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862B1 -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 Google Patents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862B1
KR101082862B1 KR1020080100624A KR20080100624A KR101082862B1 KR 101082862 B1 KR101082862 B1 KR 101082862B1 KR 1020080100624 A KR1020080100624 A KR 1020080100624A KR 20080100624 A KR20080100624 A KR 20080100624A KR 101082862 B1 KR101082862 B1 KR 10108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electrode terminal
medium
insulating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1442A (ko
Inventor
이진규
여재성
윤종문
신용식
이범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10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862B1/ko
Priority to US13/121,070 priority patent/US9246152B2/en
Priority to EP09820702.0A priority patent/EP2337119B1/en
Priority to PCT/KR2009/005404 priority patent/WO2010044552A2/ko
Priority to JP2011530934A priority patent/JP5651875B2/ja
Priority to CN200980138229.9A priority patent/CN102165630B/zh
Priority to RU2011111446/07A priority patent/RU2454754C1/ru
Publication of KR2010004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팩으로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전극단자들과 결합되어 있는 도전성 접속부재, 및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단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 상에 장착되어 있는 단전용 커터로 이루어진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Battery Pack Contain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팩으로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전극단자들과 결합되어 있는 도전성 접속부재, 및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단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 상에 장착되어 있는 단전용 커터로 이루어진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중대형 전지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전지모듈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카트리지에 내장하고, 이러한 카트리지 다수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작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높은 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전지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팩 또는 시스템으로 제작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중대형 전지팩은 두께 방향의 변형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높으나, 전지셀의 전극단자 방향의 변형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중대형 전지팩과 같이 다수의 전지셀들이 직렬로 전기적 연결되어 있는 경우,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력의 인가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부위에서 단락이 발생하여 방화 또는 폭발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외력의 인가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연결부위를 단전할 수 있는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과 같이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도전성 접속부재를 절단하여 전지모듈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전지팩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수준을 전지모듈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특정한 구조의 도전성 접속부재 및 단전용 커터로 이루어진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팩으로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전극단자들과 결합되어 있는 도전성 접속부재; 및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단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 상에 장착되어 있는 단전용 커터;
로 이루어진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대형 전지팩은 전극단자들을 연결하는 도전성 접속부재와 도전성 접속부재를 단전시키는 단전용 커터로 구성된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력의 인가시 도전성 접속부재가 단전용 커터에 의해 용이하게 단전될 수 있어서, 전지팩의 통전 상태를 단전 상태로 변환시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중대형 전지팩과 비교하여, 추가 부품의 필요 없이 기존의 도 전성 접속부재에 기구적으로 작동하는 단순한 구조의 단전용 커터만 추가함으로써 충돌 발생시 소망하는 전지팩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극단자 연결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충돌 발생시 외부 구조물의 침몰 하중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작동 신뢰성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상기 단전은 예를 들어,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단전용 커터가 도전성 접속부재를 물리적으로 파단시켜 달성될 수 있다.
즉,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은 단전용 커터를 도전성 접속부재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러한 단전용 커터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를 연결하는 도전성 접속부재의 일부 부위를 파단시켜 전지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을 단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전지팩이 단전용 커버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전성 접속부재의 소망하는 파단을 유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전용 커터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물리적으로 용이하게 파단 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첨단(尖端) 형상의 단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뾰족한 형상의 단부가 도전성 접속부재의 파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단전용 커터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전기적인 스파크 없이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도록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단부에 위치하는 금속 첨단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단전용 커터의 본체를 절연성 소재로 구성하고 파단하는 부분만 금속 소재의 첨단부로 구성하는 경우, 금속 소재의 첨단부에 의해 도전성 접속부재의 파단을 달성할 수 있고, 이러한 파단시 도전성 접속부재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흐름이 절연성 소재의 본체에 의해 멈춰질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세라믹,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금속 소재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철, 니켈, 알루미늄, 구리,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지팩의 길이 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전지팩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전성 접속부재는 단전용 커터에 의해 확실히 단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확실한 단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는 단전용 커터에 대응하는 부위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만입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접속부재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각각 내측으로 만입되어 있어서, 파단 부위의 크기 감소에 의해, 단전용 커터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도전성 접속부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전성 부재의 만입되어 있는 부위를 용이하게 커팅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변형 예로서, 도전성 접속부재는 단전용 커터에 대응하는 부위에 파단이 용이하도록 노치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는 전극단자들의 전기적인 연결을 달성하기 위한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판상의 금속 부재로서 전극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 전지모듈의 전극단자가 삽입되도록 위치시켜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접속부재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극단자들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극단자 삽입용 관통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는 전극단자의 위치 편차 발생시에도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긴 내경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전극단자의 돌출부는 그것의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볼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소정의 체결부재가 그러한 전극단자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극단자의 외면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너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볼트 구조의 전극단자는 도전성 접속부재의 관통구를 통해 돌출된 상태에서 너트 구조의 체결부재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 연결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도전성 접속부재의 양측 단차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도전성 접속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절연성 외장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극단자 연결장치는 상기와 같은 특정한 구조의 도전성 접속부재 및 절연성 외장부재에 의해,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에 대한 도전성 접속부재 의 결합과 동시에 절연성 외장부재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절연성 외장부재에 의해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단락의 위험성을 방지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조의 구체적인 예로서, 도전성 접속부재는 양측 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단차를 형성하면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속부재의 장착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하향 테이퍼 구조의 체결구가 돌출되어 있어서, 도전성 접속부재의 양측 단부는 하향 테이퍼 구조의 체결구에 의해 절연성 외장부재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상에 절연성 외장부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전성 접속부재를 절연성 외장부재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하향 테이퍼 구조의 체결구는, 도전성 접속부재가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것은 가능하도록 하지만, 삽입된 이후에는 도전성 접속부재가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조에서,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부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충격의 인가시 상기 단전용 커터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은 단전용 커터를 소망하는 도전성 접속부재의 파단 부위에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절연성 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성 외장부재의 전기적 연결부위를 절연성 캡에 의해 밀폐시킴으로써, 도전성 접속부재에 흐르는 전기를 외부와 완벽하게 차단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와 도전성 접속부재가 연결되는 부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이물질의 유입, 수분의 침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절연성 캡은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절연성 외장부재에 장착되거나, 절연성 외장부재를 작은 폭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그것의 상단부에 밀착되거나,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의 일측에 힌지 구조로 부착되어 있거나, 소정의 체결구조에 의해 결합방식으로 장착되는 구조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절연성 캡은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와 같이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전용 커터는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인가될 때 도전성 접속부재를 용이하게 단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절연성 캡에 분리된 상태로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절연성 캡에 결합된 상태로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출력 대용량의 제공을 위해 다수의 전지모듈을 적층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한 구조의 중대형 전지팩에서, 최종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는 전지모듈의 동력을 필요로 하는 외부의 디바이스와 동력 케이블 등과 같은 선형 접속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지모듈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전지모듈을 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수동으로 전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양극 또는 음극 회로의 경로 상에 서비스 플러그(service plug)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 각각의 전지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들 중 최종 전지모듈 또는 서비스 플러그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필요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에 장착되는 절연성 외장부재는, 각각의 전극단자와 연결되는 선형 접속부재의 배선을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의 일측 외면에는 다른 선형 접속부재의 장착 및 배선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중공형의 가이드가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는 소망하는 선형 접속부재의 배선 위치에 따라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전극단자들에 대응하는 전지모듈의 케이스 부위는,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도전성 커터에 의한 도전성 접속부재의 파단이 용이할 수 있도록, 도전성 커터에 대응하는 부위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지팩은 동일 면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모두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다수 개를 충적시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들을 동일한 면에 형성함으로써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들이 각각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전극단자들의 돌출부위로 인해 발생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지팩을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지모듈들의 전극단자들은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들의 전기적 접속부위에 전극단자 연결장치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절연성 캡들이 다수 개의 전극단자 연결장치들의 개방 상단을 동시에 밀폐하도록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절연성 캡은 하나로 이루어진 일체형, 두 개로 이루어진 분리형 또는 각각의 절연성 외장부재를 밀폐하기 위한 개별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망하는 전극단자 연결장치의 밀폐부위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여러 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팩에서는, 전지모듈의 작동 상태를 확인하고 전지모듈을 수리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차량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단전을 필요로 하는 긴급상황 발생시 수동으로 전기를 차단하는 서비스 플러그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대형 전지팩은, 충적된 일련의 전지모듈들의 배열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기적 접속부위에, 필요에 따라 단전을 이룰 수 있도록 서비스 플러그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지모듈 다수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전극단자 연결장치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전극단자들과 결합되고 양측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접속부재;
전지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도전성 접속부재를 단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단전용 커터; 및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도전성 접속부재의 양측 단차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도전성 접속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절연성 외장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단자 연결장치는 도전성 접속부재, 단전용 커터, 및 절연성 외장부재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단전용 커터에 의해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도전성 접속부재를 용이하게 파단 및 단전시킬 수 있으며, 전지모듈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소망하는 출력의 크기와 용량에 맞도록 전지팩의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다수의 전지모듈이 적층된 형상의 측면 구조에 대한 부분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출력 대용량의 전력을 제공하는 중대형 전지팩은 다수의 전지모듈들(100)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모듈들(100)에서 각각의 전극단자들(110, 120)은 그것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있고, 전지모듈들(100)이 적층되는 방향에 평행하도록 동일한 선상에 배열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돌출된 전극단자들(110, 120)의 외주면에는 전지모듈들(100)을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접속부재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사선(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전극단자 연결장치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중대형 전지팩(900)은 두 개의 전지모듈(102, 104)이 전극단자 연결장치(3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지팩의 출력과 용량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전지모듈들(102, 104)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극단자 연결장치(300)는 전지모듈(102, 104)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전극단자들과 결합되는 도전성 접속부재(320), 전지팩의 길이방향(L)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도전성 접속부재(320)를 단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320) 상에 장착되어 있는 단전용 커터(310), 도전성 접속부재(320)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도전성 접속부재(320)의 양측 단차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도전성 접속부재(320)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절연성 외장부재(330), 및 절연성 외장부재(330)의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절연성 캡(3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의 도전성 접속부재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3 의 절연성 외장부재와 단전용 커터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3의 절연성 캡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도전성 접속부재(320)는 첨단 형상의 단부(312)를 포함하는 단전용 커터(310)에 대응하는 부위의 상단면(322) 및 하단면(324)이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d)를 가지고 만입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팩의 길이 방향(L)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단전용 커터(310)의 단부(312)가 도전성 접속부재(320)를 물리적으로 파단시키게 된다.
또한, 절연성 외장부재(330)의 내부 상면 및 하면에는 충격의 인가시 단전용 커터(310)를 도전성 접속부재(320)의 만입부위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 레일(332, 334)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성 캡(340)의 상단 및 하단 일부 부위에는 힌지 구조의 돌출부(342)가 형성되어 있어서, 절연성 외장부재(330)의 만입부(336)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분리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 연결장치의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전극단자 연결장치(200)는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접속부재(210), 도전성 접속부재(210)와 전극단자의 접속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전성 접속부재(210)를 감싸면서 장착하는 절연성 외장부재(220), 도전성 접속부재(210)를 단전시키는 단전용 커터(310)로 이루어져 있다.
도전성 접속부재(210)에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들(110, 120)과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전극단자 삽입용 관통구(212, 213)가 형성되어 있고, 도전성 접속부재(210)의 양측 단부는 소정의 높이로 단차(a)를 형성하면서 도전성 접속부재(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절연성 외장부재(220)는 도전성 접속부재(210)를 감싸면서 그것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의 높이(h)로 측벽(222)이 형성되어 있고, 전극단자들(110, 120)과 도전성 접속부재(210)의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것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도전성 접속부재(210)의 양측 단자부(214)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한 후면(A)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절연성 외장부재(220)의 내측면(218)에는 대략 도전성 접속부재(210)의 두께에 상응하는 높이에 하향 테이퍼 구조를 가진 한 쌍의 체결구(226)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판상형으로 이루어진 도전성 접속부재(210)는 절연성 외장부재(220)의 개방 상단을 통해 그것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도전성 접속부재(210)의 양 단부가 체결구(226)에 맞물리게 되고, 그러한 결합 후에는 체결구(226)의 테이퍼 구조에 의해 도전성 접속부재(210)가 상단 방향으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극단자 연결장치(350)는 그것의 외장부재(352) 일측 외면에 하부로 연장된 중공형 가이드(354)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형 가이드(354)는 중대형 전지팩에서 최종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에 연결되는 동력 케이블 및 서비스 플러그와 연결되는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의 배선을 유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중공형 가이드(354)를 하부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케이블을 전극단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부로 배선하게 되며, 이와 반대로, 중공형 가이드(354)를 수평으로 180도 회전시켜 전극단자 위치의 상부방향으로 케이블을 배선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중공형 가이드(354)가 우측방향에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좌측방향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사시도들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중대형 전지팩(400)은 동일 면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100) 다수 개를 적층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전지모듈(100)의 전극단자들은 중대형 전지팩(400)의 일측면에 모두 위치하고 있으며, 하나의 전극단자 연결장치(200)는 전지모듈(100)의 양극단자와 그것에 인접하는 전지모듈의 음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도 10에서, 최종 전지모듈(102)의 전극단자들(116, 118)과 중심부에 위치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들(112, 114)에는 동력 케이블 및 서비스 플러그(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배선을 유도하기 위해 중공형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전극단자 연결장치(300)가 장착되어 있다.
즉, 서비스 플러그(122)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중대형 전지팩의 중심부에 위치한 전지모듈 전극단자들(112, 114)로부터 전극단자 연결장치의 중공형 가이드를 관통하여 서비스 플러그(122)에 연결되도록 배선되어 있다.
또한, 절연성 캡(도시하지 않음)은 전극단자 연결장치들(400)의 개방되어 있 는 상부에 장착되어 있어서, 전극단자들(112, 114, 116, 118)과 접속부재들(200, 300)의 연결부위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단락을 방지하게 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접속부재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전성 접속부재(360)는 단전용 커터(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는 부위에 슬릿(362) 또는 노치(364)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의 인가시, 단전용 커터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더욱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은 특정 구조의 도전성 접속부재 및 단전용 커터로 이루어진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과 같이 전지팩의 길이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도전성 접속부재를 절단하여 전지모듈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여 전지팩 수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수준을 전지모듈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단자 연결장치는 전극단자의 연결부에서 전극단자들 상호간의 전기적 연결을 간단한 구조로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추고, 외부 디바이스 또는 내부 디바이스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선형부재의 장착 및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극단자의 연결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단락의 위험성과 수 분 등에 의한 부식의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지모듈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전지모듈이 적층된 형상의 측면 구조에 대한 부분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극단자 연결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도전성 접속부재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연성 외장부재와 단전용 커터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절연성 캡의 모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단자 연결장치의 모식도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전지팩의 사시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접속부재의 모식도이다.

Claims (19)

  1. 전지모듈 다수 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지팩으로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전극단자들과 결합되어 있는 도전성 접속부재; 및
    전지팩의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단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 상에 장착되어 있는 단전용 커터;
    로 이루어진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은 전지팩의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단전용 커터가 도전성 접속부재를 물리적으로 파단시켜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용 커터는 첨단(尖端) 형상의 단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용 커터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단부에 위치하는 금속 첨단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는 단전용 커터에 대응하는 부위의 상단면 및 하단면이 각각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만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는 단전용 커터에 대응하는 부위에 파단이 용이하도록 노치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는 둘 또는 이상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전극단자들의 이격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극단자 삽입용 관통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는 전극단자의 위치 편차 발생시에도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긴 내경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 연결장치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도전성 접속부재의 양측 단차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도전성 접속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절연성 외장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는 양측 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단차를 형성하면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측면에는, 상기 접속부재의 장착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의 돌출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하향 테이퍼 구조의 체결구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부의 (i) 상면 또는 (ii) 하면 또는 (iii) 상면 및 하면에는, 충격의 인가시 상기 단전용 커터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개방 상단에 장착되는 절연성 캡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캡은 힌지 구조 또는 체결 방식으로 절연성 외장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용 커터는 절연성 캡에 분리된 상태로 절연성 외장부재의 내부에 장착되거나, 또는 절연성 캡에 결합된 상태로 절연성 외장부재 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외장부재의 일측 외면에는 다른 선형 접속부재의 장착 및 배선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부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전지모듈의 전극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중공형의 가이드가 연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단자들에 대응하는 전지모듈의 케이스 부위는, 전지팩의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도전성 커터에 의한 도전성 접속부재의 파단이 용이할 수 있도록, 도전성 커터에 대응하는 부위가 내측으로 만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동일 면에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전지모듈 다수 개를 충적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들의 전극단자들은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전극단자들의 전기적 접속부위에 전극단자 연결장치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절연성 캡들이 다수 개의 전극단자 연결장치들의 개방 상단을 동시에 밀폐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지팩.
  19. 전지모듈 다수 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장치로서,
    전지모듈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전극단자들과 결합되어 있고 양측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접속부재;
    전지모듈의 전극단자가 위치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충격이 인가될 때. 도전성 접속부재를 단전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접속부재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는 단전용 커터; 및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고, 도전성 접속부재의 양측 단차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제외하고 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도전성 접속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측벽을 포함하고 있는 절연성 외장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극단자 연결장치.
KR1020080100624A 2008-10-14 2008-10-14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08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24A KR101082862B1 (ko) 2008-10-14 2008-10-14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13/121,070 US9246152B2 (en) 2008-10-14 2009-09-23 Battery pack containing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device
EP09820702.0A EP2337119B1 (en) 2008-10-14 2009-09-23 Medium or large battery pack including electrode connection device
PCT/KR2009/005404 WO2010044552A2 (ko) 2008-10-14 2009-09-23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2011530934A JP5651875B2 (ja) 2008-10-14 2009-09-23 電極端子接続デバイス及び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ーパック
CN200980138229.9A CN102165630B (zh) 2008-10-14 2009-09-23 包含电极连接装置的中型或大型电池组
RU2011111446/07A RU2454754C1 (ru) 2008-10-14 2009-09-23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содержащая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одных выводов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624A KR101082862B1 (ko) 2008-10-14 2008-10-14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442A KR20100041442A (ko) 2010-04-22
KR101082862B1 true KR101082862B1 (ko) 2011-11-11

Family

ID=4210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624A KR101082862B1 (ko) 2008-10-14 2008-10-14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46152B2 (ko)
EP (1) EP2337119B1 (ko)
JP (1) JP5651875B2 (ko)
KR (1) KR101082862B1 (ko)
CN (1) CN102165630B (ko)
RU (1) RU2454754C1 (ko)
WO (1) WO201004455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533A (ko) * 2020-01-22 2021-08-02 장먼 다창지앙 그룹 컴퍼니 엘티디 운송 차량, 배터리 팩 및 그 전원 플러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6603B2 (ja) * 2010-09-30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両用電池パック
US9196883B2 (en) 2010-11-04 2015-11-2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8642206B2 (en) 2010-11-04 2014-02-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1191659B1 (ko) 2010-11-05 2012-10-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201742B1 (ko) 2010-11-05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223519B1 (ko) 2010-11-05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KR101201740B1 (ko) 2010-11-12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WO2012093452A1 (ja) * 2011-01-07 2014-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パック
KR101307386B1 (ko) * 2011-06-08 2013-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 안전장치
JP5803405B2 (ja) * 2011-08-10 2015-11-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バスバーカバー、及びカバー付きバスバー
CN103165844B (zh) * 2011-12-14 2016-06-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连接件和具有该电池连接件的电池组
US8703312B2 (en) * 2011-12-23 2014-04-2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105912B2 (en) * 2012-05-21 2015-08-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oltless battery cell connection
KR101987773B1 (ko) * 2012-07-16 2019-06-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KR101882007B1 (ko) 2012-07-18 2018-07-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KR101401477B1 (ko) * 2012-08-02 2014-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KR101619603B1 (ko) 2014-08-13 2016-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터리 안전장치 및 그의 작동 방법
DE102014222383A1 (de) 2014-11-03 2016-05-04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verbesserter Sicherheit
JP6235529B2 (ja) * 2015-05-25 2017-1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および電池パック
JP6413931B2 (ja) * 2015-05-29 2018-10-31 豊田合成株式会社 導通遮断装置
CN107093687A (zh) * 2017-05-26 2017-08-25 江苏银基烯碳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结构
KR102256605B1 (ko) * 2017-07-06 2021-05-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8674174U (zh) * 2018-09-26 2019-03-2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JP7463768B2 (ja) * 2020-03-03 2024-04-09 マツダ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バッテリ装置
JP7289862B2 (ja) * 2021-03-01 2023-06-1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パッ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56B1 (ko) 2004-12-24 2008-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0617A (en) * 1989-12-13 1992-06-09 Cameron Robert W Vehicle battery having integral safety switch
US5804770A (en) * 1995-09-19 1998-09-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ver equippe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a cover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3882267B2 (ja) * 1997-05-29 2007-02-14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池電源装置
JPH11353997A (ja) * 1998-06-08 1999-12-24 Yazaki Corp 電流遮断装置
JP4220649B2 (ja) * 1999-06-10 2009-0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JP3887145B2 (ja) * 2000-05-25 2007-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カバーの衝撃吸収構造
JP4918186B2 (ja) * 2000-07-17 2012-04-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EP1394874B1 (en) * 2002-05-08 2006-08-23 Nissan Motor Co., Ltd. Secondary cell module and method of its production
US20040041682A1 (en) * 2002-08-29 2004-03-04 Pasha Brian D. Battery circuit disconnect device
JP2004159439A (ja) 2002-11-07 2004-06-03 Toyota Motor Corp 電源遮断装置
DE102004008120A1 (de) 2003-02-26 2004-11-25 Dynamit Nobel Ais Gmbh Automotive Ignition Systems Pyromechanische Trennvorrichtung mit speziell geformter Stromleiterschiene
EP1469564B1 (de) * 2003-04-17 2012-12-05 Autoliv Development AB Pyromechanisches Batteriepol-Trennelement
US7123124B2 (en) * 2003-10-17 2006-10-17 Special Devices, Inc. Pyrotechnic circuit breaker
CA2592245C (en) * 2004-12-24 2010-03-30 Lg Chem, Ltd.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KR100875606B1 (ko) * 2004-12-24 2008-1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KR100868255B1 (ko) 2005-04-19 2008-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자 연결장치
KR100903185B1 (ko) 2005-05-02 2009-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안전성의 개선된 중대형 전지팩
KR100881641B1 (ko) * 2005-05-10 2009-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 시스템을 구비한 중대형 전지팩
JP5061430B2 (ja) * 2005-07-08 2012-10-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4902204B2 (ja) * 2006-01-13 2012-03-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ボルト式端子付き密閉型二次電池とこれを用いた組電池
JP5037308B2 (ja) 2006-11-21 2012-09-26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US8276695B2 (en) * 2007-12-25 2012-10-02 Byd Co. Ltd. Battery electrode sheet
US20090159354A1 (en) * 2007-12-25 2009-06-25 Wenfeng Jiang Battery system having interconnected battery packs each having multiple electrochemical storage cells
JP5231910B2 (ja) * 2008-09-17 2013-07-1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456B1 (ko) 2004-12-24 2008-12-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533A (ko) * 2020-01-22 2021-08-02 장먼 다창지앙 그룹 컴퍼니 엘티디 운송 차량, 배터리 팩 및 그 전원 플러그 커넥터
KR102390398B1 (ko) 2020-01-22 2022-04-25 장먼 다창지앙 그룹 컴퍼니 엘티디 운송 차량, 배터리 팩 및 그 전원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54754C1 (ru) 2012-06-27
WO2010044552A3 (ko) 2010-05-27
US9246152B2 (en) 2016-01-26
CN102165630B (zh) 2014-01-08
EP2337119A2 (en) 2011-06-22
JP2012506105A (ja) 2012-03-08
EP2337119A4 (en) 2014-08-13
CN102165630A (zh) 2011-08-24
KR20100041442A (ko) 2010-04-22
EP2337119B1 (en) 2018-05-09
US20110237139A1 (en) 2011-09-29
JP5651875B2 (ja) 2015-01-14
WO2010044552A2 (ko)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862B1 (ko) 전극단자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1087036B1 (ko)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US9917336B2 (en) Battery system
KR100905393B1 (ko) 이차전지 모듈
KR102008740B1 (ko) 전지팩
KR20140060633A (ko)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136806B1 (ko) 전극단자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US20240213594A1 (en) End cover assembly, battery cell, battery, and power consumption device
US9843032B2 (en) Battery module
KR101957403B1 (ko) 셀 리드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WO2019244413A1 (ja) 電池パック
KR10108498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중대형 전지팩
JP6772875B2 (ja) 蓄電装置
KR101859684B1 (ko)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817238B1 (ko) 배터리 팩
KR101400085B1 (ko) 절연성 접속부재 및 절연성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전지모듈
WO2024000747A1 (zh)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CN221262544U (zh) 储能装置及用电设备
CN218769817U (zh) 电池单体、电池及用电设备
KR101667524B1 (ko) 퓨즈 장치
KR20230050973A (ko)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210055521A (ko) 단락 방지를 위한 배터리팩 장치
KR20230049496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