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477B1 -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477B1
KR101401477B1 KR1020120150600A KR20120150600A KR101401477B1 KR 101401477 B1 KR101401477 B1 KR 101401477B1 KR 1020120150600 A KR1020120150600 A KR 1020120150600A KR 20120150600 A KR20120150600 A KR 20120150600A KR 101401477 B1 KR101401477 B1 KR 10140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metal plate
battery
connecting part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079A (ko
Inventor
양정훈
조영석
최승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551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JP5930125B2/ja
Priority to PCT/KR2012/011376 priority patent/WO2014021519A1/ko
Priority to EP12882311.9A priority patent/EP2827404B1/en
Priority to PL12882311T priority patent/PL2827404T3/pl
Priority to CN201280072572.XA priority patent/CN104303336B/zh
Priority to US13/963,373 priority patent/US8890648B2/en
Publication of KR2014001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6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fus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6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400 degrees C
    • B23K35/262Sn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3/00Alloys based on t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08Fusi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of the fusibl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은,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일측 단부의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일측 단부의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극을 채우는 합금 브릿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회로가 정상 작동하지 않아 이차전지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 경로상에 설치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이 신속히 파단됨으로서 이차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이 적용됨에 따른 저항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품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도 과전류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Connecting element for secondary battery,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 휴대용 PC 등의 휴대용 전기 제품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그 구동 전원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이차전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폰, 랩탑 컴퓨터, 파워 툴,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기존의 납 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니켈-아연전지 등 다른 이차전지와 비교하여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고 급속 충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의 증가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다수의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고출력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파워툴, 전기 자전거, 전력저장장치, UPS 등에 사용된다.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전지와 고분자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고분자 고체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전해액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완전 고체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와 전해액을 함유하고 있는 겔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나눌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전지의 경우 대개 원통이나 각형의 금속 캔을 용기로 하여 용접 밀봉시킨 형태로 사용된다. 이런 금속 캔을 용기로 사용하는 캔형 이차전지는 형태가 고정되므로 이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제품의 디자인을 제약하는 단점이 있고, 부피를 줄이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와 전해질을 필름으로 만든 파우치 포장재에 넣고 밀봉하여 사용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리튬 이차전지는 과열이 될 경우 폭발 위험성이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리튬 이차전지의 과열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발생되는데, 그 중 하나가 리튬 이차전지를 통해 한계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과전류가 흐르면 리튬 이차전지가 주울열에 의해 발열을 하므로 전지의 내부 온도가 급속하게 상승한다. 또한 온도의 급속한 상승은 전해액의 분해 반응을 야기하여 열폭주 현상(thermal runaway)을 일으킴으로써 결국에는 전지의 폭발까지 이어지게 된다. 과전류는 뾰족한 금속 물체가 리튬 이차전지를 관통하거나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의 수축에 의해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절연이 파괴되거나 외부에 연결된 충전 회로나 부하의 이상으로 인해 돌입전류(rush current)가 전지에 인가되는 등의 경우에 발생된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는 과전류의 발생과 같은 이상 상황으로부터 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회로와 결합되어 사용되며, 상기 보호회로에는 과전류가 발생되었을 때 충전 또는 방전전류가 흐르는 선로를 비가역적으로 단선시키는 퓨즈 소자가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리튬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과 결합되는 보호회로의 구성 중 퓨즈 소자의 배치 구조와 동작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회로는 과전류 발생 시 배터리 팩을 보호하기 위해 퓨즈 소자(1), 과전류 센싱을 위한 센스 저항(2), 과전류 발생을 모니터하여 과전류 발생 시 퓨즈 소자(1)를 동작시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 및 상기 퓨즈 소자(1)에 동작 전류의 유입을 스위칭하는 스위치(4)를 포함한다.
퓨즈 소자(1)는 배터리 팩의 최 외측 단자에 연결된 주 선로에 설치된다. 주 선로는 충전 전류 또는 방전 전류가 흐르는 배선을 말한다. 도면에는, 퓨즈 소자(1)가 고전위 선로(Pack+)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퓨즈 소자(1)는 3단자 소자 부품으로 2개의 단자는 충전 또는 방전 전류가 흐르는 주 선로에, 1개의 단자는 스위치(4)와 접속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주 선로와 직렬 연결되며 특정 온도에서 융단이 이루어지는 퓨즈(1a)와, 상기 퓨즈(1a)에 열을 인가하는 저항(1b)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는 센스 저항(2) 양단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과전류 발생 여부를 모니터하며, 과전류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4)를 턴 온 시킨다. 그러면 주 선로에 흐르는 전류가 퓨즈 소자(1) 측으로 바이패스되어 저항(1b)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저항(1b)에서 발생된 주울열이 퓨즈(1a)에 전도되어 퓨즈(1a)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퓨즈(1a)의 온도가 융단 온도까지 오르게 되면 퓨즈(1a)가 융단 됨으로써 주 선로가 비가역적으로 단선된다. 주 선로가 단선되면 과전류가 더 이상 흐르지 않게 되므로 과전류로부터 비롯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마이크로 컨트롤러(3)에서 고장이 생기면 과전류가 발생된 상황에서도 스위치(4)가 턴 온 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퓨즈 소자(1)의 저항(1b)으로 전류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퓨즈 소자(1)가 동작을 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호회로 내에 퓨즈 소자(1)의 배치를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고 퓨즈 소자(1)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알고리즘이 마이크로 컨트롤러(3)에 반드시 적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호회로의 공간 효율성이 저하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3)의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보호회로가 갖는 과전류 차단 기능과는 별도로 이차전지 자체가 과전류 차단 기능을 갖도록 구현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부품은,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으로서, 일측 단부의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일측 단부의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극을 채우는 합금 브릿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는, 동일 평면 상에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합금 브릿지의 표면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의 대향 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의 대향 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의 대향 면이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향 면 각각은, 각 진 형상 또는 라운드 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합금 브릿지는, 주석과 구리를 함유하는 무연 합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석의 함량은 상기 무연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wt% 내지 98wt% 이고, 구리의 함량은 2wt% 내지 20wt%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무연 합금은, 니켈, 아연 및 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금속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금속의 함량은, 상기 무연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wt% 내지 10wt%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무연 합금은, 100℃ 내지 250℃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셀, 상기 단위 셀을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 단자 및 상기 단위 셀과 외부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버스 바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 버스 바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터 버스 바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보호회로가 정상 작동하지 않아 이차전지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 경로상에 설치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이 신속히 파단됨으로서 이차전지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이 적용됨에 따른 저항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이 비교적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품으로서 적용되는 경우에도 과전류에 대한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배터리 모듈과 결합되는 보호회로의 구성 중 퓨즈 소자의 배치 구조와 동작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을 X-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한 단락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을 X-X'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은 제1 금속 플레이트(11), 제2 금속 플레이트(12) 및 합금 브릿지(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 및 제2 금속 플레이트(12)는 얇은 판상의 금속으로서 간극을 사이에 두고 동일 평면 상에 나란하게 위치한다.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는 그 일측 단부의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된 제1 돌출부(11a)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12)는 그 일측 단부의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융기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12a)를 구비하며, 제2 돌출부(12a)는 제1 돌출부(11a)와 대향한다.
상기 돌출부(11a,12a)의 높이(H) 및 폭(W)은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의 전기 전도성, 과전류에 대한 안전성(파단 용이성) 및 인장 강도와 같은 특성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합금 브릿지(13)가 형성되는 폭, 즉 접합 영역(A)의 폭을 일정하게 고정시켰을 때, 상기 높이(H)가 증가함에 따라 부품이 갖는 전기 전도성은 우수해지는 반면 과전류에 대한 안전성 및 인장 강도는 떨어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접합 영역(A)의 폭을 일정하게 고정시켰을 때, 상기 폭(W)이 증가함에 따라 부품이 갖는 전기 전도성은 떨어지는 반면 과전류에 대한 안전성 및 인장 강도 특성은 우수해지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관점을 달리 하여,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a,12a)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고정시켰을 때, 상기 높이(H)가 증가함에 따라 부품이 갖는 전기 전도성은 감소하는 반면 과전류에 대한 안전성 및 인장 강도는 향상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한 쌍의 돌출부(11a,12a)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고정시켰을 때, 상기 폭(W)이 증가함에 따라 부품이 갖는 전기 전도성은 우수해지는 반면 과전류에 대한 안전성 및 인장 강도는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이는 금속 플레이트(11,12)를 이루는 금속이 합금 브릿지(13)를 이루는 합금과 비교하여 전기 전도성은 더 우수한 반면, 융점은 훨씬 높고 연성(ductility)에 있어서는 떨어지는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1a,12a)의 높이(H) 및 폭(W)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도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신속히 파단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a,12a) 각각의 대향 면(S1,S2)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대향 면(S1,S2)은 금속 플레이트(11,12)의 길이 방향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평면 형태를 갖되, 서로 평행하도록(도 3 참조)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도 4 참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 면(S1,S2)은 서로를 향해 대략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를 갖되 각 진 형상(도 5 참조) 또는 라운드 진 형상(도 6 참조)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를 예로 들어 상기 돌출부(11a,12a) 각각의 대향 면(S1,S2)의 형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대향 면(S1,S2)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금속 플레이트(11,12)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입되거나,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를 갖는 경우처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11,12)는 구리(Cu) 또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로써 본 발명의 금속 플레이트(11,12)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전도성 금속 재질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재질의 종류는 금속 플레이트(11,12)와 결합되는 부품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금속 플레이트(11,12)의 재질은 결합되는 부품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용접성 향상 및 접촉저항 최소화의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결합되는 부품의 재질에 따라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11)와 제2 금속 플레이트(12)가 서로 다른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합금 브릿지(13)는 금속 플레이트(11,12)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금속 플레이트(11,12)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채운다. 상기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있어서 합금 브릿지(13)가 신속히 용융될 수 있도록 합금 브릿지(13)의 표면은 제1 금속 플레이트(11) 및 제2 금속 플레이트(12) 각각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금 브릿지(13)를 이루는 합금은 금속 플레이트(11,12)의 융점보다 낮은 대략 100℃ 내지 250℃의 융점을 가지며, 주석(Sn) 및 구리(Cu)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되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납(Pb)을 함유하지 않는 무연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합금 브릿지(13)를 이루는 합금의 융점 범위는 차단하고자 하는 과전류의 레벨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합금의 융점이 100℃보다 낮으면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적용된 이차전지에 정상적인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합금이 용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금의 융점이 250℃보다 높으면 합금의 용융이 신속하게 일어날 수 없게 되어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합금의 성분 중 주석은 합금의 융점과 인장강도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합금이 대략 100℃ 내지 250℃ 범위의 융점을 가지면서도 양호한 인장강도 특성을 갖도록 주석의 함량은 대략 80wt% 이상, 바람직하게는 85wt% 내지 98wt% 의 범위에서 조절된다. 상기 구리는 합금의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기능을 감안하여 구리의 함량은 대략 2wt% 내지 20wt% 의 범위에서 조절되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4wt% 내지 15wt% 의 범위에서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wt%는 합금 브릿지(13)를 이루는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한 단위이다(이하, 동일함).
상술한 바와 같이 주석과 구리의 함량이 적절한 범위를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합금 브릿지(13)를 이루는 합금의 인장 강도를 양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합금 브릿지(13)에 의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의 저항 증가를 수% 이내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합금 브릿지(13)는 보다 향상된 물성을 갖기 위해 주석과 구리 이외에 니켈(Ni), 은(Ag), 아연(Zn) 등과 같이 전기 전도도가 좋은 금속을 추가 합금 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합금 성분의 함량은 합금의 전체 중량 대비 대략 0.01wt% 내지 10w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은 상대적으로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및 상대적로 낮은 융점을 갖는 합금이 조합된 이중 구조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전도성과 과전류에 대한 신속한 파단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은 금속 플레이트(11,12) 각각이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된 돌출부(11a,12a)를 구비함으로써 버스 바 또는 인터 버스 바와 같이 비교적 두꺼운 부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퓨징(Fusing)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퓨징에 의해 완전히 파단되는 것이 어려운 면이 있는데, 돌출부(11a,12a)의 높이(H) 및 폭(W)을 적절히 조절하여 접합 영역(A) 내의 저항 값을 허용 가능한 범위에서 최대화함으로써 다른 물성들(인장강도, 전기 전도도 등)의 희생을 최소화 하면서도 충분한 퓨징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도 3 참조).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M)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M)은 서로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셀(미도시), 단위 셀을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20), 외장 케이스(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외부 단자(30) 및 단위 셀과 외부 단자(30) 사이를 연결하는 버스 바(1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배터리 모듈(M)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적용된 버스 바를 구비함으로써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상의 저항 값이 지나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위 셀이 다수개 직렬로 연결된 경우 과전류에 따른 위험성 및 저항 증가에 따른 전력 손실이 더욱 커질 수 있는데, 돌출부(11a,12a)의 높이(H) 및 폭(W)이 적절히 조절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재(10)를 버스 바로 적용함으로써 과전류에 대한 안정성 및 저 저항성(Low Resistance)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다음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P)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P)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 및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인터 버스 바(1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 버스 바(10)는 서로 인접한 배터리 모듈 각각의 버스 바 사이(도 8 참조) 또는 외부 단자 사이(도 9 참조)를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모듈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즉, 상기 배터리 팩(P)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적용된 인터 버스 바를 구비함으로써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상의 저항 값이 지나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터리 모듈이 다수개 직렬로 연결된 경우 과전류에 따른 위험성 및 저항 증가에 따른 전력 손실은 앞서 설명한 배터리 모듈(M)의 경우보다도 더욱 커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재(10)를 인터 버스 바로 적용함으로써 안전성 및 저 저항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P)을 구성하는 배터리 모듈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버스 바로서 적용된 배터리 모듈(M)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구조의 버스 바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일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적용된 배터리 팩(P)에 대한 단락 실험 결과가 나타난다. 실험은 두 개의 배터리 모듈이 연결된 배터리 팩(P)의 양 단 사이에 단락을 발생시켜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적용된 인터 버스 바가 파단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상기 그래프는 단락이 발생함으로써 과전류가 발생된 시점(실험 시작 후 2초가 경과된 시점)으로부터 대략 2초 후에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었음을 보여주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10)이 과전류 발생 시 신속히 파단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11: 제1 금속 플레이트 11a: 제1 돌출부
12: 제2 금속 플레이트 12a: 제2 돌출부
13: 합금 브릿지 20: 외장 케이스
30: 외부 단자 M: 배터리 모듈
P: 배터리 팩

Claims (14)

  1. 이차전지에 흐르는 전류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으로서,
    일측 단부의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된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금속 플레이트;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고, 일측 단부의 두께 방향 중심부로부터 융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대향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극을 채우는 합금 브릿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는 동일 평면 상에 나란하게 위치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 브릿지의 표면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제2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의 대향 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의 대향 면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는,
    각각의 대향 면이 서로를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면 각각은,
    각 진 형상 또는 라운드 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 브릿지는,
    주석과 구리를 함유하는 무연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의 함량은 상기 무연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80wt% 내지 98wt% 이고, 구리의 함량은 2wt% 내지 2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 합금은,
    니켈, 아연 및 은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금속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금속의 함량은,
    상기 무연 합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wt% 내지 10w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연 합금은,
    100℃ 내지 250℃의 융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13.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단위 셀, 상기 단위 셀을 수용하는 외장 케이스,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부 단자 및 상기 단위 셀과 외부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는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14. 복수개의 배터리 모듈 및 상기 배터리 모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 버스 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인터 버스 바는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20150600A 2012-08-02 2012-12-21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10140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17159A JP5930125B2 (ja) 2012-08-02 2012-12-24 二次電池用コネクティング部品、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PCT/KR2012/011376 WO2014021519A1 (ko) 2012-08-02 2012-12-24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EP12882311.9A EP2827404B1 (en) 2012-08-02 2012-12-24 Connecting element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PL12882311T PL2827404T3 (pl) 2012-08-02 2012-12-24 Element łączący dla baterii akumulatorowej oraz zawierające go moduł akumulatorowy i pakiet akumulatorowy
CN201280072572.XA CN104303336B (zh) 2012-08-02 2012-12-24 用于二次电池的连接元件和包括连接元件的电池模块和电池组
US13/963,373 US8890648B2 (en) 2012-08-02 2013-08-09 Connecting element for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4944 2012-08-02
KR1020120084944 2012-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079A KR20140018079A (ko) 2014-02-12
KR101401477B1 true KR101401477B1 (ko) 2014-05-29

Family

ID=5026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600A KR101401477B1 (ko) 2012-08-02 2012-12-21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90648B2 (ko)
EP (1) EP2827404B1 (ko)
JP (1) JP5930125B2 (ko)
KR (1) KR101401477B1 (ko)
CN (1) CN104303336B (ko)
PL (1) PL2827404T3 (ko)
WO (1) WO2014021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2398B2 (ja) * 2014-08-06 2017-12-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過電流遮断機能付き電線
KR20160026469A (ko) 2014-09-01 2016-03-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저전압 센싱모듈 일체형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모듈
KR102415749B1 (ko) * 2015-08-05 2022-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전지
KR102382386B1 (ko) * 2018-02-09 2022-04-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류 차단부를 구비한 버스바 및 그것을 포함한 배터리 모듈
KR102242249B1 (ko) 2018-02-12 2021-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류 차단 장치 및 그 전류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HUE061911T2 (hu) * 2018-08-08 2023-08-28 Lg Energy Solution Ltd Olvadókészülék
KR102532768B1 (ko) * 2018-11-30 2023-05-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7336264B2 (ja) * 2019-05-29 2023-08-31 株式会社マキタ バッテリパック
KR20210121786A (ko)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종금속으로 이루어진 hv 버스 바 및 이의 제조 방법
EP4113735B1 (de) * 2021-07-02 2023-11-22 Intercable Automotive Solutions GmbH Hochvolt thermosicherung
CN114142183B (zh) * 2021-11-30 2023-05-23 重庆长安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芯与测试线束的连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980A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항값이 조절된 전극 탭 또는 전지간 연결용 도선
KR20100041505A (ko) * 2008-10-14 201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접속 패드, 이를 포함하는 2차 전지의 보호회로 모듈 및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932A (en) * 1908-07-20 1910-03-01 William J Lehmann Electric fuse.
US2729802A (en) * 1954-05-21 1956-01-03 John C Jordan Battery connector
US2809257A (en) * 1954-10-04 1957-10-08 Chase Shawmut Co Composite fuse links of silver and copper
US4315235A (en) * 1980-07-31 1982-02-09 Jacobs Jr Philip C Composite fusible element for electric current-limiting fuses
JPS62123066U (ko) * 1986-01-27 1987-08-05
US4778733A (en) * 1986-07-03 1988-10-18 Engelhard Corporation Low toxicity corrosion resistant solder
US5120617A (en) * 1989-12-13 1992-06-09 Cameron Robert W Vehicle battery having integral safety switch
JPH0541205A (ja) * 1991-08-07 1993-02-19 Toshiba Battery Co Ltd アルカリ二次電池
JP3066338B2 (ja) * 1996-03-27 2000-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 池
JP3562685B2 (ja) * 1996-12-12 2004-09-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3562696B2 (ja) * 1997-12-16 2004-09-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JP2000164111A (ja) * 1998-03-16 2000-06-16 Yazaki Corp 自動車用大電流ヒュ―ズ
JP4287543B2 (ja) * 1998-12-22 2009-07-0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回路の安全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3454748B2 (ja) * 1999-02-26 2003-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US6507265B1 (en) * 1999-04-29 2003-01-14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se with fuse link coating
JP3516259B2 (ja) * 1999-05-18 2004-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直付け用大電流ヒューズ
JP2001110297A (ja) * 1999-10-05 2001-04-20 Yazaki Corp 大電流ヒューズ
US6162098A (en) * 2000-02-02 2000-12-19 Cheng; Wen Tzung Modified connector for car battery
JP4083991B2 (ja) * 2000-02-09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4429476B2 (ja) * 2000-05-16 2010-03-10 内橋エステック株式会社 電気部品内蔵用ヒュ−ズ素子
JP3478785B2 (ja) * 2000-07-21 2003-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温度ヒューズ及びパック電池
US6607860B2 (en) * 2001-01-24 2003-08-19 Ewd, L.L.C. Serviceable fused battery terminal
EP1239506B1 (en) * 2001-03-07 2012-04-25 Yazaki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and fuse box
JP2002313295A (ja) * 2001-04-11 2002-10-25 Gs-Melcotec Co Ltd 二次電池パック
JP2002329453A (ja) * 2001-04-27 2002-11-15 Yazaki Corp 連鎖型ヒューズ組立体およびそのレイアウト方法
JP3845266B2 (ja) * 2001-05-01 2006-11-1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ユニット
JP3737389B2 (ja) * 2001-06-19 2006-01-18 京セラ株式会社 バッテリー
EP1300867A1 (fr) * 2001-10-03 2003-04-09 Metalor Technologies International S.A. Element de fusibl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JP4142312B2 (ja) * 2002-02-28 2008-09-03 ハリマ化成株式会社 析出型はんだ組成物及びはんだ析出方法
US6767411B2 (en) * 2002-03-15 2004-07-27 Delphi Technologies, Inc. Lead-free solder alloy and solder reflow process
KR100502337B1 (ko) * 2002-12-26 2005-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US6855008B1 (en) * 2003-10-06 2005-02-15 Royal Die & Stamping Co., Inc. Fuse holder with adjustable terminals
DE102004052476B4 (de) * 2003-10-31 2007-08-09 Yazaki Corp. Sicherungsanordnung
CN1562553A (zh) * 2004-03-25 2005-01-12 戴国水 锡锌铜无铅焊料
WO2006011710A1 (en) * 2004-07-26 2006-02-02 Lg Chem,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pcm and battery cell and secondary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KR100601533B1 (ko) * 2004-07-28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이차보호소자
KR100905391B1 (ko) * 2004-12-24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US20070099073A1 (en) * 2005-10-31 2007-05-03 White Daniel J Cell connection straps for battery cells of a battery pack
KR100889243B1 (ko) * 2005-12-02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코어 팩의 제조방법
JP2007280898A (ja) * 2006-04-12 2007-10-25 Toyota Motor Corp 端子接続構造および蓄電機構ならびに電動車両
KR101001447B1 (ko) * 2006-09-01 2010-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전압 센싱 패드, 이를 포함하는 2차 전지의보호회로 모듈 및 전지 팩, 및 2차 전지 팩 조립 방법
JP4609432B2 (ja) * 2007-01-19 2011-01-1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ヒューズ付き蓄電デバイス用リード端子及び非水電解質蓄電デバイス
JP2008181822A (ja) * 2007-01-25 2008-08-07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7488213B2 (en) * 2007-03-30 2009-02-10 Paccar Inc. Fuse holder assembly
US7924137B2 (en) * 2007-09-10 2011-04-1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Battery fuse assembly
CA2709120A1 (en) * 2007-12-25 2009-07-02 Byd Company Limited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coiled core
KR101082862B1 (ko) * 2008-10-14 2011-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8615869B2 (en) * 2008-11-28 2013-12-31 Siemens Sas System for assembling electrical energy modules
JP5958841B2 (ja) * 2011-06-17 2016-08-02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部品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二次電池及びマルチ電池システム
JP5930047B2 (ja) * 2011-09-16 2016-06-0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部品を使用して製造された二次電池及び組立二次電池装置
WO2013081375A1 (ko) * 2011-11-28 2013-06-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버스 바
WO2013103244A1 (ko) * 2012-01-03 2013-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바
JP5881228B2 (ja) * 2012-05-08 2016-03-0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極リード及びそれを含む二次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980A (ko) * 2007-05-15 2008-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항값이 조절된 전극 탭 또는 전지간 연결용 도선
KR20100041505A (ko) * 2008-10-14 201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셀 접속 패드, 이를 포함하는 2차 전지의 보호회로 모듈 및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03336B (zh) 2018-03-02
KR20140018079A (ko) 2014-02-12
CN104303336A (zh) 2015-01-21
US8890648B2 (en) 2014-11-18
WO2014021519A1 (ko) 2014-02-06
PL2827404T3 (pl) 2019-10-31
EP2827404B1 (en) 2019-05-01
EP2827404A4 (en) 2015-10-07
US20140038471A1 (en) 2014-02-06
EP2827404A1 (en) 2015-01-21
JP5930125B2 (ja) 2016-06-08
JP2015519715A (ja)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477B1 (ko)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101433199B1 (ko)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모듈에 적용되는 버스 바
KR101690295B1 (ko) 과전류 차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시스템
KR101463196B1 (ko)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커넥팅 바
KR101614434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셀
KR101812273B1 (ko) 전류 차단용 버스 바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101632417B1 (ko)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455769B1 (ko) 전극 리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40064093A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및 이에 적용되는 버스 바
KR20150062694A (ko) 이차전지용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40110190A (ko) 이차전지용 안전 킷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40125704A (ko) 절연 층을 구비하는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및 이차전지 팩
KR20140008908A (ko)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20140011206A (ko)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