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469A -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469A
KR20120038469A KR1020127002994A KR20127002994A KR20120038469A KR 20120038469 A KR20120038469 A KR 20120038469A KR 1020127002994 A KR1020127002994 A KR 1020127002994A KR 20127002994 A KR20127002994 A KR 20127002994A KR 20120038469 A KR20120038469 A KR 20120038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e
cable car
car system
transport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817B1 (ko
Inventor
다니엘 구블러
Original Assignee
씨더블유에이 컨스트럭션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H01057/09A external-priority patent/CH701450B1/de
Application filed by 씨더블유에이 컨스트럭션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씨더블유에이 컨스트럭션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3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02Cabins; Ski-lift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02Control or safety means for heart-points and crossings of aerial railways, funicular rack-railwa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8Structural combinations, e.g. assembly or connection, of hybrid or EDL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components, at least one hybrid or EDL capacitor being the main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50Charging of capacitors, supercapacitors, ultra-capacitors or double 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기적 소비자는 다수의 전력 회로의 각 하나에 의해 운송 작동 장비(13)의 재충전가능한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14)에 그 동작을 위해 연결되고, 운송 작동 장비(13)가 에너지 저장기(14)에서의 에너지의 활용가능 양을 기초로 측정 값을 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해 측정 장치(1400)에 연결된 동작 제어 장치(140)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동작 제어 장치(140)가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측정 제어 값 및 관련된 제어 파라미터를 갖춘 저장 모듈(1401)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동작 제어 장치(140)는, 전력 회로(30)가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측정 제어 값에 대해 획득된 측정 값을 비교하고 대응하는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를 판독하기 위한 필터 모듈(140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운송 작동 장비(13)의 전기적 소비자는 여행하는 동안에도 에너지 저장기(14)에 의해 중단 없이 공급받을 수 있다. 안전 전력 회로는, 예컨대 에너지 저장기(14)가 최소 에너지 보존을 갖을지라도 산 정보 장치가 비상의 경우에 동작하는 것에 의해 또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Aerial Cable Car System having Transportation Operating Equipment for Passenger and/or Freight Transport}
본 발명은 독립청구항 제1항에 따른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예컨대 공중 케이블 카 객실 또는 의자식 리프트와 같은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고, 여기서 운송 작동 장비에는 예컨대 운송 작동 장비를 가열시킬 목적을 위해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의 스테이션 내부에 정지 동안 전력이 공급된다. 전기 콘택트가 콘택트 장치에 의해 스테이션에서 운송 작동 장비와 대응하는 에너지 공급기 사이에서 이 종단에 대해 확립된다. 불리하게, 이러한 장치에 따르면, 가열은 스테이션에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의 상주 기간 동안에만 가능하고, 의미있는 가열은 운송 경로의 전체 길이에 대해 보증되지 않는다.
또한 알려진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이 있는 바, 특히 왕복 궤도(shuttle tramways), 순환 케이블 철도(revolving cable railways), 및 무거운 납산 축전지(heavy lead-acid batteries)가 잠정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예컨대 산악 정보 장치에 이용되는 비상 또는 안전 기능을 갖는 전기적 소비자의 배터리 구동 동작을 위해 이용되는 객실을 갖춘 케이블을 이용하는 케이블 카(funicular cable cars)가 있다.
납산 축전지 또는 납산 스토리지 배터리(lead-acid storage batteries)의 실질적 결점은 짧은 수명이다. 다른 결점은 납산 축전지가 소정의 간격으로 완전하게 충전되어질 필요가 있고; 그렇지 않으면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의 활성판(active plates)이 황산염화되어 파괴된다. 이러한 완-충전 프로세스(full-charge process)는 시간 소비적이어서 수 시간이 걸린다. 더욱이, 납산 축전지는 무결점으로 기능하기 위해 -18℃ 내지 +30℃의 온도 범위를 요구한다. 어큐뮤레이터가 이 온도 범위 외에서 동작하면, 성능의 손실, 증기 형성 또는 배터리의 완전한 파괴가 초래될 수 있다. 운송 작동 장비에서, 특히 폐쇄된 케이블 카 객실에서, 70℃까지의 내부 온도가 가능하고, 의미있는 납산 저장 배터리는 상당한 복잡성을 포함하는 열에 대해 보호되어야만 한다. 통상적인 납산 스토리지 배터리의 주요 결점은 객실 케이블 카의 객실 내의 전기적 액세서리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으로서 그들을 부적절하게 만드는 큰 중량이다. 납산 스토리지 배터리가 빠르게 적재될 수 없으므로, 그들이 스테이션을 횡단하는 동안 충분한 충전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는 동작하는 날 전체를 통해 활용가능하게 되는 모든 에너지가 그에 따라 취해져야만 함을 의미한다. 더 새로운 세대의 스토리지 배터리 타입은 빠른 충전 프로세스를 가능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수명은 연속적-동작 케이블 카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해 적절치 않다. 스토리지 배터리의 사이클 안정성(cycle stability)은 주어진 스토리지 배터리가 몇 번이나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EP 1920988 Al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의자를 갖춘 의자식 리프트(chair lift)를 개시하고 있고, 여기서 안전 장치는 스테이션에 대해 들어가거나 및/또는 나가는 동안에 전력 회로가 스테이션의 영역에서 안전 장치의 전기-기계적 밸브에 전류를 제공하기 위해 잠정적으로 가능한 의자식 리프트 스테이션의 영역에서 전기 공압적(electro-pneumatically)으로 해제될 수 있다. 이 전력 공급은 스테이션의 바깥에서는 불가능하다.
US 2008282928는 의자식 리프트의 의자의 승객을 위한 가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고, 여기서 의자는 밀어 내릴 수 있는 안전 바를 포함하고, 여기서 에너지 원은 의자와 연결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열 원은 에너지 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가열 원은 안전 바 상에 배치된다.
JP 9093705 A는 예컨대 각각 하나의 무선 수신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구비하여 구성된 공중 케이블 카 객실을 갖는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고, 여기서 콘택트 장치는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배터리 충전 목적을 위해 충전 스테이션과 배터리를 연결하기 위한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의 스테이션에서 유용하며, 콘택트 장치는 액체 스트림에 의해 먼지를, 그리고 가열 장치에 의해 얼음을 깨끗이 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개선된 배터리 충전 행위를 초래하게 된다.
DE 19724712 Al는 전기-화학적 캐패시터(electro-chemical capacitor) 뿐만 아니라 그 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컨대 전기적 견인(electrical traction)을 위해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 전지(polymer-electrolyte-membrane fuel cells)와 조합되는 도로 교통(road traffic)에서 승용차를 위한 것이다.
WO 2004080776 Al는 의자식 리프트 시스템의 좌석의 쿠션 및/또는 의자의 등받이 뿐만 아니라 그 목적을 위해 적합한 의자를 가열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있고, 여기서 전기적 가열은 의자가 스테이션 내부에 있는 동안 스테이션의 전원에 의해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경제적이면서 안전 요구에 따르는, 운송 작동 장비의 작동 동안 전기적 소비자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송 작동 장비의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의 저장된 에너지를 관리 및 최적화하는, 운송 작동 장비, 예컨대 공중 케이블 카 객실을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는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달성되고, 여기서 전기적 소비자는 다수의 전력 회로의 각각의 하나에 의해 운송 작동 장비의 재충전가능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rechargeable electrical energy store)에 그 동작을 위해 연결되며, 운송 작동 장비는 에너지 저장기의 에너지의 활용가능한 양을 기초로 측정 값을 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측정 장치에 연결된 동작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동작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측정 제어 값 및 관련된 제어 파라미터를 갖춘 저장기 모듈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제어 동작 제어 장치는 획득된 측정 값과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측정 제어 값을 비교하고 전력 회로가 동작 제어 장치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거나 선택적으로 분리됨을 기초로 대응하는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를 판독 및/또는 선택하기 위한 필터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스테이션에 있을 때 뿐만 아니라 스테이션 간을 여행하는 동안에 중단 없이 운송 작동 장비의 전기적 소비자를 동작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전기적 소비자는 전형적으로, 예컨대 할로겐 광이나 LED와 같은 광원, 객실의 기후 제어를 위한 가열 및/또는 냉각 설비,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수단, 환기 시스템, 단방향 양방향 통신을 위해 무선, WLAN, 블루투스(Bluetooth) 등을 매개로 동작하는 하는 통신 수단이다. 전기적 소비자는, 예컨대 MP3 플레이어나 모바일 전화기와 같은 사람에 의해 운반되는, 예컨대 또한 소비자일 수 있다. 에너지 저장기는 통상 수천 패럿(Farads)의 용량을 갖출 수 있는 고용량 캐패시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캐패시터(에너지 저장기)의 충전 후 하강되는 전기적 전압은, 예컨대 DC/DC 컨버터에 의해, 소비자에 의해 정의할 수 있는, 예컨대 유용한 전압으로 변환된다. 운송 작동 장비는 바람직하기는 안전 회로 및 주로 운송된 사람을 편하게 하도록 기능하는 전기적 소비자를 위한 다른 회로를 포함한다. 운송 작동 장비는, 전력 회로를, 에너지 저장기의 잔여 에너지 양(residual energy quantity)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전형적인 유용한 전압은 24V이다. DC/DC 컨버터는 약 15V의 캐패시터의 잔여 충전 전압임에도 24V의 출력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DC/DC 컨버터는 안전 적용을 위해 남겨 둔 캐패시터의 나머지 전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오직 약 25V의 전압에 대해서만 동작되어지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제어 값 및 대응하는 제어 파라미터가 결합 작용을 우선화하는 목적을 위해 각 전력 회로와 관련될 수 있고, 이는 저장 모둘에 의해 저장되어질 수 있어 획득된 측정 값을 토대로 그 우선화에 대응하는 에너지 저장기와 함께 또는 그 우선화에 대응하는 에너지 저장기로부터 동작 제어 장치에 의해 각 전력 회로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전력 회로가 가중(weighting) 또는 우선도(priority)를 할당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고, 여기서 전력 회로는 에너지 저장기의 에너지의 활용가능한 양을 기초로 할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전력 회로의 가중(weighting) 및/또는 타당성(relevance)을 기초로 동작 제어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인터콤 시스템(intercom systems) 또는 비상등과 같은 안전-관련 소비자는 바람직하기는 에너지 저장기가 완전하게 방전되는 이러한 시간까지 여전히 결합되는 높은 우선도 안전 전력 회로에 연결된다. 높은 우선도(high priority)는 이러한 높은 우선도를 갖춘 전력 회로가 낮은 우선도를 갖춘 회로 보다 시간의 더 긴 만큼에 대해 여전히 결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안전 전력 회로(safety power circuit)는 최소 전압이 에너지 저장기에 존재할 때 에너지 저장기로부터 또한 분리될 수 있다. 저장 모듈은, 예컨대 측정 제어 값을 저장하기 위한 접근 가능 기준 테이블 및 대응되게 관련된 구동 전력 회로로서 구성된다. 전력 회로의 우선화(prioritization)는 활성 전력 회로 및/또는 에너지 저장기에 연결된 전력 회로의 관련과 함께 동시에 달성된다. 우선도에 따른 전력 회로의 분류는 또한 우선화로서 이해되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의 스테이션에서 운송 작동 장비의 정지 동안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에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공급함을 고려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이는 공중 케이블 카 객실의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를 전기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으로 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류 소비자(current consumer)는 에너지 저장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더욱 구체화된 변형으로 존재하고, 여기서 전류 소비자는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 수단과 함께 작용하며,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전류는 센서 수단에 의해 인에이블(enabled) 또는 디스에이블(disabled)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하나의 콘택트(contact) 또는 전력 레일(power rail) 각각은 극(pole) 당 고려되고; 직류(direct current), 충전 스테이션의 양극(positive pole)을 위한 하나의 콘택트 레일(contact rail)과 음극(negative pole)을 위한 하나의 콘택트 레일에 대해 의미한다. 이는 또한 충전 프로세스 동안 전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극 당 대응되게 여러 전류 소비자 및 여러 콘택트 레일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기의 충전 프로세스는 캐패시터가 약 40V 내지 48V의 충전 전압으로 퉁상 충전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고, 여기서 전류는 예컨대 초기에는 수 1,000A의 범위로 크고, 여기서 충전 전류는 완전 충전에 도달할때까지 제로를 향해 발산한다. 최대 충전 전류는 이용된 전류 소비자 기술에 따라 제한되고 충전 스테이션에서 파라미터화될 수 있다. 특히 충전 전류가 감소되면, 48V를 넘는 충전 전압, 예컨대 500V가 가능하다. 그러나, 증가된 보호 측정이 개인의 상해에 대해 보호되도록 필요로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기 위한 다른 전형적인 프로세스가 이하 설명되는 바: 에너지 저장기가 저장기로서 이중 층 캐패시터를 갖추면, 정의된 충전 전류를 갖는 충전 스테이션을 이용해서, 충전이 미리 정의된 전압이 캐패시터에서 달성될 때까지 야기된다. 충전 장치와 캐패시터 간의 전기 콘덕터(electrical conductors)에서의 소정의 전압의 강하가 고려되고, 따라서 전압의 증가에 의해 충전 장치에서 보상된다. 미리 정의된 전압이 캐패시터에 도달하자 마자 충전 전류는 제로를 향해 하강되거나 충전 전류는 운송 작동 장비의 소비자에 의해 끌어당겨진 전류에 대응한다.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의 충전 스테이션은 바람직하기는 케이블 카 객실의 에너지 저장기의 에너지의 잔여 양을 기초로 충전 전류 및/또는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충전 제어 수단은 또한 캐패시터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캐패시터의 셀의 온도를 고려할 수 있는 한편, 동시에 그 최적 용량을 소진시킨다. 이는 또한 온도를 고려하거나 일반적으로 더 낮은 충전 전압에 의한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운송 작동 장비에서의 전기적 소비자의 경제적 에너지 공급을 최적화하기 위해 낮은 기본 무게(low intrinsic weight), 최소 구성 크기, 및 긴 서비스 수명을 갖춘 비용-효율이 높은 에너지 저장기를 제안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 층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운송 작동 장비의 에너지 저장기는 이중 층 캐패시터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점의 하나는 이중 층 캐패시터가 특정 유효 전력 >20kW/kg을 달성할 수 있고, 500,000번의 깊은 충전 및/또는 방전 사이클을 초과하는 사이클 안정성의 그 고레벨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사실로 이루어진다. 이중 층 캐패시터를 갖는 에너지 저장기를 이용하면, 단기 피크 성능(short-term peak performances) 및/또는 연속적 기본 부하(continuous basic loads)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회전 케이블 레일 시스템(revolving cable rail system)으로서 설계된 운송 작동 장비에서, 케이블 카 객실은 하루 전체를 통한 전형적인 동작 시간, 예컨대 17시간 동안 연속적인 동작에 놓이고, 통상 수 초 또는 수 분 시간 동안에만 각 스테이션에서 정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또한 이중 층 캐패시터가 운송 작동 장비의 전기적 소비자를 구동시키기 위해 다음 케이블 카 스테이션에 도달되도록 하는, 예컨대 여행의 다음 수 분 동안 전력을 공급하는 이러한 간단한 상주 시간 동안 충분히 충전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소비자는 에너지 저장기와 함께 제거가능한 전력 회로 중 하나와 적어도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운송 작동 장비의 전류 소비자는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콘택트(sliding contacts)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운송 작동 장비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운송 작동 장비가 운송되거나 이동될 때에도 콘택트되도록 스테이션에 배치된 전력 레일로부터 안전한 전류 전송을 허용하는, 슬라이딩 콘택트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전류 전송이 도전성 전력 레일(inductive power rail) 및/또는 도전성 전류 소비자(inductive current consumer)에 의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충전 전류가 콘택트리스 작동 전류 전송 수단(contactless operating current transfer means)에 의해 달성된다는 사실로 이루어진다. 이 전류 전송 수단은 교류의 전송을 위한 1차 및 2차 코일(전송 코일)을 갖는 트랜스포머와 유사하게 설계된다. 현재의 경우에 있어서, 교류는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기 위해 2차측에서 직류로 변환되어야만 한다. 하나의 이점은 교류 전송기(current transfer)는 먼지 및 얼음에 독립적이고 무결점이라는 사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터치리스 인덕티브 에너지 전송(touchless inductive energy transfer)을 위한 충전 스테이션의 콘택트 수단은 전송 코일을 1차측 상에 포함하고, 여기서 전류 전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는 1차측과 함께 작용하는 2차측 상에 전송 코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운송 작동 장비의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의 충전 동작이, 콘택트를 포함하는 전류 전송 조건을 갖는 경우로 될 수 있음에 따라, 스파크가 없음을 의미하는, 터치리스(touchless)라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운송 작동 장비는 충전 프로세스 및/또는 운송 작동 장비의 취급 동안 에너지 저장기의 보호를 위한 연결 수단 또는 연결 장치로서 지시된 보호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보호 수단은 다이오드 및/또는 과전압 방지기(overvoltage arresters) 및/또는 퓨즈 절단(fuse cut-outs)으로 설계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스테이션의 전력 공급 수단의 콘택트 수단은 콘택트 레일로서 설계되고, 전기 에너지의 전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의 이동가능 슬라이딩 콘택트는 콘택트 레일과 맞물린다. 수 100A 전류가 짧은 시간 기간 동안 흐를 수 있을 때까지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할 때, 이는 제안된 콘택트 수단에 따라 유fl하게 실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콘택트 레일이 케이블 카 시스템의 케이블을 따라 적어도 몇몇 섹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법의 더 작은 캐패시터 용량은 주요 전기적 소비자에 대해 필요로 되거나; 주요 전기적 소비자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철탑(pylons)의 롤러 배터리의 영역에서 또는 케이블에 따른 전류 소모는 또한 유익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된 변형에 있어서, 충전 제어 수단이 그 온도를 기초로 에너지 저장기의 제어된 충전 작용을 위해 전기 에너지 저장기와 전류 소비자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이점 중 하나는 캐패시터 셀의 온도를 기초로 온도의 함수로서 충전 전압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수단의 능력으로 이루어진다. 유용하게, 이는 그 가장 큰 가능한 용량의 이점을 동시에 취하는 동안 캐패시터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온도를 고려하는 충전 스테이션에 의해 또는 일반적으로 더 낮은 충전 전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케이블 카 시스템의 승객 및/또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설계된 운송 작동 장비의 전기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기 위해, 객실의 전기 에너지 저장기는 바람직하기는 케이블 카 시스템의 스테이션 내부의 운송 작동 장비의 적어도 잠정적 상주 시간 동안 전기적으로 충전된다. 충전 프로세스는 또한, 예컨대 케이블 철탑을 지나가는 여행 동안 케이블 철탑에 케이블 카 객실의 적어도 잠정적 상주 시간(dwelling time) 동안 야기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철탑에는 케이블 카 객실 상의 대응하는 카운터-콘택트(corresponding counter-contacts) 및/또는 여행하는 동안 충전 행위를 위해 허용되는 서스펜션(suspension)을 위해 충전 및 콘택팅 수단이 설치된다. 충전의 개방- 및/또는 폐쇄- 루프 제어를 위한 대응하는 수단은 운송 작동 장비 및/또는 충전 스테이션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종류의 개방- 및/또는 폐쇄- 루프 제어 행위는 조건적으로 또한 스테이션 내부 또는 철탑에서 가능하게 된다. 전기적으로 및/또는 기계적으로 분리된 충전 수단은 케이블 카 시스템의 스테이션 내부에 존재하는 여러 케이블 카 객실의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기 위해 배치된다. 전력 레일(power rails)의 길이는 스테이션 내부의 2개의 운송 작동 장비의 사이에서 야기되는 최소 거리 보다 통상적으로 더 짧다. 통상 충전 스테이션에서 여러 이중 층 캐패시터의 충전 행위 동안, 캐패시터는, 매우 높은 보상 전류가 충전 콘택트를 파괴할 수 있는 캐패시터 사이 뿐만 아니라 전류 소비자와 에너지 저장기 사이의 라인을 흐를 수 있음을 의미하는, 동일한 전압 레벨로 서로 평활(equalize) 되기 때문에, 전력 회로의 분리(decoupling of the power circuits)가 필요하다.
운송 작동 장비: 케이블 카 객실, 의자, 케이블을 이용하는 케이블 카의 운송수단 등은 시작 지점에서 목표 지점으로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케이블 카 시스템: 예컨대 회전 레일(revolving rails), 셔틀 트램(shuttle trams), 케이블을 이용하는 케이블 카, 모노레일이나 또는 운송 작동 장비의 공간적 이동을 위한 셔틀 등과 같은 설비로서, 여기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운송 작동 장비는, 앞선 쪽으로부터 잠정적으로 매달리게 되거나 그렇지 않으며 잠정적으로 그에 연결된, 케이블 카 시스템의 하나 또는 여러 케이블에 의해 끌어 당겨진다.
철탑(pylon): 로프, 케이블 등을 지지하기 위한 거리 수단(distance means)으로, 여기서 철탑은 케이블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대부분의 예에서 소위 롤러 배터리(roller batteries)로 불리워지는, 롤러 또는 휠이 배치된 철탑 팁(pylon tip)을 포함한다.
소비자: 현재, 특히, 램프, 히터, 기후-제어 기구, 팬, 모니터, 무선용 오디오 및 비디오 운송 수단, WLAN, 블루투스 등과 같은 전기적 소비자.
에너지 저장기: 이중 층 캐패시터, LIC(lithium ion capacitor), 통상적 감각의 배터리, 납산 배터리(lead-acid batteries), NiMH, NiCd, LiMn, NaS 및 전기적 소자자에 대해 전기 에너지를 잠정적으로 유지 및 해제하기 위한 다른 저장 수단.
에너지 공급: 에너지 원의 개발, 가변적으로 이용가능한 에너지 캐리어에 대한 에너지 변환, 소비자에 대한 에너지 운송.
이중 층 캐패시터: 매우 큰 표면 영역을 갖춘 전극을 구비하는 판 캐패시터(plate capacitor)로서 일반적으로 설계된다. 바람직하기는, 여기서 이용되는 것은, 100F/g까지의 용량을, 전극의 활동량(active mass)과 관련하여,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이다. 물(aqueous) 또는 유기 용매(organic solvent)에서 용해되는 도전성 염(conducting salt)이, 전극 사이에 도전 액으로서 위치하는, 전해액(electrolyte)으로서 빈번하게 이용된다.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전해액의 분열된 분자(dissociated molecules)는 수 옹스트롬의 거리에서 전극의 탄 코팅된 표면(charcoal-coated surfaces) 상에 양이온 및/또는 음이온으로서 퇴적되고, 따라서 소위 이중 층을 생성하게 된다. 세퍼레이터(separator)로 불리워지는, 투과성 막(permeable membrane)은 층을 분리함에 따라 그 용량에 있어서 전극 사이에서 소정 단락을 방지한다. 전극의 큰 표면 영역은 매우 큰 용량 수율(capacity yield)로 전환된다.
콘택트 수단: 에너지 원으로부터 에너지 싱크(energy sink)로의 전기 에너지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여기서 콘택트는 적어도 잠정적으로 확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전류 소비자는 전류-운반 케이블(current-carrying cable) 또는 채널을 가로질러 경유하게 된다. 전류를 소비하는 동안, 전류 소비자는 그 내에 국소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현재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운송 작동 장비의 콘택트 수단으로서의 이해는 또한 2차측, 예컨대 변압기 코일에 대한 교류의 콘택트 프리 전달을 위한 도전성 전력 레일(1차측)이고, 여기서 2차측 코일은 운송 작동 장비 상에 위치된다.
충전 수단: 예컨대 이중 층 캐패시터와 같은, 에너지 저장기의 제어된 충전 작용을 위한 개방- 또는 폐쇄- 루프 제어로서, 여기서 특히 충전 전류 및 충전 전압은 제어 파라미터로서 이용된다. 충전 수단 또는 충전 스테이션은 이중 층 캐패시터를 위한 필요한 충전 전압 및 충전 전류를 제공한다. 충전 수단은 또한 충전 장치를 가리킨다.
충전 전압: 이는 상기 저장기가 충전되는 에너지 저장기에서의 전압이다.
충전 전류: 이는 운송 작동 장비의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류이다.
도 1은 케이블 카 시스템으로서 설계된 하나의 운송 작동 장비를 나타낸다.
도 2는 측면, 바닥 및 지붕 뿐만 아니라 서스펜션(suspension)을 갖춘 운송 작동 장비(transportation operating equipment)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측면 및 지붕을 갖춘 운송 작동 장비의 상면도로서, 점선은 그 위에 배치된 선 루프(sun roof)에 의해 보호되는 에너지 저장기를 나타낸다.
도 4는 콘택트를 갖는 운송 작동 장비의 서스펜션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전류 소비자의 도 1의 상세도로서, 상기 콘택트는 전력 레일의 각 오목부(indentation) 내측으로 안내된다.
도 5는 도 4에서 선 V-V에 따른 단면 표현이다.
도 6은 계곡 스테이션(valley station)과 산 스테이션(mountain station) 및 롤러에 의해 바람직하게 경유되는 케이블 상에 철탑 팁(pylon tip)을 구비하는 지지 철탑(support pylon)을 갖춘 케이블 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7은 케이블이 처음의 주위를 회전하는 것으로 배치됨에 따른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및/또는 프리휠(29)을 구비하여 구성된 3개의 스테이션(S)을 갖춘 케이블 카 시스템(1)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캐패시터의 내부의 동작 온도 및 충전 전압의 함수로서 이중 층 캐패시터의 셀의 대략적인 예상된 서비스 수명을 도표로 나타낸다.
도 9는 스테이션 내부에 배치된 2개의 운송 작동 장비를 도시한 도면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된 2개의 충전 수단이 가능하다.
도 10은 케이블 카 시스템의 운송 작동 장비의 에너지 저장기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하나의 운송 작동 장비의 에너지 저장기의 충전 전압의 진로의 도면이다.
도 1은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케이블 카 객실로서 설계된 운송 작동 장비를 나타낸 도면이다. 운송 작동 장비는 운송 작동 장비의 전기적 소비자가 동작되어질 수 있는 전기 에너지 저장기를 포함하는 승객 및/또는 화물의 운송을 위해 기능한다. 에너지 저장기는 적어도 하나의 재충전가능 캐패시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러 캐패시터가 에너지 저장기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용할 수 있다. 이 외에, 캐패시터는 바람직하기는 이중 층 캐패시터로서 구성되고, 에너지 저장기는 또한 하나 또는 여러 납산 배터리(lead-acid batteries), NiCd, NiMh, LiMn, LIC(lithium ion capacitor), NaS 또는 비교가능 에너지 저장기(comparable energy stores)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들의 다른 특성은 개방- 및/또는 폐쇄- 루프 충전 제어(open- and/or closed-loop charge control)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참조부호 141은 이중 층 캐패시터(14)를 갖는 전류 소비자(142)의 케이블링 또는 와이어링을 가리킨다.
도 2는 측면(133), 바닥(134) 및 지붕(132) 뿐만 아니라 서스펜션(131)을 갖춘 운송 작동 장비(13)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에너지 저장기(14)는 지붕 영역에 배치되어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이는 예컨대 서스펜션 또는 지붕 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참조부호 15는 슬리브(sleeve), 선 루프(sun roof) 또는 보호 쉴딩(protective shielding)을 가리킨다. 이러한 쉴딩은 햇빛에 의한 방사에 기인하는 과도한 가열에 대해, 비, 눈 및 다른 외부 영향에 대해 에너지 저장기를 보호한다.
도 3은 측면(133) 및 지붕(131)을 갖춘 운송 작동 장비(13)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점선은 보호 쉴딩(15) 아래의 에너지 저장기를 가리킨다.
도 4는 콘택트(142,142')를 갖춘 전류 소비자인 도 1의 상세도로서, 운송 작동 장비의 서스펜션(131)의 케이블 클램프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콘택트는 스프링 힘의 인가에 의해 전력 레일(power rails; 21,21')의 각 오목부로 눌려진다. 케이블 클램프는 여기서 스테이션의 U형상 주행 레일(U-shaped running rail; s)로서 구성되고 스테이션 내에서 운송 작동 장비를 운반하도록 기능하는 롤러(1311)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로부터 선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는 전력 레일(21')이 어떻게 구역(section)을 경유해서 표현되는지를 나타낸다. 운송 작동 장비의 전류 소비자(142')의 슬라이딩 콘택트는 서스펜션(131)의 케이블 클램프 상에 배치되고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6은 계곡 스테이션(valley station) 및 산 스테이션(mountain station) S 뿐만 아니라 철탑 팁(pylon tip; m) 지지 케이블(supporting cable; 11)을 갖춘 전형적인 케이블 카 시스템을 나타낸다. 케이블 카 객실(13)의 에너지 저장기(14)의 단기간 충전(short-term charging)을 위해 설치된 철탑 팁의 영역에 콘택트를 또한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에너지 저장기(14)를 충전하기 위한 대응하는 전력 공급 수단(2)은 대응하는 철탑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기는 전력 공급 수단은 직류 전류 및/또는 직류 전압을 에너지 저장기로 전달한다. 철탑의 영역에서 콘택트 수단은 콘택트 롤러, 전단기(shear), 및 등자(stirrup) 또는 편자(horse-shoe) 전류 소비자를 갖는 소위 로드 콜렉터(rod collector)가 운송 작동 장비(13)의 각 직류 전류 콘택트를 위해 배치되는 방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충전 전류의 터치리스 전송이, 예컨대 도전성 전류 전송기(inductive current transfer)에 의해 또한 가능하다.
도 7은 케이블(11)이 회전하는 방법(revolving manner)으로 배치된 각각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및/또는 프리휠(drive and/or freewheel; 29)을 구비하여 구성된 3개의 스테이션(S)을 갖춘 케이블 카 시스템(1)의 도식적 표현을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부호(L1)는 운반 길이 또는 계곡 스테이션 및 중간 스테이션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고: 참조부호(L2)는 중간 스테이션 및 산 스테이션 사이의 운반 거리를 나타낸다. 스테이션(S)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21로 지시된 콘택트 수단은 상기 스테이션의 안쪽에 위치한다. 각 케이블(11)은 L1/tvmin1과 L1/tvmax1 및/또는 L2/tvmin2와 L2/tvmax2 사이의 범위에 있는 통상적으로 일정 속도를 갖는 구동 수단에 의해 동력을 공급받는다. 이는 또한, 하나의 구동 휠과 하나 또는 여러 프리휠이 있음을 의미하는, 전체 운반 길이를 위해 오직 하나의 케이블만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부 또는 스테이션에 상주할 때, 운송 작동 장비는 대략 걸음걸이 속도(stepping speed)로 이동하거나, 승객이 안전하게 타거나 내리도록 허용하는 짧은 시간 동안 정지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국면 동안, 운송 작동 장비의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여기서 운송 작동 장비의 전류 소비자는 대응하는 콘택트 수단에 맞물리고, 특히 콘택트 레일(contact rails)은 U-형상을 갖춘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중간 스테이션(intermediate station)에서 콘택트 레일은 길이(L1 ,2)를 가로질러 2개의 휠(29)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셔틀 레일 객실(shuttle rail cabins)에 대해 승객이 타거나 내리는 동안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스는 수 분 동안 취해진다. 그 내의 충전 레일은, 예컨대 1미터의 길이를 갖춘 매우 짧게 설계된다.
도 8은 이중 층 캐패시터의 셀의 예상된 서비스 수명(expected service life)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몇 년에 걸친 서비스 수명이 어떻게 ℃의 소정 셀 온도에서 VDC의 셀 온도에 의존하는가를 알 수 있다. 케이블 카 시스템을 위해 전형적으로 이용된 이중 층 캐패시터는, 예컨대 48.6V의 전압에서, 2.7V의 전형적 셀 전압을 초래하는, 18개의 셀을 포함한다. 예컨대, 10년의 서비스 수명이 목표라면, 내부 온도(inside temperature)는 실질적으로 25℃ 보다 더 높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층 캐패시터(14)는 쉴드(15)에 의한 과도한 열에 대해 보호된다. 예컨대, 여름과 같은 과도한 열에서도 이용하기 위해 적절한 이중 층 캐패시터의 최대 서비스 수명을 달성하도록, 충전 수단(2)의 충전 전압이 감소되어 약 15년의 최대 서비스 수명이, 예컨대 2.2V의 하위 셀 전압(lower cell voltage) 및, 예컨대 45℃의 최대 내부 온도에 기인하여 도달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셀 전압 및 동일한 수의 셀에서 충전 전압은 약 39.6V이다.
도 9는 스테이션(S) 내부에 위치한 2개의 운송 작동 장비(13)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 내에 존재하는 것은 서로 분리되는 2개의 충전 수단(2)이다. 충전 수단은 양극 및 음극(positive and a negative pole)을 갖춘 직류 소스(direct current sources)로서 설계된다. 각 이들 극성 중 하나는 여기서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된 전력 레일(power rail; 142, 142')로 경유된다. 검출 수단 또는 센서 수단(22, 23)은 바람직하기는 전력 레일 끝나는 종단의 영역에 배치되고; 그들은 여행 방향(F)으로 운반되어지는 운송 작동 장비(13)의 콘택트(142,142')가 센서를 지나갔는가를 확인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센서 수단 및/또는 신호 발생기(signal generators)는, 예컨대 유도 근접 스위치(inductive proximity switches)와 같은, 근접 센서 또는 금속 검출기로서 구성되고, 따라서 예컨대 운송 작동 장비(13)의 케이블 클램프(cable clamp) 또는 서스펜션 및/또는 리프팅 태클(suspension and/or lifting tackle; 131)이 검출될 수 있다. 한편, 이 검출의 목표는 콘택트(142,142')가 전력 레일 및/또는 전력 레일들(21,21')과 견고하게 콘택트 되는가를 결정하는데 있고, 따라서 스파크 없이 전송되어지는 큰 전류에서도 허용된다. 더욱이, 검출은 대응하는 충전 스테이션(2)의 충전 프로세스의 제어된 스타트 및/또는 활성화 뿐만 아니라 제어된 정지 및/또는 비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해 기능한다. 케이블 카의 여행 방향은, 예컨대 주차 설비 바깥으로 운송 작동 장비를 되돌리는 것에 의한 소정 동작의 경우에서 변경될 수 있다. 신호 발생기의 논리는 여행 방향에서의 변경에 기인하여 그러한 경우에 변경된다. 뒤쪽 방향으로 여행하는 동안 센서 수단(23)의 센서 신호 이용은 충전 스테이션에 의한 충전 프로세스가 통상 여행 방향(F)과 반대로 대응되게 시작된다. 운송 작동 장비(13)가 센서 수단(22)에 의해 획득되면 바로 충전 프로세스는 뒤쪽 방향으로 여행하는 동안 정지된다. 그 내의 여행 방향(F)은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중앙 제어기(central control; 19)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전류 소비자가 전압을 운반하는 전력 레일에 대해 주행하거나 이러한 레일로부터 떨어질 때 스파크가 형성된다. 안정성 이유를 위해, 신호 발생기는 제공하는 여분(providing redundancy)을 쌍으로 제공할 수 있다. 센서 수단(22)의 신호를 기초로, 충전 전압 및/또는 충전 전류는 콘택트(21,21')에 인가되고, 그리고/또는 센서 수단을 기초로 차단 및/또는 온 또는 오프 절환된다. 여분의 신호 발생기에 따라, 하나의 신호 발생기가 고장남에도 불구하고 스위치-온 또는 스위치-오프 신호를 확실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신호 발생기 및/또는 센서 수단(22,23)의 소정의 고장은 충전 스테이션(2)에서 에러로서 인식된다.
참조부호 145는 에너지 저장기(14)와 슬라이딩 콘택트(142)를 연결하기 위한 콘택트와 연결하는 연결 장치를 가르킨다. 더욱이, 에너지 저장기는, 예컨대 판독되어질 수 있는 셀 전압(cell voltages), 과잉 전압(excess voltage), 다중 셀의 대칭(symmetry of multiple cells), 과잉 온도(excess temperature) 등과 같은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고, 연결 장치(145)와의 케이블 연결은, 예컨대 데이터 로거(data logger) 또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의해 정보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연결 장치(145)는, 예컨대 다이오드 또는 싸이리스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역 극성 보호기(reverse polarity protection)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는, 연결 장치는 과전압 방지장치(overvoltage arrester)를 포함한다. 더욱이, 연결 장치(145)는 통상적으로, 예컨대 용융가능 절단(fusible cut-out)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과전류 퓨즈(overcurrent fuse)를 포함한다.
예컨대 승객을 즐겁게 하거나 승객의 행복감을 증강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전기적 소비자(3)(히터, 냉각 유닛, 환기장치, 조명 등)를 공급하도록 약 15V 내지 48V의 전기 입력 전압을 기초로 24V의 일정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DC-DC 컨버커(143)가 고려된다. 비상 기능 및/또는 산-관련 정보를 만족시키는 전기적 소비자(3)를 공급하도록 다른 DC-DC 컨버터(144)가 제안된다. 이 전력 회로는 소위 안전 전력 회로(safety power circuit)로서 기능한다. 비상 기능 전력 회로를 위한 DC-DC 컨버터는 캐패시터의 완전한 방전까지, 예컨대 24V의 일정한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이중 층 캐패시터의 거의 완전한 방전이 야기될 때까지 비상 기능이 동작적임을 확실히 하기 위해, 전기적 소비자를 우선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캐패시터에서의 전압에 의존하여, 그 내의 조명, 기후 조절을 위한 히터 및/또는 냉각, 라디오 등은 순차적으로 일찍 스위치 오프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동작 제어 장치(operating control device; 140)는, 예컨대 동일 및/또는 다른 입력 전압을 갖는, DC-DC 및/또는 DC-AC 컨버터와 같은 하나 또는 여러 컨버터가 에너지 저장기(14)와 연결되는 도 9에 따라 또한 실현된다. 에너지 저장기(14)의 활용가능한 에너지에 의존하여, 그 입력 전압이 필요한 최소 동작 값 이하로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 것이 정지한 후 하나의 전압 트랜스포머가 동작한다. 따라서, 측정 기구(measurement instrument; 1400)의 기능적 유닛, 저장기 모듈(1401), 및 동작 제어 장치의 필터 모듈(1402)은 전압 컨버터의 함수로 실현된다.
전력 회로(30)는 에너지 저장기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전력 회로(30)는 에너지 저장기(14)와 직접 연결된 전압 코넥터(voltage connector)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서로 다중 에너지 저장기와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운송 작동 장비를 위해 제공된 다중 DC-DC 컨버터 대신, 소비자를 위해 단일 DC-DC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효율적인 에너지 절약을 확실히 하기 위해, 여행 중인 동작 수단(14)의 전기적 소비자가 우선화되고, 그에 의해 임계 값이 에너지 저장기의 전압과 관련하여 정의되고; 이들이 도달되었을 때, 대응하는 소비자가 점진적으로 스위치 오프된다. 임계 값(threshold values)은 포텐쇼메터(potentiometer)를 매개로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고, 여기서 소비자는 그들의 우선화에 따라 다른 전력 회로에 연결된다. 그러나, 임계 값은 또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에 따라, 전압-종속적으로,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고, 여기서 소비자는 그들의 우선화에 따라 PLC의 다른 출력에 연결된다. 최소 잔여 전압(minimum residual voltage)에도 불구하고, 따라서 인터콤 또는 비상 시스템과 같은, 안전-관련 소비자가 가능한 한 긴 동안 동작을 유지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승객 및/또는 화물의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13)의 여러 전기적 소비자(3)의 에너지 공급을 도식적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기적으로 동작된 소비자(3)는, 예컨대 인터콤 장치, 모니터를 갖춘 개인용 컴퓨터 및 비상 호출 장치, 확성기를 구비하는 오디오 증폭기, 멀티미디어 장치, 예컨대 WLAN 억세스 지점(WLAN access point)을 구비하는 통신 수단, 24V외의 다른 전압을 위한 DC-DC 컨버터, LAN 스위치, PLC, 내부 및 외부 보안 감시를 위한 카메라이고, 여기서 후자는 네트워크-가능(network-capable), 이중 동작 모듈(duplex operation module), 역류 팬(cross-current fan), 광 제어를 갖는 LED 소자(LED elements with light control), 초음파 센서, 비상등 및 충전 제어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는, 각각 다중 전력 회로 중 하나를 매개로, 운송 작동 장비(13)의 재충전가능한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14)와 연결된다. 그 내의 운송 작동 장비(13)는 에너지 저장기(14)의 에너지의 활용가능한 양을 기초로 대응하는 측정 값을 측정 장치(1400)에 의해 검출하는 동작 제어 장치(14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동작 제어 장치(140)는 동작 동안 활용 가능한 에너지 저장기(14)의 전압을 일정한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 컨버터(DC-DC 컨버터; 143)를 포함한다. 하나 또는 다중 전력 회로는 DC-DC 컨버터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소비자(3)는 전력 회로에 의해 그룹화될 수 있다. 동작 제어 장치(140)는 전력 회로(30)를 선택적으로 절환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또한 소비자(3)는, 또한 동작 제어 파라미터로서 지시된, 발생된 제어 파라미터를 기초로 온 및 오프된다. 이는 에너지 저장기(14)의 활용가능 에너지를 최적화하기 위해 허용한다.
더욱이, 도 10은 DC-DC 컨버터(143)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와 직접 연결된 소비자(3)를 갖춘 전력 회로를 제공하는 변형예를 나타낸다. 동작 제어 장치(140)는 이러한 구성에서도 각 전력 회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치 온 및 오프하거나,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DC-DC 컨버터를 분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설계된다. 이는, 예컨대 제어가능 전력 스위치에 의해 실현된다.
회득되어질 수 있는 측정 값은, 예컨대 셀 전압, 셀 및/또는 그들 전압의 대칭, 과전압 또는 과잉 온도이다. 전력 회로(30)는 오직 직접적으로만이 아니라 간접적으로도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와 연결가능할 수 있다. 동작 제어 장치(140)는, 예컨대 부하 스위치(load switches)를 갖는 PLC이거나, 또는 그로서 설계된다. 동작 제어 장치(140)는 또한, 예컨대 포텐쇼메터에 의해, 조정가능 측정 제어 값을 갖는 인쇄된 전기 회로로서 설계될 수 있다. 필터 모듈(1402)은 측정 값을 비교하도록 설계되고, 바람직하기는 2개의 전기적 전압 값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로서 설계된다. 그 내에서 발생된 제어 값은, 바람직하기는 전력 스위치를 이용해서, 하나 또는 다중 전력 회로를 선택적으로 스위칭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해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2진(binary) 또는 아날로그 값(analogous value)으로서 이용된다. 각 전력 회로(30)는 스위치-온 전압 값과 관련될 수 있다. 각 전력 회로(30)는 스위치-오프 값과 관련될 수 있다. 관련은 저장 모듈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전력 회로의 결합 및 분리는 다른 전력 회로와 관련하여 우선화될 수 있다.
동작 제어 장치(140)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측정 제어 값을 갖춘 저장 모듈(1401)을 포함한다. 측정 제어 값은, 예컨대 임계 값으로서 저장된 볼트의 전압 값이다. 그 내의 동작 제어 장치(140)는 검출된 측정 값과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측정 제어 값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 모듈(1402)은 동적으로 획득된 측정 값과 저장 모듈(1401)로부터 판독될 수 있고 관련된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는 측정 제어 값을 비교한다. 제어 파라미터는, 예컨대 스위칭 오프/떨어짐/분리(switching off/separating/decoupling)를 위한 0 또는 스위칭 온/연결/결합(switching on/connecting/coupling)을 위한 1일 수 있다. 측정 값이 소정의 저장된 임계 값 및/또는 측정 제어 값 보다 더 작으면, 동작 제어 장치는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전력 회로를 선택적으로 분리한다.
동작 제어 장치(140)는 여러 필터 모듈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 전력 회로(30)는 대응하는 필터 모듈과 관련을 갖으며, 여기서 각 필터 모듈은 측정 값과 정의가능한 측정 제어 값을 비교하고, 각 전력 회로(30)가 중단됨을 기초로 대응하는 제어 파라미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설계된다.
동작 제어 장치(140)는 전력 회로(30)의 분리(떨어뜨림) 및/또는 결합(연결)의 목적을 위한 대응하는 제어가능 분리 및 연결 전력 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들은, 예컨대 릴레이 또는 반도체 스위치로서 설계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기(14)가 충전 스테이션(2)에 의해 충전되면, 에너지 저장기(14)의 에너지의 활용가능한 양은 증가한다. 동작 제어 장치(140)의 측정 장치(1400)를 이용함에 따라, 전류 측정 값은 에너지 저장기의 에너지의 활용가능한 양을 기초로 동적으로 획득되고 저장된 측정 제어 값과 비교된다. 측정 값이 소정 측정 제어 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 대응하는 전력 회로(30)는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동작 시간 외에, 바람직하기는 운송 작동 장비(13)는 케이블 카 스테이션에 주차된다. 운송 작동 장비를 주차하는 것이 차고에 보관하는 것으로서 설계되고, 주차로부터 벗어남에 따라 동작을 고려한다. 주차 동안 가능한 한 많은 운송 작동 장비(13)의 에너지 저장기(14)의 활용가능한 잔여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운송 작동 장비의 모든 모든 전력 회로(30)가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잠정적으로 차단되어지는 것이 제안된다. 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기 위해, 센서 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운송 작동 장비(13)는, 예컨대 초음파 센서 또는 광학 센서로서 설계된 거리 센서 수단인, 바닥에 관하여 케이블 카 객실의 거리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 수단(149)을 포함할 수 있다. 틀 동작 제어 장치(die operating control device; 140)는, 거리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됨에 따른 거리 값을 기초로, 정의가능한 시간의 주기 후, 예컨대 15분 후 모든 전력 회로를 바람직하게는 분리하기 위해 저장된 거리 기준 값(distance reference value)과의 비교를 떠 맞도록 그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 카 스테이션(S)에 케이블 카 객실을 주차시킬 때 특히 도움이 된다. 거리 값은 또한, 전력 회로(30)가 예컨대 15분의 정의가능한 지연 시간 후 에너지 저장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기초로, 센서 수단(149)으로부터 동작 제어 장치(140)로 2진 값으로서 전송될 수 있다.
운송 작동 장비의 도어-종단 스위치(door-end switch)로부터의 신호는 센서 수단(149)으로서 또한 이용되어질 수 있고, 시간 카운터(time counter)와 조합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예컨대 15분 이상의 시간 주기 동안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 바람직하기는 운송 작동 장비(13)의 모든 전력 회로(30)는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분리된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이용은 위치-특정 좌표 데이터(location-specific coordinate data)를 결정하기 위한 센서 수단(149)으로서 가능하다. 그 내의 케이블 카 스테이션(S)의 좌표 데이터는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운송 작동 장비(13)의 대응하는 장소-특정 좌표 데이터(place-specific coordinate data)와 비교되고, 모든 전력 회로(30)는, 그들이 주차된 영역, 예컨대 케이블 카 스테이션(S)에서, 그들의 위치에 관하여 정밀하게 스위치 오프된다.
에너지 저장기(14)의 에너지 보존을 최적화하는 목적을 위해, 그 활용가능한 잔여 에너지 및/또는 충전 상태와 관계없이,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운송 작동 장비(13)의 하나, 다중 또는 모든 전력 회로(30)를 분리하기 위해 각 동작 제어 장치(140)로 제어 및/또는 스위치-오프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케이블 카(1)의 중앙 제어기(19)로부터 제어 신호의 유선-연결 또는 무선 전송에 의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는, 이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운송 작동 장비(13)에 대한 케이블 카 시스템의 중앙 제어 장치(19)의 제어 신호의 유선-연결 또는 무선 전송에 의해 야기된다.
에너지 저장기(14)와, 특히 전력 회로(30)를 선택적으로 재결합하기 위해, 동작 제어 장치(140)는 바람직하기는 운송 작동 장비(13)의 에너지 저장기(14)와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도 11은 운송 작동 장비의 에너지 저장기의 전형적 충전 및 방전 사이클의, 축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도식적인 도면이다. 수직 축은 에너지 저장기의 볼트로 충전 전압을 도시한다. 수평 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전압 값(U0)에서, 에너지 저장기(14)에서의 잔여 전압은 거의 또는 완전하게 제로이다. 에너지 저장기는 방전되고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충전 스테이션(2)에 의해 재충전되어져야만 하다.
전압(U1)은 에너지 저장기(14)에서 스위치-오프 전압 값으로서 바로 지시되고, 여기서 이 값에 도달하거나 이하로 감에 따라 동작 제어 장치(140)는 전력 회로(30)가 오프 및/또는 에너지 저장기로부터 그들을 분리 또는 떨어뜨리도록 스위치한다. 전압 값은 측정 장치(1400)에 의해 획득되고 동작 제어 장치(140)로 전송된다. 지금, 스위치-오프 전압은, 예컨대 15V이다. 전압(U1)은 저장 모듈(1401)에 의해 저장된 측정 제어 값에 대응하고, 여기서 에너지 저장기의 잔여 전압(residual voltage)의 획득된 측정 값은 동작 제어 장치를 통해 대응하는 전력 회로의 분리 작용을 야기한다.
U2는 정의가능한 스위치-온 전압 값을 가르키고, 또한 시작(start-up) 또는 제한 전압(limit voltage)을 가리키며, 여기서 이 값에 도달 및/또는 초과되었을 때에만, 동작 제어 장치(140)는 전력 회로(30)를 에너지 저장기(14)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에너지 저장기(14)의 충전 상태에 따라, 운송 작동 장비(13)의 하나 또는 여러 경로가 케이블 카 스테이션(S)의 각 충전 스테이션(2)에서 필요하다. 지금, 시작 전압은, 예컨대 38V이다.
전압(U3)은 충전 스테이션(2)에 의해 적어도 충전된 에너지 저장기(14)의 원하는 전압을 가리킨다. 지금, 원하는 전압은, 예컨대 40V이다.
전압(U4)은, 충전 스테이션(2)에 의한 에너지 저장기의 충전 프로세스 바로 직전에 시작함을 의미하는, 운송 작동 장비(13)가 케이블 카 스테이션(S)에 도달하면 통상적으로 재충전가능한 에너지 저장기(14)에서의 전압 값을 가리킨다.
Umax는 이중 층 캐패시터에서 현재 구현된 다른 48V인 에너지 저장기(14)의 최대 전압을 가리킨다.
to는 에너지 저장기의 잔여 충전 전압이 제로 또는 거의 제로인 시간에서의 지점을 가리킨다.
t1은 충전 전압이 최대 전압에 도달한 시간에서의 지점을 가리킨다. 이는 바람직하기는 운송 작동 장비(13)가 케이블 카 스테이션(S)을 떠날 때 인가한다.
t2는 운송 작동 장비(13)의 에너지 저장기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 전송이 맞물리는 시간에서의 지점을 가리킨다. 시간 t1 및 t2 사이의 하강하는 전압 진로는 에너지 저장기의 각 잔여 에너지 및/또는 잔여 전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실제 전압으로서 지시된, 에너지 저장기(14)에서의 활용가능 전압 Ux를 이용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전압의 진로는 동작 제어 장치(140)의 측정 장치(1400)에 의해 동적으로 획득되고, 필터 모듈(1402)에 대해 측정 값, 예컨대 Ux로 전송된다. 저장 모듈(1402)은, 대응하는 제어 파라미터와 관련된, 하나 또는 다중 어드레스가능 측정 제어 값, 예컨대 전압 값을 포함한다. 필터 모듈(1402)은 저장된 측정 제어 값을 어드레스하고 그들을 획득된 측정 값과 비교한다. 획득된 측정 값이 저장된 측정 제어 값 이하로 떨어지자 마자, 측정 제어 값은 동작 제어 장치(140), 전력 회로(30) 또는 소비자(3)에서 해방되는 필터 모듈에 의한 측정 제어 값을 기초로 발생된다. 제어 파라미터는 스위칭 신호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제어 파라미터는 전력 회로 및/또는 소비자와 관련된 스위칭 신호로서 정의될 수 있다.
지정된 전압 값은 예시적 특징 및 에너지 저장기가 이중 층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케이블 카 시스템(Cable car system)
11 --- 케이블, 운반 케이블(Cable, conveying cable)
13 --- 운송 작동 장비, 케이블 카 객실, 시트(Transportation operating
equipment, cable car cabin, seat)
131 --- 서스펜션, 케이블 클램프를 갖는 서스펜션(Suspension,
suspension with cable clamp)
1311 --- 롤러(Roller)
132 --- 지붕(Roof)
133 --- 측면(Side)
134 --- 바닥(Floor)
14 --- 에너지 저장기, 이중 층 캐패시터(Energy store, double layer
capacitor)
140 --- 동작 제어 장치(Operating control device)
1400 --- 측정 장치(Measurement device)
1401 --- 저장 모듈(Storage module)
1402 --- 필터 모듈(Filter module)
141 --- 케이블링(Cabling)
142,142' --- 콘택트, 슬라이딩 콘택트, 전류 소비자(Contact, sliding
contact, current consumer)
143 --- 컨버터, DC-DC 컨버터(Converter, DC-DC converter)
144 --- 안전 전력 회로용 컨버터, DC-DC 컨버터(Converter for safety
power circuit,DC-DC converter)
145 --- 연결 장치(Connection device)
149 --- 센서 수단(Sensor means)
15 --- 커버, 슬리브, 보호 쉴드(Cover, sleeve, protective shield)
19 --- 중앙 제어기, 케이블 카 제어기(Central control, cable car
control)
2 --- 충전 수단, 충전 스테이션, 전력 공급 수단(Charging means,
charging station, power supply means)
21,21' --- 콘택트 수단, 콘택트, 전력 레일(Contact means, contact,
power rail)
22 --- 센서 수단, 검출기(Sensor means, detector)
23 --- 센서 수단, 검출기(Sensor means, detector)
29 --- 휠, 순환 휠, 구동 휠, 회전 횔(Wheel, revolving wheel, drive
wheel, trolley wheel)
3 --- 소비자, 종단 장치(Consumer, end devices)
30 --- 전력 회로(Power circuit)
F --- 여행의 방향, 운송 방향(Direction of travel, transportation
direction)
L, L1,L2,… --- 길이(Length)
M --- 철탑 팁(Pylon tip)
m --- 철탑(Pylon)
S --- 스테이션(Station)
s -- 주행 레일(Running rail)
t, tvmin,… --- 시간, 시간 간격, 구간(Time, time interval, duration)
U --- 전압, 전압 값(Voltage, voltage value)

Claims (14)

  1.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케이블 카 시스템(1)으로, 전기적 소비자가 하나 또는 다중 전력 회로를 매개로 각각 연결된 운송 작동 장비(13)의 재충전가능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14)에 그 동작을 위해 연결되고,
    운송 작동 장비(13)가 에너지 저장기(14)의 에너지의 활용가능 양을 기초로 측정 값을 동적으로 획득하기 위한 측정 장치(1400)을 구비하는 에너지 저장기(14)와 연결된 동작 제어 장치(14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동작 제어 장치(140)가 적어도 하나의 측정 제어 값 및 그와 관련된 제어 파라미터를 갖는 저장 모듈(1401)을 포함하며;
    동작 제어 장치(140)가 획득된 측정 값과 적어도 하나의 저장된 측정 제어 값을 비교하고, 어느 전력 회로(30)가 에너지 저장기(14)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기초로 대응하는 저장된 제어 파라미터를 선택하기 위한 필터 모듈(14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 제어 값 및 하나의 대응하는 제어 파라미터가 저장 모듈(1401)에 의해 저장될 수 있는 각 전력 회로(30)에 결합을 우선화할 목적을 위해 관련될 수 있고, 획득된 측정 값을 기초로 각 전력 회로(30)는 그 우선화에 대응하여 에너지 저장기(14)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거나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획득된 측정 값이 정의가능한 스위치-오프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면 전력 회로(30)가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획득된 측정 값이 정의가능한 스위치-온 전압 값을 초과하면 전력 회로(30)가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14)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송 작동 장비(13)의 센서 수단(149)은 모든 전력 회로(30)가 운송 작동 장비(13)를 주차시키기 위해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기초로 좌표 데이터의 위치-특정 결정(location-specific determination)을 위해 활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작 제어 장치(140)가 하나 또는 다중 전력 회로(30)를 에너지 저장기(14)와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 컨버터(143)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14)가 다중 전력 회로(30)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이중 층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카 시스템(1)은 운송 작동 장비(13)의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14)를 전기적으로 충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충전 스테이션(2)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분리된 전력 회로(30)는 동작 제어 장치(140)에 의한 충전 작용 동안 에너지 저장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1).
  9.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운송 작동 장비의 전력 회로의 동작적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 전기적 소비자가 전력 회로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고,
    케이블 카 시스템(1)의 각 운송 작동 장비(13)가 운송 작동 장비(13)의 에너지 저장기(14) 전력 회로(30)의 활용가능한 잔여 에너지가 에너지 저장기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거나 연결됨을 기초로 하는 것에 의해 에너지 저장기(14)와 연결된 동작 제어 장치(14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기(14)의 에너지의 활용가능한 양은 동작 제어 장치(140)의 측정 장치(1400)에 의해 측정 값으로서 동적으로 획득되고, 동작 제어 장치(140)의 필터 모듈(1402)에 의해, 획득된 측정 값은 동작 제어 장치(140)의 저장 모듈(1401)에 의해 저장된 측정 제어 값과 비교되고, 관련된 제어 파라미터는 동작 제어 장치(140)가 에너지 저장기로부터 전력 회로(30)를 선택적으로 분리하거나 연결함을 기초로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케이블 카 시스템(1)으로, 운송 작동 장비는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적어도 두개의 스테이션(S) 사이에서 운반될 수 있고, 하나의 운송 작동 장비(13)는 재충전가능 에너지 저장기(14)를 포함하되, 케이블 카 시스템(1)의 하나 또는 각 스테이션(S)은 전기적 충전 작용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13)의 에너지 저장기(14)와 연결될 수 있는 에너지 저장기의 전기적 재충전을 위해 설계된 충전 스테이션(2)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센서 수단(22,23)이 운송 작동 장비(13)를 검출하고 충전 스테이션(2)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음을 기초로 센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카 시스템.
  12.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승객 및/또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설계된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운송 작동 장비(13)의 재충전가능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14)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으로, 운송 작동 장비(13)의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14)가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스테이션(S) 내의 운송 작동 장비(13)의 적어도 잠정적 상주 시간(dwelling time) 동안 전기적으로 충전되고, 충전 스테이션(2)의 충전 프로세스가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센서 수단(22,23)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운송 작동 장비(13)의 전기적 에너지 저장기(14)가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케이블 철탑(M)과 관련하여 운송 작동 장비(13)의 적어도 잠정적 경로 또는 상주 시간 동안 전기적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14.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에너지 저장기(14)가 2개의 전류 소비자(142,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전류 소비자(142,142')는 케이블 카 시스템(1)의 스테이션(S) 내의 에너지 저장기(14)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 스테이션(2) 내에 제공된 각 하나의 콘택트 수단(21)과 함께 작용하고, 충전 스테이션(2)의 충전 전류는 센서 수단(22,23)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방법.
KR1020127002994A 2009-07-08 2010-07-01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 KR101720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1057/09 2009-07-08
CH01057/09A CH701450B1 (de) 2009-07-08 2009-07-08 Seilbahnkabine für eine Seilbahnanlage.
EPPCT/EP2010/059096 2010-06-25
EP2010059096 2010-06-25
PCT/EP2010/059409 WO2011003812A2 (de) 2009-07-08 2010-07-01 Seilbahnanlage mit fahrbetriebsmitteln zum personen- und/oder gütertrans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469A true KR20120038469A (ko) 2012-04-23
KR101720817B1 KR101720817B1 (ko) 2017-03-30

Family

ID=4293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2994A KR101720817B1 (ko) 2009-07-08 2010-07-01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910578B2 (ko)
JP (1) JP5816619B2 (ko)
KR (1) KR101720817B1 (ko)
CN (1) CN102481940B (ko)
CA (1) CA2767232A1 (ko)
ES (1) ES2878131T3 (ko)
HK (1) HK1168576A1 (ko)
PT (1) PT3476686T (ko)
SI (1) SI3476686T1 (ko)
WO (1) WO20110038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803A (ko) * 2014-09-01 2016-03-09 포마 공중 삭도 수송 설비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7938A1 (fr) * 2008-11-05 2010-05-07 Sommital Installation de remontee mecanique
DE102011012958A1 (de) * 2011-02-03 2012-03-22 Audi Ag Energiespeichersystem mit einem Lithium-Ionen-Kondensator
US9665932B2 (en) * 2013-09-03 2017-05-30 Thales Transport & Security, Inc. Camera based cable inspection system
US10286926B2 (en) 2014-05-02 2019-05-14 Dimensione Ingenierie S.R.L. Continuously moving cableway
AT515537B1 (de) * 2014-05-26 2015-10-15 August Eiler Fahrzeug für eine Umlaufseilbahn
AT14931U1 (de) * 2014-06-26 2016-08-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JP2017530681A (ja) * 2014-09-25 2017-10-12 アルパイン メディア 移動体にあるシステムにエネルギー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CN104787051B (zh) * 2014-11-27 2018-01-23 安徽黑娃食品科技有限公司 缆车吊车自动化控制系统
GB2542822B (en) * 2015-09-30 2021-03-24 Acorn Mobility Services Ltd Lift system and method
AT517920A1 (de) * 2015-11-02 2017-05-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kabine
IT201600088960A1 (it) * 2016-09-01 2018-03-01 Leitner Spa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per il trasporto di persone e metodo per operare tale impianto
FR3059967B1 (fr) 2016-12-12 2019-01-25 Poma Procede et installation de transport de vehicules tractes par un cable
CN108327730A (zh) * 2017-03-05 2018-07-27 刘贵文 一种索道公共交通系统
WO2018220016A1 (de) * 2017-06-02 2018-12-06 Innova Patent Gmbh Seilgezogene beförderung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CN107697077B (zh) * 2017-10-31 2024-04-12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索道组件
JP7138330B2 (ja) * 2018-04-03 2022-09-16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索道における電力供給装置
JP7138331B2 (ja) * 2018-04-17 2022-09-16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索道における電力供給装置
JP7072871B2 (ja) * 2019-01-30 2022-05-23 泉陽興業株式会社 吊り下げ型乗物システム
US11878723B2 (en) * 2019-06-26 2024-01-23 ExxonMobil Technology and Engineering Company System for transporting sand for wellbore operations
KR102216273B1 (ko) * 2019-11-19 2021-02-17 (합)동양아이텍 태양열 발전 패널을 부착한 곤돌라의 자가운영 시스템
JP7440058B2 (ja) 2020-01-15 2024-02-28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索道における電力供給装置
EP3871941A1 (en) 2020-02-29 2021-09-01 Bialka Ski Resort Spolka Z Organiczona Odpowiedzialnoscia A set of station and gondola
AT525889B1 (de) * 2022-04-12 2023-09-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 und Seilbahnverbund mit mehreren Seilbahnen
AT526430B1 (de) * 2022-12-07 2024-03-15 Innova Patent Gmbh Umlaufseilbahn
CN115675191B (zh) * 2023-01-04 2023-03-21 新誉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车地联控能量管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3403A (ja) * 1989-09-04 1991-04-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無人車におけるトロリ式充電装置
JPH0993705A (ja) * 1995-09-21 1997-04-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ゴンドラの給電装置
JP2003032920A (ja) * 2001-07-09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輸送システム
JP2004050894A (ja) * 2002-07-17 2004-02-19 Sumitomo Wiring Syst Ltd 車載電源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561A (ja) * 1987-12-28 1989-07-12 Nippon Signal Co Ltd:The ロープウェイのゴンドラ横揺れ監視装置における出発自動検出装置
JPH0265666U (ko) * 1988-11-09 1990-05-17
DE3936638C1 (en) * 1989-11-03 1991-03-14 Mercedes-Benz Aktiengesellschaft, 7000 Stuttgart, De Ensuring electrical power supply in motor vehicle - grouping electrical appliance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for safety of vehicle
JPH04347536A (ja) * 1991-05-22 1992-12-0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電気的負荷制限装置
JPH0731063A (ja) * 1993-07-07 1995-01-31 Mitsubishi Heavy Ind Ltd 索道搬器用蓄電池の充電システム
DE19724712A1 (de) * 1997-06-11 1998-12-17 Siemens Ag Doppelschichtkondensator
FR2780684B1 (fr) 1998-07-02 2002-02-01 Anf Ind Reseau de transport en commun avec vehicules electriques
US6718214B1 (en) * 1998-12-15 2004-04-06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switching consumer on or off
EP1581406A2 (en) * 2003-01-06 2005-10-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attery management system
AT7477U1 (de) * 2003-03-10 2005-04-25 Seibt Ute Verfahren zum beheizen des sitz- und/oder rückenpolsters eines sessels einer seilbahnanlage und hierfür geeigneter sessel
AT500789B1 (de) * 2004-09-15 2011-10-15 Innova Patent Gmbh Verfahren zum beheizen einer kabine einer seilbahnanlage, hierfür geeignete kabine und seilbahnanlage
JP4943062B2 (ja) * 2006-06-07 2012-05-30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循環式索道の閉鎖型搬器
ITBZ20060047A1 (it) * 2006-11-13 2008-05-14 High Technology Invest Bv Seggiovia con seggiola dotata di un dispositivo anticaduta.
US7810434B2 (en) * 2007-05-16 2010-10-12 Allison Flom Heated ski lift
FR2934833B1 (fr) 2008-08-08 2013-07-19 Sigma Composite Procede et dispositif pour conditionner l'air d'une cabine d'une installation de transport a cable
JP2010172064A (ja) * 2009-01-20 2010-08-05 Kobe Steel Ltd 交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3403A (ja) * 1989-09-04 1991-04-1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無人車におけるトロリ式充電装置
JPH0993705A (ja) * 1995-09-21 1997-04-04 Mitsubishi Heavy Ind Ltd ゴンドラの給電装置
JP2003032920A (ja) * 2001-07-09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輸送システム
JP2004050894A (ja) * 2002-07-17 2004-02-19 Sumitomo Wiring Syst Ltd 車載電源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6803A (ko) * 2014-09-01 2016-03-09 포마 공중 삭도 수송 설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3476686T1 (sl) 2021-08-31
WO2011003812A2 (de) 2011-01-13
CN102481940A (zh) 2012-05-30
HK1168576A1 (zh) 2013-01-04
US8910578B2 (en) 2014-12-16
PT3476686T (pt) 2021-06-30
KR101720817B1 (ko) 2017-03-30
US20120103225A1 (en) 2012-05-03
JP2012532784A (ja) 2012-12-20
ES2878131T3 (es) 2021-11-18
JP5816619B2 (ja) 2015-11-18
WO2011003812A3 (de) 2011-04-14
CN102481940B (zh) 2016-04-06
CA2767232A1 (en)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817B1 (ko) 승객 및/또는 화물 운송을 위한 운송 작동 장비를 갖춘 공중 케이블 카 시스템
US9873335B2 (en) Electric railcar power feeding system, power feeding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RU2660182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EP2241472B1 (en) Power storag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electric vehicle
EP2570292B1 (en) Alternating-current electric vehicle
JP5733917B2 (ja) エレベータ電力供給システム
CN110014864B (zh) 一种列车牵引救援方法及系统
JP4415874B2 (ja) 交通システムの充放電方法
KR101172715B1 (ko) 가선 없는 교통 시스템의 충전 시스템
US20170182910A1 (en) Multi-battery system for increasing the electric range
JP2008253084A (ja) ハイブリッド電源システム
CN111344047B (zh) 自动导引车
US20140239879A1 (en) Battery charging system
JP2010130772A (ja) 鉄道車両駆動システム
CN108995551B (zh) 一种动车用蓄电池应急充电电路
JP2013141374A (ja) 電気鉄道用電力供給システム
EP2451690B1 (de) Seilbahnanlage mit fahrbetriebsmitteln zum personen- und/oder gütertransport
CN111071057B (zh) 磁悬浮列车及其牵引控制方法、系统
CN106629298A (zh) 电梯应急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6148927B2 (ja) 電車駆動システム
CH701450B1 (de) Seilbahnkabine für eine Seilbahnanlage.
CN112918269B (zh) 辅助供电系统及磁悬浮列车
CN109017332A (zh) 列车供电系统及列车
CN110406408B (zh) 车辆的站区式充电系统、方法
JPH0670475A (ja) アクティブ制御を行う集電装置の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