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645A -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3645A
KR20120043645A KR20110109074A KR20110109074A KR20120043645A KR 20120043645 A KR20120043645 A KR 20120043645A KR 20110109074 A KR20110109074 A KR 20110109074A KR 20110109074 A KR20110109074 A KR 20110109074A KR 20120043645 A KR20120043645 A KR 20120043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attern
electroluminescent device
prin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0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우지 스즈끼
야스유끼 아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셀
Publication of KR20120043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64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02Ethers
    • C07C43/03Ethers having all ether-oxygen atom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43/04Saturated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46Leads on or in insulating or insulated substrates, e.g. metallisation
    • H01L21/4867Applying pastes or inks, e.g. 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제 수지 등의 수지 첨가물의 용해성이 높고, 흡습성이 낮은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은 유기 EL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소자 패턴을 인쇄법에 의해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로서,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의 2개의 말단 알킬기 중 한쪽이 메틸기이고, 다른 한쪽이 탄소수 4 또는 탄소수 5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법으로서는, 잉크젯법, 스크린 인쇄법, 철판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마이크로컨택트 인쇄법, 나노임프린트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SOLVENT FOR PRINTING}
본 발명은 흡습하기 어렵고 수지 용해성이 우수한, 인쇄법에 의해 패턴 형성할 때에 이용되는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선 기판이나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 부품의 패턴 형성은, 포토리소그래피라고 불리는 방법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포토리소그래피는 페이스트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고, 미세 패턴을 노광하여 소부하고, 에칭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패턴 형성을 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에칭 폐액 처리 설비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부터 장치 자체가 거대해져서, 거액의 설비 투자가 필요하고, 재료의 사용 효율도 나쁘고, 제조 공정이 많기 때문에 생산성이 나쁘다는 것이 문제였다. 또한, 장치의 용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대면적 기판에의 패턴 형성은 곤란하였다.
그 때문에, 최근에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는, 거대한 장치가 불필요하고, 재료의 사용 효율이 좋고, 대면적 기판에의 대응도 용이한 잉크젯법, 스크린 인쇄법, 철판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마이크로컨택트 인쇄법, 나노임프린트법 등의 인쇄법이 주목받고 있다. 인쇄법에 이용되는 페이스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로서는,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나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에테르계 용매나,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계 용매 등이 사용되는 예가 많다. 그러나, 에틸렌글리콜에테르계 용매는 생태 독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비특허문헌 1).
한편,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계 용매에 대해서, 특허문헌 1에는,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를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이후, 「유기 EL 디바이스」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구성하는 소자(이후,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의 패턴을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는 페이스트 조성물에 용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프로필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틸프로필에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0099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351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52335호 공보
국제 화학 물질 간결 평가 문서 No.41 Di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2002)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는 휘발성이 우수한데, 특히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는 친수성이 높고 흡습하기 쉽기 때문에,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를 형성하는 페이스트 조성물에 용제로서 사용하면,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를 열화시킬 우려가 있고, 한편 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는 친유성이 높고 흡습성은 낮지만, 페이스트 조성물에 함유하는 에틸셀룰로오스나 아크릴 수지 등의 결합제 수지의 용해성이 낮기 때문에, 인쇄용 용제로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로필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및 프로필렌글리콜에틸프로필에테르도 또한, 수지 첨가물의 용해성과 흡습성의 균형의 점에서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제 수지 등의 수지 첨가물의 용해성이 높고, 흡습성이 낮은 유기 EL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조명 등)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패턴 형성을 행하는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의 한쪽의 말단 알킬기가 메틸기이고, 또 다른 한쪽의 말단 알킬기가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의 C4 -5 알킬기인 화합물은, 수지 첨가물의 용해성 및 흡습성의 균형이 우수한 것, 상기 화합물을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를 형성하는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에 용제로서 첨가하면, 인쇄법에 의해 소자 패턴의 형성을 행하는 데 충분한 결합제 수지 용해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흡습에 의해 열화하기 어려운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유기 EL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소자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로서,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의 2개의 말단 알킬기 중 한쪽이 메틸기이고, 다른 한쪽이 탄소수 4 또는 탄소수 5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인쇄법으로서는, 잉크젯법, 스크린 인쇄법, 철판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마이크로컨택트 인쇄법, 나노임프린트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과 결합제 수지를 적어도 함유하는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제 수지로서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또는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유기 EL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기판 상에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인쇄법을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패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패턴층을 경화 또는 소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의 2개의 말단 알킬기 중 한쪽이 메틸기이고, 다른 한쪽이 탄소수 4 또는 탄소수 5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을 함유하기 때문에, 결합제 수지 등의 수지 첨가물의 용해성이 우수하고, 또한 매우 흡습성이 낮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대면적 및/또는 플렉시블한 기재에 대해서도, 인쇄법에 의해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고,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미세한 소자 패턴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흡습하기 어렵기 때문에, 습기에 의한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은 유기 EL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소자를 인쇄법에 의해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로서,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의 2개의 말단 알킬기 중 한쪽이 메틸기이고, 다른 한쪽이 탄소수 4 또는 탄소수 5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잉크젯법, 스크린 인쇄법, 철판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마이크로컨택트 인쇄법, 나노임프린트법 등을 들 수 있다.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의 말단 알킬기에 있어서의 탄소수 4 또는 탄소수 5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n-부틸, n-펜틸기 등의 직쇄상 알킬기; 이소부틸, s-부틸, t-부틸, 이소펜틸, s-펜틸, t-펜틸기 등의 분지쇄상 알킬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중에서도 원료의 조달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n-부틸, n-펜틸기 등의 탄소수 4 또는 탄소수 5의 직쇄상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의 2개의 말단 알킬기 중 한쪽이 메틸기이고, 다른 한쪽이 탄소수 4 또는 탄소수 5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글리콜메틸-n-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n-펜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은 친수성과 친유성의 균형이 잡힌 것임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함수율이 3% 이하(그 중에서도,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수율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가 열화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은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지 첨가물의 용해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틸셀룰로오스를 5 중량% 이상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지 첨가물의 용해량이 상기 범위를 하회하면 점도가 낮아져서, 틱소트로피성 및 인쇄물의 형상 안정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 이외에도, 친수성과 친유성의 균형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서 다른 용제를 혼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용제의 배합 비율은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용제로서는 인쇄 용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카프로산, 카프릴산 등의 카르복실산류; 이소프로필알코올, 1-옥탄올, 1-노난올, 벤질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페닐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벤질에틸에테르, 디헥실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다른 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등의 상기 이외의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의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트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 등의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펜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1,6-헥산디올디아세테이트, 1,4-부탄디올디아세테이트 등의 디아세테이트류; 시클로헥산올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락트산에틸아세테이트, 트리아세틴, 디히드로테르피닐아세테이트 등의 그 밖의 아세테이트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토닐아세톤,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2-헵타논, 3-헵타논 등의 케톤류; 2-히드록시프로피온산메틸, 2-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아세트산벤질, 에틸아세틸락테이트, 벤조산에틸, 옥살산디에틸, 말레산디에틸, γ-부티로락톤, 탄산에틸렌, 탄산프로필렌,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히드록시아세트산에틸, 2-히드록시-3-메틸부탄산메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4-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포름산아밀, 아세트산아밀, 프로피온산부틸,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프로필, 부티르산부틸, 피루브산메틸, 피루브산에틸, 피루브산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2-옥소부탄산에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테르피네올, 디히드로테르피네올, 디히드로테르피닐프로피오네이트, 리모넨, 멘탄, 멘톨 등의 테르펜류; 미네랄스피리트, 석유나프타 S-100, 석유나프타 S-150, 테트랄린, 테레빈유 등의 고비점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적어도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과 결합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의 형성에 사용되는 주지관용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비닐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중에서도 도포 시의 판 분리가 좋고, 틱소트로피성 및 인쇄물의 형상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의 함유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1 내지 99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5 중량% 정도이다.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하회하면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인쇄 용도에 사용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건조에 시간이 걸려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에 있어서의 결합제 수지의 함유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0.1 내지 15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 정도이다. 결합제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하회하면 틱소트로피성 및 인쇄물의 형상 안정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고, 한편 결합제 수지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상회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인쇄용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도체 기능, 절연 기능, 반도체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발현하는 것일 수도 있고, 상기 이외에 다른 첨가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다른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유전체 재료 등의 금속 재료, 도전성 고분자 재료, 이온 전도체 재료, 유기-무기 혼성 이온 전도 재료, 유기 또는 무기 안료, 분산제, 소포제, 안정제, 산화 방지제, 경화 촉진제, 증감제, 충전제, 자외선 흡수제, 응집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첨가물의 배합량으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이면 되고, 예를 들면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전체의 0.1 내지 99 중량% 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예를 들면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결합제 수지,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첨가물을 배합하고, 혼합 믹서 등의 교반 장치를 이용하여 충분히 혼련하여, 균일하게 분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은 인쇄법에 의해 기재 등에 도포함으로써 패턴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면적이며 플렉시블한 기판 표면에도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또한 염가로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패턴 형성 방법]
본 발명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은, 유기 EL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기판 상에 상기 유기 EL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인쇄법을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패턴층을 형성하는 공정(패턴 인쇄 공정)과, 상기 패턴층을 경화 또는 소성하는 공정(패턴 경화 또는 소성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턴 인쇄 공정에 있어서의 인쇄법으로서는, 잉크젯법, 스크린 인쇄법, 철판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마이크로컨택트 인쇄법, 나노임프린트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 패턴층은 건조시키고, 그 후 가열 처리 및/또는 광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후, 경화시키지 않고 소성할 수도 있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80 내지 200℃ 정도의 온도에서, 예를 들면 0.1 내지 3시간 정도 가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가열 처리를 행하는 경우, 그 온도로서는, 반응에 제공하는 성분이나 촉매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50 내지 200℃ 정도이다. 또한, 가열 시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0.5 내지 3시간 정도이다. 광 조사를 행하는 경우, 그의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카본아크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태양광, 전자선, 레이저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광 조사 시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0.5 내지 30분 정도이다. 소성을 행하는 경우, 소성 온도로서는, 예를 들면 200 내지 1500℃ 정도이다. 또한, 소성 시간으로서는, 예를 들면 0.1 내지 5시간 정도이다.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패턴층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수 nm 내지 200 ㎛ 정도이다.
패턴층을 형성하는 기판으로서는, 내열성 및 내용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 함유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 도전성 중합체, 나일론, 셀룰로오스, 유리, ITO 등을 들 수 있다. 기판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0.1 내지 50 mm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EL 디바이스는 한층 내지 다층을 포함하는 발광층이 2개의 전극(양극, 음극) 사이에 끼워진 구조를 갖는다.
유기 EL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하기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에 따르면, 고정밀도의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1: 유리 등의 기판 상에 양극을 형성한다.
2: 유리 등의 기판 상의, 양극을 형성한 부분 이외의 부분에 격벽을 형성한다.
3: 양극 상에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발광층을 인쇄법에 의해 형성하고 경화시킨다.
4: 발광층 및 격벽 상에 음극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턴 형성 방법은 인쇄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판에 대하여 비접촉의 상태에서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대면적 및/또는 플렉시블한 기판에도 용이하게 패턴 형성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유기 EL 디바이스 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미세한 소자 패턴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의 제조 등의 복잡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묘사하는 것이 가능하여, 미세가공 기술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온상압 환경 하에서 제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조 공정의 대폭적인 간소화, 설비의 간소화, 제조 비용의 삭감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프로필렌글리콜메틸-n-부틸에테르(상품명 「PMNB」, 다이셀 가가꾸 고교(주) 제조, 이후 「PMN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0 g, 증류수 20 g을 50 ml 플라스크에 넣고, 약 10분간 교반한 후, 10분간 정치하고, 유기상의 수분 측정을 행한 바, 25℃ 환경 하에서의 수분 농도는 0.7%였다.
상기 PMNB를 4개의 50 ml 플라스크에 각각 20.00 g씩 넣고, 상품명 「에토셀」(등록상표)(에틸셀룰로오스, DOW(주) 제조)를 각각 1.05 g(5% 용액), 1.28 g(6% 용액), 1.51 g(7% 용액), 1.74 g(8% 용액) 추가하였다. 그 후, 65℃에서 교반하여 정치하고, 25℃까지 자연 냉각한 후, 에틸셀룰로오스의 용해성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에틸셀룰로오스가 완전히 용해하였다: ○
에틸셀룰로오스가 일부 불용 또는 완전히 불용이었다: ×
비교예 1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상품명 「하이솔브 MMPOM」, 도호가가꾸고교(주) 제조, 이후 「MMPOM」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0 g, 증류수 20 g을 50 ml 플라스크에 넣고, 약 10분간 교반한 후, 10분간 정치하고, 유기상의 수분 측정을 행한 바, 25℃ 환경 하에서의 수분 농도는 7.3%였다.
PMNB 대신에 상기 MMPOM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에틸셀룰로오스의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제5판 실험 과학 강좌 14」(마루젠 가부시끼가이샤 슛빤, p239-241)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합성한 프로필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이후, 「PDB」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0 g, 증류수 20 g을 50 ml 플라스크에 넣고, 약 10분간 교반한 후, 10분간 정치하고, 유기상의 수분 측정을 행한 바, 25℃ 환경 하에서의 수분 농도는 0.1%였다.
PMNB 대신에 상기 PD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에틸셀룰로오스의 용해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 표에 통합하여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Claims (5)

  1.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소자 패턴을 인쇄법에 의해 형성할 때에 사용하는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로서,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의 2개의 말단 알킬기 중 한쪽이 메틸기이고, 다른 한쪽이 탄소수 4 또는 탄소수 5의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기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인쇄법이 잉크젯법, 스크린 인쇄법, 철판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마이크로컨택트 인쇄법, 나노임프린트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법인,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패턴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과 결합제 수지를 적어도 함유하는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결합제 수지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또는 아크릴계 수지인,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
  5.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소자의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기판 상에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의 패턴 형성용 페이스트 조성물을 인쇄법을 이용하여 도포함으로써 패턴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패턴층을 경화 또는 소성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형성 방법.
KR20110109074A 2010-10-26 2011-10-25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KR201200436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39367 2010-10-26
JP2010239367 2010-10-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645A true KR20120043645A (ko) 2012-05-04

Family

ID=4603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09074A KR20120043645A (ko) 2010-10-26 2011-10-25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40790B2 (ko)
KR (1) KR20120043645A (ko)
CN (1) CN102453376A (ko)
TW (1) TW2012240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958A (ko) * 2013-12-09 2016-08-10 주식회사 다이셀 전기 디바이스 제조용 용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5132B2 (ja) * 2015-11-13 2020-02-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組成物
JP6996260B2 (ja) * 2017-11-30 2022-01-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機能性薄膜、有機機能性積層膜、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光電変換素子及び有機機能性薄膜形成用塗布液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7517A (en) * 1996-04-30 1997-01-28 Jame Fine Chemicals, Inc. Two-component chemiluminescent composition
US5922109A (en) * 1997-03-11 1999-07-13 The Dow Chemical Company Gas drying process using glycol solution solubility suppressants
JP3861462B2 (ja) * 1998-05-28 2006-12-20 三菱化学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光重合性組成物
TWI383271B (zh) * 2004-03-03 2013-01-21 Daicel Chem 微影後之洗淨步驟用洗淨劑及沖洗液
JP4586402B2 (ja) * 2004-04-16 2010-11-24 凸版印刷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に用いる転写体及び該素子の製造方法
WO2008123388A1 (ja) * 2007-03-26 2008-10-16 Jsr Corporation 硬化性樹脂組成物、保護膜および保護膜の形成方法
JP5187492B2 (ja) * 2007-11-22 2013-04-24 Jsr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保護膜および保護膜の形成方法
JP5051371B2 (ja) * 2007-11-26 2012-10-17 Jsr株式会社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液晶表示素子のスペーサーおよび保護膜ならびに液晶表示素子
JP5178407B2 (ja) * 2008-09-03 2013-04-10 株式会社Dnpファインケミカル カラーフィルタ保護膜用樹脂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TWI521300B (zh) * 2008-11-18 2016-02-11 Sumitomo Chemical Co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display device
JP2010192475A (ja) * 2009-02-13 2010-09-02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照明
WO2010106980A1 (ja) * 2009-03-17 2010-09-2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無機微粒子分散ペースト組成物
JP5486521B2 (ja) * 2010-03-15 2014-05-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ジ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の形成方法、硬化膜、有機el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CN102193316B (zh) * 2010-03-15 2015-11-18 富士胶片株式会社 正型感光性树脂组合物、固化膜的形成方法、固化膜、有机el显示装置以及液晶显示装置
JP2011233480A (ja) * 2010-04-30 2011-11-17 Ricoh Co Ltd 積層構造の形成方法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958A (ko) * 2013-12-09 2016-08-10 주식회사 다이셀 전기 디바이스 제조용 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4075A (en) 2012-06-16
CN102453376A (zh) 2012-05-16
JP2012107207A (ja) 2012-06-07
JP5940790B2 (ja)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71720B2 (ja) 印刷用溶剤又は溶剤組成物
TWI518105B (zh) A hardening composition for inkj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component
CN104086748A (zh) 改性环氧丙烯酸酯、光阻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透明光阻
WO2012014481A1 (ja) オフセット印刷用導電性ペースト
JP2012092190A (ja) 印刷用溶剤組成物
KR20120043645A (ko)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KR102329361B1 (ko) 층간 절연막 형성용 조성물, 층간 절연막 및 층간 절연막 패턴의 형성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JP2015172664A (ja) 感光性樹脂組成物
KR20120043647A (ko)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KR20050022494A (ko) 스핀레스 코터용 액정표시소자의 포토레지스트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포토레지스트 패턴 형성 방법
CN104080788B (zh) 新的化合物、感光组合物和含有所述感光组合物的感光剂
TWI683852B (zh) 組成物、包含其之絕緣材料及其製法
JP2012092071A (ja) ジプロピレングリコールジアルキルエーテル、及び電子部品パターン形成用溶剤組成物
KR20120043646A (ko) 인쇄용 용제 또는 용제 조성물
KR102316640B1 (ko) 층간 절연막 형성용 조성물, 층간 절연막 및 층간 절연막 패턴의 형성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CN105467756B (zh) 感光性树脂组合物
JP5886591B2 (ja) 印刷用溶剤及びペースト組成物
CN113652118A (zh) 一种高附着力且弯折性好的uv喷印油墨
TW202212470A (zh) 組合物、硬化物及硬化物之製造方法
JP2008045035A (ja) 印刷用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KR20130018619A (ko) 인쇄용 용제 및 페이스트 조성물
JP5916482B2 (ja) 感光性導電ペーストおよび導電回路
TWI550643B (zh) Conductive paste and conductive circuit
TWI305222B (ko)
CN108319109B (zh) 一种感光性树脂组合物在制造印刷线路板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