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365A -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365A
KR20040057365A KR1020020084075A KR20020084075A KR20040057365A KR 20040057365 A KR20040057365 A KR 20040057365A KR 1020020084075 A KR1020020084075 A KR 1020020084075A KR 20020084075 A KR20020084075 A KR 20020084075A KR 20040057365 A KR20040057365 A KR 20040057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ead plate
lead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337B1 (ko
Inventor
김창섭
한수진
송민호
강준원
맹수연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337B1/ko
Priority to JP2003417223A priority patent/JP4414212B2/ja
Priority to US10/737,837 priority patent/US7611797B2/en
Priority to CNB2003101244556A priority patent/CN100380713C/zh
Publication of KR2004005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 이차 전지가 개시된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수용하고, 캡 조립체에 의해 그 상단 개구부가 밀봉되며, 전도성 금속재로 형성된 캔과; 이 캔의 외부 바닥면에 접합된 바닥 플레이트와; 일 단부가 캔의 외부 바닥면에 접합되고 타 단부가 안전장치와 연결되어 캔을 안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개시된 리튬 이차 전지에 의하면, 캔과 리드 플레이트가 직접 접합되므로 전지의 전압 강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플레이트를 캔의 외부 바닥면에 용접할 때 리드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가 바닥 플레이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그 작업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의 안전장치와 캔의 전기적 연결구조를 개선한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 때문에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발전 요소, 즉,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캔에 수납하고, 이 캔의 상단 개구부를 캡 조립체에 의해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캔을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알루미늄이 철이나 기타 전도성 금속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전지를 경량화 할 수 있고, 고전압 하에서 장시간 사용할 때에도 부식되지 않는 점등에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통상 상부에 캔과 절연된 전극 단자를 구비하여, 이 전극 단자가 전지의 어느 일 극을 이루게 된다. 이 때 전지의 캔 자체, 예를 들면 전지의 바닥면이 타극이 된다.
한편,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외부 단락, 기계적인 충격에 의한 내부 단락 또는 과충방전 등의 경우, 전압이 급상승하여 전지가 파열되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위험들을 해소하기 위해, 통상 리튬 이차 전지는 PTC(Positive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서멀 퓨즈(thermal fuse) 및 보호회로(protecting circuit) 등과 같은 안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 전지 팩에 수납되며, 이러한 안전장치는 전지의 전압이 급상승할 때 전류를 차단하여 전지의 파열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러한 전지의 안전장치들은 리드(lead)에 의해 전지의 양극과 음극에 연결되는 데, 이 리드는 통상 리드로서의 소정 경도와 전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니켈 또는 니켈 합금이나, 니켈이 도금된 스텐레스강을 사용한다.
그런데, 니켈 또는 니켈 합금 등으로 형성된 리드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캔과의 용접에 다소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니켈의 불용성으로 인해 초음파 용접이 어렵고, 알루미늄의 우수한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로 인하여 접합면에서의 열집중이 어렵기 때문에 저항 용접이 매우 곤란하다. 이 때문에 레이저 용접을 행해야 하는 데, 이러한 레이저 용접은 레이저빔이 보호회로에 전도되어 그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 5,976,729호에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캔(1)의 바닥면(1a)에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bottom plate;2)를 미리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시키고, 이 바닥 플레이트(2)에 리드(3)를 용접봉(5)으로 용접하여 보호회로(4) 등의 안전장치를 연결하는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 이차 전지에서는 알루미늄보다 상대적으로 전기 저항이 높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상기 바닥 플레이트(2)를 매개하여 리드(3)를 연결하기 때문에 전기 저항의 증가로 인한 전지 전체의 전압 강하도 상승하게 된다.
또한, 바닥 플레이트(2) 상에 리드(3)를 용접할 때, 리드(3)의 용접 위치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리드(3)의 용접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지의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고 캔과 리드의 용접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캔과 리드의 연결 구조를 개선한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차 전지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리튬 이차 전지에 안전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드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드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캔 11...안전벤트
12...전극 조립체 20...캡 조립체
30,300...바닥 플레이트 31...용접부
32...수용부 41,42,410,420...리드 플레이트
42a,420a...클래드층 42b,420b...리드층
50...PTC 소자 70...보호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수용하고, 캡 조립체에 의해 그 상단 개구부가 밀봉되며, 전도성 금속재로 형성된 캔과;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에 접합된 바닥 플레이트와; 일 단부가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에 접합되고 타 단부가 안전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캔을 안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는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에 용접된 용접부와,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수용부는 상기 용접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캔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니켈, 니켈 합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클래드층과, 상기 클래드층 상에 형성되고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리드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캔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니켈, 니켈 합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클래드층과, 상기 클래드층 상에 형성되고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리드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튬 이차 전지에 안전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캔(10)과, 이 캔(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12)와, 상기 캔(10)의 상단 개구부(10b)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20)와, 상기 캔(10)의 일측에 제공되는 PTC 소자(50) 및/또는 보호회로(70) 등과 같은 안전장치와, 전지의 양극 및 음극단자(10a)(24)와 안전장치 사이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들(41,60,80)을 구비한다.
상기 캔(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캔(10)은 경량의 전도성 금속인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캔(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면이 개구된 개구부(10b)를 포함하며, 이 개구부(10b)를 통해 전극 조립체(12)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캔(10)의 바닥면(10a)에는 안전벤트(1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벤트(11)는 상기 바닥면(10a)의 중앙부에 소정 크기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상기 캔(10)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성형되어 있다. 상기 안전벤트(11)는 전지의 과충전등으로 인하여 내압 상승하면 다른 부분보다 우선적으로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2)는 양극판(13)과, 음극판(15) 및 세퍼레이터(14)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13)과 음극판(15)은 세퍼레이터(14)를 개재하여 적층된 후 젤리-롤 형태로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양극판(13)에는 양극 리드(16)가 용접되어 있으며, 이 양극 리드(16)의 단부는 상기 전극 조립체(12)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기 음극판(15)에도 음극 리드(17)가 용접되어 있으며, 이 음극 리드(17)의 단부도 상기 전극 조립체(12)의 상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기 캡 조립체(20)에는 캡 플레이트(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21)는 상기 캔(10)의 상단 개구부(10b)와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금속판이다. 상기 캡 플레이트(21)의 중앙에는 소정 크기의 단자 통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 통공(21a)에는 전극 단자, 이를테면 음극 단자(24)가 삽입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다. 상기 음극 단자(24)의 외면에는 음극 단자(24)와 캡 플레이트(21)의 절연을 위하여 튜브형의 가스켓(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21)의 하면에는 절연 플레이트(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 플레이트(25)의 하면에는 단자 플레이트(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극 단자(24)의 저면부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12)의 상부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12)와 캡 조립체(20)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절연 케이스(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캡 조립체(20)를 캔(10)의 개구부(10a)에 용접시킨 후에는 캡 플레이트(21)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21b)를 통하여 전해액을 주입한 후 플러그(22)를 통해 이를 밀봉한다.
이와 같이 밀봉된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단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PTC 소자(50)는 리드 플레이트(4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PTC 소자(50)와 보호회로(70) 사이 및 보호회로(70)와 음극 단자(24) 사이도 리드들(60,8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안전장치(50,70)와 양극 및 음극단자(10a)(24) 사이의 전기적 연결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은 PTC 소자(50) 없이 직접 보호회로(7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보호회로(70) 없이 PTC 소자(50)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플레이트(30)가 용접된다. 상기 바닥 플레이트(30)는 안전벤트(11)가 형성된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전벤트(11)가 형성된 바닥면(10a)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와 폭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바닥 플레이트(30)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판, 예컨대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41)는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에 직접 접합된다. 즉, 리드 플레이트(41)는 알루미늄재보다 전도성이 떨어지는 니켈재로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30)를 매개하지 않고 캔(10)과 안전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바닥 플레이트(30)의 저항으로 인한 전지의 전압 강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플레이트(41)의 일 단부(41a)는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바닥 플레이트(30) 사이에 개재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바닥 플레이트(30)는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에 용접되는 용접부(31)와,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 플레이트(41)의 일 단부(41a)를 수용하는 수용부(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3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부(31)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플레이트(41)를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에 용접할 때, 리드 플레이트(41)는 바닥 플레이트(30)에 의해 그 용접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개선된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수용부(3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수용부(32)는 리드 플레이트(41)의 단부(41a)를 수용할 수 있으면, 여하한 구조도 가능하고 볼 것이다.
상기 리드 플레이트(41)는 알루미늄보다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떨어지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바닥 플레이트(30)의 수용부(32)와 리드 플레이트(41) 사이 및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리드 플레이트(41) 사이는 각각 저항 용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항 용접에 의하여, 니켈재로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30)의 수용부(32)와 니켈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1) 사이는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니켈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1) 사이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저항 용접된다. 그리고, 리드 플레이트(41)는 그 상,하 양측에서 바닥 플레이트(30) 및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각각 용접되므로, 캔(10)과 리드 플레이트(41)의 안정된 접합이 보장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리드 플레이트(41)는 니켈보다 용융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바닥 플레이트(30)의 수용부(32)와 리드 플레이트(41) 사이 및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리드 플레이트(41) 사이는 각각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1) 사이는 니켈재로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30)의 수용부(32)와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1) 사이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초음파 용접된다. 여기서도 리드 플레이트(41)는 그 상,하 양측에서 바닥 플레이트(30) 및 캔의 외부 바닥면(10a)과 각각 용접되므로, 캔(10)과 리드 플레이트(41)의 안정된 접합이 보장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리드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플레이트(42)는,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에 접합되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클래드층(42a)과, 이 클래드층(42a)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 플레이트(30)에 접합되며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리드층(42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30)의 수용부(32)와 리드 플레이트(42)의 리드층(42b) 사이 및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리드 플레이트(42)의 클래드층(42a) 사이는 각각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2)의 클래드층(42a) 사이는 니켈재로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30)의 수용부(32)와 니켈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2)의 리드층(42b) 사이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초음파 용접되며, 리드 플레이트(42)는 그 상,하 양측에서 용접되므로 캔(10)과 리드 플레이트(42)의 안정된 접합이 보장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바닥 플레이트(30)의 수용부(32)와 리드 플레이트(42)의 리드층(42b) 사이 및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리드 플레이트(42)의 클래드층(42a) 사이는 각각 저항 용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저항 용접에 의하여, 니켈재로 형성된 바닥 플레이트(30)의 수용부(32)와 니켈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2)의 리드층(42b) 사이는 충분한 접착력을 갖도록 강하게 용접되어, 캔(10)과 리드 플레이트(42)의 안정된 접합을 보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동일부재를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리드 플레이트(410)와 바닥 플레이트(300)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에 각각 접합된다. 즉, 상기 리드 플레이트(410)의 일 단부(410a)는 상기 바닥 플레이트(300)와는 서로 접촉하지 않고,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에만 접합된다. 여기서도, 상기 캔(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플레이트(300)는 안전벤트(11)가 형성된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을 보호하며,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 플레이트(410)의 타 단부(410b)는 PTC 소자(50)와 같은 안전자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410)는 상기 니켈보다 용융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리드 플레이트(410) 사이는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10)는 충분한 접합력을 가지도록 용접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리드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동일부재를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 플레이트(420)는, 캔(10)의 외부 바닥면(10a)에 접합되고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클래드층(420a)과, 이 클래드층(420a) 상에 형성되고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리드층(420b)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리드 플레이트(420)의 클래드층(420a) 사이는 초음파 용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초음파 용접에 의하여,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캔(10)의 외부 바닥면(10a)과 알루미늄재로 형성된 리드 플레이트(420)의 클래드층(420a) 사이는 충분한 접합력을 갖도록 용접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캔과 리드 플레이트가 직접 접합되기 때문에 전지의 전압 강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둘째, 리드 플레이트의 단부가 바닥 플레이트의 수용부와 캔의 외부 바닥면 사이에 삽입된 후 용접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 플레이트를 캔에 용접할 때 리드 플레이트의 용접 위치가 바닥 플레이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개선된다.
셋째, 리드 플레이트의 단부가 바닥 플레이트와 캔의 외부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어 용접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 플레이트의 단부가 상,하 양측에서 용접되기 때문에 그 접합력이 증가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양극판, 음극판 및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수용하고, 캡 조립체에 의해 그 상단 개구부가 밀봉되며, 전도성 금속재로 형성된 캔과;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에 접합된 바닥 플레이트와;
    일 단부가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에 접합되고 타 단부가 안전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캔을 안전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는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과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에 용접된 용접부와,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리드 플레이트의 일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용접부로부터 절곡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 사이는 저항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 사이는 초음파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클래드층과, 상기 클래드층 상에 형성되고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리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층과 상기 바닥 플레이트 사이 및 상기 클래드층과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 사이는 저항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바닥 플레이트는 서로 분리되어,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에 각각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와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 사이는 초음파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플레이트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클래드층과, 상기 클래드층 상에 형성되고 니켈 또는 니켈 합금으로 형성된 리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층과 상기 캔의 외부 바닥면 사이는 초음파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02-0084075A 2002-12-26 2002-12-26 리튬 이차 전지 KR100502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075A KR100502337B1 (ko) 2002-12-26 2002-12-26 리튬 이차 전지
JP2003417223A JP4414212B2 (ja) 2002-12-26 2003-12-15 リチウム二次電池
US10/737,837 US7611797B2 (en) 2002-12-26 2003-12-18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safety device
CNB2003101244556A CN100380713C (zh) 2002-12-26 2003-12-24 锂蓄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075A KR100502337B1 (ko) 2002-12-26 2002-12-26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365A true KR20040057365A (ko) 2004-07-02
KR100502337B1 KR100502337B1 (ko) 2005-07-20

Family

ID=3265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075A KR100502337B1 (ko) 2002-12-26 2002-12-26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611797B2 (ko)
JP (1) JP4414212B2 (ko)
KR (1) KR100502337B1 (ko)
CN (1) CN100380713C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512B2 (en) 2004-03-17 2007-02-06 Lg Cable, Ltd. Thermistor having improved lead structur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thermistor
KR100824898B1 (ko) * 2007-04-19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 전지
KR100889767B1 (ko) * 2002-09-23 2009-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 플레이트를 가지는 리튬이차 전지
KR20150120261A (ko) * 2014-04-17 2015-10-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류 분산 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90012060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속플레이트를 가지는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셀과 배터리 보호회로의 연결 방법
CN112332037A (zh) * 2020-11-13 2021-02-05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网格化结构设计的锂离子电池极耳及其制备方法
WO2023153900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벤팅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3666B2 (ja) * 2003-10-17 2012-08-29 ソニー株式会社 外装フィルムを使用した電池パック及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US8313856B2 (en) 2003-10-17 2012-11-20 Sony Corporation Structure of thin battery covered by outer packaging film,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100537540B1 (ko) * 2004-06-21 2005-12-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601533B1 (ko) * 2004-07-28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이차보호소자
JP4404818B2 (ja) * 2004-07-30 2010-01-27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601526B1 (ko) * 2004-07-30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571241B1 (ko) * 2004-09-22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0601502B1 (ko) * 2004-09-24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 전지
KR100601517B1 (ko) * 2004-09-24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571272B1 (ko) 2004-11-18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캔형 이차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0670526B1 (ko) * 2005-03-0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 전지 및 그 형성 방법
KR100624957B1 (ko) 2005-04-26 2006-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7541771B1 (en) 2006-03-08 2009-06-02 Kyocera Wireless Corp.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assembly
KR100934459B1 (ko) * 2006-11-27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산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
KR100922474B1 (ko) 2007-01-18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870356B1 (ko) * 2007-03-15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824865B1 (ko) * 2007-03-16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889624B1 (ko) 2007-05-25 2009-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0867922B1 (ko) 2007-10-09 2008-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8334063B2 (en) 2008-09-22 2012-12-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016849B1 (ko) * 2008-12-03 2011-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10048774A (ko) * 2009-11-03 2011-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20110281140A1 (en) * 2010-05-14 2011-11-17 Lee Seong-Joon Battery pack
KR101422656B1 (ko) 2012-02-07 2014-07-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KR101401477B1 (ko) * 2012-08-02 2014-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101287411B1 (ko) * 2012-12-27 2013-07-19 (주)열린기술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JP6018937B2 (ja) * 2013-01-29 2016-11-0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極部材、および、電池ブロック
CN104242366A (zh) * 2013-06-18 2014-12-24 刘瑞桂 一种加装有防过充电功能的电路板的12伏蓄电池
WO2016004079A1 (en) 2014-06-30 2016-01-07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for a cordless power tools
CN104551512B (zh) * 2014-12-11 2016-09-07 宁夏中科天际防雷股份有限公司 铅酸电池极群焊接模组
JP6454542B2 (ja) * 2014-12-26 2019-01-16 Fdk株式会社 外付けptc素子、および筒形電池
KR102610886B1 (ko) * 2023-06-23 2023-12-06 (주)티와이 캔 타입 이차전지 및 이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7005749A1 (en) * 1986-03-19 1987-09-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ermetically sealed lead storage battery
JPH0877995A (ja) 1994-09-09 1996-03-22 Fuji Elelctrochem Co Ltd 防爆安全装置を備えた電池
JP3096615B2 (ja) 1995-06-02 2000-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外装缶の二次電池
JP3066338B2 (ja) 1996-03-27 2000-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 池
JP3675954B2 (ja) 1996-06-10 2005-07-27 三洋電機株式会社 リード板付き電池
JP4056147B2 (ja) 1997-09-30 2008-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
JP3454748B2 (ja) * 1999-02-26 2003-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100515572B1 (ko) * 2000-02-08 2005-09-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첩 전기화학 셀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2313295A (ja) 2001-04-11 2002-10-25 Gs-Melcotec Co Ltd 二次電池パック
JP3737389B2 (ja) * 2001-06-19 2006-01-18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767B1 (ko) * 2002-09-23 2009-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 플레이트를 가지는 리튬이차 전지
US7173512B2 (en) 2004-03-17 2007-02-06 Lg Cable, Ltd. Thermistor having improved lead structure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thermistor
KR100824898B1 (ko) * 2007-04-19 2008-04-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 전지
US7887948B2 (en) 2007-04-19 2011-02-15 Samsung Sdi Co., Ltd. Pack type battery
KR20150120261A (ko) * 2014-04-17 2015-10-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류 분산 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20190012060A (ko) * 2017-07-26 2019-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속플레이트를 가지는 배터리 보호회로 모듈,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셀과 배터리 보호회로의 연결 방법
CN112332037A (zh) * 2020-11-13 2021-02-05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网格化结构设计的锂离子电池极耳及其制备方法
WO2023153900A1 (ko) * 2022-02-14 2023-08-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벤팅부를 구비하는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26651A1 (en) 2004-07-01
JP2004214181A (ja) 2004-07-29
CN1512609A (zh) 2004-07-14
KR100502337B1 (ko) 2005-07-20
US7611797B2 (en) 2009-11-03
CN100380713C (zh) 2008-04-09
JP4414212B2 (ja)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337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477752B1 (ko) 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 전지
JP4488937B2 (ja) 二次電池
JP5426970B2 (ja) 保護回路組立体、電池組立体及び保護回路組立体と電池組立体との結合方法
KR100551887B1 (ko) 이차전지
KR100515354B1 (ko) 이차 전지
JP4558671B2 (ja) 二次電池
KR100624966B1 (ko) 이차전지
JP2008103324A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77754B1 (ko) 전지 팩
KR100490545B1 (ko) 이차 전지
KR100490547B1 (ko) 보호 수단을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490546B1 (ko) 이차전지
KR20080035401A (ko) 리튬 이차전지
KR100490634B1 (ko) 이차 전지
KR100457627B1 (ko) 비용접식 바닥 플레이트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0490544B1 (ko) 이차 전지
KR100949329B1 (ko) 이차전지
KR100659865B1 (ko) 이차 전지
KR20040043038A (ko) Pct 소자 및, 그것을 구비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