * 2005-01-25 200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어셈블리 성형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4685A (ja) 2001-05-09 2002-11-22 Alps Electric Co Ltd 電池蓋体
KR100452541B1 (ko) 2001-05-10 2004-10-12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커버 유닛
KR100490545B1 (ko) 2002-12-18 2005-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50037690A (ko) * 2003-10-20 2005-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81B1 (ko) 2007-11-12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8232001B2 (en) 2007-11-12 2012-07-31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0898691B1 (ko) 2007-11-15 2009-05-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178236B2 (en) 2007-11-15 2012-05-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n insulation case with an insertion groove
US9887436B2 (en) 2013-07-09 2018-02-0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55601A (zh) 2006-11-01
US7968228B2 (en) 2011-06-28
US20060263648A1 (en) 2006-11-23
CN100511811C (zh)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966B1 (ko) 이차전지
US7550227B2 (en) Secondary battery
KR100778979B1 (ko) 이차전지
KR100670501B1 (ko) 이차전지
JP5374555B2 (ja) 二次電池
KR100537539B1 (ko) 리드 플레이트가 부착된 각형 이차 전지
KR20040057365A (ko) 리튬 이차 전지
JP4342479B2 (ja) 二次電池
KR100927250B1 (ko) 조립식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2775551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battery cells having novel structure
KR101222301B1 (ko) 이차 전지
JP4769780B2 (ja) 二次電池
EP2779273A1 (en) Embedded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novel structure
EP2775550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battery cells
KR100477754B1 (ko) 전지 팩
KR101531323B1 (ko) 단자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캡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0571236B1 (ko) 이차 전지
KR100659864B1 (ko) 이차전지
KR20080035401A (ko) 리튬 이차전지
KR100457627B1 (ko) 비용접식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1274932B1 (ko) 이차 전지
KR100949329B1 (ko) 이차전지
KR100528899B1 (ko)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KR20070108756A (ko)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