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1228A - 공조용 이중벽 구조 - Google Patents

공조용 이중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228A
KR20120041228A KR1020127004841A KR20127004841A KR20120041228A KR 20120041228 A KR20120041228 A KR 20120041228A KR 1020127004841 A KR1020127004841 A KR 1020127004841A KR 20127004841 A KR20127004841 A KR 20127004841A KR 20120041228 A KR20120041228 A KR 20120041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wall
ceiling
sid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630B1 (ko
Inventor
후미아키 나카무라
다다노리 오야마
고우 마키
고헤이 야나기하라
Original Assignee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04B2009/02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the supporting ceiling grid acting as air diff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conduits
    • E04F2019/0445Ventilating plin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실내에 공조 공기를 도입하는 공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실내공간에 균일한 온도 환경을 유지하고, 실내의 미관에도 기여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6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근방의 벽 기초면에, 공조 공기의 흐름을 바꾸는 난류 발생판(40)을 배치하고, 상기 난류 발생판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켜, 이 난류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상측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공조용 이중벽 구조{DOUBLE-WALL STRUCTURE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실내에 공조 공기를 도입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바닥 아래로부터 공조를 행하는 냉난상(冷暖床)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이는, 공조기기로부터 보내지는 공조 공기를 덕트내에 유통시켜, 이 덕트에 부착된 분류(噴流) 노즐로부터 상방의 바닥판을 향해 내뿜고, 또한 바닥아래 공간의 공조 공기를 바닥면에 설치한 취출구(吹出口)로부터 내뿜어 실내에 도입하여 실내의 공조를 행한다. 상기 취출구는, 바닥 주변의 바닥면에 복수 개소 설치된다.
또한 종래, 냉난기(冷暖氣)를 벽면에 접한 실내측의 굽도리널(skirting board)부분의 취출구, 및 둘레가장자리부분의 취출구로부터 주택의 실내공간에 도입함으로써, 실내공간을 균일한 온도 환경에 유지하는 주택용의 공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난방 공조 설비기(100)를 1층 바닥아래와 1층 천정 뒤쪽과 2층 천정 뒤쪽에 각각 설치하고, 상기 냉난방 공조 설비기(100)로부터 내뿜어진 냉방기를 외부 벽면에 접한 실내측의 굽도리널부분의 취출구(102) 및 둘레가장자리부분의 취출구(104)로부터 주택 실내공간에 도입하는 주택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택의 실내공간은 균일한 온도 환경과 습도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공조 대상 공간의 벽의 굽도리널에 취출방향이 비스듬한 상향인 취출구를, 또는 둘레 가장자리에 취출방향이 비스듬한 하향인 취출구를 설치하고, 공조 대상 공간의 공기를 빨아들여 바닥아래 공간에 조화(調和) 공기로서 내뿜는 실내기, 공조 대상 공간에서 실내기에 이르는 환기 통로, 및 바닥아래 공간과 공조 대상 공간의 벽내에 위치시킨 조화 공기의 취출통로로 구성된 바닥아래 공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2002-139241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6-78128 공보
그렇지만, 상기 냉난상 시스템은, 방의 바닥 주변부에 바닥위 취출구가 설치되기 때문에, 방의 주변부에 가구 등의 물건이 놓여진 경우에는, 이들 가구 등에 의해 바닥위 취출구가 막힐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주택은, 주택 실내공간에 기압차를 발생시켜 공기를 유동시키는데, 이 공기가 유동함으로써 각 취출구로부터 실내공간에 냉난기를 도입하는 것이지만, 각 취출구에 어떻게 냉난기를 분산시키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기재가 없어, 균일한 분산을 행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바닥아래 공조 시스템은, 공조 공기의 취출을 굽도리널의 취출구를 대신하여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바닥아래 공조기로부터의 조화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으로부터 벽내의 통기로를 통해 각 방에 내뿜는 구조이지만, 이는 취출구를 굽도리널과 둘레 가장자리 중 어느 한 쪽에 설치하는 것으로, 실내공간에 균일하게 온도 환경이 형성되는지에 대해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공간에 균일한 온도 환경을 유지하고, 실내의 미관에도 기여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서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서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6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근방의 벽 기초면에, 공조 공기의 흐름을 바꾸는 난류(亂流) 발생판(40)을 배치하고, 상기 난류 발생판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켜, 이 난류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상측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分流)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쪽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난류 발생판(40)으로서 단면 L자 형상의 장척재(長尺材)를 이용하여, 이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24) 근방의 벽 기초면에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킨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서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서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6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상기 벽부 유통로(5)에, 이 벽부 유통로를 폐색하는 유체 유도재(102)를 횡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유체 유도재(102)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24)에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체 유도재를 배치하지 않은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벽부 유통로(5)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대로 상방으로 유통시켜, 이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64)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고,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서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서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64)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근방의 상기 벽부 유통로(5)에, 공조 공기의 통과구멍(118)을 갖고 상기 벽부 유통로의 일부를 폐색하는 유체 분배재(112)를 횡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유체 분배재(112)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일부의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24)에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체 분배재의 통과구멍(118)을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상방으로 유통시켜, 이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24)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64)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쪽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이다.
상기 유체 분배재(112)는, 벽부 유통로(5)를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해도 좋고, 또한, 소정 길이의 유체 분배재(112)를 횡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하고, 인접하는 유체 분배재(112)끼리의 사이에 적당한 간극을 형성하여, 이 간극으로부터 공조 공기의 일부를 상방으로 유통시키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천정측 취출구(64)로서, 상기 천정부의 벽 가까운 부분에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천정부의 벽 가까이에, 상기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여 상기 벽부의 천정 가까이에 마련한 간극으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를 하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74)을 배치하여,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하방을 향해 내뿜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천정측 취출구(64)로서, 상기 벽부의 천정 가까운 부분에 횡방향을 향해서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벽부 유통로(5)의 천정 가까이에, 이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75)을 배치하여,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내뿜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벽부 유통로(5)를 형성하는 벽 기초면에 단열재(7)를 부설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벽부 유통로(5)에, 긴 형상의 가이드판(132)을 이 벽부 유통로내를 가로로 뻗는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벽부 유통로를 상승하는 공조 공기의 흐름을 상기 내장재(10)의 이면부에 유도하고 여기에 닿게 하여, 온도가 조정된 상기 내장재(10)에 의한 벽면으로부터의 복사 효과에 의해 실내의 공조를 행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가이드판(132)의 상부를 상기 벽부 유통로(5)의 실내측의 벽면을 형성하는 내장재(10)의 이면부측에 비스듬히 배치하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 벽부 유통로에 이르는 벽부에 난류 발생판을 배치하고,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의 방향과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공조 공기의 흐름이 바닥측 취출구와 천정측 취출구로 양호하게 분할되어, 양 취출구로부터 똑같이 공조 공기가 내뿜어지기 때문에, 실내공간은 균일하고 소프트한 공조 환경(온도 환경 및 습도 환경)이 얻어지고, 또한 실내에 가구 등을 두어 공조에 지장이 없고 미관성도 향상되며, 아울러 벽부에 형성된 벽부 유통로를 공조 공기가 통과함으로써, 벽면으로부터도 복사열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난류 발생판으로서 단면 L자 형상의 장척재를 이용하여 난류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간단한 설비로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어 공조 공기의 분할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벽부 유통로에, 이 벽부 유통로를 폐색하는 유체 유도재를 횡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하고, 유체 유도재에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에 유도하는 한편, 유체 유도재를 배치하지 않은 개소에 대해서는, 벽부 유통로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대로 상방으로 유통시켜, 공조 공기를 두 방향으로 분류해서,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상기 공조용 이중벽 구조와 마찬가지로, 실내공간은 균일하면서 소프트한 공조 환경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실내에 가구 등을 두어도 공조에 지장이 없고 미관성도 향상되며, 또한 유체 유도재의 단속적인 배치에 의해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공조 공기가 바닥측과 천정측으로 분산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벽부 유통로에, 공조 공기의 통과 구멍을 갖고 벽부 유통로의 일부를 폐색하는 유체 분배재를 횡방향으로 배치하며, 공조 공기를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상기 공조용 이중벽 구조와 마찬가지로, 실내공간은 균일하면서 소프트한 공조 환경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실내에 가구 등을 두어도 공조에 지장이 없고 미관성도 향상되며, 또한 유체 분배재에 의해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공조 공기가 바닥측과 천정측으로 분산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천정측 취출구로서, 천정부의 벽 가까운 부분에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천정부의 벽 가까이에 풍향 변경판을 배치하여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하방을 향해서 내뿜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특히 난방시에는 실내 하방의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천정측 취출구로서, 벽부 유통로의 천정 가까이에, 이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을 배치하고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내뿜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특히 냉방시에는 실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공조 공기를 흐르게 할 수 있어, 양호한 공조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는 벽 기초면에 단열재를 부설했기 때문에, 벽부 유통로의 공조 공기의 보온성이 좋아져, 더불어 실내 공조의 효율도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벽부 유통로에, 긴 형상의 가이드판을 배치해서, 공조 공기를 내장재의 이면부에 유도하여, 온도가 조정된 내장재에 의한 벽면으로부터의 복사 효과에 의해 실내의 공조를 행하는 구성을 채용했기 때문에, 벽면으로부터의 복사열의 작용을 더 높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해, 공조용 이중벽 구조의 바닥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해, 공조용 이중벽 구조의 천정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형태에 관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의 천정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관해, 방 주변의 공조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예에 관해, 균일한 온도 환경을 유지하는 주택의 전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해, (a)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b)는 유체 유도재, (c)는 벽뒤 공간부의 A-A선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관해, 스터드재에 고정구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해, (a)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의 바닥 근방, (b)는 유체 분배재, (c)는 벽뒤 공간부의 B-B선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른 형태에 의한 천정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천정측 취출구의 천정 가장자리재에 풍향 변경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스터드재의 중간부에 가이드판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주택 등의 실내의 공조를 행하는 것으로, 방의 바닥부(2), 벽부(3) 및 천정부(4)에 걸쳐 공조 공기가 유통한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벽부(3)의 하부의 바닥 근방의 이중벽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이중벽의 내부에는 공조 공기가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벽 구조는, 공조 공기가 통과하는 벽 기초면(6)에는 단열재(7)가 부설되고, 또한 벽 기초면(6)에는 상하 방향이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종동연(縱胴緣,8)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종동연(8)에 걸쳐서 보드 형상의 내장재(10)가 부설되어, 벽면(12)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종동연(8)에 의해 형성되어, 벽 기초면(6)과 내장재(10) 사이의 벽뒤 공간부(9)가, 공조 공기가 통과하는 벽부 유통로(5)로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벽부 유통로(5)의 바닥부(2)측에는 바닥측 취출구(24)가, 또한 천정측에는 천정측 취출구(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방의 바닥부(2)에는, 바닥 슬라브(14)에 배치된 바닥 지지각(支持脚,16)의 상부의 받이부(15)에 바닥판(17)을 부설하여 바닥면(18)을 형성한다. 이 바닥부(2)에는, 바닥 슬라브(14)와 바닥판(17) 사이에 바닥아래 공간부(20)가 형성되어, 공조 공기가 유통하는 바닥아래 유통로(22)로서 이용된다.
상기 바닥면(18)의 단부(19)와 벽 기초면(6) 사이에는 간극을 형성하여, 바닥아래 공간부(20)로부터 벽뒤 공간부(9)를 향해서 공조 공기를 자유롭게 유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벽의 벽부 유통로(5)에는, 상기 바닥아래 유통로(22)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가 보내진다.
또한, 벽부(3) 하부의 굽도리널 부분(바닥부의 근방)에, 방의 일단(一端)으로부터 타단(他端)까지 대략 전체에 걸쳐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측 취출구(24)는, 벽부(3)의 내장재(10)의 하단부(11)와 바닥면(1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벽부(3)의 내장재(10)의 하단부(11)로부터 약간 뒤쪽 가까운 위치에, 바닥면(18)의 단부(19)로부터 상방을 향해 굽도리널재(26)가 세워 설치되어 배치된다.
상기 굽도리널재(26)는, 바닥면(18)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상방으로 굴곡 형성되는 표측(表側) 판재(28)와, 이 표측 판재(28)의 이면측에 비스 등으로 고정되어, 표측 판재(28)의 상단부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수하(垂下)되는 이측(裏側) 판재(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굽도리널재(26)의 상단부(27)에는 단면 ⊃자 형상의 알루미늄제의 보호재(32)가 비스(34)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내장재(10)의 하단부(11)에는 보드용의 조인트 재(3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내장재(10)의 이면부로부터 하단부(11)에 걸쳐, 조인트 재(36)를 덮는 상태로 단면 L자 형상의 알루미늄제의 앵글재(38)가 배치되고, 비스(34)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 앵글재(38)는, 내장재(10)의 하단부 근방의 이면부를 보호한다.
상기 굽도리널재(26)는, 벽 기초면(6)과 내장재(10) 사이의 간격의 대략 중앙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굽도리널재(26)의 상단부(27)는 내장재(10)의 하단부(11)보다 조금 높거나 대략 같은 정도이다.
그리고, 내장재(10)의 하단부(11)와 이 후방의 굽도리널재(26)와의 사이(여기서는 25mm정도)에는, 실내를 향해 하향으로 개구되는 바닥측 취출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측 취출구(24)는, 하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눈에 띄지 않아 미관이 좋다.
또한 벽 기초면(6)에는, 상기 굽도리널재(26)의 상단부(27)(바닥측 취출구(24)의 위치)보다 조금 상방(여기서는 15mm 정도)의 위치(벽부 유통로(5)의 하부 근방)에, 난류 발생판(40)이 그 돌출판부(44)가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난류 발생판(40)은, 기판부(42)와 돌출판부(44)로 이루어지는 단면 L형상(부등변 앵글재)의 알루미늄제의 장척재이다. 상기 난류 발생판(40)은, 바닥측 취출구(24) 근방의 약간 상방의 벽 기초면(6)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비스 등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부(42)를 벽 기초면(6)에 고정한다.
상기 난류 발생판(40)은, 벽 기초면(6)으로부터 돌출판부(44)가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형태이다. 이 난류 발생판(40)은, 바닥아래 유통로(22)로부터 보내지는 공조 공기(25)를 돌출판부(44)에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킨다. 이 공조 공기에 난류를 일으킴으로써,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64)가 설치된 상측 방향과, 바닥측 취출구(24)가 설치된 표측을 향해 방향을 바꾸는 두 방향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상향으로 분류된 공조 공기는 그대로 벽부 유통로(5)를 상승하고, 표측으로 방향을 바꾼 분류 공기는 바닥측 취출구(24)를 통과하여 실내에 유입된다.
도 2는, 공조 공기가 유통하는 이중벽의 상부의 천정 근방을 나타내는 것이다.
천정부(4)는, 야연(野緣, furring strip) 받이(46)에 클립(47)을 걸어 부착하고, 이 클립(47)에 부착한 야연(48)에 천정판(49)을 부설하여 천정면(50)을 형성한다. 또한 천정부(4)의 구석에는, 천정판(49)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런너재(활차재(滑車材)라고도 함, 52)가 배치되어, 비스(34) 등에 의해 벽 기초면(6)에 고정된다.
이 런너재(52)는, 좌우의 측판부(51,53)와 상판부로 이루어지는 단면 ⊃자 형상의 장척재로서, 각 종동연(8)의 상단부는 런너재(52)의 홈내에 돌입(突入)된 상태로 비스(34)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런너재(52)는, 종동연(8)의 상단부를 덮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중벽의 벽부 유통로(5)의 상단부를 폐색한다.
또한, 런너재(52)의 측판부(53)의 하단부(54)와 내장재(10)의 상단부(13)와의 사이에는 간극(55)(여기서는 35mm 정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재(10)의 상단부(13)에는 조인트 재(36)가, 또한 내장재(10)의 내측 및 상단부(13)의 조인트 재(36)를 덮는 상태에서 앵글재(38)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런너재(52)의 실내측에는, 상기 간극(55)의 전방을 덮는 형태에서 천정 가장자리재(56)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천정 가장자리재(56)는, 단면 직사각형상의 기부(基部,58) 및 이 앞쪽에 형성되어 하방을 향해 수하되는 종편부(縱片部,60)로 이루어지는 단면 L자 형상의 부재이다. 이 천정 가장자리재(56)의 종편부(60)의 전면(前面)으로부터 하면에 걸쳐, 화장용의 알루미늄제의 굽힘물(6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천정 가장자리재(56) 내측의 입우부(入隅部)에, 알루미늄제의 단면 L자 형상의 앵글재(63)가 부착되어, 공조 공기가 닿는 이 부위를 보호하고 있다.
상기 천정 가장자리재(56)에 의해, 내장재(10)의 상단부(13)와 이 천정 가장자리재(56)의 종편부(60)와의 사이(여기에서는 35mm)에는,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천정측 취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천정측 취출구(64)는, 방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대략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재(10)의 상단부(13)와 런너재(52) 사이의 간극(55)으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는, 천정 가장자리재(56)에 의해 흐름이 하향으로 바뀌어져, 상기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진다. 이 천정 가장자리재(56)는, 천정부(4)의 구석부를 장식하는 동시에, 공조 공기를 하향으로 바꾸어 실내의 공조 효율을 높이고 있다.
도 3은, 다른 형태에 의한 이중벽의 상부의 천정 근방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는, 내장재(10)의 상부에 설치한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간극(66)의 하부(67)와 천정면(50)을 대략 동일한 정도로 하여, 간극(66)을 보이지 않도록 한 형태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형태에서는 상기 천정 가장자리재(56)를 사용하지 않는다.
천정부(4)는, 야연 받이(46)에 클립(47)을 걸어 부착하고, 이에 부착된 야연 (48)에 천정판(49)을 부설하여 천정면(50)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천정면(50)의 높이에서 약간 높은 위치로부터 상부에 걸쳐, 내장재(10)의 상단부(13)가 형성되고, 이 상부에 공조 공기가 유출되는 상기 간극(66)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66)의 상부에는 가로재(70)가 배치되고, 또한 종동연(8)의 상부에는 런너재 등이 배치되어 벽부 유통로(5)의 상부가 폐색된다.
또한, 천정면(50)의 단부(端部,72)는, 내장재(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극(여기에서는 35mm 정도)을 둔 위치에 설치되어, 이 간극에 의해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천정측 취출구(6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장재(10) 상부의 간극(66) 전방에는, 공조 공기류를 하측 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74)이 고정구(7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이 풍향 변경판(74)은, 단면 원호 형상의 알루미늄제의 장척재이다.
상기 고정구(76)는, 좌측면부(78), 상면부(79) 및 우측면부(80)로 이루어지는 단면 ⊃자 형상의 금구(金具)이다. 이 고정구(76)의 좌측면부(78)의 상부 근방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 볼록부(82)가 횡방향 스트립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면부(78)의 양측에는 각각 외측을 향해 고정편부(84,84)가 굴곡 형성되고, 이들 양 고정편부(84,84)에는 각각 중앙부에 나사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구(76)의 우측면부(80)의 하단부에는, 내측에 예각 형상으로 굴곡된 걸림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76)는 상기 간극(66)의 전부(前部)에 배치되고, 좌측면부(78)의 양 고정편부(84,84)를 각각 이중벽의 하지재(下地材)인 종동연(8)의 측부에 끼워 나사구멍(86)으로부터 비스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각 고정 금구(76)는,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각 고정 금구(76)의 걸림부(88)와 걸림 볼록부(82) 사이에, 풍향 변경판(74)의 양측 단부를 각각 걸어서 고정한다. 이 풍향 변경판(74)에 의해, 간극(66)으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의 흐름이 하측 방향으로 변경되어,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진다.
도 4는, 방 주변의 바닥부(2)의 바닥아래 공간부(20), 벽부(3)의 벽뒤 공간부(9), 천정부(4)의 천정뒤 공간부(92)에서의 공조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천정뒤 공간부(92)에는 공조기기(94)가 배치되어, 난방, 냉방 혹은 제습용 등의 공조 공기를 송출한다.
상기 공조기기(94)로부터 내뿜어진 공조 공기는, 천정뒤 공간부(92)로부터 벽외(93)에 배치된 덕트(96)내를 유통하여 바닥아래 공간부(20)까지 보내진다. 이 바닥아래 공간부(20)에는, 바닥아래 덕트(98)가 바닥아래에 종횡 혹은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 바닥아래 덕트(98) 상부의 곳곳에는 공조 공기의 분출 노즐(97)이 배치되어 있다.
이 분출 노즐(97)은, 공조 공기를 바닥판(17)의 이면을 향해 내뿜어 바닥면을 통하여 실내의 공조를 행한다. 또한 바닥아래 공간부(20)로 내뿜어진 공조 공기는, 상술한 벽부(3)에 형성된 이중벽 구조에 의한 벽부 유통로(5)를 유통하여 바닥면(18) 근방의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에 내뿜어지고, 벽부 유통로(5)를 상승하여 천정면(50)의 근방의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향해서 더 내뿜어진다. 실내의 공기는, 천정면(50)에 설치한 흡기구(99)로부터 흡인되고, 상기 공조기기(94)에 보내져 재차 공조에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 실내로 안내하기 위해, 벽부에 공기류 통로를 형성하고 바닥측 취출구와 천정측 취출구를 설치함으로써, 실내공간은 균일한 온도 환경과 습도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벽부 유통로에 공조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벽면으로부터도 복사열의 작용에 의한 공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벽부 유통로에 난류 발생판을 설치함으로써, 공조 공기의 흐름이 바닥측 취출구와 천정측 취출구로 분할되어, 양 취출구로부터 원하는 양의 공조 공기가 내뿜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실내 온도 및 습도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바닥부 혹은 천정부에 루버(louver)(공기 취출구)를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에 비해, 상기 바닥측 취출구와 천정측 취출구는 방의 벽 한면의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의 풍속이 느려서(풍속 0.3m/sec 이하로 풍속 조정이 가능), 공기의 흐름(드래프트감)이 느껴지지 않는 소프트하고 쾌적한 공조 환경이 얻어진다.
또한, 바닥 위의 취출구를 없애, 상기 바닥측 취출구 및 천정측 취출구로부터 내뿜어지도록 했기 때문에, 실내에 가구 등의 물건을 두어도 이들 취출구로부터의 취출은 가능하여, 실내공간의 공조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실내의 미관성도 향상되었다.
도 6(a)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한 난류 발생판(40)으로 바꾸고, 유체 유도재(102)를 이용한 구성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 종동연(8)으로 바꾸어 단면 □자 형상(각통(角筒) 형상)의 강철제의 스터드재(108)를 2개 묶은 것을 이용한다.
또한, 벽 기초면(6)측에는 단열 조직(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열 조직(105)은, 대향하게 배치된 2장의 보드재(109)(파티클 보드 등)끼리의 사이에 단열재(7)가 배치된 형태이다. 이 단열재(7)로서는, 글래스울, 암면 등의 무기섬유계 단열재, 압출법 폴리스티렌폼, 페놀폼 등 발포 플라스틱계 단열재, 천연목질 섬유의 셀룰로오스 섬유, 양모 단열재, 탄화 발포 코르크 등의 천연소재계의 단열재(7)가 이용된다.
상기 단열 조직(105)과 내장재(10) 사이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스터드재(108)가 세워 설치되고, 또한 단열 조직(105)과 내장재(10) 사이의 벽뒤 공간부(9)에는 공조 공기(25)가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체 유도재(102)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의 원호부(106)를 갖는 장척재이다. 또한, 상기 원호부(106)의 한쪽 단부(端部)에는 평판 형상의 부착판부(104)가 연장 설치되고, 이 부착판부(104)의 좌우의 2개소에 부착용의 구멍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 유도재(102)는, 상기 벽뒤 공간부(9)의 폭 전체에 걸쳐, 또한 횡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 배치된다. 도 6(c)의 벽뒤 공간부(9)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유도재(102)는, 인접하는 유체 유도재(102)와는 소정(일정)의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는, 병설되는 스터드재(108) 사이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스터드재 (108)끼리의 사이에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하고, 그리고 이 옆의 스터드재(108)끼리의 사이에는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 스터드재(108)사이에 단속적으로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하는 형태로 한다.
상기 유체 유도재(102)는, 가로 일렬로 단속적으로 배치해도 좋고, 또한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하로 교대로 나누어 배치해도 좋다.
또한 유체 유도재(102)는, 원호부(106)의 중앙이 정부(頂部)로 되도록 배치되고, 그 부착판부(104)의 구멍부(103)를 비스 등의 부착구(110)를 이용하여 단열 조직(105)(또는 벽 기초면(6))에 고정한다.
상기 유체 유도재(102)에 의하면, 아래로부터 상승하는 공조 공기(25)는 이 유체 유도재(102)에 의해 바닥측 취출구(24)로 유도된다. 이 경우, 단열 조직(105)의 근방을 상승하는 공조 공기(25)가 유체 유도체(102)의 한쪽 절반부분(단열 조직(105)측)에 닿아, 그 흐름이 외향으로부터 하향으로 바뀌어지고, 이것이 내장재(10)의 하단부(11)와 표측 판재(28)의 상단부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바닥측 취출구(24)로 유도되어, 이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이때, 유체 유도재(102)의 원호부(106)의 가이드에 의해 원활하게 공조 공기의 유도가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벽부 유통로(5)에서,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한 개소에 도달한 공조 공기(25)는, 유체 유도재(102)에 의해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로 유도되고, 또한 유체 유도재(102)를 배치하지 않은 개소의 공조 공기는, 그대로 벽부 유통로(5)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벽부 유통로(5)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25)는, 바닥측 취출구(24)의 상측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64)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되어,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64)와 바닥측 취출구(24)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된다.
공조 공기가 유통하는 이중벽의 상부의 천정 근방(천정측 취출구)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도 3에 나타내는 구조와 대략 동일하다. 여기에서는, 천정측 취출구(64)에 상기 고정구(76) 및 긴 형상의 풍향 변경판(74)을 부착한다. 이 풍향 변경판(74)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可撓性)이 있는 긴 형상의 판재이다.
상기 고정구(7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터드재(108)의 측부에 양 고정편부(84,84)의 나사구멍(86)에 비스(107)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또한, 이 스터드재(108)는, 함께 묶인 한쪽의 내장재(10)측의 것은 상방으로부터 내장재(10)의 하단부(11) 근방까지 배치되고, 다른 쪽의 단열 조직(105)측의 것은 또한, 바닥 슬라브(14)까지 연장 설치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내장재(10)의 하단부(11) 근방으로부터 상방의 벽뒤 공간부(9)의 폭은 스터드재(9)의 2개분의 폭의 치수를 확보하고, 내장재(10)의 하단부(11) 근방으로부터 하방의 벽뒤 공간부(9)의 폭은 스터드재(9)의 1개의 폭의 치수를 확보한다.
그리고, 풍향 변경판(74)을 볼록 형상으로 굽힌 상태에서 그 상하 단부를, 각각 고정구(76)의 걸림 볼록부(82)의 상부와 걸림부(88) 사이에 걸리게 하여 그 복원력을 이용해서 고정한다. 이 풍향 변경판(74)은, 벽면(12)의 대략 전체 범위에 걸쳐 배치한다.
상기 풍향 변경판(74)에 의해 공조 공기의 흐름이 하향으로 바뀌어져, 상기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공조 공기를 하향으로 바꿈으로써, 특히 난방시에는 실내의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서는, 유체 유도재(102)가 배치된 벽부 유통로(5)(스터드재(108)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는 모두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로 유도되고, 또한 유체 유도재(102)가 배치되지 않은 벽부 유통로(5)(스터드재(108)끼리의 사이)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는 전부 상방의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따라서,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유체 유도재(102)의 단속적인 배치에 의해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공조 공기가 바닥측과 천정측으로 분산되고, 또한 유체 유도재(102)의 배치 개소의 증감으로 간단하게 바닥측과 천정측으로의 공조 공기의 분산 비율을 바꿀 수 있어 편리성도 뛰어나다.
도 8(a)는,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유체 유도재(102)로 바꾸어 유체 분배재(112)를 이용한 형태이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고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한 이중벽의 상부의 천정 근방의 구조는, 제2 실시 형태 등과 동일하며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체 분배재(112)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혹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의 원호부(116)를 갖는 장척재이다. 또한, 상기 원호부(116)의 한쪽 단부에는 평판 형상의 부착판부(104)가 연장 설치되고, 이 부착판부(104)의 좌우의 2개소에 부착용의 구멍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분배재(112)의 원호부(116)의 상부에는 긴 방향으로 소정(일체(一體)) 간격을 두고 장방 형상의 통과구멍(11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과구멍(118)은, 원호부(116)의 판면을 ⊃자 형상으로 절취하고, 이를 상방으로 절곡하여 설치한 것으로, 그 일단부에는 절곡편(119)이 상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 분배재(112)는, 상기 벽뒤 공간부(9)의 폭전체에 걸쳐, 또한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8(c)의 벽뒤 공간부(9)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체 분배재(112)는, 벽뒤 공간부(9)에 스터드재(108)의 개소를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배치한다. 이 때문에, 유체 분배재(112)의 통과구멍(118)을 통과하는 공조 공기만이 벽부 유통로(5)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유체 분배재(112)는, 원호부(116)를 상측으로 하여 배치하고, 그 부착판부(104)의 구멍부(103)를 고정구(34)를 이용하여 단열(斷熱) 조직(105)(또는 벽 기초면(6))에 고정한다.
상기 유체 분배재(112)에 의하면, 하방으로부터의 공조 공기(25)의 일부는, 유체 분배재(112)에 의해 그 흐름을 외향 및 하향으로 바꾸어 바닥측 취출구(24)로 유도하고, 이 바닥측 취출구(24)로부터 실내에 내뿜는다. 또한, 공조 공기(25)의 나머지는 상기 통과구멍(118)을 통과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이와 같이 벽부 유통로(5)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25)는, 바닥측 취출구(24)의 상측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64)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되어,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64)와 바닥측 취출구(24)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된다.
따라서, 이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유체 분배재(112)에 의해 정확하면서 효과적으로 공조 공기가 바닥측과 천정측으로 분산되고, 또한 유체 분배재(112)의 통과구멍(118)의 크기(혹은 단위간격당의 수)의 증감에 의해 간단하게 바닥측과 천정측으로의 공조 공기의 분산 비율을 바꿀 수 있어 편리성도 뛰어나다.
도 9는, 다른 형태에 의한 천정 근방(천정측 취출구)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 구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 형태에 의한 공조용 이중벽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는, 천정측 취출구(64)로서 벽부에 해당하는 내장재(10)의 천정 가까운 부분에 횡방향으로 개구되는 간극을 형성하여 취출구(123)로 하고, 또한 천정면(50)의 근방에 위치하는 스터드재(108)의 상단부에 걸림 고정구(120)를 부착하고, 이것에 상기 풍향 변경판(75)을 걸리도록 한 형태이다.
상기 걸림 고정구(120)는, 상면부(122), 측면부(124), 및 하면부(126)를 갖는 단면 대략 ⊃자 형상의 금구이며, 상면부(122)의 선단부에는, 내측에 예각 형상으로 굴곡된 걸림부(128)가 형성되고, 또한 하면부(126)에는 걸림 볼록부(129)가 횡방향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면부(126)의 좌우부는 일부가 각각 하방으로 굴곡 형성된 고정편(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구(76)는, 양 고정편(127)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비스(107)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풍향 변경판(75)의 부착시에는, 상기 고정구(76)의 걸림부(128)와, 걸림 볼록부(129)의 측면부(124) 가까이의 부위와의 사이에, 풍향 변경판(75)을 볼록 형상으로 굽힌 상태에서, 그 상하 단부를 각각 걸리게 하여 그 복원력을 이용해서 고정한다. 이 풍향 변경판(75)은, 벽뒤 공간부(9)의 횡방향의 대략 전체 범위에 걸쳐 배치한다.
이 천정측 취출구의 구조에 의하면, 벽뒤 공간부(9)를 상승하는 공조 공기(25)는, 풍향 변경판(75)에 의해 흐름이 횡방향으로 바뀌어져, 내장재(10)의 상부에 형성된 취출구(123)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이 때문에, 취출구(123)로부터 공조 공기를 천정면(50)에 나란한 방향으로 내뿜기 때문에, 특히 냉방시에는 실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공조 공기(냉기)를 흐르게 할 수 있어, 양호한 공조를 행할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이중벽의 천정 근방(천정측 취출구)의 구조는, 도 2에 나타내는 구조와 대략 동일하지만, 여기에서는 천정 가장자리재(56)에 의해 형성되는 천정측 취출구(64)에, 상기 고정구(76) 및 상기 풍향 변경판(74)을 부착한 형태이다.
상기 고정구(76)는 종동연(8)의 측부에 고정하고, 이 고정구(76)의 걸림부 (88)와 걸림 볼록부(82)의 상부와의 사이에, 풍향 변경판(74)을 볼록 형상으로 굽힌 상태에서 그 상하 단부를 각각 걸리게 하여 고정한다. 이 풍향 변경판(74)은, 내장재(10)의 횡방향의 대략 전체 범위에 걸쳐 배치한다.
상기 풍향 변경판(74)에 의해 공조 공기의 흐름이 효과적으로 하향으로 바뀌어져, 천정측 취출구(64)로부터 실내로 내뿜어진다. 공조 공기를 하향으로 바꿈으로써, 특히 난방시에는 실내 하방의 공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스터드재(108)(혹은 상기 종동연(8))의 중간부에 부착된 가이드판(132)을 나타낸 것이다. 이 가이드판(132)은, 상기 종동연(8) 혹은 상기 스터드재(108)의 측부에 설치한 부착구멍부(130)에 삽입통과시켜 배치한다. 이 때문에 가이드판(132)은, 보드재(109)와 내장재(10) 사이의 상기 벽뒤 공간부(9)내를 가로로 뻗는 형태로 된다.
상기 가이드판(132)은, 강철제 혹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단면 원호 형상의 장척재이다. 또한, 상기 부착구멍부(130)에는 예각 형상의 걸림부(124)가 형성되고, 또한 부착구멍부(130)의 하부는 내장재(10)측을 향하여 상승하는 원호 형상의 경사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132)은, 부착구멍부(130)의 경사부(134)에 배치하는 동시에, 그 하단부를 걸림부(138)에 걸리게 하여, 한쪽의 상단부를 고정핀(136)으로 눌러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판(132)에 의하면, 벽부 유통로(5)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25)의 일부를 내장재(10) 방향으로 분기시켜, 실내의 벽면(12)을 형성하는 내장재(10)에 공조 공기를 적극적으로 닿게 함으로써, 벽면(12)을 따뜻하게 하여 벽면으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한 공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132)은, 종동연(8) 혹은 스터드재(108)의 흔들림 방지재로서도 기능한다.
5 : 벽부 유통로
24 : 바닥측 취출구
40 : 난류 발생판
64 : 천정측 취출구

Claims (8)

  1.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벽 기초면에, 공조 공기의 흐름을 바꾸는 난류 발생판을 배치하며,
    상기 난류 발생판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켜, 이 난류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류 발생판으로서 단면 L자 형상의 장척재를 이용하여, 이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벽 기초면에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난류를 발생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3.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상기 벽부 유통로에, 이 벽부 유통로를 폐색하는 유체 유도재를 횡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하며,
    상기 유체 유도재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로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체 유도재를 배치하지 않은 개소에 대해서는, 상기 벽부 유통로를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그대로 상방으로 유통시켜, 이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4. 공조기기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바닥아래 공간부에 보내, 이 바닥아래 공간부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내뿜는 공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닥아래 공간부와 연이어 통하는 이중벽의 벽부에, 바닥아래 공간부로부터의 공조 공기가 상방을 향해 유통하는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고, 바닥부의 근방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의 바닥측 취출구를, 또한 천정부의 근방에 천정측 취출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근방의 상기 벽부 유통로에, 공조 공기의 통과 구멍을 갖고 상기 벽부 유통로의 일부를 폐색하는 유체 분배재를 횡방향으로 배치하며,
    상기 유체 분배재에 상기 공조 공기를 닿게 하여 일부의 공조 공기를 바닥측 취출구로 유도하는 한편, 상기 유체 분배재의 통과 구멍을 통과하는 공조 공기를 상방으로 유통시켜, 이에 의해 공조 공기를 상기 바닥측 취출구의 방향과 상기 천정측 취출구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분류하여, 공조 공기를 천정측 취출구와 바닥측 취출구의 양방으로부터 실내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측 취출구로서, 상기 천정부의 벽 가까운 부분에 하방을 향해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천정부의 벽 가까이에, 상기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여 상기 벽부의 천정 가까이에 마련한 간극으로부터 내뿜어지는 공조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을 배치하고,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하방을 향해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측 취출구로서, 상기 벽부의 천정 가까운 부분에 횡방향을 향해 개구되는 취출구를 설치하고, 상기 벽부 유통로의 천정 가까이에, 이 벽부 유통로를 유통하는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바꾸는 풍향 변경판을 배치하며, 상기 취출구로부터 공조 공기를 횡방향으로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 유통로를 형성하는 벽 기초면에 단열재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 유통로에, 긴 형상의 가이드판을 이 벽부 유통로내를 가로로 뻗도록 한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벽부 유통로를 상승하는 공조 공기의 흐름을 상기 내장재의 이면부로 유도하고 여기에 닿게 하여, 온도가 조정된 상기 내장재에 의한 벽면으로부터의 복사 효과에 의해 실내의 공조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이중벽 구조.
KR1020127004841A 2009-07-27 2010-07-23 공조용 이중벽 구조 KR101698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74340 2009-07-27
JP2009174340 2009-07-27
PCT/JP2010/062408 WO2011013582A1 (ja) 2009-07-27 2010-07-23 空調用二重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228A true KR20120041228A (ko) 2012-04-30
KR101698630B1 KR101698630B1 (ko) 2017-01-20

Family

ID=4352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841A KR101698630B1 (ko) 2009-07-27 2010-07-23 공조용 이중벽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47982B2 (ko)
KR (1) KR101698630B1 (ko)
WO (1) WO20110135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0044B2 (ja) * 2016-10-17 2021-08-18 株式会社メックecoライフ 空調システム
EE05856B1 (et) * 2019-01-18 2023-06-15 Silen Oü Ventilatsioonisüsteemiga mobiilne kabiin ja meetod selle ventileerimiseks
CN110685377A (zh) * 2019-10-23 2020-01-14 扬州大学 一种适用于纸质建筑的保温通风墙体结构
CN111395673A (zh) * 2020-03-09 2020-07-10 安徽未来饰界实业有限公司 五恒生态空调系统用覆布墙板结构
JP7288104B1 (ja) 2022-01-31 2023-06-06 大建工業株式会社 冷暖房用温調空気還流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8831A (ja) * 1986-03-31 1987-10-07 Kojima Press Co Ltd 空調用ダクトの空気流偏向装置
JP2002139241A (ja) 2000-10-31 2002-05-17 Ul House:Kk 住 宅
JP2002273139A (ja) * 2001-03-21 2002-09-24 Asai Kogyo:Kk 空気清浄器
JP2004505229A (ja) * 2000-07-28 2004-02-19 ノーマン,コニー 通気システム用装置
JP2006078128A (ja) 2004-09-13 2006-03-23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床下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3546U (ko) * 1976-02-04 1977-08-06
JPH03191249A (ja) * 1989-12-20 1991-08-21 Misawa Homes Co Ltd 空調機用ベーン
JPH04203833A (ja) * 1990-11-30 1992-07-24 Toshiba Corp 空調システム
JPH06229034A (ja) * 1993-02-05 1994-08-16 Iida Kenchiku Sekkei Jimusho:Kk 建築物における躯体構造
JP2905417B2 (ja) * 1995-04-14 1999-06-14 英晴 相澤 空気循環建物
JPH10140684A (ja) * 1996-11-12 1998-05-26 Daikin Ind Ltd 空調用通路付き建材及びその接続用建材
JP2955263B2 (ja) * 1998-02-02 1999-10-04 信秀 前田 快適室内環境機能を備えた建物
JP2002257402A (ja) * 2001-02-28 2002-09-11 Nippon Sound Techno:Kk 気体分配器
JP2004076285A (ja) * 2002-08-09 2004-03-11 Isao Okawa 建物
JP2006112764A (ja) * 2004-10-12 2006-04-27 Inter Central:Kk 全空気式改良形輻射空調システム
CH695326A5 (de) * 2004-11-26 2006-03-31 Lk Luftqualitaet Ag Flaechenelement zur Temperierung von Raumluft.
JP2006220325A (ja) * 2005-02-08 2006-08-24 Kenchiku Planner Kk 建築物の空調構造
JP2007333312A (ja) * 2006-06-15 2007-12-27 Denso Corp 空調装置
JP3133187U (ja) * 2007-04-17 2007-07-05 宏 山村 換気フー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8831A (ja) * 1986-03-31 1987-10-07 Kojima Press Co Ltd 空調用ダクトの空気流偏向装置
JP2004505229A (ja) * 2000-07-28 2004-02-19 ノーマン,コニー 通気システム用装置
JP2002139241A (ja) 2000-10-31 2002-05-17 Ul House:Kk 住 宅
JP2002273139A (ja) * 2001-03-21 2002-09-24 Asai Kogyo:Kk 空気清浄器
JP2006078128A (ja) 2004-09-13 2006-03-23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床下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630B1 (ko) 2017-01-20
JP5647982B2 (ja) 2015-01-07
WO2011013582A1 (ja) 2011-02-03
JPWO2011013582A1 (ja)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7244B2 (ja) 空気の通過を可能にするハンガー異形材およびそのような異形材を含む天井アセンブリ
KR20120041228A (ko) 공조용 이중벽 구조
JP2017534045A (ja) ウィンドブロッカーを備える空調機
US5564975A (en) Air flow controller fo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vents
CN210320314U (zh) 出风装置及设有其的换热设备
JPH0271027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方法
CN103883059A (zh) 隐装功能模块集成吊顶
JP4672800B1 (ja) エアコン用冷・暖気拡散装置
JP6806366B2 (ja) 空調設備及びこれを備えた建物
JP201809156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809156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7033486B2 (ja) パーソナル空調システム
JP7015645B2 (ja) 空調システム
JP7049105B2 (ja) 送風構造
JP4953743B2 (ja) 輻射空調ユニット
JP2008089786A (ja) 通風体感装置及び涼感比較体感装置
RU2675715C2 (ru) Диффуз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гофрированными вставками и конвекционный вентилятор, содержа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4119196A (ja) 建物
US20220373217A1 (en) Linear air diffuser of a suspended ceiling
JP2605936B2 (ja) 壁構造
JP4664642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4007901B2 (ja) 空気調和機の壁掛け設置用背面板
JP6052959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429572B1 (ko) 환기용 또는 냉,난방 공조장치용 그릴
JP2013083105A (ja) 通気フロア用ユニット及び通気フロ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