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090A -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090A
KR20120035090A KR1020100112799A KR20100112799A KR20120035090A KR 20120035090 A KR20120035090 A KR 20120035090A KR 1020100112799 A KR1020100112799 A KR 1020100112799A KR 20100112799 A KR20100112799 A KR 20100112799A KR 20120035090 A KR20120035090 A KR 20120035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eal tape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294B1 (ko
Inventor
김성종
구자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EP10852643.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77252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080026809.1A priority patent/CN102549801B/zh
Priority to JP2012537830A priority patent/JP5579863B2/ja
Priority to PCT/KR2010/008006 priority patent/WO2012046911A1/ko
Priority to TW103130761A priority patent/TWI595070B/zh
Priority to TW100135723A priority patent/TWI487764B/zh
Priority to US13/348,953 priority patent/US8980464B2/en
Publication of KR20120035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294B1/ko
Priority to JP2014137130A priority patent/JP6063418B2/ja
Priority to US14/611,589 priority patent/US986584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68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는, 전지 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실 테이프로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접착되도록 접착면이 형성된 제1 접착층; 및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면에 접착되도록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면과 반대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Seal tap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그에 사용되는 실 테이프(seal tap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부착되어 전극 조립체의 풀림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실 테이프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가량으로서,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약 3배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다.
한편, 리튬 이차 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캔형 이차 전지는 다시 금속 캔의 형태에 따라 원통형 전지와 각형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권취한 젤리 롤 타입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를 개재시켜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스택 타입으로 분류된다. 스택 타입의 전극 조립체는 주로 파우치형 전지에 이용되고, 젤리 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는 주로 캔형 이차 전지에 이용된다. 특히, 젤리 롤 타입의 전극 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고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원통형 또는 각형 전지의 캔에 수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져 널리 이용되고 있다.
형태적인 특성상 젤리롤이라고도 불리는 젤리 롤 타입 전극조립체는, 양극판과 음극판, 그리고 세퍼레이터를 적층시켜 권취시키는데, 이러한 전극조립체의 최외곽 종단부, 즉 권취 단부에 실 테이프(seal tape)가 부착되어 전극조립체가 풀리지 않고 권취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실 테이프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는 전해액과 함께 금속 캔에 수납되며, 전지 케이스의 개방 상단에 전극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캡 조립체가 결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이차 전지는 전지가 낙하되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 전극 조립체가 전지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전극 조립체의 유동은 전극조립체와 캡 조립체 사이에 연결된 탭을 절단시켜 이차 전지의 전원 무감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의 상하 유동은 전극 조립체의 상부 또는 하부를 압박하여 전극 조립체를 변형시켜 단락을 유발함으로써, 이차 전지를 파손시킴은 물론 발화나 폭발과 같은 사고로 이어져 큰 피해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전극 조립체의 상하 유동은 이차 전지 상단 개방부에 결합된 캡 조립체에 충격을 가하여 밀봉 부분을 파손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이차 전지 내부의 전해액이 유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이차 전지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는, 전지 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로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접착되도록 접착면이 형성된 제1 접착층; 및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면에 접착되도록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면과 반대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제2 접착층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접착성이 발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은 OPS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의 상부에,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제거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납하는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접착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면과 반대 면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면에 접착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실 테이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전해액과 반응하여 접착성이 발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은 OPS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 테이프는, 상기 제2 접착층의 상부에 상기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제거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차 전지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의 권취 상태가 풀리는 것은 물론, 전지 케이스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캡 조립체에 연결된 전극 리드가 전극 조립체의 유동으로 인해 절단되어 전원 무감 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조립체의 유동으로 전극 조립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막아, 전극 조립체의 변형에 의한 단락으로 인해 이차 전지가 파손되거나, 발화, 폭발과 같은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 내부에서 실 테이프가 전해액에 함침될 때 부피가 팽창하게 되는데, 이 경우 팽창된 실 테이프가 이차 전지 외부로부터 오는 충격이 전극 조립체로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의 상하 유동으로 캡 조립체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캡 조립체와 전지 케이스 사이의 결합 부분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캡 조립체의 결합 부분 파손으로 인해 전해액이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의 보호층 일부가 전해액과 반응하여 제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가 전극 조립체에 부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가 전극 조립체에 부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가 전극 조립체에 부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가 전해액의 주액 전후에 부피가 팽창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딩부가 형성되지 않은 이차 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는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층(110)은,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실 테이프(100)의 일 면에 형성된 층으로, 실 테이프(100)가 전극 조립체에 부착되는 경우 제1 접착층(110)의 접착면은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과 직접 접착되게 된다. 이러한 제1 접착층(110)을 구성하는 물질은 통상적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에 이용되는 접착 물질은 물론, 그 밖의 다양한 종류의 접착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에 접착되는 제1 접착층(110)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접착층(110)의 원료나 제조 방법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접착 물질을 상기 제1 접착층(110)의 구성 물질로 채용 가능하다.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상기 제1 접착층(110)의 접착면과 반대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접착층이다. 이러한 제2 접착층(120)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는, 일면에만 접착층이 형성된 종래의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와 달리,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에 수납되는 경우 그 접착면이 전지 케이스의 내면과 직접 대면 접촉하여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상기 제1 접착층(110)과 동일한 접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비록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접착층(110)과 제2 접착층(120)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별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제2 접착층(120)과 제1 접착층(110)이 동일한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서로 구분되지 않는 하나의 접착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상기 제1 접착층(110)과 다른 종류의 접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접착성이 발현되는 것이 좋다. 즉, 실 테이프(100)의 제2 접착층(120)은 전해액과 반응하기 전에는 접착성을 갖지 않다가, 전해액과 반응한 이후에 접착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삽입할 때에는 제2 접착층(120)의 접착성이 발현되지 않고 있다가,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에 삽입되어 전해액이 주입된 이후에만 제2 접착층(120)의 접착성이 발현되므로,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의 전지 케이스 삽입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120)은 OPS(Oriented PolyStyren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제2 접착층(120)은 OPS 필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접착층(120)이 OPS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 접착층(120), 즉 OPS 필름은 평상시에는 접착성을 갖지 않다가, 전해액의 일정 성분, 이를테면 DMC(DiMethyl Carbonate)와 반응하게 되는 경우 접착성을 갖게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OPS 필름은 고체 상태의 필름으로써 일반적으로는 접착성을 갖지 않으나, DMC와 반응하게 되면 고분자 사슬의 공극에 DMC가 침투하게 되어 고분자 사슬이 움직이기 쉬운 유동적인 상태가 되고 접착성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OPS 필름은 DMC와 반응하게 되어 고체 상태가 점성의 액체 상태로 상 변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접착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전지 케이스에 전해액이 주입되는 경우, OPS 필름의 접착성이 발현되므로 전지 케이스의 내면과 접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점성의 액체 상태로 변화된 OPS 필름은, 60℃ 정도의 열처리에 의해 수축 반응을 시작하고 용제 성분을 조금씩 잃어가면서 서서히 고체화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2 접착층(120)이 OPS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 전지 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열처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OPS 필름이 다시 고체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열처리 공정은 기존 이차 전지 제조 공정에 포함된 공정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추가된 공정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OPS 필름과 반응하여 OPS 필름의 접착성을 발현시키는 전해액의 성분으로 DMC를 예로 들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OPS 필름은 톨루엔이나 자일렌과 같은 다른 무극성 용매에 의해서도 그 접착성이 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제2 접착층(120)이 OPS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접착층(110)은 실질적으로 7um, 제2 접착층(120)은 실질적으로 40u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20)의 두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러한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20)의 특정 두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실 테이프(100) 전체, 또는 제1 접착층(110)이나 제2 접착층(120)의 두께는, 제1 접착층(110)과 제2 접착층(120)의 종류, 전극 조립체의 크기나 권취 형태, 전해액의 종류, 전지 케이스의 크기나 용량, 이차 전지의 크기나 제조 공정 등과 같이 여러 요소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열이 소정량 이상 인가될 때 접착성이 발현되는 열경화성 접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극 조립체의 전지 케이스 삽입시에는 제2 접착층(120)의 접착성이 발현되지 않아 제2 접착층(12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에 삽입된 후, 실 테이프(100)에 소정량 이상의 열이 인가되도록 하여 제2 접착층(120)의 접착성이 발현되도록 함으로써 제2 접착층(120)이 전지 케이스의 내면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 인가 공정은 기존의 이차 전지 제조 공정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추가 공정이 부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의 전지 케이스 수납 공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는 제2 접착층(120)의 상부에 보호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은, 접착성을 갖지 않는 비접착층으로서 제2 접착층(120)의 상부에서 제2 접착층(1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제2 접착층(120)의 상부에 보호층(130)이 존재하여 제2 접착층(120)이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실 테이프(100)는 단면 접착 테이프와 유사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에 삽입될 때, 제2 접착층(120)의 접착성으로 인하여 전극 조립체의 삽입 공정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130)은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제거된다. 즉,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 케이스에 수납될 때, 실 테이프(100) 외곽의 보호층(130)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그 전체 또는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층(130)은 전해액의 DMC와 반응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보호층(130)이 제거되면 실 테이프(100)는 단면 접착 테이프 형태에서 양면 접착 테이프 형태로 변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100)의 보호층(130) 일부가 전해액과 반응하여 제거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에서, (a)는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기 이전의 실 테이프(100) 구성을 나타내고, (b)는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한 이후의 실 테이프(100)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에서, 제1 접착층(110)과 제2 접착층(120)은 동일한 접착 물질로 이루어졌다는 전제 하에 하나의 층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해액과 반응하기 이전에는 제2 접착층(120)의 접착면인 상부 전체에 보호층(130)이 존재하여, 제2 접착층(12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없다. 때문에, 제2 접착층(120)의 접착 특성은 외부로 발현될 수 없다. 그러다가, 실 테이프(100)가 전해액과 반응하게 되면 보호층(130)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는데, 이때에는 보호층(130)이 제거된 부분을 통해 제2 접착층(12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착층(120)의 접착 특성은 외부로 발현 가능하며, 이때에는 인접한 물체, 이를테면 전지 케이스의 내부 면과 접착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이차 전지 제조 공정 중 소정량 이상의 열이 인가되거나 전해액과 접촉함으로써 그 유동성이 증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130)이 제거된 부분을 통해 제2 접착층(120)을 이루는 접착 물질이 흘러나올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착층(120)의 접착 면적이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착층(120)의 접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전해액과 반응하여 보호층(130)의 일부가 제거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전해액과 반응하여 보호층(130)의 전부가 제거되는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 테이프(100)는 전해액과 반응하여 보호층(130)이 전부 제거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착층(120)의 접착면이 모두 노출되어 전지 케이스와 접촉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층(130)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접착성을 갖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층(130)은 전해액과 반응하기 전에는 접착성을 갖지 않지만, 전해액과 반응함으로써 접착성을 갖게 되어 접착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가 전지 케이스에 삽입될 때에는 보호층(130)의 접착 특성이 발현되지 않아 삽입 공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고, 전극 조립체가 삽입된 이후 전해액이 투입되면 보호층(130)의 접착 특성이 발현되어 전지 케이스의 내면에 접착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보호층(130)을 이루는 구체적인 재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고분자 물질이 상기 보호층(130)의 재질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층(130)은 OP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OPS 보호층(130)은 OPS 필름 형태로 실 테이프(100)의 제2 접착층(120)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가 전해액과 반응하는 경우 전해액에 포함된 DMC에 의해 녹아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OPS 보호층(130) 하부에 위치하던 제2 접착층(120)이 노출되어 전지 케이스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OPS 보호층(130)은 DMC에 의해 녹으면서 그 자체로 접착성을 갖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30)은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보호층(130)의 재질,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20)의 두께, 전극 조립체의 크기나 권취 형태, 전해액의 종류, 전지 케이스의 크기나 용량, 이차 전지의 크기나 제조 공정 등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보호층(130)은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는 상기 제1 접착층(110)과 상기 제2 접착층(120) 사이에 기재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40)은 제1 접착층(110)과 제2 접착층(120) 사이에 개재된 비접착층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기재층(140)의 구성 물질이나 형태 등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140)은 다양한 종류의 구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140)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140)은 이차 전지의 크기나 제조 공정, 전극 조립체의 크기,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20)의 두께, 보호층(130)의 존재 여부나 그 두께, 전지 케이스의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110), 기재층(140) 및 제2 접착층(120)의 총 두께가 50um가 되도록 기재층(140)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접착층(120)의 접착면은 제1 접착층(110)의 접착면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착층(120)의 접착 면적의 크기가 제1 접착층(110)의 접착 면적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접착층(120)의 보다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가 젤리 롤 형태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단부(11)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10)의 외주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된다. 이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단부(11)가 실 테이프(100)로 고정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10)는 풀리지 않고 권취 상태가 유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테이프(100)의 제2 접착층(120)은 제1 접착층(110)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된 실 테이프(100)는 제2 접착층(120)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실 테이프(100)의 전체 면적에 제2 접착층(120)이 형성되면, 실 테이프(100)와 전지 케이스 사이에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A-A'선에 대한 실 테이프(100)의 단면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접착층(120)의 상부, 즉 실 테이프(100)의 최외곽면에는 보호층(13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되는 실 테이프(100)의 폭, 즉 상하 길이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조립체(10)의 상하 길이가 60mm라고 할 때, 실 테이프(100)의 상하 길이는 50mm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 테이프(100)의 특정 부착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 테이프(100)는 전극 조립체(10)에 다양한 크기로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단부(11)를 포함하는 외면에 부착된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는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태의 제2 접착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접착층(120)과 제1 접착층(110)은 서로 다른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착층(110)과 제2 접착층(120) 사이에 기재층(14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실 테이프(100)의 경우, B-B'선에 대한 단면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120)의 상부에는 보호층(13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는 일정 크기 및 모양을 갖는 도트 형태의 복수의 제2 접착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2 접착층(120)은 사각형 또는 원형과 같은 형태로서 일정한 형태를 갖거나 또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6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7에서도 제1 접착층(110)과 제2 접착층(120) 사이에 기재층(14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100)의 경우, C-C'선에 대한 단면 형태는, 도 6과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120)의 상부에는 보호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100)의 구성은 각각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전극 조립체(10)에 대한 실 테이프(100)의 부착 상태나 제2 접착층(120)의 크기 및 모양 등이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 테이프(100)는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에 삽입되기 전에는, 실 테이프(100)가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부피가 팽창되지 않아 전지 케이스로의 전극 조립체(10) 삽입이 용이하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에 삽입된 후 전해액이 주입되면, 전극 조립체(10) 외면의 실 테이프(100)가 전해액과 반응하여 팽창되게 된다. 이와 같은 실 테이프(100)의 팽창은, 최외곽에 위치한 제2 접착층(120)이 전지 케이스의 내면과 더욱 강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실 테이프(100)가 팽창하는 경우 실 테이프(100)와 전지 케이스의 접착이 더욱 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 테이프(100)가 팽창하게 되면 전지 케이스 외부로부터 전극 조립체(10)로 전달되는 충격을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실 테이프(100)가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착층(110) 및/또는 제2 접착층(120)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접착층(110) 및/또는 제2 접착층(120)은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접착층(110) 및/또는 제2 접착층(120)은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EMA(Poly Ethyl MethAcrylate), PBMA(Poly But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재층(140)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층(140)은 다공성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져 전해액에 함침시 전해액을 흡수하여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 테이프(100)의 구체적인 부피 팽창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실 테이프(100)의 부피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러기 위해, 제1 접착층(110), 제2 접착층(120) 또는 기재층(140)은 다양한 종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10), 전지 케이스(20) 및 실 테이프(10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0)는,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젤리 롤 형태로 권취된 상태에서 전지 케이스(20)에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 조립체(10)의 권취 단부(11)를 포함하는 외면에는 실 테이프(1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지 케이스(20)는, 전극 조립체(10)와 함께 전해액을 수납한다. 전지 케이스(20)는 통상적으로 원통형 또는 각형일 수 있으며, 도 8에서는 원통형 전지 케이스(20)를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실 테이프(100)는, 접착층을 구비하여 전극 조립체(10)의 외면 및 전지 케이스(20)의 내면과 접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 테이프(100)는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20)을 구비하는데, 제1 접착층(110)은 전극 조립체(10)의 외면에 접착되는 접착층이고, 제2 접착층(120)은 제1 접착층(110)의 접착면과 반대면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전지 케이스(20)의 내면과 접착되는 접착층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100)는,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20)을 포함하기 때문에, 전극 조립체(10)와 전지 케이스(20)에 접착되어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에 따른 전극 리드(40)의 절단, 전극 조립체(10)의 변형이나 파손, 캡 조립체(30)의 분리나 파손, 또는 이로 인한 전해액 유출 등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접착층(110)과 제2 접착층(120)은 동일한 접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제1 접착층(110)과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서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접착층 형태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접착성이 발현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즉, 실 테이프(100)의 제2 접착층(120)은 전해액과 반응하기 전에는 접착성을 갖지 않다가, 전해액과 반응한 이후에 접착성을 갖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10)의 전지 케이스(20) 삽입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착층(120)은 OP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접착층(120)은 OPS 필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접착층(120)이 OPS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 접착층(120), 즉 OPS 필름은 평상시에는 접착성을 갖지 않으나, DMC와 같은 전해액의 일정 성분과 반응하여 접착성을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20)에 삽입된 후 여기에 전해액이 주입되면, OPS 필름의 접착성이 발현되어 전지 케이스(20)의 내면과 접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120)은 열경화성 접착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를 전지 케이스(20) 내부에 삽입할 때에는 제2 접착층(120)의 접착 특성이 발현되지 않다가,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20) 내부에 삽입된 이후에 일정량 이상의 열을 전지 케이스(20) 내부로 인가하여 제2 접착층(120)의 접착 특성이 발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 조립체(10)를 전지 케이스(20) 내부로 삽입할 때 제2 접착층(120)의 접착 특성으로 인해 삽입 공정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 테이프(100)는 제2 접착층(120)의 상부에 보호층(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0)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된 실 테이프(100)에서 보호층(130)이 전부 제거된 구성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제2 접착층(120)의 상부, 즉 실 테이프(100)의 최외곽에는 보호층(130)이 존재하게 되므로, 실 테이프(100)의 접착면은 외부에 드러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를 전지 케이스(20)에 삽입할 때 별다른 어려움 없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20)에 삽입된 후 전해액이 주액되면, 보호층(130)이 전해액과 반응하여 제거되므로 비로소 제2 접착층(120)이 노출되어 실 테이프(100)와 전지 케이스(20)는 서로 접착된다.
이때, 상기 실 테이프(100)의 보호층(130)은 OPS 재질로 이루어진 OPS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 테이프(100)의 보호층(130)은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접착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접착층(120)과 보호층(130)의 접착력이 더해져, 실 테이프(100)와 전지 케이스(20)의 접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접착층(110)과 제2 접착층(120) 사이에는 기재층(1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 테이프(100)는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전해액의 주액 전후에 부피가 팽창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서 (a)는 이차 전지에 전해액이 주액되기 전의 실 테이프(100)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9의 (b)는 이차 전지에 전해액이 주액된 후의 실 테이프(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전해액이 주액되기 전에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된 실 테이프(100)의 두께는 t1으로, 전극 조립체(10)와 전지 케이스(20) 사이의 간격인 g보다 작다. 따라서,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10)를 전지 케이스(20)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반면, 도 9의 (b)를 참조하면, 전해액이 전지 케이스(20) 내부로 주액된 경우, 실 테이프(100)는 전해액과 반응하여 그 두께인 t2가 전극 조립체(10)와 전지 케이스(20) 사이의 간격인 g 이상이 될 수 있다. 다만, 전극 조립체(10)와 전지 케이스(20) 사이의 간격은 정해져 있으므로, 이와 같은 두께 증가는 실 테이프(100)의 제1 접착층(110)과 전극 조립체(10) 사이, 그리고 실 테이프(100)의 제2 접착층(120)과 전지 케이스(20) 사이의 접착을 더욱 강하게 한다. 따라서, 결국에는 전극 조립체(10)가 전지 케이스(20)에 강하게 접착되게 되므로,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 및 도 9에서는 전지 케이스(20)에 비딩부가 형성된 이차 전지를 기준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비딩부가 형성되지 않은 이차 전지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딩부가 형성되지 않은 이차 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8 및 도 9에서와 달리, 전지 케이스(20)에 비딩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비딩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이차 전지의 경우, 전극 조립체(10)가 상하로 유동되기 쉽다. 따라서, 전극 리드(40)의 절단이나 전극 조립체(10)의 파손 등으로 인해 전원 무감 현상이나 발화, 폭발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캡 조립체(3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전지 케이스(20)와 결합되는데,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으로 캡 조립체(30) 하부에 충격이 전해지면 이러한 결합 부위가 파손되어, 전해액의 누액이나 캡 조립체(30)의 분리와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되어 전지 케이스(20)에 삽입되는 경우, 제1 접착층(110) 및 제2 접착층(120)이 전극 조립체(10) 및 전지 케이스(20)와 강하게 접착되어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비딩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이차 전지에서 상기와 같은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여러 문제점들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은 원통형 이차 전지를 위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와 같은 이차 전지의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각형 이차 전지나 파우치형 이차 전지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각형으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10)의 외면에 부착되며, 이와 같이 실 테이프(100)가 부착된 전극 조립체(10)는 각형 전지 케이스(20)에 전해액과 함께 수납된 후 캡 조립체(30)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전극 조립체(10)에 부착된 실 테이프(100)는, 원형 전지와 마찬가지로 제2 접착층(120)에 의해 각형 전지 케이스(20)의 내면에 부착됨으로써 전지 케이스(20)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외면에 부착된 전극 조립체(10)가 파우치형 전지 케이스(20)에 수납된다. 즉, 하부 파우치에 형성된 공간에 전극 조립체(10)가 수용된 후, 상부 파우치가 상기 수용된 전극 조립체(10)를 커버링하는 형태로 이차 전지가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전극 조립체(10)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실 테이프(100)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 조립체(10)의 외면에 부착된 실 테이프(100)는, 제2 접착층(120)에 의해 파우치의 내면에 부착됨으로써 파우치, 즉 전지 케이스(20) 내부에서 전극 조립체(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각형 이차 전지 및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구성은 일례에 불과하며, 그 구성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실 테이프
110: 제1 접착층
120: 제2 접착층
130: 보호층
140: 기재층

Claims (21)

  1. 전지 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접착되도록 접착면이 형성된 제1 접착층; 및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면에 접착되도록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면과 반대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제2 접착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접착성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OPS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의 상부에,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제거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접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OPS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열경화성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 사이에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실 테이프.
  11.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납하는 전지 케이스; 및
    상기 전극 조립체의 외면에 접착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접착층의 접착면과 반대 면에 접착면이 형성되어 상기 전지 케이스의 내면에 접착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실 테이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상기 전해액과 반응하여 접착성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OPS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 테이프는, 상기 제2 접착층의 상부에 상기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제거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전해액과 반응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접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OPS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은, 열경화성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 테이프는, 상기 전해액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은 동일한 접착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 테이프는, 상기 제1 접착층과 상기 제2 접착층 사이에 기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는, 비딩부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100112799A 2010-10-04 2010-11-12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198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26809.1A CN102549801B (zh) 2010-10-04 2010-11-12 密封带和使用所述密封带的二次电池
JP2012537830A JP5579863B2 (ja) 2010-10-04 2010-11-12 シール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PCT/KR2010/008006 WO2012046911A1 (ko) 2010-10-04 2010-11-12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EP10852643.5A EP2477252B1 (en) 2010-10-04 2010-11-12 Seal tap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TW103130761A TWI595070B (zh) 2010-10-04 2011-10-03 密封帶及使用其之二次電池
TW100135723A TWI487764B (zh) 2010-10-04 2011-10-03 密封帶及使用其之二次電池
US13/348,953 US8980464B2 (en) 2010-10-04 2012-01-12 Seal tap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2014137130A JP6063418B2 (ja) 2010-10-04 2014-07-02 シール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二次電池
US14/611,589 US9865848B2 (en) 2010-10-04 2015-02-02 Seal tap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444 2010-10-04
KR20100096444 2010-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090A true KR20120035090A (ko) 2012-04-13
KR101198294B1 KR101198294B1 (ko) 2012-11-07

Family

ID=46137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799A KR101198294B1 (ko) 2010-10-04 2010-11-12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980464B2 (ko)
EP (1) EP2477252B1 (ko)
JP (2) JP5579863B2 (ko)
KR (1) KR101198294B1 (ko)
CN (1) CN102549801B (ko)
TW (2) TWI487764B (ko)
WO (1) WO2012046911A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727A (ko) * 2015-05-26 2016-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60142816A (ko) * 2014-04-10 2016-12-13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전기 에너지 저장 셀에 자착식 필름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142589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형 이차전지
KR20170035216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 테이프를 전극조립체에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97678A (ko) * 2014-12-08 2017-08-28 동관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80041979A (ko) * 2016-10-17 2018-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80113695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 방지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
US10177399B2 (en) 2016-02-29 2019-01-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19124572A1 (ko) * 2017-12-18 2019-06-27 삼성에스디아이(주) 마감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90102833A (ko) * 2018-02-27 2019-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490841B2 (en) 2015-11-12 2019-11-2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10833297B2 (en) 2013-12-16 2020-11-10 Samsung Sdi Co., Ltd. Jelly roll tape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2586A2 (ko) * 2011-01-27 2012-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테이프
JP2014078389A (ja) * 2012-10-10 2014-05-01 Toyota Industries Corp 蓄電装置
KR20140064168A (ko) * 2012-11-19 2014-05-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04678A (ko) * 2013-07-03 2015-01-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파우치형 전지
WO2015023152A1 (ko) 2013-08-16 2015-0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 테이프
KR102121737B1 (ko) * 2013-10-16 2020-06-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20150188185A1 (en) * 2013-12-31 2015-07-02 Microsoft Corporation Reinforcement of battery
CN203690420U (zh) * 2014-01-23 2014-07-02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电池
US9634351B2 (en) * 2014-03-14 2017-04-25 Apple Inc. Mechanical structures for maintaining structural integrity in cylindrical pouch cell batteries
CN106104901B (zh) * 2014-03-19 2020-08-11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片叠层型锂离子二次电池及片叠层型锂离子二次电池的制造方法
CN105449255B (zh) * 2014-08-05 2019-01-08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化学储能装置
KR102372832B1 (ko) 2014-09-29 2022-03-0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층, 및 전기 화학 소자
KR101851429B1 (ko) * 2015-02-13 2018-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JP6652127B2 (ja) 2015-03-24 2020-02-19 日本電気株式会社 二次電池、二次電池の製造方法、電動車両および蓄電システム
WO2017082418A1 (ja) * 2015-11-11 2017-05-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JP6883973B2 (ja) * 2015-11-11 2021-06-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
WO2017094286A1 (ja) * 2015-12-01 2017-06-08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6601555B2 (ja) 2016-03-14 2019-11-0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蓄電デバイス
KR102214359B1 (ko) 2016-08-25 2021-02-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278442B1 (ko) 2016-09-21 2021-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KR20220110610A (ko) 2016-10-14 2022-08-0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화학 소자용 접착제 조성물, 전기 화학 소자 및 전기 화학 소자 제조 방법
JP7022909B2 (ja) * 2017-02-27 2022-0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捲回型電池
CN107746682A (zh) * 2017-08-17 2018-03-02 惠州瑞德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丙烯酸酯膨胀胶带的制作方法
KR102576645B1 (ko) 2017-10-26 2023-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236895B (zh) * 2018-06-20 2024-08-13 松下新能源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CN112236894A (zh) * 2018-06-20 2021-01-15 三洋电机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
KR102599481B1 (ko) 2018-08-14 202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접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67745B1 (ko) * 2018-10-01 2024-05-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220008684A (ko) * 2020-07-14 2022-01-2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튼형 이차전지
CN111995957A (zh) * 2020-08-18 2020-11-27 澳中新材料科技(韶关)有限公司 一种高膨胀倍率的定向聚苯乙烯膨胀胶带及其制备方法
KR20220105459A (ko)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JP7467507B2 (ja) * 2021-01-29 2024-04-15 寧徳新能源科技有限公司 電気化学装置及び電子機器
EP4425635A1 (en) * 2021-11-01 2024-09-04 Dongguan Amperex Technology Limited Electrochem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CN114267885A (zh) * 2021-12-21 2022-04-01 惠州亿纬锂能股份有限公司 一种抗跌落钢壳纽扣电池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217409470U (zh) 2022-05-11 2022-09-13 苏州嘉树医疗科技有限公司 适用于液体容器的助推机构
KR20240000819A (ko) * 2022-06-24 2024-01-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218677233U (zh) * 2022-08-12 2023-03-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单体、电池和用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1853B2 (ja) * 1992-10-30 2002-09-09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6181058A (ja) * 1992-12-14 1994-06-28 Kureha Chem Ind Co Ltd 非水電解液型電池用巻回電極体の緩み抑制手段
DE60005844T2 (de) * 1999-03-26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Laminat-hülsen-typ-batterie
US6379838B1 (en) * 1999-04-14 2002-04-30 Alcatel Cell package
JP2001093576A (ja) * 1999-09-27 2001-04-0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非水電解質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1273933A (ja) * 2000-03-27 2001-10-05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円筒形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3831939B2 (ja) * 2001-11-12 2006-10-11 ソニー株式会社 電池
JP2005060412A (ja) * 2003-08-08 2005-03-10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シーリングテープ
KR100542677B1 (ko) * 2004-06-25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4791044B2 (ja) * 2005-01-11 2011-10-12 日東電工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のための反応性ポリマー担持多孔質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電池の製造方法
JP4568123B2 (ja) * 2005-01-12 2010-10-27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KR100749650B1 (ko) * 2005-12-29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KR100719725B1 (ko) * 2005-12-29 2007-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1254800B1 (ko) * 2006-03-27 2013-04-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KR100905390B1 (ko) 2006-08-28 2009-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내부 유동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파우치형 이차전지
JP5127271B2 (ja) * 2007-03-12 2013-01-23 株式会社東芝 捲回型電極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47989B1 (ko) * 2007-11-06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3387B1 (ko) * 2008-02-16 2012-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CN102027627B (zh) * 2008-05-13 2013-09-25 株式会社吴羽 锂离子电池和锂离子电池用电极卷绕体
EP2273601B1 (en) * 2009-07-08 2018-05-2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136254B1 (ko) * 2010-05-20 2012-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062787B2 (en) * 2009-09-11 2011-11-2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US8048559B2 (en) * 2009-07-08 2011-11-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econdary battery
KR101101079B1 (ko) * 2010-04-05 2011-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802281B2 (en) * 2010-08-05 2014-08-12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ith movement prevention tap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3297B2 (en) 2013-12-16 2020-11-10 Samsung Sdi Co., Ltd. Jelly roll tape for rechargeable batter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he same
KR20160142816A (ko) * 2014-04-10 2016-12-13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전기 에너지 저장 셀에 자착식 필름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97678A (ko) * 2014-12-08 2017-08-28 동관 엠프렉스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
KR20160138727A (ko) * 2015-05-26 2016-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160142589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원형 이차전지
KR20170035216A (ko) * 2015-09-22 2017-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 테이프를 전극조립체에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US10490841B2 (en) 2015-11-12 2019-11-26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10177399B2 (en) 2016-02-29 2019-01-0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WO2018074773A1 (ko) * 2016-10-17 2018-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80041979A (ko) * 2016-10-17 2018-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20180113695A (ko) * 2017-04-07 2018-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경화 방지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원통형 전지셀
WO2019124572A1 (ko) * 2017-12-18 2019-06-27 삼성에스디아이(주) 마감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200078639A (ko) * 2017-12-18 2020-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마감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190102833A (ko) * 2018-02-27 2019-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95070B (zh) 2017-08-11
CN102549801A (zh) 2012-07-04
JP6063418B2 (ja) 2017-01-18
EP2477252A1 (en) 2012-07-18
JP5579863B2 (ja) 2014-08-27
US9865848B2 (en) 2018-01-09
WO2012046911A1 (ko) 2012-04-12
US8980464B2 (en) 2015-03-17
EP2477252A4 (en) 2017-02-22
JP2015008140A (ja) 2015-01-15
EP2477252B1 (en) 2020-08-19
TW201226511A (en) 2012-07-01
JP2012529753A (ja) 2012-11-22
KR101198294B1 (ko) 2012-11-07
TW201446935A (zh) 2014-12-16
CN102549801B (zh) 2016-05-25
TWI487764B (zh) 2015-06-11
US20150147640A1 (en) 2015-05-28
US20120115025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294B1 (ko)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EP2863449B1 (en) Secondary battery
KR101100990B1 (ko) 이차전지
KR101883536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60073380A1 (en) Jelly-roll type electrode assembly,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0066412A (ko) 전지부 유니트와,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EP2985812B1 (en) Secondary battery
KR20110100583A (ko)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US9093684B2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of improved safety
KR20070109080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2010086753A (ja) 蓄電デバイス
KR102384912B1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0951906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EP4170766A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101750087B1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3597B1 (ko) 이차 전지
KR102125492B1 (ko) 실 테이프를 전극조립체에 부착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134551A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6152B1 (ko) 이차 전지
KR101378073B1 (ko)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101446151B1 (ko) 이차 전지
CN117712628A (zh) 二次电池及其制造方法、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