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780B1 -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780B1
KR101074780B1 KR1020090093211A KR20090093211A KR101074780B1 KR 101074780 B1 KR101074780 B1 KR 101074780B1 KR 1020090093211 A KR1020090093211 A KR 1020090093211A KR 20090093211 A KR20090093211 A KR 20090093211A KR 101074780 B1 KR101074780 B1 KR 10107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ductive plate
embossed
slit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474A (ko
Inventor
노헌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780B1/ko
Priority to US12/848,878 priority patent/US8679673B2/en
Publication of KR20110035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9Terminals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elliptic or button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극 단자인 캡 업부가 설치된 베어 셀;과, 캡 업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접한 복수의 베어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캡 업부에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며, 도전성 플레이트에는 슬릿부가 형성되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엠보싱부에 대하여 용접결합된 것으로서, 도전성 플레이트에 대한 캡 업부의 용접을 정위치에서 할 수 있게 되므로, 용접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접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Cap assembly, ca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의 용접 불량을 줄이기 위하여 베어 셀에 대하여 도전성 플레이트가 접속되는 구조가 개선된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무정전 전원장치(UPS)등과 같은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중이다. 이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아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부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서 원통형 및 각형으로 된 캔형 전지 와, 유연성을 가지는 파우치형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셀룰라 폰이나, 노트북 컴퓨터나, 캠코더와 같은 소형의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나, 전기 자전거나, 무정전 전원장치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의 에너지가 요구되는 전원 장비 전원에 사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차 전지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주로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원통형 이차 전지의 경우, 전지부를 수용하는 캔과, 캔의 개구부를 밀봉시키는 캡 조립체를 가지는 베어 셀(bare cell)을 다수개 배치하고, 캡 조립체에 구비된 전극 단자인 캡 업(cap -up)부 상에 도전성 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캡 업에 대하여 도전성 플레이트를 용접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베어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도전성 플레이트에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캡 업부에 돌기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용접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캡 업부의 면적은 비교적 협소하므로, 좁은 영역의 캡 업부에 복수의 돌기부를 정렬하여 용접을 진행시에는 캡 업부에 대하여 돌기부의 정위치에서 정렬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서, 용접 불량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베어 셀에 대하여 도전성 플레이트의 용접 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베어 셀을 전기적으로 접속시 용접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전성 플레이트에 대한 캡 업부의 결합되는 구조가 개선된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단자인 캡 업부가 설치된 베어 셀;과,
상기 캡 업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접한 복수의 베어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캡 업부에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는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엠보싱부에 대하여 용접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캡 업부의 표면으로부터 도전성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는 상기 슬릿부와 대향되는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 상기 캡 업부의 양쪽으로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캡 업부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 성된다.
더욱이, 상기 엠보싱부가 형성된 전체 영역은 상기 캡 업부 상의 영역중 슬릿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캡 업부의 영역을 제외한 캡 업부의 나머지 영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슬릿부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일자형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십자형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영역으로 절개된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원형의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타원형의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각형의 홈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는,
전지부를 수용하는 베어 셀의 캔의 개구를 밀봉시키는 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캔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극 단자인 캡 업부;와,
상기 전지부와 캡 업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안전 소자;와,
상기 캡 업부 및 안전 소자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 가스켓;을 포함하되,
상기 캡 업부 상에는 인접한 복수의 베어 셀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슬릿부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에 대하여 용접되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캡 업부 상에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양쪽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업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 쪽으로 연장된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단자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캡 업부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엠보싱부의 전체 영역은 상기 캡 업부 상의 영역중 슬릿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캡 업부의 영역을 제외한 캡 업부의 나머지 영역 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의 캔은,
전지부를 수용하는 베어 셀의 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지부와 접속된 일 전극리드가 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캔의 바닥면에는 인접한 복수의 베어 셀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슬릿부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캔 바닥면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캔 바닥면에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양쪽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캔 바닥면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지부를 수용하는 캔과, 상기 캔의 개구를 밀봉시키며, 상기 캔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캡 업부와, 상기 전지부와 캡 업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안전 소자와, 상기 캡 업부 및 안전 소자의 외곽을 따라 캔 내주벽에 접하여 설치된 가스켓을 가지는 캡 조립체를 가지는 베어셀;과,
상기 캡 업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접한 베어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캡 업부에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는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대하여 용접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는 상기 슬릿부와 대향되는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 상기 캡 업부의 양쪽으로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배치된다.
게다가,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슬릿부와 대향되는 캔 바닥면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 상기 캔 바닥면의 양쪽으로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더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캡 업부는 상기 전지부의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단자이고, 상기 캔은 상기 전지부의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도전성 플레이트에 대한 캡 업부의 용접을 정위치에서 할 수 있게 되 므로, 용접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접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캡 업부나, 캔에 엠보싱부를 일체화시킬 수 있으므로, 품질 관리가 유리하다.
셋째, 도전성 플레이트에는 엠보싱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도전성 플레이트를 준비하는 공정수가 감소된다.
넷째, 캡 업부나, 캔의 용접 부분의 면적을 줄일 수가 있으므로,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캡 업부나, 캔의 대형화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차 전지는 베어 셀(100)과, 복수의 베어 셀(1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 셀(100)에는 전지부(110)가 수용되는 캔(12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지부(110)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과, 상기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113)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111)은 한 장의 스트립으로 된 금속 호일, 예컨대, 알루미늄 호일로 된 양극 집전체와, 상기 양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극 활물질층은 리튬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양극 바 인더, 양극 도전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판(111)에는 양극 집전체에 대하여 양극 리드(1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극 리드(114)는 상기 캔(120)의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으며, 단부의 일부가 절곡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112)은 한 장의 스트립으로 된 금속 호일, 이를테면, 구리 호일로 된 음극 집전체와, 상기 음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음극 활물질층은 카본 블랙을 주성분으로 하고, 음극 바인더, 결합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음극판(112)에는 음극 집전체에 대하여 음극 리드(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음극 리드는 상기 캔(120)의 하부 방향으로 인출되어 있으며, 상기 캔(120)의 바닥면에 용접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다공성의 절연재로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복합 필름이 사용된다.
한편, 전해액은 리튬염, 예컨대 LiPF6와, 이를 용해시키기 위한 전해액 용매, 이를테면, EC:DMC:MEC:PC를 포함한다.
상기 전지부(110)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과,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 사이에 세퍼레이터(113)가 개재된 상태에서, 젤리-롤형(jelly-roll type)으로 와인딩되어 있다.
한편, 전지부(110)의 중앙에는 센터 핀(center pin, 115)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센터 핀(115)은 상기 전지부(110)의 풀림을 방지하고, 전지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젤리-롤형으로 와인딩된 전지부(110)는 캔(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캔(120)은 전체적으로 상기 전지부(110)의 외형과 상응한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금속재이다. 상기 캔(120)의 바닥면에는 상기 음극판(112)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리드가 용접되어 있으므로, 캔(120) 자체가 음극 단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상기 캔(120)은 알루미늄(Al)이나, 철(Fe)이나, 알루미늄 또는 철 합금과 같은 도전성의 금속재로 형성되며, 딥 드로잉(deep drawing)과 같은 프레스 금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다.
상기 캔(120)의 상단부에는 이의 개구를 밀봉시키도록 캡 조립체(1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 조립체(130)는 전지부(110)의 상부에 설치된 복수의 안전 소자(140)와, 상기 안전 소자(140)의 상부에 설치된 도전성 캡 업부(150)와, 상기 안전 소자(140) 및 도전성 캡 업부(150)의 외곽을 따라서 설치된 가스켓(160)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 소자(140)는 안전 벤트(170)와, CID 소자(current interrupt device element, 180)와, PTC 소자(positive thermal coefficient element, 190)를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요소들은 상기 베어 셀(100)의 이상 유무시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안전 부재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전 벤트(170)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 부분에 아래 방향으로 돌출된 변형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형부(171)에는 단부의 일부가 절곡된 양극 리드(1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베어 셀(100) 내부에서 압력이 과다하게 상승하게 되면, 상기 변형부(170)는 윗 방향으로 반전되어서, 상기 양극 리 드(114)와의 연결이 차단되어서 충전 전류는 정지된다.
상기 CID 소자(180)는 상기 안전 벤트(170)의 윗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전 벤트(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CID 소자(180)는 상기 안전 벤트(170)의 변형부(171)가 윗 방향으로 볼록하게 변형시에 파단되어서 내부 회로가 끊어진다.
상기 PTC 소자(190)는 상기 CID 소자(180)의 윗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CID 소자(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PTC 소자(190)는 온도가 어느 레벨을 넘으면 전기 저항이 거의 무한대까지 크게 되는 소자로서, 베어 셀(100)이 이상 고온으로 되었을때에 충방전 전류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PTC 소자(190)는 가역적인 동작을 하기 때문에, PTC 소자(190)가 동작하여 전류가 정지한 이후에 베어 셀(100)의 온도가 내려가면 저항은 작게 되어서 다시 베어 셀(100)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PTC 소자(190)는 대략 100℃에서 전지 저항이 무한대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캡 업부(150)는 상기 PTC 소자(19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 업부(150)는 도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 업부(150)는 양극판(111), 양극 리드(114), 안전 벤트(170), CID 소자(180), PTC 소자(190) 순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양극 단자의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켓(160)은 상기 캡 업부(150), 안전 벤트(170), CID 소자(180), PTC 소자(190)의 외곽을 따라서 설치되어서, 이들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캔(120)에 대하여 상기 캡 조립체(130)를 절연시키고 있다. 상기 가스켓(160)은 절연성 소 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캔(120)은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서 상기 가스켓(160)의 윗면을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크림핑부(12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캔(120)의 상단부로부터 캡 조립체(130)의 두께와 대응되는 치수에 해당되는 캔(120)의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것에 의하여 비딩부(122)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캡 조립체(130)의 위치는 설정된다.
한편, 상기 전지부(110)의 상단부와, 비딩부(122) 사이에는 링상의 상부 절연판(21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 셀(100)은 고출력, 고용량의 에너지가 요구되는 전원 장비 전원에 사용하기 위하여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복수의 베어 셀(100)에는 도전성 플레이트(200)가 용접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캡 업 부(150)와,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캡 업부(150)에는 원판형의 베이스부(15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5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스켓(도 1의 160)의 일부가 감싸고 있다.
상기 베이스부(151)의 윗면에는 단자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 부(152)는 원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부(151)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 표면으로부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152)에는 복수의 엠보싱부(1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부(153)는 상기 단자부(152)의 표면상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부(152)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부(153)는 상기 단자부(15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이라면 어느 하나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펀칭이나, 에칭이나, 스크래치등의 다양한 제조 방법에 의하여 형성가능하다.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는 복수의 베어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엠보싱부(1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금속판이다.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는 니켈 플레이트나, 구리 플레이트나, 니켈 도금층이 도금된 구리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전성 소재라면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에는 슬릿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캡 업부(150)에 형성된 엠보싱부(153)는 상기 슬릿부(201)에 대하여 특정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슬릿부(201)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홈이다. 상기 슬릿부(201)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형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릿부(201)의 폭은 3 밀리미터 이하이고, 길이는 10 밀리미터이하이나, 상기 슬릿부(201)의 크기는 캡 업부(150)의 크기와 연관하여 임의로 설계변경가능하다.
상기 슬릿부(20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가능하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도전성 플레이트(4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형의 슬릿부(301)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도전성 플레이트(400)의 길이 방향으로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영역으로 절개된 슬릿부(401)나,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도전성 플레이트(500)에 형성된 십자형의 슬릿부(501)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슬릿부는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원형의 홈이거나,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타원형의 홈이거나,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각형의 홈등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이라면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엠보싱부(153)는 상기 슬릿부(201)가 이와 대향되는 캡 업부(150)의 가상의 중심선(A)에 위치시 상기 캡 업부(150)의 양쪽으로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슬릿부(201)와 대향되는 캡 업부(150)의 영역을 상기 슬릿부(201)가 위치하는 캡 업부(150)의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두 영역으로 구획시, 상기 엠보싱부(153)는 상기 캡 업부(150)의 양쪽으로 구획된 영역에 각각 동일한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부(153)는 상기 캡 업부(150)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엠보싱부(153)는 캡 업부(150)의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개씩 단자부(152)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크기나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 엠보싱부(153)의 형성되는 전체 영역은 상기 캡 업부(150) 표면의 영역 중 상기 슬릿부(201)와 대응되는 크기의 캡 업부(152)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이하로서, 상기 캡 업부(150)의 좌우로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이는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상기 슬릿부(201)의 크기는 캡 업부(150)에 대한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용접시 인가되는 용접 장치의 전압 및 전류 관계를 고려하여 설계가능하며, 상기 슬릿부(201)의 크기가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엠보싱부(153)가 캡 업부(150)의 중앙 영역에 동일한 개수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고출력, 고용량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복수의 베어 셀(10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복수의 캡 업부(150) 상에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위치시키고, 상기 캡 업부(150)의 엠보싱부(153)에 대하여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아랫면을 접촉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에는 폭 방향으로 슬릿부(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부(201)와 대향되는 캡 업부(150)에는 이의 가상의 중심선(A)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개씩 엠보싱부(153)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153)는 슬릿부(201)의 양 쪽으로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아랫면에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용접봉(220)을 위치시키고,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엠보싱부(153)와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접촉된 부분에 높은 전기적 저항을 발생시켜서 프로젝션 용접(resistance projection welding)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에는 슬릿부(20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가되는 전류는 일측의 용접봉으로부터 도전성 플레이트(200)와,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엠보싱부(153)를 거쳐서 다시 도전성 플레이트(200)와, 타측의 용접봉으로 흐르게 되므로, 인가되는 전류의 경로를 길게 가져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캡 업부(150)에 대한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전기적 연결시에 용접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캡 업부(150) 상에 엠보싱부(153)가 형성되므로, 캡 업부(150)에 대한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용접 위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도 1의 실시예와는 달리, 캡 조립체가 형성된 캔의 상단부와 반대쪽인 캔 바닥면에 도전성 플레이트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차 전지는 베어 셀(600)과, 복수의 베어 셀(6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 셀(600)에는 캔(620)이 마련되고, 상기 캔(620)의 내부 공간에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과, 상기 양극판(111) 및 음극판(112)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113)가 젤리-롤형으로 감겨진 전지부(110)를 수용된다. 상기 전지부(110)의 하단부에는 링 형상의 하부 절연판(6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112)에는 음극 집전체에 대하여 음극 리드(11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음극 리드(116)는 상기 캔(620)의 바닥면(621)으로 인출되어 있다. 상기 음극 리드(116)는 단부의 일부가 절곡되어서 상기 캔(620)의 바닥면(621)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캔(620) 자체가 음극 단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캔(620)의 바닥면(621)에는 복수의 엠보싱부(640)가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부(640)는 상기 캔(620)의 바닥면(621)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이라면 어느 하나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엠보싱부(6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성 플레이트(200)에는 슬릿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부(201)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홈이다.
게다가, 상기 엠보싱부(640)는 상기 슬릿부(201)가 이와 대향되는 캔 바닥면(621)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 상기 캔 바닥면(621)의 양쪽으로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부(640)는 상기 캡 업부(150)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엠보싱부(640)는 캡 업부(150)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1개씩 캔 바닥면(62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엠보싱부(640)의 형성되는 전체 영역은 상기 캔 바닥면(621)의 영역중 상기 슬릿부(201)와 대응되는 크기의 캔 바닥면(621)의 영역을 제외한 나머 지 영역 이하로서, 상기 캔 바닥면(621)의 좌우로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는,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의 이차 전지를 혼용한 상태에서 복수의 베어 셀에 대하여 도전성 플레이트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차 전지는 복수의 베어 셀(100)(600)과, 복수의 베어 셀(100)(6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제 1 베어 셀(100)의 경우, 양극 단자로 사용되는 캡 업부(150)가 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베어 셀(600)의 경우, 음극 단자로 사용되는 캔(620)의 바닥면(621)이 상기 제 1 베어 셀(100)의 캡 업부(150)와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 1 베어 셀(100)의 캡 업부(150)와, 제 2 베어 셀(600)의 캔 바닥면(621)의 상부에는 도전성 플레이트(200)가 설치되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200)가 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여기서, 제 1 베어 셀(100)의 캡 업부(150)에는 엠보싱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베어 셀(600)의 캔 바닥면(621)에도 엠보싱부(6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엠보싱부(153)(640)에는 슬릿부(201)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아랫면이 프로젝션 용접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엠보싱부(153)(640)와, 도전성 플레이트(200)의 구성과, 이들의 결합 관계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캡 업부와 도전성 플레이트가 배치된 부분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 업부와 도전성 플레이트가 배치된 부분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캡 업부와 도전성 플레이트가 배치된 부분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 업부와 도전성 플레이트가 배치된 부분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베어 셀 110...전지부
111...양극판 112...음극판
113...세퍼레이터 120...캔
130...캡 조립체 140...안전 소자
150...캡 업부 151...베이스부
152...단자부 153...엠보싱부
200...도전성 플레이트 201...슬릿부
220...용접봉

Claims (23)

  1. 전극 단자인 캡 업부가 설치된 베어 셀;과,
    상기 캡 업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접한 복수의 베어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캡 업부에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는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상기 엠보싱부에 대하여 용접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는 상기 슬릿부가 이와 대향되는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에 상기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슬릿부의 양쪽으로 상기 캡 업부 상에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캡 업부의 표면으로부터 도전성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캡 업부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가 형성된 전체 영역은 상기 캡 업부 상의 영역중 슬릿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캡 업부의 영역을 제외한 캡 업부의 나머지 영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니켈 플레이트나, 구리 플레이트나, 니켈 도금층이 도금된 구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일자형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십자형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영역으로 절개된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원형의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타원형의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각형의 홈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8. 전지부를 수용하는 베어 셀의 캔의 개구를 밀봉시키는 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캔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극 단자인 캡 업부;와,
    상기 전지부와 캡 업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안전 소자;와,
    상기 캡 업부 및 안전 소자의 외곽을 따라 설치된 가스켓;을 포함하되,
    상기 캡 업부 상에는 인접한 복수의 베어 셀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슬릿부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에 대하여 용접되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슬릿부가 이와 대향되는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에 상기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슬릿부의 양쪽으로 캡 업부 상에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업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 쪽으로 연장된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단자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캡 업부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전체 영역은 상기 캡 업부 상의 영역중 슬릿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캡 업부의 영역을 제외한 캡 업부의 나머지 영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12. 전지부를 수용하는 베어 셀의 캔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지부와 접속된 일 전극리드가 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캔의 바닥면에는 인접한 복수의 베어 셀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하여 위치하는 슬릿부가 형성된 도전성 플레이트가 용접되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엠부싱부는 상기 슬릿부가 이와 대향되는 상기 캔 바닥면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에 상기 캔 바닥면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슬릿부의 양쪽으로 상기 캔 바닥면에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캔.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캔 바닥면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캔.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전체 영역은 상기 캔 바닥면의 영역중 슬릿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캔 바닥면의 영역을 제외한 캔 바닥면의 나머지 영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의 캔.
  15. 전지부를 수용하는 캔과, 상기 캔의 개구를 밀봉시키며, 상기 캔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캡 업부와, 상기 전지부와 캡 업부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안전 소자와, 상기 캡 업부 및 안전 소자의 외곽을 따라 캔 내주벽에 접하여 설치된 가스켓을 가지는 캡 조립체를 가지는 베어셀;과,
    상기 캡 업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인접한 베어 셀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캡 업부에는 복수의 엠보싱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는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대하여 용접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엠보싱부는 상기 슬릿부가 이와 대향되는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에 상기 캡 업부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슬릿부의 양쪽으로 상기 캡 업부에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삭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업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 쪽으로 연장된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단자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캡 업부의 구획된 영역상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의 전체 영역은 상기 캡 업부 상의 영역중 슬릿부와 대응되는 크기의 캡 업부의 영역을 제외한 캡 업부의 나머지 영역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는 니켈 플레이트나, 구리 플레이트나, 니켈 도금층이 도금된 구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부는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일자형 홈이거나, 상기 도전 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십자형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영역으로 절개된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원형의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타원형의 홈이거나,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각형의 홈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슬릿부와 대향되는 캔 바닥면의 가상의 중심선에 위치시 상기 캔 바닥면의 양쪽으로 동일한 영역 비율을 가지며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업부는 상기 전지부의 제 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단자이고, 상기 캔은 상기 전지부의 제 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090093211A 2009-09-30 2009-09-30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07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211A KR101074780B1 (ko) 2009-09-30 2009-09-30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12/848,878 US8679673B2 (en) 2009-09-30 2010-08-02 Cap assembly, can, and secondary battery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211A KR101074780B1 (ko) 2009-09-30 2009-09-30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474A KR20110035474A (ko) 2011-04-06
KR101074780B1 true KR101074780B1 (ko) 2011-10-19

Family

ID=4378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211A KR101074780B1 (ko) 2009-09-30 2009-09-30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79673B2 (ko)
KR (1) KR101074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0650B2 (ja) 2010-12-28 2016-05-18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素子
JP2012164634A (ja) 2011-01-20 2012-08-30 Gs Yuasa Corp 蓄電素子
US8748034B2 (en) * 2011-04-14 2014-06-10 Gs Yuasa International Ltd. Battery including baffling member including one of projecting portion and recessed portion extending from lid plate
WO2012147134A1 (ja) * 2011-04-28 201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及び車両
US10211436B2 (en) * 2012-05-08 2019-02-19 Samsung Sdi Co., Ltd. Multiple piece battery cell isolator
KR102319240B1 (ko) * 2014-12-04 2021-10-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케이스를 갖는 이차 전지
KR102425797B1 (ko) 2015-07-15 2022-07-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107123827A (zh) * 2017-06-19 2017-09-01 江苏富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盖帽焊接压花去毛刺装置
KR102428417B1 (ko) 2017-10-11 2022-08-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DE102017221026A1 (de) * 2017-11-24 2019-05-29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Batteriemodul diese enthaltend, sowie deren Verwendung
KR102259380B1 (ko) * 2018-04-20 2021-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912A (ja) * 1997-12-03 1999-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KR100709872B1 (ko) * 2005-12-29 2007-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767B1 (ko) 2002-09-23 2009-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 플레이트를 가지는 리튬이차 전지
JP4977951B2 (ja) * 2004-11-30 2012-07-18 株式会社Gsユアサ 密閉形電池とその製造方法及び密閉形電池の複数個で構成した組電池
JP5005183B2 (ja) * 2005-04-14 2012-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間接続構造
KR20070067783A (ko) 2005-12-23 2007-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778983B1 (ko) * 2006-02-20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용 캔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리튬이차전지
KR101029389B1 (ko) 2006-08-25 201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요철이 형성된 전지 캡 조립체, 전지 캔 및 이를 구비하는전지
JP2008251472A (ja) 2007-03-30 2008-10-16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TWM318808U (en) * 2007-04-12 2007-09-11 Simplo Technology Co Ltd Battery guiding piece
JP2009211909A (ja) * 2008-03-04 2009-09-17 Panasonic Corp 電池、電池パックおよびそれに用いる接続端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7912A (ja) * 1997-12-03 1999-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KR100709872B1 (ko) * 2005-12-29 2007-04-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76543A1 (en) 2011-03-31
US8679673B2 (en) 2014-03-25
KR20110035474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780B1 (ko) 캡 조립체, 캔,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477750B1 (ko) 리튬 이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전지
KR100544119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846955B1 (ko) 원통형 이차전지
JP4579880B2 (ja) 二次電池
KR101514827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9873B1 (ko) 이차전지
US8911898B2 (en)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US7927734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4146362A (ja) キャップ組立体、これを具備した2次電池及び、キャップ組立体の製造方法
KR20110056117A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100914115B1 (ko) 이차전지
KR20050074198A (ko) 이차 전지
KR20040005243A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0496302B1 (ko) 안전벤트를 가지는 각형 리튬 이차 전지
KR101121205B1 (ko) 이차전지
KR100889769B1 (ko) 각형 리튬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KR100502347B1 (ko) 각형 이차전지
KR20150039381A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44602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0814882B1 (ko) 이차 전지 및 상기 이차 전지를 이용한 전지 모듈
KR100542680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KR20040026260A (ko) 각형 리튬이차 전지
KR20080013211A (ko) 캡조립체와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및 캡조립체 조립방법
KR20030034429A (ko) 각형 밀폐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